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6972A1 -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6972A1
WO2020196972A1 PCT/KR2019/003919 KR2019003919W WO2020196972A1 WO 2020196972 A1 WO2020196972 A1 WO 2020196972A1 KR 2019003919 W KR2019003919 W KR 2019003919W WO 2020196972 A1 WO2020196972 A1 WO 20201969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object
user
server
printing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9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병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마
Publication of WO20201969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69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 user who needs a three-dimensional object receives a design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suitable for the user and is provided with a three-dimensional object suitable for the user. It relates to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 the design step of accurately grasping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performed to generate shape information for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generated shap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molding data for 3D printing, and a three-dimensional object is molded in a 3D printer. After performing surface treatment and image prin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completed.
  • the shape designer and the manufacturing worker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are located in the same place to provide shap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urface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to the 3D printer, modify the information, or evaluate the 3D-printed three-dimensional shape and work. It is common to d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hygiene cleanliness by arranging equipment for designing and form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a place suitable for each role. It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located in a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an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displaying a consultation window for chatting and video calls,
  •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plex data generating unit generating complex data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plex data generating unit to generate the complex data based on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 a server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a job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complex data into molding data, and a control to transmit data for the consultation window at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a server including a serv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job generation unit to convert the complex data into molding data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 a printing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t least one 3D printer for mold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the molding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 a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prin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3D printer.
  • an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and the printing device, and for requesting a chat and video call and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an information input camera for photographing a user, and information displaying the consultation window
  •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s the input display unit and the information input camera to image the user, controls the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onsultation window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image pickup information.
  • an information input device having an information inpu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even if the user is in an area far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a three-dimensional object can be conveniently designed and a three-dimensional object suitable for the user can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fit after wearing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objec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tandardization set,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normal eye of the user using a color measurement tool.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that is most similar to is preferable because the user can receive an accurate design for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prin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urface treatment device for performing surface treatment o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molded by the 3D printer, wherein the server includes the at least one 3D printer and the at least one surface A job management unit that selects any one of the 3D printers and surface treatment devices among the treatment devices; And a customer history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history of the control command for 3D printing of the customer and the work history of the printing device from the ID of the customer who has transmitted the complex data, and can accurately manage the job.
  • the printing device includes a molded objec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object molded by the 3D printer is fixedly seated, a lower frame supporting the molded object seating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being coupled to the lower frame to receive
  • An upper frame forming a space and having a heater for heating the heat-sublimation transfer paper, a vacuum suction part for sucking air from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hole, and a state in which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are hermetically coupled
  • the vacuum suction unit is controlled to suck the air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t sublimation transfer paper is compressed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heater is controlled to apply heat to the heat sublimation transfer paper compressed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requesting the produ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a local facility; Requesting the desig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from a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locat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local facility; Acquiring user information for manufactur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Preparing complex data for manufactur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complex data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to a server; Converting the composite data into molding data for 3D printing in the server; Transmitting the molding data from the server to a printing device located in a different area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Mold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the molding data in the printing device; And sending the molded three-dimensional object to the user.
  • the step of obtaining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requesting a consultation with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from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of the local facility to the server; Inviting a consultation from the server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Transmitting data on a consultation window from the server to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fter the user wears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objec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tandardization set,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that is most similar to the user's normal eyes using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fit,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color measurement tools.
  • Includ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including the from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t is preferable that information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can be obtained through consultation and the user can receive an accurate desig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forming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may include 3D prin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 a 3D printer of the printing apparatus; Performing a surface treatment on the 3D printed three-dimensional object; Including the step of thermally sublima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to the three-dimensional object by compressing and heating a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paper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is 2D printed on the surface-treated three-dimensional object, the qu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can be improved.
  • the user molds the three-dimensional object on the server using a mobile device Requesting activation of a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for knowing and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3D printing process;
  • the server authenticating the mobile device;
  • the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includes a main menu displaying selectable tasks and a sub menu displaying according to a selected task among the main menus, and the sub menu displays a plurality of device selection menus, and On the other hand, it is selected for control of work status display area that displays work status including 3D printing, surface treatment and heat sublimation transfer, work status and 3D printing, pause of surface treatment and heat sublimation transfer, work execution and deletion, etc. Displaying a plurality of possible functional button areas is preferable because it allows accurate grasp of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direct control of the work.
  •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hygiene cleanliness, si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arranging equipment for designing and form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 a place suitable for each role. There is.
  • the user can conveniently design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receive a three-dimensional object suitable for the user, even if the user is in an area far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 the server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ccurately manage work due to the work management unit and the customer history management unit.
  •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for the production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through consultation, and the user can receive an accurate design for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user can accurately grasp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directly control the work.
  • FIG. 1 is a simplified example of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process.
  • 3 to 5 are configuration block diagrams of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al-time remote monitoring of a printing operation.
  • 7 to 9 are exemplary diagrams of a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sublimation transfer device.
  • FIG 1 is a simplified example diagram of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 Figures 3 to 5 are configuration block diagrams of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 Figure 6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real-time remote monitoring of work
  • FIGS. 7 to 9 are exemplary diagrams of a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 FIG. 10 is an exemplary effect of a remote counseling system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device.
  •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device (1),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a server (3), and a printing device (4).
  •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11, an information input camera 12, an information input input unit 13, an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14, an information input storage unit 15, and an information input control unit 16. Includes.
  •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is located in a facility near the user, and is locat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and print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 the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11 transmits a request for a chat and a video call and user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11 may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data, and may be implemented in both wired and wireless.
  • At least one information input camera 12 may be provided. It may be a camera used for video consultation with the outside, or it may be a camera that captures a user's body.
  • the information input input unit 13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or may be provided as a mouse and a keyboard. It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that receives voice, or may be a camera that recognizes motion.
  • the information input input unit 13 may be a means for inputting user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14 may be provided as a monitor.
  • the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14 displays a consultation window for a video call.
  • the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14 may display three-dimensional shape data for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information input storage unit 15 is provided as a memory and can store various data.
  • the information input storage unit 15 may store information including user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input storage unit 15 may receive and store data on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information input control unit 16 controls the information input camera 12 to capture a user, controls the information input display unit 14 to display a consultation window received from the server 3, and includes the user's imaging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11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
  • User information is most similar to the user's normal eyes by u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shap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fit after wearing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objec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tandardization set,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color measurement tool. Includes a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 the information input control unit 16 may control the information input camera 12 and the microphone to record and record the design process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information input control unit 16 may transmit the video and sound source data of the design process of the recorded and recorded three-dimensional object to the server 3 to be stored in the server 3.
  •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 includes an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21, an information processing camera 22, an information processing input unit 23, an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24, an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unit 25, and a complex data generation unit 26. )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27.
