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34878A1 -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34878A1
WO2024034878A1 PCT/KR2023/009856 KR2023009856W WO2024034878A1 WO 2024034878 A1 WO2024034878 A1 WO 2024034878A1 KR 2023009856 W KR2023009856 W KR 2023009856W WO 2024034878 A1 WO2024034878 A1 WO 20240348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ll
expansion means
hole
heat exchange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98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훈
이성제
이해준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40348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348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86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3298Ejector-type refrigeran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그루브가 형성된 볼 및 상기 볼의 회동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볼의 회동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동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는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는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실시예는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열교환매체로 제공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볼에 배치되는 두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는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온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거나, 냉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매체인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가 설치되는 차량 중 대부분은 휘발유, 경유 등의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구동하는 내연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환경오염 문제, 석유 매장량의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친환경 자동차가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차량(이하, '내연기관 차량'이라 함)의 경우, 내연기관을 냉각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를 난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내연기관 차량은 내연기관으로부터 흡수한 열을 차량의 실내 난방에 이용하도록 냉각수를 이용한 히팅 시스템을 구비하여 차량 내부를 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연료전지 등을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내연기관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내연기관을 열원으로 하는 히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연료전지 등을 사용하는 차량은 공조장치에 히트펌프를 추가하여 이를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전기 히터와 같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여 차량 내부를 난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는 저온의 열을 흡수한 후 흡수된 열을 고온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의 히트펌프는 액체 냉매가 증발기 내에서 증발하고 주위에서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되며, 다시 응축기에 의해 주위에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되는 사이클을 가진다. 이를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공조장치에서 부족하던 열원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히트펌프가 배치되는 히트펌프 시스템에서는 냉난방 및 제습 성능을 증대하기 위해 베이퍼 인젝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퍼 인젝션 시스템은 냉난방을 위한 냉매 순환 시스템에서 기액분리기를 이용하여 기상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유입시키고, 액상의 냉매는 증발기 또는 칠러로 공급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은 2-way 팽창 밸브를 사용하여 원하는 만큼의 냉매를 흘려주지 못하며, 냉매 부족으로 인한 제습성능에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2-way 팽창 밸브를 사용하게 되면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실시예는 그루브가 형성된 볼의 위치를 제어하여 공조 모드에 따른 성능을 향상시킨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하나의 기액분리기만을 사용하면서도 3-way 타입의 밸브를 통해 종래의 기액분리기의 기상 출구측에 배치되던 체크밸브를 삭제한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볼 밸브를 이용하는 모듈화된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통해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각 구성에 대한 최적화된 배치 구조를 제공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양방향 팽창이 가능한 볼 밸브를 이용하여 양방향 팽창(Expansion) 모드를 구현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3 하우징 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의 그루브는 상기 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될 수 있는 볼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볼의 그루브는 상기 제1 하우징 홀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볼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직경,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직경,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의 직경은 상기 그루브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3 하우징 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볼의 그루브는 상기 제1 하우징 홀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는 볼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직경,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직경,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의 직경은 상기 그루브의 폭보다 크며,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3 하우징 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볼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우징 홀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볼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 밸브는 상기 볼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및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볼 밸브는 상기 제1 실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의 연결부는 상기 제2 홀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 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는 상기 볼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그루브를 통해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홀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홀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 및 상기 제1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하우징 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1 하우징 홀을 통해 상기 제2 실링부, 상기 볼, 상기 제1 실링부, 및 상기 지지수단 순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 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다른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 차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기; 공조장치에 장착되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3 열교환기; 및 기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유입시킬 수 있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은 제1 팽창수단 그룹, 제2 팽창수단 그룹, 및 하나의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의 제1 팽창수단, 및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의 제3 팽창수단 각각은,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이루는 제1 사잇각은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과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일점이 이루는 제2 사잇각보다 작은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냉방 모드시에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으로 유입되고, 난방 모드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로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은 상기 제1 팽창수단, 제2 팽창수단, 및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출구를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2 팽창수단에 연결하는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은 상기 제3 팽창수단, 제4 팽창수단, 및 제3 분기부를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출구를 상기 제3 팽창수단과 상기 제4 팽창수단에 연결하는 제4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3 팽창수단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액상 출구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팽창수단과 상기 제4 팽창수단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입구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출구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기, 상기 제1 열교환기,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 상기 제3 열교환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제1 라인,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과 제2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2 라인,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3 라인, 일측은 상기 제3 열교환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 사이의 상기 제2 라인에 연결되는 제4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 상에 배치되는 칠러와 제5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칠러에서 상기 제4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제4 팽창수단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3 팽창수단에 의해 상기 제3 열교환기로 이동하며,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를 우회하여 상기 제3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사잇각 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 모두가 배치되게 회동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팽창수단에 의해 팽창 후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에서 팽창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사잇각 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 모두가 배치되게 회동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를 우회하여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를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 및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팽창수단에서 팽창한 후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3 팽창수단으로 각각 분기되고, 상기 제1 팽창수단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으로 유입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다른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 차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기; 칠러; 및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볼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밸브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이루는 제1 사잇각은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과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일점이 이루는 제2 사잇각보다 큰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실외기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제1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칠러를 우회하여 상기 볼 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제2 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폐열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상기 볼 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칠러로 유입되며, 상기 칠러에서 상기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병렬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제1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볼 밸브에서 양방향 팽창을 구현한 후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로 유입되며, 상기 칠러에서 상기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는 그루브가 형성된 볼 및 상기 볼의 회동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볼의 회동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볼 밸브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동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볼 밸브가 적용된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공조모드에 따라 냉매를 선택적 팽창시키거나 또는 냉매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시예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공조모드에 따라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냉매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밸브를 통해 복수 개의 2-way 밸브를 사용하던 열관리 장치의 사이즈를 개선함으로써,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는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한 열교환매체 또는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한 열교환매체 중 하나를 하나의 기액분리기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종래의 기액분리기의 기상 출구측에 배치되던 체크밸브를 삭제하여 공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더욱 컴팩트한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는 복수 개의 팽창수단과 연결된 하나의 기액분리기만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통해,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하여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각 구성별로 모듈화된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통해 유지 및 보수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는 난방 또는 제습 모드시, 배터리 등에서 발생하여 버려지는 열(이하, '폐열'이라 함)을 이용하여 열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는 그루브가 형성된 볼 및 상기 볼의 회동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볼의 회동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볼 밸브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양방향 팽창을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양방향 팽창이 가능한 볼 밸브를 통해 배터리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열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볼, 실링부, 및 지지수단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볼, 실링부, 및 지지수단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1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2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3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4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5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가 적용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구성 요소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칠러에 연결되는 냉각수 순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제1 팽창수단 그룹과 제2 팽창수단 