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10679A2 -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 Google Patents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10679A2
WO2021010679A2 PCT/KR2020/009127 KR2020009127W WO2021010679A2 WO 2021010679 A2 WO2021010679 A2 WO 2021010679A2 KR 2020009127 W KR2020009127 W KR 2020009127W WO 2021010679 A2 WO2021010679 A2 WO 202101067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onary sinus
tube
fixing device
position fixing
tricusp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91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010679A3 (ko
Inventor
김준홍
박기완
원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우피엔유메디칼
Priority to JP202250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541889A/ja
Priority to CN202080057718.8A priority patent/CN114222545A/zh
Priority to US17/626,808 priority patent/US20220296371A1/en
Priority to EP20840019.2A priority patent/EP3998043A4/en
Publication of WO202101067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0679A2/ko
Publication of WO202101067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1067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6Delivery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51Inserts in the coronary sinu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42Annuloplasty rings or inserts for correcting the valve shape; Implant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a native heart valve
    • A61F2/246Devices for obstructing a leak through a native valve in a closed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7Anchoring means; Means for fixing the head inside the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1/057Anchoring means; Means for fixing the head inside the heart
    • A61N2001/058Fix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6Transvascular endocardial electrode systems
    • A61N2001/0585Coronary sinus electrodes

Definitions

  • the heart consists of two atriums and two ventricles, and is connected to four blood vessels such as the aorta, vena cava, pulmonary artery, and pulmonary vein to become a blood passage.
  • the tricuspid valve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coupled to the end to prevent the tricuspid valve tube from penetrating the ventricular septum.
  • the position fixing device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and is not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which is thinner than the inn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coronary sinus.
  • the position fix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is coupled along the coronary sinus tube.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position fixing device is unfolded
  • Figure 3 (b) is a combination of the position fixing device.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ime.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of a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ircle large device having a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 photograph showing a procedure scene in which a circle large device having a posit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heart
  •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ronary sinus.
  • a circle large device having a position fixing device includes a circle large wire 1, a coronary sinus tube 10, a tricuspid valve tube 20, and a position fixing device 30. Includes.
  • An arch portion 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le large wire 1.
  • the circle large wire 1 is inserted into the coronary sinus, and the coronary artery is located under the coronary sinus. At this time, considerabl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ronary artery by the circle large wire 1, and the arch portion 60 is to prevent this and protect the coronary artery.
  • the tricuspid valve tube 20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penetrates through an orifice generated by incomplete closing of the tricuspid valve to reach the ventricular septum.
  • the tricuspid valve tube 2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a soft plastic material, etc., and a material having high ductility and excellent flexibility and resilience capable of moving according to the heartbeat is used.
  • the tricuspid valve tube 20 includes a blocking portion 40 coupled to a side thereof, and the blocking portion 40 blocks a space generated due to incomplete closing of the tricuspid valve, and a blocking film, a blocking balloon, etc. may be used. .
  • the blocking part 40 blocks the empty space of the tricuspid valve to treat tricuspid valve reflux.
  • the coupling part 32 and the groove 36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in FIG. 5, and the first fixing part 37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cave part 32-3, It includes one fixing part 34 that is easily inserted when inserted into the inner wall an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tricuspid valve tube so that it can be easily released when detached.
  • the fixing part 34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when the circle large wire 1 is pull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ronary sinus tube 10 is fixed, but when the tension of the circle large wire 1 is released It is easily detach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and does not damage the inner wall of the coronary sinus.
