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45832A1 -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45832A1
WO2020045832A1 PCT/KR2019/009304 KR2019009304W WO2020045832A1 WO 2020045832 A1 WO2020045832 A1 WO 2020045832A1 KR 2019009304 W KR2019009304 W KR 2019009304W WO 2020045832 A1 WO2020045832 A1 WO 20200458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
smartphone
cover body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93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태홍
Original Assignee
최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홍 filed Critical 최태홍
Priority to US17/269,54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10358B2/en
Publication of WO20200458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458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1Arrangements for reducing keyboard size for transport or storage,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2Interfacing with an external cov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visually impaired, more specifically, to protect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s while enabling the convenient use of not only the visually impaired but also the general public, and to enable accurate and rapid typing It relates to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disabled.
  • a keyboard module including a general keyboard input unit for inputting Korean, English and numbers on the surface of the case, and a special function input unit for a smartphone for key input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of the smartphone;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ransmitting key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keyboard module to the smartphone;
  •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key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keyboard module and outputting the key inpu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t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the drive power of the keyboard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rotecting the smartphone from external shocks, while stably holding the smartphone due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bottom, enabling stable typing, visually impaired
  • a call mode with a keyboard layout that allows for convenient use of the device, and improves the speed and accuracy of typing through the use of a thumb that is not normally used for typing, while avoiding unwanted drops by a comfortable and stable grip.
  • the purpose is to prevent.
  • the mounting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mounted so as to expose the display unit smart phone, the bottom is formed a plurality of keyholes to face downward, A cover body in which front key holes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facing surface when typing; A thumb of a hand which is embedded in the cover body and has a plurality of keys projecting through each of the bottom key holes, wherein the first front key and the second front key protrude through each of the front key holes.
  •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disabled is provided.
  • the keyboard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first front key and the second front key are perpendicular to an end of a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keys are arranged.
  •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body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or exposed in the bottom switch hole formed to face downward, and further comprises a slide switch type mode switch to select the locked mode, input mode and telephone mode,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o block key input through the keyboard when selecting the locked mode by the mode switch, and controlling to allow key input through the keyboard when selecting the input mode by the mode switch.
  • the keyboard may be controlled to switch some of the keys to the phone key required for phone use.
  • cover body It may be furth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body is located between the cover body and the gripping hand, and may further comprise a deformation grip portion made of a material that is changed in shape by an external force.
  • the deformed grip part is attached to each of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gradually reduced in thickness to surround both edges of the cover body, from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of the position close to each of the first front key and the second front key
  •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fitted between the gripping thumb and the index finger may be formed.
  • the smart 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le protecting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 while holding the smart phone stably due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bottom, to enable a stable typing, You can provide a call mode with a keyboard layout that allows for ease of use, and improves the speed and accuracy of typing through the use of a thumb that you do not normally use. Can be prevented.
  •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 of the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call mode of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ottom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the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keyboard of the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 the smart phone case combined keyboard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the cover body 110, the keyboard 120,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controller 140 It may include.
  • the cov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116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smart phone 10 to expose the display unit 11, the bottom key hole 111 is formed in a number so as to face downwards
  • the front key hole 112 is formed at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when typing.
  • the bottom key hole 111 may be formed to open downward from the cover body 110,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keys 121 arranged in one plane in the keyboard 1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ront key hole 1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provided at the side of the keyboard 120.
  • the first forward key 122 and the second forward key 123 may be a space and a delete key, or a delete key and a space key, respectively. Frequently used space key and delete key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keyboard 120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keys arranged in a flat surfa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 the cover body 110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witch hole 113 is directed downward to expose or protrude the mode switch 15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bottom, and expose the button 13 provided in the smart phone 10.
  • the button grooves 11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o each other, and the camera hole 115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 phone 10 to expose the camera 12.
  • the keyboard 120 is embedded in the cover body 110 and has a plurality of keys 121 protruding through each of the bottom key holes 111, wherein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are provided. Protruding through each of the front key holes 112 can be manipulated by the thumb T of the hand holding the cover body 110, respectively (see Figure 6).
  • the key 121,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may be keyboards that allow a user to input a corresponding signal by pressing on the keyboard 120. Since the keyboard 120 is embedded in the cover body 110, the keyboard 120 may be wrapped in a state in which the key 121 is exposed by the cover body 110, which is a synthetic resin material. 110 may be formed.
