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0347A1 -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0347A1
WO2020130347A1 PCT/KR2019/015103 KR2019015103W WO2020130347A1 WO 2020130347 A1 WO2020130347 A1 WO 2020130347A1 KR 2019015103 W KR2019015103 W KR 2019015103W WO 2020130347 A1 WO2020130347 A1 WO 20201303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mperature
roaster
gas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1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원세
Original Assignee
조원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세 filed Critical 조원세
Publication of WO20201303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03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Definitions

  •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15852 (published on February 11, 2015) of the prior art relates to a coffee roaster using a temperature sensor, roasting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of the green beans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 a technique capable of more objective roasting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egative has been disclosed.
  • roas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of a general-purpose gas type roasting machine capable of detecting roasting information and whether fire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odor around the roaster.
  • the apparatus for managing roasting information of a general-purpose gas-type roasting machine includes a device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anufacturer, a model name, and a manufacturing date of the gas-type roasting machine, and hot air temperature inside the roaster.
  • Set first phosphorus temperature information,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which is the green bean temperature inside the roaster, and measure and manage the temperature obtain output information of gas supplied to the roaster, and supply it to the roaster
  • a gas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supply amount and the supply time of the gas to be generated, and after introducing green beans into the roaster, adjusts the output of the gas to generate a heating profile that reaches the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within the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universal heating profile of the roaster using the average value for a plurality of the heating profile.
  • control unit data mining the heating profiles of a plurality of roasters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universal heating profile according to the roaster to receive the roster You can control the output of the flag.
  • the roast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of the general-purpose gas-type roasting machine is a device for managing devi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anufacturer, model name, drum capacity, drum speed, displacement, and manufacturing date of the gas-type roasting machine
  • a management unit a temperature management unit for measuring and managing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ing first temperature information, which is an internal hot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roaster, and second temperature information, which is a green bean temperature inside the roaster, and the roster
  • a ga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gas supply information for gas flow rate and gas pressure over time supplied to a machine,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roaster, and electronics connected to the roaster
  • a weight sensing unit that detects green bean information, which is the weight of the green beans input through a scale, and obtains the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the gas informa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green bea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oasters, and the heating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heating profile that is the gas supply
  • roasting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roasting information and whether a fire occurs by detecting the smell around the roaster.
  •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as roasting system.
  • the roasting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100 of the general-purpose gas-type roast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manage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and air pressure around the roaster.
  •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may detect the infrared image of the roaster to det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roaster. In this ca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may use an infrared camera installed indoors. This is to warn the risk of burns when the user operates around the roaster by managing only the internal temperature.
  •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output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fra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140.
  • the control unit 140 outputs a danger signal for the set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oast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burns or fire of the user of the roaster to a minimum.
  • control unit 140 may change the heating profile according to the smell information of the smell detection unit 170. For example, if the migration is more severe according to the odor information when heated at a specific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heating time at the corresponding heating temperature. This is to maintain a constant roasting quality by utilizing a heating profile in an active type, rather than a fixed heating profile.
  • the control unit 140 may block the gas supplied to the roaster when dangerous gas is discharged from the roaster through the smell information and output a danger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output a dangerous signal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to prevent a fire and minimize damage.
  • control unit 140 obtains heating temperature information, gas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green bea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roasters.
  •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and manages a heating profile that is gas supply information according to a heating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These heating profiles are accumulated and managed for each type of roaster.
  • the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a characteristic curve of a change in the heating temperature for each time period of the accumulated heating profile. This is to provide a property for heating to a specific temperature within a certain time.
  • the controller 140 matches and provides the heating profile. This is to set the coffee taste differently by roasting green beans with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for each time inter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a And Coffee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기기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열풍 온도인 제1 온도정보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생두 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설정하고, 온도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온도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출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시간을 관리하는 가스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에 생두를 투입 후 상기 가스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정보 이내에서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도달하는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스터기의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본 발명은 범용 가스식 로스팅들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조건에 따른 객관화된 로스팅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커피 로스터(roaster)는 커피 생두를 로스팅(roasting)하여 생두로 만드는 기기로서, 최근 가정이나 업소에 직접 커피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는 커피 로스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 로스터는 회전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서 생두를 주입한 후 주입된 생두의 로스팅이 수행된다.