  •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is a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located at a location different from that of a facility near the user.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21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receive chat and video calls and user information, and transmit complex data to the server.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21 may transmit data to the outside or receive data, and both wired and wireless are possible.
  • At least one information processing camera 22 may be provided. It may be a camera used for video consultation with the outside world.
  •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put unit 23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or may be provided as a mouse and a keyboard. It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hone that receives voice, or may be a camera that recognizes motion.
  • the information processing input unit 23 may be a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including text in the consultation window.
  • the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24 may be provided as a monitor.
  • the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24 displays a consultation window for a video call.
  • the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24 may display a screen for design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unit 25 may be provided as a memory to store various types of data.
  •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unit 25 may store information including complex data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unit 25 may receive and store data on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composite data generation unit 26 generates composite data.
  • Complex data is design data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data is three-dimensional design data using CAD.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complex data generation unit 26 to generate complex data based on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mera 22 to capture a user, control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24 to display a consultation window received from the server 3, and transmits complex data to the server 3 Controls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21 to transmit to ).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27 may control to stor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mplex data when the complex data generation unit 26 is activated.
  •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ntrol unit 27 may transmit the data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tored composite data to the server 3 to be stored in the server 3.
  • the server 3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1, a server storage unit 32, and a server control unit 33.
  • the server 3 is generally located in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and the printing device 4. It may exist in the cloud provided on the network.
  •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 can communicate with the information input communication unit 11,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unit 21, and the printing communication unit 41.
  • the server storage unit 32 includes a customer history management unit 321, a job creation unit 322, and a job management unit 323.
  • the customer history management unit 321 performs not only information on order information, order reception, delivery date, cost, etc. for 3D work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of the facility near the user, but also the printing device 4 to be described later. Records information on work content or work completed.
  • the job creation unit 322 performs a job of converting the complex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 into molding data recognized by the 3D printers 47 to 49.
  • the converted molding data for 3D printing is called 3D shape information.
  • the 3D shape information is data capable of forming a 3D object corresponding to each cross section of the 3D object, and is recognized by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of the printing device 4.
  • Surface treatment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3D printers 47 to 49 and/or surface treatment devices 50 to 52 by collecting information such as color, surface roughness, hardness, etc. of the surface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complex data Is created additionally.
  • the 3D shape information of the 3D molding for 3D printing and the surface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3D molding are combined to be called composite data.
  • the job management unit 323 determines which 3D printer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3D printers 47 to 49 to be molded, and controls the molding by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molding data to the determined 3D printers 47 to 49.
  • the task management unit 323 determines which surface treatment is to be performed on the 3D object that has been formed by a specific 3D printer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3D printers 47 to 49, and the plurality of 3D surface treatment devices 50 to 52 Controls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by selecting any one of the 3D surface treatment devices.
  • the job management unit 323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hen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of the printing apparatus 4 controls a job.
  • the server control unit 33 controls to transmit data on the consultation window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and manufactures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using the complex data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Controls the job creation unit 322 to convert the molding data for. The server control unit 33 transmits the molding data generated by the job generation unit 322 to the printing apparatus 4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rver control unit 33 has an image counseling module 331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332 to transmit and synchronize data on the counseling window to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and remote monitoring to be described later. Authenticate users who access the application.
  • the printing device 4 includes a printing communication unit 41, a printing camera 42, a printing input unit 43, a printing display unit 44, a printing storage unit 45, a printing control unit 46, a plurality of 3D printers 47 To 49), a plurality of surface treatment devices 50 to 52, and a plurality of heat sublimation transfer devices 53 to 55.
  • the printing device 4 is located in a different area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wher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is located.
  • the printing communication unit 41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 and the outside.
  • the printing camera 42 may capture an image of a printing operation.
  • the printing input unit 43 may input data or perform calibration when required by the printing operator or input for manipulation while the printing operation is stopped when performing calibration or balancing. In this case, a tool for manipul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printing display unit 44.
  • the printing display unit 44 may display a progress status of the current job.
  • the printing storage unit 45 may store mol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
  • the printing storage unit 45 may store programs for printing.
  • the plurality of 3D printers 47 to 49 performs 3D printing and molding of a three-dimensional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 Each of the plurality of 3D printers (47 to 49) is equipped with a DLP type 3D printer, a material extrusion type 3D printer, a complex 3D printer that combines DLP method and material extrusion type, etc., and is an optimal 3D printer that is most suitable for three-dimensional objects. Select a printer and perform 3D printing.
  • the plurality of surface treatment apparatuses 50 to 52 perform surface treatment on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molded by the 3D printers 47 to 49 under the control of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 Each of the plurality of surface treatment devices (50 to 52)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urface treatment devices such as a surface printer, a surface polishing machine, a surface photo printer, and a surface color printer, and the most optimal surface treatment device is selected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do.
  • Each of the plurality of heat sublimation transfer devices 53 to 55 includes a molded object seating portion 53-10, a seating portion support portion 53-20, a frame portion 53-30, a sealing portion 53-40, and a vacuum suction portion. (Not shown) and a fixing unit (not shown).
  • the molded object seating portion 53-10 is a seating surface (not shown) on which a three-dimensional object 53-2 having a single surfac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grain flow is formed, and an installation surface on the rea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Has (not shown).
  • the seating surface has a fixing guide through which the three-dimensional object 53-2 is fixed.
  • One side of the seating surface and the three-dimensional object 53-2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guide formed to protrude and extend, and the other side may be formed with a engaging groove for engaging the protrusion guide.
  • the three-dimensional object 53-2 is easily guided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molded object seating part 53-10, and on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53-2 and the three-dimensional object 53-2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aving a grain are formed. ), the seating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ne surface of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s combined in accordance with mutual curvature, so that it has an accurate position.
  • the seating part support part 53-20 supports an installation surface (not shown) and has one surface in which a coupling region to be coupled is formed.
  • the seating part support part 53-2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not shown), a lower surface (not shown), a side surface (not shown), and a side that connects one surface to the rear surface.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not shown) for communicating at least one of the side surfaces are formed.
  •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decreases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side surface is preferably formed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rear (lower surface) are formed to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not shown), so that a fixing protrusion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is bitten by the fixing groove 62, so that the seating part support part 53-20 is lowered
  •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communicate.
  • the frame portion 53-30 has a lower frame 53-31, an upper frame 53-32, and a transfer sheet guide (not shown).
  • the lower frames 53-31 have a lower bottom surface 312 formed with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1 (not shown).
  • the lower frame (53-31) supports the seating portion support (53-20)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communicated to the outside are formed.
  • On the lower floors 53-312 there may be a carpet that has an upward supporting force and allows air to communicate so that air is smoothly inhaled.
