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85779A1 - 스마트 감속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85779A1
WO2021085779A1 PCT/KR2020/007132 KR2020007132W WO2021085779A1 WO 2021085779 A1 WO2021085779 A1 WO 2021085779A1 KR 2020007132 W KR2020007132 W KR 2020007132W WO 2021085779 A1 WO2021085779 A1 WO 20210857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unit
input
smart
opera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71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나향근
김성화
강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산업
나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산업, 나향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산업
Publication of WO20210857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857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09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having elements remote from the gea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4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06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 F16H63/06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redu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reducer made to enable remote control.
  • a reducer for varying the rotation ratio.
  • a reducer receives rotational force from a power source such as a motor, converts it to a low speed, and outputs it.
  • reducers made to increas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load and speed transmitted from the input shaft to the output shaft using a planetary gear are widely used in all fields of industry such as shipbuilding, offshore plants, power plants, and industrial plants.
  • the reducer is further applied to smart factories, smart plants, and smart ships where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IoT and big data are applied.
  • Reducers applied to such industrial fields must achieve optimal management efficiency such as unmanned operation, remote diagnosis, and maintenance by apply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technology.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mart reducer made to enable remote control.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actuator; A power transmission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ectric actuator; A manual operation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driven by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 ICT module unit provided above the operation control unit to determin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provid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to the outside;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receiv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from the ICT module unit and control the electric actuator.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ic actuator,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be manually controlled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unit.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malfunction has occurred by comparing an operation input value of the electric actuator and an operation output valu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one of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actuator,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malfunction occurrenc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and the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ctuator.
  • the ICT module unit a casing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portion formed therein; An indicato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and indic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And a sensor unit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unit and configured to determine an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 the manual operation unit the input side housing; An input shaft inserted into a guide hole formed in the input-side housing and provided with power through an operation handle coupled to one end; An input sun gea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shaft; A first carrier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input sun gear by the input shaft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A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input sun gear by the input shaft mov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put sun gear, and revolving around the input sun gear; A second carrier supporting the first planetary gear together with the first carrier; A connection-side housing coupled to the input shaft housing and having a first ring gear engag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therein;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er, the connection shaft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carrier; An output sun gea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A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meshed with the output sun gear,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utput sun gear, and revolving around the output sun gear
  • the input shaf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ar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and a locking pin is form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or the second locking groove. Is insert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input shaft and to adjust the optional dual reduction ratio.
  • the smart reducer is provided with an ICT module unit.
  • the ICT module unit is configured to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nd provide the determin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erefor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can grasp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smart speed reducer in real time.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is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actuator. Accordingl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can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ctuator. That is, remote control of the electric actuator is possible.
  • Such a central management un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may remotely control the electric actuator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us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mart reducer in real time from the central management unit.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abnormality such as a malfunction of the smart reducer by comparing the operation input valu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ctuator and the operation output valu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provid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through the ICT module unit. .
  • the user may manually operate the smart reducer through the manual operation unit. That is, the smart reducer is made to be able to operate not only automatically but also manually.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unit, an operation control unit, and an ICT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an ICT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anual opera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a locking pin is inserted into a first lock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anual opera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a locking pin is inserted into a second lock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ean that they ar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gravitational direction.
  •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redu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owe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T modu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includes an electric actuator 100, a power transmission unit 200, a manual operation unit 300, an operation control unit 400, an ICT module unit 500, and a central management unit. It may include 600.
  • This smart reducer 1000 is made to en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each component.
  • the electric actuator 1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 the ICT module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actuator 100 and the ICT module unit 500 may also be possible.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700 as well, so that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700 from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that i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ctuator 100, the operation control unit ( Various opera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such a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400) and malfunction occurrenc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 the user terminal 70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may be any device provided, for example,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and an outpu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on a screen.
  • the user terminal 700 is, for exampl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tablet PC. It may be a desktop PC, a tablet PC, a laptop PC, an IPTV including a set-top box, and the like.
  • a touch screen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tablet PC. It may be a desktop PC, a tablet PC, a laptop PC, an IPTV including a set-top box, and the like.
  • Such a user terminal 700 is configured to be accessible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only for the user terminal 700 in which a dedicated program accessible to the smart reducer 1000 is installed.