이러한 커피 로스터가 커피 고유의 맛을 낼 수 있는 생두로 만들기 위해서는, 생두가 로스팅된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로스팅도에 따라 맛과 향에서 크게 차이가 발생하므로, 음용자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로스팅의 수행시 상기 로스팅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커피 로스터의 경우, 상기 로스팅도의 파악은 주로 커피 로스터 사용자의 육안에 의해 이루어져 왔고,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경험에 의존하여 왔다. 그러나, 숙련된 사용자라도 육안으로 로스팅도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로스팅도를 매번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로스팅을 원하는 만큼 수행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이와 같이 방식은 커피 맛의 일정성과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5852호(2015년 2월 11일 공개)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커피 로스터기에 관한 것으로, 온도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생두의 온도의 데이터를 기초로 로스팅부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로스팅을 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해당 로스터기에만 종속되며 드럼의 회전 및 내부의 온도만을 고려한 것으로,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나 습도에 따른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많은 사람이 함께 정보를 구축해 가며 가공 오차율을 줄여 나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스터기들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조건과 가스출력 간의 객관적인 자료를 기초로 일정한 품질의 로스팅이 가능하도록 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복수의 가열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여 본 관리장치가 설치된 로스터기 특성에 따른 최적의 가열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로스터기 주변의 냄새를 감지하여 로스팅정보 및 화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기기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열풍 온도인 제1 온도정보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생두 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설정하고, 온도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온도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출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시간을 관리하는 가스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에 생두를 투입 후 상기 가스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정보 이내에서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도달하는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스터기의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복수의 로스터기의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상기 로스터기에 따른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로스터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관리부는 상기 로스터기의 예열온도인 제3 온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두의 투입용량에 따라 상기 제3 온도정보에 도달 후 상기 제1 온도정보 이내에서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도달하는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스터기의 냄새를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화학성분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드럼용량, 드럼속도, 배기량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기기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의 시간에 따른 내부의 열풍 온도인 제1 온도정보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생두 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가열온도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온도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시간에 따른 가스유량 및 가스압력에 대한 가스공급정보를 관리하는 가스정보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관리부와, 상기 로스터기에 연결된 전자저울을 통해 투입되는 상기 생두의 무게인 생두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복수의 상기 로스터기로부터 상기 가열온도정보, 상기 가스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생두정보를 획득하고, 시간구간별 가열온도에 따른 가스공급정보인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정보관리부는 상기 로스터기와 연결된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가스유량이나 가스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시간구간별 희망온도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매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로스터기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되, 상기 희망온도와 기 설정된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가열프로파일의 상기 가스공급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따른 상기 생두의 TDS, Brix, 향미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스터기들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조건과 가스출력 간의 객관적인 자료를 기초로 일정한 품질의 로스팅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가열프로파일을 업데이트하여 로스터기 특성에 따른 최적의 가열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로스터기 주변의 냄새를 감지하여 로스팅정보 및 화재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가스식 로스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의 가열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 가열프로파일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서 가열프로파일을 재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가스식 로스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식 로스팅 시스템은 로스터기(10), 사용자 단말(20), 관리서버(30) 및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를 포함한다. 로스터기(10)는 가스식으로 가열되어 생두를 로스팅한다. 로스터기(10)는 드럼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생두를 로스팅한다. 이 경우, 로스터기(10) 내부와 외부에는 각각 온도센서가 형성된다. 온도센서는 내부의 열풍온도와 외부의 기온을 감지한다. 이는 생두를 로스팅하는 주변 온도조건을 보다 세분화하여 로스터기(10)의 가열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로스터기(10)는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생두를 로스팅하는 주변 습도조건을 보다 세분화하여 로스터기(10)의 가열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단말(20)은 로스터기(10) 또는 관리서버(30)와 통신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 단말 형태로 형성되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은 원격에서 로스터기(10)의 온도정보, 습도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로스터기(1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원격에서 로스터기(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은 로스터기(10)로부터 획득한 온도정보, 습도정보, 가열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20)은 관리서버(30)로부터 다양한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두별, 로스터기(10)별 로스팅 빅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생두 및 로스터기(10)의 세부 조건별로 최적화된 로스팅 정보를 이용하여 로스팅할 수 있다.