  • the lower frame 53-31 has a shape extending outward at an angle up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lower floor surface 53-312.
  • the upper frame (53-32) has a heater (53-321) and a transparent window (53-322).
  • the heater 53-321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53-32 to heat the heat sublimation transfer paper 53-3.
  • the transparent window 53-322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upper frame 53-32 can be seen.
  • the upper frame 53-32 has a shape extending outward at an angle downward from the edge region of the transparent window 53-322.
  • the upper frame 53-32 and the lower frame 53-31 may have a protruding shape and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edge regions of the rims extending outwardly are flat or approach each other to be easily coupled. Accordingly, when the upper frame (53-32) and the lower frame (53-31) are combine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 the transfer paper guide (not shown)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upper frame 53-32 to guide the arrangement of the heat sublimation transfer paper 53-3.
  • the transfer paper guide part is disposed within the range of the sealing part 53-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the plate surface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upper frame 53-32 are combined. (53-3) can be stably fixed or seated.
  • the transfer sheet guide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upper frame 53-32 in mutual directions.
  • the transfer paper guide portion When the transfer paper guide portion is protruded in this way, a hole through which the transfer paper guide portion is inserted, pinched, or bitten may be formed in the edge region of the heat-sublimation transfer paper 53-3.
  • the transfer paper guide may have a shape that grips.
  • the edge portion along the edge is gripped by the sealing portion 53-40.
  • the sealing part 53-40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upper frame 53-32 to airtightly couple the lower frame 53-31 and the upper frame 53-32.
  • the vacuum suction unit (not shown) has a suction pipe (not shown) and a vacuum pump (not shown).
  •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and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lower frame (53-31).
  • the vacuum pump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and sucks air through the suction hole.
  • the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support part 53-20 and the lower frame 53-31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and a fixing groove 53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bitten to the other side. -62).
  • the seating portion support portion 53-20 may be accurately seated or fixed to the lower floor surface 53-312 of the lower frame 53-31 by the fixing portion. Thereby, the through hole of the seating support portion 53-20 and the suction hole of the lower frame 53-31 may be disposed to enable efficient communication.
  •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controls at least one 3D printer 47 to 49 to shape a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the molding data received from the server 3.
  • the printing control unit 46 controls a plurality of surface treatment devices 50 to 52 and a plurality of heat sublimation transfer devices 53 to 55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and image printing of a 3D printed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user requests the local facility to manufacture a three-dimensional object (1).
  • the server (3) invites a consult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4).
  • the server 3 transmits data on the consultation window to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5).
  • the user wears at least one three-dimensional object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tandardization set,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mage that is most similar to the user's normal eyes using the shap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fit,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color measurement tools.
  • User information including a is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 (6).
  • the server 3 converts the composite data into molding data for printing (9).
  • the server 3 transmits the molding data to the printing device 4 located in a different area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10).
  •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s formed by 3D printing in the 3D printers 47 to 49 of the printing device 4 (11
  • the 3D image is thermally sublimated onto the 3D object by pressing the 2D printed thermal sublimation paper onto the surface treated 3D object and heating it (13).
  •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hat has been molded is packaged and sent to the user (14).
  • the doctor modifies and saves the 3D design file to suit the patient's requirements.
  • the manufacturer performs additive manufacturing and sublimation transfer processes with a 3D printer according to a verified process.
  • a doctor/physician in hospital B who can design agendas connects to the video consultation, asks the user to gaze in front, and discusses the correction of the pupil position through video communication.
  • a doctor/optician in hospital B capable of designing a prosthetic eye opens the progenitor production program and loads the 3D modeling file and iris image of the patient's existing prosthetic eye model.
  • the 3D modeling file is maintained, and the final correction data is determined after correcting the iris image.
  • the agenda maker creates a personalized agenda with the existing 3D modeling file and modified image file of patient B in the requesting institution and sends it to the doctor/user of hospital A. After that, go back to 10) and proceed with step.
  • the server 3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mobile device to see if the request is a user ( ⁇ ).
  • the server 3 causes the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to be activated in the mobile device ( ⁇ ).
  • the printing device 4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 ⁇ ).
  • the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includes a main menu that displays selectable tasks and a sub menu that displays according to a selected task among the main menus, and the sub menu displays a plurality of device selection menus, and 3D for the selected device.
  • a work status display area that displays work status including printing, surface treatment and thermal sublimation transfer, and multiple selectable controls for control of work status and 3D printing, surface treatment and heat sublimation transfer, pause, work performance and deletion
  • the function button area of is displayed.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remote monitoring of a printing job.
  • the mobile device 100 may request data on a printing job from the central server 200 and may request printer control.
  • the central server 200 controls the 3D printer 300, and the 3D printer 300 transmits the result to the central server 200.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200 may transmit data on a printing job to the mobile device 100 and transmit a result of the control request to the mobile device 100.
  • the mobile device 100 directly requests the 3D printer 300 to control the camera.
  • the mobile device 100 may receive real-time image data from the 3D printer 300 and stream an image.
  • FIG. 7 shows a status check of a printer output and a real-time video screen.
  • the printer output status check and real-time video screen are provided.
  • various functions such as print status check, automatic shutdown, pause, and output stop are provided.
  • a real-time video for checking the status of the output is provided on the real-time video screen.
  • Figure 7 (a) shows that the current printing process is in progress of about 12%, and informs the state of the printing process (temperature, data amount).
  • the 3D printer registration status information and addition/deletion management screen is divided into a part that provides a function to register/delete a number of 3D printers and a part that controls a number of registered 3D printers to provide functions.
  • 9 is a full screen of a 3D printer-only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 the 3D printer-only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is divided into functions such as main screen-basic, main screen-button activation, model selection screen, printing screen, print status check, and real-time video.
  • the serial number of the 3D printer registered in the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dedicated to the 3D printer is registered in the server, and is registered in the mobile user application by referring to this.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printer can be registered in the application by using the serial number of the registered 3D printer. Add/delete 3D printer with +/- button.
  • Fig. 9(a) shows the 3D printer registration status.
  • Fig. 9(b) shows that the registered printer has been deleted.
  • Figure 9 (c) shows the progress of the printing process by selecting Carima from the 3D printer.
  • An office is selected from among 3D printers to display the state and status of the printing process.
  •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Due to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multi-party remote consultation, history service management, agenda production S/W linkage, authority management and security, order/delivery 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member registration management, etc. The effect of occurs.
  • the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system and remote three-dimensional object manufacturing method equipment for designing and forming three-dimensional objects can be placed in places suitable for each rol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objects, so space utiliza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hygiene Cleanliness can be maximized. Since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1 can be used, the user can conveniently design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receive a three-dimensional object suitable for the user, even if the user is in an area far from the three-dimensional object design facilit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The user information allows the user to receive an accurate design for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server 3 can accurately manage tasks due to the task management unit 323 and the customer history management unit 321.
