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70B1 -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70B1
KR102353970B1 KR1020190169086A KR20190169086A KR102353970B1 KR 102353970 B1 KR102353970 B1 KR 102353970B1 KR 1020190169086 A KR1020190169086 A KR 1020190169086A KR 20190169086 A KR20190169086 A KR 20190169086A KR 102353970 B1 KR102353970 B1 KR 102353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parator
maxillary sinus
contact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432A (ko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홀을 포함하는 가이드와 유체가 공급되도록 치조골, 잇몸에 형성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유체가 내부공간에 공급되며, 가이드의 홀에 접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유체를 분사하며, 치조골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노즐;로서, 노즐의 일단에 커넥터를 구비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APPARATUS FOR LIFTING SINUS MEMBRAN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와 사용가능한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535호에 제시된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에서 가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가이드(10)는 몸체(11)와 슬리브(1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10)는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며, 이후 행해지는 제반 임플란트 시술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는 환자의 CT촬영을 통해 구강 내의 치조골 및 치아 등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고, 오랄 스캔을 통해 치아, 잇몸 등 환자의 치주조직의 외형에 대한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3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외부형상 이미지를 정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에 따라 환자의 해부학적 보철관계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후 임플란트 시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몸체(11)는 3차원 시술 가이드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몸체(11)는 치주조직을 감싸 고정되되 픽스쳐 식립 위치에 결합홀(13)을 형성한다. 몸체(11)의 결합홀(13)에는 슬리브(12)가 구비되며, 슬리브(12)는 임플란트 시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를 안내하고 픽스쳐 식립 위치에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링을 안내한다. 몸체(11)의 측부에는 앵커홀(1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앵커홀(14)에는 앵커핀이 삽입되며, 앵커핀이 환자의 잇몸 및 치조골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몸체(11)가 구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1)는 고정된 상태에서 드릴링 작업을 포함한 제반 임플란트 시술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2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어와 부호를 변경하였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임플란트(implant)란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다른 부위에 비해 비교적 낮다. 왜냐하면, 상악 구치부의 골질이 약하고 상악동(6;maxillary sinus)에 의해 상악 구치부의 높이가 낮아서 긴 임플란트를 매립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악동(6)까지의 골량이 부족한 경우의 기존의 대표적인 시술 방법에는 광대뼈 하방에 측면 홀(윈도우)을 형성한 후 직접 상악동(6)의 점막(5;mucosa)을 거상하여 상악동(6) 하연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에 이식재를 충전하는 시술을 하게 되는데, 실제 시술에서 이러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골(1)의 천공시에는 상악동(6)의 점막(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악동(6)의 점막(5) 근방의 미세한 두께의 상악 잔골(9)을 남긴 후, 도구로 상악 잔골(9)을 타격하여 제거하였다.
도 2와 같이 상악골(1)과 점막(5)을 1차로 분리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된 타격 겸용 분리부(7)가 형성되며, 타격 겸용 분리부(7)의 상단 중앙에는 지지폴(2)과 타격 겸용 분리부(7)를 관통하는 급수홀(8)이 형성된다. 유선형으로 된 타격 겸용 분리부(7)의 단부를 상악골(1)과 상악동(6)의 점막(5)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시술공(4)의 내벽을 따라 천천히 회전시킴으로써 상악골(1)에 밀착된 상악동(6)의 점막(5)을 1차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임플란트 식립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이드(10)를 착용한 채 구강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는데, 잇몸을 절개하는 수술방법에 적용되는 도 2와 같은 상악동 점막 분리기(3)는 가이드(10)에 적용하기 어렵다. 가이드(10)는 도 1과 같은 앵커홀(14)에 고정되는 앵커핀을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데, 도 2와 같은 상악동 점막 분리기(3)를 적용하려면 가이드(10)를 제거 해야한다. 앵커핀을 빼서 가이드(10)를 잇몸에서 분리하고, 상악동 점막 분리기(3)를 사용한 후, 다시 가이드(10)를 잇몸에 설치하면 이전에 설치되었던 가이드(10)의 위치와 오차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홀을 포함하는 가이드와 유체가 공급되도록 치조골, 잇몸에 형성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유체가 내부공간에 공급되며, 가이드의 홀에 접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유체를 분사하며, 치조골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노즐;로서, 노즐의 일단에 커넥터를 구비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가이드가 구비된 구강에서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강에 맞는 가이드를 설계 및 제작하는 단계; 홀을 포함하도록 제작된 가이드를 구강에 고정하는 단계; 가이드의 홀을 통해 잇몸 및 치조골에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치조골로부터 점막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5681호에 제시된 살균 가능한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9974호에 제시된 상악 잔골 최종 천공 겸용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이식재 주입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이식재 주입기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점막 분리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의 일 예이며, 도 4는 도 3의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의 단면이며,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가 가이드(101), 잇몸(102) 및 치조골(103)에 삽입된 모습이다. 가이드(101)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방향 및 위치를 안내하는 홀(106)을 포함한다.
