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71664A2 -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 Google Patents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71664A2
WO2020171664A2 PCT/KR2020/002589 KR2020002589W WO2020171664A2 WO 2020171664 A2 WO2020171664 A2 WO 2020171664A2 KR 2020002589 W KR2020002589 W KR 2020002589W WO 2020171664 A2 WO2020171664 A2 WO 202017166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auge
boundary
fixture
tolerance
perforat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25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0171664A3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경 filed Critical 이태경
Publication of WO202017166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71664A2/ko
Publication of WO202017166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7166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lerance correction gauge for checking a tolerance between a perforated hole boundary and a fixture boundary, and selecting a fixture of a suitable size for correcting the tolerance.
  • an implant is a dental treatment technique that restores the function of natural teeth by implanting artificial teeth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example, a titanium-based metal material, in the jawbone at the location where the teeth are deficient or where the teeth were extracted, or It refers to the artificial tooth itself. If the jawbone at the site where the implant is to be placed is insufficient, the volume of the bone tissue is increased to sufficiently wrap the implant through additional surgery such as bone graft and bone kidney surgery, and then the implant is planted.
  • a materia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for example, a titanium-based metal material
  • These implants have various structures, and as can be seen from various known documents, they are basically composed of elements of a fixture, an abutment, and an artificial crown.
  • the fixtu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crew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the tooth is implanted into the lost alveolar bone and fused with the bone, and the abutment is an upper structure that is equipped with an artificial crown for mastication and beauty. It is combined with the lower fixture by a screw structure or force-fitting method.
  • dental implants like thi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an important prosthesis method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dental treatment due to the concept of treating only the missing teeth and its biomechanical excellence. And due to the expansion of medical insurance, many surgeries are in progress.
  • the surgical side effects or failure rate of implant surgery reaches 61%,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simple dental implant success rate of 95% in papers.
  • the biocompatibility of the implant itself may be excellent under controlled conditions, but the substantial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which is generally widely performed, is coming out low due to various factors, which increases patient discomfort and pain, and dentistry It is not easy to receive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field, and it is true that the patient's distrust is deepening and another social conflict due to the accumulation and spread of damage cases in the end.
  • Implant failure which is a factor in such medical and social problems, can occur due to various causes.
  • the final criterion for determining failure is whether the contact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is a direct contact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surface, or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m. Whether it is filled with inflammatory tissues or soft tissues, or if soft tissues and inflammatory tissues are infiltrated, it is determined by how much invasion in which part. And, due to this aspect of invasion, the fixture itself finally becomes loose within the alveolar bone, which can be expressed as torque loss if expressed in engineer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directly related to medical errors rather than implant dropout due to problems in use and management,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itial implantation and alveolar bone and fixture, which must be carried out with particular care.
  • the fixture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lveolar bone at the time of initial placement.
  • the cells in the alveolar bone or alveolar bone tissue should not be pressure necrosis due to excessive adhesion, and 3) the tolerance between the fixture and alveolar bone is large, so that the inflammatory tissue or soft tissue does not grow earlier than the bone tissue due to the gap between them.
  • the clinical standard is 35 Ncm, and it is expressed that stable fixation is achieved only when the torque is about 35 Ncm. Since it is a torque value that can be derived and confirmed after inserting and fixing the fixture in the formed hole, the desired torque is The loss of time and labor that occurs when it does not come out, and the failure of ossification or replacement of fixtures that may occur can lead to economic and reliability problems.
  • the difficulty in implementing the ideal torque can be compensated to some extent due to the taper implant in the appearance of the fixture, because the gap created by the occurrence of tolerance can be narrowed by placing the fixture deeper than the planned height in the case of a taper shaped implant. .
  • the gap created by the occurrence of tolerance can be narrowed by placing the fixture deeper than the planned height in the case of a taper shaped implant.
  • the drilling hole formed through the drilling drill during the actual drilling hole creation process differs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technique of the operator, which varies for each patient and for each treatment site. It is enlarged, which may lead to inconsistent surgical results.
  • the problem in the initial fixation is due to the'dilated hole' in which the drilled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desired siz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initial placement of an implant as described above, by measuring the expanded aspect (change in appearance and size) of a perforated hole and selecting and placing a fixture suitable for it, so that it is different each time during the perforation process.