  • one side of the circle large wire 1 may include an arch portion 6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는 심장의 판막 또는 심박동기 삽입 시술에 사용되는 서클라지 시술장치의 위치를 고정하여 시술 후 서클라지 시술 장치의 이동을 방지하여 올바른 위치에 시술장치를 유지시켜 치료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는 서클라지 와이어; 관상정맥동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관상정맥동튜브; 삼첨판막을 횡단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삼첨판막튜브; 및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 일측에 접합되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와 상기 삼첨판막튜브의 상부측은 결합되고 하부측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본 발명은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장의 판막 또는 심박동기 삽입 시술에 사용되는 서클라지 시술장치의 위치를 고정하여 시술 후 서클라지 시술 장치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올바른 위치에 시술장치를 유지시켜 치료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며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지며 대동맥, 대정맥, 폐동맥, 폐정맥 등 4가지 혈관과 연결되어 혈액의 이동통로가 된다.
심장 중앙의 심실중격을 기준으로 한쪽은 우심방과 우심실, 다른 한쪽은 좌심방과 좌심실로 나누어진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는 삼첨판막이 존재하고,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는 승모판막이 존재한다.
심장은 수축과 이완작용을 반복함에 따라 심장이 펌프 역할을 하여, 혈액이 혈관을 따라 흐르게 된다. 심장의 수축기에는 심장 내의 혈액이 혈관으로 전진하는 데, 오른쪽심장에서는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왼쪽 심장에서는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심방과 심실 사이의 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심장의 수축기에 심실의 혈액이 역류하게 된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우심실의 피가 우심방으로 역류하면 '삼첨판막 역류증'이라 하고,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막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좌심실의 피가 좌심방으로 역류하면 '승모판막 역류증'이라 한다.
삼첨판막 역류증은 보통 승모판막 역류증이 있는 환자에게 발생하며, 심장판막 질환이 있는 환자는 심장기능이 떨어지게 되면서 심방세동, 부정맥, 심부전증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심박동기를 체내에 삽입하여 치료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서클라지 장치를 이용하여 승모판막 역류증, 삼첨판막 역류증, 심부전증 등을 치료하는 장치를 제안하였으며, 보다 상세하게 한국등록특허 제10-11168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3114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631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81021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4823호에서 승모판막 역류증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특허 출원을 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80567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44568호에서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 특허 출원을 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2016-0011530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0887호에서 심박동기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장치에 대해 특허 출원을 하였다.
상기 특허들은 기본적으로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는 관상정맥동튜브와 삼첨판막을 횡단하는 삼첨판막튜브와 서클라지 와이어를 포함하는 '서클라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클라지 장치'는 서클라지 와이어가 상대정맥-관상정맥동-심실중격-우심방-상대정맥으로 삽입되어 체내에서 원형을 그리듯이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는 관상정맥튜브와 삼첨판막튜브에 삽입되어 체내에서 원형을 그리며 양단이 상대정맥을 통과하여 체외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서클라지 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와 상기 삼첨판막튜브가 상부에는 서로 결합되고 하부는 서로 분리되는 것으로, 분리되는 부분이 관상정맥동 입구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서클라지 장치'는 시술 후 관상정맥동 쪽으로 상기 관상정맥동 튜브가 미끄러져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서클라지 장치'를 개량발명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 후에도 장치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며 고정, 탈착이 용이한 장치를 제공하여, 올바른 위치에 장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는 서클라지 와이어; 관상정맥동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관상정맥동튜브; 삼첨판막을 횡단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삼첨판막튜브; 및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 일측에 접합되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와 상기 삼첨판막튜브의 상부측은 결합되고 하부측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에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제 1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된 홈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상기 제 1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하부 외주면을 따라 외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하단이 가장 돌출되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행과 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마이크로 니들의 형상을 지니는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삼첨판막튜브는 일측에 결합되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첨판막튜브는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삼첨판막튜브가 심실중격에 파고들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는 일측에 결합된 아치부를 구비하여 관상정맥동 아래에 위치하는 관상동맥이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를 따라 한 개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는 시술와이어에 장력을 가하면 위치고정장치가 관상정맥동 내벽에 고정되어 관상정맥동튜브가 시술 후 미끄러져 위치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시술 후, 체내에 올바른 위치에 장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의 효과를 향상시키며, 서클라지 장치의 위치이동으로 인한 재시술을 요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를 심장에 삽입한 시술 장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b는 관상정맥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위치고정장치를 펼쳤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위치고정장치를 결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서클라지 와이어
