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26A -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26A
KR20170002826A KR1020150092644A KR20150092644A KR20170002826A KR 20170002826 A KR20170002826 A KR 20170002826A KR 1020150092644 A KR1020150092644 A KR 1020150092644A KR 20150092644 A KR20150092644 A KR 20150092644A KR 20170002826 A KR20170002826 A KR 2017000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article
printers
manufactured
reque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지훈
Original Assignee
명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훈 filed Critical 명지훈
Priority to KR102015009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826A/ko
Publication of KR201700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3D 프린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물품을 요청하는 단계,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3D 프린터들 중 현재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의 제조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물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제조한 3D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or using three-dimensional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3D 프린터들 중 선택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요청된 물품을 제작하여 전달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 들어 각광받고 있는 3D 프린터는 모형/시제품 제작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벗어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일부 계층(Geek, 창업, 회사)들만 접할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현재 많이 개설되고 있는 모델 마켓(3D 디자인을 사고 파는 시장)은 아직까지는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제작 대행 업체의 부가서비스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3D 프린터 기술이 많은 발전을 이루면서, 장차 시제품 제조 단계에서 벗어나 제조장비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활용과 시스템적인 접근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업자가 고가의 3D 프린터를 여러대 구비하지 않고도 가정 등에 보급된 타인의 3D 프린터들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3D 프린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물품을 요청하는 단계,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3D 프린터들 중 현재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의 제조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물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제조한 3D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제조할 물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암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동안 제조하는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상기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3D 프린터의 생산 진척 상황, 재료 재고 상황,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제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거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3D 프린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제조업자가 여러 대의 3D 프린터를 구매할 필요없이 원하는 물품과 수량을 등록하면 타인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여 수거한 후 제조업자가 판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업자는 대규모 설비를 구축할 필요가 없고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는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3D 프린터를 동작시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제조업자와 보유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생산자는 제품의 홍보가 가능게 되고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는 저렴한 가격에 생산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의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먼저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3D 프린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S110). 상기 3D 프린터들 각각은 서로 다른 소유자에 의하여 소유된 3D 프린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정마다 보급된 3D 프린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3D 프린터들은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상태이며, 인터넷을 통해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들 각각은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시스템이 각각의 3D 프린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시스템은 3D 프린터만을 제어할 수 있는 별개의 시스템일 수도 있고 상기 3D 프린터를 제어할 수 있는 일반 컴퓨터일 수도 있다. 또한,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3D 프린터의 사용에 대한 활용 동의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활용 동의가 완료된 3D 프린터만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물품을 요청할 수 있다(S120). 상기 판매자 단말기는 상기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일 수도 있고 상기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업체의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물품이 요청되며,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는 상기 3D 프린터들 중 현재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S130).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은 등록되어 있는 3D 프린터들을 모두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현재 물품을 제조하고 있거나 소유자가 사용하고 있는 등 동작을 하고 있는 3D 프린터와 동작을 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를 구별할 수 있으며, 그 중 현재 동작을 하고 있지 않아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터를 선택함에 있어서,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은 상기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의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을 분석하여 그 중 수익이 가장 낮은 3D 프린터를 동작시키도록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은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30)는,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제조할 물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암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을 위하여 요청된 물품에 대한 정보는 암호화되어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일반적인 3D 모델 데이터가 아니라 암호화된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의 소유주라고 하여도 원격으로 제어되어 3D 프린터에서 출력하는 물품의 모양을 볼 수는 있지만 상기 출력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개인적으로 출력된 물품을 다시 제조할 수는 없다. 상기 3D 프린터의 소유주라고 하여도 자신의 3D 프린터가 원격으로 제어되어 출력한 물품에 대하여 구매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구매요청을 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동안 제조하는 상태에 대항 상태정보가 상기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3D 프린터의 생산 진척 상황, 재료 재고 상황,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제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D 프린터에는 현재 제조되고 있는 상황이나 현재까지 제조된 물품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의 촬영수단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촬영수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현재의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요청한 물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정도의 프린트 원료(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라멘트)를 확보하고 있는지 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만약 프린트 원료가 부족한 경우 3D 프린터의 소유주에게 알람을 주고 3D 프린터의 소유주가 요청을 하면 상기 3D 프린터를 보유하고 있는 장소로 프린트 원료를 전달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이 외에도 물품의 제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의 제조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물품의 수거를 요청할 수 있다(S150). 이와 같이 물품의 제조가 완료되어 수거를 요청하는 경우, 별도의 수거인력이나 수거시스템을 통하여 제조된 물품을 수거하여 판매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물품을 제조한 3D 프린터의 동작에 대한 비용을 3D 프린터의 소유주 또는 3D 프린터의 동작에 따른 수익을 얻기로 한 자에게 결제할 수 있다(S160).
