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992B1 -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992B1
KR102282992B1 KR1020190148946A KR20190148946A KR102282992B1 KR 102282992 B1 KR102282992 B1 KR 102282992B1 KR 1020190148946 A KR1020190148946 A KR 1020190148946A KR 20190148946 A KR20190148946 A KR 20190148946A KR 102282992 B1 KR102282992 B1 KR 102282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light
light stick
virtual
user input
per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120A (ko
Inventor
박은미
서기철
김지원
하정민
오선민
김리완
고윤미
최명호
박정영
김정연
장태은
김문기
김태원
임채수
이은조
김유석
이종혁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992B1/ko
Priority to PCT/KR2020/016375 priority patent/WO2021101269A1/ko
Publication of KR2021006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Abstract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ON USING A VIRTUAL LIGHT STICK }
본 발명은 가상의 응원봉을 이용하여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가상의 응원봉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과 사용자간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이 개발되었고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간 소통이 활성화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타가 출연하는 영상 컨텐츠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서버에서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컨텐츠에 대한 피드백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동영상 플랫폼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추천 여부, 호감 표시 여부 또는 댓글과 같은 단순한 사용자 인터랙션 수단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3 UI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지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 정보 및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2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제2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3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적어도 하나의 UI객체를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방송 영상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고,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는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 및 방송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마다 다양한 인터랙션 이펙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표시되는 특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은 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 서버(1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고,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1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에 동일한 영상을 송신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 각각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영상을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송신되는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신호에 따라 서버에서 송신한 영상일 수 있고, 서버(100)에 의해 임의로 정해진 영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하나 이상의 출연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각각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는,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출연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UI 객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와 상이한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관련 도면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의미하는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출연한 출연자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의미하는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호감도 수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5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120, 130, 14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가상 응원봉 정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내지 도 11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인터랙션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인터랙션 제공 방법에 포함된 복수의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시스템의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은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4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을 표시하고, 기본 호감 인터랙션 또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140)은 가상 응원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가상 응원봉을 구매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가상 응원봉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을 제공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가 설계 및 변경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재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예로서 사용자 단말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사용자 단말들(120, 130, 140)들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 메모리(102, 112), 프로세서(103, 113) 그리고 통신 모듈(104, 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5)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101, 111)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3)는 메모리(1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고, 이 경우 프로세서(113)는 서버(100) 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를 입출력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디스플레이(115)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02, 11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2, 11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102, 11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04, 114)을 통해 메모리(102, 11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00))이 네트워크(1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02, 11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3, 113)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02, 112) 또는 통신 모듈(104, 114)에 의해 프로세서(103, 113)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3, 113)는 메모리(120, 1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04, 114)은 네트워크(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1(110)과 서버(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 단말(일례로 사용자 단말 2(120))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 1(110)의 프로세서(113)가 메모리(1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114)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0)를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00)의 프로세서(103)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104)과 네트워크(10)를 거쳐 사용자 단말 1(110)의 통신 모듈(114)을 통해 사용자 단말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114)을 통해 수신된 서버(1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113)나 메모리(112)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사용자 단말 1(110)이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 1(110) 및 서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송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한다.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의 프로세서(214)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일 실시예에서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이펙트가 서버(120)에서 제공되는 경우 후술되는 프로세서는 도 2에 도시된 서버(120)의 프로세서(113)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장치의 프로세서(113)는 영상 획득부(201), 기본 인터랙션 표시부(202), 응원봉 정보 획득부(203)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표시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13)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113)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3) 및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도 4 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110 내지 S170)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단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3) 및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12)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3)의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113)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113)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113)의 내부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의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도 5 내지 도 12 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1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방송 영상은 하나의 출연자가 등장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방송 영상은 복수의 출연자가 등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송 영상은 녹화된 영상일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방송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영상은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한 신호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일 수 있고, 서버가 임의로 정하여 송신한 방송 영상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출연자는 방송에 등장하는 사람 한 명과 대응될 수 있고, 여러 명으로 구성된 하나의 그룹과 대응될 수도 있으며, 동물 또는 가상의 캐릭터와 대응될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은 영상이 표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하나 이상의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를 표시할 수 있고, 재생되고 있는 방송 영상에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가상 응원봉을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기 위한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표시되는 UI객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설계 및 변경할 수 있는 UI객체를 더 포함하거나, 전술한 UI객체들 중 일부를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1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40을 수행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50을 수행한다.
