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06471A1 -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06471A1
WO2021006471A1 PCT/KR2020/006138 KR2020006138W WO2021006471A1 WO 2021006471 A1 WO2021006471 A1 WO 2021006471A1 KR 2020006138 W KR2020006138 W KR 2020006138W WO 2021006471 A1 WO2021006471 A1 WO 20210064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
image
missing
implan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1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규옥
이응준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46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096209A/zh
Priority to US17/623,815 priority patent/US20220246269A1/en
Priority to EP20836401.8A priority patent/EP3998037A4/en
Publication of WO20210064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064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5User interfaces for surgica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94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using additional data, e.g. patient information, image labeling,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61C5/77Methods or devices for making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06T7/62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of area, perimeter, diameter or volu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52Implant; Prosthesi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including a guide design technology for dental implant surgery.
  • the implant structure (crown, abutment, fixture, etc.) is set up on the software before the implant surgery, and the implantation plan is established and virtually placed on the tooth image.
  •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implant placement plan requires a lot of manual actions by the user. For example, i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xture, the final position of the fixture is determined as the user manually adjusts one by one through a number of click operations after the initial fixture placement position is determined. As such, general software has a large number of clicks and complicated user manipulation for implant structure placement.
  • a method of minimizing a user's manual operation and establishing a convenient implant surgery plan,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for, and a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re proposed.
  • a single implantation mode in which an implant structure is automatically placed for a single missing tooth area in a tooth image as a target for a tooth image, and an implant structure for all defective tooth areas in a tooth image, respectively.
  • the step of entering a predetermined automatic implantation mode includes enteri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by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designating a predetermined missing tooth region in the tooth image, and automatically placing implant structures for all the missing teeth in the tooth image.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entering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 Recognizing at least one defective tooth region includes removing a bone portion from a tooth image, separating a tooth region from a tooth image from which the bone portion has been removed, and performing dental implantation along a predetermined axial direction in the separated tooth region. It may include designating a number and extracting at least one missing tooth region from the tooth region in which the dental implant number is designated.
  • the steps of automatically placing the implant structure include determining the diameter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specified tooth numbe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fixture by reflecting the length of adjacent teeth based on the missing tooth area, and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fixture based on the missing tooth area. Determining the angle including the inclination of the fixture to be parallel to the adjacent teeth in the (Mesi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to the gum bone, the distance to the bone cortex,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tee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fixtures, respectively.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fixture so that the set interval.
  • the automatic placement of the implant structure includes placing the crown at a preset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fixture where the position is determined, determining the width of the crown to fit the space of the missing tooth area between adjacent teeth, and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crown according to the occlusal height, and determining the height of the crown at a ratio of the other teeth when there is one or no adjacent teeth.
  • the method of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may further include simultaneously performing simulations on a plurality of crowns.
  • bridges are automatically cre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tures placed, but if the intermediate fixtures are deleted while three or more fixtures are placed in succession in the tooth image, it corresponds to each fixtu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bridge that connects the crowns successively placed in the position to be placed.
  •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tooth image,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for all defective teeth in the tooth image, and predetermined in the tooth image.
  • a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a data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tooth image data, a screen for performi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and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for the acquired tooth image, and surrounding structures based on a defective tooth area.
  • a control unit that automatically places and simulates an implant structure in at least one missing tooth area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of the family and reflecti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analyzed surrounding structures,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or entering a predetermined automatic placement mode.
  • an output unit for displaying an automatic implantation mode screen and displaying the implantation result in the tooth image.
  • the output unit displays a user interface for entering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on the screen, and the control unit enters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designating a predetermined missing tooth area in the tooth image from the input unit and automatically installs the implant structure in the designated defective tooth area.
  • the implant structure can be automatically placed in all areas of the missing tooth by entering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 the controller performs image processing to remove the bone part from the tooth image and separate the tooth region from the tooth image from which the bone part has been removed, and assigns a tooth number along a preset axial direction to the separated tooth region At least one missing value region can be extracted from.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diameter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specified tooth number, reflects the length of the adjacent teeth based on the missing tooth area, determines the length of the fixture, and tilts the fixture parallel to the adjacent teeth in the mesial direction based on the missing tooth are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fixture so that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a gum bone, a distance to a bone cortex, a distance to an adjacent tooth, and a distance between adjacent fixtures is a preset interval.
  • the control unit places the crow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fixture where the position is determined, determines the width of the crown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missing tooth area between adjacent teeth, and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crown according to the occlusal height of the opposing teeth.
  • the height of the crown can b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dog or other teeth if not present.
  • the control unit can simultaneously simulate multiple crowns.
  •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reates a brid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tures, but if the intermediate fixture is deleted while three or more fixtures are placed in succession in the tooth image, it connects the crowns successively plac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fixture. Bridges can be created.
  • a method of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through automatic implantation of an implant structure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for, and a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nual manipulation by the user is minimized when placing a virtual implant structure in a tooth image. By doing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 the user can move to the missing tooth region individually and automatically place an implant structure targeting all the missing tooth regions without designating it.
  • Implant structure placemen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not only for a single missing tooth region but also for all missing tooth regions in the dental image.
  • the implant structure is automatically placed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in the missing tooth area, the user's convenience is increased because the user does not need to adjust the implant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even after the implant structure is placed.