  • the user terminal 700,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the electric actuator 100, and the ICT module unit 500 use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made to be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only closed networks such as LAN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and open networks such as Internet, but also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It may be a concept collectively referring to network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and Evolved Packet Core (EPC), as well as next-generation networks and computing network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LTE Long Term Evolution
  • EPC Evolved Packet Core
  • the electric actuator 100 is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This electric actuator 100 is made to enable remote control b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 remote control of the electric actuator 100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 terminal 700.
  •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may be remotely controll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using the user terminal 700.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electric actuator 100 or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provided from the electric actuator 100 or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the form in which the worm gear 210 is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worm gear type, and the electric actuator 100 or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power provided from)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worm pinion 410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engaged with the worm gear 210. According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That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may var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Various devices such as a valve opening/closing device and a damper may be coupl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a valve opening/closing device when coupled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valv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a manual operation unit 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may manually operate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ouples the operation handle 314 to the end of the input shaft 310 (refer to FIG. 5 ).
  • the ICT module unit 500 is provided above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This ICT module unit 5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coupled to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open/close state of the valve.
  • the ICT module unit 500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with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the ICT module unit 500 may include a casing 510, an indicator 520, a communication unit 530, and a sensor unit 540.
  • the casing 5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ICT module unit 500 and is configured to protect various parts provided therein from the outside.
  • An accommodation space part 511 is formed inside the casing 510, and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 communication part 530 and the sensor part 540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part 511.
  • the indicator 520 is provided on the casing 510 and indicates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Such an indicator 520 may be provided with a mechanical type indicator 521 and an electronic type indicator 522 together.
  • the sensor unit 540 is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511 and is configured to accurately grasp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 the sensor unit 540 may be an encoder, which is a sensor that measures a position or spe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a sensor unit 540 may be any sensor as long as it can accurate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other than the encoder.
  • the communication unit 530 is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unit 511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540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 the communication unit 530 may provid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700 designated in advance in addition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is configured to receiv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from the ICT module unit 500.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coupled to the valve opening/closing device, information on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valve may be provided.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may monitor the overall operation state of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in real time a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ic actuator 100 and the ICT module unit 500 is possible.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includes an operation input value provided to the electric actuator 100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ctuator 100 and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through the ICT module unit 500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actuator 100 is operating.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of the smart reducer 1000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peration output valu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provided as ).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when the operation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to the electric actuator 100 is 10,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operates by excluding a loss value that may be los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reducer 1000.
  • the control unit 400 calculates an operating output value in the normal range to be measured.
  • the range of the operation output value calculated by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may be a value between 9 and 10.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performs a pre-calculated operation. Since it does not satisfy the range of the output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smart reducer 1000.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may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is malfunctioning by comparing the operation input valu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actuator 100 and the operation output value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That is, it is possible to diagnose a fault condition of the smart speed reducer 1000 in real time.
  • the central management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which the abnormality occurs to the user terminal 700 designated in advance. Accordingly,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smart reducer 1000 can be quickly performed.
  •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of a manual opera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a locking pin is inserted into a first lock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locking pin in a second lock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manual control unit in the inserted state.
  •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includes an input side housing 301, a connection side housing 302, an output side housing 303, an input shaft 310, an input sun gear 320, and a first carrier 330. , A first planetary gear 340, a second carrier 350, a connection shaft 360, an output sun gear 370, a second planetary gear 380, and a third carrier 390.
  • the input-side housing 301, the connection-side housing 302, and the output-side housing 303 are connected and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 a guide hole 304 is formed in the input-side housing 301, and an input shaft 3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04.
  • the input shaft 310 is made to be movab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04.
  • the operation handle 314 may be detached from one end of the input shaft 310.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handle 314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input shaft 310, the user may provide power to the input shaft 310 through rot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314.
  • an input sun gear 32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shaft 310.
  • the input sun gear 3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put shaft 310 and is rot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put shaft 310.
  • the input sun gear 320 may be meshed with the first carrier 330 or mesh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input shaft 310 that is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04. It could be.
  • a first locking groove 311 and a second locking groove 312 are formed in the input shaft 31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310. 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groove 311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31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310.
  • the locking pin 313 is the first locking groove ( 311) or the second locking groove 312 is selectively inserted, and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input shaft 310.
  • the input sun gear 32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shaft 310 Is engaged with the first carrier 330.
