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90012A2 -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90012A2
WO2020190012A2 PCT/KR2020/003664 KR2020003664W WO2020190012A2 WO 2020190012 A2 WO2020190012 A2 WO 2020190012A2 KR 2020003664 W KR2020003664 W KR 2020003664W WO 2020190012 A2 WO2020190012 A2 WO 202019001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e
dental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36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0190012A3 (ko
Inventor
문종훈
강주용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019001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0012A2/ko
Publication of WO202019001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9001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generally relates to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that can be separated without a wound.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or for final perforation of the maxillary fine bones present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9974. Terms and symbols have been chang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an implant refers to a substitute that restores tissues of the human body when they are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an artificial tooth implant.
  • a typical conventional procedure involves forming a side hole (window) below the cheekbone and then directly elevating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and The procedure of filling the graft material between the mucous membranes 5 of the maxillary sinus 6 is performed. In the actual procedure,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ring perforation of the maxillary bone 1 for implant placement.
  • each doctor uses a personal tool to apply the maxillary fine bones (9) to the individual's senses. Since the final perforation is completed by relying on hitting, there is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due to the progress of the work in an unsafe state.
  • the procedure is performed using a combined maxillary sinus mucosa primary separator (3) in a T-shaped shape, and the maxillary bone (1)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ole (2)
  • a striking splitting unit (7)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for primary separation of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foration and maxillary bone (1) by hitting the finely thick maxillary fine bone (9) remaining in the procedure hole (4) of ) Is formed, and a water supply hole 8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ole 2 and the splitting part 7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splitting part 7 for hitting.
  • Perforation combined maxillary sinus mucosa primary separator (3) The end of the streamlined striking splitting part (7) at the top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maxillary bone (1) and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and the procedure hole (4) By slowly rotat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maxillary (1)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mary.
  • the invention of FIG. 1 is also based on the premise that a doctor performs a sensory procedure, and when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patient's maxillary sinus 6 is thinner or unstable or the doctor is familiar with separating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If no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may be damaged or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6 may be torn.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sinus mucosa lifting device for implant surgery present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11761. Terms and symbols have been chang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maxillary bone 1 and a hollow 11 is formed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a tool for elevating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is inserted.
  • the main body 10 maintain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hollow 11 is formed, and the inner diameter is formed at one point of the hollow 11 so as to be a locking jaw to limit the distance into which the elevating too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13) is formed.
  • the body 10 has a threaded portion 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 a screw portion 12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olid coupling state by filling the maxillary bone 1 between the threads of the screw portion 12 after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maxillary bone 1.
  • the elevating tool 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1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 the length at which the elevating tool 20 protrudes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 is a length set to lift by pressing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 a locking protrusion 21 is formed at one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tool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21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locking protrusion 13 formed in the hollow 11 of the main body 10. .
  • the maxillary sinus mucosa lifting device requires a high skill level of the operator because the lifting tool 20 equipped with a procedure blade 22 for perforating the maxillary bone 1 at the tip directly lifts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o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In addition, when the mucous membrane 5 of the maxillary sinus is damaged, it becomes difficult to transplant the bone graft material, and serious inflammation may be caused.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maxillary sinus, comprising: a fluid supply unit supplying a fluid for separation of the mucous membrane; And, a nozzle that is combined with the fluid supply unit and lifts the mucous membrane wit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s,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hole, a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and inserted to contact the hole when the inser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e.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 nozzle including at least one wing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or for final perforation of the maxillary fine bones present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9974,
  •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xillary sinus lifting device for implant surgery present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0-0011761,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4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hole
  •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raising the mucous membrane with the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a)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100
  • FIG. 3(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A′ of FIG. 3(a).
  • the length of the maxillary bone 210 by the maxillary sinus 310 (FIG. 4) formed in the maxillary bone 210 (FIG. 4)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ixture (not shown) to be fixed to the maxillary bone 210
  • the implant cannot be insert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length of the maxillary bone 210, an artificial bone is injected into the maxillary sinus 310 by drilling a hole 200 (FIG. 4) in the maxillary bone 210.
  • a hole 200 is drilled in the maxillary bone 210, and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100 can be used to lift the mucous membrane 300 of the maxillary sinus 310 attached to the maxillary bone 210.
  • the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100 injects a fluid through the hole 200 so that the mucous membrane 30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maxillary bone 210 without damaging the mucous membrane 300.
