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513A -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513A
KR20210020513A KR1020190100035A KR20190100035A KR20210020513A KR 20210020513 A KR20210020513 A KR 20210020513A KR 1020190100035 A KR1020190100035 A KR 1020190100035A KR 20190100035 A KR20190100035 A KR 20190100035A KR 20210020513 A KR20210020513 A KR 2021002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experience
platform server
data
s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한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민 filed Critical 한정민
Priority to KR102019010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513A/ko
Publication of KR2021002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따르면, 플랫폼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맵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 중에서, 제1 스팟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스팟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맵 데이터의 제1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에 대한 상세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맵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SHARING YOUR LOCATION-BASED EXPERIENCE AND COMPUTER PROGRAM}
본 명세서는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계속하여 진보함에 따라, 사람들은 전통적인 인쇄된 출판물을 통하는 것과 달리, 점점 더 컴퓨터를 통하여 컨텐츠를 소비하게 된다. 종종, 이러한 컨텐츠를 소비하는 경우, 소비자의 관심은 그들이 미래에 하기를 원하는 것에 관하여 자극될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관심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자신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한 것들에 한정될 수 있다. 간접적으로 인지한 경험에 대해서는 검색, 조사 등의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으나, 인지하지 못한 새로운 경험에 대해서는 검색, 조사 조차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새로운 경험을 계속적으로 원하고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통해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맵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 중에서, 제1 스팟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스팟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맵 데이터의 제1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에 대한 상세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맵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팟은 맵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들과 대응되어 기 등록된 여행 상품, 여행 동영상, 여행 광고, 액티비티 광고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지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스팟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스팟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동영상을 전체 화면 모드로 제공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을 택일적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은 관련 여행 상품, 관련 액티비티, 관련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 정보 제공 링크, 관련 여행 상품, 관련 액티비티, 관련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청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시청각 데이터의 촬영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촬영 위치와 대응되는 스팟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시청각 데이터를 상기 스팟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위치와 대응되는 스팟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청각 데이터의 촬영 위치에 대한 스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청각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스팟 정보에 대응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로그인 위치와 대응되는 맵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촬영 위치와 연계되어 하나 이상의 시청각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의 이동 경로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시청각 데이터를 각 촬영 위치 및 이동 경로와 연계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로그인 입력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맵 데이터, 시청각 데이터, 이동 경로에 따른 옴니버스 형식의 시청각 데이터 묶음을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등록된 알림 설정에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선택된 위치 또는 스팟에서 촬영된 시청각 데이터의 업로드 알림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업로드 입력이 등록되면, 상기 업로드된 시청각 데이터의 촬영 위치에 대해서 즐겨 찾기를 한 사용자 그룹을 검색하고 상기 사용자 그룹의 각 단말기로 상기 시청각 데이터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은 플랫폼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 위치에 대한 검색 입력을 수신한 이력이 등록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요청 위치와 인접한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요청 위치를 포함하는 시청각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관리하고 각 사용자 맞춤형 경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랫폼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의 경험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저장 매체의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은 플랫폼 서버(100), 전자 기기들(201, 202, 203),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위치를 기초로 공유된 경험 데이터를 제공하여 경험 데이터와 연계된 경험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위치 기반 경험 공유 시스템은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경험 데이터를 해당 경험이 이루어진 위치 정보와 관련하여 관리할 수 있다.
위치 기반 경험 공유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들이 소지한 전자 기기들(201, 202, 203)로부터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위치 기반 경험 공유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 받고, 수신된 데이터를 위치별, 경험별, 및/또는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구조화할 수 있다. 구조화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0)로 전달되어 관리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수신된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해당 위치에 따라서 분류하고 다시 해당 경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경험 데이터의 위치 및 경험 사이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경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경험 데이터의 유효성이 거짓인 경우, 경험 데이터의 위치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을 통해 플랫폼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위치 기반의 경험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위치 기반의 경험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경험 데이터와 관련되어 경험 데이터의 업로드한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경험 데이터에 대한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들(201, 202, 203)은 경험 데이터에 포함된 아이템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전자 기기들(201, 202, 203)를 통해서 수집된 위치 기반 경험 데이터를 위치 별, 경험의 카테고리 별,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플랫폼 서버(100)를 통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플랫폼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경험 데이터를 구조체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새롭게 업데이트된 경험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 서버(100)로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300)를 통해 갱신된 경험 데이터를 사용자의 전자 기기들로 제공하고, 갱신된 경험 데이터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의 전자 기기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랫폼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서버(100)는 저장 매체(110), 프로세서(120), 출력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플랫폼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플랫폼 서버(100)의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플랫폼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플랫폼 서버(100)의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 매체(110)에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플랫폼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플랫폼 서버(100)가 저장 매체(11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30)는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저장 매체(11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영역 및, 측면 영역 및 후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출력부(130)는 레이어 구조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기능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실질적인 터치(real-touch)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입력부(140)는 플랫폼 서버(100)에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서버, 다른 사용자 단말기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프로세서(12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플랫폼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플랫폼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플랫폼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플랫폼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플랫폼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의 경험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저장 매체(110)의 블록도이다.
