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1083A1 -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51083A1
WO2020251083A1 PCT/KR2019/007122 KR2019007122W WO2020251083A1 WO 2020251083 A1 WO2020251083 A1 WO 2020251083A1 KR 2019007122 W KR2019007122 W KR 2019007122W WO 2020251083 A1 WO2020251083 A1 WO 20202510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frame
image
display unit
optic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1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창규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712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51083A1/ko
Priority to US16/489,664 priority patent/US11340462B2/en
Priority to KR1020190089728A priority patent/KR20190094306A/ko
Publication of WO20202510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510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프레임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제어부로부터 이미지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전면 프레임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나란한 제1,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2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위치하되, 제어부로부터 제공되어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 상에서 제어부의 위치가 조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말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혼합 현실 (Mixed Reality, MR) 혹은 혼성 현실 (Hybrid reality)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현실과 가상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때 혼합 현실이라 한다.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환경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이러한 환경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최근, 이러한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장비(gea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위치에서 최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프레임;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프레임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제어부로부터 이미지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과 전면 프레임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전면 프레임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나란한 제1,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1, 2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 위치하되, 제어부로부터 제공되어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 상에서 제어부의 위치가 조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어부는 내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는 가이드 렌즈를 구비하고, 광학 디스플레이부는 가이드 렌즈의 끝단에 맞대어 위치하고, 가이드 렌즈를 통해 이미지가 입사되는 입사 영역과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출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가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는 제1 수평 방향 쪽으로 곡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프레임 가이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가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는 제어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하우징은 상부에 프레임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하우징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돌기가 프레임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는, 가이드 렌즈의 끝단이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2 수평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의 위치가 제1, 2 수평 방향에 의해 형성된 면을 따라 조정됨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출사 영역에서 이미지의 위치가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측면에는 제1, 2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 쪽으로 곡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하우징 가이드 홀이 구비하고, 제어부는 측면에 하우징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제어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 돌기가 하우징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는, 가이드 렌즈의 끝단이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따라 조정됨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출사 영역에서 이미지의 위치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시각적 위치에서 최적의 이미지를 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어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어부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제어부와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연결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부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부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부를 미세 조정함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변경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프레임(100), 제어부(200) 및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의 신체 중 안면에 착용되는 안경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10)의 안면에 밀착되어 착용되는 고글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100)은 전면 프레임(110)과 제1, 2 측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제1 수평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2 측면 프레임(120)은 과 전면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y)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사용자(10)에게 보여질 이미지 또는 이미지가 연속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200)에는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소스와 이미지 소스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 및 수렴하는 복수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0)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는 제어부(200)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렌즈(P200)을 통해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로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00)는 제1, 2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00)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 내측 또는 외측에 고정되거나,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사용자(10)에게 보여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사용자(10)에게 보여지도록 하면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면 프레임(110)에 포함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개부구의 배면[즉 개구부와 사용자(10)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광학 디스플레이부(300)가 개구부의 배면에 위치하여, 전면 프레임(110)에 고정된 경우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에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으로 입사시키면, 이미지광이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으로 출사되어,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10)에게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프레임(1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보면서 동시에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함께 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제어부(2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어부(200)는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 내부의 구성 소자를 보호하고, 제어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를 구비하고,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의 내부에는 구동부(201), 이미지 소스 패널(203),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Polarization Beam Splitter Filter, PBSF, 211), 미러(209),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 플라이아이 렌즈(Fly Eye Lens, FEL, 219),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 227) 및 프리즘 프로젝션 렌즈(Freeform prism Projection Lens, FPL, 2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는 구동부(201), 이미지 소스 패널(203),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 미러(209),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 플라이아이 렌즈(219) 및 프리즘 프로젝션 렌즈(223)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이들을 패키징하여, 제1, 2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 또는 120b)에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201)는 이미지 소스 패널(20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를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제어부(200) 내부 또는 제어부(200) 외부에 구비되는 별도의 모듈 구동칩에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201)는 일례로,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FPCB)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는 구동 중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heatsink)이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소스 패널(203)은 구동부(201)에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소스 패널(203)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DMD(Digital mirror devic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micro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micro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는 이미지 소스 패널(203)에서 생성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를 회전 각도에 따라 분리하거나 일부를 차단하고 일부는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미지 소스 패널(203)에서 발광되는 이미지가 수평광인 P파와 수직광인 S파를 구비한 경우,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는 P파와 S파를 서로 다른 경로로 분리하거나, 어느 하나의 이미지는 통과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이미지는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는 일례로, 큐프(cube) 타입 또는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큐프(cube) 타입으로 구비되는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는 P파와 S파로 형성되는 이미지를 필터링하여 서로 다른 경로로 분리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구비되는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는 P파와 S파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통과시키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차단할 수 있다.