  • the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fluid supply unit 170 and a nozzle 110.
  • the fluid supply unit 170 may include a fluid supply device 150 and a connector 130.
  • the fluid supply device 150 supplies the fluid 119 (FIG. 7) to the nozzle 110.
  • the connector 130 includes a front connection part 133, a rear connection part 131, and a stepped part 135 provided between the front connection part 133 and the rear connection part 131, and the rear connection part 131 includes a fluid 119
  • a fluid supply device 150 for supplying may be connected, and the front connection part 133 is fixed to the nozzle 110.
  • the nozzle 110 includes a body part 111, an insertion part 113, at least one wing part 115 and a through hole 117.
  • the conn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11, and at least a part of the insertion part 113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00.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be provided in the insertion portion 113 to contact the hole 200.
  • a through hole 117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portion 111 and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formed in the nozzle 110.
  • the nozzle 110 may be softer than the connector 130.
  • the nozzle 1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good elasticity.
  • silicone rubber or other rubber materials may be used.
  • it may be silicone or rubber.
  • the insertion part 113 When the insertion part 113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it may be deformed in the shape of the hole 200.
  • the insertion portion 113 may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 the diameter (D2 ⁇ D3)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may be 2.0mm ⁇ 8.0mm.
  • the preferred diameter (D2 to D3)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may be 2.8mm to 4.1mm.
  •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113.
  • the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be soft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113 compared to the insertion portion 113.
  •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have a certain thickness, and the thickness may be thinner toward the end of the wing portion 115.
  • a plurality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113.
  • thre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be provided.
  •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wing portions 115 may be formed to increase sequentially while going toward the body portion 111. Accordingly, the wing portion 115 closest to the body portion 111 side may be the largest.
  •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 When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 may contact the hole 200 to fix the insertion portion 113 so that it does not move.
  • the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be bent, and when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 is removed from the hole 200, the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115 may return to their original shape.
  • the through hole 117 may be formed over the body portion 111 and the insertion portion 113.
  • a locking part 118 to which the front connection part 133 of the connector 130 is fixed may be formed.
  • 3(c)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or 130 and the nozzle 110 coupled.
  • the front connection part 13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34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part 118.
  • the protrusion 134 and the locking portion 118 may be engaged so that the connector 130 and the nozzle 110 may be fixed so that they do not come off from each other.
  • 4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device for separating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according to a diameter of a hole.
  • the insertion part 113 may have a smaller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200.
  •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the diamet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D3; FIG. 3) to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11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D2) ; FIG. 3) may be.
  • the smallest wing portion 115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e 200 and is coupled.
  • the wing portion 115a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coupled to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e 200 so that the wing portion 115a may contact the hole 200.
  •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fixed to the hole 200 by the wing portion 115a, and the wing portion 115a is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113 and the hole 200 to prevent shaking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can do.
  • the fluid 119 (FIG. 7) is supplied, the fluid 119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between the insertion part 113 and the hole 200, and the hole 200 may be sealed.
  • the wing portion 115a When the insertion portion 113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the wing portion 115a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 the wing portion 115a may completely contact the hole 200. In this case, the space between the hole 200 and the mucous membrane 300 may be sealed by the wing portion 115a.
  •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ertion portion 113 and the blade portion 115 when the diameter D4 of the hole 20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2 on the body portion 111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 the largest wing portion 115c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11 is pressed into the hole 200.
  •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a described in FIG. 4 may function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ng portion 115c of FIG. 5.
  •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angle B between the center and the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wing part 115 meets is greater than the angle A between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art 113 and the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of the inclined surface meets.
  • the w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insertion portion 113. When the wing portion 115 is inserted into the hole 200 (FIG. 4 ), the wing portion 115 is pressed into the hole 200.
  • One wing portion 115 may be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111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 the nozzle 110 described in FIG. 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nozzle 110 described in FIG. 3 except for the one described in FIG. 6.
  •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elevating the mucous membrane with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100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le 200,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device 150 (FIG. 3) so that the fluid 119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7 of the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100.
  • the mucous membran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xillary bone 210 while the fluid 119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mucous membrane 300 and the hole 200 or by u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mucous membrane 300 by the fluid 119 have.
  • a fluid such as saline, sterilized water, and sterilized water may be used, and the fluid 119 is preferably saline.