가이드(101)의 홀(106)을 따라 잇몸(102) 및 치조골(103)에 드릴 등에 의해 통로(105)가 형성되며, 통로(105)의 내부에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가 위치한다.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는 커넥터(110)와 노즐(130)을 포함한다.
커넥터(110)는 일단(112), 타단(113) 및 실린더(1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유체(f)를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의 외부에 구비된 유체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커넥터(110)의 내부에는 내부통로(115)가 형성되며, 내부통로(115)를 통해 유체(f)가 이동할 수 있다. 내부통로(115)는 노즐(130)까지 연장되며, 내부통로(115)를 통해 노즐(130)에서 유체(f)가 배출된다.
삽입부(114)는 커넥터(110)의 일단(112)에 구비될 수 있고, 삽입부(114)는 노즐(130)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110)의 타단(113)에는 제1 고정부(116) 및 제2 고정부(117)가 구비되며, 제1 고정부(116)에는 고정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제2 고정부(117)에는 유체(f)를 공급하는 호스 등이 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고정툴이 제1 고정부(116)에 끼워지며,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를 고정할 수 있다. 시술 완료 후, 시술자는 고정툴을 잡고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를 잇몸(102) 및 치조골(10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실린더(111)는 가이드(101)의 홀(106)에 접촉한다. 커넥터(110)의 일단(112)에 구비되는 삽입부(114)와 제1 고정부(116) 사이에는 실린더(111)가 구비된다. 실린더(111)는 가이드(101)의 홀(106)에 의해 노즐(130)이 통로(105)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110)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노즐(130)은 커넥터(110)의 삽입부(114)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노즐(130)이 잇몸(102)이나 치조골(103)을 보호할 수 있다.
노즐(130)은 접촉면(131), 날개(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130)은 커넥터(110)로부터 공급된 유체(f)를 점막(104)을 향해 분사하고, 분사된 유체(f)에 의해서 점막(104)이 치조골(103)로부터 분리된다. 노즐(130)은 탄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31)은 치조골(103)의 입구(103-1;도 5c)측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면(131)은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며, 경사면의 너비는 노즐(130)의 일단측으로 점점 좁아질 수 있다. 경사면은 여러 가지의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치조골(103)에 형성된 통로(105)의 다양한 너비(L)에 대응할 수 있다.
날개(132)는 접촉면(1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날개(132)는 치조골(103) 및 잇몸(102)에 따로 접촉할 수 있고, 동시에 접촉할 수도 있다. 날개(132)는 접촉면(13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개(132)는 상부(132-1)와 하부(132-2)를 가진다. 날개(132)의 상부(132-1)는 접촉면(131)의 가운데에 접하며, 날개(132)의 하부(132-2)는 노즐(130)의 연결부(133)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날개(132)의 하부(132-2)는 접촉면(131)의 하부 및 일부의 연결부(133)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날개(132)는 탄성이 있어서 잇몸(102)에 접촉할 수 있다. 날개(132) 사이의 거리는 노즐(130)의 연결부(133)을 향할수록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132)는 접히면서 통로(105)에 삽입될 수 있고, 펴지면서 잇몸(102)을 누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132)가 잇몸(102)을 눌러야 잇몸(102)과 날개(132)가 접촉되어 통로 외부로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f)의 압력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부(133)는 커넥터(110)의 삽입부(114)를 둘러싸고, 연결부(133)의 너비는 커넥터(110)의 실린더(111)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3)가 홀(106) 및 통로(105)에 접촉하게 되면 홀(106) 및 통로(105)에 노즐(130)을 삽입할 때, 부드럽게 홀(106) 및 통로(105)에 들어가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결부(133)의 너비가 좁다면 홀(106) 및 통로(105) 내에서 움직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연결부(133)가 움직이지 않도록 홀(106) 및 통로(105)에 접촉할 수 있는 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34)가 연결부(1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와 같이 환자의 구강을 촬영하여 환자의 구강에 맞는 가이드(101)를 설계 및 제작한다. 도 5(a)에 도시된 가이드(101)는 일 예이며,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한 홀(106)을 가지는 가이드(101)이면 적용가능하다.