  • the user can receive a guide during the implant procedure.
  • the implant structure is automatically placed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in the missing tooth area, the anatomical knowledge of the surrounding structures is reflected and the accuracy is improved.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ent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screen for show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through a single implant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ent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in all defective tooth regions through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automatically placing a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providing simulation for a plurality of crow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of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ion engines), and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provid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As it may be mounted, its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gener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chart.
  •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device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chart.
  • each block or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blocks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lso possible for function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and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a corresponding function as necessary.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 i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 such as a guide design program for dental implant surgery.
  • Electronic devices include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PCs, smartphones, mobile phones, personal media players (PM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he like.
  • Medical image processing programs include scan programs, CAD programs, etc. in addition to guide design programs.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programs for general medical image processing other than for dental implant surgery.
  • the image processing process using the dental image processing program including the guide design program includes registration of surgical patients, acquisition of CT images and oral model image data of the registered patients, registration of CT images and oral model images, and generation of arch lines from the matched image data.
  • a process including creation of a panoramic image using the arch line,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crown model in the patient's oral model imag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fixture in the patient's CT image, designing the guide shape, and outputting the final guide Consists of
  •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process of automatically extracting a missing tooth region through tooth separation in the above process, determining placement information of an implant structure in the extracted missing tooth region, and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in a tooth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lacement information.
  • Implant structures include fixtures, crowns, and abutments.
  • the placement information includes the position, angle, height, width, length, diameter, shape, etc. of the fixture or crown.
  • a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data acquisition unit 10, a storage unit 12, a control unit 14, an input unit 16, and an output unit 18. .
  •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acquires tooth image data from a patient.
  • Dental image data required for implant structure placement include CT images and oral model images.
  • the data acquisition unit 10 may execute a CT image and an oral model image in a program or load data stored in a web page and a server.
  • the oral model image is image data with information on actual teeth including damaged teeth.
  • the oral model image may be obtained by scanning a gypsum model created after a patient's mouth with a 3D scanner.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scanning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using a 3D intra-oral scanner.
  • the acquired oral model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the patient's head tomography images are created using CT (Computed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or CB (Cone Beam) CT, and the boundary of the tooth part from each tomography image is segmented and then combined into one. Can be obtained accordingly.
  • CT Computerputed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 CB Cone Beam
  • These oral model images and CT images are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axillary teeth under the maxillary teeth with the patient's mouth open, the images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mandibular teeth above the mandibular teeth with the mouth open, and the local area with the mouth closed. Includes images obtained, oral radiographs, etc.
  • the acquired CT image data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
  • the storage unit 12 stores various data such as information necessary for performing an operation of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 and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 the oral model image and CT image data of an individual patient are stored, and a user of the oral model image and the CT image of a specific patient among all the oral model images and CT images during a dental treatment simul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upon request.
  • the storage unit 12 stores imag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an individual patient, and images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matched with the oral model image and the CT image of a specific patient are provided to the user's request. Accordingly, it can b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4.
  • the control unit 14 controls each component while establishing an implant placement plan through control by a computer program and performing a simulation on a tooth image according to the implant placement plan.
  • the control unit 14 configures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 the tooth image refers to a multidimensional image such as two-dimensional (2D) and three-dimensional (3D) that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of a patient created to establish an implant surgery plan.
  • Various types of images such as an X-ray image, a CT image, an MRI image, a panoramic image, an oral scan image, an image generated through reconstruction, and an image matched with a plurality of images, can be used for the implant surgery plan.
  • the control unit 14 automatically places an implant structure on a tooth image according to a single implantation mode or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that automatically places an implant structure in a single defective tooth area in a tooth image.
  •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implant structures are automatically placed for all areas of the missing tooth in the dental image.
  • the controller 14 recognizes a missing tooth region through tooth separation in the entered automatic implantation mode.
  • the missing tooth area means an extracted or damaged area.
  • the control unit 14 processes the tooth image. For example, a bone portion is removed from a tooth image, and a tooth region is separated from a tooth image from which the bone portion is removed. Subsequently, a tooth number is assigned to the separated tooth region along a preset axi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defective tooth region is extracted from the tooth region to which the tooth number is designated.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step 1 (tooth separation step) of FIG. 3.
  • the controller 14 determines the placement information of the implant structure to be actually placed according to the patient's oral environment, and then automatically places and simulates the implant structure in the tooth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lacement information.
  •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osition, angle, height, width, length, diameter, and shape of the implant structure.
  • the control unit 14 analyzes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gum bone, gum margin, adjacent teeth, maxillary sinus, neural tube and bone density based on the missing tooth area, and reflect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analyzed surrounding structures.
  • the implant structure is placed in the missing tooth area. As the implant structure is automatically placed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missing tooth region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 the anatomical knowledge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may be reflected, thereby improving accuracy.
  • a method of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reflecti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of the control unit 14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control unit 14 simultaneously simulates a plurality of crowns.
  • the controller 14 may automatically generate a bridge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tures.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fixtures are continuously placed in a tooth image and an intermediate fixture is deleted, a bridge connecting the successively placed crow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fixture is created.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 the input unit 16 receives a user manipulation signal for entering an automatic implantation mode includi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and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 a selection signal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missing tooth in the tooth image may be input.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a selection signal may b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or automatically placing implant structures for all missing teeth in the tooth image. An embodiment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input unit 16 receives user manipulation for fine adjustment when necessary for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fixtur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output unit 18 in which the implanta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4 and adjust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xture. Additional adjustments can be made.