  • the realism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can be improved.
  •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hrough consultation, and the user can receive an accurate design for the three-dimensional object.
  • the remote monitoring application the user can accurately grasp the working situ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can directly control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은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위치하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통신부, 채팅 및 화상통화를 위한 상담창을 표시하는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데이터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복합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정보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서버통신부, 복합데이터를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생성부 및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복합데이터를 입체형상물 제조를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작업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하며, 서버통신부와 통신하는 프린팅통신부,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 및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린팅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본 발명은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형상물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에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조하기 위한 설계를 받고 사용자에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공받을 수 있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해서 입체형상물에 대한 형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설계단계를 수행하여 입체형상물에 대한 형상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형상정보를 3D프린팅을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여 3D프린터에서 입체형상물을 성형한다. 이후 표면처리 및 이미지프린팅 작업을 수행한 후 입체형상물이 완성된다.
형상설계자와 입체형상물의 제작작업자는 3D프린터에 입체형상물의 형상정보, 이미지정보 및 표면처리정보 등을 제공하거나, 정보를 수정하거나 또는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의 평가 등을 위하여 동일한 장소에 위치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3D프린터, 표면처리장치 및 열승화전사장치 등을 한 장소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입체형상물설계시설마다 장비를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3D프린터, 표면처리장치 및 열승화전사장치의 가동시간은 사용자에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되므로 장비활용이 매우 적다. 그리고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의 업무성격 상 3D프린터, 표면처리장치 및 열승화전사장치가 배치된다면 위생청결면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형상물의 설계와 성형작업을 위한 장비를 각 역할에 맞는 장소에 배치하여 공간활용성, 장비활용성 및 위생청결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은,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위치하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통신부, 채팅 및 화상통화를 위한 상담창을 표시하는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데이터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복합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정보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정보처리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서버통신부, 상기 복합데이터를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생성부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합데이터를 입체형상물 제조를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상기 작업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하며, 상기 서버통신부와 통신하는 프린팅통신부,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린팅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입체형상물의 설계와 성형작업을 위한 장비를 각 역할에 맞는 장소에 배치하여 입체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 장비활용성 및 위생청결도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상기 프린팅장치와는 다른 지역에 위치하며, 채팅과 화상통화의 요청 및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입력통신부, 사용자를 촬상하는 정보입력카메라, 상기 상담창을 표시하는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상기 정보입력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담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정보입력통신부를 제어하는 정보입력제어부를 갖는 정보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면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설계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더라도 편리하게 입체형상물을 설계받고 사용자에게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3D프린터에서 성형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의 3D프린터 및 표면처리장치를 선택하는 작업관리부; 및 상기 복합데이터를 전송한 고객의 ID로부터 고객의 3D프린팅을 위한 제어명령의 이력 및 상기 프린팅장치의 작업 이력을 관리하는 고객이력관리부를 포함하며 작업에 대한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3D프린터에 의해 성형된 상기 입체형상물이 고정 안착되는 성형물안착부, 상기 성형물안착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갖는 상부프레임,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열승화전사지가 상기 입체형상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도록 상기 진공흡입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체형상물에 압착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열승화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승화전사장치를 더 포함하면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으므로 입체형상물의 사실감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은, 사용자가 지역시설에 상기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역시설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상기 입체형상물의 설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위한 복합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서 서버로 상기 복합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합데이터를 3D프린팅하기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한 프린팅장치에 상기 성형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장치에서 상기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이 완료된 상기 입체형상물을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입체형상물의 설계와 성형작업을 위한 장비를 각 역할에 맞는 장소에 배치하여 입체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 장비활용성 및 위생청결도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설계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더라도 편리하게 입체형상물을 설계받고 사용자에게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시설의 정보입력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의 상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의 정보처리장치로 상담을 초대하는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정보입력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상기 정보입력장치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면 상담을 통해 입체형상물 제작을 위한 정보를 얻고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장치의 3D프린터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을 3D프린팅하는 단계; 3D프린팅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표면처리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가 2D프린팅된 열승화전사지를 압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상기 입체형상물에 열승화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면 입체형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3D 프린팅 공정의 상황을 알고 제어하기 위한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장치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장치가 사용자의 모바일장치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상기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프린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면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의 작업상황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은, 선택 가능한 작업을 표시하는 메인메뉴와, 상기 메인메뉴 중 선택한 작업에 따라 표시하는 보조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메뉴는, 복수의 기기선택메뉴를 표시하며, 선택된 기기에 대하여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를 포함하는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작업상황표시영역과, 작업상황 및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의 일시정지, 작업수행 및 삭제 등의 제어를 위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기능버튼영역을 표시하면 입체형상물의 작업상황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작업에 대한 제어를 직접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체형상물의 설계와 성형작업을 위한 장비를 각 역할에 맞는 장소에 배치하여 입체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 장비활용성 및 위생청결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보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설계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더라도 편리하게 입체형상물을 설계받고 사용자에게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정보로 인하여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는 작업관리부와 고객이력관리부로 인하여 작업에 대한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승화전사장치로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으므로 입체형상물의 사실감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상담을 통해 입체형상물 제작을 위한 정보를 얻고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의 작업상황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작업에 대한 제어를 직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의 간략예시도.
도 2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 공정도.
도 3 내지 5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프린틴작업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구성도.
도 7 내지 9는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의 예시도.
도 10은 원격상담시스템의 효과예시도.
도 11은 열승화전사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의 간략예시도이고, 도 2는 원격입체형상물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3 내지 5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프린틴작업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구성도이고, 도 7 내지 9는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원격상담시스템의 효과예시도이며, 도 11은 열승화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은 정보입력장치(1), 정보처리장치(2), 서버(3), 프린팅장치(4)를 포함한다.
