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430A1 -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430A1
WO2020149430A1 PCT/KR2019/000633 KR2019000633W WO2020149430A1 WO 2020149430 A1 WO2020149430 A1 WO 2020149430A1 KR 2019000633 W KR2019000633 W KR 2019000633W WO 2020149430 A1 WO2020149430 A1 WO 20201494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ter
sunscreen
oi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6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영
김성용
박명삼
신병모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06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49430A1/ko
Publication of WO20201494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4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having water resistance.
  • Most of the conventional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having water resistance is prepared in an emulsion formulation of water in oil. This is because the water-in-oil type composition does not wash well in water and adheres to the skin because the trauma is oil.
  • water-in-oil emulsion formulation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and adhesion, but it is difficult to realize a light and refreshing feeling of use. Therefore, sunscreens of water-in-oil emulsion formulations are not preferred by consumers due to their feeling of use.
  • an oil-in-water 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nscreen, alcohol, and a viscosity modifi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One aspect provides a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of the oil-in-water type comprising a sunscreen, alcohol, and a viscosity modifier.
  • the sunscreen may include both organic sunscreen and inorganic sunscreen, for example, ethylhexylmethoxycinnamate, titanium dioxide, zinc oxide, butylmethoxydibenzoylmethane, isoamyl p-methoxycinnamate, e It may contain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xahexyl salicylate, octocrylene, homosalate, phenylbenzimidazole sulfonic acid, diethylaminohydroxybenzoylhexylbenzoate, or polysilicon-15. have.
  • the sunscreen may be included in 5-50%, 5-40%, 10-30%, or 15-25%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alcohol may be any alcohol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and may be a C1-C6 alcohol, a C3-C6 polyhydric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 the C1-C6 alcohol may include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1,3-propanediol, butanol, pentanol, or hexanol, and may be, for example, ethanol or modified ethanol (modified alcohol).
  • the alcohol may be a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that is, an aqueous alcohol solution.
  •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alcohol solution is 1 to 100 (w/w)%, for example, 1 to 99.5 (w/w)%, 10 to 90 (w/w)%, 10 to 80 (w/w)%, 10 to 70 (w/w)%, 10 to 60 (w/w)%, 10 to 50 (w/w)%, 10 to 40 (w/w)%, 10 to 30 (w/w)%, Or 20(w/w)%.
  • the alcohol may be included in 5-25%, 10-20%, or 13-17%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alcohol component lowers the surface tension of the aqueous phase to facilitate emulsification without a surfactant, and helps to form a fast oil film on the skin after application.
  • the viscosity modifier is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polyacrylate cross polymer-6, polyacrylamide, polyacrylic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ate-13.
  •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included in 0.5-5%, 1-4%, or 1-3%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not include a film forming agent. Thi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not only that the film-forming agent is not included at all, but also that it is an effective amount that is generally acceptable in the art, that is, not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less than 1%, 0.5%, 0.1%, 0.05%, 0.01% or 0.001%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film-forming agent may be regarded as not containing the film-forming agent. .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unscreen, alcohol, and viscosity modifi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oil/water) emulsion, and when applied to the skin, water is added together with the ethanol component. It may volatilize and an oil film may be formed on the skin surface.
  • the oil film thus formed does not wash well in water like a water-in-oil emulsion, and can exhibit water resistance without a film forming agent.
  • a UV B blocking index of SPF 30 or higher, an UV A blocking grade of PA++ or higher, and an oil-in-water type UV blocking cosmetic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may be provided.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lotion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 essence or aerosol composition It may be prepared in a formulation comprising a. Compositions of these formulation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methods conventional in the art.
  •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reservative, stabilizer, surfactant, thickener, solubilizer, moisturizer, emollient, ultraviolet absorber, preservative, disinfectant, emulsifier, antioxidant, pH adjuster,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fragrances, coolants or limiting agents, etc.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art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mpounding amount of the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the preservative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unding amount may be 0.00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Another aspect provides a method of preparing an oil-in-water 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nscreen, alcohol, and a viscosity modifier.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 low temperature emulsification method, and as an aspect of the low temperature emulsification method, adding alcohol to the aqueous phase; Adding a viscosity modifier to the water phase and mixing to form a viscosity;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n oil-in-water cosmetic composition for sunscreen, including the step of adding and mixing the sunscreen and emulsifying the water phase.