10 : 관상정맥동튜브
20 : 삼첨판막튜브
30 : 위치고정장치
32 : 결합부
32-1 : 돌출부
32-2 : 제 1함입부
32-3 : 제 2함입부
34 : 고정부
36 : 홈
37 : 제 1고정부
38 : 제 2고정부
40 : 차단부
50 : 스토퍼
60 : 아치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를 심장에 삽입한 시술 장면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b는 관상정맥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는 서클라지 와이어(1), 관상정맥동튜브(10), 삼첨판막튜브(20), 위치고정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는 관상정맥동, 심실중격, 삼첨판막에 원형을 그리듯이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와 상기 삼첨판막튜브(20)에 삽입되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그리듯이 하나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의 일측에는 아치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는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는데 관상정맥동 아래 관상동맥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에 의해 상기 관상동맥에 상당한 외압이 가해지게 되며 상기 아치부(60)는 이를 방지하고 관상동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관상정맥동에 삽입되어 관상정맥동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는 고무재, 연성플라스틱재 등이 될 수 있으며, 연성이 높고,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삼첨판막튜브(20)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며,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orifice)을 관통하여 심실중격에 이르는 것이다. 상기 삼첨판막튜브(20)는 고무재, 연성플라스틱재 등이 될 수 있으며, 연성이 높고, 심장의 박동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과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삼첨판막튜브(20)는 측면에 결합되는 차단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40)는 삼첨판막의 불완전한 닫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을 막는 것으로, 차단막, 차단풍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40)가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여 삼첨판막 역류증을 치료한다.
상기 삼첨판막튜브(20)는 끝단이 심실중격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삼첨판막튜브(20)의 하단에 스토퍼(50)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 삼첨판막튜브(20)가 삼첨판막 주위에 밀착되지 않고 떠 있게 하여 상기 삼첨판막튜브(20)에 의한 삼첨판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일측에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외주면 일측에 접합되며, 하나 이상이 접합되어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가 심장박동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2b는 관상정맥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관상정맥동은 내벽이 외벽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상기 위치고정장치(3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 또는 상기 삼첨판막튜브(20)내로 삽입되어 심방세동을 치료하기 위한 제세동기 리드(미도시) 또는 끝단이 히스(His)에 삽입되어 심장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심박동기 리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의 (a)는 위치고정장치를 펼쳤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위치고정장치를 결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는 사각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를 감싸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결합부(32)의 좌우방항 일단에서 연장되게 돌출 형성된 돌출부(32-1)와, 상기 결합부(32)의 좌우방향 타단에서 일단을 향해 함입되며 상기 돌출부(32-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 1함입부(32-2)와, 상기 결합부(32)의 하단에서 상단을 향해 함입된 제 2함입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돌출부(32-1)가 상기 제 1함입부(32-2)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결합 후에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32)가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에 결합 시,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와 같은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접착된다.
상기 돌출부(32-1) 및 상기 제 1함입부(32-2)가 형성된 상기 결합부(32)의 좌우방향 양단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과 맞닿는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제 2함입부(32-3)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다수개의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4)는 일단이 상기 제 2함입부(32-3)의 상면과 맞닿아 있고, 타단은 상기 삼첨판막튜브(20)를 향해 돌출되며, 사각 형상이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모서리가 각지지 않고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34)는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과 맞닿도록 위치되어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를 관상정맥동에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34)가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된다.