  • the key 121 of the keyboard 120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qwerty keybo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keyboards.
  • the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are disposed in the front key hole 112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may be disposed at right angles at ends of surfaces where a plurality of keys 121 are arranged (see FIG. 4). Therefore, the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of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123 with respect to the keyboard 120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is facilitated.
  •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phone 10 and the keyboard 120.
  •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provided in the keyboard 120, thereby allowing easy installation in the cover body 110, while enabling the formation of a compact structure.
  •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eferably a Bluetooth module.
  •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o perform pairing with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communicates a key input signal of the keyboard 120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30, preferably Bluetooth.
  • the communication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10, and other various control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120 may be performed.
  • Smartphone case combined keyboard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or exposed to the bottom switch hole 11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body 110, the lock (lock) mode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lide switch type mode switch 150 for selecting an input mode and a dial mode, respectively.
  • the mode switch 150 may be a slide switch that can be operated in three steps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intuitively select each of the three modes.
  • the controller 140 selects the locked mode by the mode switch 150, the controller 140 receives the signal as a signal and controls to block key input through the keyboard 120, and when the mode switch 150 selects the input mode.
  • the keyboard 120 when the keyboard 120 is switched to the phone key 124 among the keys 121, signals such as answering a call, hanging up, numbers (0 to 9), *, #, etc.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hone call are shown.
  • an indic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se signals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 the telephone key 124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arrangement to the existing telephone keyboard.
  • the smart phone case combined keyboard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ver body 110 and is located between the cover body 110 and the gripping hand. It may further include a deformation grip portion 160 made of a material whose shap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Deformed grip portion 16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changed in shape by the external force, to mainta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and, not only to provide a good fit, but also to ensure a stable fixing,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can be modified. In addition, the deformed grip part 160 may be attached to the cover body 110 by using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or may be manufactured to be integral when the cover body 110 is manufactured.
  • Deformed grip portion 160 is attached to each of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161 is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gradually reduced in thickness to cover both edges of the cover body 110, the first front key 122 and the second front key ( Protruding support portion 162 is inserte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to be protruded from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161 of the position close to each of the 123.
  • the thickness reducing unit 161 may maintain a firmly attached state even though the thickness reducing unit 161 is reduced to a thickness to reduce the restoring force even when the thickness reducing unit 161 is bent at the cover body 110 or is bent at a corner having a curvature.
  •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162 not only helps the holding hand to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but also undesirably dislodges despite the use of a user with a long grip or weak grip or a strong touch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outside. By not preventing, it is possible to enable safe and comfortable use of the smartphone (10).
  • the smart phone case combined keyboard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rotecting the smart phone from external shocks,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smart phone and stable typing due to the keyboard layout of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저면키홀이 하방을 향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타이핑시 전방을 향하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방키홀이 형성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 내에 매립되고, 상기 저면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되는 다수의 키를 가지되, 제1 전방키와 제2 전방키가 상기 전방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되는 키보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키보드 간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키보드에 마련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상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키보드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한 통신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저면의 자판 배열로 인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각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자판 배열과 함께 통화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평소 타이핑에 사용하지 않는 엄지손가락의 사용을 통해서 타이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파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31.07.2019]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시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정확하면서도 신속한 타이핑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폰의 사용이 일반화되었는데, 최근 스마트폰은 화면 터치 방식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화면 터치 방식은 제한된 화면 크기로 인해 오타의 발생빈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의 경우, 화면 터치 방식의 입력이 큰 불편을 야기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키보드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6927호의 "스마트폰용 무선 자판 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표면에 한글과 영문 및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범용자판 입력부와, 스마트폰의 특수기능 수행을 위한 키입력을 위한 스마트폰용 특수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자판모듈과; 상기 스마트폰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자판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자판모듈의 키입력에 따라 키입력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로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자판모듈과 제어모듈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자판이 상방을 향하는 구조로 인해 비교적 작은 크기의 스마트폰을 파지하면서 타이핑하는 것이 여전히 불편을 야기하고, 이와 더불어, 시각장애인에게도 큰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체 손가락의 사용, 특히 엄지손가락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타이핑의 신속성 및 정확성 향상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저면의 자판 배열로 인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각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자판 배열과 함께 통화 모드를 제공하도록 하며, 평소 타이핑에 사용하지 않는 엄지손가락의 사용을 통해서 타이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파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떨어트림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면에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저면키홀이 하방을 향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타이핑시 전방을 향하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방키홀이 형성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 내에 매립되고, 상기 저면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되는 다수의 키를 가지되, 제1 전방키와 제2 전방키가 상기 전방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조작되는 키보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키보드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상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키보드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한 통신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가 제공된다.