  • the method can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it may be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 °C to 50 °C, 20 °C to 40 °C, 25 °C to 35 °C.
  • the addition of alcohol to the aqueous phase lowers the interfacial tension of the water.
  • a viscosity modifier is added, the viscosity modifier is dispersed in the water phase in the form of a net, and there may be useful particles such as sunscreens as large particles. Therefore, without adding a separate emulsifier, emulsifying particles can be formed using a viscosity modifier.
  • the oil phase is added to emulsify.
  •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by the low temperature emulsification method may not contain an emulsifier.
  •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less than 1%, 0.5%, 0.1%, 0.05%, 0.01% or 0.001% of the total weight of the emulsifier,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emulsifier is not included.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in this way is an oil-in-water emulsion, and when applied to the skin, it feels light and hydrated, but as it is absorbed, a thin oil film is formed on the skin to form a water-in-oil emulsion. Therefore, the formed sunscreen oil film may have water resistance.
  • an oil-in-water 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nscreen, alcohol, and a viscosity modifi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 water-in-oil type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having water resistance while maintaining a light and non-stick feeling of use can be provided.
  • FIG. 1 shows sensory evaluation data of a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one aspect.
  • Figure 2 shows the evaluation of the washabil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one aspect.
  • An oil-in-water emulsion having water resistance was prepared by a low energy emulsification method emulsifying at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each component and content shown in Table 1 below.
  • the specific manufacturing process is as follows.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Purified water To 100 To 100 ethanol 15.0 - Ethylhexyl methoxycinnamate 7.0 7.0 Homosalate 7.0 7.0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4.0 4.0 Titanium dioxide 5.0 5.0 PG-100 Stearate - 1.0 Polysorbate 60 - One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2.0 1.5 antiseptic 0.5 0.5 0.5
  • Purified water and ethanol were added to the beaker to be weighed first, followed by addition of a thickener,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Then, the mixture was uniformly mixed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t 3000 rpm. After mixing to form a viscosity, an oily component composed of a sunscreen and a preservative were slowly added. At the same time as input, the mixture was uniformly mixed for 5 minutes at 3000 rpm to emulsify.
  • Purified water was first weighed in a beaker and then heated to a temperature of 75-80° C. and then prepared.
  • the oil phase component composed of the sunscreen and the surfactant was also completely dissolved by heating to a temperature of 75 to 80°C, and then purified water was put into a metered beaker and uniformly mixed at 3000 rpm for 5 minutes to emulsify.
  • a thickener,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 dimethyl taurate copolymer, and a preservative were added at the same temperature and uniformly mixed at 3000 rpm for 5 minutes. The bubbles were then removed and cooled to prepare.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used for both parts of the face, and then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evaluating the feeling of spread, freshness, spread, absorbency, and finish oil feeling. It is shown in 1.
  • the spreading property is a degree of spreading on the skin, indicating that it is not stiff and spreads easily.
  • Freshness refers to the light and refreshing feeling when applying skin.
  • thin spreadability refers to the feeling that th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kin surface rather than thickly.
  • Absorption power indicates the degree to which the composition is absorbed into the skin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 the finish aftertaste represents the oily feeling and greasyness remaining on the skin after the composition is absorbed.
  • the spreadability and thin spreadability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u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easily spread over the skin and applied with a thin and light feeling because it is a formulation without the addition of ethanol and emulsifier.
  • Example 1 Th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evaluated for water resistance efficacy in a clinical institution.
  • composition prepared by Example 1 has a water resistance effect of not being well washed in water with a water resistance ratio of 50% or more .