  •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gauge for correcting the tolerance between the perforated hole boundary and the fixture boundary so that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the implant fixture and the perforated hole can be expressed by meeting clinical criteria for possible expansion of the perforated hol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uge for correcting a tolerance between a perforated hole boundary and a fixture boundary, comprising: a gauge portion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valley diameter of a fixture thread and formed of a smooth surface; and a gauge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gauge portion and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gauge portion. It includes a holding portion formed with a small outer diameter.
  • the gauge portion may have a cylindrical surface.
  • the gau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first cylindrical surface positioned at a tip end, and a second cylindrical surface extending from the first cylindrical surface an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 the cylindrical surface of the gauge portion may form a plurality of steps to correspond to the valley diameters of the plurality of fixture threads.
  • a tolerance grade band indicating the outer diameter stage of the cylindrical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gripping portion.
  • the gauge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uncated cone.
  • a plurality of outer diameter indicator strips may be concavely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 the gauge for tolerance correction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boundary and the fixture bounda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ripping groove form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gripping part.
  • the gauges for tolerance correction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boundary and the fixture boundary ar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ixtures having different rib diameters to form one set.
  •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implant surgery and reducing patient discomfort and pain a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olerance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boundary and the fixture boundary in advance before placing the fixture in the perforated hole. There will be.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pe with a wide variety of implant fixtures used in the market by providing a gauge for tolerance correction in various embodiments.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ylindrical surface 111 first cylindrical surface
  • gripping portion 210 gripping groove
  •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for a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tolerance correction paper') between a perforated hole boundary and a fixture boundar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a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tolerance correction paper'
  •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auge portion 100 and a gripping portion 200 divided largely.
  • the gauge portion 100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valley diameter of the fixture thread, and is a portion made of a smooth surface.
  • the shape and size of the gauge part 100 are important.
  • the gauge part 100 is made of a cylindrical surface 110, which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fixture.
  • the gauge portion 100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valley diameter of the fixture thread, which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of the alveolar bone by inserting the gauge portion 100 of the gauge 10 for tolerance correction to the boundary between the perforation hole and the fixture boundary. This is to check the tolerance.
  • the sensory part requires some skill and clinical experience, but generally, if the gauge part 100 is inserted without difficulty while feeling a little resistance, it can be guaranteed that the perforated hole is formed with an appropriate tolerance, and the fixture for the perforated hole The proper torque for the fixture is secured because the thread of the screw is in a tolerance state that can be fastened to a sufficient depth.
  •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the failure of implant surgery to be removed from the beginning by allowing the tolerance state to be checked before the fixture is placed in the perforation hole, which in turn enables implant surgery. It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patients, alleviating patient discomfort and pain, and further reducing medical and social conflicts.
  • the gripping portion 200 refers to a portion protruding and extending from the gauge portion 100 so that the gauge 10 for tolerance correction can be held and operated with a finger.
  • the gripping part 200 is made with a very small outer diameter compared to the perforated hole and the gauge part 100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perforated hole is inserted.
  • 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in features of each embodiment are described below.
  • FIG. 2 is an embodiment in which a tolerance grade band 220 indicating the outer diameter stage of the cylindrical surface 110 is formed on the gripping portion 200.
  • Cylindrical fixtures are provided in various types whose diameter is divided into several stages (organized by manufacturers, largely composed of two series), in response to thi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in several stages with different outer diameters. have.
  •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is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ixtures having different rib diameters to form one set.
  • each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since each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has almost the same appearance, it may be useful to give each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a mark that can easily recognize its size or stage (of course, even if this mark is not present, use But it is okay).
  • the tolerance grade bands 220 of the gripping part 200 shown in FIG. 2 are the number and indicate the size or step of the corresponding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 the tolerance grade band 220 is formed in two rows, which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corresponds to the second step (size).
  •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first cylindrical surface 111 in which the cylindrical surface 110 of the gauge part 100 is located at the tip, and a second cylindrical surface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cylindrical surface 111. It is made of a two-stage structure of the surface 112. This is related to the shape of the fixture.
  • a fixture having a two-stage structure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That is, the embodiment of FIG. 3 is a gauge 10 for tolerance correction for corresponding to a two-stage fixture.