  • the input sun gear 32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input shaft 310 is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is engag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 the input shaft 310 in the case where the input shaft 310 is to be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04 while the locking pin 313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311 or the second locking groove 312, a certain amount or more Although force must be applied, the input shaft 310 can be moved.
  • the input sun gear 320 may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first carrier 330 or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according to the moving state of the input shaft 310 that is mo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guide hole 304. have.
  • the rotation of the input sun gear 320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carrier 330 are the same. That is, the input sun gear 320 and the first carrier 330 are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put sun gear 320, and revolves around the input sun gear 320. Is made to do.
  •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may be provided in plural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revolves around the input sun gear 320, and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is revolved with the revolution of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 the second carrier 350 supporting the is also rotated together. At this time, the second carrier 350 rot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tion of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orbiting around the input sun gear 320.
  • the second carrier 350 and the first carrier 330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first planetary gears 340 through the first support pins 351.
  • the first carrier 330 and the second carrier 350 are formed integrally.
  • the user can adjust the deceleration through selective movement of the input shaft 310.
  • connection-side housing 302 is coupled to the input-side housing 301.
  • a first ring gear 305 meshed with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side housing 302, so that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rotates and the input sun gear 320 is centered. Can rotate.
  • connection shaft 360 is coupled to the second carrier 350.
  • This connection shaft 360 is made to rot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carrier (350).
  • an output sun gear 37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haft 360.
  • Such an output sun gear 370 is made to mesh with a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380 provided on the outside. Accordingly, when the output sun gear 370 rotates,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380 rotate and revolve around the output sun gear 370.
  • the output-side housing 30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side housing 302, and a second ring gear 306 meshed with the second planetary gear 380 is formed inside.
  • the third carrier 39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second planetary gears 380 through the second support pin 391. Such a third carrier 390 rotates with the revolution of the second planetary gear 380 and provides the reduced rotational power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00.
  •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can selectively adjust the dual reduction ratio through the movement of the input shaft 310. That is, when the input shaft 310 is engaged with the first carrier 330, only one-stage deceleration is achieved by the output sun gear 370 and the second planetary gear 380, and the input shaft 310 is the first planetary gear ( In the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340, a first-stage deceleration by the output sun gear 370 and the second planetary gear 380 and a 2-stage deceleration by the input sun gear 320 and the first planetary gear 340 may be performed.
  •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since the input shaft 310 and the output shaft 392 connected to the third carrier 390 are positioned on a virtual coaxial, the manual operation unit 300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io can be easily adjusted only by moving the input shaft 3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동 액추에이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동 조작부;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제어부; 상기 작동 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ICT 모듈부; 및 상기 ICT 모듈부로부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중앙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감속기
본 발명은 스마트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 세탁기, 자동차 등 다양한 장치에는 회전비를 가변시키기 위한 감속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감속기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입력받아 이를 저속으로 전환하여 출력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에 전달되는 하중과 속도를 줄여 동력 전달효율을 높이도록 이루어진 감속기는 조선, 해양플랜트, 발전소, 산업플랜트 등 산업의 모든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감속기는 더 나아가 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공장, 스마트 플랜트 및 스마트 선박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산업 분야에 적용되는 감속기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술이 적용되어 무인화, 원격진단, 유지보수 등 최적의 관리 효율이 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ICT 기술이 융복합되어 감속기의 작동 상태를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감속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스마트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동 액추에이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동 조작부;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제어부; 상기 작동 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ICT 모듈부; 및 상기 ICT 모듈부로부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중앙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이상 발생시, 상기 수동 조작부를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 입력값과,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출력값의 비교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 