미러(Mirror, 209)는 편광빔 스플리터 필터(211)에서 편광되어 분리된 이미지를 반사하여 다시 모아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로 입사시킬 수 있다.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는 볼록 렌즈와 오목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I타입의 렌즈와 C 타입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는 입사되는 이미지를 확산 및 수렴을 반복하도록 하여, 이미지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플라이아이 렌즈(219)는 복수의 렌즈(213, 215, 217, 221)를 통과한 이미지를 입사받아 입사광의 조도 균일성(uniformity)이 보다 향상되도록 이미지를 출사할 수 있으며, 이미지가 균일한 조도를 갖는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다이크로익 필터(227)는 복수의 필름층 또는 렌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라이아이 렌즈(219)로부터 입사되는 이미지 중 특정 파장 대역의 빛은 투과시키고, 나머지 특정 파장 대역의 빛은 반사시켜, 이미지의 색감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크로익 필터(227)를 투과한 이미지는 프리즘 프로젝션 렌즈(223)를 통하여 출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200)는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에 의해 제어부(200) 내의 각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는 제어부(200)에서 출사되는 이미지를 입사받아, 사용자(10)가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사용자(10)의 눈이 위치한 방향으로 입사된 이미지를 출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면 프레임(110)에 별도의 고정 부재를 통하여 고정되거나, 전면 프레임(110)에 구비된 개구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에서는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다양한 형태와 입사된 이미지가 출사되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광학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프리즘 방식의 광학 소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웨이브 가이드(waveguide, 또는 도파관) 방식의 광학 소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용자(10)가 외부 환경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면서, 동시에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10)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명일 수 있으며, 일례로, 글래스와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광학 소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학 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망막 스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광학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는 프리즘 방식의 광학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프리즘 방식의 광학 소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입사되는 표면과 출사되는 표면이 평면인 플렛(flat) 타입의 글래스 광학 소자가 이용되거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출사되는 표면(300b)이 일정한 곡률 반경이 없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프리폼(freeform) 글래스 광학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플렛(flat) 타입의 글래스 광학 소자는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평평한 측면으로 입사 받아 내부에 구비된 전반사 미러(300a)에 의해 반사되어, 사용자(10) 쪽으로 출사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렛(flat) 타입의 글래스 광학 소자 내부에 구비되는 전반사 미러(300a)는 레이저에 의해 플렛(flat) 타입의 글래스 광학 소자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리폼(freeform) 글래스 광학 소자는 입사되는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성되어,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곡면을 가지는 측면으로 입사받아, 내부에서 전반사하여 사용자(10) 쪽으로 출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는 웨이브 가이드(waveguide, 또는 도파관) 방식의 광학 소자 또는 광 가이드 광학 소자(light guide optical element, LOE)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이브 가이드(waveguide, 또는 도파관) 또는 광 가이드(light guide) 방식의 광학 소자는 일례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분 반사 미러(Segmented Beam splitter) 방식의 글래스 광학 소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 프리즘 방식의 글래스 광학 소자,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광학 소자(hologram optical element, HOE)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 격자(Passive grating)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능동 격자(Active grating)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가 있을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분 반사 미러(Segmented Beam splitter) 방식의 글래스 광학 소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광학 소자 내부에서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쪽에 전반사 미러(301a)와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에 부분 반사 미러(Segmented Beam splitter, 30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광 이미지는 글래스 광학 소자 내부의 전반사 미러(301a)에 전반사되고, 전반사된 광 이미지는 글래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광하면서, 부분 반사 미러(301b)에 의해 부분적으로 분리 및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 프리즘 방식의 글래스 광학 소자는 글래스의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제어부(200)의 이미지가 입사되어 글래스 내부로 전반사되면서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에 구비된 돕니 형태의 요철(302)에 의해 글래스 외부로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는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쪽의 표면에 제1 회절부(303a)와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의 표면에 제2 회절부(303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2 회절부(303a, 303b)는 글래스의 표면에 특정 패턴이 패터닝되거나 별도의 회절 필름이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광 이미지는 제1 회절부(303a)를 통하여 입사되면서 회절하고, 전반사되면서 글래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광하고, 제2 회절부(303b)를 통하여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광학 소자(hologram optical element, HOE)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는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의 글래스 내부에 아웃-커플러(out-coupler, 3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의 측면을 통해 사선 방향으로 제어부(200)로부터 광 이미지가 입사되어 전반사되면서 글래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광하고, 아웃 커플러(304)에 의해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 광학 소자는 구조가 조금씩 변경되어 수동 격자를 갖는 구조와 능동 격자를 갖는 구조로 보다 세분될 수 있다.