  • FIG. 4 shows a gauge 10 for tolerance corr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teps 114 are formed so that the cylindrical surface 110 of the gauge unit 100 corresponds to the valley diameter of a plurality of fixture threads, respectively.
  •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of FIG. 4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various types of fixtures with on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This embodiment has an advantage in that not only can be used for fixtures of several stages with on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but also in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most suitable fixtur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drilled hole with a single measurement.
  •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uge portion 100 is made of a truncated cone inclined surface 120.
  •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of FIG. 5 is for corresponding to a tapered fixture. 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so as to check the tolerance state of the perforated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in order to place a tapered fixture.
  • a plurality of outer diameter indicator strips 122 may be concave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truncated cone 120 continuously chan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auge part 100, the tolerance level can be grasped in the embodiment of FIG. 5, but the largest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entrance is actually You can't know if it's. This is also related to the depth of the perforated hole, 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depth at which the tapered fixture is placed in the perforated hol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depth of the perforated hole or the largest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entrance.
  • the gripping groove 210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tip of the gripping part 200.
  • the gripping groove 210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grip when gripping the gripping part 200 with a finger, and is to prevent an accident that is missed from the hand and falls into the mouth of the patient while using the tolerance correction gauge 1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진 게이지부와, 상기 게이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게이지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본 발명은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를 확인하고 이를 보정하기에 적합한 크기의 픽스쳐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공차보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Dental Implant, 이하 간략히 "임플란트"라 함)는 인공 치아 또는 제3의 치아라고도 한다. 즉, 임플란트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티타늄계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인공 치아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술식, 또는 인공 치아 자체를 지칭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심을 자리의 턱뼈가 부족한 경우에는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임플란트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골 조직의 부피를 늘린 후에 임플란트를 심기도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공지된 여러 문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픽스쳐(fixture)와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인공 크라운(crown)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재질의 나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아가 상실된 치조골에 매식되어 뼈와 골 융합되고, 어버트먼트는 그 상단에 저작(詛嚼)과 미용을 위한 인공 크라운이 장착되는 상부 구조체로서 하부의 픽스쳐와 나사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없어진 치아 주변을 깎아서 연결하여 덧씌우는 브리지와 같은 보철과 달리, 탈락된 치아만 치료한다는 개념과 생역학적 우수성으로 인해서 치과 치료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보철방법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고령화 사회 및 의료보험의 확대적용 등으로 인해 많은 수술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임플란트 수술은 수술부작용 내지는 실패율이 61%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논문 등에서 단순히 치과용 임플란트의 성공률이 95%라는 것과 구분되어야 한다. 즉, 통제된 조건에서 임플란트 자체의 생체적 적합성이 우수할지는 모르나, 일반적으로 널리 시술되고 있는 임플란트 수술의 실체적 성공률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낮게 나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의 불편과 고통이 가중되고, 치의학이라는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손해배상을 받기가 쉽지 않아, 종국에는 피해사례 누적 및 확산으로 인해 환자의 불신이 깊어지고 또 다른 사회갈등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의료, 사회적 문제의 요인이 되고 있는 임플란트의 수술실패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데, 실패 판정의 최종 기준은 치조골과 픽스쳐 사이의 접촉이 치조골-픽스쳐 표면의 직접 접촉이냐, 아니면 그 사이가 염증조직 또는 연조직 등으로 채워져 있느냐, 또는 연조직과 염증조직이 침윤되어 있다면 어떤 부위에 얼마나 침윤되어 있느냐로 판가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침윤의 양상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픽스쳐 자체가 치조골 내에서 헐거워지게 되는데, 이를 공학적으로 표현하면 토크 소실로 표현할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초기 골융합이 잘 진행되고 나서, 사용 및 관리상의 문제로 인해, 위와 같이 염증 침윤 및 토크 소실과 최종적 탈락이 일어날 수도 있고, 초기 식립 후 골화 기간이 도래하기 전에 탈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사용 및 관리상의 문제로 인한 임플란트 탈락보다는 의료과실과 직접적 관련성이 높고, 특히 주의하여 진행되어야 하는 초기 식립 및 치조골과 픽스쳐 사이의 관계에 관심을 둔 것이다.