이후, 도 5(b)와 같이 가이드(101)를 구강(108)에 설치한다. 가이드(101)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101)를 치조골(103)에 고정장치(109)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도 5(c)와 같이 홀(106)이 형성된 가이드(101)를 통해 잇몸(102)과 치조골(103)에 통로(105)를 형성한다.
이후, 도 6(a)와 같이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를 통로(105)에 삽입한다.
이후, 도 6(b)와 같이 점막(104)을 치조골(103)로부터 분리한다.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의 날개(132) 및 접촉면(131)이 통로(105)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실린더(111)는 가이드(101)에 접촉한다. 통로(105)에 삽입된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는 유체(f)를 공급받고, 유체(f)가 점막(104)으로 분사되어 치조골(103)로부터 점막(104)을 분리한다. 접촉면(131)과 날개(132)가 이중으로 통로(105)에 접촉되어 점막(104)에 유체(f)가 공급되면서 유체(f)의 압력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점막(104)이 더 잘 분리된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접촉면(131)은 치조골(103)에 형성된 통로(105)에 접촉할 수 있고, 날개(132)는 잇몸(102)에 형성된 통로(105)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이식재 주입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이식재 주입기(2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식재 주입기(200)는 케이스(210), 주입관(220), 치조골 접촉관(230) 및 손잡이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는 오목하게 형성된 내면(211)을 가지며, 내면(211)에 이식재(250;도 8)를 담을 수 있다.
주입관(220)은 중심을 관통하는 홀(221)을 포함하고, 케이스(2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210)의 내면(211)으로부터 주입관(220)의 홀(221)의 내면(221-1)이 연결된다. 골이식재(250)는 케이스(210)로부터 주입관(220)의 홀(221)을 통과하여 통로(105;도 8)에 주입된다. 주입관(220)은 통로(105)에 삽입되며, 주입관(220)의 외측면은 가이드(101;도 8)의 홀(106;도 8), 잇몸(102;도 8) 및 치조골(103;도 8)과 접촉할 수 있다. 주입관(220)은 치조골(103)로부터 분리된 점막(104) 사이의 공간(107;이하 공간)에 케이스(210)의 내부에 담긴 골이식재(250)를 전달한다. 주입관(220)의 길이(h5;도 8)는 가이드(101)의 홀(106)의 높이(h6;도 8)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이드(101)에 부착된 이물질(가이드의 파편, 기타 이물질 등)이 골이식재(250)와 함께 공간(107;도 8)으로 들어가지 않게 할 수 있다.
주입관(220)은 케이스측 주입관(220-1)과 치조골 접촉관측 주입관(220-2)이 구비되며, 케이스측 주입관(220-1)은 일정한 너비(N1)을 가지며, 치조골 접촉관측 주입관(220-2)의 너비(N2)는 치조골 접촉관(230)측으로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조골 접촉관측 주입관(220-2)은 부드러운 잇몸(102)과 접촉하며, 잇몸(102)이 치조골 접촉관(230)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잇몸(102)을 옆으로 밀면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치조골 접촉관(230)은 주입관(220)의 말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치조골(103)에 삽입되어 치조골(103)과 접촉한다. 치조골 접촉관(230)은 일정한 너비(M;도 8)를 가지며, 주입관(220)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된다.