  • the output unit 18 displays a screen. At this time, the output unit 18 displays image data (CT image, oral model image, panoramic image, etc.) on the screen.
  • CT image may be expressed as an axial view, a sagittal view, a coronal view, or the like.
  • the output unit 18 displays the implant structure placement result on an image in the screen and simulates it.
  • the output unit 18 displays an automatic implantation mode screen. A user interface that selects it for entering a multi-mode where implant structures are automatically placed for all missing teeth in the dental imag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 FIG. 2 is a view showi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entr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nters a single implantation mode by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missing tooth region 200 in a dental image, for example, a panoramic image 20 from a user.
  •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that automatically places an implant structure in a single defective tooth area in a tooth image.
  • the selection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n operation of clicking a mouse on the missing value area 200 or the like.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laces an implant structure including a fixture, an abutment, and a crown in the designated missing tooth area. A process of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in a single implant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be described later.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for show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through a single implant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the process of a single implantation mode for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targeting a single missing tooth area, but the same standard can be applied to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for automatically placing implant structures targeting all the missing tooth areas. Please note.
  • the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automatically segmentates the tooth region.
  • the tooth region is separated from the CT image or the panoramic image from which the bone portion is removed.
  • the operation of extracting the hard tissue region from the tooth image and removing the bone portion from the extracted hard tissue region may be performed.
  • hard tissue is extracted by removing soft tissue, air, and water from a tooth image.
  • Hard tissue includes teeth, bones, and implants, and bones include neck and jaw bones.
  • Bone density, gray scale, Hounsfield field unit (HU), etc. may be used to extract soft tissue, hard tissue, and bone parts in hard tissue.
  • a boundary is set for each tooth from which the bone portion has been removed to separate each tooth region.
  • a tooth number is assigned to each separated tooth area. For example, after selecting the center point of each tooth area, the dental implant number is automatically set along the horizontal axis based on the selected center point.
  • the dental identification number can be set using the FDI Numbering System (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e Numbering System). This method is widely used internationally by dentists. The order and location of the teeth lined up can be known through the automatically set tooth number.
  • the missing tooth region is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separated tooth region. Extraction of a missing tooth region 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points of each individual tooth for which a tooth number is set exceeds a preset distance, the tooth is determined as a missing tooth. As anothe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point of each individual tooth for which the tooth number is set and the arch line in the panoramic image exceeds a preset distance, the tooth is determined as a missing tooth.
  • the user can automatically place an implant structure for all the missing tooth regions even if the user moves to the missing tooth region and does not designate it. From step 2, implant structures are placed in the area of the missing tooth.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laces the crown 310 in the missing tooth area.
  • the place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crown 310 may be determined.
  • the shape of the crown 310 is automatic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ooth number of the missing tooth.
  • the crown 310 is plac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of the surrounding structure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rown 310 are adjusted.
  • the width of the crown 3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missing tooth area between adjacent teeth 300-1 and 300-2 for each designated tooth number, and the height of the crown 310 according to the occlusal height of the opposing teeth Decide.
  • the adjacent teeth 300-1 and 300-2 are teeth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issing teeth, and the opposing teeth mean teeth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between the missing teeth and the maxillary or mandible based on a tooth bite.
  •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crown 3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 the crown 310 is disposed at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3 mm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ture 320 by using the position of the crown 310 disposed on the CT image or the panoramic image.
  •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ture 320 is determined based on the axis of the crown 310. That i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ture 320 is determin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rown 310 with the same central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crown 310.
  • the central axis of the crown 31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ixture 320 may be different. The diameter of the fixt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tooth number.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adjust the placement angle of the fixture 320 using the angle between the patient's fixture 320 and the adjacent teeth 300-1 and 300-2 in a CT image or a panoramic image.
  • the slope 340 of the fixture 320 is determined to be parallel to the slope 330 of the adjacent value 300-2 in the mesial direction.
  • the tilt of the fixture 320 may be adjusted to be parallel to another tooth, for example, a fixture to be placed or to be placed.
  • the length of the fixture 320 may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length of the adjacent values.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device adjusts the position of the fixture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surrounding structures such as the gum bone, bone cortex, adjacent teeth, and adjacent fixtures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ixture placed by tooth number. do.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is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gum bone line 350 and the fixture 320 in the top direction of the fixture 320 is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at least 1 mm (360).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is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ture 320 and the gum bone line 350 in the mesial direction is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at least 1.5 mm.
  • a process of automatically extracting the gingival bone line 350 in step 5 may be preceded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ture in step 6.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may be adjusted by reflecting the distance to the cortical bone,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tee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xtures.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is adjusted to be a preset distance in the bone cortex, for example, a 1.5mm interval.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may be adjusted to be a preset distance from the adjacent teeth, for example, 1.5 to 2.0 mm.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320 may be adjusted to be a preset distance, for example, 3.0 mm from the adjacent fixt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entering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s a user interface 400 for automatically placing fixtures in a dental image, for example, a panoramic image 20 for all missing teeth in a dental image.