픽스쳐는 초기 식립 때, 치조골과 긴밀하게 접촉되어야 하는데, 1) 픽스쳐 상부와 치조골상연이 밀폐되어, 연조직이나 염증조직 내지는 세균 등이 픽스쳐-치조골 접촉부로 침윤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고, 2) 픽스쳐-치조골 사이가 과도하게 밀착되어 치조골 또는 치조골 조직 내 세포 등이 압박괴사 되지 않아야 하며, 3) 픽스쳐-치조골 사이의 공차가 커서, 그 사이 간극으로 염증조직이나 연조직이 골조직보다 먼저 성장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추가로, 4) 임시치아나 힐링 어버트먼트를 적용하는 상황과 같이, 임플란트 식립 이후 골화 기간 동안 외력이 전달될 수 있는 상황에서, 픽스쳐-치조골 사이가 헐거워 픽스쳐가 흔들림으로써 골화세포가 픽스쳐 사이에 안정적으로 생착하지 않게 되거나, 흔들리거나 벌어진 간극으로 연조직이나 염증조직이 침윤, 성장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천공홀 경계면과 픽스쳐 경계면의 접촉관계는 각 회사마다, 임상근거에 따라 정확히 구현될 필요성이 있으며, 기준마련을 위해 각 회사에서는 기준 토크를 제시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임상적 기준은 35 N㎝이며, 토크 35 N㎝ 정도는 되어야 안정적 고정이 되었다고 표현하는데, 형성한 천공홀에 픽스쳐를 삽입하고 고정한 후에 도출되고 확인할 수 있는 토크값이므로, 원하는 토크가 나오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시간적, 노동적 손실과 혹시라도 발생하게 될 골화 실패 내지는 픽스쳐 교체는 경제적, 신뢰상의 문제로까지 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적 토크 구현의 어려움은 픽스쳐의 외형 중, 테이퍼 임플란트로 인해 어느 정도 보상될 수 있는데, 공차가 발생하여 만들어진 간극은 테이퍼 외형의 임플란트일 경우 계획 높이보다 더 깊게 픽스쳐를 식립함으로써 좁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 계획한 깊이보다 더 깊어진다는 맹점이 있고, 또한 직선형 픽스쳐에서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더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임상적 목표인 기준 토크가 제시되었지만, 실제 천공홀 생성 과정에서 천공드릴을 통해 형성되는 천공홀은 환자 개개인마다, 그리고 시술 부위마다 달라지는 치조골의 특성과 시술자의 테크닉으로 인해 그 정도가 매번 다르게 확공되며, 이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수술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픽스쳐-천공홀 사이의 관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초기 고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결국 원하는 크기의 지름보다 더 크게 천공홀이 형성되는 '확공'에서 기인하는 것인데, 천공드릴로 천공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치조골의 밀도와 조직특성, 시술자의 테크닉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확공'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임플란트의 초기 식립 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천공홀의 확공된 양상(외형변화 및 크기변화)을 측정하고 이에 맞는 픽스쳐를 선별하여 식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천공과정에서 매번 상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천공홀의 확공에 대해서도 임상적 기준을 충족하여 임플란트 픽스쳐와 천공홀 사이의 접촉관계가 발현될 수 있도록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진 게이지부와, 상기 게이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게이지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된 파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게이지부는 원통형 표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지부는 선단에 위치한 제1 원통형 표면과, 상기 제1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외경이 더 큰 제2 원통형 표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게이지부의 원통형 표면은 복수의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차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원통형 표면의 외경 단계를 표시하는 공차등급 띠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게이지부는 원뿔대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원뿔대 경사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외경 표시띠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는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인접하여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는 나사산의 골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픽스쳐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는 천공홀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이전에 미리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를 파악할 수 있음에 따라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 향상과 환자의 불편과 고통 경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형태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시중에서 사용되는 다종다양한 임플란트 픽스쳐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 공차보정용 게이지 100: 게이지부
110: 원통형 표면 111: 제1 원통형 표면
112: 제2 원통형 표면 114: 단차
120: 원뿔대 경사면 122: 외경 표시띠
200: 파지부 210: 파지홈
220: 공차등급 띠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이하, 간략히 '공차보정용 제이지'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크게 나누어 게이지부(100)와 파지부(200)를 포함한다.
