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5064A1 -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5064A1
WO2020055064A1 PCT/KR2019/011643 KR2019011643W WO2020055064A1 WO 2020055064 A1 WO2020055064 A1 WO 2020055064A1 KR 2019011643 W KR2019011643 W KR 2019011643W WO 2020055064 A1 WO2020055064 A1 WO 202005506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ring
shaft
outsole
sole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16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CN201980023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040805A/zh
Priority to US17/275,953 priority patent/US11528962B2/en
Priority to EP19859102.6A priority patent/EP3850979A4/en
Publication of WO202005506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50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shoe using a spring capable of buffering an impact or a load through a spring in which a spring is installed on the rear axle.
  • shoes protect a person's feet and serve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foot by acting as a shock absorber for a certain impact.
  • a coil spring is arranged as an elastic body between the outsole and the upper sole,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coil spring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il spring, and a supporting member for holding the fixing body are provided.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n for holding the coil spring through the support member and the fixed body.
  • Such a conventional shock absorbing shoe absorbs shock on the shock received when the wearer walks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 the conventional shock absorb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when a constant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oil spring and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severe shock due to contact between the coil springs is transmitted and damaged or damaged.
  • the buffer sho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number of components are combined, and thus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are complicated, and a lot of manual work is required, thereby decreasing productivity.
  •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shoes for the elderly and the lik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weight increases due to many component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ise and durability decrease due to various parts.
  • the prior art also has a problem of lacking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uffering the impact or load through the spring installed on the rear axle of the outsole, but it is made through a simplified configuration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generate weight and noise.
  • the aim is to provide a cushioning shoe using a spring that can be minimize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ing shoe using a spring that can prevent warping of the spring by guiding the lifting of the upper sole on which the spring is installed.
  • a buffer shoe using a spring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pring to cushion the shock by providing elastic force;
  • the outsole forming the sole of the shoe; While being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to form a space in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outsole to provid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spring, the upper sole descending by a load or ri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 a lower spring seat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spring;
  • An upper spring shee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ole to support an upper end of the spring;
  • an elevating guider that guides the elevating of the upper sole in a straight line.
  • the elevating guider a guide shaft protruding from the lower spring sheet in the same body and coaxial with the spring;
  • a shaft holder formed in the form of a hole in the upper spring sheet to fit and engage the guide shaft, and guide the lifting of the upper sole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haft;
  • i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has a larger outer diameter than the shaft holder,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be stretchable by an external force is fitted to the shaft holder and coupled to the shaft is caught in a separate state prevented; may include.
  • the shaft engaging portion extending while forming the same bod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the upper end portion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n open state to be split by an external force or restored by an elastic force; And a split hook formed in a hatch shape at an upper end of the split shaft and fitted to the shaft holder by the closing of the split shaft, and being caught by the shaft holder while being opened by restoration of the split shaft.
  • the split shaft may be divided into four while forming a radial shape on the top of the guide shaft.
  • the buffer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adjuster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ower spring sheet and the upper spring sheet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 the elastic adjuster is screwed to the lower spring seat or the upper spring seat to face the end of the spring, and compresses the spring through forward rotation or relaxes the spring through reverse rotation. ; May include.
  • the cushioning shoe using the spring, the spring installed on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outsole is installed through a simplified configuration mediated by the elevating guider and the spring seat, so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and the weight of the shoe In addition to this reduction, noise generation due to parts may be reduced.
  • the cushioning shoes using the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guide guide guides the lifting of the upper sole in a straight state while connecting the outsole and the upper sole,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is also made in a straight state, so that the spring and upper The distortion of the brush can be prevented.
  • shock absorber shoes using a spring can be easily assembled in a one-touch manner to the shaft holder as the shaft engaging parts constituting the elevating guide are composed of a split shaft and a split hook. After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 the cushioning shoe using the sp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adjust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sole.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uffer shoe using the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gui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ft engaging portion shown in FIG. 3.