상기 키보드는, 상기 키가 다수로 배열되는 면의 끝단에 상기 제1 전방키 및 상기 제2 전방키가 직각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저면스위치홀에 돌출 내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잠김모드, 입력모드 및 전화모드를 각각 선택하도록 하는 슬라이드스위치 타입의 모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잠김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입력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전화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에서 상기 키 중 일부를 전화 사용에 필요한 전화키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커버본체와 파지하는 손 사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변형그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그립부는, 양단이 점차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두께감소부가 상기 커버본체의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 전방키 및 상기 제2 전방키 각각에 가까운 위치의 두께감소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파지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저면의 자판 배열로 인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각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자판 배열과 함께 통화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평소 타이핑에 사용하지 않는 엄지손가락의 사용을 통해서 타이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파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장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통화모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장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의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100)는 커버본체(110), 키보드(120), 통신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상면에 스마트폰(10)이 디스플레이부(11)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는 장착공간(116)이 형성되고, 저면에 저면키홀(111)이 하방을 향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타이핑시 전방을 향하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방키홀(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저면키홀(111)은 커버본체(110)에서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후술하게 될 키보드(120)에서 하나의 평면에 다수로 배열되는 키(121)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키홀(112)은 키보드(120)에서 측부에 각각 마련되는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는 각각 스페이스 및 삭제키, 또는 삭제키 및 스페이스키일 수 있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스페이스키 및 삭제키가 평면에 배열되는 키와 구별되게 키보드(120)의 측부에 마련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본체(110)는 저면에 후술하게 될 모드스위치(150)의 노출 내지 돌출을 위하여 저면스위치홀(113)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스마트폰(10)에 마련되는 버튼(13)을 노출 내지 돌출시키도록 버튼홈(114)이 각각 형성되며, 스마트폰(10)의 카메라(12)를 노출시키도록 카메라홀(115)이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키보드(120)는 커버본체(110) 내에 매립되고, 저면키홀(111) 각각을 통해서 돌출되는 다수의 키(121)를 가지되, 제1 전방키(122)와 제2 전방키(123)가 전방키홀(112) 각각을 통해서 돌출되어 커버본체(110)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T)으로 각각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여기서, 키(121),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는 키보드(120)에서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자판일 수 있다. 키보드(120)는 커버본체(110) 내에 매립됨으로써, 합성수지재인 커버본체(110)에 의해 키(121) 등을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공지된 성형방법을 응용하여 커버본체(110)의 형성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키보드(120)의 키(121)는 예컨대, 쿼티 키보드(qwerty keyboard)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반드시 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키보드로 구성될 수 있되, 구성되는 종류의 키보드에서 제1 전방키(122)와 제2 전방키(123)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키홀(112)에 배치된다.
