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1218A1 -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 Google Patents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51218A1
WO2020251218A1 PCT/KR2020/007320 KR2020007320W WO2020251218A1 WO 2020251218 A1 WO2020251218 A1 WO 2020251218A1 KR 2020007320 W KR2020007320 W KR 2020007320W WO 2020251218 A1 WO2020251218 A1 WO 20202512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w
electrode
exchange membrane
pair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73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한기
정남조
최지연
남주연
좌은진
양승철
황교식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02512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512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element
    • F03G7/012Electro-chemical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22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chemically recovering salinity difference energy generated by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etween two solution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and to a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verse-electrodialysis (RED). .
  • Reverse electrodialysis refers to recovering the salinity difference or concentration difference energ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ixing two fluids having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example, seawater and freshwater in the form of electric energy.
  • RED reverse electrodialysis
  • RED reverse electrodialysis
  • It is a device that generates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electrodes (anode, cathode) at both ends of a stack in which exchange membran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generates electric energy through redox reactions on the electrodes.
  • biomimetic is one of the ways to solve problems scientifically by imitating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found in the natural world.
  • the honeycomb shape helps to solve various problems.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a building or the case of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a vehicle, there are cases of attempting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and strength by creating a honeycomb-shaped structure.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energy as the effective area where high and low concentration influent intersects is wider, and it has the greatest space efficiency within a given area and can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as material consumption decreases. .
  • the change in the concentration of fresh wat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stack, and the region that affects the power density can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in the stack according to the Nernst equation. (See Equation 1 below)
  • the first region (region I) is a region where low-concentration freshwater on the side of the freshwater inlet and high-concentration seawater on the side of the seawater inlet meet, and the power density is the highest.
  • the second area is the area where fresh water at the freshwater outlet side and seawater at the seawater inlet side meet.
  • fresh water flows in the stack, and in the process of flowing ions in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seawater) into a low concentration solution (fresh water)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fresh water having a higher concentration than fresh water at the freshwater inlet side
  • It is a region that meets with and has a lower power density than the first region.
  • the third area is the area where fresh water at the freshwater inlet side and seawater at the seawater outlet side meet.
  • seawater flows in the stack, and the concentration of seawater is lower than that of seawater at the seawater inlet side in the process of flowing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into the low concentration solution (fresh water). It is a region that meets with and has a lower power density than the first region.
  • the fourth region is a region where fresh water at the freshwater outlet side meets seawater at the seawater outlet side, and in the fourth region, seawater and fresh water flow in the stack, and ions in the high concentration solution (seawater) pass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low-concentration solution (fresh water), the power density is the region where the freshwater in the state of which th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freshwater inlet side and the seawater in the state whos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seawater in the seawater inlet side meet, and the power density is the lowest.
  • minimizing the fourth area i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stac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leakage of each incoming solution (low concentration solution, high concentration solution, electrode solution) in reverse electrodialysis (RED) and making it easier to assemble a stack.
  •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irst gasket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electrode portion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pair of first flow holes, a pair of second flow holes, and a pair of third flow holes disposed facing each other, the first to third flow holes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rst angle between the virtual first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and the virtual second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is It is less than 90 degrees, and the first gasket provides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having a flow guide portion connecting one of the pair of first to third flow holes.
  •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 plurality of second gaskets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e first to sixth flow holes sequential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virtual first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flow hole and the fourth flow hole, and the second The first angle between the flow hole and the virtual second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fifth flow hole is less than 90 degrees, and the second gasket is a flow connecting th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in a fluid manner. It provides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having a guide.
  •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ourth gasket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A portion,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120
  • the fourth gaske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on the first sid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other corner portions are shielded, and on the first sid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ne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is provided in which a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second corners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is shielded so that the remaining corners are shielded.
  •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ourth gasket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A portion,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120
  • the fourth gaske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on the first sid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other corner portions are shielded, and on the first sid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ne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each comprising a fluid flowing through only the pair of second edge portions and being provided in an anion exchange membrane such that the remaining edge portions are shielded; And a pair of first solution reservoirs, a pair of second solution reservoirs, and a pair of third solution reservoir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 the first solution reservoi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s mounted on the first corner side,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olution reservoir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side and mounted on the second corner side, respectively, and the third solution reservoi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mounted on the third corner side, respectively, one of the first to the third of the pair
  • the solution reservoir supplies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to the first to third corners, respectively, and in the remaining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the supplied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supplied at the first to third corners. It provides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provided to be discharged and received from the side.
  •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ourth gasket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ing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are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A portion,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120
  • the fourth gaske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on the first sid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other corner portions are shielded, and on the first sid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one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each comprising a fluid flowing through only the pair of second edge portions and being provided in an anion exchange membrane such that the remaining edge portions are shielded; And a pair of first solution reservoirs, a pair of second solution reservoirs, and a pair of third solution reservoir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s are provided.
  • the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high power density while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to the maximum bas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ior of a stack divided into four regions according to the Nernst equa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ode portion of FIG. 2.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 and the first gasket are in contact.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gasket of FIG. 2.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come an oxidation or reduction electrod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area formed inside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flow of first to third solution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lectrode of FIG. 12.
  • 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econd and third gaskets of FIG. 12.
  •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and third gaskets.
  • 16 to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flow of first to third solution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area in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0 and a fourth gasket are in contact.
  • FIG. 22(a) is a view in which FIG. 20 is assembled
  • FIG. 22(b) is a view illustrating an effective area formed in the interior of FIG. 20.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flow of first to third solution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5 is a view showing an interior divided into four regions according to the Nernst equation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connected in series.
  • FIG. 27 is a view showing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diagram showing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0 and 3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 3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that is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solution and a low concentration solution that is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solution are ion exchanged. Cations or anions in the high concentration solution selectively pass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du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across the membrane to produce electrochemical potential energy in the intersecting space.
  •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two solutions flow in a given space is efficiently designed so that the effective area has a hexagonal shape (hexagonal shape).
  • hexagonal shape hexagonal shape
  • saline' or'seawater' means a solution having a salt concentration of 35,000mg/L or more, which is a salt (mainly NaCl) concentration of seawater.
  • a salt mainly NaCl
  • 'Bradish water' may refer to a solution having a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000 to 10,000 mg/L
  • 'fresh water' may refer to a solution having a salt concentration of 0 to 1,000 mg/L.
  • the first solution may be an electrode solution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he electrode solution includes an electrolyte, for example, a low concentration solution or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include any one of, and may be fresh water, pure water, or an electrolyte solution having high ion conductiv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solution may be a low concentration solution having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for example, brackish water or fresh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rd solution may be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having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for example, salt water, sea water, brackish water, and a mixed solu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th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electrode portion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 and the first gasket are in contact
  •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gasket of FIG. 2.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unit 102 disposed apart.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230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agents disposed between adjacent two 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23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210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respectively. Includes 1 gasket 301.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 include a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a pair of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a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ree flow holes 213a and 213b, and the first to third flow holes 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are sequent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angle ( ⁇ 1) between the virtual first line segment (L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and the virtual second line segment (L2)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Is less than 90 degrees (°).
  • the first gasket 301 may include a pair of first to third flow holes 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or a pair of flow holes 211a, 211b or 212a, 212b or It has a flow guide 310 connecting the 213a and 213b.
  • each of the pair of first to third flow holes 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hat is, the cen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hey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of an effective area (reaction area or crossing area) in which the fluid flow path to be formed is formed.
  •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third line segment L3 and the first line segment L1 or the second line segment L2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is a first angle Likewise, it may be less than 90 degrees.
  • first to third line segments L1, L2, and L3 may be a line segment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flow hole in the width direction.
  • central portion (center)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may mean a point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first to third line segments cross each other.
  • the first angle may be less than 80 degrees, less than 70 degrees, or less than 60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60 degrees.
  • an angle between each of the first to third line segments may be equal to each other, and may each have 60 degrees.
  • the first gasket 301 has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320 connected to each of the flow holes so as to be fluidly movable at position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two pairs of flow holes.
  • the adjacent first gasket 301 may be disposed to be rotated at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 the second angle may mean an angle between each center line L0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 in the width direction.
  • each of the first gaskets 301 is directed toward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In turn, it may be arrange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 the second angle may have the same angle as the first angle.
  • the second angle may be 60 degrees.
  • the first gasket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 that are sequentially adjacent from the first electrode portion towar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based on the first gasket 3011a closest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 3012a, 3012b) may be arranged to be rotated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and in turn, the first gaskets 3013a, 3013b between the adjacent anion exchange membrane 230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 May be arranged to be rotated clockwise (forward) by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includes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And a first end plate 130 having three pairs of flow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first electrode 110 mount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end plate 130.
  •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includes three pairs of flow port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the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the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respectively. And a second end plate 140 having a second end plate 140 and a second electrode 120 mount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end plate 140.
  •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ly,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a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by a potential difference due to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mounted on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first end plate 130 and the second end plate 140, respectively.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plates 130 and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0 and 14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respectively locat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0 and 140. It can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0 and 140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130a and 140a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10 and 120 are disposed, respectively, It has a second surface (130b, 140b) opposite to the one surface.
  •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0 and 140 has a pair of first flow ports 111a and 111b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to be fluidly movable, respectively, and a pair of first flow ports 111a and 111b.
  • 2 A pair of second flow ports 112a and 112b that are fluidly connected to the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a pair of third flow ports that are fluidly connected to the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respectively introduced into one of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111a, 112a, and 113a of each pair, and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introduced Silver may be discharged from the remaining first to third flow ports 111b, 112b, and 113b of the pair, respectively.
  •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111a, 111b, 112a, 112b, 113a, and 113b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so that flui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 L12) and the angle between each of the virtual third line segment L13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air of third flow ports (113a, 113b) may have the same angle as the first angle, for example, 90 It may be less than degrees, particularly preferably 60 degrees.
  • Each of the electrodes 110 and 120 may be, for example, a porous electr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rst electrode 110 may be either an anode or a cathode
  • second electrode 120 may be the other of an anode or a cathode
  •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ion exchange membrane (cation exchange membrane or anion exchange membrane) disposed adjacent to each electrode and the arrangement of a flow path through which high and low concentration solutions flow. It can be determ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occurring at each electrode.
  • ion exchange membrane cation exchange membrane or anion exchange membran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come an oxidation or reduction electrode.
  • the ion exchange membranes disposed adjacent to each electrode side are the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a and 210c, and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the first electrode 110 ) From each of the ion exchange membranes in order to alternately flow the high-concentration solution and the low-concentration solution, the cations in the high-concentration solution (for example, Na+) pas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110 to pass the first electrode. It flows to the (110) side, and at this time, a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first electrode 110, so that the first electrode 110 becomes a cath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becomes an oxidizing electrode. .
  • the cations in the high-concentration solution for example, Na+
  • the ion exchange membrane disposed adjacent to each electrode side is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high concentration solution and a low concentration solution are formed between each ion exchange membrane from the first electrode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 major surface flow alternately in turn, (e.g., Cl -) anion in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is caused to flow toward the first electrode by the passing film anion exchanger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t this time, the oxidation reaction is to occur in the first electrode a first
  • the electrode becomes an oxidation electrode (An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comes a cathode electrode.
  • the second electrode from the first electrode main surface flow to the low concentration solution, and then alternating the high-concentration solution between each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e.g., Cl -) anion in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is passed through the membrane anion exchange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In this case,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in the second electrode, so that the second electrode becomes an oxidizing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becomes a cathode.
  • the ion exchange membrane e.g., Cl -
  • the number of ion exchange membrane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not limited, and the addi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does not affect the polarity of the electrod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olution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a first solution, a second solution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a second solution, and a third solution supply unit for supplying a third solution (Not shown) may additionally include, and each solution supply unit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of a pair provided on the first end plate or the second end plate, respectively, and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Each solution can be supplied to (10).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 are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in the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230. Can be.
  • a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an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a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an anion exchange membrane 230b, and a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may be arranged in this ord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each pair of first to third flow holes 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are each pair of first to third flow ports 111a, 111b, 112a, 112b, 113a , 113b) and may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o be fluidly movable.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may flow through the first to third flow holes 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s extending from each of the two flow port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s extending from each of the two flow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from 90 degrees (°) to 150 degrees ( °) or 100 degrees or more to 140 degrees or less, or 110 degrees to 130 degrees or less, or may be provided to have 120 degrees.
  • each flow port and flow hole ar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lane, thereby minimizing leakage and cross-contamination at the flow por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in and out.
  •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01 and 102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230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gasket 301, and contact an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It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pair of flow holes, so that the pair of flow holes can be fluidly connected.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0 of the first gasket 301 ar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two pairs of flow holes so as to limit the flow of fluid to the surface of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and each flow hole and It may be connected to be fluidly movable.
  • the remaining two pairs of flow holes mean the remaining flow holes that do not form the flow guide 31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gasket is in contact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ly, the through hole 320 The silver is formed to penetrate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gasket and is fluidly connected to the other two pairs of flow holes.
  • the length d2 between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uide 310 is a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211b or second flow holes 212a, 212b facing each other, or 3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flow holes 213a and 213b.
  • the flow guide 310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a fluid flow path provided to allow the introduced fluid to flow along the flow guide 310, contact the surface of an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and flow through the ion exchange membrane.
  • the flow guide 310 may be provided to have a rect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rough hole 320 may be dispos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s extending from each of the adjacent two through holes 320 is greater than 90 degrees to less than 150 degrees, and more preferably has an angle of 120 degrees. Can be provided.
  • the through hole 320, the angle between the virtual line segment (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s (320a, 320d and 320b, 320c) arranged to face each other may be less than 90 degrees, , In particular it can be 60 degrees.
  • the first gasket 301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rotated at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flow guide 310, thereby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 the flow guide portion 301 of the first gasket 30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60 degrees or 1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first gasket 301, respectively, thereby The flow path area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can be determined.
  •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is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in sequence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side.
  •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 is disposed to connect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the first electrode part
  • the flow guide portion of the first gasket 301 is a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 Can be arranged to connect.
  •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and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210a and 210c 1 The flow guide portions of the gaskets 3011a and 3011b may be disposed to connect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respectively.
  • a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A first flow path 401 through which the first solution flows is provided by the flow guide part 310 of the first gasket that connects ), and a first gasket that connects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 a second flow path 402 through which the second solution flows is provided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low guide 310, and in the flow interior 310 of the first gasket connecting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Accordingly, a third flow path 403 through which the third solution flows may be provided.
  •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ma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each solution flows.
  • a partial region (space) in which the first solution flows while in contact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To the first flow path 401, the second solution is in contact with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and a partial region (space) flow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402, the third solution is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 a partial area (space) in contact and flow may be defined (referred to) as the third flow path 403.
  • each of the through hole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and the third flow holes so as to be fluidly movable, and the first When the flow guide of the gasket connects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each of the through holes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and the third flow hole so as to be fluidly movable, and the flow guide of the first gasket is When connecting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each through hol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and the second flow holes so as to be fluidly movable.
  •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formed by the first gasket dis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s are also alternately disposed. If possible, the first gasket can be properly rotated and disposed.
  • Each of the above-described flow paths is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as much as the area of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when each of the first gaskets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a plural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It is provided by being formed.
  • the first solution is formed of the first gasket 301 forming the first flow path 401. Af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310, it is discharged to the facing first flow port 111b.