정보,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 및 오작동 발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상기 전동 액추에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CT 모듈부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 관리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신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부는, 입력측 하우징; 상기 입력측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일단부에 결합된 작동 핸들을 통해 동력이 제공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입력 선기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입력축에 의해 상기 입력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1 캐리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입력축에 의해 상기 입력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입력 선기어의 회전에 따라 자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 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개의 제1 유성기어; 상기 제1 캐리어와 함께 상기 제1 유성기어를 지지하는 제2 캐리어; 상기 입력축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1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제1 링기어가 형성된 연결측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제2 캐리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캐리어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출력 선기어; 상기 출력 선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출력 선기어의 회전에 따라 자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 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개의 제2 유성기어; 상기 연결측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제2 링기어가 형성된 출력측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성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유성기어의 공전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3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홈 또는 제2 걸림홈에는 걸림핀이 삽입되어 상기 입력축의 이동을 제어하며 선택적인 듀얼 감속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감속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감속기에는 ICT 모듈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ICT 모듈부는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부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앙 관리부는 스마트 감속기의 작동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관리부는 전동 액추에이터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중앙 관리부는 원격에서 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동 액추에이터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이러한 중앙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기와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동 액추에이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중앙 관리부로부터 스마트 감속기의 작동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관리부는 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이용된 작동 입력값과 ICT 모듈부를 통해 중앙 관리부로 제공되는 작동 제어부의 작동 출력값의 비교를 통해 스마트 감속기의 오작동 등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동 액추에어터의 작동상 이상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수동 조작부를 통해 스마트 감속기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스마트 감속기는 자동뿐만 아니라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속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작동 제어부 및 ICT 모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T 모듈부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걸림홈에 걸림핀이 삽입 상태에서의 수동 조작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걸림홈에 걸림핀이 삽입 상태에서의 수동 조작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속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감속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 작동 제어부 및 ICT 모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T 모듈부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마트 감속기(10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 동력 전달부(200), 수동 조작부(300), 작동 제어부(400), ICT 모듈부(500) 및 중앙 관리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감속기(1000)는 각 구성간의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전동 액추에이터(100)는 중앙 관리부(6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ICT 모듈부(500)는 중앙 관리부(6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동 액추에이터(100)와 ICT 모듈부(500)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중앙 관리부(600)는 사용자 단말기(700)와도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사용자는 중앙 관리부(600)로부터 스마트 감속기(1000)의 작동 상태 정보 즉, 전동 액추에이터(100)의 작동 상태 정보,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 정보 및 오작동 발생 정보 등의 스마트 감속기(1000)의 다양한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중앙 관리부(6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700)는 예를 들어, 문자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와 화면상에 표시 가능한 출력장치가 구비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상관없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700)는 예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도 있고,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 등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700)는 스마트 감속기(1000)에 접속 가능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700)에 한해서 중앙 관리부(6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부(600)에 접속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고유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부여받은 사용자만이 중앙 관리부(600)에 접속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스마트 감속기(1000)의 사용 및 관리상 보안을 위함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700)를 비롯한 중앙 관리부(600), 전동 액추에이터(100) 및 ICT 모듈부(500)는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전동 액추에이터(100)는 동력 전달부(200)로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동 액추에이터(100)는 중앙 관리부(600)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700)를 통해서도 전동 액추에이터(100)의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중앙 관리부(6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스마트 감속기(1000)를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력 전달부(2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 또는 수동 조작부(3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2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 또는 수동 조작부(3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작동 제어부(4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동력 전달부(200)에 웜기어(210)가 구비된 형태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력 전달부(200)는 반드시 윔기어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동 액추에이터(100) 또는 수동 