정보입력장치(1)는 정보입력통신부(11), 정보입력카메라(12), 정보입력입력부(13),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14), 정보입력저장부(15) 및 정보입력제어부(16)를 포함한다. 정보입력장치(1)는 사용자 인근에 있는 시설에 위치하며 후술할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프린팅장치와 다른 지역에 위치한다. 정보입력통신부(11)는 채팅과 화상통화의 요청 및 사용자정보를 전송한다. 정보입력통신부(11)는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 둘다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입력카메라(12)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와 화상상담을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카메라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촬상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정보입력입력부(13)는 터치화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마우스와 키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동작을 인식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정보입력입력부(13)는 사용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14)는 모니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14)는 화상통화를 위한 상담창을 표시한다.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14)는 입체형상물에 대한 입체형상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정보입력저장부(15)는 메모리로 마련되어 각종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입력저장부(15)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정보입력저장부(15)는 입체형상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정보입력제어부(16)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정보입력카메라(12)를 제어하고,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상담창을 표시하도록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14)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정보처리장치(2)로 전송하도록 정보입력통신부(11)를 제어한다. 사용자정보는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한다. 정보입력제어부(16)는 상담창이 활성화되면 정보입력카메라(12)와 마이크를 제어하여 입체형상물의 설계과정을 녹화 및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정보입력제어부(16)는 녹화 및 녹음된 입체형상물의 설계과정의 영상 및 음원데이터를 서버(3)로 전송하여 서버(3)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장치(2)는 정보처리통신부(21), 정보처리카메라(22), 정보처리입력부(23),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24), 정보처리저장부(25), 복합데이터생성부(26) 및 정보처리제어부(27)를 포함한다. 정보처리장치(2)는 사용자 인근에 있는 시설과 다른 위치에 위치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이다. 정보처리통신부(21)는 외부와 통신할 수 있으며, 채팅과 화상통화 및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며, 복합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한다. 정보처리통신부(21)는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유선과 무선 모두 가능하다. 정보처리카메라(22)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와 화상상담을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정보처리입력부(23)는 터치화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마우스와 키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동작을 인식하는 카메라일 수도 있다. 정보처리입력부(23)는 상담창에 문자를 포하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24)는 모니터로 마련될 수 있다.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24)는 화상통화를 위한 상담창을 표시한다.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24)는 입체형상물을 설계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저장부(25)는 메모리로 마련되어 각종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처리저장부(25)는 입체형상물을 제작하기 위한 복합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정보처리저장부(25)는 입체형상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복합데이터생성부(26)는 복합데이터를 생성한다. 복합데이터는 입체형상물의 설계데이터이다. 일반적으로 입체형상물 설계데이터는 CAD를 이용한 3차원 설계데이터이다.
정보처리제어부(27)는 정보입력장치(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복합데이터생성부(26)를 제어한다. 정보처리제어부(27)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정보처리카메라(22)를 제어하고,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상담창을 표시하도록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24)를 제어하며, 복합데이터를 서버(3)로 전송하도록 정보처리통신부(21)를 제어한다. 정보처리제어부(27)는 복합데이터생성부(26)가 활성화되면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정보처리제어부(27)는 저장된 복합데이터의 생성과정의 데이터를 서버(3)로 전송하여 서버(3)에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버(3)는 서버통신부(31), 서버저장부(32) 및 서버제어부(33)을 포함한다. 서버(3)는 일반적으로 정보입력장치(1), 정보처리장치(2), 프린팅장치(4)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 네트워크 상에 마련된 클라우드에 존재할 수도 있다. 서버통신부(31)는 정보입력통신부(11), 정보처리통신부(21) 및 프린팅통신부(41)와 통신 가능하다. 서버저장부(32)는 고객이력관리부(321), 작업생성부(322) 및작업관리부(323)를 포함한다. 고객이력관리부(321)는 사용자 인근에 있는 시설의 정보처리장치(2)로부터의 3D작업에 대한 명령정보, 명령수신, 납기, 비용 등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후술할 프린팅장치(4)의 수행할 작업 내용 혹은 수행이 완료된 작업 내용 등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작업생성부(322)는 정보처리장치(2)로부터 수신한 복합데이터를 3D프린터(47 내지 49)가 인식하는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3D프린팅을 위한 변환된 성형데이터를 3D형상정보라고 한다. 3D형상정보는 3차원물체의 각 단면에 해당하는 3차원물체 성형이 가능한 데이터이며 프린팅장치(4)의 프린팅제어부(46)가 인식한다. 복합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체형상물의 표면이 가지는 색상, 표면거칠기, 경도, 등의 정보를 모아서, 3D프린터(47 내지 49) 및/또는 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가 인식할 수 있는 표면처리정보를 추가로 생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3D프린팅을 위한 3D성형물의 3D형상정보와 3D성형물의 표면처리정보를 합하여 복합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작업관리부(323)는 복수의 3D프린터(47 내지 49) 중 어느 3D프린터를 선택하여 성형할 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3D프린터(47 내지 49)에 해당 성형데이터를 전송하여 성형하도록 제어한다. 작업관리부(323)는 복수의 3D프린터(47 내지 49) 중 선택된 특정의 3D프린터에 의하여 성형이 완료된 3차원물체에 대하여 어떤 표면처리를 수행할 지를 결정하여 복수의 3D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 중 어느 하나의 3D표면처리장치를 선택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작업관리부(323)는 프린팅장치(4)의 프린팅제어부(46)가 작업에 대한 제어를 하는 경우 마련되지 않아도 된다.
서버제어부(33)는 정보입력장치(1)와 정보처리장치(2)의 요청에 따라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정보처리장치(2)로부터 수신되는 복합데이터를 입체형상물 제조를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작업생성부(322)를 제어한다. 서버제어부(33)는 작업생성부(322)에서 생성된 성형데이터를 후술할 프린팅장치(4)로 전송한다. 서버제어부(33)는 화상상담모듈(331)과 인증모듈(332)를 가지고 정보입력장치(1)와 정보처리장치(2)로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동기화하도록 하며, 후술할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프린팅장치(4)는 프린팅통신부(41), 프린팅카메라(42), 프린팅입력부(43), 프린팅디스플레이부(44), 프린팅저장부(45), 프린팅제어부(46), 복수의 3D프린터(47 내지 49), 복수의 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 및 복수의 열승화전사장치(53 내지 55)를 포함한다. 프린팅장치(4)는 정보처리장치(2)가 있는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한다. 프린팅통신부(41)는 서버통신부(31) 및 외부와 통신한다. 프린팅카메라(42)는 프린팅작업을 촬상할 수 있다. 프린팅입력부(43)는 프린팅작업자가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캘리브레이션을 하는 경우나 밸런스를 맞추는 경우 프린팅작업을 멈춘 상태에서 조작을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팅디스플레이부(44)에 조작을 위한 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프린팅디스플레이부(44)는 현재 작업에 대한 진행상황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프린팅저장부(45)는 서버(3)로부터 전달되는 성형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린팅저장부(45)는 프린팅작업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3D프린터(47 내지 49)는 프린팅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입체형상물을 3D프린팅 성형한다. 복수의 3D프린터(47 내지 49) 각각은 DLP방식의 3D프린터, 소재압출식 3D프린터, DLP방식과 소재압출식을 접목한 복합3D프린터 등을 복수 개 설치하고, 입체형상물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3D프린터를 선택하여 3D프린팅 성형한다.
복수의 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는 3D프린터(47 내지 49)에서 성형된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프린팅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복수의 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 각각은 표면인쇄기, 표면연마기, 표면사진인화기, 표면 칼라프린터기 등 복수의 표면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이중 가장 최적의 표면처리장치를 선택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한다.