경험 데이터 검색부(111)는 사용자의 로그인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경험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검색부(111)는 제1 전자 기기로부터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고, 로그인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 값과 대응되는 스팟의 경험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검색부(111)는 제1 전자 기기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팟은 위치값과 대응되는 지점을 말한다. 스팟은 사용자의 위치 이외에 사용자에 의해서 자주 검색되는 지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은 소셜 네트워크, 포털 사이트 등의 외부 사이트들로부터 검색 횟수로 지정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검색부(111)는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값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스팟을 검색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검색부(111)는 스팟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경험 데이터를 검색하여 경험 데이터 묶음을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맵 제공부(112)는 사용자의 위치 값에 대응되는 경험 맵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맵은 사용자의 위치 값과 소정의 거리차의 이하를 가지는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지점들에 하나 이상의 경험 데이터를 배치시킨 맵 데이터를 말한다. 경험 맵은 사용자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을 중앙에 배치시키고 사용자 위치로부터 지정된 기간, 예를 들어 1일 이내에 도착이 가능한 위치들과 대응되는 지점들을 가장자리에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기간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및/또는 해당 위치의 지형적 특성(바다, 산, 국경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경험 맵에 의해서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는 카테고리 별(액티비티, 랜드마트, 해변, 물놀이, 스쿠버다이빙, 먹거리 등)로 구분되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된 경험 데이터의 액티비티와 관련된 것으로, 실제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된 경험 데이터들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경험 맵에 의해서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는 사용자 관련 정보(성별, 나이, 신장, 그룹 수 등) 및/또는 현재 시점의 기후, 미래의 기후 변화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경험 맵 제공부(112)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 위치에 대응되는 경험 맵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맵은 요청 위치와 소정의 거리차의 이하를 가지는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지점들에 하나 이상의 경험 데이터를 배치시킨 맵 데이터를 말한다.
경험 맵 제공부(112)는 전자 기기의 위치 값 및 위치 값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는 경험 맵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맵 제공부(112)는 전자 기기의 시스템 파일을 통해 위치 값들의 셋트를 수신하고, 위치 값들과 대응되는 지점들에 포함하는 경험 맵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경험 맵의 경험 데이터는 위치 값들에 대응되는 경험 데이터들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경험 맵 제공부(112)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경험 맵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경험 맵은 실제 위치와 대응되는 지점들을 포함하는데 사용자의 확대 또는 축소 입력에 대응하여 지점들 사이의 실제 거리가 작아지거나 커지게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를 입력하면 경험 맵의 해상도는 그에 따라 조절되고 경험 맵의 지점들에 대응되어 포함된 하나 이상의 경험 데이터도 변경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제공부(113)는 경험 맵에 배치되는 경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제공부(113)는 경험 데이터 확인 입력에 대응하여 경험 데이터를 전체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경험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안에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드 입력이 수신되면, 제1 경험 데이터와 다른 제2 경험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우 또는 상하 슬라이드로 경험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험 데이터 및 제2 경험 데이터는 동일한 스팟에 관련된 것이거나, 동일한 카테고리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경험 데이터 제공부(113)는 사용자 관련 정보, 기타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워드 정보 등을 고려하여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라서 경험 데이터들을 제공할 수 있다. 우선순위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의 사용자 관련 정보, 기후 등의 날씨 정보, 선호도 정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키워드 정보는 스팟 정보 또는 카테고리 정보일 수 있다.