  • the second solution passes through each of the passage holes of the remaining first gasket and the passage hol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hat do not form a second flow path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ow port 112a,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Af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portion of the first gasket to be formed, it is discharged to the second flow port facing through each through hole.
  • the third solution passes through each of the passage holes of the remaining first gasket and the passage hol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hat do not form a third flow path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rd flow port 113a,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Af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portion of the first gasket to be formed, it is discharged to a third flow port facing each passing hol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area 400 formed inside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ing regions that each flow guide portion intersect and overlap have a hexagonal shape.
  • the effective area 400 as the area where the first to third passages 401, 402, and 403 overlap is a hexagonal shape. Will have.
  • the crossing region refers to a region in which each ion exchange membrane dispos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flow paths can be selectively passed by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a solution (fluid) flowing through each flow path. It can mean the effective area (intersection area or reaction area) that affects the output (power density) during production.
  • the crossing region may have a regular hexagonal shape.
  • a spacer (not shown) that serves to improve the movement of ions onto the ion exchange membrane by making the flow of the fluid non-uniform and forming a swirl is provided on each flow path.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the spacer serve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layer on the surfac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the flow rate,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 a spacer may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deform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0 may be assembled by combining a first end plate and a second end plate using a bolt 501 or the like.
  • a plurality of bolts 501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each flow port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 the bolt 501 is a reg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401 and the second flow path 402 when the first flow path 401 to the third flow path 403 are projected (orthogonally projected) on the same plane, Since they are disposed in the region between the second flow path 402 and the third flow path 403 and the region between the third flow path 403 and the first flow path 40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do not require a strong force when assembling the bolt. 2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compression deformation of a plural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spacers, and gaskets disposed between the end plates 130 and 140.
  • each bolt 501 is arranged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bolts on a concentric circle has the same angle, that is, has a conformal angle, so that the bolts can be assembled at the same pressure, so that a plural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spacers, and gaske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mpression deformation of the back.
  • the number of bolts 501 is preferably 6,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S. 9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flow of first to third solution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to third solution supply units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of the first end plate 101 to supply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 the first and second en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third solution supply units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the plates 101 and 102 to supply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respectively from both sides.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solution supply units (not shown) to one of the pair of first to third flow ports 111a, 112a, and 113a, respectively.
  • the firs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port 111a passes through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1a and passes through I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exchange membrane 210a, and some of the first solution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1a.
  • One flow path 401 is flow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ow port 111b,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first solution flows through the first flow hole 211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 the flow guide 310 flows toward the first flow hole 211b facing from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the first flow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It flows through the flow hole 211b.
  • the first solution passing through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s 320c and 320b of the first gasket 3012a, respectively,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 230a) is introduced into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 the first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is through holes 320a and 320d of the first gasket 3013a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 the through holes 320a and 320d of the 3013b and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211a and 211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are respectively passed through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1b.
  • a pair of first flow ports of the second end plate 140 by flowing the first flow path 401 form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20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mounted inside the end plate 140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111a, 111b).
  • the second solution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ort 112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0a of the first gasket 3011a. It passes through and flows into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 the secon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passes through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2a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hol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212a), and some of the second solution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402 formed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2a. It flows through the second flow hole 212b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2 After flowing from the second flow hole 212a sid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toward the second flow hole 212b side by the flow guide 310,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2 It flows through the flow hole 212b. At this time, referring to the dotted arrow, a portion of the second solution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flow hole 212b and the first flow hole 212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hole 212b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Each passing through the gasket through holes 320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flow port 112b of the first end plate 130.
  • the second solution passing through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s 320b and 320c of the first gasket 3013a to pas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2b After flowing into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212a and 212b, and formed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b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2b.
  • a pair of second flow ports of the second end plate (14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port.
  • the third solution flowing into the third flow port 113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0b of the first gasket 3011a. It passes through and flows into the third flow hole 213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 the third solution flowing into the third flow hole 213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 320a of the first gasket 3012a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hole 213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
  • the thir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third flow hole 213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passes through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3a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flow hol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213a), and some of the third solution flow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403 formed betwee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3a. It flows through the third flow hole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 the third flow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It flows through the flow hole 213b.
  • some of the third solution is the third flow hole 213b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connected to the third flow hole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and the first gasket 3012a.
  • the third flow port of the first end plate 130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20d of the, the third flow hole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and the through hole 320c of the first gasket 3011a, respectively. 113b)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third solution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320a and 320d of the first gasket 3012b to pass through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b.
  •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3b After flowing into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and formed betwee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b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by the flow guide 310 of the first gasket 3013b. It flows through the flow path 403 and flows into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 the third solution flowing into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213a and 213b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c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s 320b and 320c of the first gasket 3011b,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nd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pair of third flow ports 113a and 113b of the plate 140.
  •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respectively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flow ports 112a and 113a of the first end plate 130 are the second and third flow ports 112a and 113a.
  • the second solution It is arranged to flow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and the third solution is arranged to flow through the third flow path.
  • the first solution directly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o that the electrolyte in the first solution causes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on each electrode to generate electricity.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of FIG. 12
  • FIG. 14 is a second and second diagram of FIG. A front view showing a third gasket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second and third gaskets are in contact.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unit 102 disposed apart.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230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101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 an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210 and 230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askets 302 that are respectively disposed.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 each have first to sixth flow holes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which are sequentially loc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 Virtual first line segment L21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1 flow hole 211a and the fourth flow hole 211b, and the virtua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hole 212a and the fifth flow hole 212b, respectively.
  • the first angle ⁇ 2 between the second line segment L22 of is less than 90 degrees, and the second gasket 302 is capable of fluid movement through th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It has a flow guide 311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air of first flow holes, the pair of second flow holes, and the pair of third flow hole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fourth flow holes, the second and second flow hole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5 flow hole and the third and sixth flow holes.
  • the second gasket i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respectively, and the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2a, 211b, 213b and each of the second gaskets allow fluid movement.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321; 321a, 321b, 321c) to be connected.
  • the adjacent second gasket disposed between the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may be disposed in a state rotated at a predetermined third angle.
  • each second gasket 302 is a second electrode unit 102. It may be arranged in a state rotated at a predetermined third ang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urn toward the side.
  • the third angle may have the same angle as the first angle.
  • the third angle may be 60 degrees.
  • the second electrode part 102 includes first to sixth flow ports 111a, 112a, 113a, 111b connected to the first to sixth flow holes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respectively, And a second end plate 141 having 112b and 113b and a second electrode 120 mounted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end plate.
  •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pair of first flow ports, the pair of second flow ports, and the pair of third flow ports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fourth flow ports, the second and second flow ports in the second embodiment. It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5 flow ports and the third and sixth flow ports.
  • first end plate 131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105 and a discharge port 106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fluid toward the first electrode 1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end plate 141 In the second electrode 120, an inlet port 105 and an outlet port 106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 fluid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s 210a and 210c disposed adjacent to the respective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 And a third gasket 303 disposed between each.
  • the third gasket 303 includes a flow guide 312 and first to sixth flow holes 211a, 212a, 213a, and a flow guide part 312 provid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10 or the second electrode 120. 211b, 212b, 213b) an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to sixth flow holes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an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322; 322a,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fluid movement. 322b, 322c, 322d, 322e, 322f).
  • the flow guide 312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an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 a predetermined space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is formed by the flow guide portion 312 of the third gasket 303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disposed adjacent to each electrode.
  • the first solution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flows through the flow guide 312 of the third gasket and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generate electricity.
  • the first electrode part 101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02 is based on the first electrode part 101 side.
  •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a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which are sequentially arranged toward the side of the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2a, 211b, 213b) are arranged to connect.
  •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b i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which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toward the second electrode part. , And arranged to connect the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 the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2a, 211b, 213b The second flow path 502 through which the second solution flows is provided by the flow guide of the second gasket connecting the second gasket, and the second flow path 502 connects th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 a third flow path 503 through which the third solution flows is provided by the flow guide of the gasket, and when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flow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respectively, the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are Electricity can be produc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 the second solution flows into the second flow port 112a,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low port 112a,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low port 112a, the through hole 322b of the third gasket A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holes 212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in turn, and when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path 502, the second solution flowing into the second flow hole side of the second flow path is passed along the flow path guide 311
  • the flow may be branched toward the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1b and 213b.
  • the third solution flows into the first flow port 111a,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ow port 111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ort 111a, the through hole of the third gasket ( 322a), the passage hole 211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the passage hole 321a of the second gasket 302a connecting the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and the passage hole 211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 the third solution flowed into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third flow path 503, the third and third solutions along the flow path guide 311 5
  • the flow may be branched toward the flow holes 213a and 212b.
  • the plurality of second gaskets 302 disposed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a first gasket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in the first embodiment ( 3012a, 3012b, 3013a, 3013b) can be used in place of.
  • the third gasket 303 may be used instead of each of the first gaskets 3011a and 3011b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 the first embodiment.
  •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1 and 141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ide, so that the first solution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 One solution inlet port 105 and a first solution outlet port 106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and the first solution outlet port 106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and the first solution outlet port 106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1 and 141, respectively.
  • the first solution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fluidly connected to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to supply the first solution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1.
  • the first solution flowing into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respectively, and then the first solution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olution discharge port 106.
  •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may includ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or second,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2a, 211b, 213b) It may be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asket so as to surround it.
  • the flow guide part 311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a fluid flow path provided so that the introduced fluid flows along the flow guide part 311 and the positive ions or negative ions contained in the introduced fluid selectively pass through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 the plurality of passage holes 321 of the second gasket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flow of fluid onto the surface of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 two adjacent passage holes 321a, 321b or 321b, 321c or 321a, 321c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 holes 321 are angles ( ⁇ ) between the virtual extension lines L4 extending from each passage hole. ) May be arranged to have an angle of 50 degrees (°) or more to 70 degrees (°) or less, and more preferably to have an angle of 60 degrees (°).
  • each of the through holes is th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respectively, and when the flow guide portion of the second gasket connects the first, third and fifth flow holes 211a, 213a, 212b, each of the through holes
  • the fourth and sixth flow holes 212a, 211b, and 213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allow fluid movement
  • the through holes of the third gasket are the first to sixth flow holes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and Each is connected to enable fluid movement.
  • the second gasket 302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flows by varying the arrangement of the flow guide 31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flow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1 can be determined, and the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have a cross flow between each ion exchange membrane. I can.
  • second and third flow paths 502 and 503 formed by a second gasket dispos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s are also The second gasket 302 may be properly rotated and disposed so as to be alternately disposed.
  • Each of the above-described flow paths 502 and 503 is a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when each second gasket 302 is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a plural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It can be provid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as much as the region, and the flow of the third gasket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s 210a and 210c adjacent to the third gasket 303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portions 101 and 102 It can be provid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as much as the area of the guide part 312.
  • the flow path formed by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 the fluid flows into one of the three through-holes of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and flows toward the remaining two through-holes.
  •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 By being formed wide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essure loss inside the flow path.
  • the flow guide portion 311 of the second gasket 302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60 degrees (°) around the central axis, and arranged to determine the flow path region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I can.
  • the second gasket 302 formed to surround the three flow holes of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forms a flow path so that the fluid flowing into one of the three flow holes flows toward the remaining two flow holes,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fluid at the inlet and outlet to reduce the pressure loss.
  • FIGS. 16 to 18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flow of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 the first solution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1 and 141, respectively, to supply the first solu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are supplied to the first end plate 131 ) Of the second and first flow ports 112a and 111a, respectively, to supply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but the second and thir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1 and 141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olution supply units may be connected respectively to supply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respectively from both sides.
  • the first solution flowing into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105 flows in the flow guide part 312 of the third gasket 303. After that,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olution discharge port 106.
  • the secon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second flow port 112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2a of the third gasket 303a.
  • the secon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a passes through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1a and enters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Flow in.
  • the secon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 321a of the second gasket 3021b and the second flow hole 212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After passing in order, af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of the second gasket 3022a, passing through each through hole toward the first electrode sid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fourth and sixth flow ports 111b and 113b. have.
  • the third solution flowing into the first flow port 111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22a of the third gasket 303 and passe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 the second gasket 3021b After flowing into the first flow hole 211a of 210a, the passage hole 321a of the second gasket 3021a, and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the second gasket 3021b It passes through the flow guide 311 and flows into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 some of the third solution flows along the flow guide 311 of the second gasket 3021b to the third and fifth flow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a toward the first electrode.
  • the fifth passage holes 322c and 322e in turn, respectively, and discharged to the third and fifth flow ports 113a and 112b of the first end plate 131.
  • the third solution introduced into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b passes through the passage hole 321a of the second gasket 3022a and the first flow hole 211a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b. After passing in sequence, after flowing along the flow guide of the second gasket 3022b, passing through each through hole toward the first electrode sid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third and fifth flow ports 113a and 112b. have.
  • the first solution directly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o that the electrolyte in the first solution causes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on each electrode to generate electricity.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ffective area 410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ach flow guide The intersection area 410 where the portions 311 and 312 cross and overlap has a hexagonal shape.
  • the first angle is 60 degrees
  • the crossing area may have a regular hexagonal shape.
  • the phosphorus effective area 410 has a hexagonal shape.
  • a spac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flow paths.
  •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1 and 12 have six corners 1a, 1b, 2a, 2b, 3a, 3b, That is, it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surrounded by three pairs of corners (1a, 1b, 2a, 2b, 3a, 3b) facing each other, and flow ports 111a, 112a, 113a, 111b, 112b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 113b)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f the six corners.
  • the width w1 of each of the flow ports 111a, 112a, 113a, 111b, 112b, and 113b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w2 of each corner. That is, when each flow port is projected toward each edge, the length of the width of each flow port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edge.
  • each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a, 210b, and 210c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230a, 230b also has six corners 1a, 1b, 2a, 2b, 3a, 3b, that is, each It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surrounded by three pairs of facing edges (1a, 1b, 2a, 2b, 3a, 3b), and each flow hole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has six They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corner.
  • the width w1a of each of the flow holes 211a, 212a, 213a, 211b, 212b, 213b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each corner w2a. That is, when each flow hole is projected toward each edge, the length of the width of each flow hole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edge.
  • the first to third gaskets 301, 302, and 303 also have six corners (1a, 1b, 2a, 2b, 3a, 3b), that is, facing each other. It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surrounded by three pairs of corners (1a, 1b, 2a, 2b, 3a, 3b), and is formed in each gasket to allow fluid to flow in and out of each through hole (320a, 320b, 320c, 320d, 321a, 321b, 321c, 322a, 322b, 322c, 322d, 322e, 322f) and the flow guides 310, 311, and 312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six corners, respectively.
  • the width (w1b) of the passage holes (320a, 320b, 320c, 320d, 321a, 321b, 321c, 322a, 322b, 322c, 322d, 322e, 322f) and the width (w1c) of the flow guides (310, 311, 312) )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each edge (w2b)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when projecting each flow guide and through hole toward each edge, the length of the width of each flow guide a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edge.