조작부(300)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작동 제어부(400)로 전달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그리고 작동 제어부(400)에는 웜기어(21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웜피니언(4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동력 전달부(200)의 회전에 따라 작동 제어부(40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동력 전달부(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작동 제어부(400)의 회전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제어부(400)에는 밸브 개폐 장치, 댐퍼 등 다양한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작동 제어부(400)에 밸브 개폐 장치가 결합된 경우, 작동 제어부(4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동력 전달부(200)의 타측에는 수동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동 조작부(300)는 사용자가 입력축(310, 도 5참조)의 단부에 작동 핸들(314)을 결합한 상태에서 스마트 감속기(100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동 조작부(300)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ICT 모듈부(500)는 작동 제어부(4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ICT 모듈부(500)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작동 제어부(400)가 밸브 개폐 장치와 결합된 경우, 작동 제어부(400)는 밸브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ICT 모듈부(500)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부(600)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ICT 모듈부(500)는 케이싱(510), 인디케이터(520), 통신부(530) 및 센서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510)은 ICT 모듈부(500)의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싱(5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511)가 형성되어, 통신부(530) 및 센서부(540)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은 수용 공간부(511)에 수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520)는 케이싱(5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520)는 기계식 타입의 인디케이터(521)와 전자식 타입의 인디케이터(522)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서부(540)는 수용 공간부(5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서부(540)는 위치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인 엔코더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540)는 엔코더 이외에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통신부(530)는 수용 공간부(5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센서부(540)로부터 획득된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중앙 관리부(600)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신부(530)는 중앙 관리부(600) 이외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 단말기(700)로도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앙 관리부(600)는 ICT 모듈부(500)로부터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작동 제어부(400)가 밸브 개폐 장치와 결합된 경우, 밸브의 개폐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중앙 관리부(6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와 ICT 모듈부(500)와 통신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 감속기(1000)의 전체적인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관리부(6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을 위해 전동 액추에이터(100)로 제공된 작동 입력값과 전동 액추에이터(100)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ICT 모듈부(500)를 통해 중앙 관리부(600)로 제공되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출력값과의 비교를 통해 스마트 감속기(1000)의 작동상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앙 관리부(600)가 전동 액추에이터(100)로 전달한 작동 입력값이 10인 경우, 중앙 관리부(600)는 스마트 감속기(1000)의 작동 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손실값이 제외된 작동 제어부(400)에서 측정되어야 하는 정상범위의 작동 출력값을 계산하게 된다. 이때, 중앙 관리부(600)에서 계산된 작동 출력값의 범위가 9 ~ 10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동 액추에이터(100)로 전달한 작동 입력값이 10인 상태에서 ICT 모듈부(500)로부터 전달된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출력값이 8인 경우에는 중앙 관리부(600)는 미리 계산된 작동 출력값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므로, 스마트 감속기(1000)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 관리부(600)는 전동 액추에이터(100)로 전달된 작동 입력값과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 출력값의 비교를 통해 스마트 감속기(1000)의 오작동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감속기(1000)의 고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 관리부(600)는 스마트 감속기(1000)의 이상 발생시, 이상이 발생된 해당 정보를 미리 지정된 사용자 단말기(7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스마트 감속기(1000)의 복구 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동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상 문제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는 수동 조작부(300)를 통해 스마트 감속기(1000)의 수동 조작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걸림홈에 걸림핀이 삽입 상태에서의 수동 조작부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걸림홈에 걸림핀이 삽입 상태에서의 수동 조작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수동 조작부(300)는 입력측 하우징(301), 연결측 하우징(302), 출력측 하우징(303), 입력축(310), 입력 선기어(320), 제1 캐리어(330), 제1 유성기어(340), 제2 캐리어(350), 연결축(360), 출력 선기어(370), 제2 유성기어(380) 및 제3 캐리어(3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측 하우징(301), 연결측 하우징(302) 및 출력측 하우징(303)은 연결되며, 수동 조작부(300)의 외형을 이룬다.
이러한 입력측 하우징(301)에는 가이드홀(304)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가이드홀(304)에는 입력축(310)이 삽입된다.
여기서 입력축(310)은 가이드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력축(310)의 일단부에는 작동 핸들(314)이 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축(310)의 일단부에 작동 핸들(314)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작동 핸들(314)의 회전을 통해 입력축(310)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축(310)의 타단부에는 입력 선기어(3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 선기어(320)는 입력축(310)과 일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입력축(310)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입력 선기어(320)는 가이드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입력축(31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제1 캐리어(330)에 치합될 수도 있고, 제1 유성기어(340)에 치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축(310)에는 입력축(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제1 걸림홈(311)과 제2 걸림홈(31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걸림홈(311)과 제2 걸림홈(312)은 입력축(3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걸림홈(311)과 제2 걸림홈(312)이 형성된 입력축(310)이 가이드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핀(313)은 제1 걸림홈(311) 또는 제2 걸림홈(3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입력축(31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도 5에서와 같이 걸림핀(313)이 제1 걸림홈(311)에 삽입된 상태로 입력축(310)이 이동된 경우에는, 입력축(310)의 타단부에 구비된 입력 선기어(320)는 제1 