키보드(120)는 키(121)가 다수로 배열되는 면의 끝단에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가 직각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판상구조인 키보드(120)에 대한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의 3차원 입체적인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통신모듈(130)은 스마트폰(10)과 키보드(12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통신모듈(130)은 키보드(120)에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본체(110) 내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의 형성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통신모듈(130)은 유선 통신 모듈이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모듈(130)을 통한 스마트폰(10)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키보드(120)의 키 입력신호를 통신모듈(130)에 의한 통신,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스마트폰(1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키보드(120) 등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100)는 커버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저면스위치홀(113)에 돌출 내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잠김(lock)모드, 입력(input)모드 및 전화(dial)모드를 각각 선택하도록 하는 슬라이드스위치 타입의 모드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스위치(150)는 시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3개 모드 각각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3단계 조작이 가능한 슬라이드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모드스위치(150)에 의해 잠김모드를 선택시, 이를 신호로서 전달받아 키보드(120)를 통한 키 입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모드스위치(150)에 의해 입력모드를 선택시, 이를 신호로서 전달받아 키보드(120)를 통한 키 입력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며, 모드스위치(150)에 의해 전화모드를 선택시, 이를 신호로서 전달받아 키보드(120)에서 키(121) 중 일부를 전화 사용에 필요한 전화키(124)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키보드(120)는 키(121) 중에서 전화키(124)로 전환되는 경우, 전화의 송수신에 필요한 전화받음, 전화끊음, 숫자(0~9), *, # 등의 신호 입력을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에 이러한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화키(124)는 기존의 전화 자판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100)는 커버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커버본체(110)와 파지하는 손 사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변형그립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형그립부(160)는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손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예컨대 실리콘이나 고무를 비롯하여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변형그립부(160)는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커버본체(110)에 부착되거나, 커버본체(110)의 제조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변형그립부(160)는 양단이 점차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두께감소부(161)가 커버본체(110)의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각각 부착되고, 제1 전방키(122) 및 제2 전방키(123) 각각에 가까운 위치의 두께감소부(161)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파지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지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감소부(161)는 두께의 감소에 의해 복원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커버본체(110)에서 꺾여지거나 곡률을 가지는 모서리에 부착되더라도 단단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부(162)는 파지하는 손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오랜 사용이나 약한 악력을 가진 사용자의 파지 또는 외부로부터 신체에 가해지는 강한 터치 등에도 불구하고, 원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10)의 안전하면서도 편안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저면의 자판 배열로 인해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파지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타이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자판 배열과 함께 통화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평소 타이핑에 사용하지 않는 엄지손가락의 사용을 통해서 타이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편안하면서도 안정적인 파지에 의해 원하지 않는 떨어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상면에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도록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저면키홀이 하방을 향하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타이핑시 전방을 향하는 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전방키홀이 형성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 내에 매립되고, 상기 저면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되는 다수의 키를 가지되, 제1 전방키 및 제2 전방키가 상기 전방키홀 각각을 통해서 돌출됨으로써 상기 커버본체를 파지하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각각 조작되는 키보드;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키보드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한 상기 스마트폰과의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키보드의 키 입력신호를 상기 통신모듈에 의한 통신에 의해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상기 키가 다수로 배열되는 면의 끝단에 상기 제1 전방키 및 제2 전방키가 직각되게 배치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저면스위치홀에 돌출 내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잠김모드, 입력모드 및 전화모드를 각각 선택하도록 하는 슬라이드스위치 타입의 모드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잠김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입력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모드스위치에 의해 전화모드를 선택시, 상기 키보드에서 상기 키 중 일부를 전화 사용에 필요한 전화키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커버본체와 파지하는 손 사이에 위치하고, 외력에 의해 형상이 변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변형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형그립부는,
    양단이 점차적으로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두께감소부가 상기 커버본체의 양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각각 부착되고, 상기 제1 전방키 및 상기 제2 전방키 각각에 가까운 위치의 두께감소부로부터 돌출됨으로써 파지하는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워지는 돌출지지부가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PCT/KR2019/009304 2018-08-29 2019-07-26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WO20200458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69,549 US11310358B2 (en) 2018-08-29 2019-07-26 Smart phone case combination keyboard for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169 2018-08-29
KR1020180102169A KR101983504B1 (ko) 2018-08-29 2018-08-29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832A1 true WO2020045832A1 (ko) 2020-03-05