업로드 처리부(114)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촬영된 시청각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업로드 처리부(114)는 촬영된 시청각 데이터의 촬영 위치 값을 추출하고 촬영 위치 값과 대응되는 스팟을 검색하고, 시청각 데이터, 사용자 정보, 촬영 위치 값, 스팟을 하나의 구조체로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킬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업로드 처리부(114)는 시청각 데이터의 촬영 위치 값 외에 촬영 시간 정보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업로드 처리부(114)는 시청각 데이터에 대해서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업로드 처리부(114)는 시청각 데이터에 대해서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시청각 데이터를 경험 데이터로 등록할 수 있다. 경험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촬영 위치 값, 스팟, 촬영 시간 정보를 하나의 구조체로 생성할 수 있다. 업로드 처리부(114)는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청각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의 예시로는 호텔, 랜드마크, 먹거리, 물놀이, 해변, 스쿠버 다이빙 등과 같이 SNS 등에서 사용자들에 의해 자주 입력되는 키워드들 중 하나 일 수 있다.
알림 제공부(115)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위치 값과 대응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제공부(115)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의 위치 값, 스팟에 대해서 업로드 된 경험 데이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알림 제공부(115)는 사용자 전자 기기로부터의 알림 요청을 수신하면 알림 요청에 대응되는 경험 데이터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요청은 전자 기기의 위치 값을 포함하는 경험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일 수 있다.
그룹 관리부(116)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즐겨 찾기’가 동일한 사용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즐겨 찾기’는 위치값, 스팟, 경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1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로그인 입력을 수신한다.
S1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로그인 입력에 포함된 위치 값과 대응되는 스팟을 검색할 수 있다.
S13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스팟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경험 데이터를 검색한다.
S14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위치 값과 소정의 거리 차를 가지는 지점들을 포함하는 경험 맵을 생성한다.
S15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경험 데이터들을 대응 지점들에 배치시킨 경험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서버(10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능한 “경험”들에 대한, 다른 사용자에서 실제 수행된 경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 받은 경험 데이터를 통해 “경험”에 대해서 인지하고 “경험”을 구매할 수 있다.
S2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2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서 촬영된 시청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업로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업로드 요청은 사용자 입력 또는 전자 기기 내의 시스템 파일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S2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업로드 요청된 시청각 데이터가 “경험”과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100)는 시청각 데이터가 “경험”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시청각 데이터에 사용자 정보, 촬영 위치 값, 스팟, 촬영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체로 하는 경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S230, S240)
플랫폼 서버(100)는 전자 기기들에 의해서 촬영된 시청각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시청각 데이터에 포함된 “경험”을 기준으로 경험 데이터들을 선별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1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제3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의 알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알림 요청은 인접 지역의 경험 또는 관심을 가지는 “경험”에 대한 알림을 요청하는 신호로서, 전자 기기의 시스템 파일을 통해 자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S32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알림 요청에 대응되는 경험 데이터를 검색한다. 플랫폼 서버(100)는 알림 요청에서 요청한 위치 값을 추출하고, 위치 값을 기초로 인접 지역을 선별하고 인접 지역 내의 경험 데이터들을 검색한다. 선택적으로 플랫폼 서버(100)는 알림 요청에서 요청한 관심 경험에 대한 경험 데이터들을 검색한다. 관심 경험은 검색 기록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S330에서는 플랫폼 서버(100)는 검색된 경험 데이터에 대한 알림을 제3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한다. 경험 데이터에 대한 알림은 제3 사용자의 전자 기기 내에서, 링크를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일 수 있다. 해당 메시지를 선택하면, 전체 화면을 통해 경험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랫폼 서버(100)는 전자 기기의 위치 값 또는 검색 기록 등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인지하지 못한 시점에 새로운 경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예시 도면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험맵 화면(S7)이 제공될 수 있다.
경험맵 화면(S7)은 지도 위에 경험 데이터들(71, 72, 73, 74, 75, 76)을 포함하고 각 경험 데이터는 지도 위의 각 스팟과 대응되는 지점에 배치되어 표현될 수 있다.