단계 S1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방송 영상을 수신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영상에 출연하는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을 표시하기 위해 제1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표시된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6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50에서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단계 S160에서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수신된 경우 단계 S170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일련의 인터랙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사용자 단말은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단계 S160에서 수신된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을 수신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가 표시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일 실시예에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벤트는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객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 및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311)를 표시할 수 있고,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321)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을 획득한 모든 사용자 단말에 제1 UI객체(310)를 표시할 수 있고,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 가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6에서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b) 화면을 방송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초기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a) 화면을 방송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초기 화면으로 표시한 후, 사용자에게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화면(예를 들어, 팝업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술한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영상과 관련된 기본 호감도 수치(301a)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1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들에 기초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본 호감도 수치(301a)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증가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1a)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이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가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2 신호를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11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신호들에 기초하여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산출하고, 산출된 특수 호감도 수치(301b)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증가되는 특수 호감도 수치(302)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이 제2 UI 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뿐 아니라 기본 호감도 수치(301b)도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는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지화한 데이터일 수 있고, 특수 호감도 수치(302)는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중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1a)의 제1 증가량과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기본 호감도 수치(302b)의 제2 증가량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증가량과 제2 증가량은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증가량과 제2 증가량은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객체(3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a)가 1만큼 증가한 경우, 제2 UI 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기본 호감도 수치(301b)는 2만큼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UI객체(3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변경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의 증가량은 전술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2a)의 증가량과 무관하게 설정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특수 호감도 수치(302)의 증가량 역시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에 아이돌 그룹이 출연하는 경우 가상 응원봉은 상술한 아이돌 그룹에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솔로 가수가 출연하는 경우 가상 응원봉은 상술한 솔로 가수와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영상에 아이돌 그룹에 속하는 멤버 한 명이 출연하는 경우, 상기 멤버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이 없다면 전술한 멤버는 아이돌 그룹의 가상 응원봉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가 달라짐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가상 응원봉 및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320a, 320b, 320c)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자 A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A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a)를 표시할 수 있고, 방송 영상에 출연자 B 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B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b)를 표시할 수 있으며, 방송 영상에 출연자 C가 출연하는 경우 출연자 C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UI객체(320c)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출연자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은 상이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과 대응되어 표시된 UI객체(320a, 320b, 320c) 각각도 모두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은 서로 상이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UI객체(320a, 320b, 320c)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서로 상이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로 상이한 UI객체(320a, 320b, 320c)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들과 관련하여,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들 간 모양, 크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표시되는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의 모양, 크기, 색상,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조건을 만족한 경우, 표시되는 특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특수 효과를 표시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330)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특수 효과(330)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34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지정된 조건이 '누적 호감도 수치가 1억에 도달'인 경우, (a)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가 1억에 도달한 경우 1억을 강조하는 특수 효과(33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a)의 특수 효과(330)와 상이한 (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특수 효과(34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전술한 조건 만족 여부를 기본 호감도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특수 호감도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개의 조건에 대하여, 각각의 조건이 충족됨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 호감도 수치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 중 하나가 동일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에 따라 상이한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영상에 대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출연자가 출연하는 방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출연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에 대응되는 UI객체(320a, 320b)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 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를 표시할 수 있고, 출연자에 대한 사용자의 호감도를 수치화 한 특수 호감도 수치(302a, 302b)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a)와 (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이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임을 가정한다. 이 경우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 객체(320a)가 표시된 도 (a)의 기본 호감도 수치(301a)와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UI 객체(320b)가 표시된 도 (b)의 기본 호감도 수치(301b)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1b)는 A 출연자에 대한 누적 특수 호감도 수치(302a), B 출연자에 대한 누적 특수 호감도 수치(302b)를 기초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302a)가 1 증가하는 경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도 수치(301a, 302b)는 2 증가될 수 있다.