  •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2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FIG. 20 and a fourth gasket are in contact
  • FIG. 22(a) is FIG. 20 is an assembled view
  • FIG. 22(b) is a view showing an effective area formed in the interior of FIG. 20.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2 is a flow path introduced through each of the flow port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01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formed so as to flow into the side. Accordingly, hereinafter, components that are not separately mentioned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2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1010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1010,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unit 1020.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0a, 2100b, 2100c)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2300a, 2300b)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1010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020, respectively.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re each of the first surface 21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t may have a second side 23.
  • the first surface 21 and the second surface 23 are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corner portions 11a and 11b facing each other,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12a and 12b, and a pair of It has three corner portions 13a, 13b, and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11a, 11b, 12a, 12b, 13a, 13b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irst corner portions 11a, 11b
  • the angle between the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s 12a and 12b is 120 degrees.
  • the fourth gasket 304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llows fluid to flow through only a pair of third corners 13a and 13b, and the remaining corners 11a, 11b, 12a, 12b are shielded. I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second edge portions 12a and 12b on the first side 21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remaining edge portions 11a, 11b, 13a, 13b It may be provided 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be shielded.
  • the fourth gasket 304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 the fourth gasket 304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1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a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010, through only a pair of first corner parts 11a and 11b. I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a so that the fluid flows and the remaining corners 12a, 12b, 13a, 13b are shielded, and on the second surface 23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c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 It may be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c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first edge portions 11a and 11b and the remaining edge portions 12a, 12b, 13a, and 13b are shielded.
  • the fourth angle ⁇ 4 between the four line segments L32 may be less than 90 degrees.
  • the fourth angle may be 60 degrees.
  • the fourth gasket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ir of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11a, 11b, 12a, 12b, 13a, and 13b, respectively, on the side of the adjacent two pairs of corner portions.
  • the adjacent fourth gasket 304 may be disposed in a state rotated at a predetermined fifth angle.
  • the fourth gasket betwee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0 which are sequentially adjacent from the first electrode portion towar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based on the fourth gasket 304 closest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side ( 304) may be arranged to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fifth ang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verse direction), and the fourth gasket 304 betwee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2300 and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2100 adjacent in turn is clockwise ( It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fifth angl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disposed.
  • the fourth angle may be the same as the fifth angle, and in particular, the fifth angle may be 60 degrees.
  • the first electrode unit 1010 includes a first end plate 1011 and a first electrode 1100 mount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end plate
  •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0 is a second electrode unit 1020. It includes an end plate 1021 and a second electrode 1200 mount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end plate, and the first electrode 110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 first electrode 110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0 may be inserted and mounted on predetermined regions of the first end plate 1011 and the second end plate 1021, respectively, and each end plate ( 1011, 1021)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electrode portion.
  •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010 and 1020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first surface 1010a and 1020a and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1100 and the second electrode 1200 are respectively disposed It has a second surface (1010b, 1020b)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first end plate 1011 and the second end plate 1021 may have a shape in which each flow port is not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130 and 14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ve.
  • the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2100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2300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each other in order, and at least one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a second solution flow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101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0
  • One or more third flow paths 409 through which the 408 and the third solution flow may be partitioned.
  • first electrode may be either an anode or a cathode
  • second electrode 1200 may be the other of an anode or a cathode
  • anode and cathode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fourth gasket 304 When the fourth gasket 304 is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f the ion exchange membranes, the fluid flows toward the first edge portions 11a, 11b, that is, the second and third edge portions 12a, 12b, 13a, 13b)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corner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does not flow into the side, that is, so that the fluid flows toward the second corner, that is, the first and the first 3
  •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pair of first and third corners so that fluid does not flow into the corner, or the fluid flows toward the third corner,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It may be provided to be disposed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fluid does not flow into the corner.
  • the fourth gasket 304 has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wo adjacent corners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is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ly' ⁇ ' shape to form a pair It may be disposed to shield th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of the, or the pair of second and third corner portions, or the pair of first and third corner portions, respectively.
  • the fluid flows into the first corner, the second corner, or the third corner by the fourth gasket 304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
  • a fluid flow path that flows and discharges may be formed.
  • the fourth gasket 304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pair of the second and third corner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oward the first corner and is plac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 a partial region (space) in contact and flow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flow path 407 and the pair of the first and third corner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fluid flows toward the second corner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 a partial region (space) in contact with the bed (surface) and flowing is disposed on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flow path 408 and th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to form a fluid toward the third corner.
  • a portion (space) that flows and contacts the ion exchange membrane (surface) and flows may be defined (referred to) as the third flow path 409.
  • a first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passage 407 to flow
  • a second solu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passage 408 to flow
  • the third passage 409 may The third solution may flow in and flow.
  • a first flow path 407 through which the first solution flows may be provided by the fourth gasket 304 disposed so as to flow and the remaining corner portions 12a, 12b, 13a, and 13b are shielded.
  •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second corners 12a and 12b, and the second solution flows through the fourth gasket 304 disposed so that the remaining corners 11a, 11b, 13a, and 13b are shielded.
  • a fourth gasket (a second flow path 408) is provided, and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third edge portions 13a and 13b and the remaining edge portions 11a, 11b. 12a, 12b are shielded.
  • 304 provides a third flow path 409 through which the third solution flows, and when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flow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flow paths 408 and 409, respectively, the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Electricity can be produced by the potential difference caused by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 the crossing regions 420 where each flow path crosses and overlaps has a hexagonal shape.
  • the crossing region 420 has a regular hexagonal shape.
  • the fourth gasket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flow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n this case, the effective area in which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that affect the power density in the stack intersect is You will have a hexagon.
  • a spac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on each of the flow paths.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flow of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of FIG. 20 It is a drawing shown for.
  • a plurality of ion exchange membranes, gaskets, and spacer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plate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tacked and assembled using bolts or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ach pair of first to third solution storage tanks 801, 802, and 803 provide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 the pair of first to third solution storage tanks 801a, 801b, 802a, 802b, 803a, and 803b are, respectively, a pair of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11a, 11b, 12a, 12b, 13a , 13b) may be provided to supply and discharge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respectively.
  • the first solution flows into and flows toward one of the pair of first corner portions 11a and is discharged toward the facing first corner portion 11b
  • the second solution includes one of the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 After flowing into the 12a) side and flowing, it is discharged toward the facing second corner portion 12b
  • the third solution flows into one of the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13a and flows, and then the facing third corner portion ( It can be discharged to the 13b) side.
  • Each of the solution reservoirs may be provided to extend along an end of the second end plate fac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nd plate.
  • One solution storage tank 801a, 802a, 803a or 801b, 802b, 803b of each of the pair of solution storage tanks 801,802,803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solution supply units (not shown) to be fluidly moved, Each solution can be fed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2.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supplied from the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801a, 802a, and 803a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respectively.
  • the first flow path 407 formed by the fourth gasket flows and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It may be discharged to the facing first solution storage tank 801b.
  • the third solution when the third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third solution reservoir 803a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when the third solution flows through the third flow path 409 formed by the fourth gasket, the third solu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econd solution. Since it is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cations and anions in the third solution pass through each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o flow into the second solution,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facing third solution storage tank 803b.
  • the second solution discharged to the second solution storage tank 802b during the above process may have a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 than the second solution supplied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 the third solution discharged to the third solution storage tank 803b may have a relatively lower concentration than the third solution supplied into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 the discharged second solution and the third solution may be brackish water, respectively.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2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nd uses the first to third corner sides as fluid inlets,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Each inlet is formed to have an angle of approximately 60 degrees.
  • the flowing fluids also have a cross flow so that they have an angle of 60 degrees to each other.
  • the effective area where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cross also has a hexagonal shape.
  • each effective area according to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xagonal shape so that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have an angle of 60 degrees to each other by the respective gaskets.
  • 25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divided into four regions according to the Nernst equation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 11, and 12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
  • the first area (area I)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power density forms a larger area
  • the fourth area which is the area with the lowest power density
  •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have a hexagonal shape corresponding to each effective area, and have an area equal to the effective area (corresponding area). It can be 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output density.
  •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0 and 11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connected in series.
  • each includes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end plate of each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is adjacent to The second end plate of the other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is mounted to be fluidly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of the first end plate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end plate of the second end plate. To the third flow por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fluid movement.
  • each includes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e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end plate of each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includes other living bod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econd end plate of the mim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is mounted to be fluidly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o sixth flow ports of the first end plate are the first to sixth flows of the adjacent second end plate.
  • Each of the ports may be fluidly movably connected.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is the first to third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a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a, 10c, which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serial connection state.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supplied through the flow ports, they flow through the passage holes of the gasket and the first to third flow hol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luidly movable, and other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connected in series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flow ports of 10b and 10c).
  • the first and second flow ports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1a among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1a and 11c provided at both ends in a serial connection state.
  • the third and second solutions are respectively supplied through, the flow through the passage holes of the gasket and the first to sixth flow hol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10b connected in series.
  •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are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low ports of 10c).
  • the first solution inlet port and the first solution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first solution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re side surfaces of each end plate. Each can be formed on the side.
  • FIG. 27 is a view showing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connected in series.
  • the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includes: a first electrode uni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ourth gasket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Includ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e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each have a pair of first corner portions,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ar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laced in succession.
  •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is 120 degrees, and the fourth gasket allows fluid to flow through only a pair of third corners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remaining corners are shielded. It is provided in a cation exchange membrane.
  •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a pair of second edge portions, and each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is provided so that the remaining edge portions are shielded.
  • the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And a pair of first solution reservoirs, a pair of second solution reservoirs, and a pair of third solution reservoir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to and from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respectively. do.
  • the first solution reservoi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is mounted on each of the first corners, and the second solution reservoir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 the third solution reservoi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second edge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rner, and the third solution reservoir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length and mounted on the third corner, respectively,
  • the storage tank supplies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to the first to third corners, respectively, and in the remaining first to third solution storage tanks, the supplied first to third solutions are supplied to the first to third corners. It may be provided to be discharged from and received.
  • Each of the pair of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801a, 801b, 802a, 802b, 803a, 803b is a longitudinal direction (L) of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 12a, 12b, 12c) connected in series. ) Can be provided to extend along.
  • each solution reservoir is along each end plate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a, 12c provided at both ends. It can be provided to be extended.
  •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 (12a, 12b, 12c) connected in series may be respectively mounted to surround the first to third corners of each.
  • FIG. 28 is a diagram showing a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may b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are connected in parallel.
  • the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includes: a first electrode uni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cation exchange membranes and anion exchange membranes alternate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a plurality of fourth gasket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Includes.
  •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each have a first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Having a pair of second corner portions and a pair of third corner portions, the first to third corner por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120 degrees,
  • the fourth gasket is provided on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fluid flows through only the pair of third edge portions on the first surface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remaining edge portions are shielded.
  •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each comprising a fluid flowing through only a pair of second edge portions and provided i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remaining edge portions are shielded; And a pair of first solution reservoirs, a pair of second solution reservoirs, and a pair of third solution reservoir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to and from a plurality of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respectively.
  • two biomimetic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es adjacent to each other via respective solution reservoirs may be fluidly connected.
  •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s 12 are, for example, a first stack 12a, a second stack 12b, and a third stack ( 12c), the fourth stack 12d, and the fifth stack 12e will be described.
  • the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module may be mounted to connect one edge side of two adjacent stacks, respectively.
  • two adjacent stack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each solution storage tank, and one 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ank may be connected to any one stack,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any other stack.
  •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olution reservoirs may be connected to one corner side of the stack,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any one corner side of the other stack.
  • one side of the third solution storage tank 803b of the first stack 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stack 12a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ack 12b to mediate the third solution storage tank 803b.
  • the first stack 12a and the second stack 12b may be connected.
  • one side of the second solution storage tank 802b of the first stack 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stack 12a,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hird stack 12c through the second solution storage tank 802b.
  • the first stack 12a and the third stack 12c may be connected.
  • first solution storage tank 801b of the first stack 12a may connect the first stack 12a and the fourth stack 12d.
  • the first solution is a first solution reservoir 801b facing along a flow path in the stack.
  • the first solution may be supplied from the first solution storage tank 801b to the fourth stack 12d.
  • the first solution supplied from the first stack 12a can be supplied into another stac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rst solution is not separately supplied to each stack.
  • the second and third soluti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stack 12a are discharged to the facing second and third solution reservoirs 802b and 803b, the second solution is supplied into the third stack 12c. And the third solution may be supplied into the second stack 12b.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nect a plurality of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parallel.
  • each of the first to third solution supply tanks is not mounted at each corner to surround the stack, but when a plurality of stacks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y are disposed between and between the stacks, so that each stack can be connected. .
  • 2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olution reservoirs 900 formed to extend along a length direction of each stack and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to store fluid therein.
  • the first to third solutions described above may be appropriately supplied to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
  • the solution reservoir 900 may be provided in a hexagonal column shape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for example, and different stack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fluid movement at each corner side.
  • a first stack 12a may be connected to one corner 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a
  • a second stack 12b may be connected to another corner side
  • another corner The third stack 12c may be connected to each side.
  •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a is provided with the solutions stored in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a to the stacks 12a, 12b, 12c, 12d, 12e, 12f connected to each corner side of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a. I can.
  • a solution may be supplied to six stacks each connected around the solution storage tank 900a.
  • seawater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tacks 12a, 12b, 12c, 12d, 12e, and 12f.
  • the ion exchange membranes 210, 230, 2100, and 2300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ttern-type ion exchange membranes capable of reducing pressure in the above-described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 a spacer may be dispos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which is a flat membrane, or a pattern-type ion exchange membrane 50 described below in which a pattern protruding from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forme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which is a flat membrane, without using a spacer. I can.
  • spacers are us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and secure a flow path of influent water, but there is a problem of reducing the amount of output obtained by reverse electrodialysis by increas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resistance and the outflow water.
  •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to be described later as the ion exchange membra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has an effect of obtaining higher output than a flat membrane.
  • each of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includes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member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guide the flow of flui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wherein the protrusion members extend based on an imaginary reference line, and cross the reference line multiple times along the reference line in different directions.
  • Patterned ions having a curved portion and having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intersections among a plurality of intersections crossing the reference line and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protruding member within the distance is 3 to 8:1 It can be an exchange membrane.
  • FIGS. 30 and 3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ttern-type ion exchange membrane 5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ding members 700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guide the flow of fluid on the ion exchange membrane 600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600. Include.
  • the ion exchange membrane 600 may be formed of an ion exchange resin.
  • the ion exchange membrane 600 is a conventional cation resin or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10 when the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10 is a cation exchange membrane.
  • an anion exchange membrane it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anion resin.
  • the thickn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600 may be 10 to 50 ⁇ m, preferably 10 to 20 ⁇ m, more preferably 15 to 17 ⁇ m or 16 ⁇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otrusion member 700 provides a function of patterning a microstructure (protrusion member) on an ion exchange membrane to replace a conventional spacer to maintain a gap between adjacent ion exchange membranes, as well as a plurality of A channel or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through the protruding member 700 is provided.
  • the protrusion member 700 extends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K, and includes curved portions curved in different directions along the reference line K to cross the reference line K a plurality of times.
  • the distance r1 between two adjacent intersections among the plurality of intersections P intersecting the reference line K, and between the reference line K and the protruding member 700 within the distance r1 The ratio of the maximum distance r2 may be 3 to 8:1.
  • the protrusion member 700 extends from the first curve 711 and the first curve 711 cur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K, and the first direction It includes a second curve 712 curved in a second direction d2,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to (d1).