복수의 열승화전사장치(53 내지 55) 각각은 성형물안착부(53-10), 안착부지지부(53-20), 프레임부(53-30), 실링부(53-40), 진공흡입부(미도시) 및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성형물안착부(53-10)는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 입체형상물(53-2)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면(미도시)과 안착면의 배면측의 설치면(미도시)을 갖는다. 안착면은 입체형상물(53-2)이 고정되게 하는 고정가이드를 갖는다. 안착면과 입체형상물(53-2) 중 일측은 돌출 연장 형성되는 돌출가이드가 형성되고, 타측은 돌출가이드가 물림결합되도록 하는 물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가이드에 의해 입체형상물(53-2)이 성형물안착부(53-10)의 안착면에 쉽게 안내되며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입체형상물(53-2)의 일면과 입체형상물(53-2)의 곡류을 갖는 단면형상이 형성된 일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안착면이 상호 곡률에 맞게 결합되게 되어 정확한 위치를 갖게 한다.
안착부지지부(53-20)는 설치면(미도시)을 지지하며 결합되는 결합영역이 형성된 일면을 갖는다. 안착부지지부(53-20)는 상면(미도시), 하면(미도시), 측면(미도시)과 일면과 배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배면으로부터 결합영역 외의 영역의 일면과 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관통공의 형상은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갈수록 관통공의 영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영역은 적어도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영역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하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은 다수의 흡입공(미도시)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돌기(미도시)가 고정홈(62)에 물려 안착부지지부(53-20)가 하부프레임(31)에 고정되면 해당 다수의 흡입공과 다수의 관통공은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부(53-30)는 하부프레임(53-31), 상부프레임(53-32) 및 전사지안내부(미도시)을 갖는다. 하부프레임(53-31)은 다수의 흡입공(311, 미도시)이 형성된 하부바닥면(312)을 갖는다. 하부프레임(53-31)은 안착부지지부(53-20)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다. 하부바닥면(53-312) 상에는 공기의 흡입이 원만하도록 카페트와 같이 상방으로의 지지력도 있고 공기가 연통될 수 있는 것이 깔려 있을 수 있다. 하부프레임(53-31)은 하부바닥면(53-312)의 외측 연부로부터 상방으로 각도를 갖고 외향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프레임(53-32)은 히터(53-321)와 투명창(53-322)을 갖는다. 히터(53-321)는 상부프레임(53-32)의 내측에 배치되어 열승화전사지(53-3)를 가열한다. 투명창(53-322)은 상부프레임(53-32)의 내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프레임(53-32)은 투명창(53-322)의 연부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각도를 갖고 외향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프레임(53-32)과 하방프레임(53-31)은 외향 연장된 테두리의 연부영역이 평평하거나 상호 접근하여 결합되기 편한 형상의 돌출형상과 함몰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부프레임(53-32)과 하방프레임(53-31)이 결합하는 경우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전사지안내부(미도시)는 하부프레임(53-31)과 상부프레임(53-32)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열승화전사지(53-3)의 배치를 안내한다. 전사지안내부는 하부프레임(53-31)의 판면방향에 대한 후술할 실링부(53-40)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하부프레임(53-31)과 상부프레임(53-32)이 결합되며 열승화전사지(53-3)를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안착시킬 수 있다. 전사지안내부는 하부프레임(53-31)과 상부프레임(53-32)으로부터 상호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전사지안내부가 돌출형성되는 경우 열승화전사지(53-3)의 테두리 영역에는 전사지안내부가 삽입 또는 끼이거나 물리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전사지안내부가 파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열승화전사지(53-3)는 상부프페임(53-32)과 하부프레임(53-31)이 결합되는 경우 실링부(53-40)에 의해 테두리를 따른 연부가 파지된다.
실링부(53-40)는 하부프레임(53-31)과 상부프레임(53-32) 사이에 개재되어 하부프레임(53-31)과 상부프레임(53-32)을 기밀하게 결합시킨다.
진공흡입부(미도시)는 흡입관(미도시)과 진공펌프(미도시)를 갖는다. 흡입관은 하부프레임(53-31)에 형성된 흡입공과 연결되며 연통된다. 진공펌프는 흡입관과 연결되어 흡입공으로 공기를 흡입한다.
고정부(미도시)는 안착부지지부(53-20)와 하부프레임(53-31) 중 일측에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 타측에 고정돌기가 물려 고정되는 고정홈(53-62)을 갖다. 고정부에 의해 안착부지지부(53-20)가 하부프레임(53-31)의 하부바닥면(53-312)에 정확하게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착지지부(53-20)의 관통공과 하부프레임(53-31)의 흡입공이 효율적으로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린팅제어부(46)는 서버(3)로부터 수신되는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47 내지 49)를 제어한다. 프린팅제어부(46)는 복수의 표면처리장치(50 내지 52)와 복수의 열승화전사장치(53 내지 55)를 제어하여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의 표면처리 및 이미지 인쇄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지역시설에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요청한다(①).
지역시설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입체형상물의 설계를 요청한다(②).
지역시설의 정보입력장치(1)에서 서버(3)로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의 상담을 요청한다(③).
서버(3)에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의 정보처리장치(2)로 상담을 초대한다(④).
서버(3)에서 정보입력장치(1)와 정보처리장치(2)로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한다(⑤).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정보입력장치(1)에서 정보처리장치(2)로 전송한다(⑥).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위한 복합데이터를 준비한다(⑦).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의 전오처리장치(2)에서 서버(3)로 복합데이터를 전송한다(⑧).
서버(3)에서 복합데이터를 프린팅하기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한다(⑨).
서버(3)에서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한 프린팅장치(4)에 성형데이터를 전송한다(⑩).
프린팅장치(4)의 3D프린터(47 내지 49)에서 입체형상물을 3D프린팅 성형한다(⑪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한다(⑫).
표면처리된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가 2D프린팅된 열승화전사지를 압착한 후 가열하여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입체형상물에 열승화전사 인쇄한다(⑬).
성형이 완료된 입체형상물을 포장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한다(⑭).
사용자가 의안을 제작하기 위한 일 예를 설명한다.
1) 사용자가 A병원에 방문하여 의안에 대한 진단을 받는다.
2) 수요기관인 A병원 의사가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에게 의안 제작 상담을 의뢰한다.
3)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와 A병원 의사/사용자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의안 설계를 받는다.
4) 의안 표준화 세트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의안 몇 개를 착용해보도록 한다.
5) 환자의 착용감에 따라 의안 모형 및 사이즈를 선택한다.
6)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환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의안 이미지를 선택한다.