경험 데이터들(71, 72, 73, 74, 75, 76)은 해당 카테고리(식사, 레포츠, 관광 등)에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경험 데이터를 업로드한 사람의 프로필 정보(76)가 함께 표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동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은 스팟과 관련된 지도 제공 영역(81) 및 경험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역(82)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제공 영역(81)의 일 부분에는 해당 경험 데이터와 관련된 스팟 정보 및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하는 키워드 제공 영역(83)이 제공될 수 있다. 지도 제공 영역(81)의 일 영역(84)에 대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을 통해 지도 제공 영역(81)이 도 8b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82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82 영역에서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82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는 키워드 제공 영역(83)의 스팟 정보 또는 카테고리 정보로 분류되는 데이터들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제공 영역의‘하와이’에 대한 경험 데이터들이 랜덤한 순서로 변경되고 현재 시점에 제공되는 경험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가 키워드 제공 영역(83)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확장된 지도 제공 영역(8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지도 제공 영역(81)과 같이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키워드 제공 영역은 제1 키워드 영역(91), 제2 키워드 영역(92), 스위치 영역(9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험 데이터 제공 영역은 제1 키워드 영역(91)으로 분류되는 경험 데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키워드 영역(91)에 스팟 정보가, 제2 키워드 영역(92)에 카테고리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키워드 영역(91)의 스팟 정보에 해당하는 경험 데이터들이 제공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스위치 영역(93)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도 9b와 같이 제1 키워드 영역(91’)에 카테고리 정보가, 제2 키워드 영역(92’)에 스팟 정보가 표시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키워드 영역(91’)의 카테고리 정보에 해당하는 경험 데이터들이 제공되게 된다.
제1 키워드 영역 및 제2 키워드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정보의 제2 키워드 영역(101)을 선택하면, 키워드 입력 영역(102) 및 스팟 정보인 ‘파타야’의 카테고리 정보들이 미리보기 영역(103)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플랫폼 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맵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팟들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팟들 중에서, 제1 스팟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스팟의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맵 데이터의 제1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서버가 상기 제1 지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에 대한 상세 아이콘을 포함하는 상기 맵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팟은
    맵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들과 대응되어 기 등록된 여행 상품, 여행 동영상, 여행 광고, 액티비티 광고 중 적어도 하나가 있는 지점인,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스팟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스팟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하나의 동영상을 전체 화면 모드로 제공하되,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동영상들을 택일적으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영상은
    관련 여행 상품, 관련 액티비티, 관련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상세 정보 제공 링크, 관련 여행 상품, 관련 액티비티, 관련 상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링크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5.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00035A 2019-08-16 2019-08-16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20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35A KR20210020513A (ko) 2019-08-16 2019-08-16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35A KR20210020513A (ko) 2019-08-16 2019-08-16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13A true KR20210020513A (ko) 2021-02-24

Family

ID=746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35A KR20210020513A (ko) 2019-08-16 2019-08-16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5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26A1 (ko) * 2021-08-30 2023-03-09 올더스트릿(주) 위치 기반 동영상 서비스 서버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26A1 (ko) * 2021-08-30 2023-03-09 올더스트릿(주) 위치 기반 동영상 서비스 서버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373B2 (en) Social where next suggestion
JP6883132B2 (ja) ユーザ選択されたコンテンツに対するアクション提案
KR102230558B1 (ko) 디지털 이벤트를 위한 액세스 제어
US11222230B2 (en) Grouping digital images based on detected objects
US11216857B2 (en) Weather enhanced graphical preview for an online ticket marketplace
US2017035187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JP659164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70024766A1 (en) Enabling Access to Third-Party Digital Assets for Systems that Market Content to Target Audiences
US11790224B2 (en) Machine learning from the integration flow metadata
US10380124B2 (en) Searching data sets
US11016633B2 (en) Intelligent support recommendations for snap-ins
CN115917512A (zh) 人工智能请求和建议卡
JP7252748B2 (ja) 情報推薦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WO2019071890A1 (zh) 产品推荐装置、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U20152917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xtual electronic content
KR20210020513A (ko) 위치 기반 경험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20147960A1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 sharing platform combined with e-commerce capabilitie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553848B1 (ko)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US20230239377A1 (en) System and techniques to autocomplete a new protocol definition
US11674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transparency adjustments for a map overlay
KR102161907B1 (ko) 카테고리 탐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KR102502258B1 (ko) 방송 시청단에서 크로마키를 이용한 개인화 배경을 노출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44917B1 (ko) 파일을 첨부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2291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to a document based on document types and group association of users and documents
JP2023043854A (ja) ポスト推薦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