  • the plurality of intersection points P may mean an inflection point that changes from the first curve 711 to the second curve 712 or a inflection point that changes from the second curve 712 to the first curve 711, and the first And a start point or an end point of the second curves 711 and 712.
  • the distance r1 between the two adjacent intersection point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stance r1
  • the reference line K and the protruding member 700 within the first distance r1 The maximum distance r2 between them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interval r2.
  • the second interval r2 may be defined as a length from a reference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intersection points P to a maximum point of the first curve 711 or the second curve 712.
  • first interval r1 and the second interval r2 may have a ratio of 3 to 8:1.
  • the first and second curves are not formed, but appear in a form close to a straight line.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first interval r1 may refer to a length of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tart point to the end point of each of the first curve 711 or the second curve 712 based on the reference line
  • the second interval r2 is Each of the first curve 711 or the second curve 712 is a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the first curve 711 and the second curve 712 at the center point of the straight line section connecting the end point It can mean the length of the section.
  • the first spacing r1 may be 3mm to 8mm, and in this case, the second spacing r2 may be 1mm to 3mm.
  • the distance d between the adjacent two protruding members 700 may have a range of 0.5mm to 3mm.
  • the distance (d) between each of the adjacent two protruding members 700 is less than 0.5 m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in the actual process, and when it exceeds 3 mm, the protruding member 700 is not formed.
  • the area between the adjacent two protruding members 700 also referred to as a flow path or channel through which a fluid flows
  • a problem of blocking the fluid flow path occurs when the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is stacked.
  • the protruding member 700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w) and height (h), a width (w) of 0.05 mm to 3 mm, a height (h) of 0.05 mm to 0.5 mm, respectively. have.
  • the height h may have a range of 0.05mm to 0.15mm.
  • the pressure increase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 the output decreases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 the protruding member 70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 nonionic conductive material and an ion conductive material.
  • the protrusion member 700 may be a non-ionic conductive material, which is a photocuring ink, and an acrylate monomer is cured by irradiating 365 nm of UV to achieve crosslinking.
  •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flow and outflow water is reduced. It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effect of remarkably preventing contamination (scaling, fouling, etc.) that may occur in the ion exchange membrane.
  •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ding members.
  • a low-concentration solution or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can flow through each flow path between two adjacent protruding members.
  • FIG. 3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when it is stacked.
  • the two adjacent anion exchange membranes 51a and 51b or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52a and 52b may be disposed to have a left-right symmetric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K on the same plane.
  • Example 1 Measurement of the power density of a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RED) with a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stacked thereon
  • RED reverse electrodialysis apparatus
  • the configuration of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was configured by disposing the aforementioned patterned ion exchange membrane in the reverse electrodi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operating condition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seawater flowed above the anion exchange membrane and fresh water flowed above the cation exchange membrane, so that the maximum power density and maximum power density according to the flow rate were measured.
  • Fig. 33 (a)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3 (a). As shown in FIG. 33 (a),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power density obtained a value of 1.72 W/m 2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역전기투석 장치의 주어진 공간 내에 최대로 단위 스택을 배치함으로써 대규모의 역전기투석 발전 플랜트를 건설 시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단위 스택의 모듈화가 쉽게 이루어져 유지 보수가 용이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본 발명은 농도가 다른 두 용액의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염분차 에너지를 전기화학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발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역전기투석(RED, Reverse-electrodialysis)발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역전기투석(RED)은 농도가 다른 두 유체, 예를 들어 해수와 담수의 혼합 과정에서 발생한 염분차 또는 농도차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형태로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역전기투석(RED)은 해수와 담수를 이용한 염분차로 발전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수와 담수의 농도차로 인해 이온이 이온교환막(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을 통해 이동하게 되고, 복수개의 이온교환막이 번갈아 배열된 스택(stack)의 양쪽 끝의 전극(산화전극, 환원전극)간의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전극상에서 산화환원반응을 통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즉, 해수(염수)에 용해되어 있는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해 담수로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직접 전환하는 발전방식으로 기존의 화력, 수력, 원자력과 같은 발전방식과 비교하여 에너지 손실이 적은 발전장치이다.
한편, 생체모방(biomimetic)은 자연계에서 볼 수 있는 디자인 요소 및 생물체의 특성 등을 모방하여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구조적인 안정성 및 효율성이 중요시되는 구조에서 벌집 모양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 일례로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경우나, 자동차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경우에 벌집 모양의 구조체를 만들어서 공간활용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시도를 한 사례들이 있다.
역전기투석 장치는 고농도 및 저농도 유입수가 교차하는 유효면적이 넓을수록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주어진 면적 내에서 최대의 공간효율을 갖고 재료소비를 줄일수록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에너지 밀도가 낮고 초기 투자비용이 기술상용화의 핵심이슈인 염분차발전의 특성 상 경제성 향상은 앞으로도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종래의 역전기투석 장치는 고농도 및 저농도 유입수가 대략 90도 각도를 갖는 교차 흐름(cross flow)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스택 내의 위치에 따라 농도 구배가 다르고 이에 따른 전력밀도가 저감하며, 압력 구배가 다르게 발생하여 스택의 조립에 많은 노력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담수의 농도 변화가 스택 내 농도 구배에 많은 영향을 주는데, 전력밀도에 영향을 주는 영역은 네른스트 식에 따라 스택 내에서 크게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기 식 1 참조)
[식 1]
Figure PCTKR2020007320-appb-img-000001
이 때, R: Gas constant, T: 절대온도, z: 이온 전하가, F: 패러데이 상수
도 1은 전술한 네른스트 식(Nernst's equation)에 따라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스택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첫번째 영역(Ⅰ영역)은 담수 유입구 측의 저농도 담수와 해수 유입구 측의 고농도 해수가 만나는 영역으로 전력밀도가 가장 높은 영역이다.
두번째 영역(Ⅱ 영역)은 담수 유출구 측의 담수와 해수 유입구 측의 해수가 만나는 영역이다. 상기 두번째 영역은 담수가 스택 내에서 유동하며 고농도 용액(해수) 내의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저농도 용액(담수) 내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담수 유입구 측의 담수보다 농도가 높아진 상태의 담수가 고농도의 해수와 만나는 영역으로, 첫번째 영역보다 전력밀도가 낮게 나타난다.
세번째 영역(Ⅲ 영역)은 담수 유입구 측의 담수와 해수 유출구 측의 해수가 만나는 영역이다. 상기 세번째 영역은 해수가 스택 내에서 유동하며 고농도 용액(해수) 내의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저농도 용액(담수) 내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해수 유입구 측의 해수보다 농도가 낮아진 상태의 해수가 저농도의 담수와 만나는 영역으로, 첫번째 영역보다 전력밀도가 낮게 나타난다.
다음으로 네번째 영역(Ⅳ 영역)은 담수 유출구 측의 담수와 해수 유출구 측의 해수가 만나는 영역으로, 상기 네번째 영역은 해수 및 담수가 스택 내에서 유동하며 고농도 용액(해수) 내의 이온이 이온교환막을 통과하여 저농도 용액(담수) 내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담수 유입구 측의 담수보다 농도가 높아진 상태의 담수와, 해수 유입구 측의 해수보다 농도가 낮아진 상태의 해수가 만나는 영역으로 전력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다.
즉, 역전기투석 장치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네번째 영역을 최소화 하는 것이 스택의 출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수학적으로 둘레의 길이가 일정할 때 가장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은 원이지만 원은 여러 개를 이어붙일 경우 빈 공간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원을 붙이는 것 보다 육각 구조의 단위 모양을 여러 개 배열하는 것이 전체적인 공간 활용에서 더욱 이득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스택 내의 전력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역전기투석 장치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역전기투석(RED) 내의 각 유입 용액(저농도 용액, 고농도 용액, 전극용액)의 누수를 최소화하고 스택의 조립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택 내의 전력밀도가 낮은 영역을 최소화 하여 출력이 보다 향상된 스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택의 모듈화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대용량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 및 제1 및 제2 전극부와 각각의 전극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유동홀, 한 쌍의 제2 유동홀, 및 한 쌍의 제3 유동홀을 갖고, 제1 내지 제3 유동홀은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과 한 쌍의 제2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 사이의 제1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제1 가스켓은,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 중 한 쌍의 유동홀을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를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스켓;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차례로 위치한 제1 내지 제6 유동홀을 갖고, 제1 유동홀 및 제4 유동홀의 중심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 및 제2 유동홀 및 제5 유동홀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 사이의 제1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제2 가스켓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을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를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및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용액 저장조, 한 쌍의 제2 용액 저장조 및 한 쌍의 제3 용액 저장조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직렬로 연결될 때, 제1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2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3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3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어,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제1 내지 제3 용액을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으로 각각 공급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공급된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에서 배출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및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용액 저장조, 한 쌍의 제2 용액 저장조 및 한 쌍의 제3 용액 저장조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병렬로 연결될 때, 각각의 용액 저장조를 매개로 인접하는 2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는 이온교환막을 기준으로 농도차를 최대로 유지하면서 높은 출력밀도를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어진 공간 내에 최대로 단위 스택을 배치함으로써 대규모의 역전기투석 발전 플랜트를 건설 시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단위 스택의 모듈화가 쉽게 이루어져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네른스트 식에 따라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스택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온교환막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극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온교환막과 제1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가스켓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산화 또는 환원 전극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효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극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2 및 제3 가스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는 이온교환막과 제2 및 제3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 내에서의 유효 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이온교환막과 제4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a)는 도 20을 조립한 도면, 도 22(b)는 도 20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효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에서, 네른스트 식에 따라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패턴형 이온교환막(5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형 이온교환막이 적층될 때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이하, '역전기투석 장치' 또는 '스택'이라고도 함)는 상대적으로 고농도 용액인 고농도 용액과 상대적으로 저농도 용액인 저농도 용액이 이온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농도차에 의해 고농도 용액 내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선택적으로 이온교환막을 통과하며 교차하는 공간에서 전기화학적 위치에너지를 생산한다.
이 때,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용액이 교차하는 유효면적(effective area)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어진 공간 안에서 두 용액이 흐르는 유로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유효면적이 육각 형상(육각형, hexagon)을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출력이 보다 향상된 역전기투석 장치를 제공한다.
먼저, 미국 지질 조사소의 염의 농도에 의한 수질 분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염수'또는 '해수'는 염의 농도가 해수의 염(Salt, 주로 NaCl) 농도인 35,000mg/L 이상을 가지는 용액을 의미하며, '기수'는 염 농도가 1,000~10,000mg/L 정도를 가진 용액, '담수'는 염 농도가 0~1,000mg/L 를 가진 용액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본 문서에서, 제1 용액은 제1 및 제2 전극 측으로 공급되어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 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용액은 전해질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후술할 저농도 용액 또는 고농도 용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담수, 순수 또는 이온 전도성이 높은 전해질 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용액은 상대적으로 저농도를 갖는 저농도 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수 또는 담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용액은 상대적으로 고농도를 갖는 고농도 용액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염수, 해수, 기수 및 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온교환막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극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이온교환막과 제1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제1 가스켓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는, 제1전극부(101) 및 제1전극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전극부(1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부(101) 및 제2 전극부(102)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을 포함한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210,230) 사이, 및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와 각각의 전극부(101,102)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21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스켓(301)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 및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을 갖고,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은 둘레 방향을 따라 차례로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제1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L1)과 한 쌍의 제2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L2) 사이의 제1 각도(θ1)는 90도(°) 미만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가스켓(301)은,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 중 한 쌍의 유동홀(211a, 211b 또는 212a, 212b 또는 213a, 213b)을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31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은, 이온교환막의 중앙부 즉,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후술할 유체 유동 유로가 형성되는 유효 면적(반응 영역 또는 교차 영역)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 선분(L3)과 제1 선분(L1) 또는 제2 선분(L2) 사이의 각도는 제1 각도와 동일하게 90도 미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선분(L1, L2, L3)은, 각각의 유동홀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온교환막의 중앙부(중심)는, 제1 내지 제3 선분이 서로 교차하는 점(교차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각도는 80도 미만 또는 70도 미만 또는 60도 이하 일 수 있으며, 특히 60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선분들의 각각의 사이 각도는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갖는 등각일 수 있으며, 각각 60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가스켓(301)은, 나머지 두 쌍의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유동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320)을 가진다.
한편, 상기 인접하는 제1 가스켓(301)은, 소정의 제2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는, 제1 가스켓(301)의 유동 안내부(310)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의 중심선(L0) 사이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극부(101) 측에 인접하는 제1 가스켓을 기준으로, 각각의 제1 가스켓(301)은, 제2 전극부(102) 측을 향하여 차례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는, 제1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각도는 60도 일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 측에 가장 인접하는 제1 가스켓(3011a)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과 음이온 교환막(230) 사이의 제1 가스켓(3012a, 3012b)은, 반 시계방향(역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각도 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230)과 양이온 교환막(210) 사이의 제1 가스켓(3013a, 3013b)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각도 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부(101)는 제1 유동홀(211a, 211b), 제2 유동홀(212a, 212b), 제3 유동홀(213a, 213b)과 각각 연결되는 세 쌍의 유동포트를 갖는 제1 엔드 플레이트(130) 및 제1 엔드 플레이트(130)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1 전극(1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부(102)는 제1 유동홀(211a, 211b), 제2 유동홀(212a, 212b), 제3 유동홀(213a, 213b)과 각각 연결되는 세 쌍의 유동포트를 갖는 제2 엔드 플레이트(140)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40)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2 전극(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및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에서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부(101,102)는, 제1 및 제2전극(110,120)이 제1 엔드플레이트(130) 및 제2 엔드플레이트(140)의 소정 영역 상에 각각 삽입 장착되어, 각각의 엔드플레이트(130,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30,140)는 소정 간격 떨어져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은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30,140)의 내측에 각각 마련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30,1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이 각각 배치된 제1면(130a, 140a)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130b, 140b)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0,140)는 각각,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유동포트(111a, 111b),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유동포트(112a, 112b), 및 제3 유동홀(213a, 213b)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유동포트(113a, 113b)를 가지며, 각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111a, 112a, 113a)로 제1 내지 제3 용액이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제1 내지 제3 용액은 한 쌍 중 나머지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111b, 112b, 113b)에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111a, 111b, 112a, 112b, 113a, 113b)는,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제1면 및 제2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유동포트(111a, 111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L11), 한 쌍의 제2 유동포트(112a, 112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L12) 및 한 쌍의 제3 유동포트(113a, 113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 선분(L13)의 각각의 사이 각도는, 제1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90도 미만일 수 있으며, 특히 6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전극(110,120)은 일 예로, 다공성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전극(110)은 산화전극 또는 환원전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전극(120)은 산화전극 또는 환원전극 중 나머지 하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전극(110) 및 제2전극(120)은, 각각의 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이온교환막의 종류(양이온교환막 또는 음이온교환막)와 고농도 및 저농도 용액이 흐르는 유로의 배치에 따라 각각의 전극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산화 또는 환원 전극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a)를 참조하면, 각각의 전극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이 양이온 교환막(210a, 210c)이고, 제1 전극(110)을 기준으로, 제1 전극(110)에서부터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로 고농도 용액 및 저농도 용액을 차례로 교번하여 흘려주면, 고농도 용액 내의 양이온(예를 들어, Na+)이 제1 전극(110)에 인접한 양이온 교환막(210a)을 통과하여 제1 전극(110)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때, 제1 전극(110)에서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제1 전극(110)은 환원 전극(Cathode)이 되고 제2 전극(120)은 산화 전극(Anode)이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전극(110)에서부터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로 저농도 용액 및 고농도 용액을 차례로 교번하여 흘려주면, 고농도 용액 내의 양이온(예를 들어, Na+)이 제2 전극(120)에 인접한 양이온 교환막(210c)을 통과하여 제2 전극(120)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때, 제2 전극(120)에서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제2 전극(120)은 환원 전극(Cathode)이 되고 제1 전극(110)은 산화 전극(Anode)이 된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면, 각각의 전극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이 음이온 교환막이고, 제1 전극을 기준으로, 제1 전극에서부터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로 고농도 용액 및 저농도 용액을 차례로 교번하여 흘려주면, 고농도 용액 내의 음이온(예를 들어, Cl -)이 제1 전극에 인접한 음이온 교환막을 통과하여 제1 전극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때, 제1 전극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제1 전극은 산화 전극(Anode)이 되고 제2 전극은 환원 전극(Cathode)이 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전극에서부터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로 저농도 용액 및 고농도 용액을 차례로 교번하여 흘려주면, 고농도 용액 내의 음이온(예를 들어, Cl -)이 제2 전극에 인접한 음이온 교환막을 통과하여 제2 전극 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때, 제2 전극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제2 전극은 산화 전극(Anode)이 되고 제1 전극은 환원 전극(Cathode)이 된다.