관리서버(30)는 로스터기(10) 또는 사용자 단말(20)과 통신하여 각종 로스팅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관리서버(30)는 로스터기(10)의 종류별, 생두의 종류별로 로스팅하는 온도정보, 습도정보, 가열정보 및 그에 따른 생두특성정보 등을 획득한다. 관리서버(30)는 같은 로스터기(1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로스팅정보를 획득하여 평균적인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서버(30)는 같은 생두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로스팅정보를 획득하여 평균적인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로스터기(10)에 대한 온도정보, 가스정보 등을 관리한다.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로스터기(10)에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로스터기(10) 내부 및 외부의 온도정보를 관리하고, 로스터기(10)로 공급되는 가스정보를 관리한다. 이러한 온도정보, 가스정보는 누적하여 관리되고, 해당 로스터기(10)의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로스터기(10)의 가열특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생두별 로스팅정보를 관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로스터기(10)에 대한 온도별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맞춤형 로스팅이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의 가열프로파일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기기관리부(110), 온도관리부(120), 가스관리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기기관리부(110)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드럼용량, 드럼속도, 배기량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한다. 이는 로스터기의 종류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기기관리부(110)는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드럼용량, 드럼속도, 배기량 및 제조일자를 포함하는 큐알코드와 같은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관리부(110)는 사용자의 아이디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온도관리부(120)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내부 열풍온도인 제1 온도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제1 온도정보는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열풍온도의 상한온도를 의미한다. 이는 가스식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열풍온도를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열풍온도는 가스식 로스터기의 출력에 따라 증감하게 된다. 온도관리부(120)는 생두의 종류나 로스팅정보에 따라 제1 온도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온도관리부(120)는 로스터기의 드럼 내 수용되는 생두의 가열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생두의 가열온도는 접촉식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생두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한다. 제2 온도정보는 생두를 가열하기 위한 목표온도이다. 온도관리부(120)는 열풍온도에 따라 생두의 온도를 감지한다. 온도관리부는 제1 온도정보와 함께 제2 온도정보의 변화를 감지하여 관리한다.
또한, 온도관리부(120)는 로스터기 예열 온도인 제3 온도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온도관리부(120)는 초기에 로스터기 내부를 예열시키기 위한 온도로 설정되어 관리된다. 온도관리부(120)는 로스터기의 드럼 내부에 생두가 투입되기 전에 예열하기 위해 제3 온도정보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온도관리부(120)는 생두가 투입된 이후에는 제3 온도정보에서 제2 온도정보로 이르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가스관리부(130)는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출력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가스관리부(130)는 가스배관과 연결되어 유량을 확인하여 가스공급량을 파악할 수 있다. 가스관리부(130)는 가스의 공급량이 크면 가열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가스의 공급량이 작으면 가열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관리부(130)는 가스공급량을 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 가스의 출력정보는 가스공급량, 공급시간 등을 포함한다. 가스의 출력정보는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가스관리부(130)는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스관리부(130)는 전자식 밸브를 이용하여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출력을 조절한다. 가스관리부(130)는 가스를 차단하거나 공급량, 유압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스관리부(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생두의 가열조건에 따라 가스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가스관리부(130)는 화재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가스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어부(140)에 의해 로스터기 자체 또는 주변의 온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가스를 차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온도정보 및 제2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로스터기의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가열프로파일은 생두의 가공조건에 따른 가열온도, 가열시간, 가스출력 등을 포함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해당 로스터기에 대한 가공조건을 데이터를 누적하여 가열프로파일일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가열프로파일을 생두의 종류, 가공일자, 가공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가열프로파일을 누적하여 평균적인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3 온도정보에 따라 예열온도의 도달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로스터기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정보에 도달하면 로스터기 내부로 생두를 투입하도록 한다. 이는 로스터기 내부의 온도가 제3 온도정보에서 생두를 투입하여 제2 온도정보로 이르도록 가스공급량을 조절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로스터기 내부의 최대 열풍온도는 제1 온도정보 이내가 되도록 제한한다. 