WO2021101269A1 -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01269A1
WO2021101269A1 PCT/KR2020/016375 KR2020016375W WO2021101269A1 WO 2021101269 A1 WO2021101269 A1 WO 2021101269A1 KR 2020016375 W KR2020016375 W KR 2020016375W WO 2021101269 A1 WO2021101269 A1 WO 20211012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eering
cheering rod
virtual
performer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3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은미
서기철
김지원
하정민
오선민
김리완
고윤미
최명호
박정영
김정연
장태은
김문기
김태원
임채수
이은조
김유석
이종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11012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012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nteraction for an image using a virtual cheering rod.
  •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 image in which one or more performers appear using a virtual cheering stick.
  • video content in which a star appears is transmitted from a server to a number of unspecified user terminals in a broadcasting method.
  •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the video content and transmit a feedback on the received video content to the server.
  • most of the video platforms only provide simple user interaction means such as whether a user recommends a video, displays a good feeling, or a comment.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various interaction effects to a user who uses a video platform that provides images in which one or more performers appear.
  • the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on performed by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displaying a broadcast image in which a first performer appears, and UI objects,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the first UI object, the broadcast image Displaying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and a user input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displaying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the displaying of the basic likelihood interaction effect includes displaying a first likelihood value that is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o the first UI object, wherein the first likelihood value is the broadcast image
  • the displaying of the special likelihood interaction effect which is a likelihood value for the second UI object, includes displaying the first likelihood value and a second likelihood value that are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and the second 2
  • the likelihood value may be a likelihood value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 the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increas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by a first size
  • the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mak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more than the first size. It can be increased by a larger second size.
  • the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may increase the second preference value by a third size.
  •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includes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second performer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and a thir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cheering rod.
  •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second performer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 a thir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cheering rod.
  • displaying a third likability value for the second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irtual cheering stick and the third likability value increases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third UI object. can do.
  •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is different from the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and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first performer and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second perform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on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first preference value, and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displaying a first special effect.
  •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 second special effect different from the first special effect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s received.
  •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information on a list of virtual cheering rods related to the broadcast image, wherein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erformers eac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Including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ic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the cumulative number of use of the virtual cheering rod, use tim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and It may include whether the user can select a virtual cheering stick.
  •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obtaining and displaying first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and second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erformer, wherein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the user input for selecting a rod may be received through an area in which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is displayed.
  •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second likelihood value, and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is obtained, a second special effect Displaying,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a third likelihood value for the second performer, and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second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is obtained, the It may include displaying a third special effect different from the second special effect.
  • the displaying of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video includes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in the order of the most recent use time of the one or more virtual cheering rods based on the use tim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It may include the step of aligning and displaying.
  •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may include displaying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object on a full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 fourth UI object related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a broadcast image in which a first performer appears and at least one UI object,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 a user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displaying a basic favor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broadcast video,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may be displayed.
  • the processor displays a first likelihood value that is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and the first likelihood value and a second likelihood value that are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 a likelihood value is displayed, and the first likelihood value is a likelihood value for the broadcast video, and the second likelihood value may be a likelihood value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 the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increas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by a first size
  • the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mak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more than the first size. It is increased by a large second size, and the second preference value may be increased by a third size.
  •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displays a broadcast image and UI objects in which a first performer appears,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the broadcast image Displaying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and 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the processor displays a broadcast image and UI objects in which a first performer appears, an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the broadcast image Displaying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first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and responding to a user input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special favor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the processor displays a first likelihood value that is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and the first likelihood value and a first likelihood value that are increased according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are displayed. 2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likelihood value, wherein the first likelihood value is a likelihood value for the broadcast video, and the second likelihood value is a likelihood value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have.
  • the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increas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by a first size
  • the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increases the first likelihood value by the first size. It may be increased by a larger second size, and the second likelihood value may be increased by a third size.
  •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display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image, and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image. Including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ic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virtual cheering rod, the use tim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and the virtual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include whether or not a cheering stick can be selected.