캐리어(330)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걸림핀(313)이 제2 걸림홈(312)에 삽입된 상태로 입력축(310)이 이동된 경우에는, 입력축(310)의 타단부에 구비된 입력 선기어(320)는 제1 유성기어(340)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걸림핀(313)이 제1 걸림홈(311) 또는 제2 걸림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력축(310)을 가이드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지만 입력축(310)이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선기어(320)는 가이드홀(3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입력축(310)의 이동 상태에 따라 제1 캐리어(330) 또는 제1 유성기어(340)에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선기어(320)가 제1 캐리어(330)에 치합된 경우, 입력 선기어(320)의 회전과 제1 캐리어(330)의 회전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입력 선기어(320)와 제1 캐리어(330)는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력 선기어(320)가 제1 유성기어(340)에 치합된 경우, 제1 유성기어(340)는 입력 선기어(320)의 회전에 따라 자전이 이루어지며, 입력 선기어(320)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유성기어(34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선기어(320)의 회전에 통해 제1 유성기어(340)는 입력 선기어(320)를 중심으로 공전하게 되고, 제1 유성기어(340)의 공전과 함께 제1 유성기어(340)를 지지하는 제2 캐리어(35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캐리어(350)는 입력 선기어(320)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제1 유성기어(34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캐리어(350)와 제1 캐리어(330)는 제1 지지핀(351)을 통해 복수개의 제1 유성기어(34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캐리어(330)와 제2 캐리어(350)는 일체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입력축(310)이 제1 캐리어(330)에 치합되는 경우에는 제1 캐리어(330)와 제2 캐리어(350)는 입력축(310)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입력축(310)으로부터 제1 캐리어(330) 및 제2 캐리어(35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감속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달리, 입력축(310)이 제1 유성기어(340)에 치합되는 경우에는 제1 캐리어(330)와 제2 캐리어(350)는 제1 유성기어(340)의 공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기에, 입력축(31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에 대한 감속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입력축(310)의 선택적인 이동을 통해 감속 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연결측 하우징(302)은 입력측 하우징(301)과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측 하우징(302)의 내측에는 제1 유성기어(340)와 치합되는 제1 링기어(305)가 형성되어, 제1 유성기어(340)는 자전을 하며 입력 선기어(320)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축(360)의 일단부는 제2 캐리어(350)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축(360)은 제2 캐리어(350)와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축(360)의 타단부에는 출력 선기어(3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출력 선기어(370)는 외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 유성기어(380)와 치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출력 선기어(370)가 회전하게 되면, 복수개의 제2 유성기어(380)는 자전을 하며 출력 선기어(370)를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여기서 출력측 하우징(303)은 연결측 하우징(302)과 결합되며, 내측에 제2 유성기어(380)와 치합되는 제2 링기어(3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캐리어(390)는 제2 지지핀(391)을 통해 복수개의 제2 유성기어(38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3 캐리어(390)는 제2 유성기어(380)의 공전과 함께 회전하며, 감속된 회전 동력을 동력 전달부(200)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동 조작부(300)는 입력축(310)의 이동을 통해 선택적인 듀얼 감속비 조절이 가능하다. 즉, 입력축(310)이 제1 캐리어(330)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출력 선기어(370)와 제2 유성기어(380)에 의한 1단 감속만 이루어지고, 입력축(310)이 제1 유성기어(340)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출력 선기어(370)와 제2 유성기어(380)에 의한 1단 감속과 입력 선기어(320)와 제1 유성기어(340)에 의한 2단 감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동 조작부(300)는 입력축(310)과 제3 캐리어(390)에 연결된 출력축(392)이 가상의 동축상에 위치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입력축(310)의 이동만으로도 감속비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전동 액추에이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동력 전달부의 타측에 구비되는 수동 조작부;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제어부;
    상기 작동 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ICT 모듈부; 및
    상기 ICT 모듈부로부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중앙 관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감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이상 발생시,
    상기 수동 조작부를 통해 상기 동력 전달부를 수동으로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전동 액추에이터의 작동 입력값과,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출력값의 비교를 통해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 상태 정보,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 정보 및 오작동 발생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에서 상기 전동 액추에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CT 모듈부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 관리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신부; 및
    상기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부는,
    입력측 하우징;
    상기 입력측 하우징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일단부에 결합된 작동 핸들을 통해 동력이 제공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입력 선기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입력축에 의해 상기 입력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1 캐리어;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입력축에 의해 상기 입력 선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상기 입력 선기어의 회전에 따라 자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 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개의 제1 유성기어;
    상기 제1 캐리어와 함께 상기 제1 유성기어를 지지하는 제2 캐리어;
    상기 입력축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1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제1 링기어가 형성된 연결측 하우징;
    일단부는 상기 제2 캐리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캐리어와 함께 회전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출력 선기어;
    상기 출력 선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출력 선기어의 회전에 따라 자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출력 선기어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복수개의 제2 유성기어;
    상기 연결측 하우징과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제2 링기어가 형성된 출력측 하우징; 및
    상기 제2 유성기어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유성기어의 공전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3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을 따라 제1 걸림홈과 제2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홈 또는 제2 걸림홈에는 걸림핀이 삽입되어 상기 입력축의 이동을 제어하며 선택적인 듀얼 감속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감속기.