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동 격자(Passive grating)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는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쪽 글래스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인-커플러(in-coupler, 305a),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 글래스 표면의 반대쪽 표면에 아웃-커플러(out-coupler, 305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인-커플러(305a)와 아웃-커플러(305b)는 수동 격자를 갖는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의 입사되는 쪽 글래스 표면으로 입사되는 광 이미지는 반대쪽 표면에 구비된 인-커플러(305a)에 의해 전반사되면서 글래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광하고, 아웃-커플러(305b)에 의해 글래스의 반대쪽 표면을 통하여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능동 격자(Active grating)를 갖는 글래스 광학 소자는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쪽 글래스 내부에 능동 격자로 형성되는 인-커플러(in-coupler, 306a), 광 이미지가 출사되는 쪽 글래스 내부에 능동 격자로 형성되는 아웃-커플러(out-coupler, 306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글래스로 입사되는 광 이미지는 인-커플러(306a)에 의해 전반사되면서 글래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광하고, 아웃-커플러(306b)에 의해 글래스의 밖으로 출사되어, 사용자(10)의 시각에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적용 가능한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freeform combiner 방식,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lat HOE 방식,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freeform HOE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freeform combiner 방식의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는 결합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광 이미지의 입사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플랫한 면이 하나의 글래스(300)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freeform combiner글래스(300)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freeform combiner글래스(300)는 광 이미지 입사각이 영역별로 다르게 입사되어 사용자(10)에게 출사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Flat HOE 방식의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는 플랫(flat)한 글래스의 표면에 홀로그램 광학 소자(HOE, 311)가 코팅되거나 패터닝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에서 입사된 광 이미지가 홀로그램 광학 소자(311)를 통과하여 글래스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홀로그램 광학 소자(311)를 통과하여 사용자(10) 쪽으로 출사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freeform HOE 방식의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는 freeform 형태의 글래스의 표면에 홀로그램 광학 소자(HOE, 313)가 코팅되거나 패터닝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동작 원리는 도 5의 (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는 프리즘 방식의 광학 소자, 웨이브 가이드 방식의 광학 소자, 광 가이드 광학 소자(LOE) 또는 표면 반사 방식의 광학 소자 중에서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어부(200)는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되어 광학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보여지는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부(200)의 위치가 미세 조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S2)에 보여지는 광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부(200)의 위치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S1)을 기준으로 미세하게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z)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어부(200)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어부(200)의 일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제어부(200)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연결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00)를 위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의 (b)는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00)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이하에서는 제어부(200) 내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에 전달하는 가이드 렌즈(P200)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이고, 본 발명이 반드시 가이드 렌즈(P200)를 구비하는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 렌즈(P200)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가이드 렌즈(P200)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렌즈(P2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에 맞대어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도 6 이하에서는 제어부(200)가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의 내부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의 내부에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 내부에 하우징(400)과 제어부(200)를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2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에 의해 제어부(200) 내의 각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 사이에 가이드 렌즈(P20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렌즈(P200)는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로 출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이드 렌즈(P200)의 끝단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에 맞대어 위치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은 제어부(200)가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에서 제어부(200)가 구비된 공간[또는 하우징(400)이 위치하는 공간]의 상부에는 프레임 가이드 홀(H1)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가이드 홀(H1)은 제1, 2 수평 방향(x, y)의 면을 따라 형성되는 곡선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 가이드 홀(H1)의 곡선을 이루는 각 부분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렌즈(P200)의 끝단으로부터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400)은 내부에 제어부(200)가 구비되고,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4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육각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하우징(400)의 형상이 반드시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400)의 상부에는 프레임 가이드 홀(H1)에 삽입되는 하우징 돌기(P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우징 돌기(P1)는 하우징(40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 돌기(P1)가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400) 역시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 돌기(P1)가 프레임 가이드 홀(H1)에 삽입되어, 프레임 가이드 홀(H1)을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할 때, 하우징(400) 역시 그 위치가 제1, 2 수평 방향(x, y) 면을 따라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돌기(P1)가 프레임 가이드 홀(H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200)는, 가이드 렌즈(P200)의 끝단이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2 수평 방향(x, y)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렌즈(P200)가 