그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1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1의 B-B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가 적용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실외기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1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폐열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2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병렬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3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도면은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차량은 공기 온도, 습도, 청정도, 및 환기 등을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공조장치를 이용하여 차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조장치는 에이치백(HVAC, Heating/Ventilaiton/Air Conditioning)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는 열교환매체로 제공될 수 있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팽창수단으로 3-way(삼방향)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차량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따른 열관리 장치는 볼의 회동을 통해 냉매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또는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를 이용하여 공조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더욱 컴팩트한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밸브는 3-way 밸브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는 볼 이외의 구성을 공용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볼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볼 밸브가 적용된 열관리 장치 상에서 열교환매체인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또는 양방향 팽창 모드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상세하게, 상기 볼만을 선택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볼 이외의 구성을 공용화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만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다양한 열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볼의 형상에 따른 볼 밸브의 실시예를 살펴보고, 상기 볼 밸브가 적용된 열관리 장치의 제어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볼, 실링부, 및 지지수단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볼, 실링부, 및 지지수단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X 방향은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Y 방향은 반경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도면 부호 'C'는 X 방향으로 배치되는 축 중심(회전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축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을 따라가는 방향은 원주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이라 불릴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볼(200)에 형성된 그루브(240)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240)의 형성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200), 및 상기 볼(200)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밸브(1)는 3-way 밸브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볼(200)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제1 하우징 홀(120)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400), 및 상기 볼(200)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1 실링부(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600)은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볼(200)의 교체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7의 단면도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수직단면도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 및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연통되게 형성된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볼(200)의 배치를 위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의 교차점에 형성된 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열교환매체인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은 상기 냉매가 흐르는 유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에 배치되는 제1 실링부(400)와 지지수단(600),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배치되는 제2 실링부(500)에 의해 상기 유로의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2 하우징 홀(130)은 서로 마주보게 반경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하우징 홀(140)은 제1 하우징 홀(120) 및 제2 하우징 홀(130)과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상기 볼(200), 제1 실링부(400), 제2 실링부(500), 및 지지수단(600)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및 제2 하우징 홀(130) 중 어느 하나의 직경은 상기 볼(200), 제1 실링부(400), 제2 실링부(500) 및 지지수단(600) 각각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조립을 위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의 직경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 및 팽창량에 대한 정확한 검출을 고려하여 동일한 사이즈의 상기 제1 실링부(400)와 제2 실링부(500)가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의 직경은 상기 볼(200), 제1 실링부(400), 제2 실링부(500) 및 지지수단(600) 각각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을 통해 제2 실링부(500), 볼(200), 제1 실링부(400), 및 지지수단(600) 순으로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실링부(400)는 지지수단(600)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볼(200)과 결합하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연결부(310)를 위해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4 하우징 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하우징 홀(150)은 상기 제3 하우징 홀(140)과 마주보게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4 하우징 홀(150)은 상기 제3 하우징 홀(140)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축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제3 하우징 홀(140), 및 제4 하우징 홀(150)은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S)은 상기 하우징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S)은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2 하우징 홀(130), 제3 하우징 홀(140), 및 상기 제4 하우징 홀(150)의 교차점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S)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바디(110)는 상기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200)의 구조 및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및 제3 하우징 홀(140)이 형성하는 제1 유로,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 및 제3 하우징 홀(140)이 형성하는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통해 냉매가 흐르거나 또는 상기 냉매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볼(200)은 소정의 반지름(R)을 갖는 구 형상의 볼 바디(210), 상기 볼 바디(210)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220)과 제2 홀(230), 및 상기 제1 홀(220)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210)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그루브(240a)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 그루브(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바디(21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연결부(310)가 결합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220)과 제2 홀(230)은 상기 볼 바디(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홀(220)과 제2 홀(230)은 상기 볼 바디(210)의 내부에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1 홀(220)은 축 중심에 수직하는 반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홀(230)은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홀(220)과 상기 제2 홀(230)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의 양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홀(220)의 제1 직경(D1)은 상기 제2 홀(230)의 제2 직경(D2)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홀(220)의 제1 직경(D1)은 제1 실링부(400) 및 제2 실링부(500)의 내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220)은 상기 볼 바디(21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상기 제2 하우징 홀(130), 또는 하우징 바디(110)의 내벽(11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230)은 상기 볼 바디(210)가 회동하더라도 상기 제3 하우징 홀(14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홀(230)은 축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310)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볼 바디(210)의 구면상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제1 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그루브(240)는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는 상호 대칭되게 상기 볼 바디(210)의 구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제1 홀(220)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제1 홀(220)의 외경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240)는 소정의 길이(L), 폭(W) 및 깊이(D)를 갖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그루브(240)를 따라 냉매가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200)에 형성된 상기 그루브(240)의 길이(L)는 제1 길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그루브(240)를 따라 이동된 냉매가 팽창됨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40)의 길이(L), 폭(W) 및 깊이(D)는 중요 인자로 작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볼(200)의 회동 정도에 따라, 상기 그루브(240)와 제1 하우징 홀(120) 또는 상기 그루브(240)와 제2 하우징 홀(130)과의 연통 정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그루브(240)를 통해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의 팽창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그루브(240)의 길이(L)는 길면 길수록 좋다.
다만, 상기 볼(200)의 사이즈, 상기 제1 홀(220)의 제1 직경(D1), 상기 볼(200)의 회동 범위에 따른 냉매 흐름의 차단 등에 의해 상기 길이(L)에 대한 설계에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상기 길이(L)가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그루브(240)를 따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은 냉매의 팽창량과 연관되기 때문에, 상기 그루브(240)의 폭(W) 및 깊이(D) 또한 주요 설계 인자로 제공된다.
상세하게, 상기 그루브(240)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제1 하우징 홀(120) 또는 제1 홀(220)측으로 흐른 후 팽창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폭(W) 및 깊이(D)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면적은 상기 제1 홀(220)의 단면적 및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측의 단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이때, 상기 제1 실링부(400)를 매개로 상기 냉매는 제1 하우징 홀(120) 또는 제1 홀(220)측으로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면적은 상기 제1 실링부(400)의 제1 내경(MD)이 형성하는 단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그루브(240)를 이용하여 상기 냉매의 팽창을 구현하기 때문에, 상기 그루브(240)의 단면적은 상기 제1 홀(220)의 단면적, 및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측의 단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 홀(130) 또는 제2 실링부(50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 그루브(240b) 또한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설계 기준과 동일한 설계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240) 상에서의 냉매의 팽창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깊이(D)는 상기 제1 홀(220)에서 상기 그루브(24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그루브(240)는 최대 깊이와 최소 깊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루브(240)의 최대 깊이는 2mm정도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그루브(240)의 제1 홀(220)측에서의 깊이는 2mm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폭(W) 또한 상기 제1 홀(220)에서 상기 그루브(240)의 단부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루브(240a)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240a)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그루브(240b)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그루브(240b)를 따라 이동하는 냉매는 팽창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볼(200a)의 제1 홀(220)의 직경(D1)과 제2 홀(230)의 직경(D2)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볼(200a)의 제1 홀의 직경(D1)은 제2 홀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볼(200a)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200)보다 상기 그루브(240)의 길이(L)를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볼(200a)의 제1 홀(220)의 직경(D1)은 제1 실링부(400)와 제2 실링부(50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200a)의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볼(200)보다 상기 그루브(240)의 길이(L)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냉매의 팽창을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300)는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소정의 회동 범위 내에서 상기 볼(20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300)의 연결부(310)는 상기 볼(200)과 결합하며,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볼(200)은 상기 연결부(31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볼(200)은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2 하우징 홀(130)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동 범위는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180도의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200)은 상기 연결부(310)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0, 500)는 상기 볼(200)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0, 500)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1 홀(220)에 대응되는 제1 실링부(400),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120)과 제1 홀(220)에 대응되는 제2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200), 제1 실링부(400), 및 제2 실링부(50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하기 위해 제1 하우징 홀(120)의 직경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1 그루브(240a)와 상기 제1 홀(220)을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제2 그루브(240b)와 상기 제1 홀(220)을 통과하는 냉매는 다른 이동량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정확한 팽창량 등을 계산하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킨다.