  •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ft engag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adju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uffer shoe using the sp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guider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adjuste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ring 100, the outsole 200, the upper sole 300, the lower spring seat 400, and the upper spring sea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500 and the lifting guider (600).
  • the spring 10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cushion a user's load or shock.
  • the spring 100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as shown, and can be cushioned while being compressed by a load or an impact.
  • the spring 100 may be composed of a coil spring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or may be composed of a coil spring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 the outsole 200 forms a sole of a shoe, and the bottom surface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 the bottom surface has an elastic elastomer or PU (polyurethane), rubber material to prevent shock and slip when contacting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material.
  • outsole 200 as well as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tself as described above for elasticity and anti-slip,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of a plurality of projections or irregularities on the bottom surface for elasticity and anti-slip as described above It can have more improved functionality.
  • the upper sole 300 is a component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spring 100 together with the outsole 200.
  • the upper sole 3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sole while providing a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pring 100 by forming a space in the rear axle portion of the outsole 200, and descends toward the outsole 200 due to load or impact.
  •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00 may be rais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outsole 200.
  • the upper sole 300 may be firmly attached by the outsole 200 and bonding, and an insole of a sho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 the lower spring seat 400 is a component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00, and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200, as shown in FIG.
  • the lower spring sheet 40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groove shap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pring 100 can be seated.
  • the lower spring sheet 400 may be molded while forming the same body as the outsole 200, and may be secur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sole 200 through a fixing member such as bonding while being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outsole 200.
  • the upper spring sheet 500 is a component that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00 an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ole 300 as shown in FIG. 3.
  • the upper spring sheet 500 may be formed in an annular groove shap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00 is in close contact.
  • the upper spring sheet 500 may be molded while forming the same body as the upper sole 300, and is separately configured from the upper sole 300 and is firm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ole 300 through a fixing member such as bonding. You can.
  • the spring 100 is installed in an interposed state between the upper sole 300 and the outsole 200 by being seated on the upper spring seat 500 and the lower spring seat 400, respectively.
  • shock absorbers are also provided.
  • the lifting guider 600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e warping of the spring 100 by connecting the outsole 200 and the upper sole 300 while guiding the lifting of the upper sole 300 in a straight line.
  • the hoist guider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shaft 610, a shaft holder 620 and a shaft engaging portion 630 as shown in FIG.
  • the guide shaft 61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ame manner as the lower spring sheet 610 and forms a coaxial shape with the spring 100, while being fitted to the shaft holder 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ole 300 together with the shaft holder 620. It is a component that guides the ascent.
  • the shaft holder 62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guide shaft 610 is fitted, and is formed while forming a hole in the upper spring sheet 500 of the upper sole 400 and the guide shaft 610 may be fitted and coupled.
  • the shaft holder 620 linearly lifts and lowers the upper sole 300 while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haft 610 when the upper sole 400 descends due to a load or rises by a spring 100. You can guide.
  • the shaft holder 620 is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guide shaft 610,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610 from protruding into the insole.
  • the shaft engaging portion 630 is a component that prevents the guide shaft 610 from being randomly separated from the shaft holder 620 while one-touch coupling the guide shaft 610 to the shaft holder 620.
  • the shaft engaging portion 610 may b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haft holder 620, and thus the outer diameter may be formed to be stretchable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by an external force and coupled to the shaft holder 620. After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again,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aft holder 620.
  • the shaft engaging portion 630 may include, for example, a split shaft 631 and a split hook 632.
  • the split shaft 631 is a component that is restored by being stretched by an external force or expanded by an elastic force, and is dividedly formed in an open state of the upper end, and may be extended upward while forming the same bod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610.
  • the split shaft 631 may be clo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the upper end is divided and formed, and may be open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 the split shaft 631 may be radially formed while being divided into fou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610 as shown in FIG. 4.
  • the outer diameter can be smoothly reduced by being retracted toward the center.
  • the split hook 632 is a component that is hung in the prevented state of separation to the shaft holder 620.