이와 같은 모델을 통하여 판매업체나 제조업체는 많은 수의 3D 프린터를 보유하지 않고도 타인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3D 프린터의 소유자도 소유자를 위하여 동작을 하지 않는 시간에 동작을 하면서 이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판매업체나 제조업체와 3D 프린터의 소유주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할 물품에 대한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어 3D 프린터의 소유주라고 하여도 마음대로 동일한 제품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보안상의 문제가 없고, 원격으로 생산하면서 관리를 하고 있으므로 직접 제조하지 않으면서도 제품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3D 프린터들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판매자 단말기에서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조할 물품을 요청하는 단계;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3D 프린터들 중 현재 물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은 3D 프린터들 중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할 3D 프린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의 제조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조된 물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을 제조한 3D 프린터의 동작에 대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에서 상기 제조할 물품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된 암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은,
    상기 선택된 3D 프린터가 상기 요청된 물품을 제조하는 동안 제조하는 상태에 대한 상태정보가 상기 3D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에서 상기 공동생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3D 프린터의 생산 진척 상황, 재료 재고 상황,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제품의 상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터는,
    개인이 보유하고 있거나 가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3D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KR1020150092644A 2015-06-30 2015-06-30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KR20170002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44A KR20170002826A (ko) 2015-06-30 2015-06-30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44A KR20170002826A (ko) 2015-06-30 2015-06-30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26A true KR20170002826A (ko) 2017-01-09

Family

ID=5781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44A KR20170002826A (ko) 2015-06-30 2015-06-30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8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6972A1 (ko) * 2018-03-22 2020-10-01 주식회사 캐리마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6972A1 (ko) * 2018-03-22 2020-10-01 주식회사 캐리마 원격입체형상물제조시스템 및 원격입체형상물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0143B2 (en) Tagged build material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CN104203547B (zh) 联网三维打印
US10987878B2 (en) Detection and use of printer configuration information
Caputo et al. The internet of things in manufacturing innovation process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CN104137047B (zh) 3d打印
US9022770B2 (en) Web-based design tool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US9858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nufacturing of an item
Cao et al. RFID i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a case in the automotive industry
US20150350303A1 (en) Manufacturing optimization platform and method
KR20220155401A (ko) 툴링 활동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534743B (zh) 居家及展示場所傢飾佈置提案推薦系統與方法
KR20170002826A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생산 관리 방법
US20180121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ree dimensional manufacturing
KR20090105088A (ko) 금형 통합관리 시스템
JP6091975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CN108876173B (zh) 一种事件的实现方法和装置
Strljic et al. Collective cloud manufacturing for maintaining diversity in product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CN103903151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家电实时试用查看系统
Weyer et al. Seamless integration of CPS-based factories across various engineering and simulation disciplines
Halim et al. Fuzzy available-to-promise system modelling under supplier uncertainty
JP2018092329A (ja) 造形物受注管理制御装置、造形物受注管理制御プログラム
Papadopoulou et al. Industrie 4.0—Smart factory: Also something for medium size companies
TW202414365A (zh) 用於為電子貨架邊緣標籤及其系統提供整合式數位看板廣告之系統及方法
WO2018146500A1 (e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data exchanged between people, objects and mach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