반면, 도 (a)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은 출연자 A와 대응되고 도 (b)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은 출연자 B와 대응되는 경우, 도 (a)의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02a)를 더 표시할 수 있고, 도(b)의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B 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320b)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누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a) 및 도 (b)에 도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상 응원봉 객체(320a, 320b)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특수 호감도 수치가 표시된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대한 복수의 특수 호감도 수치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응원하는 출연자 외의 다른 출연자와 관련된 특수 호감도 수치를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응원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내, 특수 호감도 수치의 순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서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로부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가상 응원봉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복수의 출연자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사용 여부,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 및 가상 응원봉 구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는,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 정보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의 방송 영상 출연 여부를 이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에서 가상 응원봉을 구매한 경우, 사용자가 구매한 가상 응원봉의 사용 기간을 도과하지 않았거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출연자가 방송에 출연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는 방송 영상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가 출연한다고 가정하고 서술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를 표시할 수 있고,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정보 및 각각의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도 수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가 출연자 A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 및 출연자 B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 및 출연자 B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331, 332)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출연자 D 에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D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333)을 선택 불가능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가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출연자 A의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리스트 아이템에 사용중인 가상 응원봉임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에 표시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350)는 사용중인 가상 응원봉 아이템(331), 사용하고 있지 않은 가상 응원봉 아이템(332) 또는 사용 불가능한 가상 응원봉 아이템(333)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지 않은 가상 응원봉 아이템(32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가상 응원봉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화면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가상 응원봉의 최근 이용 시간 정보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사용 가능한지 여부는, 동영상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가상 응원봉을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정해짐을 가정하고 서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 불가능한 가상 응원봉 아이템(33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가상 응원봉을 구매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UI객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 이력이 있는 경우 최근 이용 시간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사용 이력이 없는 경우 해당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출연자 정보 또는 특수 호감도 수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가상 응원봉에 대한 판매 금액 정보 및 금액에 따른 사용 기간 정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동영상 플랫폼 내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지 않은 출연자와 대응되는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가상 응원봉 각각의 최근 이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사용자 단말(110)에서 재생되는 방송 영상에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D가 출연하고, 사용자는 출연자 A, 출연자 B 및 출연자 C에 대응하는 가상 응원봉을 이용할 수 있음을 가정하고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방송 영상에 출연하는 출연자와 무관하게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모든 가상 응원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응원봉 리스트는 출연자 A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출연자 B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및 출연자 C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상 응원봉 중 방송 영상에 출연한 출연자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만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상 응원봉 리스트는 출연자 A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 및 출연자 B와 관련된 가상 응원봉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표시된 가상 응원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물 응원봉(light stick)의 경우 구매 및 소지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고, 동영상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가상 응원봉의 경우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만 사용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110)은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 응원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의 3D 모델을 디스플레이에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의 3D 모델을 회전하거나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드래그,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 등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력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와 같은 사용자 단말(110)의 센서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가상 응원봉을 이용하여 지정된 특수 효과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응원봉의 헤드 부분의 조명을 끄거나 킬 수 있으며, 조명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은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지정된 시나리오에 따른 특수 효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의 콘서트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이 가상 응원봉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단말간 표시되는 가상 응원봉의 조명 동작 주기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응원봉 중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인,
    인터랙션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3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증가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상기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이하고,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와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는 서로 상이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지정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제1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상태에서, 상기 조건이 충족된 경우, 상기 제1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 정보 및 제2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2 가상 응원봉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1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2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출연자에 대한 제3 호감도 수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고 상기 제2 가상 응원봉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제2 특수 효과와 상이한 제3 특수 효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제공 방법.