PCT/KR2020/007132 2019-10-31 2020-06-02 스마트 감속기 WO20210857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734 2019-10-31
KR1020190137734A KR102179170B1 (ko) 2019-10-31 2019-10-31 스마트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79A1 true WO2021085779A1 (ko) 2021-05-06

Family

ID=736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7132 WO2021085779A1 (ko) 2019-10-31 2020-06-02 스마트 감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9170B1 (ko)
WO (1) WO20210857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51B1 (ko) * 2021-12-29 2024-04-09 주식회사 삼보산업 양방향 추력 및 변위 보정 감속기
WO2023127996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삼보산업 양방향 추력 및 변위 보정 감속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675Y1 (ko) * 1993-04-03 1997-02-05 이광춘 무동력 환풍기
KR101126146B1 (ko) * 2011-09-28 2012-03-22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수처리설비 원방 감시제어 시스템의 감압밸브 구동장치
KR20170083658A (ko) * 2016-01-08 2017-07-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통신 플랫폼을 적용한 유압식 밸브 제어 시스템
US20180051775A1 (en) * 2016-08-18 2018-02-22 Chia-Sheng Liang Motorized gear reducer
KR20190044479A (ko) * 2017-10-20 2019-04-30 버나드 컨트롤스 유리하게는 서보모터 시스템을 위한, 유성 기어열 및 이러한 유성 기어열을 사용하는 서보모터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75U (ko) * 1995-06-30 1997-01-21 유상현 물티슈의 인출 안내판
KR102369862B1 (ko) 2017-12-29 2022-03-04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675Y1 (ko) * 1993-04-03 1997-02-05 이광춘 무동력 환풍기
KR101126146B1 (ko) * 2011-09-28 2012-03-22 주식회사 문아이앤시 수처리설비 원방 감시제어 시스템의 감압밸브 구동장치
KR20170083658A (ko) * 2016-01-08 2017-07-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통신 플랫폼을 적용한 유압식 밸브 제어 시스템
US20180051775A1 (en) * 2016-08-18 2018-02-22 Chia-Sheng Liang Motorized gear reducer
KR20190044479A (ko) * 2017-10-20 2019-04-30 버나드 컨트롤스 유리하게는 서보모터 시스템을 위한, 유성 기어열 및 이러한 유성 기어열을 사용하는 서보모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170B1 (ko) 202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1292A1 (en)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21085779A1 (ko) 스마트 감속기
CN104823272B (zh) 具有非等长前臂的多轴机械手设备、电子装置制造系统、及用于在电子装置制造中传送基板的方法
WO2012057410A1 (ko) 동력전달장치
EP3374710A1 (en) Door driving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O2012144725A2 (ko) 동력전달장치
CN107110247A (zh) 驱动力传递机构
WO2018076254A1 (zh) 舵机及其控制方法、无人机
WO2015023080A1 (ko) 감속기
WO2012060610A2 (ko) 하이브리드 감속기
WO2016117809A1 (ko) 동력전달장치
WO2018139901A1 (ko) 배연창 개폐장치
CN106090174A (zh) 动力传输装置
WO2010090360A1 (ko) 모듈형 로봇 구동부의 구조
WO2014104834A1 (ko) 차단기용 스프링 조작기
WO2019074294A1 (ko) 로봇 관절 장치
WO2023051813A1 (zh) 一种模块化执行器、机械臂及机器人
WO2017116172A1 (ko) 다중모드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구동장치
WO2019031629A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위성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페데스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포터블 위성통신용 안테나
US10302211B2 (en) Regulating valve with planetary gear transmission
WO2020040344A1 (ko) 폴딩 도어용 커넥터 및 폴딩 도어
WO2018084656A1 (ko) 냉장고
CN108663069A (zh) 加速度陀螺仪自动校准测试设备
WO2013062378A2 (ko) 벨트를 포함하는 분리형 엑츄에이터
WO2016125994A1 (ko)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04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04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