  • the processor is. Based on whether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select a virtual cheering rod, a list of virtual cheering rods available in the broadcast video is displayed, and the latest use time of the at least one virtual cheering rod is fast based on the use tim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may be sorted and displayed in order.
  • 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object on a full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 fourth UI object related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may provide various interaction effects for each user based on information on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image and a user who has received the broadcast image.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for an image includ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providing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and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per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al effect displayed when a specified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for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likelihoo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a list of virtual cheering r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cheering rod displayed on a ful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raction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video platform server 100 providing an image and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and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network 10 ) To communicate.
  • the server 100 may transmit an imag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through the network 10.
  • the server 100 may transmit the same image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120, 130, 140, and different imag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120, 130, 140 You can also send.
  •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may be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server according to a signal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or may be an imag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server 100.
  • the server 100 may transmit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through the network 10.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one or more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 th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f a performer corresponding to each virtual cheering rod, ic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accumulated number of virtual cheering rods, usage time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and whether a user can select a virtual cheering rod. have.
  • whether the user can select the virtual cheering rod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user purchased the virtual cheering rod from the video platform. Alternatively, in one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use period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purchased by the user, an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using whether or not a broadcast video of a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appear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below.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may display a broadcast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and at least one UI object on a display.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may display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a broadcast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140 may display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I can.
  •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for the third UI objec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irtual cheering rod and the corresponding performer and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a different performer. Can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may display the virtual cheering rod object on a full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ourth UI object.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and 140 may further display a value indicating the user's preference for the broadcast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and the user terminal 110 , 120, 130, 140) may further display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a user's likelihood of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 a value indicating the user's preference for the broadcast imag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 the user terminal 110 , 120, 130, 140 may further display a numerical value indicating a user's likelihood of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ikelihood value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5.
  • the user terminals 110, 120, 130, 140 may display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100 on the display, and at least one virtual cheering included in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more information on the ro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perform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teps includ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perform at least one operation among operations performed by a processor.
  • the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may be performed using the first user terminal 1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40.
  • the first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broadcast image, and may further display a basic likable interaction or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 the second user terminal 140 may provid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and may receive a user's input for the virtual cheering rod.
  • a user may purchase a virtual cheering rod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140, and then, the user may receive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for the virtual cheering rod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110.
  • a method of providing interaction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be reconfigured in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esign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FIG. 2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 110 as an example for on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100 as an example for one server will be described.
  • Other user terminals 120, 130, and 140 may also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configuration.
  • the user terminal 1 110 and the server 100 may include input/output interfaces 101 and 111, memories 102 and 112, processors 103 and 113, and communication modules 104 and 114. .
  • the input/output interfaces 101 and 111 may be a means for an interface with an input/output device.
  •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the display 115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session of the application.
  • the input/output interfaces 101 and 111 may be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device in which input and output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 the processor 113 of the user terminal 1 110 may process a command of a computer program loaded in the memory 112, and in this case, the processor 113 uses data provided by the server 100.
  • the configured service screen or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15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111.
  • the memories 102 and 112 a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ing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and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disk drives. can do.
  • the memory 102 and 112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example, a browser installed and driven in the user terminal 1 110 or a code for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ies 102 and 112 using a drive mechanism.
  • Such a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ies 102 and 112 through communication modules 104 and 114 other tha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at least one program is a program installed by files provided through the network 10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server 100 described above) for distributing the installation files of developers or applications (example It may be loaded into the memories 102 and 112 based on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 the processors 103 and 113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instruction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s 103 and 113 by the memories 102 and 112 or the communication modules 104 and 114. For example, the processors 103 and 113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n instruction received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ies 120 and 112.
  • the communication modules 104 and 114 may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terminal 1 110 and the server 1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twork 10, and other user terminals (for example, user terminal 2 120) Alternatively, a function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servers may be provided.
  • a request generated by the processor 113 of the user terminal 1 110 according to a program code stored in a recording device such as the memory 112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100) can be delivered.