  • a'implant placement button' is displayed as the user interface 400, but the user interface can be changed to all existing interface types such as a context menu that can be displayed as a graphic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button type.
  • the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the user interface 400 from the user, it enters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implant structures are automatically placed for all areas of the missing tooth in the dental image.
  • the selection signal may be input through an operation of clicking a mouse on the user interface 400 or the like.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places implant structures in all areas of the missing tooth.
  • the criteria for automatically placing an implant structure in all missing tooth regions are the same as in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ll missing tooth regions are automatically extracted through tooth separation in FIG. 3.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in which an implant structure is automatically placed in all defective tooth regions through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xtures 320-1, 320-2, 320-3, 320-4, and 320-5 for all missing tooth regions in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and crown (310-1, 310-2, 310-3, 310-4, 310-5) are automatically planted.
  • Fixture placement of each fixture (320-1, 320-2, 320-3, 320-4, 320-5) and crown (310-1, 310-2, 310-3, 310-4, 310-5) It is performed on the same basis as the implant structure implantation process in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FIG. 6 is a view showing an image screen for automatically placing a cr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dth of the crown 3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missing tooth region between adjacent teeth 300-1 and 300-2 based on the missing tooth region, and the crown 31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cclusal height of the opposing tooth. ) To determine the height. If there is one or no adjacent teeth, the height of the crown can b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other teeth (eg, the same teeth of the missing teeth).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creen providing simulation of a plurality of crow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provide simulations for a plurality of crowns during simulation.
  • the bridg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tures.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fixtures 320-1, 320-2, and 320-3 are continuously placed in a tooth image and the intermediate fixture 320-2 is deleted, each fixture 320-1, A bridge 700 connecting the crowns 310-1, 310-2, and 310-3 successively impla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320-2 and 320-3) is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simulation as the result after the actual procedur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ethod of establishing an implant surgery pl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oth image processing apparatus enters a predetermined automatic implantation mode among a single implantation mode and a multiple implantation mode for a tooth image (S810).
  •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that automatically places an implant structure in a single defective tooth area in a tooth image.
  •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is a mode in which implant structures are automatically placed for all areas of the missing tooth in the dental image.
  • the single implantation mode may be entered by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region of a missing tooth in a tooth image.
  • the multiple implantation mode can be entered by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through a user interface for automatically placing implant structures for all missing teeth in a tooth image.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recognizes at least one missing tooth region through tooth separation in the entered automatic implantation mode (S820). For example, a bone portion is removed from a tooth image, and a tooth region is separated from a tooth image from which the bone portion is removed. At this time, after designating a tooth number in the separated tooth region along a preset axial direction, at least one defective tooth region is extracted from the tooth region in which the tooth number is designated.
  • the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alyze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surrounding structures based on the recognized missing tooth area (S830), reflects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ith the analyzed surrounding structures, and places the implant structure in the at least one defective tooth area (S840). ).
  • the diameter of the fixtur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tooth number, and the length of the fixture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length of the adjacent tooth based on the missing tooth region.
  • the angle including the inclination of the fixture may be determined to be parallel to the adjacent value in the mesial direction based on the missing tooth region.
  • the position of the fixture may be determined such that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to the gingival bone, the distance to the bone cortex, the distance to the adjacent tee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fixtures are respectively preset intervals.
  • the crown may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fixture whose position is determined.
  • the width of the crow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missing tooth area between adjacent teeth.
  • the height of the crown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cclusal height of the opposing teeth. If there is one or no adjacent teeth, the height of the crown can b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other teeth.
  • the bridg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a simulation for a plurality of crowns.
  • the bridge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xtures.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fixtures are continuously placed in a tooth image and an intermediate fixture is deleted, a bridge connecting the successively placed crown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fixture is crea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ame simulation result as the actual proced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ome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치아영상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뿐만 아니라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을 자동으로 수행하고, 결손치 영역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기술을 포함한 의료영상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과정은 임플란트 수술 이전에 소프트웨어 상에서 임플란트 구조물(크라운, 어버트먼트, 픽스쳐 등)의 식립 계획을 수립하여 치아영상에 가상으로 식립 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과정은 사용자의 많은 수동 동작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픽스쳐의 위치 결정은 초기 픽스쳐 식립 위치가 결정된 이후 다수의 클릭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조정함에 따라 픽스쳐의 최종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는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을 위해 클릭 수가 많고 사용자 조작이 복잡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수동 동작을 최소화하고 편리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를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단일 식립 모드 및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각각 자동으로 식립 하는 다중 식립 모드 중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진입된 자동 식립 모드에서 치아 분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는,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와,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으로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는,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하는 단계와,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는,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결정하는 단계와,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와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기울기를 포함한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잇몸뼈와의 거리, 골피질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인접한 픽스쳐 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는, 위치가 결정된 픽스쳐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크라운을 배치하는 단계와, 인접치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의 넓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 다른 치아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에서,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되,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치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와,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지정된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모든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와, 획득된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단일 식립 모드 및 다중 식립 모드 수행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및 시뮬레이션하는 제어부와,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자동 식립 모드 화면을 표시하고 치아영상에 식립 결과를 함께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출력부는 다중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지정된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고 입력부로부터 다중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고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하는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하며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결정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와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기울기를 포함한 각도를 결정하며 잇몸뼈와의 거리, 골피질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인접한 픽스쳐 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위치가 결정된 픽스쳐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크라운을 배치하고 인접치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의 넓이를 결정하고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며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 다른 치아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되,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에 따르면, 치아영상에 가상의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할 때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분리를 통해 결손치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결손치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를 지정하지 않아도 모든 결손치 영역을 대상으로 자동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할 수 있다. 단일의 결손치 영역뿐만 아니라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결손치 영역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함에 따라,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주변 구조물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임플란트 구조물이 식립되는 결손치 영역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임플란트 시술 시 가이드를 받아볼 수 있다. 결손치 영역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함에 따라 주변 구조물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반영되어 그 정확도가 향상된다.