  • the diameter (D1; FIG. 3) of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D4; FIG. 4) of the hole 200, and the diameter (D1) of the wing portion 115 is the hole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e 200 is sealed by the wing portion 115 by being larger than the diameter D4 of ).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maxillary sinus comprising: a fluid supply unit supplying a fluid for separation of the mucous membrane; And, a nozzle that is combined with the fluid supply unit and lifts the mucous membrane with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as, an insertion unit inserted into the hole, an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unit, and inserted to contact the hole when the inser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hole
  •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apparatus including a nozzle including at least one wing portion formed in the portion.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t least one or more wing portions.
  • the wing portion closest to the fluid supplying portion has the largest diameter.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in which at least one wing portion bends backward whe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e.
  • the nozzle is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on device made of elastic material.
  • a dental maxillary sinus mucosa separating device whose diameter of the wing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 the wing portion may be forcefully fitted into the hole and fixed to the hole.
  • the wing portion is elastic and can be deformed to fit the space between the hole and the insertion po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처 없이 분리가능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상악 구치부에서는 골질이 약하고 상악동(6;maxillary sinus)이 있으므로 긴 임플란트를 매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악동(6)까지의 골량이 부족한 경우의 기존의 대표적인 시술 방법에는 광대뼈 하방에 측면 홀(윈도우)을 형성한 후 직접 상악동(6)의 점막(5)을 거상하여 상악동(6) 하연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에 이식재를 충전하는 시술을 하게 되는데, 실제 시술에서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골(1)의 천공시에는 상악동(6)의 점막(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하게 천공을 하지 않고 상악동(6)의 점막(5) 근방의 미세한 두께의 상악 잔골(9)을 남긴 후, 의사 각자가 개인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상악 잔골(9)을 의사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여 타격함으로써 최종 천공을 완료하기 때문에 불안전한 상태의 작업 진행으로 인해 상악동(6)의 점막(5)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과 같이 T자 형상으로 된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를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하는데,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는 지지폴(2)의 상단에 상악골(1)의 시술공(4)에 남아 있는 미세한 두께의 상악 잔골(9)을 타격하여 천공 및 상악골(1)에 밀착된 상악동의 점막(5)을 1차 분리시키기 위한 유선형으로 형성된 타격 겸용 분리부(7)가 형성되고, 이 타격 겸용 분리부(7)의 상단 중앙에는 지지폴(2)과 타격 겸용 분리부(7)를 관통하는 급수홀(8)이 형성된다.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 상단의 유선형으로 된 타격 겸용 분리부(7)의 단부를 상악골(1)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시술공(4)의 내벽을 따라 천천히 회전시킴으로써 상악골(1)에 밀착된 상악동(6)의 점막(5)을 1차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를 사용하여 시술시 타격 겸용 분리부(7)의 상단 중앙에 지지폴(2)과 타격 겸용 분리부(7)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홀(8)을 통해 물을 원활하게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결하고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효율적인 시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발명도 의사가 감각적으로 시술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환자의 상악동(6)의 점막(5)이 보통보다 얇거나 불안정한 경우 또는 의사가 상악동(6)의 점막(5)을 분리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악동(6)의 점막(5)에 상처가 나거나 상악동(6)의 점막(5)이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61호에 제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본체(10)는 상악골(1)에 삽입되며 상악동의 점막(5)을 거상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중공(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중공(11)이 형성된 원통형태를 유지하며, 중공(11)의 일 지점에는 내경이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후술할 거상공구(20)가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3)이 형성된다.
본체(10)는 외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부(12)는 본체(10)가 상악골(1)에 삽입된 후 나사부(12)의 나사산 사이에 상악골(1)이 메꾸어지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거상공구(20)는 본체(10)의 중공(11)으로 삽입되어 본체(10)의 선단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거상공구(20)가 본체(1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악동의 점막(5)을 가압하여 거상하기 위해 설정된 길이이다. 이를 위해 거상공구(20)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1)가 본체(10)의 중공(11)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는 끝단에 상악골(1)을 천공하기 위한 시술날부(22)가 구비된 거상공구(20)가 상악동의 점막(5)을 직접 들어올리므로,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상악동의 점막(5)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와 더불어, 상악동의 점막(5)이 파손되면 골이식재를 이식하기 어렵게 되고, 심각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61호에 제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홀의 직경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로 점막을 거상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를 설치할 때, 상악골(210;도 4)에 형성된 상악동(310;도 4)에 의해 상악골(210)의 길이가 상악골(210)에 고정될 픽스쳐(미도시)의 길이보다 짧아서 임플란트를 삽입 할 수 없다. 따라서, 상악골(21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 상악골(210)에 홀(200;도 4)을 뚫어 상악동(310)에 인공골을 주입한다. 인공골을 주입하기 전 상악골(210)에 홀(200)을 뚫고, 상악골(210)에 부착된 상악동(310)의 점막(300)을 들어올리기 위해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홀(200)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점막(300)이 손상되지 않고 상악골(210)로부터 점막(300)이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한다.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유체공급부(170)와 노즐(110)을 포함한다.