  • the split hook 632 may be formed in a hat-shaped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split shaft 631, and is fitted to the shaft holder 620 while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by the closing of the split shaft 631. As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by the opening of the shaft 632, separation from the shaft holder 620 may be prevented.
  • the split hook 632 is a shaft holder 620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sole 300 downward while facing the shaft holder 620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upper sole 300 and the outsole 200 )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haft holder 620 in a one-touch manner as the outer diameter is narrowed, and after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aft holder 620 arbitrarily.
  • the cushioning shoes using the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implified configuration of the guide shaft 610, the shaft holder 620 and the shaft engaging portion 630 constituting the lifting guider 600, the outsole 200 and the upper sole The 300 may be combined in a prevented state.
  • the aforementioned dividing shaft 631 may be divided into two as illustrated in FIG. 5.
  • the two dividing shafts 631 may be enlarged or expanded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such that the outer diameter may be reduced or expanded.
  • the buffer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adjuster 700, as shown in FIG.
  • the elastic adjuster 700 is a component that adjusts the elastic force while compressing or relaxing the spring 100.
  • the elastic adjuster 700 may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00 while compressing or relaxing the spring 100 by pressing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spring 100.
  • the elastic adjuster 700 may include a seat cap 710 as shown in FIG. 6.
  • the seat cap 710 may be screwed to the above-described lower spring seat 400 or upper spring seat 500 to face the end of the spring 100 while covering the seat.
  • the seat cap 710 may compress the spring 100 while moving toward the spring 100 through one-way rotation or relax the spring 100 while moving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100 through rota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 the distance between the outsole 200 and the upper sole 300 is narrowed, there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rear axle of the shoe, and when the spring 100 is relaxed, the outsole 200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height of the rear axle of the shoe increases by exten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ole 300 and the upper sole.
  • the seat cap 7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tool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can be easily rotated through the tool.
  • a stopp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not to be separated.
  • the seat cap 710 may be formed with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any rotation, and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pring sheet 400 or the upper spring sheet 500 By being formed in plu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t cap 710 from rotating arbitrarily after rotating stepwise only at a set angle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of the locking grooves.
  • the elevating guider 600 connects the outsole 200 and the upper sole 300 while guiding the lifting of the upper sole 300 in a straight state Since the compression of the spring 100 is also made in a straight line, the spring 100 and the upper sole 300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and in particular, the shaft engaging portion 630 constituting the elevating guider 600 is divided shaft.
  • the guide shaft 61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shaft holder 620 in a one-touch manner as it is composed of 631 and the split hook 632, and after assembly,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에 관한 것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 신발의 밑창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뒷축 부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하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어퍼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시트; 상기 어퍼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 및 상기 어퍼솔의 승강을 직선으로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본 발명은 완충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이 뒷축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통해 충격이나 하중을 완충할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고 일정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역할을 