상기 관상정맥동은 내벽이 외벽보다 두껍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34)가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어도 관상정맥동의 내벽은 손상을 입지 않으나, 상기 고정부(34)가 관상정맥동의 외벽에 고정되는 경우, 관상정맥동의 외벽은 그 두께가 얇아 찢어지거나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34)가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미끄러짐 또는 위치이동을 방지하나 관상정맥동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양측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어도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깊은 손상을 가하지 않고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제 1함입부(32-2)와 상기 돌출부(32-1)를 포함하지않는 링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기 제 2함임부(32-3)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결합부(32)의 하단에서 바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34)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와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결합부(32)에 결합된 고정부(34)의 개수가 상이한 것이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제 2함입부(32-3)의 상면에서 하나의 고정부(34)가 연장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부(34)의 일단은 상기 제 2함입부(32-3)의 상면과 맞닿고, 타단은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돌출되며, 사각 형상이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모서리가 각지지 않고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장치(30)의 상기 고정부(3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34)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고정부(34)가 결합되어도 고정력이 우수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와 제 1고정부(3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와 상기 제 1고정부(37)는 도 3에서 상술한 결합부 및 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이나, 상기 결합부(32)의 높이방향 길이가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의 일측에는 제 2함입부(32-3)와 수평하게 사각형상의 홈(36)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장치(30)는 상기 홈(36)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삼첨판막튜브(20)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다수개의 제 2고정부(38)를 포함한다. 상기 제 2고정부(38)는 상기 고정부(34)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수개의 상기 제 2고정부(3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하나의 상기 위치고정장치(30)에 상기 제1 고정부(37) 및 상기 제 2고정부(38)가 형성된 것이므로 하나의 상기 위치고정장치(30)가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에 접합되어도 고정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와 제 1고정부(37)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2)의 일측에 에 제 2함입부(32-3)과 수평하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홈(36)을 포함하며, 상기 홈(36)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삼첨판막튜브(20)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하나의 제 2고정부(38)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와 상기 홈(36)은 도 5에서 상술한바와 동일한 것이며, 상기 제 1고정부(37)는 상기 제 2함입부(32-3)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의 고정부(34)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고정부(37)와 상기 제 2고정부(38)는 도 4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의 고정부(34)와 같은 형태이며, 하나의 상기 제 1고정부(37) 및 상기 제 2고정부(38)가 각각 상기 제 2함입부(32-3) 및 상기 홈(36)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삼첨판막튜브(20)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돌출되며, 사각 형상이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모서리가 각지지 않고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하나의 상기 위치고정장치(30)에 두 개의 고정부(37, 38)가 형성된 것이므로 하나의 상기 위치고정장치(30)만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에 결합되어도 고정력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와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출부(32-1) 및 제 1함입부(32-2)를 포함하나, 제 2함입부(32-3)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34)는 상기 삼첨판막튜브(2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상기 결합부(32)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외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34)는 하단이 가장 돌출되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가 관상정맥동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34)의 하단이 관상정맥동의 내벽 일측에 걸려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가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지턱과 같은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부(32)는 상기 고정부(34)가 결합된 좌우측에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결합부(32)가 유연하게 구부러져 상기 관상정맥튜브(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위치고정장치(30)는 결합부(32)와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2)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출부(32-1) 및 제 1함입부(32-2)를 포함하나, 제 2함입부(32-3)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3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4)는 원뿔형상으로 상기 삼첨판막튜브(20)와 마주보는 상기 결합부(32)의 일측에 다수개의 열과 행을 가지고 배치된다. 