유체공급부(170)는 유체공급장치(150) 및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공급장치(150)는 유체(119;도 7)를 노즐(110)에 공급한다.
커넥터(130)는 전방연결부(133), 후방연결부(131) 및 전방연결부(133)와 후방연결부(131) 사이에 구비되는 단턱부(135)를 포함하고, 후방연결부(131)에는 유체(119)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150)가 연결될 수 있고, 전방연결부(133)는 노즐(110)에 고정된다.
노즐(110)은 몸체부(111), 삽입부(1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 및 관통홀(117)을 포함한다. 몸체부(111)에는 커넥터(130)가 연결될 수 있고, 삽입부(113)는 홀(2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에 구비되어 홀(2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노즐(110)에는 몸체부(111)와 삽입부(113)를 관통하는 관통홀(117)이 형성된다.
노즐(110)은 커넥터(130)보다 연질일 수 있다. 노즐(110)은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또는 기타 다른 고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일 수 있다. 커넥터(130)에 몸체부(111)를 사용자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끼울 때, 몸체부(111)가 손이나 도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부(111)에 돌기(112)가 형성되며, 돌기(112)는 몸체부(1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홀(200)에 삽입되었을 때, 홀(200)의 모양대로 변형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삽입부(113)의 직경(D2~D3)은 2.0mm~8.0mm 일 수 있다. 삽입부(113)의 바람직한 직경(D2~D3)은 2.8mm~4.1mm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와 비교해서 삽입부(113)보다 부드러울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날개부(115)의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도 있다. 삽입부(113)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3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부(115)의 크기는 몸체부(111)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1)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115)가 가장 클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홀(200)에 삽입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가 홀(200)에 접촉되어 삽입부(11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휘어질 수 있으며, 홀(200)에서 빠지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원래 모양으로 돌아갈 수 있다.
관통홀(117)은 몸체부(111)와 삽입부(113)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1)의 관통홀(117)에는 커넥터(130)의 전방연결부(133)가 고정되는 걸림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c)는 커넥터(130)와 노즐(11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방연결부(133)에는 돌기(134)가 구비되며, 걸림부(118)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4)와 걸림부(118)는 맞물려서 커넥터(130)와 노즐(110)이 서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홀의 직경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삽입부(113)는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113)의 직경은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의 직경(D3;도 3) 내지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도 3) 일 수 있다.
도 4는 홀(200)의 직경(D4)이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보다 작을 때 삽입부(11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가 밀착되어 결합하는 도면이다.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의 가장 작은 날개부(115a)가 홀(200)에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날개부(115a)가 홀(200)에 결합 또는 밀착되어 탄성 변형되어 날개부(115a)가 홀(200)에 접촉할 수 있다. 삽입부(113)는 날개부(115a)에 의해 홀(200)에 고정되고, 날개부(115a)가 삽입부(113)와 홀(2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삽입부(11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119;도 7)가 공급되면 유체(119)가 삽입부(113)와 홀(200) 사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을 수 있고, 홀(200)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될 때, 날개부(115a)는 삽입되는 방향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15a)는 홀(200)에 완전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때에는 날개부(115a)에 의해 홀(200)과 점막(30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도 5는 홀(200)의 직경(D4)이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보다 클 때 삽입부(113)와 날개부(115)를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부(113)에서 몸체부(111)측 가장 큰 날개부(115c)가 홀(200)에 눌려있다.
