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952A -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952A
KR20200110952A KR1020190030504A KR20190030504A KR20200110952A KR 20200110952 A KR20200110952 A KR 20200110952A KR 1020190030504 A KR1020190030504 A KR 1020190030504A KR 20190030504 A KR20190030504 A KR 20190030504A KR 20200110952 A KR20200110952 A KR 20200110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xillary sinus
sinus mucosa
dental
mucous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578B1 (ko
Inventor
문종훈
강주용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578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64 priority patent/WO2020190012A2/ko
Publication of KR2020011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DENTAL APPARATUS FOR SEPERATING A MAXILLARY SINUS MUCOSA}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처 없이 분리가능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상악 구치부에서는 골질이 약하고 상악동(6;maxillary sinus)이 있으므로 긴 임플란트를 매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악동(6)까지의 골량이 부족한 경우의 기존의 대표적인 시술 방법에는 광대뼈 하방에 측면 홀(윈도우)을 형성한 후 직접 상악동(6)의 점막(5)을 거상하여 상악동(6) 하연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에 이식재를 충전하는 시술을 하게 되는데, 실제 시술에서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골(1)의 천공시에는 상악동(6)의 점막(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전하게 천공을 하지 않고 상악동(6)의 점막(5) 근방의 미세한 두께의 상악 잔골(9)을 남긴 후, 의사 각자가 개인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상악 잔골(9)을 의사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여 타격함으로써 최종 천공을 완료하기 때문에 불안전한 상태의 작업 진행으로 인해 상악동(6)의 점막(5)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과 같이 T자 형상으로 된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를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하는데,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는 지지폴(2)의 상단에 상악골(1)의 시술공(4)에 남아 있는 미세한 두께의 상악 잔골(9)을 타격하여 천공 및 상악골(1)에 밀착된 상악동의 점막(5)을 1차 분리시키기 위한 유선형으로 형성된 타격 겸용 분리부(7)가 형성되고, 이 타격 겸용 분리부(7)의 상단 중앙에는 지지폴(2)과 타격 겸용 분리부(7)를 관통하는 급수홀(8)이 형성된다.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 상단의 유선형으로 된 타격 겸용 분리부(7)의 단부를 상악골(1)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시술공(4)의 내벽을 따라 천천히 회전시킴으로써 상악골(1)에 밀착된 상악동(6)의 점막(5)을 1차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1차 분리기(3)를 사용하여 시술시 타격 겸용 분리부(7)의 상단 중앙에 지지폴(2)과 타격 겸용 분리부(7)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홀(8)을 통해 물을 원활하게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결하고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효율적인 시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발명도 의사가 감각적으로 시술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환자의 상악동(6)의 점막(5)이 보통보다 얇거나 불안정한 경우 또는 의사가 상악동(6)의 점막(5)을 분리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악동(6)의 점막(5)에 상처가 나거나 상악동(6)의 점막(5)이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61호에 제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본체(10)는 상악골(1)에 삽입되며 상악동의 점막(5)을 거상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중공(1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는 중공(11)이 형성된 원통형태를 유지하며, 중공(11)의 일 지점에는 내경이 상이하도록 형성하여 후술할 거상공구(20)가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3)이 형성된다.
본체(10)는 외면에 나사부(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부(12)는 본체(10)가 상악골(1)에 삽입된 후 나사부(12)의 나사산 사이에 상악골(1)이 메꾸어지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거상공구(20)는 본체(10)의 중공(11)으로 삽입되어 본체(10)의 선단으로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거상공구(20)가 본체(10)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상악동의 점막(5)을 가압하여 거상하기 위해 설정된 길이이다. 이를 위해 거상공구(20)의 길이방향 일 지점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1)가 본체(10)의 중공(11)에 형성된 걸림턱(13)에 걸려지도록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는 끝단에 상악골(1)을 천공하기 위한 시술날부(22)가 구비된 거상공구(20)가 상악동의 점막(5)을 직접 들어올리므로, 시술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고 상악동의 점막(5)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와 더불어, 상악동의 점막(5)이 파손되면 골이식재를 이식하기 어렵게 되고, 심각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1761호에 제시된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홀의 직경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로 점막을 거상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를 설치할 때, 상악골(210;도 4)에 형성된 상악동(310;도 4)에 의해 상악골(210)의 길이가 상악골(210)에 고정될 픽스쳐(미도시)의 길이보다 짧아서 임플란트를 삽입 할 수 없다. 따라서, 상악골(210)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 상악골(210)에 홀(200;도 4)을 뚫어 상악동(310)에 인공골을 주입한다. 인공골을 주입하기 전 상악골(210)에 홀(200)을 뚫고, 상악골(210)에 부착된 상악동(310)의 점막(300)을 들어올리기 위해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홀(200)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점막(300)이 손상되지 않고 상악골(210)로부터 점막(300)이 들어올려져, 분리되도록 한다.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유체공급부(170)와 노즐(110)을 포함한다.