상기 고정부(34)는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과 같은 형상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가 1mm미만이며, 원뿔, 다각뿔, 나선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 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정부(34)는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를 당기면 관상정맥동 내벽에 고정되어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나,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의 장력을 풀면 관상정맥동 내벽에서 쉽게 탈착되며 관상정맥동 내벽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 장치의 시술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서클라지 시술장치를 체내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서클라지 시술장치는 관상정맥동튜브(10), 삼첨판막튜브(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의 일 측에는 위치고정장치(30)가 하나 이상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삼첨판막튜브(20)의 하단에는 스토퍼(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삼첨판막튜브(20)의 외주면 일측에는 차단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클라지 와이어(1)를 상대정맥-관상정맥동튜브(10)-심실중격-삼첨판막튜브(20)로 삽입하고 다시 상대정맥으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의 일 측에는 아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대정맥에 위치하는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의 양단을 잡아당기면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1)에 장력이 가해지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10)가 관상정맥동의 내벽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고정장치(30)가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서클라지 시술장치가 미끄러지거나 심장박동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시술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체내의 올바른 위치에 장치가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에 있어서,
    서클라지 와이어;
    관상정맥동으로 삽입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관상정맥동튜브;
    삼첨판막을 횡단하며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삼첨판막튜브; 및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 일측에 접합되며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와 상기 삼첨판막튜브의 상부측은 결합되고 하부측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제 1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된 홈의 상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관상정맥동 내벽에 삽입 시 쉽게 삽입되고, 이탈 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삼첨판막튜브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제 2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상기 제 1고정부 및 상기 제 2고정부가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하부 외주면을 따라 외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하단이 가장 돌출되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사각 형상으로 상기 관상정맥동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 다수개의 행과 열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마이크로 니들 형상을 지니는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첨판막튜브는 일측에 결합되며 삼첨판막의 빈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첨판막튜브는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삼첨판막튜브가 심실중격에 파고들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는 일측에 결합된 아치부를 구비하여
    관상정맥동 아래에 위치하는 관상동맥이 상기 서클라지 와이어에 의해 가압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관상정맥동 내벽보다 두께가 얇은 상기 관상정맥동의 외벽에는 고정되지 않아 상기 관상정맥동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장치는
    상기 관상정맥동튜브를 따라 한 개 이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PCT/KR2020/009127 2019-07-12 2020-07-10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WO2021010679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02180A JP2022541889A (ja) 2019-07-12 2020-07-10 位置固定装置を具備したサークラージ施術装置
CN202080057718.8A CN114222545A (zh) 2019-07-12 2020-07-10 设置有位置固定装置的环扎施术装置
US17/626,808 US20220296371A1 (en) 2019-07-12 2020-07-10 Cerclage operation device provided with position fixing device
EP20840019.2A EP3998043A4 (en) 2019-07-12 2020-07-10 STRAPPING OPE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508A KR102240805B1 (ko) 2019-07-12 2019-07-12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KR10-2019-0084508 2019-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0679A2 true WO2021010679A2 (ko) 2021-01-21
WO2021010679A3 WO2021010679A3 (ko) 2021-05-20

Family

ID=7421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9127 WO2021010679A2 (ko) 2019-07-12 2020-07-10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96371A1 (ko)
EP (1) EP3998043A4 (ko)
JP (1) JP2022541889A (ko)
KR (1) KR102240805B1 (ko)
CN (1) CN114222545A (ko)
WO (1) WO2021010679A2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67B1 (ko) 2009-08-28 2012-03-06 김준홍 관상정맥동과 삼천판막의 조직보호기구, 매듭 전달 기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KR101231140B1 (ko) 2011-08-12 2013-02-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KR20130074823A (ko) 2011-12-23 2013-07-05 김준홍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심실중격 삽입구 및 이의 삽입용 기구