  • control signals, commands, contents, files, etc.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3 of the server 100 are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module 104 and the network 1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user terminal 1 110 ( 114) through the user terminal 1 (110).
  • a control signal or command of the server 1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4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13 or the memory 112, and the user terminal 1 110 may transmit contents or files. It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that may further contain.
  • the user terminal 1 110 and the server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2.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 the user terminal 1 1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input/output devices,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 camera, various sensors, and a database. It can also be included.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FIG. 3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or server that provides an interaction for a broadcas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view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processor to be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the processor 214 of the user terminal 110 shown in FIG. 2.
  • the processor may be the processor 113 of the server 120 shown in FIG. 2.
  • the processor 113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on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201, a basic interaction display unit 202, a cheering rod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03, and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display unit 204. Can includ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3 may be selectively included or excluded from the processor 113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Furth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3 may be separated or merged to express the function of the processor 113.
  •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3 and the processor 113 may control the user terminal 110 to perform the steps (S110 to S170) included in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of FIG. 4.
  • the processor 113 and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3 may be implemented to execute an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de of the operating system included in the memory 112 and the code of at least one program.
  • the components of the processor 113 may be expressions of different functions of the processor 113 performed by the processor 113 according to an instruction provided by the program cod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0. have.
  • the intern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operation of the processor 1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nteraction providing method of FIG. 4 and the embodiments of FIGS. 5 to 12.
  •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may acquire a broadcast image in which the first performer appears.
  • One performer may appear in the broadcast image, and in the above-described broadcast image, a plurality of performers may appear in the broadcast image.
  • the above-described broadcast image may be a recorded image or may be an image broadcast in real time.
  • the broadcast image may be an image received from the server in response to a signal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or may be a broadcast image arbitrarily determined and transmitted by the server.
  • the first performer may correspond to one person appearing on the broadcast, may correspond to a group composed of several people, or may correspond to an animal or a virtual character.
  •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display at least one UI object on the display on which the broadcast image is displayed. That is,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one or more UI object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UI object for displaying a user's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a broadcast image, and may display a UI object for displaying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a broadcast image.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UI object related to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image, and may display a UI object related to a virtual cheering rod available to the user in the broadcast image being played.
  •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display a UI object for displaying a virtual cheering stick on a full screen.
  • the UI objects displayed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onventional technician may further include a UI object that can be easily designed and changed, or some of the aforementioned UI objects may be omitted. .
  • step S130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In an embodiment,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the user terminal performs step S140, and when there is no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the user terminal performs step S150.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a broadcast image.
  • the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may be displayed on all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a broadcast image.
  •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former appearing in the video.
  •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displayed first virtual cheering rod.
  • step S160 the user terminal may check whether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has been received.
  • the user terminal may further display a second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n step S160.
  • the user terminal may perform step S170 when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is received, and may terminate providing a series of interactions when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is not received.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for the first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stick.
  •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vent for the first performer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received in step S160.
  •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vent may be displayed only for the user terminal on which the secon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virtual cheering rod is displayed. .
  •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and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basic likable interaction effect 311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310, and respond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320
  •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321 can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first UI object 310 on all user terminals that have acquired the broadcast image, and only the user terminals that satisfy the specified condition are the second UI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 the object 320 may be displayed.
  • whether or not the user terminal 110 satisfies a specified condi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110 can use a virtual cheering ro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S. 9 and 10.
  • the virtual cheering stick may correspond to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on a one-to-one basis.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6.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screen (b) as an initial screen for providing a broadcast image when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image can be used.
  •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the screen (a) as an initial screen for displaying a broadcast image, and then asks the us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o use a virtual cheering stick (e.g., a pop-up screen). ) Can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second UI object 320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a user's input of selecting a virtual cheering rod.
  • a basic likelihood value 301a related to an image may be increas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a first signal for increasing the basic likelihood value 301a to the server 100.