나아가, 실제 시술과 동일한 사실적인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뮬레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시술 후 결과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와 상담 시 단일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만 제공할 때 효과가 낮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식립 모드 진입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식립 모드를 통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식립 모드 진입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식립 모드를 통해 모든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상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치아영상 처리장치(1)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과 같은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전자장치이다. 전자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PC, 스마트폰, 휴대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의료영상 처리 프로그램은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 이외에, 스캔 프로그램, CAD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이외에 다른 일반적인 의료영상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디자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치아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처리 과정은 수술 환자 등록, 등록된 환자의 CT 영상 및 구강 모델 영상 데이터 획득, CT 영상 및 구강 모델 영상의 정합, 정합된 영상 데이터에서 악궁 라인 생성 및 악궁 라인을 이용한 파노라믹 영상(Panoramic Image) 생성, 환자의 구강 모델 영상에서 크라운 모델 위치 및 크기 결정, 환자의 CT 영상에서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 위치 결정, 가이드 형상 디자인, 최종 가이드 출력을 포함한 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위 과정 중에서 치아 분리를 통해 결손치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식립정보에 따라 치아영상에 자동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 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임플란트 구조물은 픽스쳐, 크라운,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식립 정보는 픽스쳐 또는 크라운의 위치, 각도, 높이, 넓이, 길이, 직경, 모양 등을 포함한다.
이하, 도 1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치아영상 처리장치(1)의 구성에 대해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아영상 처리장치(1)는 데이터 획득부(10), 저장부(12), 제어부(14), 입력부(16) 및 출력부(18)를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부(10)는 환자로부터 치아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을 위해 필요한 치아영상 데이터는 CT 영상, 구강 모델 영상 등이 있다. 데이터 획득부(10)는 CT 영상과 구강 모델 영상을 프로그램에서 실행하거나 웹 페이지 및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구강 모델 영상은 손상된 치아를 포함한 실제 치아들의 정보를 가진 영상 데이터이다. 구강 모델 영상은 환자의 구강을 본떠 생성한 석고 모형을 3D 스캐너(3D Scanner)로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강 내 3D 스캐너(3D Intra-oral scanner)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캐닝하여 획득될 수 있다. 획득된 구강 모델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CT 영상은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CB(Cone Beam) CT를 사용하여 환자의 두부 단층 이미지들을 생성하고, 각각의 단층 이미지에서 치아 부분의 경계를 구분(Segmentation)한 후 하나로 취합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모델 영상과 CT 영상은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에서 상악 치아 아래에서 상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벌린 상태에서 하악 치아 위에서 하악 치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국소부위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구강 방사선 사진 등을 포함한다. 획득된 CT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1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치과영상 처리장치(1)의 동작 수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동작 수행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구강 모델 영상 및 CT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치과 치료 시뮬레이션 시 전체 구강 모델 영상들 및 CT 영상들 중에서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영상 및 CT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2)에는 개별 환자의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이 저장되어 있고, 특정 환자의 구강 모델 영상 및 CT 영상에 매칭되는 상측 치열의 영상 및 하측 치열의 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어부(14)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통하여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수립하고 임플란트 식립 계획에 따라 치아영상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4)는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보이는 화면정보를 구성한다. 치아영상은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 배열이 나타난 2차원(2D), 3차원(3D) 등의 다차원 영상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수술 계획에는 X-ray 영상, CT 영상, MRI 영상, 파노라믹 영상, 구강 스캔 영상, 재구성을 통해 생성된 영상, 복수의 영상을 정합한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이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단일 식립 모드 또는 다중 식립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 단일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다중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각각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진입된 자동 식립 모드에서 치아 분리를 통해 결손치 영역을 인식한다. 결손치 영역은 발치되거나 손상된 영역을 의미한다. 결손치 영역 인식을 위해 제어부(14)는 치아영상을 영상처리한다.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고,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한다. 이어서,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하고,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3의 1단계(치아 분리 단계)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환자의 구강 환경에 맞게 실제 식립하고자 하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정보를 결정한 후 결정된 식립 정보에 맞게 치아영상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고 시뮬레이션 한다. 식립 정보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위치, 각도, 높이, 넓이, 길이, 직경, 모양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잇몸뼈, 잇몸 마진, 인접치, 상악동, 신경관 및 골밀도 등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 결손치 영역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하여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함에 따라 주변 구조물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 반영되어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4)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한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방법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4)는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Bridge)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한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입력부(16)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6)는 단일 식립 모드 및 다중 식립 모드를 포함한 자동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다. 단일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해,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다중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해,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으로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입력부(16)는 제어부(14)에 의해 식립 정보가 결정되어 출력부(18)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픽스쳐를 포함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필요할 경우 미세조정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픽스쳐 위치 및 크기를 추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출력부(18)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출력부(18)는 영상 데이터(CT 영상, 구강 모델 영상, 파노라믹 영상 등)를 화면에 표시한다. CT 영상은 축 뷰(Axial View), 시상면 뷰(Sagittal View), 관상면 뷰(Coronal View)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8)는 임플란트 구조물 식립 결과를 화면 내 영상에 표시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한다. 