이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실링부(400)와 제2 실링부(500)를 통해 기 설정된 량의 냉매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실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400, 500)는 바디(410, 510) 및 상기 바디(410, 510)의 외측에 배치되는 오링(42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410, 510)는 실링부 바디라 불릴 수 있다.
상기 바디(410, 510)는 내경과 외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바디(410, 510)는 냉매의 이동을 위해 형성된 홀(411, 5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411, 511)은 실링부 바디홀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411, 511)은 상기 볼(200)의 회동에 의해 상기 볼(200)의 제1 홀(220) 또는 그루브(240)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410, 510)는 상기 볼(200)에 대응되는 곡면(412, 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412, 512)은 상기 볼(200)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면으로써, 상기 볼 바디(210)의 구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오링(420, 520)은 상기 바디(410, 5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링부(400)에 배치되는 오링(420)은 상기 지지수단(600)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링부(500)에 배치되는 오링(520)은 제2 하우징 홀(130)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110)의 내벽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600)은 제1 하우징 홀(12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실링부(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볼(200)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600)은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600)의 내부에는 홀(6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홀(610)은 상기 제1 실링부(400)의 홀(41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600)의 외주면은 다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주면에는 오링(6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600)의 외주면 중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은 제1 하우징 홀(130)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110)의 내벽과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에 의해 회동하는 볼(200, 200a)이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부(400, 500)와의 관계에서 상기 볼(200, 200a)의 그루브(240)의 길이(L)는 설계상 제한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볼(200, 200a)은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고, 상기 실링부(400, 500)의 내경은 기 설정된 값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가 상기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볼(200, 200a)에 형성된 상기 그루브(240)의 형성 범위는 제한된다.
이에, 상기 실링부(400, 500)와의 관계를 통해 상기 형성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냉매의 이동에 따른 제어 위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1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2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3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4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5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화살표는 냉매의 이동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볼(200, 200a)의 회동 위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볼(200, 200a)은 그루브의 형성 범위에 대한 제한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2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그루브(240)가 이루는 제1 사잇각(θ1)은 제1 실링부(4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1)과 제2 실링부(5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2)이 이루는 제2 사잇각(θ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링부(4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1)은 제1 점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2 실링부(5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2)은 제2 점이라 불릴 수 있으며,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은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상에 가장 가까운 두 점일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40)의 형성 범위는 상기 제1 사잇각(θ1)과 제2 사잇각(θ2)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를 통해 제1 위치에 볼(2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2 사잇각(θ2) 내에 두 개의 상기 그루브(240) 모두가 배치되는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볼(2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차단 위치 또는 대기 위치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볼(200)은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230)을 닫는 닫음 상태에 위치하여, 상기 냉매의 이동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200)의 제1 홀(220)은 하우징(100)의 공간(S)을 형성하는 내벽(11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를 통해 제2 위치에 볼(2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1 사잇각(θ1) 내에 제1 하우징 홀(120)이 배치되는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볼(2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1 홀(220)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2 위치에 상기 볼(200)이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볼(200)은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을 여는 오픈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위치는 제1 오픈 위치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냉매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1 홀(220) 및 제2 홀(230) 순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홀(230), 제1 홀(220) 및 제1 하우징 홀(12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냉매의 이동만을 제어할 뿐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를 통해 제3 위치에 볼(2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1 사잇각(θ1) 내에 제2 하우징 홀(130)이 배치되는 상기 제3 위치에 상기 볼(2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제1 홀(220)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3 위치에 상기 볼(200)이 위치함에 따라, 상기 볼(200)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을 여는 오픈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위치는 제2 오픈 위치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 제1 홀(220) 및 제2 홀(230) 순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홀(230), 제1 홀(220) 및 제2 하우징 홀(13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냉매의 이동만을 제어할 뿐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는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를 통해 제4 위치에 볼(2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1 사잇각(θ1) 내에 제1 하우징 홀(120)의 일부가 배치되는 상기 제4 위치에 상기 볼(2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1 그루브(240a)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4 위치로 상기 볼(200)이 회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볼(200)은 상기 냉매가 상기 제1 그루브(240a)를 따라 이동 및 팽창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위치는 제1 팽창 위치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냉매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 제1 그루브(240a), 제1 홀(220) 및 제2 홀(230) 순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홀(230), 제1 홀(220), 제1 그루브(240a), 및 제1 하우징 홀(12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냉매의 이동과 함께 상기 냉매를 팽창시킨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액추에이터(300)를 통해 제5 위치에 볼(200)을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1 사잇각(θ1) 내에 제2 하우징 홀(130)의 일부가 배치되는 상기 제5 위치에 상기 볼(200)을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그루브(240b)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제2 그루브(240b)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5 위치로 상기 볼(200)이 회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볼(200)은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그루브(240b)를 따라 이동 및 팽창하는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위치는 제2 팽창 위치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 제2 그루브(240b), 제1 홀(220) 및 제2 홀(230) 순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홀(230), 제1 홀(220), 제2 그루브(240b), 및 제2 하우징 홀(13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는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냉매의 이동과 함께 상기 냉매를 팽창시킨다.
상기 볼 밸브(1)가 적용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하나의 기액분리기만을 공용으로 사용하면서도 복수 개의 팽창수단 및 상기 기액분리기와 상기 팽창수단 각각을 연결하는 유로 구조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출구측에 배치되던 체크밸브를 삭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량 내부의 냉난방 성능과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베이퍼 인젝션 히트 펌프 시스템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구조는 열교환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특히, 실시예는 복수 개의 팽창수단과 하나의 기액분리기를 포함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과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 상에서 이동하는 열교환매체를 제어함으로써,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팽창수단은 팽창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모듈화된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통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용이하게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구성 간의 최적화된 배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냉난방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순환구조 상에서 버려지는 열(이하, '폐열'이라 함)을 이용하는 히트펌프 구조를 공조장치에 구현함으로써, 열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배터리의 폐열을 이용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차량은 모터, 인버터, 라이더(Lidar), 레이더(Radar), 센서 등의 전장부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상기 전장부품의 폐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가 적용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구성 요소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칠러에 연결되는 냉각수 순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열교환매체가 이동하도록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와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과 증발기(1400)와 어큐뮬레이터(1500)를 연결하는 제1 라인(L1),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과 실외 열교환기(1600)를 연결하는 제2 라인(L2),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과 상기 압축기(1100)를 연결하는 제3 라인(L3), 및 일측은 상기 증발기(1400)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 사이의 상기 제1 라인(L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와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 사이의 상기 제2 라인(L2)에 연결되는 제4 라인(L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과 제3 라인(L3)과 제4 라인(L4)을 따라 이동하는 열교환매체는 냉매일 수 있으며, 제1 열교환매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측의 제1 라인(L1)과 연결되는 제1 팽창수단 그룹(G1),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의 제2 라인(L2)과 연결되는 제2 팽창수단 그룹(G2),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 제1 합류부(1320)를 통해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과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G2)과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를 연결하는 제1 유로(CH1), 및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측에 배치되는 제1 분기부(133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와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과 제2 팽창수단 그룹(G2)을 연결하는 제2 유로(CH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CH1)는 제1 내부 유로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CH2)는 제2 내부 유로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은 난방모드시 이용될 수 있어 난방용 제1 팽창수단 그룹이라 불릴 수 있고,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G2)은 냉방모드시 이용될 수 있어 냉방용 제2 팽창수단 그룹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은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하는 3웨이 밸브 타입의 제1 팽창수단(1340), 2웨이 밸브 타입의 제2 팽창수단(1350), 및 제2 분기부(1360)를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출구측의 제1 라인(L1)과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을 연결하는 제3 