  • the server 100 calculates a basic preference value 301a based on the first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110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basic preference value 301a to the user terminal 110 can do.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basic preference value 301a tha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associated with the performer may be increas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a second signal for increasing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to the server 100.
  • the server 100 calculates a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based on the second signal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110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special likelihood value 301b to the user terminal 110 can do.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tha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 the basic likelihood value (301a, 301b) may be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likelihood of the user who has received the video
  •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is the likelihood of the user who uses the virtual cheering rod among the users who have received the video. It may be numerical data.
  • the second increment amount of 302b may b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 the first increase amount and the second increase amount may be stored in the server 200.
  • the first increase amount and the second increase amount may be set or changed by the user terminal 110.
  • the basic preference value 301a increases by 1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the first UI object 310
  • the basic preference value 301b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for the second UI object 320 is It can be set to increase by 2.
  • the increase amount of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the second UI object 320 may be set irrespective of the increase amount of the basic likeness level values 301a and 302a described above.
  • the increase amount of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 may also be stored in the server 200 and may be set or changed by the user terminal 110.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a per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rtual cheering rod may correspond to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on a one-to-one basis.
  • the virtual cheering rod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idol group on a one-to-one basis
  • the virtual cheering rod may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solo singer on a one-to-one basis.
  • the aforementioned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the idol group if there is no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member.
  • the virtual cheering ro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I objects 320a, 320b, and 320c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s may be determin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UI object 320a related to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r A when the performer A appears in the broadcast video, and in the broadcast video.
  • the UI object 320b related to the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r B can be displayed, and when the performer C appears in the broadcast video, the UI object 320c related to the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the performer C is displayed. Can be displayed.
  •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erformers may be different, and each of the UI objects 320a, 320b, and 320c display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may be different. .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different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s in response to user inputs for different virtual cheering rods and corresponding UI objects 320a, 320b, and 320c.
  • the user terminal 110 relates to at least one of the shapes, sizes, and colors between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s in relation to the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s displayed by a user input to different UI objects 320a, 320b, and 320c.
  • a special likable interaction effect display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a UI object corresponding to a virtual cheering rod of performer A and a special likable display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a UI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performer B At least one of the shape, size, color, and time of the interaction effect may be different.
  •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pecial effect displayed when a specified condition is satis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determine whether a condition for displaying a special effect is satisfied based on a basic likelihood value or a special likelihood value, and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the first special effect 330 Can be displayed. 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s virtual cheering stick is available,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second special effect 340 different from the first special effect 330 in response to the condition being satisfied.
  • the user terminal 110 has a special effect of emphasizing 100 million when the basic likelihood value reaches 100 million ( 330) may be displayed, and when the user uses a virtual cheering rod, a special effect 340 as shown in (b) different from the special effect 330 of (a) described above may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different special effec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above-described condition is satisfied based on a basic preference value or a special preference value.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different special effects for a plurality of conditions as each condition is satisfied.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different special effects according to the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even if one of the basic likelihood value or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satisfies the same condition.
  •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nteraction for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acquire a broadcast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
  • the user terminal 11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erformers.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UI objects 320a and 320b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basic likelihood values 301a and 301b that quantize the user's likelihood of the video, and special likelihood values 302a and 302b that quantify the user's likelihood of the performer. Can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shown in (a) and (b) plays the same image.
  • the UI object 320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performer A is displayed, and the basic likelihood value 301a of FIG. (a) and the UI object 320b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performer B are displayed (b).
  • the basic preference value 301b of may be the same.
  • the basic likelihood values 301a and 301b for the broadcast video may be changed based on the cumulativ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a for cast A and the cumulative special likeness level 302b for cast B. For example, when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302a for actor A increases by 1, the basic likelihood values 301a and 302b for the broadcast video may increase by 2.
  • the user terminal 110 of FIG. 302a may be further displayed, and the user terminal 110 of FIG. (b) may further display a special likelihood value 320b related to performer B.