이는 생두가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가스출력에 따른 최대도달온도별 도달시간을 관리한다. 다시 말해, 가스출력의 세기에 따라 도달할 수 있는 최대도달온도를 설정하고, 해당 최대도달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관리한다. 이러한 최대도달온도는 생두별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온도이다. 또한, 최대도달온도는 구간별로 여러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구간별 최대도달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관리하여 생두의 풍미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가스출력에 따른 최대도달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제1 최대도달온도까지 소요되는 가스출력세기 및 시간, 제1 최대도달온도에서 제2 최대도달온도까지 소요되는 가스출력세기 및 시간, 제2 최대도달온도에서 제3 최대도달온도까지 소요되는 가스출력세기 및 시간을 각각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프로파일은 생두의 종류, 용량,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각각 생성하여 관리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로스터기의 내부를 초기온도에서 최대도달온도까지 가열시킨 후 초기온도로 하강하기까지의 시간을 관리한다. 이 후, 다시 초기온도에서 최대도달온도까지 가열시킨 후 초기온도로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오차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가스출력을 1단계로 하여 제1 최대도달온도까지 소요시간을 파악하고, 다시 초기온도로 세팅하고 가스출력을 2단계로 하여 초기온도에서 제2 최대도달온도까지의 소요시간을 관리하면서 가열프로파일을 수집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가열프로파일은 생두 및 주변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로스터기에 대한 가열프로파일이 설정되면 이후에 사용자는 생두의 종류에 따라 구간별 최대도달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 머무는 시간을 조절하면서 생두의 풍미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서, 로스터기 내부의 예열온도인 제3 온도정보(T3)는 가스출력 P1에서 설정된다. 이후 생두를 투입한 시기(t1)로부터 가스출력을 P1에서 P2로 증가시켜 내부 온도가 일정부분 떨어지다가 증가하여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가스출력에 따라 로스터기 내부 온도는 최대 열풍온도인 제1 온도정보(T1)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된다. 이후 t2에서 가스출력을 낮춰서 다시 P2에서 P1으로 낮추면서 제2 온도정보(T2)로 수렴하도록 한다. 이 경우, P2에서 P1은 단계적으로 출력을 낮추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가스출력을 조절하여 최대온도구간에 도달하는 시간을 조절하거나, 최대온도구간에서의 지속시간을 조절하여 서로 다른 가열프로파일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변수에 능동적으로 가열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일정한 품질의 로스팅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가열프로파일별 로스팅된 생두의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로스팅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가열온도의 특성에 따라 브릭스(Brix), 산성도(pH), TDS(Total Dissolved Solids) 및 고유향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데이터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로스팅된 생두의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칼륨, 탄수화물, 식이섬유, 당류, 단백질, 카페인, 칼슘, 철분, 마그네슘과 같은 성분의 변화를 온도와 시간조건에 따라 분석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가열온도를 건조단계(110℃), 메일라드(maillard) 단계(140℃), 카라멜화 단계(160℃, 180℃, 200℃), 카보나이즈화 단계(220℃)의 구간별로 각 특성에 따른 수분 제로점, 섬유질 감소율, 당 변화, 향미손실률, 카보나이즈화 측정, 성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건조부터 탄화시작까지 구간에 따른 성분변화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가열온도 조건에 따라 생두의 구성영양소에 대한 성분변화를 통해 구현 가능한 맛을 미리 예측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한다. 통신부(150)는 로스팅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며, 로스팅정보를 실시간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통신부(150)는 관리서버로부터 외부의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범용가열프로파일은 복수의 로스터기로부터 수집되어 데이터 마이닝된 가열프로파일을 의미한다. 이는 생두의 종류별, 가열환경별로 수집되어 관리되는 일종의 빅데이터이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로부터 로스터기의 모델별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제공받아 해당 로스터기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A로스터기에서 a생두를 170℃에서 2분, 200℃에서 3분간 가열하여 로스팅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로스팅정보에 대응하는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로스팅정보에 따른 가스출력을 제1 단계에서 제2 단계로 제2 단계에서 제3 단계로 가변시키는 평균적인 범용가열프로파일을 통해 일정한 수준의 로스팅 품질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통해 해당 로스터기의 날짜별 로스팅이력을 관리서버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로스팅정보와 함께 로스터기의 정보가 암호화되어 서버로 업로드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서버에서는 해당 로스터기의 로스팅이력을 이용하여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에서는 해당 로스터기에 최적화된 가열프로파일을 추천하고, 이를 통신부(1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가열프로파일 중 추천도가 높은 가열프로파일을 선정하고, 해당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한 로스터기의 사용자 단말 계정으로 보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가열프로파일이 사용된 이력에 따라 수수료가 지급되어 수수료 중 일부를 보상하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 가열프로파일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열프로파일(400)은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는 같은 로스터기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거나, 관리서버에서 생성한 범용가열프로파일일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자신이 