유체공급부(170)는 유체공급장치(150) 및 커넥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공급장치(150)는 유체(119;도 7)를 노즐(110)에 공급한다.
커넥터(130)는 전방연결부(133), 후방연결부(131) 및 전방연결부(133)와 후방연결부(131) 사이에 구비되는 단턱부(135)를 포함하고, 후방연결부(131)에는 유체(119)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150)가 연결될 수 있고, 전방연결부(133)는 노즐(110)에 고정된다.
노즐(110)은 몸체부(111), 삽입부(11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 및 관통홀(117)을 포함한다. 몸체부(111)에는 커넥터(130)가 연결될 수 있고, 삽입부(113)는 홀(20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에 구비되어 홀(2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노즐(110)에는 몸체부(111)와 삽입부(113)를 관통하는 관통홀(117)이 형성된다.
노즐(110)은 커넥터(130)보다 연질일 수 있다. 노즐(110)은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또는 기타 다른 고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일 수 있다. 커넥터(130)에 몸체부(111)를 사용자가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끼울 때, 몸체부(111)가 손이나 도구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몸체부(111)에 돌기(112)가 형성되며, 돌기(112)는 몸체부(11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홀(200)에 삽입되었을 때, 홀(200)의 모양대로 변형될 수 있다. 삽입부(113)는 끝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삽입부(113)의 직경(D2~D3)은 2.0mm~8.0mm 일 수 있다. 삽입부(113)의 바람직한 직경(D2~D3)은 2.8mm~4.1mm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삽입부(113)와 비교해서 삽입부(113)보다 부드러울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날개부(115)의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도 있다. 삽입부(113)의 외주면을 따라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3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부(115)의 크기는 몸체부(111)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1)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115)가 가장 클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홀(200)에 삽입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가 홀(200)에 접촉되어 삽입부(11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휘어질 수 있으며, 홀(200)에서 빠지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는 원래 모양으로 돌아갈 수 있다.
관통홀(117)은 몸체부(111)와 삽입부(113)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1)의 관통홀(117)에는 커넥터(130)의 전방연결부(133)가 고정되는 걸림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c)는 커넥터(130)와 노즐(11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방연결부(133)에는 돌기(134)가 구비되며, 걸림부(118)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4)와 걸림부(118)는 맞물려서 커넥터(130)와 노즐(110)이 서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홀의 직경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삽입부(113)는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부(113)의 직경은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의 직경(D3;도 3) 내지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도 3) 일 수 있다.
도 4는 홀(200)의 직경(D4)이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보다 작을 때 삽입부(11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가 밀착되어 결합하는 도면이다.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되는 방향의 가장 작은 날개부(115a)가 홀(200)에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날개부(115a)가 홀(200)에 결합 또는 밀착되어 탄성 변형되어 날개부(115a)가 홀(200)에 접촉할 수 있다. 삽입부(113)는 날개부(115a)에 의해 홀(200)에 고정되고, 날개부(115a)가 삽입부(113)와 홀(200) 사이에 위치하면서 삽입부(11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119;도 7)가 공급되면 유체(119)가 삽입부(113)와 홀(200) 사이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을 수 있고, 홀(200)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113)가 홀(200)에 삽입될 때, 날개부(115a)는 삽입되는 방향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115a)는 홀(200)에 완전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때에는 날개부(115a)에 의해 홀(200)과 점막(30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도 5는 홀(200)의 직경(D4)이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 직경(D2)보다 클 때 삽입부(113)와 날개부(115)를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부(113)에서 몸체부(111)측 가장 큰 날개부(115c)가 홀(200)에 눌려있다.
도 4에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a)는 도 5의 날개부(115c)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심으로부터 날개부(115)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의 사이각(B)은 삽입부(113)의 중심으로부터 경사면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의 사이각(A)보다 더 큰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115)는 삽입부(113)로부터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15)는 홀(200;도 4)에 삽입되면 날개부(115)가 홀(200)에 눌리게 된다. 삽입부(113)의 몸체부(111)측에 날개부(115)는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된 노즐(110)은 도 6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3에서 설명된 노즐(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로 점막을 거상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홀(200)에 일부가 삽입된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는 유체공급장치(150;도 3)와 연결되어 유체(119)가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100)의 관통홀(117)을 통해 점막(300)을 향해 공급된다. 점막(300)과 홀(200) 사이의 공간에 유체(119)가 채워지면서 또는 유체(119)가 점막(300)에 뿌려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상악골(210)로부터 점막(300)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유체(119)는 식염수, 소독수, 살균수 등의 유체를 사용 가능하며, 유체(119)는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115)의 직경(D1;도 3)은 홀(200)의 직경(D4;도 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부(115)의 직경(D1)이 홀(200)의 직경(D4)보다 큼에 의해 홀(200)은 날개부(115)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3) 복수의 날개부 중 유체공급부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는 직경이 가장 큰 점막 분리 장치.