출력부(18)는 자동 식립 모드 화면을 표시한다.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다중 모드 진입을 위해 이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식립 모드 진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영상, 예를 들어 파노라믹 영상(20)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200)을 사용자로부터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한다. 단일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선택신호는 결손치 영역(200)을 마우스 클릭하는 동작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지정된 결손치 영역에 픽스쳐, 어버트먼트, 크라운 등을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 후술되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단일 식립 모드에서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일 식립 모드를 통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프로세스를 보여주기 위한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단일의 결손치 영역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일 식립 모드의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으나, 모든 결손치 영역들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 식립 하는 다중 식립 모드에도 그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1단계에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자동으로 치아영역을 분리(Segmentation) 한다. 이를 위해, CT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한 후 뼈 부분이 제거된 CT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한다. 이때, 치아영상에서 경 조직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경 조직 영역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연 조직(Soft tissue), 공기(Air), 물(Water) 등을 제거하여 경 조직(Hard tissue)을 추출한다. 경 조직에는 치아(Teeth), 뼈(Bone), 임플란트(Implant) 등이 포함되며, 뼈는 목뼈, 턱뼈 등이 포함된다. 골밀도(Bone density),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하운스 필드 유닛(Hounsfield field Unit: HU) 등을 이용하여 연 조직, 경 조직 및 경 조직 내 뼈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뼈 부분이 제거된 개별 치아 별로 경계를 설정하여 각 치아영역을 분리한다.
이어서, 분리된 각 치아영역에 치식번호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각 치아영역의 중심점을 선정한 후, 선정된 중심점을 기준으로 가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치식번호는 FDI 넘버링 시스템(Federation Dentaire Internationale Numbering System)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국제적으로 치과의사들이 널리 사용하는 표기법이다. 자동 설정된 치식번호를 통해 치아가 줄지어 있는 차례 및 위치를 알 수 있다.
나아가, 분리된 치아영역에서 결손치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결손치 영역 추출 예를 들면, 치식번호가 설정된 각 개별치아의 중심점 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를 넘는 경우 해당 치아를 결손치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파노라믹 영상에서 치식번호가 설정된 각 개별치아의 중심점과 악궁 라인(Arch line)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간격을 넘는 경우 해당 치아를 결손치로 판단한다. 결손치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함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결손치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를 지정하지 않아도 모든 결손치 영역을 대상으로 자동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할 수 있다. 2단계부터는 결손치 영역을 대상으로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
2단계에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결손치 영역에 크라운(310)을 식립한다. 이때, 크라운(310)의 식립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결손치의 치식번호에 따라 크라운(310)의 모양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주변 구조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크라운(310)를 식립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지정된 치식번호 별로 인접치(300-1, 300-2)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310)의 넓이를 결정하며,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310)의 높이를 결정한다. 인접치(300-1, 300-2)는 결손치의 좌우 양쪽에 위치하는 치아이고, 대합치는 치아 물림을 기준으로 결손치와 상악 또는 하악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치아를 의미한다. 크라운(310)의 식립 위치는 픽스쳐(320)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픽스쳐의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3mm 위치에 크라운(310)을 배치한다.
3단계에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CT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 배치된 크라운(310)의 위치를 이용하여 픽스쳐(320)의 초기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픽스쳐(320)의 초기 위치는 크라운(310)의 축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즉, 픽스쳐(320)의 초기 위치는 크라운(310)의 중심 축과 동일한 중심 축을 가지고 크라운(3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그러나 잇몸뼈를 포함한 그 외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고려하여 픽스쳐(320)의 최종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크라운(310)의 중심 축과 픽스쳐(320)의 중심 축이 다를 수 있다.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4단계 내지 6단계를 거쳐 픽스쳐(320)의 주변 구조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픽스쳐(320)의 식립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한다. 4단계에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CT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환자의 픽스쳐(320)와 인접치(300-1, 300-2)와의 각도를 이용하여 픽스쳐(320)의 식립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 영상 또는 파노라믹 영상에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300-2)의 기울기(330)와 평행하도록 픽스쳐(320)의 기울기(340)를 결정한다. 인접치가 없는 경우는 다른 치아, 예를 들어, 식립된 또는 식립할 픽스쳐와 평행하도록 픽스쳐(32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320)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5단계 및 6단계에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번호별 식립된 픽스쳐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잇몸뼈, 골피질, 인접치, 인접한 픽스쳐 등의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고려하여 픽스쳐 위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픽스쳐(320)의 탑 방향으로 잇몸뼈 라인(350)과 픽스쳐(320)와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최소 1mm(360)가 되도록 픽스쳐(320)의 위치를 조정한다. 픽스쳐(320)와 근심면(Mesial) 방향으로 잇몸뼈 라인(350)과의 거리는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최소 1.5mm가 되도록 픽스쳐(32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6단계의 픽스쳐 위치 조정을 위해 5단계의 잇몸뼈 라인(350)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나아가, 골피질(Cortical bone)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픽스쳐 간 거리를 반영하여 픽스쳐(3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BCT 영상인 경우, 골피질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1.5mm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320) 위치를 조정한다. 인접치와는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1.5~2.0mm가 되도록 픽스쳐(320)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인접한 픽스쳐와는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3.0mm가 되도록 픽스쳐(320)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식립 모드 진입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영상, 예를 들어 파노라믹 영상(20)에서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자동으로 픽스쳐들을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4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로서 '임플란트 식립 버튼'을 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 형태 이외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표시될 수 있는 컨텍스트 메뉴(Context menu) 등 기존의 모든 인터페이스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400)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한다. 