사용하는 로스터기와 관련한 가열프로파일(400) 정보를 푸쉬알람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가열프로파일(400)은 다운로드 받아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 업데이트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가열프로파일(400)을 관리서버에 업로드시키거나, 타인이 생성한 가열프로파일(400)을 관리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자신의 가열프로파일(400)이 타인에 의해 사용되는 횟수에 따라 포인트와 같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환경정보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한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로스터기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감지하여 로스터기의 표면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정보관리부(160)는 실내에 설치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인 로스터기는 내부 온도만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로스터기 주변에서 작업시 화상의 위험을 경고하기 위함이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적외선 영상으로 감지된 온도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제어부(140)는 로스터기 외부 표면의 온도가 설정치를 위험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로스터기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나 화재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로스터기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습도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업데이트한다. 이는 습도정보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생두의 가열시간을 연장시키면서 로스팅을 하고,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생두에 대한 가열시간을 단축시켜 로스팅할 수 있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제1 습도정보를 획득하고, 실내에 감지된 제2 습도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경정보관리부(160)는 습도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습도정보를 이용하여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한다. 이는 습도 정도에 따라 가열시간을 가변시키면서 생두 로스팅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상정보에 따른 제1 습도정보와 실내에 감지된 제2 습도정보를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1 습도정보를 기준으로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하고,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습도정보를 기준으로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생두의 대기 노출시간에 따라 최적의 가열프로파일을 설정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냄새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냄새감지부(170)는 로스터기 주변의 냄새를 감지한다. 냄새감지부(170)는 전자코(Electronic nose)를 이용하여 로스터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구분하고 화학적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냄새감지부(170)는 화학성분을 패턴인식을 통해 구분하여 생두의 로스팅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구분하여 로스팅 단계를 판별할 수 있다. 냄새정보는 실제 로스터기 내부에서 생두의 가열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냄새감지부(170)는 로스터기 내부 또는 외부에 가스누출이나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냄새감지부(170)의 냄새정보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온도에서 가열시 냄새정보에 따라 마이그레이션이 더욱 심화되는 경우 해당 가열온도에서의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고정화된 가열프로파일이 아닌 능동형으로 가열프로파일을 활용하여 로스팅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냄새정보를 통해 로스터기로부터 위험가스가 배출시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고, 위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 등으로 위험신호를 출력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100)는 무게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부(180)는 로스터기의 드럼 내 수용되는 생두의 질량을 감지한다. 무게감지부(180)는 초기에 수용된 생두의 무게정보와, 가열 과정에서 가변되는 생두의 무게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는 생두의 질량에 따라 온도상승을 위한 가열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무게감지부(180)는 무게정보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무게감지부(180)는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생두의 무게를 측정하여 로스터기의 투입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로스터기의 투입량에 따른 온도변화에 대한 가열프로파일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무게정보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초기에 생두가 1kg인 경우, 500g인 경우 등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이 변경된다. 또한, 로스팅 과정 중 1단계 온도구간에서 생두가 1kg이고, 2단계 온도구간에서 생두가 980g인 경우 가열온도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생두의 무게정보 변화는 생두 내 포함된 수분이나 밀도가 로스팅과정 중에 변경되기 때문이다. 제어부(140)는 냄새정보와 무게정보를 이용하여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냄새정보를 통해 마이그레이션 상황을 판단하고, 무게정보를 통해 생두의 밀도를 재계산하여 로스팅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두의 질량에 따라 가열프로파일을 능동적으로 가변시켜 로스팅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복수의 로스터기로부터 가열온도정보, 가스정보, 환경정보 및 생두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140)는 시간구간별 가열온도에 따른 가스공급정보인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가열프로파일은 동종의 로스터기 별로 누적되어 관리된다. 