유로(CH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유로(CH3)는 제3 내부 유로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전자식 3웨이 팽창 밸브일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전자식 2웨이 팽창 밸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G2)은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하는 3웨이 밸브 타입의 제3 팽창수단(1370), 2웨이 밸브 타입의 제4 팽창수단(1380), 및 제3 분기부(1390)를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의 제2 라인(L2)과 상기 제3 팽창수단(1370)과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을 연결하는 제4 유로(CH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유로(CH4)는 제4 내부 유로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전자식 3웨이 팽창 밸브일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전자식 2웨이 팽창 밸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기액분리기(1310)를 기준으로 입구(1311) 전단에 두 개의 2웨이 팽창 밸브를 병렬로 배치하고, 액상 출구(1312) 후단에 두 개의 3웨이 팽창 밸브를 병렬로 배치하여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상기 제4 라인(L4)에 배치되는 칠러(1700)와 제5 팽창수단(18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하도록 상기 칠러(1700)에 연결되는 제5 라인(L5) 및 상기 제5 라인(L5)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모듈화된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 및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라인(L1)과 제2 라인(L2)과 제3 라인(L3)과 제4 라인(L4)을 통해 상기 열교환매체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차실내의 냉난방을 조절하면서도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공조 모드에 따라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 내에서 이동하는 열교환매체를 조절하여 차실내의 냉난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의 배치 구조의 최적화 및 모듈화를 통해 컴팩트한 사이즈의 차량용 열관리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L1)은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을 기준으로 제1 열교환매체가 순환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인(L1) 상에는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와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과 증발기(1400)와 어큐뮬레이터(1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100)는 제1 라인(L1)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1 열교환매체를 압축한 후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향해 배출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차량용 열교환 장치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1100)는 콤프레서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는 공조장치의 공조 케이스(AC)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열교환매체와 다른 열교환매체인 공기와 상기 압축기(1100)에 의해 압축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제1 열교환매체 간의 열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는 차량 내부를 난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는 제1 열교환기 또는 제1 응축기라 불릴 수 있으며, 공조 모드에 따라 응축기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에서 상기 제1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공기는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일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와 상기 제1 열교환매체 간의 열교환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별도의 냉각수 라인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와 상기 제1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켜 차실내를 난방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워터 콘덴서(Water Condenser) 타입의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와 상기 제1 열교환매체인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차실내를 난방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 Vapor injection module)은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여부,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와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의 구분, 및 공조 모드에 따라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3웨이 밸브 타입의 팽창수단과 2웨이 밸브 타입의 팽창수단으로 구성된 제1 팽창수단 그룹(G1)과 제2 팽창수단 그룹(G2),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 및 복수 개의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내부로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에 대한 팽창 및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 및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 중 하나를 상기 제1 라인(L1), 제2 라인(L2) 및 제3 라인(L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은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G2)은 제3 팽창수단(1370)과 제4 팽창수단(13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310)는 내부로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를 기상 및 액상으로 분리하여 상별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기액분리기(1310)는 제1 열교환매체가 유입되는 입구(1311),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액상 출구(1312), 및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기상 출구(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는 제1 유로(CH1)를 통해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 및 제2 팽창수단 그룹(G2)과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는 상기 제1 유로(CH1)의 제1 합류부(1320)를 통해 제2 팽창수단(1350) 및 제4 팽창수단(138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모드에 따른 제2 팽창수단(1350) 및 제4 팽창수단(138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 중 하나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내부로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 의해 기상 및 액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기액분리기(1310)의 상류측에 2웨이 밸브 타입의 제2 팽창수단(1350)과 제4 팽창수단(1380)이 배치되어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 상기 제2 팽창수단(1350)과 제4 팽창수단(1380)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열교환 장치(S1)는 기상 출구(1313)와 연결되는 제3 라인(L3)에 배치되던 체크밸브를 삭제하고 파이프만으로 상기 제3 라인(L3)을 구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교환 장치(S1)는 상기 체크밸브에 의한 압력 손실 등을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교환 장치(S1)는 상기 체크밸브가 차지하던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는 제2 유로(CH2)를 통해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의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2 팽창수단 그룹(G2)의 제3 팽창수단(137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출구(1312)는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상의 냉매의 토출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는 상기 제2 유로(CH2)의 제1 분기부(1330)를 통해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3 팽창수단(137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일측은 제2 라인(L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일측은 제1 라인(L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모드에 따른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3 팽창수단(1370)의 제어를 통해,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증발기(1400) 또는 실외 열교환기(1600) 또는 증발기(1400)와 실외 열교환기(1600) 모두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기상 출구(312)는 제3 유로(CH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제5 유로(CH5)를 포함하여 상기 기상 출구(1313)와 제3 유로(CH3)를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유로(CH5)는 제5 내부 유로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상 출구(312)를 통해 배출되는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압축기(11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합류부(1320)는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측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제1 유로(C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합류부(132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가 합류하는 합류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분기부(1330)는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측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제2 유로(CH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분기부(1330)는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가 분기되어 이동하는 분기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2 팽창수단(1350)과 함께 제1 팽창수단 그룹(G1)을 구성하며, 3웨이 밸브 타입의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방향과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두 개의 입구 중 하나인 제1 입구(1341)는 상기 제3 유로(CH3) 상에 배치되는 제2 분기부(1360)를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1 라인(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구(1341)는 상기 볼 밸브(1)의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두 개의 입구 중 다른 하나인 제2 입구(1342)는 상기 제2 분기부(1360)에서 분기되는 제2 유로(CH1)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입구(1342)는 상기 볼 밸브(1)의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출구인 제1 출구(1343)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입구측 제2 라인(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구(1343)는 상기 볼 밸브(1)의 제3 하우징 홀(14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입구(1341)를 통해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에 의해 제1 출구(1343)로 배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입구(1342)통해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에 의해 제1 출구(1343)로 배출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제1 팽창수단(1340)과 함께 제1 팽창수단 그룹(G1)을 구성하며, 2웨이 밸브 타입의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및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의 입구는 상기 제3 유로(CH3) 상에 배치되는 제2 분기부(1360)를 통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1 라인(L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팽창수단(340)의 출구는 상기 제1 유로(CH1) 상에 배치되는 제1 합류부(132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와 연결될 수 있다.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기액분리기(1310)로 공급되는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및 팽창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기부(136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측 제1 라인(L1)과 연결되게 배치되는 제3 유로(CH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분기부(136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열교환매체가 분기되어 이동하는 분기점일 수 있다.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4 팽창수단(1380)과 함께 제2 팽창수단 그룹(G2)을 구성하며, 3웨이 밸브 타입의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방향과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두 개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두 개의 입구 중 하나인 제3 입구(1371)는 상기 제3 유로(CH3) 상에 배치되는 제3 분기부(1390)를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2 라인(L2)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입구(1371)는 상기 볼 밸브(1)의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두 개의 입구 중 다른 하나인 제4 입구(1372)는 상기 제2 분기부(1360)에서 분기되는 제2 유로(CH1)의 일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입구(1372)는 상기 볼 밸브(1)의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출구인 제2 출구(1373)는 상기 증발기(1400)의 입구측 제1 라인(L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출구(1373)는 상기 볼 밸브(1)의 제3 하우징 홀(14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3 입구(1371)를 통해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제2 출구(1373)로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14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4 입구(1372)통해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제2 출구(1373)로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14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제3 팽창수단(1370)과 함께 제2 팽창수단 그룹(G2)을 구성하며, 2웨이 밸브 타입의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및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의 입구는 상기 제4 유로(CH4) 상에 배치되는 제3 분기부(1390)를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2 라인(L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의 출구는 상기 제1 유로(CH1) 상에 배치되는 제1 합류부(1320)를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와 연결될 수 있다.