  14.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출연자가 등장하는 방송 영상 및 UI객체들을 표시하고,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기본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고,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가상 응원봉 중 상기 제1 출연자와 대응되는 제1 가상 응원봉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가상 응원봉에 대응되는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특수 호감 인터랙션 이펙트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제1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증가되는 상기 제1 호감도 수치와 제2 호감도 수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는,
    상기 방송 영상에 대한 호감도 수치이고,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대응되는 상기 제1 출연자에 대한 호감도 수치인,
    휴대 단말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제1 크기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호감도 수치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호감도 수치를 제3 크기만큼 증가시키는
    휴대 단말기.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송 영상과 관련된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는,
    상기 방송 영상에 등장하는 복수의 출연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상 응원봉 정보는,
    가상 응원봉과 대응하는 출연자의 정보, 가상 응원봉의 아이콘 정보, 가상 응원봉의 누적 사용 횟수,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의 가상 응원봉 선택 가능 여부를 기초로, 상기 방송 영상에서 사용 가능한 가상 응원봉 리스트를 표시하고, 가상 응원봉의 사용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응원봉의 최근 사용 시점이 빠른 순서로 상기 가상 응원봉 리스트 정보를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상 응원봉과 관련된 제4 UI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1 가상 응원봉 객체를 풀 스크린(full screen)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
  20.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48946A 2019-11-19 2019-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28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46A KR102282992B1 (ko) 2019-11-19 2019-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20/016375 WO2021101269A1 (ko) 2019-11-19 2020-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46A KR102282992B1 (ko) 2019-11-19 2019-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20A KR20210061120A (ko) 2021-05-27
KR102282992B1 true KR102282992B1 (ko) 2021-07-28

Family

ID=7598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46A KR102282992B1 (ko) 2019-11-19 2019-11-19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2992B1 (ko)
WO (1) WO2021101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620B1 (ko) * 2022-07-04 2023-10-12 주식회사 하이브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응원봉 제어 시스템 및 응원봉 제어 메시지 송신장치를 통한 응원봉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01B1 (ko)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JP2019003346A (ja)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Mgrシステム企画 活動応援方法および活動応援装置
JP2019024157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ookami 試合観戦装置、試合観戦端末、試合観戦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1500A1 (en) * 2016-09-19 2018-03-22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engage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03346A (ja) 2017-06-13 2019-01-10 株式会社Mgrシステム企画 活動応援方法および活動応援装置
KR101895001B1 (ko) 2017-07-13 2018-09-05 (주)블루오션소프트 스마트폰기반 쌍방향 라이브방송 커머스 서비스 플랫폼
JP2019024157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ookami 試合観戦装置、試合観戦端末、試合観戦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269A1 (ko) 2021-05-27
KR20210061120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85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streaming media
US110642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ve streaming media
CN101661504B (zh) 动态改变播放列表
JP6684883B2 (ja) カメラエフェクト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673916B1 (en) Executing applications in remotely emulated computing devices
Burton Android App development for dummies
US10657546B2 (en) Omni-channel marketing curation system based on big data
US11567638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reputation badge for video chat
US20130211923A1 (en) Sensor-based interactive advertisement
KR102632639B1 (ko)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8153848B (zh) 轻应用数据的搜索方法、设备及电子设备
WO20180855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lidating interaction with third-party interactive media
US20180095612A1 (en) Intelligent support recommendations for snap-ins
KR102282992B1 (ko) 가상 응원봉을 이용한 인터랙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0689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promotion based on user pattern information in a mobile game
US11558666B2 (en)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user reaction related to video
US20200410030A1 (en) Cloud search-based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6110435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US202000972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software application on a processor of a mobile device
KR101880848B1 (ko) 이탈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44130B1 (ko) 영화 검색에서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30233A1 (en) Virtual Environment Arrangement and Configuration
KR20210020513A (ko)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Hansen et al. Designing Real Time Sense and Response Environments through UX Research
US11843821B2 (en) Method,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con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