치조골 접촉관(230)과 주입관(220) 사이에는 걸림턱(23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31)에 의해 주입관(220)이 치조골(10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치조골 접촉관(230)의 중심과 드릴의 중심이 같아서 치조골(103)에 형성된 통로(105)에 치조골 접촉관(230)이 위치한다. 따라서 골이식재(250;도 8)가 공간(107)에 주입될 때, 골이식재(250)가 통로(105)의 중심부터 고르게 주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01)의 홀(106)에 치조골 접촉관측 주입관(220-1)이 삽입될 때, 가이드(101)의 홀(106)에 케이스측 주입관(220-1)이 맞닿으면서 치조골 접촉관측 주입관(220-1)의 중심이 통로(105)의 중심과 맞춰질 수 있다.
손잡이 연결부(240)는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되어 손잡이와 연결될 수 있다. 주입관(220)과 손잡이 연결부(240)는 케이스(210)를 중심으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 연결부(240)는 손잡이와 연결되며, 손잡이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골이식재(250)는 인체의 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인공뼈, 자가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치조골(103)의 높이(h3;도 8)가 낮아서 픽스쳐를 치조골(103)에 고정할 수 없는 경우, 골이식재(250)를 점막(104)과 치조골(10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주입하여 픽스쳐의 높이보다 치조골(103)의 높이(h4;도 8)가 높아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이식재 주입기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치조골(103)과 점막(104)을 분리한 이후, 도 8(a)와 같이 점막 분리 장치(100;도 6)를 통로(105)에서 제거한다. 도 8의 통로(105)는 도 5의 통로(105)와 같다.
이후, 도 8(b)와 같이 통로(105)에 이식재 주입기(200)를 넣는다. 이때, 가이드(101)의 홀(106) 및 통로(105)에는 주입관(220)이 삽입되며, 주입관(220)의 외측면과 통로(105)가 접촉한다.
이후, 도 8(c)와 같이 치조골(103)과 점막(104) 사이의 공간(107) 및 치조골에 형성된 통로(105)에 골이식재(250)를 주입한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300)은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 및 이식재 주입기(200)를 포함한다.
상악동 점막 분리기(100) 및 이식재 주입기(200)는 가이드(101)의 홀(106;도 5)에 삽입되며, 가이드(101)에 접촉된다.
상악동 점막 분리기(200)는 점막(104;도 8)을 치조골(103;도 8)로부터 상처 없이 분리할 수 있다. 상악동 점막 분리기(200)는 통로(105;도 8)에 삽입되어 치조골(103)로부터 점막(104)을 분리한다. 이때, 상악동 점막 분리기(200)는 점막(104)에 유체(f;일예:물)를 분사한다. 점막(104)과 치조골(103) 사이에는 공간(107;도 8)이 형성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홀을 포함하는 가이드와 유체가 공급되도록 치조골, 잇몸에 형성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유체가 내부공간에 공급되며, 가이드의 홀에 접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유체를 분사하며, 치조골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노즐;로서, 노즐의 일단에 커넥터를 구비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2) 노즐은 잇몸에 접촉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3) 날개의 상부는 접촉면과 접하고, 날개의 하부는 노즐의 일단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4) 접촉면은 유체가 분사되는 측으로 점점 너비가 좁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5) 날개는 경사면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6) 가이드가 구비된 구강에서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강에 맞는 가이드를 설계 및 제작하는 단계; 홀을 포함하도록 제작된 가이드를 구강에 고정하는 단계; 가이드의 홀을 통해 잇몸 및 치조골에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치조골로부터 점막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
(7) 치조골로부터 점막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통로에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넣고 누르면서 유체를 공급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
(8) 치조골로부터 점막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통로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가 이중으로 통로와 접촉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를 사용하는 방법.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의하면, 가이드, 잇몸 및 치조골이 형성하는 통로에 접하여 점막을 분리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의하면, 가이드를 착용한 채 점막을 분리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의하면, 치조골에 접한 채 유체를 분사하므로 가이드의 물질이 점막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의하면, 이중으로 통로에 접촉하여 유체가 새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이식재 주입기에 의하면, 가이드를 착용한 채 골이식재를 이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에 의하면 가이드를 착용한 채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식재 주입기를 사용할 수 있다.