  • washability evalu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performed. Wash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자외선 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가볍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내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내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대부분 유중수적형(water in oil)의 에멀젼 제형으로 제조된다. 유중수적형 조성물은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물에 잘 씻기지 않고 피부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중수적형 에멀젼 제형은 내수성과 밀착감은 우수하지만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구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유중수적형 에멀젼 제형의 자외선 차단제는 그 사용감 때문에 소비자에게 선호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젤, 또는 로션 제형 등의 수중유형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자외선 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와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또는 폴리실리콘-15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50%, 5-40%, 10-30%, 또는 15-25%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어떤 알콜도 사용될 수 있으며, C1-C6 알콜, C3-C6의 다가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탄올 또는 변성 에탄올(변성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100(w/w)%, 예를 들면, 1 내지 99.5(w/w)%, 10 내지 90(w/w)%, 10 내지 80(w/w)%, 10 내지 70(w/w)%, 10 내지 60(w/w)%, 10 내지 50(w/w)%, 10 내지 40(w/w)%, 10 내지 30(w/w)%, 또는 20(w/w)%일 수 있다. 상기 알콜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25%, 10-20%, 또는 13-17%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알콜 성분은 수상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계면활성제 없이도 유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하며, 도포 후 피부 위에 빠른 오일막을 형성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1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5%, 1-4%, 또는 1-3%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피막형성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 즉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막형성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0.5%, 0.1%, 0.05%, 0.01% 또는 0.001%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피막형성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종래에 내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제 제품의 경우, 외상이 오일인 유중수적형 에멀젼 형태이거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 제품은 사용감이 무겁고 오일리함, 끈적임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자외선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적형 즉 O/W(oil in water)의 에멀젼 형태이고,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에탄올 성분과 함께 물이 휘발되어 피부 표면에 오일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오일막에 의해 유중수적형 에멀젼과 같이 물에 잘 씻겨나가지 않으며, 피막형성제가 없이도 내수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자외선 B 차단지수가 SPF 30 이상이고, 자외선 A 차단 등급이 PA++ 이상이며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적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자외선 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저온 유화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저온 유화법의 일 양상으로서, 수상에 알콜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수상에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여 점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0℃ 내지 50℃, 20℃ 내지 40℃,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수상에 알콜을 첨가하면 물의 계면장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면, 점도 조절제는 그물과 같은 형태로 수상에 분산되며 그 안에 자외선 차단제와 같은 유용성 성분이 큰 입자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유화제 첨가 없이도, 점도 조절제를 이용하여 유화입자를 형성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상을 투입하여 유화를 진행한다.
그러므로, 저온 유화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유화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정도의 유효한 양, 즉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화제를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0.5%, 0.1%, 0.05%, 0.01% 또는 0.001%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적형 에멀젼이며, 피부 도포 시에는 가볍고 수분감이 느껴지지만 흡수되면서 피부 위에 얇은 오일막이형성되어 유중수적형 에멀젼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형성된 자외선차단 오일막은 내수성을 가질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 알콜, 및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가볍고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유지하면서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관능 평가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씻김성을 평가한 것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저온 유화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상온에서 유화하는 저온 유화법(low energy emulsification)으로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과정은 아래와 같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비교예1
정제수 To 100 To 100
에탄올 15.0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호모살레이트 7.0 7.0
디에칠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4.0 4.0
티타늄디옥사이드 5.0 5.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1.0
폴리소르베이트60 - 1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2.0 1.5
방부제 0.5 0.5
비커에 정제수와 에탄올을 첨가하여 먼저 계량한 후,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첨가하였다. 이후 상온에서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하여 점도가 형성된 후 자외선차단제로 구성된 유상 성분과 방부제를 천천히 투입하였다. 투입과 동시에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하였다.
그 결과, 노랑색 젤 크림 형태의 조성물을 최종적으로 얻었다.
비교예 1. 고온 유화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고온 유화법을 이용하여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과정은 아래와 같다.
비커에 정제수를 먼저 계량하여 75~80℃의 온도로 가열한 후 준비하였다. 자외선차단제와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유상 성분 또한 75~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정제수가 계량된 비커에 투입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하였다. 혼합 후 같은 온도에서 점증제인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와 방부제를 첨가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유백색 내지 노랑색 크림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다.
실험예 1. 관능 평가 데이터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25-45세 전문 여성 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퍼짐성, 산뜻함, 발림성, 흡수력 및 마무리 오일감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 기준 중 퍼짐성은 피부에 펴 발리는 정도로서 뻑뻑하지 않고 쉽게 펴 발리는 것을 나타낸다. 산뜻함은 피부 도포 시의 가볍고 청량한 느낌을 말한다. 얇은 발림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두텁게 발리지 않고 얇게 발리는 느낌을 말한다. 흡수력은 피부에 도포 후 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낸다. 마무리 후감은 조성물이 흡수된 후 피부에 남아있는 오일감, 번들거리는 정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다섯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며 특히 퍼짐성과 산뜻함은 최근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에서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징이 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비교평가 결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이 발림성, 산뜻함, 발림성 및 흡수력이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자외선 차단 성분을 사용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마무리 후감은 동일한 평가 결과를 얻었다.