  • the user terminal 110 may accumulate and display a special likelihood value for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image.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same special likelihood value even if the virtual cheering rod objects 320a and 320b used by the user are different.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a plurality of special likelihood values for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in response to a user input to a UI object on which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is displayed.
  • the user can use the virtual cheering stick to know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associated with the performers other than the performers who are cheering.
  • the user may check the ranking of the special likelihood value in the broadcast video of the performer who cheers using the virtual cheering stick.
  •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a likelihood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obtain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image from a server.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and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may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performers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respectively.
  • th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f the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icon information of the virtual cheering rod, cumulative number of use of the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about the use time of the virtual cheering rod, whether or not the user uses the virtual cheering rod, virtual cheering of the user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a rod can be selected and purchase of a virtual cheering rod.
  • whether or not the user can select the virtual cheering rod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us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urchased the virtual cheering rod on the video platform,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usage period of the virtual cheering rod purchased by the user It may be determined using information, an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using whether or not a performer appears on a broadcast video corresponding to a virtual cheering stick.
  • the user may only be able to use the virtual cheering rods purchased by the user when the period of use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has not passed, or if a performer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s is appearing on the broadcast. You can select a virtual cheering stick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virtual cheering rod list 350 related to a performer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and a virtual cheering related to performer A, performer B, and performer D in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350 Bong information and special likelihood values for each performer can be further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can use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performer A and a virtual cheering rod corresponding to performer B, the user terminal 110 corresponds to the virtual cheering rods of performer A and performer B.
  • the list items 331 and 332 to be selected may be displayed in a selectable state.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list item 333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the performer D in a non-selectable state.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indicate that the virtual cheering rod is being used in a list item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of performer A.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350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10 is a virtual cheering rod item 331 in use, a virtual cheering rod item 332 not in use.
  •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virtual cheering rod items 333 that are not usable.
  • the user terminal 110 responds to a user input for a virtual cheering rod item 322 that the user is not us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corresponding virtual cheering rod. You can display more screens to confirm.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latest use time of the corresponding virtual cheering rod.
  • the user terminal 110 is a UI that checks whether to purchase the corresponding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for an unavailable virtual cheering rod item 333 More objects can be displayed.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latest usage time when there is a usage history of the user's corresponding virtual cheering rod.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performer information or special likelihood numer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cheering rod.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sales amoun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virtual cheering rod and usage perio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 FIG. 11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ethod of displaying a list of virtual cheering rods available to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list of virtual cheering rods that the user can use in the video platform.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virtual cheering rod list including virtual cheering r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erformer who did not appear in the broadcast video.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information on the recent use ti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irtual cheering rods.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ll virtual cheering rods available to the user irrespective of the performers appearing in the broadcast video.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may include a virtual cheering rod item related to performer A, a virtual cheering rod item related to performer B, and a virtual cheering rod item related to performer C.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only virtual cheering rods related to performers appearing in a broadcast video among one or more virtual cheering rods available to the user.
  • the virtual cheering rod list may include a virtual cheering rod item related to performer A and a virtual cheering rod item related to performer B.
  •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virtual cheering rod displayed on a ful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may provide a virtual cheering rod that can be used offline.
  • the user terminal 110 may display a 3D model of the virtual cheering rod on the display in full screen, and may rotate or move the 3D model of the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 the above-described user input may be a user input to a display such as touch, drag, pinch in, or pinch ou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user input to a sensor unit of the user terminal 110 such as a gravity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It may be a user input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network.
  • the user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a designated special effect using a virtual cheering stick.
  • the user terminal 110 may turn off or turn off the lighting of the head of the virtual cheering ro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may change the color of the lighting.
  • the user terminal 110 may communicate with another user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to display special effects according to a specified scenario.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e virtual cheering rods at a concert of a specific singer, the lighting operation period of the virtual cheering rods displayed between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may be identical.
  •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a hardware component and a software component.