공조 모드에 따라,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기액분리기(1310)로 공급되는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 및 팽창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 분기부(139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 제2 라인(L2)과 연결되게 배치되는 제4 유로(CH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분기부(139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에서 배출되는 제1 열교환매체가 분기되어 이동하는 분기점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CH1), 제2 유로(CH2), 제3 유로(CH3), 제4 유로(CH4), 및 제5 유로(CH5)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의 내에 배치되어 제1 열교환매체가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CH1)는 제1 합류부(1320)를 이용하여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 제2 팽창수단(1350)의 출구, 및 제4 팽창수단(1380)의 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팽창수단(1350) 및 제4 팽창수단(13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을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 또는 제4 팽창수단(1380)을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 중 하나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CH2)는 제1 분기부(1330)를 이용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제2 입구(1342), 및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제4 입구(137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3 팽창수단(13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배출되는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600)에 공급되거나 또는 제3 팽창수단(1370)을 통해 증발기(1400)에 공급되거나 또는 증발기(1400)와 실외 열교환기(1600) 모두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CH3)는 제2 분기부(1360)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제1 입구(1341), 및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의 입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2 팽창수단(13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을 통해 실외 열교환기(1600)에 공급되거나 또는 제2 팽창수단(1350)을 통해 기액분리기(13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CH4)는 제3 분기부(1390)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제3 입구(1371), 및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의 입구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3 팽창수단(1370) 및 제4 팽창수단(138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에서 배출되는 제1 열교환매체는 제4 팽창수단(1380)을 통해 기액분리기(13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로(CH5)는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기상 출구(1313)와 압축기(1100)의 입구측에 연결된 제3 라인(L3)을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기상 출구(1313)에서 배출되는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압축기(11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을 포함하는 제1 팽창수단 그룹(G1), 제3 팽창수단(1370)과 제4 팽창수단(1380)을 포함하는 제2 팽창수단 그룹(G2), 기액분리기(1310), 및 제1 분기부(1330)의 최적화된 구성 간의 배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상기 배치 관계를 통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구현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G1), 제2 팽창수단 그룹(G2), 기액분리기(1310), 및 제1 분기부(1330) 각각의 구성을 모듈화하여 조립, 보수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배치되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의 제1 팽창수단 그룹과 제2 팽창수단 그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의미하며 서로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은 상하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기액분리기(1310)의 기상 출구(1313)d의 위치를 고려하여 도면상 위쪽은 상방을 나타낼 수 있고 아래쪽은 하방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평면상 수평 방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서로 수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방향은 축 방향일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을 포함하는 제1 팽창수단 그룹(G1), 제3 팽창수단(1370)과 제4 팽창수단(1380)을 포함하는 제2 팽창수단 그룹(G2), 기액분리기(1310), 및 제1 분기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합류부(1320)는 기액분리기(1310)를 형성하는 유닛, 즉 기액분리기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분기부(1360)는 제2 팽창수단(1350)을 형성하는 유닛, 즉 제2 팽창수단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분기부(1390)는 제4 팽창수단(1380)을 형성하는 유닛, 즉 제4 팽창수단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제2 팽창수단(1350), 제3 팽창수단(1370), 및 제4 팽창수단(1380)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제2 팽창수단(1350), 제3 팽창수단(1370), 및 제4 팽창수단(1380) 각각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제2 팽창수단(1350), 제3 팽창수단(1370), 제4 팽창수단(1380), 기액분리기(1310), 및 제1 분기부(1330)는 육면체 형상의 유닛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제2 팽창수단(1350), 제3 팽창수단(1370), 제4 팽창수단(1380), 기액분리기(1310), 및 제1 분기부(1330) 각각의 배치 관계를 만족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액상 출구(1312)와 연결되는 제1 분기부(1330)를 별도로 유닛으로 구성하면서 기액분리기(1310)의 하부에 배치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기상 출구(133)는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가 배출되는 출구임을 고려하여 상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제1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310) 내에서 상별에 따른 제1 열교환매체의 자중을 고려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는 액상 출구(1312)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와 연결되는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은 제1 팽창수단(13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팽창수단(1370)과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제1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기(1310) 내에서 상별에 따른 제1 열교환매체의 자중을 고려하여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는 액상 출구(1312)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입구(1311)와 연결되는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제3 팽창수단(13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2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팽창수단(1350)과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제2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최적화된 배치 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팽창수단(1350)과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평면상 상기 기액분리기(1310)와 제3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의 입구(351)는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출구(352)는 기액분리기(1310)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의 입구(1381)는 상방을 향해 배치되고, 출구(1382)는 기액분리기(1310)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의 입구(1351)는 실내 열교환기(1200)의 출구측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의 입구(1381)는 실외 열교환기(1600)의 출구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평면상 상기 제1 분기부(1330)와 제3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제2 입구(1342)는 상기 제1 분기부(1330)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제4 입구(1372)는 상기 제1 분기부(1330)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은 기액분리기(1310)와 제1 분기부(1330)의 배치 관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제2 팽창수단(1350), 제3 팽창수단(1370), 및 제4 팽창수단(1380)의 배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배치상 최적화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400)는 공조장치의 공조 케이스(AC)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라인(L1)에 배치되어 제3 팽창수단(1370)에서 배출된 저온 저압의 제1 열교환매체가 공급된다. 이때, 블로어를 통해 공조 케이스(AC)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증발기(1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1400) 내부의 제1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여 냉풍으로 바뀐 뒤,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즉, 상기 증발기(1400)는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1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을 유도하여 차실내를 냉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는 제3 열교환기라 불릴 수 있다.