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더욱 원활한게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스프링을 이용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신발들이 출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656호에 제시된 충격흡수신발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아웃솔과 어퍼솔의 사이에 탄성체로서 코일스프링이 배열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코일스프링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고정체를 관통하여 코일스프링을 잡아주기 위한 연결핀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보행 시 받는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부는 일정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코일스프링에 가해져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 간의 접촉으로 인한 심한 충격이 전해져 파손 및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완충신발은 여러 개의 구성품들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성품의 개수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수작업이 많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많은 구성품으로 인하여 무게가 증가하므로 특히 노약자 등을 위한 신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두께 측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656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아웃솔의 뒷축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통해 충격이나 하중을 완충하되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중량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이 설치된 어퍼솔의 승강을 직선상태로 가이드함으로써 스프링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어퍼솔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부재를 용이하게 원터치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후에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완충력의 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 신발의 밑창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뒷축 부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하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어퍼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시트; 상기 어퍼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 및 상기 어퍼솔의 승강을 직선으로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하부스프링시트에 동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과 동축을 이루는 가이드축; 상기 상부스프링시트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어퍼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축홀더;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홀더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외경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분리방지된 상태로 걸리는 축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걸림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오므라지거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분할 축; 및 상기 분할 축의 상단부에 각각 삿갓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 축의 오므라짐에 의해 상기 축홀더에 끼워지고, 상기 분할 축의 복원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축홀더에 걸리는 분할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축은, 상기 가이드 축의 상부에 방사상을 이루면서 4개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완충신발은 상기 하부스프링시트 및 상기 상부스프링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 어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 어저스터는, 상기 하부스프링시트 또는 상기 상부스프링시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대면하며, 정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역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이완시키는 시트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아웃솔의 뒷축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이 승강가이더와 스프링 시트를 매개로 한 간소화된 구성을 통해 설치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신발의 중량이 감소됨과 아울러 부품으로 인한 소음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승강가이더가 아웃솔과 어퍼솔을 연결하면서 어퍼솔의 승강을 직선상태로 가이드함에 따라 스프링의 압축 또한 직선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스프링 및 어퍼솔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승강가이더를 구성하는 축걸림부가 분할 축 및 분할후크로 구성됨에 따라 축홀더에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조립된 후에는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탄성 어저스터의 구성을 통해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어퍼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가이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축걸림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축걸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어저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가이더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 어저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 아웃솔(200), 어퍼솔(300), 하부스프링시트(400), 상부스프링시트(500) 및 승강가이더(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00)은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프링(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압축되면서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00)은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솔(200)은 신발의 밑창을 이루면서 바닥면이 지면에 맞닿는 부분으로 바닥면에는 충격 흡수와 지면과의 