없는 경우, 하우징 돌기(P1)와 프레임 가이드 홀(H1)로 인해, 제어부(200)에서 출사되는 이미지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으로 입사되도록 유지하면서, 하우징(400)을 포함한 제어부(200)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을 중심으로 제1, 2 수평 방향(x, y)의 면을 따라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출사되는 이미지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으로 입사되는 각도가 제1, 2 수평 방향(x, y)의 면을 따라 조절될 수 있고,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으로 출사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0)의 측면에는 제1, 2 수평 방향(x, y)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z) 쪽으로 곡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하우징 가이드 홀(H2)이 구비할 수 있고, 제어부(200)는 측면에 하우징 가이드 홀(H2)에 삽입되는 제어부 돌기(P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버(207)와 제2 커버(225)에 의해 제어부(200) 내의 각 구성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모듈로 형성된 제어부(200)는 제어부 돌기(P2)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돌기(P2)가 하우징 가이드 홀(H2)에 삽입되어, 하우징 가이드 홀(H2)을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할 때, 제어부(200) 역시 그 위치가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돌기(P2)가 하우징 가이드 홀(H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200)는, 가이드 렌즈(P200)의 끝단이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방향(z)으로 형성된 면을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렌즈(P200)가 없는 경우, 제어부 돌기(P2)와 하우징 가이드 홀(H2)로 인해, 제어부(200)에서 출사되는 이미지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으로 입사되도록 유지하면서, 하우징(400)을 포함한 제어부(200)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z)의 면을 따라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출사되는 이미지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입사 영역(S1)으로 입사되는 각도가 수직 방향(z)의 면을 따라 조절될 수 있고,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으로 출사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수직 방향(z)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제어부(200)의 위치 미세 조정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수직 방향(z) 및 수평 방향의 면을 따라 조절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00)를 미세 조정함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300) 상에서 변경되는 이미지(FOV)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에서 a1, a2, a3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a)에 구비된 프레임 가이드 홀(H1)을 따라 하우징(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돌기(P1)가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에서 z1, z2, z3는 하우징(400)에 구비된 하우징 가이드 홀(H2)을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부 돌기(P2)가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더불어, k1 내지 k9는, a1 내지 a3 및 z1 내지 z3에 따라 제어부(200)의 위치가 미세 조정될 때,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 상에서, 이미지(field of view, FOV)의 위치가 변화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례로, a1 내지 a3와 같이, 프레임 가이드 홀(H1)을 따라 하우징 돌기(P1)가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200)는 제1, 2 수평 방향(x, y) 면을 따라 피봇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에 표시되는 이미지(FOV)는 k1 내지 k9과 같이 제1 수평 방향(x)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z1 내지 z3와 같이, 하우징 가이드 홀(H2)을 따라, 제어부 돌기(P2)가 이동함에 따라, 제어부(200)는 수직 방향(z) 면을 따라 피봇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에 표시되는 이미지(FOV)는 k1 내지 k9과 같이 수직 방향(z)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제어부(200)를 수직 방향(z) 및 수평 방향으로 미세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광학 디스플레이부(300)의 출사 영역(S2) 중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에 이미지(FOV)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더 편안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제공받아 출사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과 교차하는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나란한 제1, 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 내에 위치하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에 보여지는 상기 이미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어부의 위치가 조정되는 구조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내부에서 생성된 상기 이미지를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하는 가이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이드 렌즈의 끝단에 맞대어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렌즈를 통해 상기 이미지가 입사되는 입사 영역과 상기 이미지가 출사되는 출사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위치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제1 수평 방향 쪽으로 곡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프레임 가이드 홀이 구비되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위치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프레임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하우징 돌기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돌기가 상기 프레임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렌즈의 끝단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 2 수평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따라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2 수평 방향에 의해 형성된 면을 따라 조정됨에 따라,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출사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의 위치가 상기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제1, 2 수평 방향과 교차하는 수직 방향 쪽으로 곡선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하우징 가이드 홀이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측면에 상기 하우징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제어부 돌기를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돌기가 상기 하우징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렌즈의 끝단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에 맞대어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따라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입사 영역을 중심으로 피봇(pivot) 회전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면을 따라 조정됨에 따라,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출사 영역에서 상기 이미지의 위치가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전자 디바이스.