Family

ID=6667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9304 WO2020045832A1 (ko) 2018-08-29 2019-07-26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0358B2 (ko)
KR (1) KR101983504B1 (ko)
WO (1) WO2020045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04B1 (ko) 2018-08-29 2019-05-29 최태홍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US20220096923A1 (en) * 2020-09-25 2022-03-31 Apple Inc. Magnetically attachable gaming accessory
KR102298734B1 (ko) 2020-12-18 2021-09-06 주식회사 강한손 시각장애인을 위한 퍼킨스 타입의 접이식 키보드
USD988300S1 (en) * 2021-03-09 2023-06-06 Thales Dis Ais Deutschland Gmbh IoT mod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175A1 (en) * 1999-09-29 2002-08-29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JP2008544396A (ja) * 2005-06-24 2008-12-0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テキスト入力用キーボードを有する携帯装置
KR101145537B1 (ko) * 2011-12-02 2012-05-15 오대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58708B1 (ko) * 2013-06-05 2014-11-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쳐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 및 케이스
KR101983504B1 (ko) * 2018-08-29 2019-05-29 최태홍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248197A (en) * 1996-01-26 1997-08-20 Shelton E. Harrison Jr. Key palette
US6084576A (en) * 1997-09-27 2000-07-04 Leu; Neng-Chyang User friendly keyboard
FR2790567B1 (fr) * 1999-03-02 2001-05-25 Philippe Soulie Clavier de touches permettant une lecture tactile d'informations provenant d'un calculateur electronique
WO2001053906A2 (de) * 2000-01-20 2001-07-26 Oliver Kauk Dateneingabevorrichtung
ITMI20011163A1 (it) * 2001-05-31 2002-12-01 Gianni Salpietra Telefono per non vedenti
US20030026637A1 (en) * 2001-08-01 2003-02-06 Yuanzong Fu Keyboard/keypad device and computer featuring the same
US8245158B1 (en) * 2002-03-11 2012-08-14 Brad Schric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keyboard type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7029190B1 (en) * 2003-09-19 2006-04-18 Freedom Scientific, Inc. Braille input device
US8079766B2 (en) * 2006-06-09 2011-12-20 Marty Forrest Kinney Key input system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JP4450008B2 (ja) 2007-04-17 2010-04-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
KR101611866B1 (ko) 2009-06-25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스에 장착된 터치 센서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210025A1 (en) * 2010-03-01 2011-09-01 Torence Jay Miles Stix up cell cup
WO2011109643A1 (en) * 2010-03-03 2011-09-09 Twitch Technologies Llc Matrix keyboarding system
US20120075125A1 (en) * 2010-09-27 2012-03-29 Lenovo (Singapore) Pte. Ltd. Handgrip keyboard
KR20120064739A (ko) 2010-12-10 2012-06-20 김중배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KR20140090347A (ko) 2013-01-07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US20140262847A1 (en) * 2013-03-15 2014-09-18 The Joy Factory, Inc. Case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Y171500A (en) 2013-10-14 2019-10-15 Chee Tieng Wong A functional flip cover protective case with physical keypad for smart phone devices
US20150261312A1 (en) * 2014-03-15 2015-09-17 Hovsep Giragossian Talking multi-surface keyboard
US9092066B1 (en) 2014-05-02 2015-07-28 Mark H. Plager Palm held rear-facing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WO2018148216A1 (en) * 2017-02-07 2018-08-16 Arconic Inc.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0667587B1 (en) * 2018-11-30 2020-06-02 BobjGear, LLC Rear camera ho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175A1 (en) * 1999-09-29 2002-08-29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JP2008544396A (ja) * 2005-06-24 2008-12-0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テキスト入力用キーボードを有する携帯装置
KR101145537B1 (ko) * 2011-12-02 2012-05-15 오대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58708B1 (ko) * 2013-06-05 2014-11-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피쳐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 및 케이스
KR101983504B1 (ko) * 2018-08-29 2019-05-29 최태홍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504B1 (ko) 2019-05-29
US20210360101A1 (en) 2021-11-18
US11310358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5832A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폰 케이스 겸용 키보드
US5818924A (en) Combined keypad and protective cover
KR101440708B1 (ko) 분리가능한 사용자 입력 부속장치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용 장치, 방법 및 시스템
WO2016175493A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0533995C (zh) 客户身份识别模块/用户身份识别模块卡的布置
CN106559526B (zh) 移动终端
KR100825245B1 (ko)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201348962Y (zh) 手持无线通信设备
US779186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keyboard
KR101172454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US20130157230A1 (en) Electronic braille typing interface
CN105282313A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US6744890B1 (en) Keypad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pad module
US20140218305A1 (en) Accessory enclosure and input device
SE522842C2 (sv) Bärbar kommunikationsanordning med beröringskänslig skärm
CN101982812A (zh) 键盘布置
US20090088216A1 (en) User attachable keypad
CN106506733A (zh) 移动终端
CN100539605C (zh) 双输入移动通信设备
CN102752416A (zh) 移动终端
KR200700143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KR20200002610A (ko) 전자기기,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A2383730A1 (en) Keyboard unit
US8330722B2 (en)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flexible keys
KR20020088116A (ko) 휴대형 전화기 및 휴대형 정보 단말기가 복합된 휴대형복합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55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551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