7) 제품치수의 범위 내에서 환자의 요구사항에 맞게 의사는 3D 설계파일을 수정 후 저장한다.
8) 제조사는 검증된 공정에 따라 3D프린터로 적층제조와 승화전사 과정을 수행한다.
9) 최종 제조공정을 마친 의안은 품질검사의 적절성 등을 확인 후에 A 의사/사용자에게 공급한다.
10)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와 A병원 의사/사용자는 화상상담을 통해 표준화된 평가항목 서식에 따라 착용만족도를 조사한다.
11) 사용자가 만족하는 경우 일정 기간 후 사용자의 경과를 확인한다.
12)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즉, 일 예로 사용자가 동공위치가 정상안보다 아래에 위치해있다고 수정을 요청한다.
13)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의안사는 화상상담을 접속한 후 사용자에게 정면을 응시하라고 요청 후 화상통신을 통해 동공위치 수정을 논의한다.
14)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의안사는 의안제작프로그램을 열어 환자의 기존 의안모형 3D모델링 파일과 홍채 이미지를 불러온다.
15) 3D모델링 파일은 유지하고, 홍채 이미지를 수정 후 최종수정데이타를 결정한다.
16) 의안설계 가능한 B병원 의사/의안사는 의안제작사에게 의안제작을 요청한다.
17) 의안제작사는 수요기관 B 환자의 기존 3D모델링 파일과 수정된 이미지파일을 가지고 개인맞춤 의안을 제작 후 A병원 의사/사용자에게 발송한다. 이후에는 10)으로 되돌아가서 단계를 진행한다.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입체형상물의 프린팅 공정을 파악하고 제어를 하는 일 시시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서버(3)에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3D 프린팅 공정의 상황을 파악하고 제어하기 위한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서버(3)는 요청이 사용자인지 알기 위한 모바일장치의 인증을 수행한다(㉡).
모바일장치가 사용자의 모바일장치로 판단되면 서버(3)는 모바일장치에서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모바일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프린팅장치(4)를 제어한다(㉣).
여기서,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은 선택 가능한 작업을 표시하는 메인메뉴와, 상기 메인메뉴 중 선택한 작업에 따라 표시하는 보조메뉴를 포함하며, 보조메뉴는, 복수의 기기선택메뉴를 표시하며, 선택된 기기에 대하여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를 포함하는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작업상황표시영역과, 작업상황 및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의 일시정지, 작업수행 및 삭제 등의 제어를 위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기능버튼영역을 표시한다.
도 6은 프린팅작업의 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구성도이다.
모바일장치(100)는 중앙서버(200)에 프린팅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프린터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중앙서버(200)는 3D프린터(300)를 제어하며 3D프린터(300)는 그 결과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중앙서버(200)는 프린팅작업에 대한 데이터를 모바일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요청에 대한 결과를 모바일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100)는 직접 3D프린터(300)에 카메라제어를 요청한다. 모바일장치(100)는 3D프린터(300)로부터 실시간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도 7은 프린터 출력물 상태 확인 및 실시간 영상화면을 나타낸다.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프린터 출력물 상태 확인 및 실시간 영상화면을 제공하며 프린터 출력물 상태에서는 출력물 상태확인, 자동 종료, 일시 정지, 출력 정지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영상 화면에서는 출력물의 상태 확인이 가능한 실시간 영상이 제공된다.
도 7 (a) 현재 프린팅 공정이 12%정도 진행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며, 프린팅공정의 상태(온도, 데이터량)를 알려준다.
도 7 (b) 도 7 (a)에서의 출력물상태확인 메뉴버튼을 선택하면 메뉴버튼이 실시간영상으로 변경되면, 상단의 영역에는 현재 프린팅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이 스트리밍된다.
도 8은 3D 프린터 등록 상태정보 및 추가/삭제 관리 화면이다.
3D 프린터 등록 상태 정보 및 추가/삭제 관리 화면은 다수의 3D 프린터를 등록/삭제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과 등록된 다수의 3D프린터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기능을 제공한다.
도 8 (a) 3D 프린터 등록 상태 정보에서 등록/삭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버튼이 생성되어 있다.
도 8 (b) 등록된 프린터를 삭제하였다.
도 9는 3D 프린터 전용 원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전체화면이다.
3D 프린터 전용 원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은 전체적으로 메인화면-기본, 메인화면-버튼활성화, 모델 선택 화면, 출력중 화면, 출력물 상태확인, 실시간 영상 등의 기능으로 나뉜다.
연결 서버 기반 3D 프린터의 Discovery 기능으로 3D 프린터 전용 원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3D 프린터의 시리얼 넘버는 서버에 등록되고, 이를 참조하여 모바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다. 등록된 3D프린터의 시리얼 넘버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에 프린터를 등록 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3D 프린터를 +/- 버튼으로 추가/삭제한다.
도 9 (a) 3D 프린터 등록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b) 등록된 프린터를 삭제된 것을 나타낸다.
도 9 (c) 3D 프린터 중 Carima를 선택하여 프린팅공정의 진행상황을 나타낸다.
도 9 (d) 3D 프린터 중 office를 선택하여 프린팅공정의 상태 및 상황을 표시한다.
도 10은 원격상담시스템의 효과예시도이다.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으로 인하여 다자간원격상담, 내역서비스관리, 의안제작S/W연동, 권한관리 및 보안, 주문/배송관리, 일정관리서비스, 데이터전송관리, 회원등록관리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의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으로 인하여, 입체형상물의 설계와 성형작업을 위한 장비를 각 역할에 맞는 장소에 배치하여 입체형상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 장비활용성 및 위생청결도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정보입력장치(1)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설계시설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 있더라도 편리하게 입체형상물을 설계받고 사용자에게 맞는 입체형상물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사용자정보로 인하여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다. 서버(3)는 작업관리부(323)와 고객이력관리부(321)로 인하여 작업에 대한 관리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열승화전사장치(53 내지 55)로 3D프린팅된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으므로 입체형상물의 사실감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담을 통해 입체형상물 제작을 위한 정보를 얻고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에 대한 정확한 설계를 받을 수 있다.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체형상물의 작업상황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작업에 대한 제어를 직접할 수 있다.