  •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such as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executed on the operating system. Further,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 OS operating system
  •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 the processing device i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 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may configure the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Can be ordered.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가상의 응원봉을 이용하여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의 응원봉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과 사용자간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이 개발되었고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간 소통이 활성화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타가 출연하는 영상 컨텐츠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서버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영상 플랫폼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추천 여부, 호감 표시 여부 또는 댓글과 같은 단순한 사용자 인터랙션 수단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3 UI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지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 정보 및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2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제2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3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UI객체를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방송 영상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고,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 및 방송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마다 다양한 인터랙션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표시되는 특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 서버(1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에 동일한 영상을 송신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 각각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영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송신되는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신호에 따라 서버에서 송신한 영상일 수 있고, 서버(100)에 의해 임의로 정해진 영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하나 이상의 출연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각각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는,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출연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UI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와 상이한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관련 도면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의미하는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출연한 출연자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의미하는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호감도 수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5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가상 응원봉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터랙션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인터랙션 제공 방법에 포함된 복수의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기본 호감 인터랙션 또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140)은 가상 응원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가상 응원봉을 구매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가상 응원봉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가 설계 및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들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 메모리(102, 112), 프로세서(103, 113) 그리고 통신 모듈(104,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5)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3)는 메모리(1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고, 이 경우 프로세서(113)는 서버(100) 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디스플레이(115)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02, 11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 11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02, 11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04, 114)을 통해 메모리(102, 11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00))이 네트워크(1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02, 11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 113)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02, 112) 또는 통신 모듈(104, 114)에 의해 프로세서(103, 113)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 113)는 메모리(120, 1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4, 114)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사용자 단말 2(120))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3)가 메모리(1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14)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00)의 프로세서(103)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104)과 네트워크(10)를 거쳐 사용자 단말 1(110)의 통신 모듈(114)을 통해 사용자 단말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4)을 통해 수신된 서버(1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13)나 메모리(112)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1(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서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4)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일 실시예에서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이펙트가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경우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도 2에 도시된 서버(120)의 프로세서(113)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장치의 프로세서(113)는 영상 획득부(201), 기본 인터랙션 표시부(202), 응원봉 정보 획득부(203)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표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3)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113)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3) 및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도 4 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110 내지 S170)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3) 및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1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13)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113)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113)의 내부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도 5 내지 도 12 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방송 영상은 하나의 출연자가 등장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방송 영상은 복수의 출연자가 등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송 영상은 녹화된 영상일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신호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일 수 있고, 서버가 임의로 정하여 송신한 방송 영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출연자는 방송에 등장하는 사람 한 명과 대응될 수 있고, 여러 명으로 구성된 하나의 그룹과 대응될 수도 있으며, 동물 또는 가상의 캐릭터와 대응될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영상이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하나 이상의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고, 재생되고 있는 방송 영상에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가상 응원봉을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UI객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및 변경할 수 있는 UI객체를 더 포함하거나, 전술한 UI객체들 중 일부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40을 수행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50을 수행한다.