게이지부(100)는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이다. 게이지부(100)는 그 형태와 크기가 중요한데, 도 1의 제1 실시예는 게이지부(100)가 원통형 표면(11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는 원통형 픽스쳐에 대응하는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다. 특히, 게이지부(100)는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공차보정용 게이지(10)의 게이지부(100)를 치조골의 천공홀에 삽입함으로써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더 설명하면, 시술자가 천공드릴로 치조골에 천공홀을 형성한 단계에서는 과연 어느 정도 확공이 일어났는지, 준비된 픽스쳐를 식립하면 적정 수준의 토크가 확보될 수 있는지를 전혀 알 수는 없다. 이때, 본 발명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의 게이지부(100)를 천공홀에 삽입하면, 게이지부(100)의 외경이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기 때문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에 어느 정도의 공차가 존재하는지 감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감각적인 부분은 약간의 숙련과 임상 경험이 필요하겠지만, 대체적으로 약간의 저항을 느끼면서 게이지부(100)가 무리 없이 삽입되면 적정 공차로서 천공홀이 형성된 것으로 보증할 수 있으며, 천공홀에 대해 픽스쳐의 나사산이 충분한 깊이로 체결될 수 있는 공차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픽스쳐에 대한 적정 토크가 확보된다.
반대로 게이지부(100)가 거의 저항감 없이 천공홀에 삽입되면, 이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에 상당한 공차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본래 계획했던 픽스쳐를 그냥 식립하면 적정 토크에 훨씬 못 미치는 토크로 체결되어 결국 임플란트 식립 초기부터 수술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 사이즈 더 큰 픽스쳐를 식립하는 것으로 계획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픽스쳐를 천공홀에 식립하기 이전에 공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플란트 수술의 실패 요인 중 중요한 인자 중 하나를 초기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결국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률 향상과 환자의 불편과 고통의 경감, 나아가 의료·사회적 갈등을 줄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200)는 공차보정용 게이지(10)를 손가락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도록 게이지부(100)로부터 길게 돌출 연장된 부분을 말한다. 파지부(200)는 천공홀과 게이지부(100)에 비해 아주 작은 외경으로 만들어져 천공홀 삽입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 실시형태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실시형태는 원통형 표면(110)의 외경 단계를 표시하는 공차등급 띠(220)가 파지부(200)에 형성되어 있는 실시형태이다. 원통형 픽스쳐는 그 지름이 여러 단계로 구별되는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므로(메이커 별로 정리하면, 크게 2개 계열로 이루어짐), 이에 대응하여 공차보정용 게이지(10)도 외경이 다른 여러 단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나사산의 골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픽스쳐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각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외형이 거의 동일하므로, 공차보정용 게이지(10)별로 그 사이즈 내지 단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표지를 부여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물론, 이 표지가 없더라도 사용하는데 무리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파지부(200)의 공차등급 띠(220)는 그 개수로서 해당 공차보정용 게이지(10)의 사이즈 내지 단계를 지시한다. 예컨대, 도 2에는 공차등급 띠(220)가 2줄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해당 공차보정용 게이지(10)가 2번째 단계(크기)에 해당하는 것임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실시형태는 게이지부(100)의 원통형 표면(110)이 선단에 위치한 제1 원통형 표면(111)과, 상기 제1 원통형 표면(111)으로부터 연장되고 외경이 더 큰 제2 원통형 표면(112)의 이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픽스쳐의 형태와 관련이 있는 것인데, 출원인의 선행특허출원인 출원번호 제10-2018-0020336호의 임플란트 픽스쳐에는 이단 구조의 픽스쳐가 일 실시형태로서 제시되어 있다. 즉, 도 3의 실시형태는 이단 구조의 픽스쳐에 대응하기 위한 공차보정용 게이지(10)인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실시형태는 게이지부(100)의 원통형 표면(110)이 복수의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차(114)를 이루는 공차보정용 게이지(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하나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로 여러 종류의 픽스쳐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하나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로 여러 단계의 픽스쳐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는 것만이 아니라, 한 번의 측정으로 현재의 천공홀 상태에 가장 적합한 픽스쳐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이점을 가지는 실시형태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게이지부(100)가 원뿔대 경사면(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는 테이퍼형 픽스쳐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즉, 테이퍼형 픽스쳐를 식립하기 위해 원뿔대 형태로 형성된 천공홀의 공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 제2 실시예이다.