다중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각각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선택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0)를 마우스 클릭하는 동작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 모든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를 자동 식립 하는 기준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단일 식립 모드와 동일하다. 모든 결손치 영역은 도 3의 치아 분리를 통해 자동으로 추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식립 모드를 통해 모든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아영상에서 결손치 영역이 5개인 경우, 다중 식립 모드에서 모든 결손치 영역을 대상으로 픽스쳐(320-1, 320-2, 320-3, 320-4, 320-5) 및 크라운(310-1, 310-2, 310-3, 310-4, 310-5)이 자동으로 식립된다. 각 픽스쳐(320-1, 320-2, 320-3, 320-4, 320-5) 및 크라운(310-1, 310-2, 310-3, 310-4, 310-5)의 픽스쳐 식립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단일 식립 모드에서의 임플란트 구조물의 식립 프로세스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라운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들(300-1, 300-2)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310)의 넓이를 결정하고,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310)의 높이를 결정한다.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에는 다른 치아(예를 들어, 결손치의 동명치)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영상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시뮬레이션 시 다수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320-1, 320-2, 320-3)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320-2)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320-1, 320-2, 320-3)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310-1, 310-2, 310-3)을 연결하는 브릿지(700)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에 따라, 실제 시술 후 결과와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단일 식립 모드 및 다중 식립 모드 중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에 진입한다(S810). 단일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다중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각각 자동으로 식립 하는 모드이다. 단일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진입할 수 있다. 다중 식립 모드는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으로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진입할 수 있다.
이어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진입된 자동 식립 모드에서 치아 분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인식한다(S820).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고,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한 후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한다.
이어서, 치아영상 처리장치는 인식된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S830)하여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한다(S840).
예를 들어, 픽스쳐 식립 시,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결정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와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기울기를 포함한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잇몸뼈와의 거리, 골피질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인접한 픽스쳐 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크라운 식립 시, 위치가 결정된 픽스쳐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크라운을 배치할 수 있다. 인접치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의 넓이를 결정할 수 있다.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 다른 치아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실제 시술과 동일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치아영상 내 단일의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단일 식립 모드 및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각각 자동으로 식립 하는 다중 식립 모드 중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진입된 자동 식립 모드에서 치아 분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는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및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들을 자동으로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신호를 입력 받아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인식하는 단계는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하는 단계; 및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는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결정하는 단계;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와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기울기를 포함한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잇몸뼈와의 거리, 골피질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인접한 픽스쳐 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 식립 하는 단계는
    위치가 결정된 픽스쳐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크라운을 배치하는 단계;
    인접치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의 넓이를 결정하는 단계;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 다른 치아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은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계는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되,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8. 치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치아영상 내 모든 결손치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식립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지정된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모든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치아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획득된 치아영상을 대상으로 단일 식립 모드 및 다중 식립 모드 수행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분석하며 분석된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정보를 반영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및 시뮬레이션하는 제어부;
    소정의 자동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자동 식립 모드 화면을 표시하고 치아영상에 식립 결과를 함께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출력부는
    다중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치아영상 내 소정의 결손치 영역을 지정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단일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지정된 결손치 영역에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하고,
    입력부로부터 상기 다중 식립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면 다중 식립 모드에 진입하여 모든 결손치 영역에 대해 임플란트 구조물을 자동으로 식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치아영상에서 뼈 부분을 제거하고 뼈 부분이 제거된 치아영상에서 치아영역을 분리하는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분리된 치아영역에 미리 설정된 축 방향을 따라 치식번호를 지정하며
    치식번호가 지정된 치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결손치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지정된 치식번호에 맞게 픽스쳐의 직경을 결정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치의 길이를 반영하여 픽스쳐의 길이를 결정하고
    결손치 영역을 기준으로 근심면(Mesial) 방향의 인접치와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기울기를 포함한 각도를 결정하며
    잇몸뼈와의 거리, 골피질과의 거리, 인접치와의 거리 및 인접한 픽스쳐 간 거리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미리 설정된 간격이 되도록 픽스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위치가 결정된 픽스쳐 상단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에 크라운을 배치하고
    인접치 사이의 결손치 영역의 공간에 맞게 크라운의 넓이를 결정하고
    대합치의 교합 높이에 따라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며
    인접치가 1개 또는 없는 경우 다른 치아의 비율로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수 개의 크라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픽스쳐의 식립 개수에 따라 브릿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되, 치아영상에서 3개 이상의 픽스쳐가 연속으로 식립된 상태에서 중간의 픽스쳐가 삭제되면 각 픽스쳐와 대응되는 위치에 연속으로 식립된 크라운들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영상 처리장치.