특히, 실시예 조성물의 경우 퍼짐성고 얇은 발림성이 비교예 보다 크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에탄올과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제형이기 때문에 피부 위에 쉽게 퍼지고 얇고 가벼운 느낌으로 도포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내수성 효능 평가
실시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임상기관에서 내수성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내수성 효능 평가는 Cosmetics Europe의 SPF Test Method (ISO 24444) / Guidelines for Evaluating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rev. 2005)와 엘리드 표준작업지침서(EL-P-7400)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내수성비가 50% 이상일 경우 내수성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피험자의 무도포 부위의 최소홍반량 (Minimal Erythemal Dose, MED) 측정과 판정,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홍반량 측정과 판정, 침수와 건조 2회 반복 후 내수성 무도포 부위와 내수성 시료 도포 부위의 최소홍반량 측정과 판정,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시료의 내수성 자외선 차단 효과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상기 평가방법에 의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내수성 임상 결과
Subj. No dSPF(건조 SPF) wSPF(침수 SPF) % WRR(내수성비)
P1 52.0 28.0 53.8
P2 30.3 18.2 60.0
P3 53.0 28.0 52.8
평균 45.1 24.7 55.5 %
표 2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내수성비가 50% 이상으로 물에 잘 씻기지 않는 내수성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씻김성 평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씻김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씻김성 평가는 아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피부 위에 2 μL/cm2의 양으로 도포하고 흡수시킨 후, VISIA CR-2.2 (Canfield Scientific, Inc., U.S.A)로 이미지 촬영을 하였다. 자외선차단제에 의해 도포 부위가 진하게 나타나고, 이후 약 40℃ 온도의 미온수로 30초간 도포 부위를 세정하였다. 세정 후 피부를 건조시킨 후 동일 기기로 도포됐던 부위를 다시 촬영하여 세정 전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경우 미온수 세정 후에도 도포 부위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여, 물에 의해 잘 씻기지 않는 내수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5-50 중량%의 자외선 차단제;
    5-25 중량%의 알콜; 및
    0.5-5 중량%의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호모살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및 폴리실리콘-15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절제는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소듐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폴리아크릴아마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1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또는 유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수상에 알콜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수상에 점도 조절제를 첨가하여 혼합하여 점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상에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화는 1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막형성제 또는 유화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인 방법.
PCT/KR2019/000633 2019-01-16 2019-01-16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494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633 WO2020149430A1 (ko) 2019-01-16 2019-01-16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633 WO2020149430A1 (ko) 2019-01-16 2019-01-16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30A1 true WO2020149430A1 (ko) 2020-07-23

Family

ID=7161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633 WO2020149430A1 (ko) 2019-01-16 2019-01-16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4943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231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5411A (ko) * 2014-11-10 2016-05-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중유 유화형 반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5501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저점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8773A (ko) * 2017-02-27 2018-09-05 (주)아모레퍼시픽 유해 광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 2017-09-29 2019-04-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0231A (ko) * 2011-02-07 2012-08-17 한국콜마 주식회사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5411A (ko) * 2014-11-10 2016-05-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중유 유화형 반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5501A (ko) *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저점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8773A (ko) * 2017-02-27 2018-09-05 (주)아모레퍼시픽 유해 광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8028A (ko) * 2017-09-29 2019-04-0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356B1 (ko) 방충성일광차단제
CA1341147C (en) Sunscreen compositions
AU754763B2 (en) Wet appliable sunscreen and makeup and method for testing sunscreens for efficacy
US5928632A (en) Surfactant free rinse-off skin conditioning formulation
US5945090A (en) Sunscreen preparation
CA2379419A1 (en) Sunscreen lotion or spray composition
JP2000516571A (ja) 改良された耐水性サンスクリーン昆虫忌避組成物
JP2015155474A (ja) スキンケア組成物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4073867A1 (ko) 무스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4B1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071643A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AU2020276380A1 (en) Photoprotective system consisting of 4 sunscreens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EP2070513A1 (de) Antioxidans-Kombinationen mit 6,7-disubstituierten 2,2-Dialkylchromanen oder -chromenen
KR102022229B1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2543B1 (ko) 지속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2394B1 (ko)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20149430A1 (ko) 내수성을 갖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2220B1 (ko) 내수성과 세안성을 동시에 갖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0118769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수
KR20220034071A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TWI644684B (zh) Oil-based sunscreen lotion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0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