나아가 원뿔대 경사면(120)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외경 표시띠(122)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원뿔대 경사면(120)은 게이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외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도 5의 실시형태로는 공차 수준은 파악할 수 있지만, 천공홀 입구의 가장 큰 지름이 실제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는 없다. 이는 천공홀의 깊이와도 관련된 것으로서, 천공홀에 테이퍼형 픽스쳐가 식립되는 깊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천공홀의 깊이 또는 천공홀 입구의 가장 큰 지름이 얼마인지를 알 필요가 있다.
도 6의 실시형태는 원뿔대 경사면(12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외경 표시띠(122)를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몇 번째 외경 표시띠(122)까지 삽입되는지를 통해 천공홀의 깊이나 가장 큰 지름(각 외경 표시띠에 대한 외경을 알고 있음)이 얼마인지를 상당히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공차보정용 게이지(10)를 상세히 설명했는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지부(200)의 선단에 인접하여 파지홈(2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파지홈(210)은 손가락으로 파지부(200)를 잡았을 때의 그립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공차보정용 게이지(10) 사용중 손에서 놓쳐 환자의 구강 안에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9)

  1.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대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고, 매끈한 표면으로 이루어진 게이지부; 및
    상기 게이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게이지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된 파지부;
    를 포함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는 원통형 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는 선단에 위치한 제1 원통형 표면과, 상기 제1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외경이 더 큰 제2 원통형 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의 원통형 표면은 복수의 픽스쳐 나사산의 골지름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차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원통형 표면의 외경 단계를 표시하는 공차등급 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부는 원뿔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대 경사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외경 표시띠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선단에 인접하여 파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는 나사산의 골지름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픽스쳐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PCT/KR2020/002589 2019-02-22 2020-02-24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WO202017166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885A KR20200102658A (ko) 2019-02-22 2019-02-22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KR10-2019-0020885 2019-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1664A2 true WO2020171664A2 (ko) 2020-08-27
WO2020171664A3 WO2020171664A3 (ko) 2020-12-03

Family

ID=7214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2589 WO2020171664A2 (ko) 2019-02-22 2020-02-24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00102658A (ko)
WO (1) WO2020171664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4489A1 (en) * 1992-08-25 1994-03-02 American Cyanamid Company Sizing device for sizing an opening in a hollow body organ
JP2000333974A (ja) * 1999-05-26 2000-12-05 Taihei Kogyo Kk 歯間ゲージ
JP2012024247A (ja) * 2010-07-22 2012-02-09 Hirohiko Kitamura インプラント植設用穿孔深さゲージ
JP5303082B2 (ja) * 2011-12-18 2013-10-02 昌義 古谷 インプラント用深度ゲージ
KR20140136547A (ko) * 2013-05-20 2014-12-01 (주) 한신기전 기어류의 내경 측정용 핀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598A (ko) 2021-05-31
WO2020171664A3 (ko) 2020-12-03
KR20200102658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5460B2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および植設方法
US5538424A (en) Radiographic depth and prosthetic positioning guide
US5636989A (en) Dental implant
KR10102906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6840770B2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8128402B2 (en) Tubular bone anchoring element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US10045837B2 (en) Porous metal dental implant
JPH0244540B2 (ko)
EP0139052A1 (en) Osseointerfaced implanted artificial tooth
US20030124487A1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US20090291414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implant
WO2020171664A2 (ko) 천공홀 경계와 픽스쳐 경계 사이의 공차보정용 게이지
KR100860356B1 (ko) 인공치아
US5419701A (en) Endosteal dental implant with supplementary stabilizer
WO2011142631A2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102110512B1 (ko) 임플란트 시술방법용 상악동 내막 재생 촉진 픽스츄어
WO2010131893A2 (ko) 임플란트
KR102034418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커버 스크류
KR101033171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EP1576935A1 (en) Endosseous dental implant
KR20190123145A (ko) 치과 임플란트 수술용 기구 세트
KR100919776B1 (ko) 치조골의 골 이식용 스텐트 및 그를 이용한 골 이식시 골의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RU2098040C1 (ru) Литая культевая штифтовая вкладка
KR20100001362U (ko) 임플란트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58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58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1/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584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