여기서, 도 7의 (c)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이온교환막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온교환막이 추가 되어도 전극의 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제1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용액 공급부(미도시), 제2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용액 공급부(미도시) 및 제3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3 용액 공급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용액 공급부는, 제1 엔드플레이트 또는 제2 엔드플레이트에 마련된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와 각각 연결되어, 역전기투석 장치(10)로 각각의 용액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은 제1전극부(101) 및 제2전극부(102) 사이에 양이온 교환막(210)과 음이온 교환막(230)이 차례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전극부(101)를 기준으로, 양이온 교환막(210a), 음이온 교환막(230a), 양이온 교환막(210b), 음이온 교환막(230b) 및 양이온 교환막(210c)의 순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각각에 형성된 서로 마주하는 세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은,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하도록 마련된 관통홀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은, 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111a, 111b, 112a, 112b, 113a, 113b)와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내지 제3 유동홀(211a, 211b, 212a, 212b, 213a, 213b)을 통과하여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유동포트 각각에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 및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유동홀 각각에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는 각각 90도(°) 초과 내지 150도(°) 또는 100도 이상 내지 140도 이하 또는 110도 이상 내지 130도 이하 또는 120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인접하는 2개의 유동포트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유동포트가 120도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되고, 인접하는 2개의 유동홀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유동홀이 120도 각도로 회전되어 배치될 때, 평면을 기준으로 각각의 유동포트 및 유동홀은 최대로 이격 되게 구성됨으로써,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동포트에서 누수 및 교차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01,102), 및 이온교환막(210,230)은 일 예로, 육각 형상(hexagon)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가스켓(301)의 유동 안내부(310)는, 제1 가스켓(30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에 접촉하며 한 쌍의 유동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유동홀을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켓(301)의 복수 개의 통과홀(320)은,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의 표면 상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나머지 두 쌍의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유동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머지 두 쌍의 유동홀은, 이온교환막에 제1 가스켓을 접촉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유동안내부(310)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유동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통과홀(320)은, 제1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나머지 두 쌍의 유동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유동 안내부(3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종단부 사이의 길이(d2)는, 각각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 또는 제2 유동홀(212a, 212b) 또는 제3 유동홀(213a, 213b)의 사이 간격(d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동 안내부(310)는, 유입된 유체가 유동 안내부(310)를 따라 유동하며,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의 표면을 접촉하며 이온교환막을 유동하도록 마련된 유체 유동 유로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동 안내부(310)는 직사각형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과홀(320)은, 인접하는 2개의 통과홀(320) 각각에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 사이의 각도는 90도 초과 내지 150도 이하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120도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통과홀(320)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통과홀(320a, 320d 및 320b, 320c)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분(L) 사이의 각도는 90도 미만일 수 있으며, 특히 60도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가스켓(301)은 소정의 제2 각도로 회전하여 유동 안내부(310)의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스켓(301)의 유동 안내부(301)는, 제1 가스켓(301)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일 예로, 60도 또는 120도 회전시켜 각각 배치함으로써, 이온 교환막 상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제1 가스켓이 각각 배치될 때, 제1 전극부(101) 측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101)에서 제2 전극부(102)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과 음이온 교환막(230) 사이에는 제1 가스켓(301)의 유동안내부(310)가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1 전극부(101)에서 제2 전극부(102)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230)과 양이온 교환막(210) 사이에는 제1 가스켓(301)의 유동안내부가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와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와 인접하는 각각의 이온교환막(210a, 210c)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스켓(3011a, 3011b)의 유동안내부는,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을 연결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210,230) 및 제1 가스켓(301)이 적층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401)가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402)가 마련되며,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내부(310)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40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0)는 각각의 용액이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는, 제1 용액이,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1 유로(401), 제2 용액이,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2 유로(402), 제3 용액이,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3 유로(403)로 정의(지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한 쌍의 제1 유동홀을 연결할 때, 각각의 통과홀은 한 쌍의 제2 유동홀 및 제3 유동홀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한 쌍의 제2 유동홀을 연결할 때, 각각의 통과홀은 한 쌍의 제1 유동홀 및 제3 유동홀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한 쌍의 제3 유동홀을 연결할 때, 각각의 통과홀은 한 쌍의 제1 유동홀 및 제2 유동홀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이온 교환막(210a, 210b, 210c)과 음이온 교환막(230a,230b)이 교대로 배치될 때,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로도 서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제1 가스켓을 적절히 회전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유로는,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의 제1 가스켓이 접촉하여 배치될 때,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서,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0) 영역 만큼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및 제3 유로를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유동 포트(111a, 112a, 113a)로 각각 유입되면, 제1 용액은, 제1 유로(401)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301)의 유동 안내부(310)를 따라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1 유동포트(111b)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용액은, 제2 유동포트(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제1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각각의 통과홀을 거쳐 마주하는 제2 유동포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3 용액은, 제3 유동포트(113a)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3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제1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각각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마주하는 제3 유동포트로 배출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효면적(400)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에 인접한 제1 가스켓(301)을 포함하여 인접하는 3개의 제1 가스켓(3011a, 3012a, 3013a)의 유동 안내부(310)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동 안내부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 영역이 육각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유로(401) 내지 제3 유로(403)를 동일 평면상에 투영(정사영)시키면, 제1 내지 제3 유로(401,402,403)가 겹쳐지는 면적인 유효면적(400)은 육각형을 갖게 된다.
상기 교차 영역이란, 제1 내지 제3 유로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이온교환막을 각각의 유로를 유동하는 용액(유체)의 농도차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며, 이러한 영역은 전기 생산 시 출력(전력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효면적(교차 영역 또는 반응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 영역은 정육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유로 상에는, 유체의 유동을 불균일하게 하고 스월(swirl)을 형성하여 이온교환막 상으로 이온의 이동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미도시)가 각각의 유로 상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유속에 따라 이온교환막 표면의 확산층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역전기투석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이온교환막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 이온교환막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목적으로도 스페이서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역전기투석 장치(10)는, 볼트(501) 등을 이용하여 제1 엔드 플레이트와 제2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볼트(501)는, 복수 개 마련되어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각각의 유동포트 사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501)는 제1 유로(401) 내지 제3 유로(403)를 동일 평면상에 투영(정사영) 시켰을 때, 제1 유로(401)와 제2 유로(402) 사이 영역, 제2 유로(402)와 제3 유로(403) 사이 영역 및 제3 유로(403)와 제1 유로(401) 사이 영역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볼트의 조립 시 강한 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0,14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스페이서 및 가스켓 등의 압축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볼트(501)는 동심원 상에 볼트 사이의 간격이 이루는 각도는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즉, 등각을 갖도록 배치되므로, 동일한 압력으로 볼트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스페이서 및 가스켓 등의 압축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501)는 6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용액 공급부가 제1 엔드플레이트(101)의 제1 내지 제3 유동 포트와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 용액을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01,102) 모두에 제1 내지 제3 용액 공급부가 각각 연결되어 양 측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용액 공급부(미도시)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이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111a, 112a, 113a)로 각각 동시에 공급된다.
먼저, 도 9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제1 용액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면, 제1 유동포트(111a) 로 유입된 제1 용액은 제1 가스켓(3011a)의 유동 안내부(310)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1 유동홀(211a)로 유입되고, 제1 용액 중 일부는 제1 가스켓(3011a)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제1 전극 및 양이온 교환막(210a)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01)를 유동하여 제1 유동포트(111b)를 통해 배출되고, 제1 용액 중 나머지 일부는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1 유동홀(211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즉, 상기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1 유동홀(211a) 측에서 마주하는 제1 유동홀(211b)측을 향하여 유동된 후,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1 유동홀(211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양이온 교환막(210a)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을 통과한 제1 용액은, 제1 가스켓(3012a)의 통과홀(320c, 320b)을 각각 통과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 교환막(230a)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로 유입된 제1 용액은, 제1 가스켓(3013a)의 통과홀 (320a, 320d), 양이온 교환막(210b)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 제1 가스켓(3012b)의 통과홀 (320c, 320b), 음이온 교환막(230b)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 제1 가스켓(3013b)의 통과홀(320a, 320d) 및 양이온 교환막(210c)의 한 쌍의 제1 유동홀(211a, 211b)를 각각 통과하여 제1 가스켓(3011b)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제2 엔드플레이트(140)의 내측에 장착된 제2 전극(120) 및 양이온 교환막(210c) 사이에 형성된 제1 유로(401)를 유동하여 제2 엔드 플레이트(140)의 한 쌍의 제1 유동포트(111a, 111b)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유동하는, 제2 용액의 유동 경로를 도 10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유동포트(112a)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제1 가스켓(3011a)의 통과홀 (320a)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2 유동홀(212a)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2 유동홀(212a)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제1 가스켓(3012a)의 유동 안내부(310)를 통과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 유동홀(212a)로 유입되고, 제2 용액 중 일부는 제1 가스켓(3012a)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210a)과 음이온 교환막(230a)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402)를 유동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 유동홀(212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즉, 상기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 유동홀(212a) 측에서, 마주하는 제2 유동홀(212b)측을 향하여 유동된 후,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 유동홀(212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이 때, 점선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2 용액 중 일부는 제1 전극 측을 향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 유동홀(212b)과 연결된 양이온 교환막의 제2 유동홀(212b) 및 제1 가스켓의 통과홀(320d)을 각각 통과하여 제1 엔드플레이트(130)의 제2 유동 포트(112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 교환막(230a)의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을 통과한 제2 용액은, 제1 가스켓(3013a)의 통과홀(320b, 320c)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b)의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로 유입된 후, 제1 가스켓(3012b)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210b)과 음이온 교환막(230b) 사이에 형성된 제2 유로(402)를 유동하여 음이온 교환막(230b)의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을 통과하여 유동된 후, 제1 가스켓(3013b)의 통과홀 (320b, 320c), 양이온 교환막(210c)의 한 쌍의 제2 유동홀(212a, 212b) 및 제1 가스켓(3011b)의 통과홀(320a, 320d)을 각각 통과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140)의 한 쌍의 제2 유동포트(112a, 112b)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유동하는, 제3 용액의 유동 경로를 도 11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 유동포트(113a)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제1 가스켓(3011a)의 통과홀(320b)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3 유동홀(213a)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3 유동홀(213a)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제1 가스켓(3012a)의 통과홀(320a)를 통과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3 유동홀(213a)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3 유동홀(213a)로 유입된 제3용액은 제1 가스켓(3013a)의 유동 안내부(310)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3 유동홀(213a)로 유입되고, 제3 용액 중 일부는 제1 가스켓(3013a)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음이온 교환막(230a)과 양이온 교환막(210b) 사이에 형성된 제3 유로(403)를 유동하여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3 유동홀(213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즉, 상기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3 유동홀(213a) 측에서 마주하는 제3 유동홀(213b) 측을 향하여 유동된 후,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3 유동홀(213b)을 통과하여 유동된다. 이 때, 점선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3 용액 중 일부는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3 유동홀(213b)과 연결된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3 유동홀(213b), 제1 가스켓(3012a)의 통과홀(320d),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3 유동홀(213b) 및 제1 가스켓(3011a)의 통과홀(320c)를 각각 통과하여 제1 엔드플레이트(130)의 제3 유동포트(113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양이온 교환막(210b)의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을 통과한 제3 용액은, 제1 가스켓(3012b)의 통과홀(320a, 320d)를 통과하여 음이온 교환막(230b)의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로 유입된 후, 제1 가스켓(3013b)의 유동 안내부(310)에 의해 음이온 교환막(230b)과 양이온 교환막(210c) 사이에 형성된 제3 유로(403)를 유동하여 양이온 교환막(210c)의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양이온 교환막(210c)의 한 쌍의 제3 유동홀(213a, 213b)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제1 가스켓(3011b)의 통과홀(320b, 320c)를 각각 통과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140)의 한 쌍의 제3 유동포트(113a, 113b) 중 적어도 하나의 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엔드 플레이트(130)의 제2 및 제3 유동 포트(112a, 113a)를 통해 각각 유입된 제2 및 제3 용액은, 제2 및 제3 유동 포트(112a, 113a)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이온교환막들의 제2 및 제3 유동홀(212a, 213a)을 각각 통과하여 유동될 때,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제1 가스켓은, 제2 용액이 제2 유로를 유동하도록 배치되고 제3 용액이 제3 유로를 유동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3 용액 내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각각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을 통과하여 제2 용액 내로 이동함에 따라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제1 유로를 각각 유동하는 제1 용액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에서 각각 산화 및 환원 반응이 발생하여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용액은, 제1 및 제2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제1 용액 내의 전해질이 각각의 전극 상에서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역전기투석 장치(10)에서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스켓(301)의 구조를 변경하여, 유입되는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유체의 유로 내부에서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제1 및 제2 전극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제2 및 제3 가스켓을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이온교환막과 제2 및 제3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는, 제1 전극부(101) 및 제1 전극부(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부(101) 및 제2 전극부(102)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을 포함하며,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210,230)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스켓(3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이온 교환막(210) 및 음이온 교환막(230)은,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차례로 위치한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을 갖고, 제1 유동홀(211a) 및 제4 유동홀(211b)의 중심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L21), 및 제2 유동홀(212a) 및 제5 유동홀(212b)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L22) 사이의 제1 각도(θ2)는 90도 미만이고, 제2 가스켓(302)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을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311)를 가진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한 쌍의 제1 유동홀, 한 쌍의 제2 유동홀 및 한 쌍의 제3 유동홀은 각각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4 유동홀, 제2 및 제5 유동홀, 및 제3 및 제6 유동홀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321; 321a, 321b, 321c)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인접하는 제2 가스켓은, 소정의 제3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전극부(101) 측에 인접하는 제2 가스켓(302a)을 기준으로, 각각의 제2 가스켓(302)은, 제2 전극부(102) 측을 향하여 차례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제3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각도는, 제1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각도는 60도 일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 측에 인접하는 제2 가스켓(302a)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230a)과 양이온 교환막(210b) 사이의 제2 가스켓(302b)은, 반 시계방향(역방향)또는 시계 방향(정방향)으로 소정의 제3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부(101)는,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111a, 112a, 113a, 111b, 112b, 113b)를 갖는 제1 엔드 플레이트(131) 및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된 제1 전극(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부(102)는,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111a, 112a, 113a, 111b, 112b, 113b)를 갖는 제2 엔드 플레이트(14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된 제2 전극(12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한 쌍의 제1 유동포트, 한 쌍의 제2 유동포트 및 한 쌍의 제3 유동포트는 각각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4 유동포트, 제2 및 제5 유동포트, 및 제3 및 제6 유동포트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131)에는, 제1 전극(110) 측으로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포트(105) 및 배출포트(106)가 각각 마련되고, 제2 엔드 플레이트(141)에는, 제2 전극(120) 측으로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포트(105) 및 배출포트(106)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와 각각의 전극부(101,102)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210a, 210c)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 가스켓(303)을 포함한다.