제어부(140)는 누적된 가열프로파일을 시간구간별 가열온도의 변화 특성곡선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일정 시간 안에 특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사용자로부터 시간구간별 희망온도가 설정된 경우, 가열프로파일을 매칭하여 제공한다. 이는 생두를 로스팅하면서 시간 구간별로 가열온도를 다르게 하여 커피맛을 다르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가열프로파일에 따라 로스터기에 가스를 공급하되, 희망온도와 기 설정된 오차가 발생한 경우, 가열프로파일의 가스공급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이는 가열프로파일에 따라 가스를 로스터기에 공급하였음에도 가열온도가 희망온도에 미치지 못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이를 수정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40)는 가열프로파일에 따른 가스공급시 로스터기 내의 생두온도를 비교하여 가열프로파일의 수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로스팅이 반복시 가열프로파일을 수정하여 최적의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가열프로파일에 따른 생두의 TDS, Brix, 향미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열프로파일에 따라 로스팅된 생두의 TDS, Brix, 향미에 대한 평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40)는 TDS, Brix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고, 향미를 분석하는 전자코가 탑재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치 데이터로 평가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가열프로파일에 대한 단순한 가스공급정보 외에 해당 가열프로파일로 로스팅된 생두의 평가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가열프로파일을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1차적으로 복수의 로스터기로부터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여 기 설정된 누적량까지는 평균값을 1차 가열프로파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후, 비슷한 특성곡선을 가지는 그룹 간에 그룹핑하여 2차 가열프로파일을 관리하게 된다. 이후, 가열프로파일이 수정되는 경우 3차 가열프로파일로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희망 온도를 설정하면, 1차 가열프로파일, 2차 가열프로파일, 3차 가열프로파일 순으로 선택하여 제안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에서 가열프로파일을 재조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는 사용자가 생두 로스팅을 위한 시간구간별로 가열온도를 설정하면, 시간구간별로 가열온도 특성곡선을 포함하는 가열프로파일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3개의 가열프로파일에 해당 특성곡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이를 재조합하여 신규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제1 시간구간에서는 3번 가열프로파일을 이용하고, 제2 시간구간에서는 2번 가열프로파일을 이용하고, 제3 시간구간에서는 1번 가열프로파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조합된 가열프로파일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최적의 가열온도 조건으로 가스공급정보를 조절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로스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0)

  1.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기기관리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열풍 온도인 제1 온도정보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생두 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설정하고, 온도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온도관리부;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가스의 출력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로스터기로 공급되는 상기 가스의 공급량 및 공급시간을 관리하는 가스관리부; 및
    상기 로스터기 내부에 생두를 투입 후 상기 가스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온도정보 이내에서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도달하는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대한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로스터기의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복수의 로스터기의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데이터 마이닝하여, 상기 로스터기에 따른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로스터기의 출력을 제어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 습도, 기압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정보에 따른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관리부는,
    상기 로스터기의 예열온도인 제3 온도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두의 투입용량에 따라 상기 제3 온도정보에 도달 후 상기 제1 온도정보 이내에서 상기 제2 온도정보에 도달하는 상기 범용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냄새를 감지하는 냄새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스터기의 냄새를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화학성분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재설정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6. 가스식 로스터기의 제조사, 모델명, 드럼용량, 드럼속도, 배기량 및 제조일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기정보를 관리하는 기기관리부;
    상기 로스터기의 시간에 따른 내부의 열풍 온도인 제1 온도정보와, 상기 로스터기 내부의 생두 온도인 제2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가열온도정보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온도관리부;
    상기 로스터기에 공급되는 시간에 따른 가스유량 및 가스압력에 대한 가스공급정보를 관리하는 가스정보관리부; 및
    상기 로스터기 주변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관리하는 환경정보관리부;
    상기 로스터기에 연결된 전자저울을 통해 투입되는 상기 생두의 무게인 생두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 및
    복수의 상기 로스터기로부터 상기 가열온도정보, 상기 가스정보, 상기 환경정보 및 상기 생두정보를 획득하고, 시간구간별 가열온도에 따른 가스공급정보인 가열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정보관리부는,