접촉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PU(폴리우레탄), 고무재질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웃솔(200)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 자체가 갖는 특성은 물론,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로 이루어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어퍼솔(300)은 아웃솔(200)과 함께 스프링(1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어퍼솔(300)은 아웃솔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아웃솔(200)의 뒷축 부분에 이격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스프링(1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아웃솔(200) 쪽으로 하강하거나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아웃솔(200)과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어퍼솔(300)은 아웃솔(200)과 본딩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면에는 신발의 깔창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스프링시트(400)는 스프링(1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2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스프링시트(400)는 스프링(10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스프링시트(400)는 아웃솔(200)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성형될 수 있으며, 아웃솔(200)과 분리구성되면서 아웃솔(200)의 상면에 본딩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스프링시트(500)는 스프링(10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솔(30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스프링시트(500)는 스프링(100)의 상단부가 밀착될 수 있도록 환형의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스프링시트(500)는 어퍼솔(300)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성형될 수 있으며, 어퍼솔(300)과 분리구성되면서 어퍼솔(300)의 저면에 본딩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스프링(100)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상부스프링시트(500) 및 하부스프링시트(400)에 안착됨으로써 어퍼솔(300)과 아웃솔(200)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상기 승강가이더(600)는 아웃솔(200)과 어퍼솔(300)을 연결하면서 어포솔(300)의 승강을 직선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스프링(10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승강가이더(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610), 축홀더(620) 및 축걸림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610)은 하부스프링시트(610)와 동일체로 돌출 형성되면서 스프링(100)과 동축을 이루며, 후술되는 축홀더(620)에 끼워지면서 축홀더(620)와 함께 어퍼솔(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축홀더(620)는 가이드축(610)이 끼움 결합되는 구성요소로, 어퍼솔(400)의 상부스프링시트(500)에 구멍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가이드축(61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축홀더(620)는 어퍼솔(400)이 하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스프링(100)에 의해 상승할 경우 가이드축(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퍼솔(300)의 승강을 직선성태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축홀더(620)는 가이드축(610)에 대응하는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축(610)의 상단부가 깔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걸림부(630)는 가이드축(610)을 축홀더(62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시키면서 가이드축(610)이 축홀더(62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축걸림부(610)는 축홀더(620)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면서 외력에 의해 외경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해 외경이 축소하면서 축홀더(620)에 결합된 후 다시 외경이 확장됨으로써 축홀더(62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축걸림부(630)는 예컨대 분할 축(631) 및 분할후크(6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 축(631)은 외력에 의해 오므라지거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복원되는 구성요소로,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어 가이드축(610)의 상부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분할 축(631)은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외력이 가해질 경우 오므라질 수 있으며, 외력이 해제될 경우 벌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할 축(6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축(610)의 상부에 4개로 분할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 축(631)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가운데 중심을 향해 오므라짐으로써 외경이 원활하게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분할후크(632)는 축홀더(620)에 분리방지된 상태로 걸리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분할후크(632)는 분할 축(631)의 상단부에 각각 삿갓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할 축(631)의 오므라짐에 의해 외경이 축소되면서 축홀더(620)에 끼워지고, 분할 축(632)의 벌어짐에 의해 외경이 확장되면서 축홀더(620)에서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후크(632)는 어퍼솔(300)과 아웃솔(200)의 조립과정에서 축홀더(620)에 대면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어퍼솔(300)을 하방으로 가압할 경우 축홀더(620)에 의해 외경이 좁아지면서 축홀더(620)에 용이하게 원터치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후에는 다시 외경이 확장되면서 축홀더(62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은 승강가이더(600)를 구성하는 가이드축(610), 축홀더(620) 및 축걸림부(630)의 간소화된 구성만으로 아웃솔(200)과 어퍼솔(300)이 분리방지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분할 축(6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분할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의 분할 