이때, 공조 케이스(AC)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1200)와 증발기(1400)가 함께 배치되어 실내의 냉난방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공조 케이스(AC)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도조절도어(TD)는 실내 열교환기(1200)와 증발기(1400)를 통해 열교환한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 Accumulator)는 압축기(1100)의 입구 측 제1 라인(L1)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는 내부로 유입된 제1 열교환매체에서 액상(액체 상태)의 제1 열교환매체 또는 기상(기체 상태)의 제1 열교환매체를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의 입구측에는 상기 제1 라인(L1)과 제4 라인(L4)을 따라 이동한 제1 열교환매체가 합류하는 제2 합류부(20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에는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증발기(14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가 공급되거나, 또는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칠러(17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가 공급되거나, 또는 증발기(14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와 칠러(17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가 합류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는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차량으로 유입되는 공기(차실외 공기)와 제1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켜 방열함으로써, 제1 열교환매체를 응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외 열교환기(1600)는 제2 열교환기 또는 제2 응축기라 불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는 제2 라인(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팽창수단(1340)을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4 라인(L4) 상에는 상기 폐열을 이용하기 위한 칠러(1700)와 제5 팽창수단(180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팽창수단(1800)은 2웨이 밸브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데, 제5 팽창수단(1800)은 2웨이 팽창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4 라인(L4)은 제4 분기부(900)와 제2 합류부(2000)를 이용하여 상기 증발기(1400)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 사이의 제1 라인(L1),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와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1300) 사이의 상기 제2 라인(L2)을 연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상기 제4 라인(L4)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칠러(1700)와 제5 팽창수단(1800)을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칠러(1700)는 제5 팽창수단(1800)을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와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가 열교환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칠러(1700)는 제4 열교환기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열교환매체는 냉각수일 수 있다.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칠러(1700)에서 상기 제2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기 때문에,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는 배터리(B)의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5 팽창수단(1800)은 상기 칠러(1700)의 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팽창수단(1800)은 상기 제4 라인(L4)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 및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팽창수단(1800)은 전자식 2웨이 팽창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교환장치는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하기 위해 배치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냉각 장치는 제2 열교환매체가 순환하는 제5 라인(L5), 및 상기 제5 라인(L5)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B)와 펌프(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냉각 장치는 제1 히터(H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라인(L5)은 상기 제2 열교환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5 라인(L5)을 통해 순환되는 상기 제2 열교환매체는 배터리(B)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라인(L5)은 파이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 라인(L5)은 상기 칠러(1700)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5 라인(L5)을 따라 이송되는 제2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4 라인(L4)을 따라 흐르는 제1 열교환매체와 상기 칠러(1700)에서 열교환할 수 있다. 즉, 배터리(B)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칠러(1700)에서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펌프(P)는 상기 제2 열교환매체가 상기 제5 라인(L5)을 따라 이송되게 한다. 그에 따라, 배터리(B)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한 고온의 상기 제2 열교환매체는 펌프(P)에 의해 순환되어 상기 칠러(170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H1)는 제5 라인(L5)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제2 열교환매체를 가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히터(H1)는 제2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기준으로 배터리(B)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히터(H1)는 제1 히터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는 공조 케이스(AC)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히터(H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히터(H2)는 피티씨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피씨티 히터는 차량 실내의 냉난방을 보조하여, 차량 내부의 냉난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는 복수 개의 공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6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량 실내의 냉방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제4 팽창수단(1380)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라인(L3)을 통해 상기 압축기(1100)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을 통해 상기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제2 입구(1342)와 제2 팽창수단(135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데,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여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냉방 제습 모드에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없이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모드(Bypass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팽창수단(1370), 제4 팽창수단(1380), 및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기액분리기(13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제3 입구(1371)와 제5 팽창수단(1800)은 닫힘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내부에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팽창된 후 증발기(14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한다. 예컨데,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에서 팽창된 후 제3 열교환기인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냉방모드에서,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를 팽창시켜 증발기(1400)에 제공하기 때문에, 베이퍼 인젝션 모드(Vapor Injec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라인(L3)을 통해 압축기(1100)로 이동한다.
즉,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인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상기 제2 열교환기인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상기 제4 팽창수단(350)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100)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팽창 후 상기 제3 열교환기인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열교환기인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상기 제2 열교환기인 실외 열교환기(1600), 상기 제4 팽창수단(1380) 및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에서는 팽창하지 않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에서만 팽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를 통해 베이퍼 인젝션 시스템이 사용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보다 15% 정도의 냉방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냉방 효율을 10% 정도 개선할 수 있다.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냉방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7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냉방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량 실내의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및 도 27을 참조하면, 냉방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제3 팽창수단(1370)을 통해 상기 증발기(1400)로 유입된 후, 어큐뮬레이터(1500)와 압축기(1100)를 통해 다시 실내 열교환기(1200)로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여 상기 증발기(14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의 제2 입구(1342)와 제2 팽창수단(135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데,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여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없이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바이패스 모드(Bypass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팽창수단(1370)과 제4 팽창수단(1380)과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의 제4 입구(1372)와 제4 팽창수단(1380)과 제5 팽창수단(180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데,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여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냉방 모드에서,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없이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도록 제어하여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넌 베이퍼 인젝션 모드(Non Vapor Injec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냉방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을 통해 상기 증발기(1400)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실내를 냉방할 수 있다.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8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는 차량 실내의 난방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8을 참조하면,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라인(L3)을 통해 상기 압축기(1100)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을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 제5 팽창수단(1800), 칠러(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과 제4 팽창수단(1380)에 의해 기액분리기(13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창수단(1340)의 제1 입구(1341)와 제4 팽창수단(138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데,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내부에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에서 팽창된 후 제2 열교환기인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난방 제습 모드에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1 열교환매체를 팽창시켜 실외 열교환기(1600)에 제공하기 때문에 베이퍼 인젝션 모드(Vapor Injec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닫힘 모드(Clos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팽창된 후 칠러(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칠러(1700)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와 상기 칠러(1700)에서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라인(L3)을 통해 압축기(1100)로 이동한 후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를 통해 상기 압축기(1100)의 내부로 이동한 제1 열교환매체와 합류한다.
즉,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인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에 의해 팽창 후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1100)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에서 팽창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인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후 상기 칠러(1700)를 통해 압축기(1100)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를 통해 베이퍼 인젝션 시스템이 사용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보다 20% 정도의 난방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난방 제습 모드시 소모되는 전력을 1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9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난방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9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량 실내의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9를 참조하면, 난방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실외 열교환기(1600), 칠러 (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를 통해 다시 실내 열교환기(1200)로 이동하면서 순환하게 된다.
상세하게, 상기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창수단(1340)의 제2 입구(1342)와 제2 팽창수단(135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데,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여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난방 모드에서,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은 제1 열교환매체의 팽창없이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기액분리기(1310)를 우회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넌 베이퍼 인젝션 모드(Non Vapor Injec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칠러(170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4 팽창수단(1380)은 닫힘 상태이다. 상기 난방 모드에서,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닫힘 모드(Clos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팽창된 후 칠러(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칠러(1700)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와 상기 칠러(1700)에서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인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냉매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기(1600)로 이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과 제4 팽창수단(1380)과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상기 칠러(1700)의 폐열을 이용하면서 순환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난방 제습 모드 및 난방 모드시, 상기 제2 히터(H2)는 구동될 수 있다.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제습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0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차량 실내의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30을 참조하면, 제습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2 팽창수단(1350)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13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3 라인(L3)을 통해 상기 압축기(1100)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 중 일부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을 통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 제5 팽창수단(1800), 칠러(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로 이동하며, 상기 기액분리기(1310)에서 분리된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을 통해 상기 증발기(1400)로 이동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압축기(1100)와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1 팽창수단(1340)과 제2 팽창수단(1350)과 제4 팽창수단(1380)에 의해 기액분리기(13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팽창수단(1340)의 제1 입구(1341)와 제4 팽창수단(1380)은 닫힘 상태이다. 