    상기 로스터기와 연결된 전자밸브를 통해 상기 가스유량이나 가스압력을 조절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시간구간별 희망온도가 설정된 경우, 상기 가열프로파일을 매칭하여 제공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로스터기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되, 상기 희망온도와 기 설정된 오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가열프로파일의 상기 가스공급정보를 수정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프로파일에 따른 상기 생두의 TDS, Brix, 향미에 대한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PCT/KR2019/015103 2018-12-20 2019-11-07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WO202013034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100A KR102204213B1 (ko) 2018-12-20 2018-12-20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KR10-2018-0166100 2018-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347A1 true WO2020130347A1 (ko) 2020-06-25

Family

ID=7110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103 WO2020130347A1 (ko) 2018-12-20 2019-11-07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4213B1 (ko)
WO (1) WO202013034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953A (zh) * 2021-02-17 2021-05-11 湖北东方红粮食机械股份有限公司 智能型卧式自动炒籽机及炒制方法
WO2022023328A1 (en) * 2020-07-28 2022-02-0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WO2022253488A1 (en) * 2021-05-31 2022-12-0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8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KR20150015850A (ko) * 2013-08-01 2015-02-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냄새센서를 이용한 커피 로스터
KR20160106228A (ko) * 2015-03-02 2016-09-12 김강희 Network 연결형 커피원두 로스팅(Roasting) 장치
WO2018021081A1 (ja)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豆の情報提供方法、および生豆の情報を取得する端末装置
KR20180086200A (ko) * 2015-12-11 2018-07-30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8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KR20150015850A (ko) * 2013-08-01 2015-02-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냄새센서를 이용한 커피 로스터
KR20160106228A (ko) * 2015-03-02 2016-09-12 김강희 Network 연결형 커피원두 로스팅(Roasting) 장치
KR20180086200A (ko) * 2015-12-11 2018-07-30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커피 콩을 로스팅하는 방법
WO2018021081A1 (ja) * 2016-07-29 2018-0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豆の情報提供方法、および生豆の情報を取得する端末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3328A1 (en) * 2020-07-28 2022-02-0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CN112772953A (zh) * 2021-02-17 2021-05-11 湖北东方红粮食机械股份有限公司 智能型卧式自动炒籽机及炒制方法
WO2022253488A1 (en) * 2021-05-31 2022-12-08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pparatus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11A (ko) 2020-06-30
KR102204213B1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30347A1 (ko) 범용 가스식 로스팅기의 로스팅정보 관리장치
EP08629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ime/temperature profile inside a reflow oven
CN107468048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A2302766C (en) Diagnostic system for monitoring cooking profiles
CN104776882A (zh) 用于监测炊具的安全使用的方法和设备
CN106292566A (zh) 智慧浴室系统及浴室镜
CN104473652B (zh) 一种采浆系统
WO2021040095A1 (ko) 카메라를 구비한 조리기기
WO2019146898A1 (ko) 맞춤형 커피정보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US10278406B2 (en) Method for producing roasted coffee beans in relation to carbon monoxide generated
US20200245809A1 (en) Method for Detecting an Overload of a Cooking Apparatus with Cooking Products, and Cooking Apparatus
KR20160106228A (ko) Network 연결형 커피원두 로스팅(Roasting) 장치
MX2021005978A (es) Metodo para tostar granos de cafe.
WO2022200006A1 (en)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098506A1 (ko) 마이크로파 가열을 이용한 커피생두 로스팅 방법
US20050086826A1 (en) Tunnel finisher with infrared feedback temperature control
DE10201220029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einer Zugehörigkeit eines Temperatursensors zu einer Kochzone
US20210207811A1 (en) Method for preparing a cooking product, cooking device, and cooking device system
WO2002014967A3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automatisierten produktionsprozesses
WO2024025196A1 (ko) 능동적으로 조리 조건을 조절하는 프라잉 로봇 제어 시스템
ITUB20156318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di tostatura
KR102476673B1 (ko) 산업용 온도제어장치 내 장입량 추정 시스템 및 그 추정 방법
CN114895723B (zh) 一种智能控制系统
US20240023560A1 (en) Baumkuchen baking system, baumkuchen baking assist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umkuchen
CN113341867B (zh) 一种基于plc的全自动绿茶炒干集散控制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0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004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