PCT/KR2020/006138 2019-07-11 2020-05-11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WO202100647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46936.1A CN114096209A (zh) 2019-07-11 2020-05-11 通过自动植入牙植入物结构物的牙齿种植手术规划方法、为其提供用户界面的方法及其牙齿图像处理装置
US17/623,815 US20220246269A1 (en) 2019-07-11 2020-05-11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EP20836401.8A EP3998037A4 (en) 2019-07-11 2020-05-11 Implant surgery planning method using automatic placement of implant structure, user interface providing method therefor, and teeth image processing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33 2019-07-11
KR1020190083833A KR102232293B1 (ko) 2019-07-11 2019-07-11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6471A1 true WO2021006471A1 (ko) 2021-01-14

Family

ID=7411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138 WO2021006471A1 (ko) 2019-07-11 2020-05-11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46269A1 (ko)
EP (1) EP3998037A4 (ko)
KR (1) KR102232293B1 (ko)
CN (1) CN114096209A (ko)
WO (1) WO2021006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634B1 (ko) * 2021-01-25 2023-0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아 영상을 이용한 임플란트 자동 식립 방법 및 장치
KR102602121B1 (ko) * 2021-08-27 2023-11-1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CN115880286B (zh) * 2023-02-16 2023-06-27 极限人工智能有限公司 智能规划推荐口腔种植体的方法、系统、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825A (ko) * 2010-06-03 2011-12-09 신미정 의료용 영상장비를 이용한 치아 보철기구 제조 방법
WO2012004937A1 (ja) * 2010-07-07 2012-01-12 有限会社シエスタ インプラント設計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設計装置、並びにインプラント設計プログラム
KR20170077785A (ko) * 2015-12-28 2017-07-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12089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807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장착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90065590A (ko) * 2017-12-04 2019-06-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영역 선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4612A1 (en) * 2004-11-23 2007-11-15 Mount K T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and installing same
GB0514554D0 (en) * 2005-07-15 2005-08-24 Materialise Nv Method for (semi-) automatic dental implant planning
JP6262179B2 (ja) * 2014-12-05 2018-01-17 ディオ コーポレーションDio Corporation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施術のための手術ガイドおよび植立物の製造方法
KR101949199B1 (ko) * 2017-06-15 2019-04-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식립 플래닝 가이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2825A (ko) * 2010-06-03 2011-12-09 신미정 의료용 영상장비를 이용한 치아 보철기구 제조 방법
WO2012004937A1 (ja) * 2010-07-07 2012-01-12 有限会社シエスタ インプラント設計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設計装置、並びにインプラント設計プログラム
KR20170077785A (ko) * 2015-12-28 2017-07-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120890A (ko) * 2017-04-28 2018-11-07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807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장착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20190065590A (ko) * 2017-12-04 2019-06-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식립영역 선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98037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46269A1 (en) 2022-08-04
KR20210007409A (ko) 2021-01-20
EP3998037A4 (en) 2023-06-28
EP3998037A1 (en) 2022-05-18
CN114096209A (zh) 2022-02-25
KR102232293B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06471A1 (ko) 임플란트 구조물 자동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치아영상 처리장치
JP5671734B2 (ja) 顔面解析を用いた特注歯セットアップのコンピュータ支援作成
WO2020184875A1 (ko) 파노라믹 영상을 이용한 치아번호 선택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WO2019112301A2 (ko) 임플란트 식립영역 선정 장치 및 방법
WO2020184876A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임플란트 수술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영상 처리장치
WO2020189917A1 (ko) 임플란트 중심선을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계획 수립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WO2016003255A2 (ko) 환자맞춤형 치아교정 모의시술과 이를 통한 시뮬레이션 및 치아 교정장치 또는 치아교정 시술유도장치 제작방법
WO2014073818A1 (ko) 임플란트 영상 생성방법 및 임플란트 영상 생성 시스템
WO2021006472A1 (ko) 임플란트 시술 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골밀도 표시방법 및 그 영상 처리장치
WO2021157966A1 (ko) 딥러닝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치열 교정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WO2020204375A1 (ko) 교정치료용 아치라인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교정치료용 영상 처리장치
KR102248604B1 (ko)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WO2020204374A2 (ko) 사용자 맞춤형 템플릿 기반 수술 보고서 제공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48756A (ko) 교정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09496A1 (ko) 치아 오브젝트 검출 방법 및 치아 오브젝트를 이용한 영상 정합 방법 및 장치
WO2021006470A1 (ko) 임플란트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WO2021246673A1 (ko) 치료계획 수립을 위한 투명 교정기 설계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84982A (ko) 위험 인자를 고려한 픽스쳐 자동 식립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계획 방법 및 그 장치
KR102350098B1 (ko)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WO2021182754A1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WO2017105032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 계획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21235664A1 (ko) 상악동 거상술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WO2021107355A1 (ko) 픽스쳐 자동 선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디자인 장치
KR20230015630A (ko) 파노라믹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Silva-Dantas et al.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s of dental models scanned through 3d scanner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comparison with plaster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36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36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