축(631)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면서 외경이 축소 또는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완충신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어저스터(70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어저스터(700)는 스프링(100)의 압축시키거나 이완시키면서 탄성력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탄성어저스터(700)는 스프링(1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를 가압하여 스프링(100)을 압축시키거나 이완시키면서 스프링(1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어저스터(7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캡(7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캡(710)은 전술한 하부스프링시트(400) 또는 상부스프링시트(500)에 나사결합되어 해당 시트를 커버링하면서 스프링(100)의 단부에 대면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캡(710)은 일방향 회전을 통해 스프링(1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00)을 압축시키거나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스프링(100)의 반대 쪽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00)을 이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00)을 압축시킬 경우에는 아웃솔(200)과 어퍼솔(300)의 거리가 좁아짐으로써 신발의 뒷축 높이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스프링(100)을 이완시킬 경우에는 아웃솔(200)과 어퍼솔(300)의 거리가 확장됨으로써 신발의 뒷축 높이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한편, 시트캡(710)은 외주면에 미도시된 공구홈이 형성되어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과도한 회전에 의해 하부스프링시트(400) 또는 상부스프링시트(5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미도시된 스토퍼가 내주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캡(710)은 임의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하부스프링시트(400) 또는 상부스프링시트(50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시트캡(710)이 걸림홈들의 간격에 대응하는 설정된 각도로만 단계적으로 회전한 후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에 의하면, 승강가이더(600)가 아웃솔(200)과 어퍼솔(300)을 연결하면서 어퍼솔(300)의 승강을 직선상태로 가이드함에 따라 스프링(100)의 압축 또한 직선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스프링(100) 및 어퍼솔(300)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특히 승강가이더(600)를 구성하는 축걸림부(630)가 분할 축(631) 및 분할후크(632)로 구성됨에 따라 가이드축(610)이 축홀더(620)에 원터치식으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고, 아울러 조립된 후에는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부호의 설명 *
100 : 스프링 200 : 아웃솔
300 : 어퍼솔 400 : 하부스프링시트
500 : 상부스프링시트 600 : 승강가이더
610 : 가이드축 620 : 축홀더
630 : 축걸림부 631 : 분할 축
632 : 분할후크

Claims (5)

  1. 탄성력을 제공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스프링;
    신발의 밑창을 이루는 아웃솔;
    상기 아웃솔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아웃솔의 뒷축 부분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하중에 의해 하강하거나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어퍼솔;
    상기 아웃솔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스프링시트;
    상기 어퍼솔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스프링시트; 및
    상기 어퍼솔의 승강을 직선으로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더;를 포함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더는,
    상기 하부스프링시트에 동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과 동축을 이루는 가이드축;
    상기 상부스프링시트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축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어퍼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축홀더; 및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홀더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외력에 의해 외경이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축홀더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분리방지된 상태로 걸리는 축걸림부;를 포함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걸림부는,
    상기 가이드축의 상부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연장되고, 상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오므라지거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분할 축; 및
    상기 분할 축의 상단부에 각각 삿갓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분할 축의 오므라짐에 의해 상기 축홀더에 끼워지고, 상기 분할 축의 복원에 의해 벌어지면서 상기 축홀더에 걸리는 분할후크;를 포함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축은,
    상기 가이드 축의 상부에 방사상을 이루면서 4개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스프링시트 및 상기 상부스프링시트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 어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어저스터는,
    상기 하부스프링시트 또는 상기 상부스프링시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대면하며, 정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거나 역회전을 통해 상기 스프링을 이완시키는 시트캡;을 포함하는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PCT/KR2019/011643 2018-09-13 2019-09-09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WO202005506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3371.2A CN112040805A (zh) 2018-09-13 2019-09-09 一种使用弹簧的缓冲鞋
US17/275,953 US11528962B2 (en) 2018-09-13 2019-09-09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EP19859102.6A EP3850979A4 (en) 2018-09-13 2019-09-09 SHOCK ABSORBING SHOE WITH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08 2018-09-13