상기 제3 가스켓(303)은, 제1 전극(110) 또는 제2 전극(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도록 마련된 유동 안내부(312) 및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과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322; 322a, 322b, 322c, 322d, 322e, 322f)을 갖는다.
특히, 상기 유동 안내부(312)는, 제1 및 제2 전극 측으로 유입된 유체가, 제1 및 제2 전극과 각각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과 각각의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제3 가스켓(303)의 유동 안내부(312)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제1 용액 유입포트(105)를 통해 유입된 제1 용액은 제3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2)를 유동하며, 제1 및 제2 전극과 각각 접촉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가스켓(302)이 각각 배치될 때, 제1 전극부(101) 측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101)에서 제2 전극부(102) 측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a)과 음이온 교환막(230a) 사이에는 제2 가스켓(302a)의 유동 안내부(311)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 측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230a)과 양이온 교환막(210b) 사이에는 제2 가스켓(302b)의 유동 안내부(311)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을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제2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2 용액 및 제3 용액이 각각 공급될 때,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502)가 마련되고,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503)가 마련되며,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제2 및 제3 유로를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액은 제2 유동 포트(112a)로 유입되고, 제2 유동 포트(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유동 포트(112a)와 연결되는, 제3 가스켓의 통과홀(322b) 및 양이온 교환막의 통과홀(212a)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2 유로(502)로 유입될 때, 제2 유로의 제2 유동홀 측으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유로 안내부(311)를 따라 제4 및 제6 유동홀(211b, 213b) 측으로 분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3 용액은 제1 유동 포트(111a)로 유입되고, 제1 유동 포트(111a)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유동 포트(111a)와 연결되는, 제3 가스켓의 통과홀(322a), 양이온 교환막의 통과홀(211a), 제2, 제4 및 제6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302a)의 통과홀(321a) 및 음이온 교환막(230a)의 통과홀(211a)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3 유로(503)로 유입될 때, 제3 유로(503)의 제1 유동홀(211a) 측으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유로 안내부(311)를 따라 제3 및 제5 유동홀(213a, 212b) 측으로 분기되어 유동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스켓(302)은, 제1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제1 가스켓(3012a, 3012b, 3013a, 3013b) 대신에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가스켓(303)은,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극과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제1 가스켓(3011a, 3011b) 대신에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의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31, 141)에는 제1 및 제2 전극 측으로, 제1 용액이 유입 및 배출 되도록 마련된 제1 용액 유입포트(105) 및 제1 용액 배출포트(106)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 유입포트(105) 및 제1 용액 배출포트(106)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용액 유입포트(105) 및 제1 용액 배출포트(106)는,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1,141)의 제1면 및 제2면을 관통하도록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용액 공급부(미도시)는 상기 제1 용액 유입포트(105)에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용액을 역전기투석 장치(11)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1 용액 유입포트(105)로 유입된 제1 용액은,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에 장착된 제1 및 제2 전극 측으로 각각 공급된 후 제1 용액 배출포트(106)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1)는,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 또는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을 둘러싸도록 제2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동 안내부(311)는, 유입된 유체가 유동 안내부(311)를 따라 유동하며, 유입된 유체 내에 포함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된 유체 유동 유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의 복수 개의 통과홀(321)은, 인접하는 이온 교환막 표면 상으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통과홀(321) 중 인접하는 2개의 통과홀(321a, 321b 또는 321b, 321c 또는 321a, 321c)은, 각각의 통과홀에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L4) 사이의 각도(θ)가 50도(°) 이상 내지 70도(°) 이하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60도(°) 각도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210,230) 및 제2 및 제3 가스켓(302,303)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유동하는 제2 유로(502) 및 제3 유로(503)가 각각 마련되고, 제3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2)에 의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50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을 연결할 때, 각각의 통과홀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211a, 213a, 212b)을 연결할 때, 각각의 통과홀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212a, 211b, 213b)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가스켓의 통과홀은 제1 내지 제6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 가스켓(302)은 유동 안내부(311)의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유체가 유동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용액과 제3용액이 역전기투석 장치(11) 내에서 유동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용액과 제3 용액은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에서 교차 흐름(cross flow)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이온 교환막(210a, 210b, 210c)과 음이온 교환막(230a,230b)이 교대로 배치될 때,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가스켓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및 제3 유로(502,503)도 서로 번갈아 배치되도록 제2 가스켓(302)을 적절히 회전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유로(502,503)는,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의 제2 가스켓(302)이 접촉하여 배치될 때,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서,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1) 영역만큼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고, 제3 가스켓(303)이 인접하는 이온교환막(210a, 210c)과 제1 및 제2 전극부(101,102)의 사이에서, 제3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312) 영역만큼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302)의 유동 안내부(311)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대략 삼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스켓(302)의 유동 안내부(311)에 의해 유체는,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의 3개의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 측으로 유입되어 나머지 2개의 관통홀 측으로 유동함으로써, 유입구 대비 유출구의 면적이 넓게 형성됨으로써, 유로 내부에서 압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스켓(302)의 유동 안내부(311)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0도(°) 회전시켜 각각 배치함으로써, 이온 교환막 상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의 3개의 유동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2 가스켓(302)은, 3개 중 어느 하나의 유동홀 측으로 유입된 유체가 나머지 2개의 유동홀 측으로 유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하여 유로 내에서 유체를 분배할 수 있게 되어 입출구에서의 압력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 용액 공급부가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1,141)의 제1 용액 유입 포트(105)와 각각 연결되어 제1 용액이 공급되고, 제2 및 제3 용액이 제1 엔드 플레이트(131)의 제2 및 제1 유동 포트(112a, 111a)와 각각 연결되어 제2 및 제3 용액을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31,141) 모두에 제2 및 제3 용액 공급부가 각각 연결되어 양 측에서 제2 및 제3 용액을 각각 공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6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제1 용액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면, 제1 용액 유입포트(105)로 유입된 제1 용액은 제3 가스켓(303)의 유동 안내부(312) 내에서 유동한 후 제1 용액 배출포트(106)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제2 용액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면, 제2 유동포트(112a)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제3 가스켓(303a)의 통과홀(322a)을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2 유동홀(212a)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제2 가스켓(3021a)의 유동 안내부(311)를 통과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유동홀(212a)로 유입된다.
이 때, 점선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2 용액 중 일부는 제2 가스켓(3021a)의 유동 안내부(311)를 따라 유동하여 제1 전극 측을 향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4 및 제6 유동홀(211b, 213b)을 통과한 후 제3 가스켓(303a)의 제4 및 제6 통과홀(322d, 322f)을 통과하여 제1 엔드 플레이트(131)의 제4 및 제6 유동 포트(111b, 113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2유동홀(212a)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제2 가스켓(3021b)의 통과홀(321a) 및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2 유동홀(212a)을 차례로 통과한 후, 제2 가스켓(3022a)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 한 후, 제1 전극 측을 향하여 각각의 통과홀을 통과 한 후 제4 및 제6 유동 포트(111b, 113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유동하는 제3 용액의 유동 경로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유동포트(111a)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제3 가스켓(303)의 통과홀(322a)을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1 유동홀(211a), 제2 가스켓(3021a)의 통과홀(321a) 및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1 유동홀(211a)로 유입된 후, 제2 가스켓(3021b)의 유동 안내부(311)를 통과하여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1 유동홀(211a)로 유입된다.
이 때, 점선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3 용액 중 일부는 제2 가스켓(3021b)의 유동 안내부(311)를 따라 유동하여 제1 전극 측을 향하여 음이온 교환막(230a)의 제3 및 제5 유동홀(213a, 212b), 제2 가스켓(3021a)의 통과홀(321b, 321c), 양이온 교환막(210a)의 제3 및 제5 유동홀(213a, 212b) 및 제3 가스켓(303a)의 제3 및 제5 통과홀(322c, 322e)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1 엔드 플레이트(131)의 제 3 및 제5 유동 포트(113a, 112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양이온 교환막(210b)의 제1 유동홀(211a)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제2 가스켓(3022a)의 통과홀(321a) 및 음이온 교환막(230b)의 제1 유동홀(211a)을 차례로 통과한 후, 제2 가스켓(3022b)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 한 후, 제1 전극 측을 향하여 각각의 통과홀을 통과 한 후 제3 및 제5 유동 포트(113a, 112b)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제3 용액 내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각각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을 통과하여 제2 용액 내로 이동함에 따라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제1 전극 측을 유동하는 제1 용액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에서 각각 산화 및 환원 반응이 발생하여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용액은, 제1 및 제2 전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제1 용액 내의 전해질이 각각의 전극 상에서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 내에서의 유효 면적(410)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인접하는 2개의 제2 가스켓(302a, 302b) 및 제3 가스켓(303)의 유동 안내부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동 안내부(311,312)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영역(410)은 육각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는 60도 이고, 교차 영역은 정육각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및 제3 가스켓(302,303)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유로(501, 502, 503)를 동일 평면상에 투영(정사영) 시키면, 제1 내지 제3 유로가 겹쳐지는 면적인 유효면적(410)은 육각형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유로 상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각각의 유로 상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12)에서의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는 6개의 모서리(1a,1b,2a,2b,3a,3b), 즉 서로 마주하는 3 쌍의 모서리(1a,1b,2a,2b,3a,3b)로 둘러싸인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의 각각의 유동 포트(111a, 112a, 113a, 111b, 112b, 113b)는 6개의 모서리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유동 포트(111a, 112a, 113a, 111b, 112b, 113b)의 폭(w1)은 각각의 모서리의 폭(w2)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유동 포트를 각각의 모서리 측으로 투영시키면, 각각의 유동포트의 폭의 길이가 모서리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양이온 교환막(210a,210b, 210c) 및 음이온 교환막(230a, 230b) 또한 6개의 모서리(1a,1b,2a,2b,3a,3b), 즉 서로 마주하는 3 쌍의 모서리(1a,1b,2a,2b,3a,3b)로 둘러싸인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온교환막의 각각의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은 6개의 모서리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유동홀(211a, 212a, 213a, 211b, 212b, 213b)의 폭(w1a)은 각각의 모서리 폭(w2a)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유동홀을 각각의 모서리 측으로 투영시키면, 각각의 유동홀의 폭의 길이가 모서리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가스켓 내지 제3 가스켓(301, 302, 303) 또한, 6개의 모서리(1a,1b,2a,2b,3a,3b), 즉 서로 마주하는 3 쌍의 모서리(1a,1b,2a,2b,3a,3b)로 둘러싸인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가스켓에 형성되어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각각의 통과홀(320a, 320b, 320c, 320d, 321a, 321b, 321c, 322a, 322b, 322c, 322d, 322e, 322f) 및 유동 안내부(310, 311,312)는 6개의 모서리에서 각각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통과홀(320a, 320b, 320c, 320d, 321a, 321b, 321c, 322a, 322b, 322c, 322d, 322e, 322f)의 폭(w1b) 및 유동 안내부(310, 311,312)의 폭(w1c)은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모서리 폭(w2b)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즉, 각각의 유동안내부 및 통과홀을 각각의 모서리 측으로 투영시키면, 각각의 유동안내부 및 통과홀의 폭의 길이가 모서리의 길이 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이온교환막과 제4 가스켓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a)는 도 20을 조립한 도면, 도 22(b)는 도 20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유효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01)의 각각의 유동 포트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유동 경로를 측면 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역전기투석 장치(12)에서 따로 언급되지 않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는, 제1 전극부(1010) 및 제1 전극부(10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10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부(1010) 및 제2 전극부(1020)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2100a, 2100b, 2100c) 및 음이온 교환막(2300a, 230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304)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21)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2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면(21) 과 제2면(23)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11a, 11b), 한 쌍의 제2 모서리부(12a,12b),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13a,13b)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11a, 11b, 12a,12b, 13a,13b)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11a, 11b)와 제2 모서리부(12a,12b) 사이 각도는, 120도이다.
상기 제4 가스켓(304)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13a, 13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1a,11b,12a,12b)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면(21)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12a,12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1a,11b,13a,13b)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가스켓(304)은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의 제1면 상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가스켓(304)은, 제1 전극부(1010) 측에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0a)의 제1면(21)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11a,11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2a,12b,13a,13b)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2100a)에 마련되고, 제2 전극부 측에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0c)의 제2면(23)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11a,11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2a,12b,13a,13b)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2100c)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모서리부(11a,11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 선분(L31)과 한 쌍의 제2 모서리부(12a,12b)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4 선분(L32) 사이의 제4 각도(θ4)는 90도 미만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4 각도는 60도 일 수 있다.