KR101563172B1 (ko) 2014-05-20 2015-10-27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KR20150144568A (ko) 2014-06-17 2015-12-28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천판막 역류증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KR101581021B1 (ko) 2014-05-28 2015-12-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1530A (ko) 2014-07-22 2016-02-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실 중격 내에 관상정맥동을 통과한 심박동기의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방법, 장치, 및 카테터
KR20160020887A (ko) 2014-08-14 2016-0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 또는 첨부의 심실 중격 내에 관상정맥동을 통과한 심박동기의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방법, 장치, 및 카테터
KR101805679B1 (ko) 2017-02-01 2017-12-06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33881C (en) 2001-01-30 2009-08-18 Randall T. Lashinski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remodeling an extravascular tissue structure
US7503932B2 (en) 2006-04-11 2009-03-17 Cardiac Dimensions, Inc. Mitral valve annuloplasty device with vena cava anchor
KR101467373B1 (ko) * 2013-05-23 2014-12-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을 위한 심근 보호용 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장치
KR102053451B1 (ko) * 2017-11-24 2020-01-08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서클라지 심방 제세동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867B1 (ko) 2009-08-28 2012-03-06 김준홍 관상정맥동과 삼천판막의 조직보호기구, 매듭 전달 기구 및 이들을 포함하는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KR101231140B1 (ko) 2011-08-12 2013-02-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KR20130074823A (ko) 2011-12-23 2013-07-05 김준홍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심실중격 삽입구 및 이의 삽입용 기구
KR101563172B1 (ko) 2014-05-20 2015-10-27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KR101581021B1 (ko) 2014-05-28 2015-12-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한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44568A (ko) 2014-06-17 2015-12-28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천판막 역류증 시술용 조직보호기구
KR20160011530A (ko) 2014-07-22 2016-02-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실 중격 내에 관상정맥동을 통과한 심박동기의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방법, 장치, 및 카테터
KR20160020887A (ko) 2014-08-14 2016-02-2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 또는 첨부의 심실 중격 내에 관상정맥동을 통과한 심박동기의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방법, 장치, 및 카테터
KR101805679B1 (ko) 2017-02-01 2017-12-06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98043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70A (ko) 2021-01-20
CN114222545A (zh) 2022-03-22
WO2021010679A3 (ko) 2021-05-20
JP2022541889A (ja) 2022-09-28
EP3998043A2 (en) 2022-05-18
US20220296371A1 (en) 2022-09-22
EP3998043A4 (en) 2023-07-26
KR102240805B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3560A1 (ko)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WO2019103540A1 (ko) 서클라지 심방 제세동장치
CA2134735C (en) Introducer system having kink resistant splittable sheath
US4602645A (en) Atrio-ventricular pacing catheter
US3680544A (en) Transthoracic cannula-type devic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O2013024998A2 (ko) 승모판막 서클라지 시술용 장치
JP3614368B2 (ja) 心臓用リード線を心拍管理装置に接続するための器具
WO2016024710A1 (ko) 중간 또는 첨부의 심실 중격 내에 관상정맥동을 통과한 심박동기의 리드 끝단을 위치시키는 방법, 장치, 및 카테터
EP0553259A4 (en) PERCUTANEOUS SYSTEM OF CANULATION OF THE LEFT ATrium THROUGH THE SEPTUM.
US20100331939A1 (en) Device for intracavity stimulation of the left atrium and/or ventricle through atrial transseptal puncture and removal of the catheter proximal end by the retrograde venous route toward the prepectoral region
US6540765B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cardiac pacer lead
WO2020231237A2 (ko) 위치고정튜브를 구비한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US89961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 cardiac catheter
WO2021010679A2 (ko) 위치고정장치를 구비한 서클라지 시술장치
JP2636082B2 (ja) 血管へカテーテルを閉鎖系で導入するための穿刺針装置
WO2019112219A1 (ko) 캡쳐 카테터
WO2021172828A2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치열 교정 장치
WO2019027175A1 (ko) 삼첨판막 역류증 시술용 기구
WO2020105768A1 (ko) 판막 역류증 시술 및 심박동기 리드 고정장치
US11033735B2 (en) Pacer wire management devices and methods
CN107440760A (zh) 左心耳封堵装置的输送系统
US7181290B2 (en) Convertible stylet to abet in the implant of a left heart lead
WO2019198927A1 (ko) 승모판막 시술용 와이어 연결장치
US20180200508A1 (en) Device for pacemaker lead placement and methods thereof
US7890190B1 (en) Deflectable hollow stylet guidewi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40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02180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400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