단계 S1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방송 영상을 수신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영상에 출연하는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을 표시하기 위해 제1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표시된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50에서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계 S160에서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수신된 경우 단계 S170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일련의 인터랙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60에서 수신된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을 수신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가 표시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일 실시예에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는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객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311)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32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을 획득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제1 UI객체(310)를 표시할 수 있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 가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6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b) 화면을 방송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a) 화면을 방송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초기 화면으로 표시한 후, 사용자에게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화면(예를 들어, 팝업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술한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영상과 관련된 기본 호감도 수치(301a)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들에 기초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본 호감도 수치(301a)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증가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이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들에 기초하여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산출하고, 산출된 특수 호감도 수치(301b)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증가되는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제2 UI 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뿐 아니라 기본 호감도 수치(301b)도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는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지화한 데이터일 수 있고, 특수 호감도 수치(302)는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중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1a)의 제1 증가량과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2b)의 제2 증가량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증가량과 제2 증가량은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증가량과 제2 증가량은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a)가 1만큼 증가한 경우, 제2 UI 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b)는 2만큼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의 증가량은 전술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2a)의 증가량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특수 호감도 수치(302)의 증가량 역시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에 아이돌 그룹이 출연하는 경우 가상 응원봉은 상술한 아이돌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솔로 가수가 출연하는 경우 가상 응원봉은 상술한 솔로 가수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영상에 아이돌 그룹에 속하는 멤버 한 명이 출연하는 경우, 상기 멤버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이 없다면 전술한 멤버는 아이돌 그룹의 가상 응원봉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가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가상 응원봉 및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a, 320b, 320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자 A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A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a)를 표시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출연자 B 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B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b)를 표시할 수 있으며, 방송 영상에 출연자 C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C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c)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출연자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과 대응되어 표시된 UI객체(320a, 320b, 320c) 각각도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서로 상이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UI객체(320a, 320b, 320c)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로 상이한 UI객체(320a, 320b, 320c)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들과 관련하여,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들 간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의 모양, 크기, 색상,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표시되는 특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특수 효과를 표시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3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특수 효과(330)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34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지정된 조건이 '누적 호감도 수치가 1억에 도달'인 경우,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가 1억에 도달한 경우 1억을 강조하는 특수 효과(33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a)의 특수 효과(330)와 상이한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수 효과(34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전술한 조건 만족 여부를 기본 호감도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특수 호감도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개의 조건에 대하여, 각각의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 중 하나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방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출연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에 대응되는 UI객체(320a, 320b)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 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를 표시할 수 있고, 출연자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 한 특수 호감도 수치(302a, 302b)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a)와 (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이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임을 가정한다. 이 경우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 객체(320a)가 표시된 도 (a)의 기본 호감도 수치(301a)와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 객체(320b)가 표시된 도 (b)의 기본 호감도 수치(301b)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는 A 출연자에 대한 누적 특수 호감도 수치(302a), B 출연자에 대한 누적 특수 호감도 수치(302b)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302a)가 1 증가하는 경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2b)는 2 증가될 수 있다.
반면, 도 (a)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은 출연자 A와 대응되고 도 (b)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은 출연자 B와 대응되는 경우, 도 (a)의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a)를 더 표시할 수 있고, 도(b)의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B 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20b)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a) 및 도 (b)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상 응원봉 객체(320a, 320b)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특수 호감도 수치가 표시된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대한 복수의 특수 호감도 수치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응원하는 출연자 외의 다른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응원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내, 특수 호감도 수치의 순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로부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복수의 출연자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 여부,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 및 가상 응원봉 구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는,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출연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을 도과하지 않았거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출연자가 방송에 출연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는 방송 영상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가 출연한다고 가정하고 서술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를 표시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정보 및 각각의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출연자 A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 및 출연자 B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 및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331, 332)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출연자 D 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D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333)을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가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에 