상기 제4 가스켓은, 한 쌍의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11a, 11b, 12a, 12b, 13a, 13b) 중 인접하는 두 쌍의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접하는 제4 가스켓(304)은, 소정의 제5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 측에 가장 인접하는 제4 가스켓(304)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2100)과 음이온 교환막(2300) 사이의 제4 가스켓(304)은, 반 시계방향(역방향)으로 소정의 제5 각도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고, 차례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2300)과 양이온 교환막(2100) 사이의 제4 가스켓(304)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소정의 제5 각도 만큼 회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각도는, 제5 각도와 동일한 각도 일 수 있으며, 특히 제5 각도는 60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부(1010)는 제1 엔드 플레이트(1011) 및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1 전극(1100)을 포함하고, 제2 전극부(1020)는 제2 엔드 플레이트(102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2 전극(1200)을 포함하며, 제1 전극(1100)과 제2 전극(1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100) 및 제2 전극(1200)은, 제1 엔드 플레이트(101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021)의 소정 영역 상에 각각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엔드플레이트(1011, 1021)와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전극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010, 10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제1전극(1100) 및 제2전극(1200)이 각각 배치된 제1면(1010a, 1020a)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1010b, 1020b)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 전극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101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1021)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130,140)에서 각각의 유동 포트가 형성되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2100) 및 음이온 교환막(2300)은, 서로 번갈아 차례로 각각 배치되어 제1전극부(1010) 및 제2전극부(1020) 사이에 제2 용액이 유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유로(408) 및 제3 용액이 유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유로(409)를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은 산화전극 또는 환원전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2 전극(1200)은 산화전극 또는 환원전극 중 나머지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4 가스켓(304)은, 각각의 이온교환막에 접촉하여 배치될 때, 유체가 제1 모서리부(11a,11b) 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즉, 제2 및 제3 모서리부(12a,12b,13a,13b)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2 및 제3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거나, 유체가 제2 모서리부 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즉, 제1 및 제3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1 및 제3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거나, 유체가 제3 모서리부 측을 향하여 유동되도록 즉, 제1 및 제2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1 및 제2 모서리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가스켓(304)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이온교환막 상의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부의 길이방향(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대략 '〈'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한 쌍의 제1 및 제2 모서리부 측 또는 한 쌍의 제2 및 제3 모서리부 측 또는 한 쌍의 제1 및 제3 모서리부 측을 차폐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된 제4 가스켓(304)에 의해 제1 모서리부 또는 제2 모서리부 또는 제3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의 표면을 접촉하며 유동하여 배출되는 유체 유동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문서에서는 제4 가스켓(304)이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2 및 제3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1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동하여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1 유로(407),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1 및 제3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2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동하여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2유로(408) 및 이온교환막의 한 쌍의 제1 및 제2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3 모서리부 측으로 유체가 유동하여 이온교환막 상(표면)에 접촉하며 유동하는 일부 영역(공간)을 제3유로(409)로 정의(지칭)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유로는,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 및 각각의 엔드 플레이트와 인접하는 이온교환막 사이에서 각각의 제4 가스켓이 접촉하여 배치될 때, 제4 가스켓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만큼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제1유로(407)에는 제1 용액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고, 제2유로(408)에는 제2 용액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고, 제3유로(409)에는 제3용액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극부(1010,1020) 사이에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및 제4 가스켓(304)이 적층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11a,11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2a,12b,13a,13b)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304)에 의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407)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12a,12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1a,11b,13a,13b)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304)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408)가 마련되며, 한 쌍의 제3 모서리부(13a,13b)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11a,11b.12a,12b)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304)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409)가 마련되고,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제2 및 제3 유로(408,409)를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4 가스켓(304)에 의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유로(407,408,409)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로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영역(420)이 육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교차영역(420)은 정육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제4 가스켓에 의해, 제1 내지 제3 용액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때, 스택 내에서 전력밀도에 영향을 주는 제1 내지 제3 용액이 교차하는 유효면적은 육각형을 갖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여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유로(407) 내지 제3 유로(409)를 동일 평면상에 투영(정사영)시키면, 제1 내지 제3 유로(407,408,409)가 겹쳐지는 면적인 유효면적(420)은 육각형을 갖게 된다.
상기 각각의 유로 상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도 20의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및 제2 엔드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된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및 가스켓, 스페이서를 적층하여 볼트 등을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용액을 공급 및 배출하도록 마련된 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801,802,80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801a, 801b, 802a, 802b,803a,803b)는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11a,11b,12a,12b,13a,13b) 측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내지 제3 용액을 공급 및 배출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1 모서리부(11a)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1 모서리부(11b) 측으로 배출되며, 제2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2 모서리부(12a)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2 모서리부(12b) 측으로 배출되고, 제3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3 모서리부(13a)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3 모서리부(13b)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용액 저장조는, 제1 엔드플레이트의 끝단에서 마주하는 제2 엔드플레이트의 끝단을 따라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한 쌍의 용액 저장조(801,802,803) 중 하나의 용액 저장조(801a, 802a, 803a 또는 801b, 802b, 803b)는 각각 제1 내지 제3 용액 공급부(미도시)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각각의 용액을 역전기투석 장치(12)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에서 제1 내지 제3 용액의 유동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용액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801a,802a,803a)에서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각각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용액 저장조(801a)에서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제1 용액이 공급되면, 제4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제1 유로(407)를 유동하여 제1 및 제2 전극과 각각 접촉한 후 마주하는 제1 용액 저장조(801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용액 저장조(802a)에서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제2 용액이 공급되면, 제4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제2 유로(408)를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2 용액 저장조(802b)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3 용액 저장조(803a)에서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제3 용액이 공급되면, 제4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제3유로(409)를 유동할 때, 제3 용액은 제2 용액 보다 상대적으로 고농도의 용액이므로, 제3 용액 내에 있는 양이온 및 음이온이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을 각각 통과하여 제2 용액 내로 유동하며, 마주하는 제3 용액 저장조(803b)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용액 내에 있는 양이온 및 음이온이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을 각각 통과하여 제2 용액 내로 유동할 때,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 때, 각각의 전극 측에서 산화 및 환원 반응이 발생하게 되어 전기가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제2 용액 저장조(802b)로 배출되는 제2 용액은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공급된 제2 용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3 용액 저장조(803b)로 배출되는 제3 용액은 역전기투석 장치 내로 공급된 제3 용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용액으로 담수가 공급되고, 제3 용액으로 해수가 공급될 때, 배출되는 제2용액 및 제3 용액은 각각 기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는, 육각형으로 형성하여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을 각각 유체 유입부로 이용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용액이 각각 유입되는 유입구가 대략 60도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인접하는 2개의 모서리의 내각은 60도 각도를 가지므로, 유입되는 유체도 서로 60도의 각도를 갖도록 교차 흐름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교차 흐름을 통해 제1 내지 제3 용액이 교차하는 유효면적 또한 육각형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유효면적은, 각각의 가스켓에 의해 제1 내지 제3 용액이 서로 60도의 각도를 갖도록 하여 교차 흐름이 육각 형상을 갖게 된다.
도 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 11, 12)에서, 네른스트 식에 따라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은, 도 1과 비교하여, 전력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첫번째 영역(Ⅰ영역)이 보다 큰 면적을 형성하게 되고, 전력밀도가 가장 낮은 영역인 네번째 영역(Ⅳ 영역)은 보다 작은 면적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종래에 비해 보다 큰 전력밀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11,12)에서는 3개의 양이온 교환막과 2개의 음이온 교환막이 번갈아 배치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온교환막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전극은 각각의 유효 면적과 대응하게 각각 육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으며, 유효 면적과 동일만 면적(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출력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11,12)를 각각 복수 개 마련하여, 이를 직렬연결 또는 병렬연결 함으로써 보다 많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 11)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10)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2 엔드 플레이트와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며,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11)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2 엔드 플레이트와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며,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직렬로 역전기투석 장치(10,11)를 복수 개 연결할 때, 각각의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각각의 유동포트가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가 직렬 연결 상태에서 양 측 끝에 마련된 역전기투석 장치(10a, 10c,) 중 적어도 하나의 역전기투석 장치(10a)로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를 통해 제1 내지 제3 용액이 공급되면, 이와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을 통과하여 유동하며, 직렬 연결된 다른 역전기투석 장치(10b, 10c)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를 통해 제1 내지 제3 용액이 유입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가 직렬 연결 상태에서 양 측 끝에 마련된 역전기투석 장치(11a, 11c) 중 적어도 하나의 역전기투석 장치(11a)로 제1 및 제2 유동포트를 통해 제3 및 제2 용액이 각각 공급되면, 이와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제1 내지 제6 유동홀을 통과하여 유동하며, 직렬 연결된 다른 역전기투석 장치(10b, 10c)의 제1 및 제2 유동포트를 통해 제2 및 제3 용액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1)가 복수 개 직렬로 연결될 때, 제1 용액이 유입 및 유출되는 제1 용액 유입 포트 및 제1 용액 유출 포트는 각각의 엔드플레이트의 측면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 일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진다.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된다.
상기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것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및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용액 저장조, 한 쌍의 제2 용액 저장조 및 한 쌍의 제3 용액 저장조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직렬로 연결될 때, 제1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2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3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3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어,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제1 내지 제3 용액을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으로 각각 공급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공급된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에서 배출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801a,801b, 802a, 802b, 803a, 803b)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 12a, 12b, 12c)의 길이방향(L)을 따라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 12a, 12b, 12c)가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용액 저장조는, 양 측 끝에 마련된 역전기투석 장치(12a, 12c)의 각각의 엔드플레이트를 따라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 12a, 12b, 12c) 각각의 제1 내지 제3 모서리 측을 둘러 싸도록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 일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된다.
상기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및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용액 저장조, 한 쌍의 제2 용액 저장조 및 한 쌍의 제3 용액 저장조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병렬로 연결될 때, 각각의 용액 저장조를 매개로 인접하는 2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병렬 연결된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복수 개의 역전기투석 장치(12)를 예를 들어, 각각 제1 스택(12a), 제2 스택(12b), 제3 스택(12c), 제4 스택(12d), 제5 스택(12e)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인접하는 2개의 스택의 하나의 모서리 측을 각각 연결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용액 저장조를 매개로 인접하는 2개의 스택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용액 저장조의 일측이 어느 하나의 스택과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어느 하나의 스택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 각각의 일측은 스택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다른 스택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택(12a)의 제3 용액 저장조(803b)의 일측은, 제1 스택(12a)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 스택(12b)과 연결되어 제3 용액 저장조(803b)를 매개로 제1 스택(12a)과 제2 스택(12b)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택(12a)의 제2 용액 저장조(802b)의 일측은 제1 스택(12a)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3 스택(12c)과 연결되어 제2 용액 저장조(802b)를 매개로 제1 스택(12a)과 제3 스택(12c)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택(12a)의 제1 용액 저장조(801b)는 제1 스택(12a)과 제4 스택(12d)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스택들이 병렬로 연결될 때, 도 26의 화살표를 참조하여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스택(12a)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801a, 802a,803a)로부터 제1 내지 제3 용액이 공급되면, 제1 용액은 스택 내의 유로를 따라 마주하는 제1 용액 저장조(801b)로 배출된 후, 제1 용액 저장조(801b)에서 제4 스택(12d)으로 제1 용액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스택(12a)에서 공급된 제1 용액을 다른 스택 내로 공급할 수 있어, 제1 용액을 각각의 스택에 따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스택(12a)을 통과한 제2 및 제3 용액은 마주하는 제2 및 제3 용액 저장조(802b, 803b)로 배출된 후, 제2 용액은 제3 스택(12c) 내로 공급될 수 있고, 제3 용액은 제2 스택(12b)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스택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스택 내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2)를 병렬로 복수 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제1 내지 제3 용액 공급조가 스택을 둘러싸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복수 개의 스택들이 병렬로 연결될 때, 스택 사이,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스택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은, 각각의 스택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용액 저장조(900)를 포함한다.
상기 용액 저장조(900)에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적절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용액 저장조(900)는, 일 예로 단면이 육각형인, 육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서리 측에는 서로 다른 스택이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저장조(900a)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는 제1 스택(12a)이 연결될 수 있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는 제2 스택(12b)이 연결될 수 있고,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는 제3 스택(12c)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액 저장조(900a)는, 용액 저장조(900a)의 각각의 모서리 측에 연결된 스택(12a, 12b, 12c, 12d, 12e, 12f)들로 용액 저장조(900a)에 저장된 용액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용액 저장조(900a)의 둘레에 각각 연결된 6개의 스택에 용액이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액 저장조(900a)에 저장된 용액이 해수인 경우, 각각의 스택(12a, 12b, 12c, 12d, 12e, 12f)들로 해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액 저장조(900)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제1 내지 제3 용액을 적절하게 공급함으로써, 복수 개의 스택에 제1 내지 제3 용액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이온교환막(210, 230, 2100, 2300)은 전술한 역전기투석장치 내에서 압력을 저감할 수 있는 패턴형 이온 교환막일 수 있다.
즉, 평막인 이온교환막 상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스페이서를 사용하지 않고 평막인 이온교환막 상에 이온교환막 상에서 돌출되는 패턴을 형성한, 이하에서 서술하는 패턴형 이온교환막(50)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인접하는 이온교환막간의 접촉 방지 및 유입수의 유로 확보를 위하여 스페이서를 사용하지만, 내부 저항 및 유출수간의 압력차를 높여 역전기투석으로 얻을 수 있는 출력량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이온교환막은 후술하는 패턴형 이온교환막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패턴형 이온교환막에 의해 평막 보다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각각은, 이온 교환막; 및 이온 교환막 상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복수 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돌출부재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되, 기준선을 따라 복수 회 기준선과 교차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된 곡선부를 포함하며, 기준선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교차점 중 인접하는 2개의 교차점 사이의 간격과, 해당 간격 내에서 기준선과 돌출부재 사이의 최대 거리의 비율은 3 내지 8 : 1을 갖는 패턴형 이온 교환막일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패턴형 이온교환막(5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패턴형 이온교환막(50)은 이온 교환막(600) 및 이온 교환막(600) 상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복수 개의 돌출부재(700)를 포함한다.