KR1020180109708A KR101965401B1 (ko) 2018-09-13 2018-09-13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64A1 true WO2020055064A1 (ko) 2020-03-19

Family

ID=6616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1643 WO2020055064A1 (ko) 2018-09-13 2019-09-09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28962B2 (ko)
EP (1) EP3850979A4 (ko)
KR (1) KR101965401B1 (ko)
CN (1) CN112040805A (ko)
WO (1) WO2020055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401B1 (ko) * 2018-09-13 2019-04-03 김기연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802A (ja) * 1994-09-29 1996-04-30 Kolon Internatl Corp 靴底のクッション装置
KR200341123Y1 (ko) * 2003-10-31 2004-02-11 신제호 골프화용 경사도 조절장치
JP3142969U (ja) * 2008-04-21 2008-07-03 株式会社コマリヨー 履物のベルト留め具
KR20110030854A (ko) * 2009-09-18 2011-03-24 박철수 구조가 개선된 충격흡수 신발
KR101034656B1 (ko) 2010-05-27 2011-05-16 박철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US8365439B2 (en) * 2010-03-15 2013-02-05 Koh Jong Taek Shoe having detachable cushioning member
KR101965401B1 (ko) * 2018-09-13 2019-04-03 김기연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5108542A (zh) * 1985-11-06 1987-05-20 田善达 得力鞋、得力靴、得力连裤靴(鞋)、得力装置
JP3142969B2 (ja) 1992-12-21 2001-03-07 旭化成株式会社 ラップフイルムの収納箱
US5832629A (en) * 1996-12-03 1998-11-10 Wen; Jack Shock-absorbing device for footwear
CN2378751Y (zh) * 1998-11-25 2000-05-1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散热片辅助固定装置
TW568290U (en) * 2000-02-24 2003-12-21 Itw Electronic Business Asia C Structure improvement for fixing apparatus of microprocessor heat sink
CN2479567Y (zh) * 2001-02-28 2002-02-27 爱美达股份有限公司 Cpu散热片固定组件
CN100558268C (zh) * 2003-12-02 2009-11-11 胡润富 一种弹力鞋底垫的减震系统
CN2706865Y (zh) * 2004-05-13 2005-06-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扣具
KR200371481Y1 (ko) * 2004-08-04 2004-12-31 김종식 신발
KR200374908Y1 (ko) * 2004-11-01 2005-02-07 이진상 신발끈 조임구
CN2855154Y (zh) * 2005-11-11 2007-01-10 汎可有限公司 改良的鞋钉
US20080313928A1 (en) 2006-09-08 2008-12-25 Adams Roger R Wheeled footwear with spring suspension system
KR101020012B1 (ko) * 2008-09-11 2011-03-15 (주)아이젝스티비 기능성 신발
CN201341289Y (zh) * 2008-12-08 2009-11-04 安天德百电股份有限公司 散热器扣具
CN101478095B (zh) * 2009-02-16 2012-08-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脱连接器
US9538809B2 (en) * 2010-05-27 2017-01-10 Cheol Su Park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1217094B1 (ko) 2011-06-14 2012-12-31 이철장 충격흡수 신발
CN204409770U (zh) * 2015-02-05 2015-06-2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减震弹簧鞋垫
CN106049776B (zh) * 2016-07-20 2019-02-19 陈加林 一种天幕遮阳篷
CN107797303A (zh) * 2017-11-15 2018-03-13 台州华强眼镜有限公司 一种能使眼镜脚外展的弹性铰链及其生产方法
CN207657544U (zh) * 2017-11-17 2018-07-27 广东南利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弹簧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802A (ja) * 1994-09-29 1996-04-30 Kolon Internatl Corp 靴底のクッション装置
KR200341123Y1 (ko) * 2003-10-31 2004-02-11 신제호 골프화용 경사도 조절장치
JP3142969U (ja) * 2008-04-21 2008-07-03 株式会社コマリヨー 履物のベルト留め具
KR20110030854A (ko) * 2009-09-18 2011-03-24 박철수 구조가 개선된 충격흡수 신발
US8365439B2 (en) * 2010-03-15 2013-02-05 Koh Jong Taek Shoe having detachable cushioning member
KR101034656B1 (ko) 2010-05-27 2011-05-16 박철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KR101965401B1 (ko) * 2018-09-13 2019-04-03 김기연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85097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0979A4 (en) 2022-05-11
KR101965401B1 (ko) 2019-04-03
US11528962B2 (en) 2022-12-20
CN112040805A (zh) 2020-12-04
US20220053881A1 (en) 2022-02-24
EP3850979A1 (en)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55064A1 (ko) 스프링을 이용한 완충신발
WO2018216882A1 (ko) 신발
WO2015159997A1 (ko) 패드 분리형 흡착컵
WO2020080731A1 (ko) 아치패드를 포함하는 신발
WO2017007107A1 (ko)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WO2011149218A2 (ko)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WO2014051368A1 (ko) 바닥창을 이용하여 펌핑작용이 되는 통풍신발
WO2016003186A1 (ko) 미끄럼방지용 신발밑창
WO2010047554A2 (ko)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CN109027108A (zh) 机电设备用的减震装置
WO2011034316A2 (ko) 구조가 개선된 충격흡수 신발
WO2013077642A1 (ko) 기능성 신발물품
WO2016192036A1 (zh) 可调整式床垫结构
WO2023085714A1 (ko) 에어쿠션 깔창
WO2010062039A2 (ko) 신발용 쿠션 유니트 및 그것을 구비하는 신발
WO2019052006A1 (zh) 一种全自动便携式搅拌棒连接机构
WO2020085682A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WO2018062782A1 (ko) 신발용 충격 흡수 패드, 신발용 충격 흡수 관체 시스템 및 기능성 신발
WO2020189885A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CN206022001U (zh) 一种带有缓冲结构的绝缘盘
CN214298817U (zh) 一种具有减震机构的电梯轿厢
WO2015119481A1 (ko) 자전거 안장
CN205745048U (zh) 全方位缓冲的纺织机减震座
CN219080416U (zh) 一种防坠落井盖
KR102316491B1 (ko) 엘리베이터의 롤러 가이드 장치용 가이드 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91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591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