사용중인 가상 응원봉임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는 사용중인 가상 응원봉 아이템(331), 사용하고 있지 않은 가상 응원봉 아이템(332) 또는 사용 불가능한 가상 응원봉 아이템(333)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은 가상 응원봉 아이템(3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가상 응원봉의 최근 이용 시간 정보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사용 가능한지 여부는, 동영상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정해짐을 가정하고 서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 불가능한 가상 응원봉 아이템(33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가상 응원봉을 구매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 이력이 있는 경우 최근 이용 시간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 이력이 없는 경우 해당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 정보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판매 금액 정보 및 금액에 따른 사용 기간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지 않은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의 최근 이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는 방송 영상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가 출연하고, 사용자는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C에 대응하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모든 가상 응원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응원봉 리스트는 출연자 A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출연자 B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및 출연자 C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 중 방송 영상에 출연한 출연자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상 응원봉 리스트는 출연자 A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및 출연자 B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물 응원봉(light stick)의 경우 구매 및 소지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고, 동영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가상 응원봉의 경우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만 사용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응원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의 3D 모델을 디스플레이에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의 3D 모델을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드래그,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등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의 센서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지정된 특수 효과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의 헤드 부분의 조명을 끄거나 킬 수 있으며, 조명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은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콘서트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 표시되는 가상 응원봉의 조명 동작 주기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인,
    인터랙션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증가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서로 상이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지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 정보 및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2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제2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3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4.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인,
    휴대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휴대 단말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방송 영상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고,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PCT/KR2020/016375 2019-11-19 2020-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2110126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46 2019-11-19
KR1020190148946A KR102282992B1 (ko) 2019-11-19 2019-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269A1 true WO2021101269A1 (ko) 2021-05-27

Family

ID=7598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375 WO2021101269A1 (ko) 2019-11-19 2020-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2992B1 (ko)
WO (1) WO20211012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4182A1 (en) * 2022-07-04 2024-01-10 HYBE Co., Ltd. Cheering stick control system including a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and cheering stick control method using a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01B1 (ko) *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JP2019003346A (ja)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Mgrシステム企画 活動応援方法および活動応援装置
JP2019024157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ookami 試合観戦装置、試合観戦端末、試合観戦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90045328A (ko) * 2016-09-19 2019-05-02 페이스북, 인크. 컨텐츠 참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328A (ko) * 2016-09-19 2019-05-02 페이스북, 인크. 컨텐츠 참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03346A (ja) *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Mgrシステム企画 活動応援方法および活動応援装置
KR101895001B1 (ko) *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JP2019024157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ookami 試合観戦装置、試合観戦端末、試合観戦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ISYAH AZNUR, YUN JIN NAM: "K-Pop V Fansubs, V LIVE and NAVER Dictionary: Fansubbers Synergy in Minimising Language Barriers", 3L THE SOUTHEAST ASI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STUDIES, vol. 23, no. 4, 28 December 2017 (2017-12-28), pages 112 - 127, XP055813778, ISSN: 0128-5157, DOI: 10.17576/3L-2017-2304-09 *
NAVER DESIGN (DESIGN): "V LIVE - Virtual Lightstick Released", 13 December 2018 (2018-12-13), Korea, pages 1 - 7, XP009528080,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m.blog.naver.com/nvr_design/221418643810> *
V LIVE: "We introduce you V LIGHT STICK :D", 7 December 2018 (2018-12-07), pages 1 - 2, XP009528082,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m.vlive.tv/post/0-9222468> *
V LIVE@ VLIVEOFFICIAL: "[V Lightstick Release] My favorite star's lightstick into #VLIVE?", 6 December 2018 (2018-12-06), XP00952808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twitter.com/vliveofficial/status/107094118878870732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04182A1 (en) * 2022-07-04 2024-01-10 HYBE Co., Ltd. Cheering stick control system including a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and cheering stick control method using a cheering stick control message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992B1 (ko) 2021-07-28
KR20210061120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50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streaming media
US20180139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streaming media
WO2018074618A1 (ko)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18174314A1 (ko) 스토리영상 제작 방법 및 시스템
WO2015122627A1 (ko) 영상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213439A1 (ko) 멀티 스티커를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21045367A1 (ko) 상담 대상자의 드로잉 과정을 통해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4175520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WO2019017582A1 (ko) 클라우드 소싱 기반의 ar 컨텐츠 템플릿을 수집하여 ar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8151507A1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방법 및 광고 서버
WO2017222087A1 (ko) 대화 내용 검색 방법 및 시스템
WO2021101269A1 (ko)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1804811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814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WO2016114462A1 (ko) 동영상 파일의 블록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WO2014148691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36049A1 (ko) 검색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EP346540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0459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WO2019135512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231267A1 (ko) 싱글 스트림을 이용하여 관심 영역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1075878A1 (ko) 증강현실 기록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사용자 단말
WO2018182055A1 (ko) 원격 제어 기기를 통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5046739A1 (en) Display device and server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to event winner, and methods thereof
WO2011129659A2 (en)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91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91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