상기 이온교환막(600)은 이온교환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이온교환막(600)은 패턴형 이온교환막(10)이 양이온 교환막일 때, 통상의 양이온 수지 또는 패턴형 이온교환막(10)이 음이온 교환막일 때, 통상의 음이온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온교환막(600)의 두께는 10 내지 50㎛, 바람직하게 10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 15 내지 17㎛ 또는 16㎛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돌출부재(700)는 종래 스페이서를 대신하기 위해 이온교환막 상에 미세 구조물(돌출부재)을 패턴화시켜 인접하는 이온교환막 간의 간격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돌출부재(700)를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채널 또는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재(700)는, 가상의 기준선(K)을 기준으로 연장되되, 기준선(K)을 따라 복수 회 기준선(K)과 교차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된 곡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기준선(K)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교차점(P) 중 인접하는 2개의 교차점 사이의 간격(r1)과, 해당 간격(r1) 내에서 기준선(K)과 돌출부재(700) 사이의 최대 거리(r2)의 비율은 3 내지 8 :1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재(700)는, 가상의 기준선(K)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만곡된 제1 곡선(711)과 제1 곡선(711)에서 연장되며, 제1 방향(d1)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만곡된 제2 곡선(71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교차점(P)은, 제1 곡선(711)에서 제2 곡선(712)으로 변하는 변곡점 또는 제2 곡선(712)에서 제1 곡선(711)으로 변하는 변곡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곡선(711, 712)의 시작점 또는 끝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상기 인접하는 2개의 교차점 사이의 간격(r1)은, 제1 간격(r1)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간격(r1) 내에서 기준선(K)과 돌출부재(700) 사이의 최대 거리(r2)는 제2 간격(r2)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2 간격(r2)은, 인접하는 2개의 교차점(P) 사이를 잇는 기준선에서 제1 곡선(711) 또는 제2 곡선(712)의 최대점까지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간격(r1)과 제2 간격(r2)은, 3 내지 8 : 1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r1)과 제2 간격(r2)이 상기의 비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1 곡선 및 제2 곡선이 형성되지 않고, 직선형에 가까운 형태로 나타나게 되어 전해질 유출입시 압력 저감의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r1)은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1 곡선(711) 또는 제2 곡선(712) 각각의 시작점에서 끝점을 잇는 직선구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간격(r2)은 제1 곡선(711) 또는 제2 곡선(712) 각각의 시작점에서 끝점을 잇는 직선구간의 중앙지점에서 직선과 수직한 수직선이 제1 곡선(711) 및 제2 곡선(712)과 맞닿는 각각의 직선구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간격(r1)은 3mm 내지 8mm 일 수 있고, 이 때, 제2 간격(r2)는 1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재(700) 사이 간격(d)은, 0.5mm 내지 3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재(700) 각각의 사이 간격(d)이, 0.5mm 미만인 경우 실제 공정상 구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3mm 초과 시 돌출 부재(700)가 형성되지 않은 이온교환막(지지막) 즉,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재(700) 사이 영역(유체가 유동하는 유로 또는 채널이 라고도 함)이 아래로 처지면서, 패턴형 이온교환막을 적층할 때, 유체 유로를 막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700)는, 소정의 폭(w) 및 높이(h)를 가지며, 폭(w)은 0.05mm 내지 3mm, 높이(h)는 0.05 mm 내지 0.5mm 인 범위를 각각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높이(h)는 0.05mm 내지 0.1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700)의 폭(w)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계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특히 간격이 0.05mm 미만이 되는 경우, 후술할 역전기투석 장치 내에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높이(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역전기투석 장치 내에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특히, 0.15mm 이상일 경우, 역전기 투석 장치 내에서 출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700)는, 비이온전도성 소재 및 이온전도성 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재(700)는, 비이온전도성 소재로서 광경화용 잉크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365nm의 UV를 조사하여 경화시켜 가교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돌출부재(700)의 제1 및 제2 곡선이 상기와 같은 비율을 갖고, 전술한 범위의 폭과 높이를 갖도록 물결(웨이브) 형상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유입 및 유출수 간의 압력 차를 줄일 수 있고, 이온 교환막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염(스케일링, 파울링 등)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재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재 사이에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2개의 돌출부재 사이의 각각의 유로를 통해 저농도 용액 또는 고농도 용액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형 이온교환막이 적층될 때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내부에 패턴형 음이온 교환막(51) 및 패턴형 양이온 교환막(52)이 교번하여 적층 될 때, 인접하는 2개의 음이온 교환막(51a, 51b) 또는 양이온 교환막(52a, 52b)의 돌출부재는, 동일 평면 상에서 기준선(K)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구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1: 패턴형 이온 교환막이 적층된 역전기투석장치(RED)의 출력밀도 측정
역전기투석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역전기투석 장치(10)에 전술한 패턴형 이온교환막을 배치하여 구성하였고, 운전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또한, 해수는 음이온 교환막 위쪽으로 흐르도록 하고, 담수는 양이온 교환막 위쪽으로 흐르도록 하여 최대 출력밀도 및 유량에 따른 최대 출력밀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3 (a)에 도시하였다. 도 3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출력밀도는 1.72 W/m 2 값을 얻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돌출부재 사이 간격 및 높이 1.5mm, 0.1mm
돌출부재 제1 및 제2 간격길이 4mm, 2mm
해수농도 3.0wt% NaCl
담수농도 0.01wt% NaCl
전극용액농도 K 4[FE(CN) 6]/K 3[Fe(CN) 3 50mM
해수-담수-전극용액유량 600mL/min-600mL/min-600mL/min
전극 Pt-coated Ti
이온교환막의 수 10셀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0)

  1.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 및 제1 및 제2 전극부와 각각의 전극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유동홀, 한 쌍의 제2 유동홀, 및 한 쌍의 제3 유동홀을 갖고, 제1 내지 제3 유동홀은 둘레 방향을 따라 차례로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과 한 쌍의 제2 유동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 사이의 제1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제1 가스켓은,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유동홀 중 한 쌍의 유동홀을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를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가스켓은, 나머지 두 쌍의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의 유동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1 가스켓은, 소정의 제2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각도 및 제2 각도는 동일한 각도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부에 인접한 제1 가스켓을 포함하여 인접하는 3개의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동 안내부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영역이 육각 형상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1 각도는 60도 이고, 교차영역은 정육각 형상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부는 제1 유동홀, 제2 유동홀, 제3 유동홀과 각각 연결되는 세 쌍의 유동포트를 갖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및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부는 제1 유동홀, 제2 유동홀, 제3 유동홀과 각각 연결되는 세 쌍의 유동포트를 갖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엔드 플레이트는 각각, 제1 유동홀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유동포트, 한 쌍의 제2 유동홀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유동포트, 및 제3 유동홀과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3 유동포트를 가지며,
    각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로 제1 내지 제3 용액이 각각 유입되고, 유입된 제1 내지 제3 용액은 한 쌍 중 나머지 하나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에서 각각 배출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는, 제1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인접하는 이온교환막에 접촉하며 한 쌍의 유동홀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유동홀을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제1 가스켓이 각각 배치될 때,
    제1 전극부 측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 사이에는 제1 가스켓의 유동안내부가 한 쌍의 제2 유동홀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를 향하여 차례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 사이에는 제1 가스켓의 유동안내부가 한 쌍의 제3 유동홀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부와 제1 및 제2 전극부와 인접하는 각각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가스켓의 유동안내부는, 한 쌍의 제1 유동홀을 연결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및 제1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가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되며,
    한 쌍의 제3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가 마련되고,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제2 및 제3 유로를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유동 포트로 각각 유입되면,
    제1 용액은,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1 유동포트로 배출되며,
    제2 용액은, 제2 유동포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제1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각각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마주하는 제2 유동포트로 배출되고,
    제3 용액은, 제3 유동포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3 유로를 형성하지 않는 나머지 제1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이온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3 유로를 형성하는 제1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따라 유동한 후 각각의 통과홀을 통과하여 마주하는 제3 유동포트로 배출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4.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가스켓;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져 차례로 위치한 제1 내지 제6 유동홀을 갖고, 제1 유동홀 및 제4 유동홀의 중심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1 선분, 및 제2 유동홀 및 제5 유동홀을 각각 통과하는 가상의 제2 선분 사이의 제1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제2 가스켓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을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동 안내부를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2 가스켓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2, 제4 및 제6 유동홀과 각각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2 가스켓은, 소정의 제3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1 각도와 제3 각도는 동일한 각도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부는, 제1 내지 제6 유동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를 갖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및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된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부는, 제1 내지 제6 유동홀과 각각 연결되는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를 갖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1 엔드 플레이트에는, 제1 전극 측으로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각각 마련되고,
    제2 엔드 플레이트에는, 제2 전극 측으로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각각 마련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부와 각각의 전극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이온교환막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3 가스켓을 포함하고,
    제3 가스켓은,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싸도록 마련된 유동 안내부 및 제1 내지 제6 유동홀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제1 내지 제6 유동홀과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통과홀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가스켓 및 제3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동 안내부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영역이 육각 형상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제1 각도는 60도 이고, 교차 영역은 정육각 형상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가스켓이 각각 배치될 때,
    제1 전극부 측을 기준으로,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 측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된,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과 음이온 교환막 사이에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을 연결하도록 배치되고,
    제1 전극부에서 제2 전극부 측을 향하여 차례로 배치된, 인접하는 음이온 교환막과 양이온 교환막 사이에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가 제1, 제3 및 제5 유동홀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제2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2 용액 및 제3 용액이 각각 공급될 때,
    제2, 제4 및 제6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되고,
    제1, 제3 및 제5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의 유동 안내부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가 마련되며,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제2 및 제3 유로를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제2 용액은 제2 유동 포트로 유입되고,
    제2 유동 포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유동 포트와 연결되는, 제3 가스켓의 통과홀 및 양이온 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2 유로로 유입될 때,
    제2 유로의 제2 유동홀 측으로 유입된 제2 용액은, 유로 안내부를 따라 제4 및 제6 유동홀 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제3 용액은 제1 유동 포트로 유입되고,
    제1 유동 포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1 유동 포트와 연결되는, 제3 가스켓의 통과홀, 양이온 교환막의 통과홀, 제2, 제4 및 제6 유동홀을 연결하는 제2 가스켓의 통과홀 및 음이온 교환막의 통과홀을 차례로 각각 통과하여, 제3 유로로 유입될 때,
    제3 유로의 제1 유동홀 측으로 유입된 제3 용액은, 유로 안내부를 따라 제3 및 제5 유동홀 측으로 분기되어 유동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7.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제4 가스켓은, 제1 전극부 측에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의 제1면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제2 전극부 측에 인접하는 양이온 교환막의 제2면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3 선분과 한 쌍의 제2 모서리부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제4 선분 사이의 제4 각도는 90도 미만이고,
    제4 가스켓은, 한 쌍의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중 인접하는 두 쌍의 모서리부 측의 적어도 일부 영역 상에 각각 배치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4 가스켓은, 소정의 제5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제4 각도는, 제5 각도와 동일한 각도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2. 제 27항에 있어서,
    제1 전극부는 제1 엔드 플레이트 및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부는 제2 엔드 플레이트 및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소정 영역 상에 장착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3. 제 2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어 제1 내지 제3 용액을 공급 및 배출 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를 포함하고,
    제1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1 모서리부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1 모서리부 측으로 배출되며,
    제2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2 모서리부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2 모서리부 측으로 배출되고,
    제3 용액은 한 쌍 중 하나의 제3 모서리부 측으로 유입되어 유동한 후 마주하는 제3 모서리부 측으로 배출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4. 제 2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복수 개의 이온교환막 및 제4 가스켓이 적층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에 의해 제1 용액이 유동하는 제1 유로가 마련되고,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에 의해 제2 용액이 유동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되며,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배치된 제4 가스켓에 의해 제3 용액이 유동하는 제3 유로가 마련되고,
    제2 및 제3 용액이 각각 제2 및 제3 유로를 유동할 때, 제2 용액과 제3 용액의 농도차에 의한 전위차에 의해 전기가 생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4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제1 내지 제3 유로를 각각 전극부로 투영했을 때, 각각의 유로가 교차하여 중첩되는 교차영역이 육각 형상을 갖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제4 각도는, 60도 이고, 교차 영역은 정육각 형상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7. 제 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각각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2 엔드 플레이트와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며,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3 유동포트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8. 제 1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1 엔드 플레이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의 제2 엔드 플레이트와 서로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 장착되며,
    제1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는,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제1 내지 제6 유동포트와 각각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39. 제1 전극부 및 제1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2 전극부;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 사이에 번갈아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및 인접하는 2개의 이온교환막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4 가스켓; 을 포함하고,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은, 각각 제1 전극부를 향하는 제1 면과 제2 전극부를 향하는 제2 면을 가지며, 제1 면과 제2 면은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모서리부,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및 한 쌍의 제3 모서리부를 갖고,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며, 제1 모서리부와 제2 모서리부 사이 각도는, 120도이고, 제4 가스켓은, 양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3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양이온 교환막에 마련되고, 음이온 교환막의 제1 면에서, 한 쌍의 제2 모서리부 만을 통해 유체가 유동하고, 나머지 모서리부가 차폐되도록 음이온 교환막에 마련되는 것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및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로 제1 내지 제3 용액을 각각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용액 저장조, 한 쌍의 제2 용액 저장조 및 한 쌍의 제3 용액 저장조를 각각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직렬로 연결될 때, 제1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1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2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제3 용액 저장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3 모서리부 측에 각각 장착되고,
    한 쌍 중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제1 내지 제3 용액을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으로 각각 공급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 내지 제3 용액 저장조는, 공급된 제1 내지 제3 용액이 제1 내지 제3 모서리부 측에서 배출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되고,
    복수 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병렬로 연결될 때, 각각의 용액 저장조를 매개로 인접하는 2개의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가 유체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모듈.
  40. 제1항, 제14항 및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막 및 음이온 교환막 각각은,
    이온 교환막; 및 이온 교환막 상에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소정 간격 떨어져 마련된 복수 개의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돌출부재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되, 기준선을 따라 복수 회 기준선과 교차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만곡된 곡선부를 포함하며,
    기준선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교차점 중 인접하는 2개의 교차점 사이의 간격과, 해당 간격 내에서 기준선과 돌출부재 사이의 최대 거리의 비율은 3 내지 8 : 1을 갖는 패턴형 이온 교환막인, 생체 모방형 역전기투석 장치.
PCT/KR2020/007320 2019-06-11 2020-06-05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WO20202512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498 2019-06-11
KR1020190068498A KR102238394B1 (ko) 2019-06-11 2019-06-11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218A1 true WO2020251218A1 (ko) 2020-12-17

Family

ID=7378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7320 WO2020251218A1 (ko) 2019-06-11 2020-06-05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394B1 (ko)
WO (1) WO20202512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092A (ja) * 1997-07-18 1999-02-09 Shinko Pantec Co Ltd 水素酸素発生装置用電解セルおよびそのガスケット
CN202974964U (zh) * 2012-07-29 2013-06-05 安徽皖仪科技股份有限公司 离子色谱电化学抑制器
KR101710006B1 (ko) * 2015-12-18 2017-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압력지연삼투와 전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70044579A (ko) * 2015-10-15 2017-04-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역전기투석 전기분해 장치
KR20180101887A (ko) * 2017-03-06 2018-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092A (ja) * 1997-07-18 1999-02-09 Shinko Pantec Co Ltd 水素酸素発生装置用電解セルおよびそのガスケット
CN202974964U (zh) * 2012-07-29 2013-06-05 安徽皖仪科技股份有限公司 离子色谱电化学抑制器
KR20170044579A (ko) * 2015-10-15 2017-04-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역전기투석 전기분해 장치
KR101710006B1 (ko) * 2015-12-18 2017-02-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압력지연삼투와 전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80101887A (ko) * 2017-03-06 2018-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역전기투석 염분차 발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2323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02322B1 (en) 2022-05-09 2022-11-15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563229B1 (en) 2022-05-09 2023-01-24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611099B1 (en) 2022-05-09 2023-03-2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699803B1 (en) 2022-05-09 2023-07-11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cell with heat pump
US11855324B1 (en) 2022-11-15 2023-12-26 Rahul S. Nana Reverse electrodialysis or pressure-retarded osmosis cell with heat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76A (ko) 2020-12-21
KR102238394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1218A1 (ko) 생체모방형 역전기투석장치
WO2020017694A1 (ko) 원통형 역전기투석 발전장치
WO2010027168A2 (ko)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셋
WO2009088241A2 (en) Lens unit, lens assembly, camera module, method of fabricating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method of fabricating optic member,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optic member
WO2019203391A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WO2013005961A2 (en) Mode-dependent transforms for residual coding with low latency
WO2018070726A1 (ko) 리튬 화합물의 제조 방법
WO2016089153A1 (ko) 고분자 전해질막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17142231A1 (ko) 금속판, 증착용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079859A1 (ko) 액적분사장치 및 방법
WO2020145637A1 (ko) 촬상 렌즈
WO2019240521A1 (ko) 전동기
WO2019088782A1 (ko)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CN100535703C (zh) 透镜系统及使用该透镜系统的投影机
WO2020045930A1 (ko) 연료전지 파워팩
WO2019117532A2 (ko) 염도차 태양에너지 복합 발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시스템
WO2021157873A1 (ko) 냉각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34878A1 (ko)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WO2018062838A1 (ko) 수처리용 평판형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모듈
WO2020045994A1 (ko) 연료전지 파워팩의 가스 공급 구조
WO2019017530A1 (ko) 전해조 및 전해조 제어방법
WO2018105815A1 (ko) 가스 센서
WO2023219285A1 (ko) 전지 셀, 이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149872A1 (ko) 휴대형 공기정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팬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217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217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