예컨대,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액분리기(1310)의 내부에서 제1 열교환매체는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액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제1 팽창수단(1340)과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일부는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증발기(1400)로 한다. 이때, 제3 팽창수단(1370)의 제3 입구(1371)는 닫힘 상태이다. 예컨대, 상기 제1 팽창수단(134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은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1370)으로 제공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의 볼(200) 또한 상기 제5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 팽창수단(1340) 및 제3 팽창수단(1370)은 제1 열교환매체를 팽창시켜 이동시키는 베이퍼 인젝션 모드(Vapor Injec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분기부(1330)에서 분기된 제1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팽창수단(1800)에 의해 팽창된 후 칠러(17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 열교환매체가 상기 칠러(1700)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와 상기 칠러(1700)에서 열교환함으로써,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기부(1330)에서 분기된 제1 열교환매체의 다른 일부는 제3 팽창수단(1370)에 의해 팽창된 후 증발기(1400), 어큐뮬레이터(1500) 및 압축기(1100) 순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상의 제1 열교환매체는 제3 라인(L3)을 통해 압축기(1100)로 이동한 후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를 통해 상기 압축기(1100)의 내부로 이동한 제1 열교환매체와 합류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의 제습 모드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1)는 하나의 기액분리기(1310)를 통해 베이퍼 인젝션 시스템이 사용된 종래의 히트펌프 시스템보다 제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제습 모드시, 상기 제2 히터(H2)는 구동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1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1의 B-B선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볼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의 볼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가 적용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1)와 제2 실시예에 볼 밸브(2)를 비교해 볼 때, 소정의 반지름(R)을 갖는 볼에 형성된 그루브의 길이에 차이가 있으며, 상기 차이로 인해 상기 실링부(400, 500)와의 관계 상에서 상기 그루브의 형성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볼 밸브(2)가 적용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S2) 또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에 볼 밸브(2)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볼 밸브(1) 및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1)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200), 및 상기 볼(200b)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는 상기 볼(200b)의 홀에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제1 하우징 홀(120)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400), 및 상기 볼(200b)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는 상기 제1 실링부(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수단(6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600)은 하우징(10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에 적용되는 볼(200b) 이외의 구성 요소는 제1 실시예에 볼 밸브(1)의 구성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볼 밸브(1)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는 볼 이외의 부품을 공용화하여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볼(200b)은 구 형상의 볼 바디(210), 상기 볼 바디(210)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220)과 제2 홀(230), 및 상기 제1 홀(220)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210)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200b)의 제1 홀(220)의 사이즈는 제2 홀(230)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240)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그루브(240a)와 상기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2 그루브(24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는 소정의 길이(La), 폭(W) 및 깊이(D)를 갖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에 형성된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의 길이(La)는 제1 실시예에 볼 밸브(1)에 형성된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400, 500)와의 관계 상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의 제1 그루브(240a)와 제2 그루브(240b)의 형성 범위가 정의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그루브(240)가 이루는 제1 사잇각(θ1)은 제1 실링부(4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1)과 제2 실링부(500)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P2)이 이루는 제2 사잇각(θ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240)의 형성 범위는 상기 제1 사잇각(θ1)과 제2 사잇각(θ2)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200b)이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그루브(240a)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루브(240b)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볼 밸브(2)는 소정의 회동 위치에서 냉매의 양방향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압축기(1100), 실내 열교환기(1200),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 어큐뮬레이터(1500),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칠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압축기(1100), 실내 열교환기(1200),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2),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칠러(1700)를 연결하는 제6 라인(L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2)와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 사이에 실외 열교환기(1600)와 칠러(1700)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6 라인(L6)은 제1 열교환매체로 제공되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배치되는 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배터리(B)의 폐열을 이용하도록 상기 칠러(1700)에 연결되는 제5 라인(L5) 및 상기 제5 라인(L5) 상에 배치되는 배터리(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를 통한 흡열과 상기 칠러(1700)를 통한 폐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열관리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와 상기 칠러(1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냉매를 팽창시킴으로써, 열관리 효율 및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에 적용되는 밸브(2)는 하나의 유입구(2a)와 두 개의 유출구(2b, 2c)를 갖는 삼방향 밸브이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2)는 유입구(2a), 제1 유출구(2b) 및 제2 유출구(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a)는 상기 밸브(2)의 제3 하우징 홀(14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출구(2b)는 상기 밸브(2)의 제1 하우징 홀(12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출구(2c)는 상기 밸브(2)의 제2 하우징 홀(130)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3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실외기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1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5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 흡열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4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밸브(2)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출구(2c)는 볼(200b)의 회동에 의해 닫힘 상태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200b)은 제1 흡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밸브(2)에 의해 팽창된 후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흡열 위치라 함은 제1 사잇각(θ1) 내에 제1 하우징 홀(120)의 일부가 배치되는 상기 볼(200b)의 회동 위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1 실링부(400)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제1 그루브(240a)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1 흡열 위치로 상기 볼(200b)이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1 그루브(240a)를 따라 이동 및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밸브(2)를 통해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실외 열교환기(16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는 공기(차실외 공기)와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켜 방열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열교환매체를 응축한 후 어큐뮬레이터(150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3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폐열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2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7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폐열 흡열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4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밸브(2)에 의해 칠러(170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출구(2c)는 볼(200b)의 회동에 의해 닫힘 상태이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200b)은 제2 흡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실내 열교환기(12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밸브(2)에 의해 팽창된 후 상기 칠러(17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흡열 위치라 함은 제1 사잇각(θ1) 내에 제2 하우징 홀(130)의 일부가 배치되는 상기 볼(200b)의 회동 위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그루브(240b)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2 그루브(240b)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2 실링부(500)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제2 그루브(240b)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상기 제2 흡열 위치로 상기 볼(200b)이 회동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2 그루브(240b)를 따라 이동 및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밸브(2)를 통해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칠러(17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칠러(1700)는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와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응축된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3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관리 장치의 병렬 흡열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밸브에 배치되는 볼의 제3 흡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여기서, 도 39에 도시된 화살표는 열교환매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병렬 흡열 모드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400)를 통과한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밸브(2)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와 칠러(1700) 모두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출구(2b) 및 제2 유출구(2c)는 볼(200b)의 회동에 의해 열림 상태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200b)은 제3 흡열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열교환매체의 일부는 상기 밸브(2)에 의해 실외 열교환기(1600)로 공급되고, 상기 제1 열교환매체의 나머지는 상기 밸브(2)에 의해 칠러(170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흡열 위치라 함은 제1 사잇각(θ1) 내에 제1 하우징 홀(120)의 일부와 제2 하우징 홀(130)의 일부가 배치되는 상기 볼(200b)의 회동 위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120)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루브(240b)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130)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제1 그루브(240a)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1 실링부(400)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그루브(240b)의 단부측 일부는 상기 제2 실링부(500)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흡열 위치로 상기 볼(200b)이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상기 제1 그루브(240a) 및 제2 그루브(240b)를 따라 이동 및 팽창하기 때문에, 상기 밸브(2)는 상기 냉매의 양방향 팽창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밸브(2)를 통해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실외 열교환기(1600)에 공급하면서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칠러(170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는 공기(차실외 공기)와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켜 방열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열교환매체를 응축한 후 어큐뮬레이터(1500)에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칠러(1700)는 팽창된 제1 열교환매체와 제5 라인(L5)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열교환매체를 열교환시킴으로써, 응축된 상기 제1 열교환매체는 상기 어큐뮬레이터(150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는 상기 밸브(2)를 통해 상기 냉매의 양방향 팽창을 구현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0) 및 칠러(1700) 모두에서 동시 흡열을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량용 열관리 장치(S2)의 열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2: 볼 밸브, 100: 하우징, 200, 200a, 200b: 볼, 300: 액추에이터, 400: 제1 실링부, 500: 제2 실링부, 600: 지지수단, 1100: 압축기, 1200: 실내 열교환기, 1300: 베이퍼 인젝션 모듈, 1310: 기액분리기, 1320: 제1 합류부, 1330: 제1 분기부, 1340: 제1 팽창수단, 1350: 제2 팽창수단, 1360: 제2 분기부, 1370: 제3 팽창수단, 1380: 제4 팽창수단, 1390: 제3 분기부, 1400: 증발기, 1500: 어큐뮬레이터, 1600: 실외 열교환기, 1700: 칠러, 1800: 제5 팽창수단, 1900: 제4 분기부, 2000: 제2 합류부, B: 배터리, S1, S2: 차량용 열관리 장치

Claims (28)

  1.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및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두 개의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3 하우징 홀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의 그루브는 상기 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될 수 있는 볼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그루브는 상기 제1 하우징 홀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는 볼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고,
    두 개의 상기 그루브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볼 밸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홀 및 상기 제2 하우징 홀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볼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볼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에 대응되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대응되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하는 볼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및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은 상기 제1 홀의 직경과 동일한 볼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 밸브.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연결부는 상기 제2 홀과 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볼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밸브.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 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연통되는 상기 볼의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그루브를 통해 이동하는 냉매의 유량이 제어되는 볼 밸브.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홀의 직경과 동일한 볼 밸브.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홀의 직경보다 작은 볼 밸브.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작아지는 볼 밸브.