PCT/KR2019/007122 2019-06-13 2019-06-13 전자 디바이스 WO20202510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122 WO2020251083A1 (ko) 2019-06-13 2019-06-13 전자 디바이스
US16/489,664 US11340462B2 (en) 2019-06-13 2019-06-13 Electronic device
KR1020190089728A KR20190094306A (ko) 2019-06-13 2019-07-24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7122 WO2020251083A1 (ko) 2019-06-13 2019-06-13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083A1 true WO2020251083A1 (ko) 2020-12-17

Family

ID=6762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122 WO2020251083A1 (ko) 2019-06-13 2019-06-13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0462B2 (ko)
KR (1) KR20190094306A (ko)
WO (1) WO2020251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878A (ko) * 2019-08-28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WO2021040097A1 (ko) * 2019-08-30 2021-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KR102446070B1 (ko) * 2019-09-04 2022-09-2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신호 계측 시스템
WO2024019273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보상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0549A (ko) * 2013-12-10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선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6031504A (ja) * 2014-07-30 2016-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60341967A1 (en) * 2013-10-16 2016-11-24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KR20170003892A (ko) * 2016-12-28 2017-01-10 (주)그린광학 저시력자용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JP2017211674A (ja) * 2017-08-25 2017-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6455A1 (fr) * 2013-05-31 2014-12-05 Optinvent Systeme de vision oculaire avec guide optique positionnable dans deux positions
WO2016113951A1 (ja) * 2015-01-15 2016-07-2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1967A1 (en) * 2013-10-16 2016-11-24 Magic Leap, Inc.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eadsets having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KR20140090549A (ko) * 2013-12-10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선 캘리브레이션을 제공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6031504A (ja) * 2014-07-30 2016-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70003892A (ko) * 2016-12-28 2017-01-10 (주)그린광학 저시력자용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JP2017211674A (ja) * 2017-08-25 2017-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虚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3559A1 (en) 2021-10-28
US11340462B2 (en) 2022-05-24
KR20190094306A (ko)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51083A1 (ko) 전자 디바이스
US10162181B2 (en) Display device with optics for brightness uniformity tuning having DOE optically coupled to receive light at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s
WO2015174794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CN102213832B (zh) 头部安装型显示器及其光学位置调整方法
WO2020226235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20235816A1 (en) Glasses-type display apparatus
WO2017022998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WO2020138640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20189866A1 (ko)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WO2021010603A1 (ko) 근안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한 증강 현실 안경 및 그 작동 방법
WO2022014967A1 (ko) 증강 현실 표시 장치
WO2022050519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광학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WO2023128167A1 (ko) 음굴절 광학 소자를 이용한 컴팩트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1040083A1 (ko)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
WO2019221539A1 (ko) 증강현실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6157A1 (ko) 편광 광학 소자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0241909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20138636A1 (ko) 전자 기기
WO2021049693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20251084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22086002A1 (en) Waveguide structure with segmented diffractive optical elements and near-eye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WO2021040116A1 (en) Electronic device
WO2016171322A1 (ko) 광학 소자와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소자를 이용한 백색 광 형성 방법
WO2022014952A1 (ko) 증강 현실 표시 장치
WO2021040082A1 (ko)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2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2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