Claims (10)

  1.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위치하며,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처리통신부, 채팅 및 화상통화를 위한 상담창을 표시하는 정보처리디스플레이부,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데이터생성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합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복합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는 정보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상기 정보처리통신부와 통신 가능한 서버통신부, 상기 복합데이터를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생성부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합데이터를 입체형상물 제조를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도록 상기 작업생성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 및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하며, 상기 서버통신부와 통신하는 프린팅통신부,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를 제어하는 프린팅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린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상기 프린팅장치와는 다른 지역에 위치하며, 채팅과 화상통화의 요청 및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정보입력통신부, 사용자를 촬상하는 정보입력카메라, 상기 상담창을 표시하는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상기 정보입력카메라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담창을 표시하도록 상기 정보입력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촬상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정보입력통신부를 제어하는 정보입력제어부를 갖는 정보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3D프린터에서 성형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3D프린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의 3D프린터 및 표면처리장치를 선택하는 작업관리부; 및
    상기 3차원복합데이터를 전송한 고객의 ID로부터 고객의 3D프린팅을 위한 제어명령의 이력 및 상기 프린팅장치의 작업 이력을 관리하는 고객이력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장치는,
    상기 3D프린터에 의해 성형된 상기 입체형상물이 고정 안착되는 성형물안착부, 상기 성형물안착부를 지지하며 외부에 연통된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열승화전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갖는 상부프레임,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는 진공흡입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을 기밀하게 결합시킨 상태에서 열승화전사지가 상기 입체형상물에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흡입하도록 상기 진공흡입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체형상물에 압착된 상기 열승화전사지에 열을 가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열승화제어부를 포함하는 열승화전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6.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역시설에 상기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지역시설와 다른 지역에 위치한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 상기 입체형상물의 설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을 제조하기 위한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의 제조를 위한 복합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에서 서버로 상기 복합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복합데이터를 프린팅하기 위한 성형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 다른 지역에 위치한 프린팅장치에 상기 성형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장치에서 상기 성형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이 완료된 상기 입체형상물을 사용자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시설의 정보입력장치에서 상기 서버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과의 상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설계시설의 정보처리장치로 상담을 초대하는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정보입력장치와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상담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체형상물표준화세트 중 적어도 하나의 입체형상물을 착용한 후 사용자의 착용감에 따라 선택된 입체형상물의 형태와, 입체형상물의 크기와, 색채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상 눈과 가장 유사한 입체형상물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상기 정보입력장치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장치의 3D프린터에서 상기 입체형상물을 3D프린팅하는 단계;
    3D프린팅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대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표면처리된 상기 입체형상물에 입체형상물이미지가 2D프린팅된 열승화전사지를 압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입체형상물이미지를 상기 입체형상물에 열승화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바일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입체형상물을 성형하는 3D프린팅 공정의 상황을 알고 제어하기 위한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장치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장치가 사용자의 모바일장치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장치에서 상기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프린팅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모니터링어플리케이션은,
    선택 가능한 작업을 표시하는 메인메뉴와, 상기 메인메뉴 중 선택한 작업에 따라 표시하는 보조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메뉴는,
    복수의 기기선택메뉴를 표시하며, 선택된 기기에 대하여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를 포함하는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작업상황표시영역과, 작업상황 및 3D프린팅, 표면처리 및 열승화전사의 일시정지, 작업수행 및 삭제 등의 제어를 위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기능버튼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PCT/KR2019/003919 2018-03-22 2019-04-03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WO202019697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3353 2018-03-22
KR1020190033055A KR102305855B1 (ko) 2018-03-22 2019-03-22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KR10-2019-0033055 2019-03-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6972A1 true WO2020196972A1 (ko) 2020-10-01

Family

ID=6842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919 WO2020196972A1 (ko) 2018-03-22 2019-04-03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5855B1 (ko)
WO (1) WO2020196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8202B (zh) * 2020-05-07 2022-04-29 东南大学 一种基于远程控制与云处理的增材制造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380A (ko) * 2014-02-03 2015-08-13 김형진 3d 프린터 원격제어 렌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6712A (ko) * 2015-05-20 2016-11-30 정봉건 마이크로웨이브 균일분산 시스템을 적용한 3차원 승화전사 프린터
KR20170002826A (ko) * 2015-06-30 2017-01-09 명지훈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KR20170096850A (ko)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코스코이 모바일 기반 3d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JP2019505863A (ja) * 2016-12-16 2019-02-28 ペキン シャオミ モバイル ソフトウェ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3dプリント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497A (ko) * 2003-08-28 2005-03-10 천현수 열전사 장치
KR20160146160A (ko) * 2015-06-11 2016-12-2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팅 원격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KR20170102749A (ko) * 2016-03-02 2017-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을 이용한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380A (ko) * 2014-02-03 2015-08-13 김형진 3d 프린터 원격제어 렌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6712A (ko) * 2015-05-20 2016-11-30 정봉건 마이크로웨이브 균일분산 시스템을 적용한 3차원 승화전사 프린터
KR20170002826A (ko) * 2015-06-30 2017-01-09 명지훈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KR20170096850A (ko)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코스코이 모바일 기반 3d 프린팅 서비스 시스템
JP2019505863A (ja) * 2016-12-16 2019-02-28 ペキン シャオミ モバイル ソフトウェ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3dプリントデータの生成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33A (ko) 2019-10-02
KR102305855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457B2 (en) Distributed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video, audio and medical parameter data
JP4209209B2 (ja) サービス配信するための診断画像をユニバーサルリモートアクセスし表示するシステムと方法
CN101632100B9 (zh) 数据传送方法和系统、辅助服务器以及检查设备
WO2020196972A1 (ko)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EP3286675A1 (en) Wearable posture advisory system
US20170257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Scan and Three Dimensional Print of External Ear Canal
WO2016070497A1 (zh) 可穿戴式设备、拍摄设备、拍摄系统及其拍摄方法
WO2010082791A2 (ko) 패턴생성 장치 및 방법과 장갑 주문제작 장치 및 방법
WO2018182130A1 (ko) Ar을 이용한 셀프 뷰티앱 플랫폼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16179879A1 (zh) 基于网络医院的远程辅助诊疗系统及远程辅助诊疗方法
WO2016062276A1 (zh) 远程控制手机人系统和方法
US20060253212A1 (en) Method and device with regard to data transmission in the production of denture parts
CN102632720A (zh) 用印机设备和远程用印处理系统
WO2022182079A1 (ko) 보청기별 옵션 사항을 제공하는 보청기 주문 서버 및 맞춤형 보청기를 주문하는 방법
WO2000055714A1 (en) Remote assist system
CN102520681B (zh) 基于外观信息识别的物联网终端智能配置方法及系统
WO2018174366A1 (ko) IoT가 가능한 광고형 3D 프린터 운영 시스템
JP2007320715A (ja) 作業関連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作業関連情報提供方法
JP4826687B2 (ja) エレベーター統合監視システム
CN110791943B (zh) 一种智能验布机控制系统
JP2003004863A (ja) 在席情報伝達装置および在席情報伝達方法
WO2019225998A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의 전자 기기 등록 방법
JP2017056069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4004808B2 (ja) 新生児情報電送システム
WO2016032075A1 (ko) 3d 프린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1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1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1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