도 4에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a)는 도 5의 날개부(115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심으로부터 날개부(115)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의 사이각(B)은 삽입부(113)의 중심으로부터 경사면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의 사이각(A)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115)는 삽입부(113)로부터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15)는 홀(200;도 4)에 삽입되면 날개부(115)가 홀(200)에 눌리게 된다.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에 날개부(115)는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된 노즐(110)은 도 6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3에서 설명된 노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로 점막을 거상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홀(200)에 일부가 삽입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유체공급장치(150;도 3)와 연결되어 유체(119)가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의 관통홀(117)을 통해 점막(300)을 향해 공급된다. 점막(300)과 홀(200) 사이의 공간에 유체(119)가 채워지면서 또는 유체(119)가 점막(300)에 뿌려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악골(210)로부터 점막(300)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유체(119)는 식염수, 소독수, 살균수 등의 유체를 사용 가능하며, 유체(119)는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의 직경(D1;도 3)은 홀(200)의 직경(D4;도 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115)의 직경(D1)이 홀(200)의 직경(D4)보다 큼에 의해 홀(200)은 날개부(115)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3) 복수의 날개부 중 유체공급부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는 직경이 가장 큰 점막 분리 장치.
(4) 삽입부가 홀에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5) 노즐은 탄성 재질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6) 날개부의 직경은 홀의 직경 이상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의하면, 날개부는 홀에 억지끼움되어 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의하면, 날개부가 탄성이 있어서 홀과 삽입부 사이의 공간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

Claims (6)

  1.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부 중 유체공급부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는 직경이 가장 큰 점막 분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부가 홀에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은 탄성 재질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부의 직경은 홀의 직경이상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PCT/KR2020/003664 2019-03-18 2020-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WO2020190012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04 2019-03-18
KR1020190030504A KR102238578B1 (ko) 2019-03-18 2019-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0012A2 true WO2020190012A2 (ko) 2020-09-24
WO2020190012A3 WO2020190012A3 (ko) 2020-11-19

Family

ID=7252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3664 WO2020190012A2 (ko) 2019-03-18 2020-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578B1 (ko)
WO (1) WO20201900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64B1 (ko) 2021-08-31 2022-06-22 (주)에이아이매틱스 운전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공유 차량의 주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194A (ja) * 2003-01-21 2004-08-12 Mizuo Kitajima 鼻腔洗浄器
US7510397B2 (en) * 2004-10-15 2009-03-31 Hochman Mark 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axillary sinus elevation
IL175477A (en) * 2006-05-08 2013-09-30 Efraim Kfir A kit for lifting the sinus membranes for use in dental implant surgery
KR100976820B1 (ko) * 2008-12-24 2010-08-20 김대연 상악동 점막 거상용 액체 주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 거상 방법
KR101373363B1 (ko) * 2008-07-25 2014-03-13 이도상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공구
KR200453097Y1 (ko) * 2009-04-02 2011-04-05 이달호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막 분리기
KR101330741B1 (ko) * 2012-10-18 2013-1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KR102258699B1 (ko) * 2014-06-27 2021-05-31 주식회사 디오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52A (ko) 2020-09-28
WO2020190012A3 (ko) 2020-11-19
KR102238578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8543A2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7146335A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WO2010128771A2 (ko)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WO2011046294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WO2010013900A2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WO2015037838A1 (ko) 치주 수술용 견인기
WO2014062025A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WO2020190012A2 (ko)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WO2019139230A1 (ko) 의료용실 삽입기구
WO2020181944A1 (zh) 缝合锚组件
WO2010021464A2 (ko) 임플란트 시술용 피에조 인서트
WO2021020656A1 (ko) 이중 스파이럴 구조의 임플란트 시술용 콘덴싱 스크류
WO2019078642A1 (ko) 피부 리프팅 시술용 실 삽입기
WO2024049278A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WO2009151276A2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WO2011129603A2 (ko) 임플란트용 주입기
WO2012134094A2 (ko) 상악동막을 직접 조절하여 상악동막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안전하게 거상할 수 있게 하는 안전 상악동막 거상기 및 그를 이용한 시술방법
WO2011115339A1 (ko) 치조골용 버
WO2019164282A1 (ko) 치과용 드릴을 위한 스토퍼
WO2012008649A1 (ko) 용이한 구강 내 관찰 및 용이한 국부 마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치과용 진동장치
WO2013081265A1 (ko) 치과용 채혈기구
WO2013058479A1 (ko) 상악동 내막 거상용 물 주입장치
CN211723492U (zh) 一种用于上颌窦内提升术的手术工具
WO2009136775A2 (ko) 압력 반응형 드릴
CN210019457U (zh) 一种单侧双通道内镜技术辅助椎间融合器置入套管拉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73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736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