  14.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 및
    상기 제1 실링부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홀의 직경은 상기 제2 하우징 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제1 하우징 홀을 통해 상기 제2 실링부, 상기 볼, 상기 제1 실링부, 및 상기 지지수단 순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볼 밸브.
  15.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다른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 차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기; 공조장치에 장착되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3 열교환기; 및 기상의 냉매를 압축기로 유입시킬 수 있는 베이퍼 인젝션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은 제1 팽창수단 그룹, 제2 팽창수단 그룹, 및 하나의 기액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의 제1 팽창수단, 및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의 제3 팽창수단 각각은,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이루는 제1 사잇각은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과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일점이 이루는 제2 사잇각보다 작은 차량용 열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냉방 모드시에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으로 유입되고,
    난방 모드시에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로 유입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수단 그룹은 상기 제1 팽창수단, 제2 팽창수단, 및 상기 제1 열교환기의 출구를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2 팽창수단에 연결하는 제3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팽창수단 그룹은 상기 제3 팽창수단, 제4 팽창수단, 및 제3 분기부를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출구를 상기 제3 팽창수단과 상기 제4 팽창수단에 연결하는 제4 유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3 팽창수단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액상 출구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팽창수단과 상기 제4 팽창수단은 상기 기액분리기의 입구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기액분리기의 기상 출구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상기 제1 열교환기,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 상기 제3 열교환기, 및 어큐뮬레이터를 연결하는 제1 라인,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과 제2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2 라인,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과 상기 압축기를 연결하는 제3 라인,
    일측은 상기 제3 열교환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베이퍼 인젝션 모듈 사이의 상기 제2 라인에 연결되는 제4 라인, 및
    상기 제4 라인 상에 배치되는 칠러와 제5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칠러에서 상기 제4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냉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제4 팽창수단을 통해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3 팽창수단에 의해 상기 제3 열교환기로 이동하며,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냉방 모드시,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를 우회하여 상기 제3 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난방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사잇각 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 모두가 배치되게 회동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팽창수단에 의해 팽창 후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에서 팽창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난방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상기 제1 홀이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사잇각 내에 상기 제1 그루브와 상기 제2 그루브 모두가 배치되게 회동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기액분리기를 우회하여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를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입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제습 모드시,
    상기 제1 팽창수단의 볼 및 상기 제3 팽창수단의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상기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팽창수단에서 팽창한 후 상기 기액분리기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기상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로 이동하고,
    상기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액상의 냉매는 상기 제1 팽창수단과 상기 제3 팽창수단으로 각각 분기되고,
    상기 제1 팽창수단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고,
    상기 제3 팽창수단으로 유입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3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5.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가 유입되어 다른 열교환매체와 열교환하는 제1 열교환기; 차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2 열교환기; 칠러; 및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는 볼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밸브는 서로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하우징 홀, 제2 하우징 홀, 및 제3 하우징 홀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볼; 상기 볼을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볼과 마주보게 상기 제1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볼에 마주보게 상기 제2 하우징 홀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구 형상의 볼 바디, 상기 볼 바디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는 제1 홀과 제2 홀, 및 상기 제1 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볼 바디의 원주 방향 상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를 포함하고,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두 개의 상기 제1 그루브와 제2 그루브가 이루는 제1 사잇각은 상기 제1 실링부의 내경 상에 배치되는 일점과 상기 제2 실링부의 내경 상에 원주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일점이 이루는 제2 사잇각보다 큰 차량용 열관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실외기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제1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칠러를 우회하여 상기 볼 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제2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차량용 열관리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폐열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게 마주보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상기 볼 밸브에서 팽창된 후 상기 칠러로 유입되며,
    상기 칠러에서 상기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병렬 흡열 모드시,
    상기 볼은 상기 제1 하우징 홀과 제1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면서 상기 제2 하우징 홀과 제2 그루브의 일부가 연통되는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제1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볼 밸브에서 양방향 팽창을 구현한 후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상기 칠러로 유입되며,
    상기 칠러에서 상기 냉매와 제5 라인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열교환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PCT/KR2023/009856 2022-08-08 2023-07-11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WO20240348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488A KR20240020459A (ko) 2022-08-08 2022-08-08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KR10-2022-0098488 2022-08-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878A1 true WO2024034878A1 (ko) 2024-02-15

Family

ID=8985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9856 WO2024034878A1 (ko) 2022-08-08 2023-07-11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0459A (ko)
WO (1) WO20240348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5904A (zh) * 2024-03-19 2024-04-19 成都成高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耐磨耐冲刷球阀
CN117905904B (zh) * 2024-03-19 2024-05-14 成都成高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耐磨耐冲刷球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674A (ko) * 2011-11-30 2016-06-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내부 밀봉 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WO2017138107A1 (ja) * 2016-02-10 2017-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00039323A1 (en) * 2017-11-02 2020-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por injection heat pump and control method
KR20210109872A (ko) * 2020-02-28 2021-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베이퍼 인젝션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26361A (ko) * 2020-04-10 2021-10-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베이퍼 인젝션 히트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674A (ko) * 2011-11-30 2016-06-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내부 밀봉 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WO2017138107A1 (ja) * 2016-02-10 2017-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200039323A1 (en) * 2017-11-02 2020-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por injection heat pump and control method
KR20210109872A (ko) * 2020-02-28 2021-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베이퍼 인젝션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26361A (ko) * 2020-04-10 2021-10-2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베이퍼 인젝션 히트펌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5904A (zh) * 2024-03-19 2024-04-19 成都成高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耐磨耐冲刷球阀
CN117905904B (zh) * 2024-03-19 2024-05-14 成都成高阀门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温耐磨耐冲刷球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0459A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4559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83509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203391A1 (ko) 전극 보일러 시스템
WO2019240521A1 (ko) 전동기
WO2019117630A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WO202113740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21112522A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WO2017022874A1 (ko) 열전발전장치와 연료저장탱크의 발열장치 및 폐열 회수시스템
WO2020045930A1 (ko) 연료전지 파워팩
WO2019117631A1 (ko) 가스 히트펌프 시스템
WO2019172693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0235786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77430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43195A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WO2020153560A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패널
WO2024034878A1 (ko)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열관리 장치
WO2021157815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20045994A1 (ko) 연료전지 파워팩의 가스 공급 구조
WO2019143198A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WO2021045415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0235801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17014478A1 (ko) 공기조화기
WO2021149867A1 (ko)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듀얼 에어컨 장치
WO2020153559A1 (ko) 인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
WO2020045931A1 (ko) 연료전지 파워팩의 공기 순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27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