100:상악동 점막 분리기
101:가이드 102:잇몸 103:치조골 103-1:입구 104:점막 105:통로
106:홀 107:공간 110:커넥터 111:실린더 112:일단 113:타단
114:삽입부 115:내부통로116:제1 고정부 117:제2 고정부
130:노즐 131:접촉면 132:날개 132-1:상부 132-2:하부
133:연결부 134:돌기 200:이식재 주입기 210:케이스 211:내면

Claims (8)

  1. 홀을 포함하는 가이드와 유체가 공급되도록 치조골, 잇몸에 형성되는 통로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유체가 내부공간에 공급되며, 가이드의 홀에 접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그리고,
    유체를 분사하며, 치조골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노즐;로서, 노즐의 일단에 커넥터를 구비하는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은 잇몸에 접촉하는 날개;를 포함하며,
    날개의 상부는 접촉면과 접하고, 날개의 하부는 노즐의 일단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촉면은 유체가 분사되는 측으로 점점 너비가 좁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날개는 경사면에 구비되는 상악동 점막 분리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69086A 2019-12-17 2019-12-17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KR10235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086A KR102353970B1 (ko) 2019-12-17 2019-12-17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086A KR102353970B1 (ko) 2019-12-17 2019-12-17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32A KR20210077432A (ko) 2021-06-25
KR102353970B1 true KR102353970B1 (ko) 2022-01-24

Family

ID=7662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086A KR102353970B1 (ko) 2019-12-17 2019-12-17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9466A1 (en) * 2006-12-11 2008-12-25 Klaus Eder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improving a crestal sinus lift
WO2009088178A2 (en) 2008-01-04 2009-07-16 Dae Yuen Kim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JP2009536070A (ja) 2006-05-08 2009-10-08 ミアンベ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手術で使用する上顎洞粘膜挙上術用の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85B1 (ko) * 2014-03-18 2021-04-30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 식립 세트
KR101621373B1 (ko) * 2014-08-08 2016-05-17 주식회사 디오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KR102058165B1 (ko) * 2017-09-28 2020-02-07 주식회사 디오 상악동 임플란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6070A (ja) 2006-05-08 2009-10-08 ミアンベ リミテッド 歯科インプラント手術で使用する上顎洞粘膜挙上術用のアセンブリ
US20080319466A1 (en) * 2006-12-11 2008-12-25 Klaus Eder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improving a crestal sinus lift
WO2009088178A2 (en) 2008-01-04 2009-07-16 Dae Yuen Kim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432A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443B2 (en) Dental implants, device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ation procedures
KR101631261B1 (ko)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KR1009817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0004773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cedures associated with the intra-oral cavity
KR101959774B1 (ko) 외부 주수 장치를 구비하는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시스템
KR101152851B1 (ko) 영상정합용 구내장착물
US8702423B2 (en) Cortical drilling
KR101621373B1 (ko)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CN107184285A (zh) 椅旁设计的牙科种植体植入可定位、逐级备洞的导引装置
KR101330741B1 (ko) 상악동 점막 거상장치
US20060223034A1 (en) Kits for placement of a dental post
US7934928B2 (en) Implanter
KR102353970B1 (ko) 상악동 점막 분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N111214299B (zh) 正畸微螺钉导板的制造方法及正畸微螺钉导板
KR10210490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KR102353969B1 (ko) 이식재 주입기 및 이를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시스템
JP2021500213A (ja) 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植立のための方向確認ピンとガイドタップドリルキット
KR100971145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본캐리어
KR102058165B1 (ko) 상악동 임플란트 시스템
KR102238578B1 (ko) 치과용 상악동 점막 분리 장치
KR101027133B1 (ko) 치과용 근관 충전기
KR102205986B1 (ko) 임플란트용 트레파인 드릴
KR101007905B1 (ko) 치과용 파일 제거기구
KR20210037197A (ko) 석션팁 고정부가 구비된 의료용 석션 시스템
KR101528032B1 (ko) 점막관통형 임플란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