(4) 삽입부가 홀에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5) 노즐은 탄성 재질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6) 날개부의 직경은 홀의 직경 이상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의하면, 날개부는 홀에 억지끼움되어 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의하면, 날개부가 탄성이 있어서 홀과 삽입부 사이의 공간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
100: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110:노즐 111:몸체부 113:삽입부
115:날개부 117:관통홀 130:커넥터 131:후방연결부
133:전방연결부 135:단턱부 200:홀 201:내벽 300:점막

Claims (6)

  1. 상악동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에 있어서,
    점막의 분리를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그리고,
    유체공급부와 결합되어, 유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체로 점막을 거상하는 노즐;로서,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삽입부의 외면에 형성되며, 홀에 삽입부가 삽입될 때 홀에 접촉하도록 삽입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복수개 구비되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날개부 중 유체공급부측에 가장 가까운 날개부는 직경이 가장 큰 점막 분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부가 홀에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는 후방으로 휘어지는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노즐은 탄성 재질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부의 직경은 홀의 직경이상인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KR1020190030504A 2019-03-18 2019-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KR102238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04A KR102238578B1 (ko) 2019-03-18 2019-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PCT/KR2020/003664 WO2020190012A2 (ko) 2019-03-18 2020-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04A KR102238578B1 (ko) 2019-03-18 2019-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52A true KR20200110952A (ko) 2020-09-28
KR102238578B1 KR102238578B1 (ko) 2021-04-12

Family

ID=7252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504A KR102238578B1 (ko) 2019-03-18 2019-03-18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578B1 (ko)
WO (1) WO20201900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64B1 (ko) 2021-08-31 2022-06-22 (주)에이아이매틱스 운전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공유 차량의 주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194A (ja) * 2003-01-21 2004-08-12 Mizuo Kitajima 鼻腔洗浄器
JP2009536070A (ja) * 2006-05-08 2009-10-08 ミアンベ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手術で使用する上顎洞粘膜挙上術用のアセンブリ
KR20100011761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US20100221681A1 (en) * 2004-10-15 2010-09-02 Mark Hoch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staltic pump and surgical handpiece with pressure regulated fluid sensing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KR101330741B1 (ko) * 2012-10-18 2013-1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KR20160001352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디오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820B1 (ko) * 2008-12-24 2010-08-20 김대연 상악동 점막 거상용 액체 주입장치 및 그를 이용한 상악동 점막 거상 방법
KR200453097Y1 (ko) * 2009-04-02 2011-04-05 이달호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막 분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194A (ja) * 2003-01-21 2004-08-12 Mizuo Kitajima 鼻腔洗浄器
US20100221681A1 (en) * 2004-10-15 2010-09-02 Mark Hochma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staltic pump and surgical handpiece with pressure regulated fluid sensing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JP2009536070A (ja) * 2006-05-08 2009-10-08 ミアンベ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手術で使用する上顎洞粘膜挙上術用のアセンブリ
KR20100011761A (ko) * 2008-07-25 2010-02-03 이도상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장치
KR101330741B1 (ko) * 2012-10-18 2013-11-2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KR20160001352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디오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864B1 (ko) 2021-08-31 2022-06-22 (주)에이아이매틱스 운전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공유 차량의 주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578B1 (ko) 2021-04-12
WO2020190012A3 (ko) 2020-11-19
WO2020190012A2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8727B2 (en) Flexible tooling for use in maxillary sinus elevation procedur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591232B2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KR10085043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EP2428181B1 (en) Unitary alveolar bone chisel and spreader osteotome for a dental implant
US8377064B2 (en) Tooling and methodology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US10207092B2 (en) Multi-functional osteotome and method of use for sinus lift procedure
CN101674785B (zh) 用于抬起内凹隔膜的超声波插入件
US10258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nus lift procedure
JP2009536070A (ja) 歯科インプラント手術で使用する上顎洞粘膜挙上術用のアセンブリ
KR101330741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KR102238578B1 (ko)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US20110008746A1 (en)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US10357339B2 (en) Safety subantral membrane lift capable of directly adjusting a subantral membrane to safely lift the subantral membrane in a desired direction by a desired distan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same
KR20160001352A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10097114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WO2007125739A1 (ja) インプラント前窩形成用の補助具
CA2837459A1 (en) Bone carving tool for creating convex ridge for inner border of initial hole for placement of implant hole
KR102353969B1 (ko) 이식재 주입기 및 이를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
CN112842595B (zh) 一种种植修复吸潮纸棒
KR102353970B1 (ko)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N219147785U (zh) 用于颧种植上颌窦黏膜剥离工具
JP2003290253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ー
KR20100004970U (ko)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파절 제거용 기구
KR20120111484A (ko) 임플란트용 상악동 거상 시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