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347A -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347A
KR20140090347A KR1020130001811A KR20130001811A KR20140090347A KR 20140090347 A KR20140090347 A KR 20140090347A KR 1020130001811 A KR1020130001811 A KR 1020130001811A KR 20130001811 A KR20130001811 A KR 20130001811A KR 20140090347 A KR20140090347 A KR 2014009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s
mobile device
mode
keypad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김정호
변완주
정성호
조영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347A/ko
Priority to PCT/KR2014/000120 priority patent/WO2014107077A1/ko
Priority to US14/759,592 priority patent/US20150335116A1/en
Publication of KR2014009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을 위한 복수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로서 터치 스크린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가진 모바일 기기로는 스마트폰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텍스트의 입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를 원하는 바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터치 스크린을 보지 않고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시각장애가 있거나 터치 스크린을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과 같은 사용자가 그러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것에는 상당한 불편함 내지 곤란함이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가 있거나 터치 스크린을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도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가 있거나 터치 스크린을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과 같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을 위한 복수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정렬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 및 N은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에서 최상위 또는 최하위 행에 배치된 키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의 상하 식별을 돕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위 또는 상기 최하위 행에 배치된 N개의 키패드들 중에서 최좌측 및 최우측에 배치된 키패드들 각각에 상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의 접근을 위한 제1 모드, 제1 언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제2 모드, 및 제2 언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4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이 상기 제1 모드로 사용될 때,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 4개의 키패드는 상, 하, 좌, 우 이동 키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이 상기 제1 모드로 사용될 때, 상기 상, 하, 좌, 우 이동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키패드를 중심으로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서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 및 후면을 커버하는 양면 커버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부의 후면, 상기 전면 커버부의 전면, 및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터치 스크린을 가진 휴대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를 후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를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3a의 실시예에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1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2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3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도 2에 도시된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사용하여 희망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의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를 닫혀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를 후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에는 모바일 기기(10)의 예로써 터치 스크린(11)을 가진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휴대폰 외에도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와 같은 다른 유형의 모바일 기기들에도 마찬가지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를 보호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10)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 케이스(10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 케이스(100)는 모바일 기기(10)로부터 배터리(미도시)를 분리시키는 것과 같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항시 모바일 기기(1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됨이 일반적이다.
보호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와,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10)는 모바일 기기(10)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진 베이스부(120)와, 베이스부(120)의 둘레로부터 그 베이스부(120)에 수직하게 연장된 테두리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20)는 모바일 기기(10)의 후면을 커버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모바일 기기(10)를 보호한다. 그리고 테두리부(130)는 모바일 기기(10)의 네 측면들에 결합하여, 그 측면들을 보호함은 물론 보호 케이스(100)를 모바일 기기(10)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모바일 기기(10)에 대한 보호 케이스(100)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10)는 전체적으로 탄성 재질(예로써 플라스틱, 고무 등)을 갖거나 적어도 케이스 본체(110)의 테두리부(130)가 탄성 재질을 갖는다.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121)에 구비된다. 보다 정확히, 여기서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121)은 케이스 본체(110)의 베이스부(120)의 후면을 가리킨다. 이러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모바일 기기(10)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 또는 터치 스크린(11)을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이 터치 스크린(11)을 사용하지 않고도 모바일 기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제1 키패드(150A), 제2 키패드(150B), 제3 키패드(150C), 제4 키패드(150D), 제5 키패드(150E), 제6 키패드(150F), 제7 키패드(150G), 제8 키패드(150H), 제9 키패드(150I), 제10 키패드(150J), 제11 키패드(150K), 및 제12 키패드(150L)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총 12개의 키패드들로 구성된다. 하지만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개수는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예로써, 9개, 15개, 18개 등).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구성하는 12개의 키패드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행 및 3열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복수의 키패드들은 일반적으로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정렬되며, 여기서 M 및 N은 3 이상의 자연수로서 키패드들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케이스 본체(110)의 하단(112)보다는 케이스 본체(110)의 상단(111)에 더 가깝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배치에 의해, 모바일 기기(10)에 부착된 보호 케이스(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특히, 엄지손가락)으로 각 키패드를 보다 쉽게 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100)를 Ⅲ-Ⅲ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키패드(150A, 150B, 150C)는 버튼 형태이며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12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내지 제3 키패드(150A, 150B, 150C)는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볼록하게 배치된 버튼 형태로 구비된다. 나머지 9개의 키패드들 즉, 제4 내지 제12 키패드들(150D-150L)도 제1 내지 제3 키패드(150A, 150B, 150C)와 동일한 형태 및 배치를 갖는다.
이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키패드들이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볼록하게 배치된 버튼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한 촉감에 의해 키패드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3a의 실시예에 대안적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키패드(150A, 150B, 150C)는 버튼 형태를 가지되 케이스 본체(110)의 후면(121)에 형성된 각각의 홈(G) 내에 오목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나머지 9개의 키패드들 즉, 제4 내지 제12 키패드들(150D-150L)도 제1 내지 제3 키패드(150A, 150B, 150C)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홈(G) 내에 마찬가지로 오목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키패드들이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오목하게 배치된 버튼 형태로 구비된 경우에도, 사용자는 손가락을 통한 촉감에 의해 키패드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을 참조하면, 복수의 키패드들 중에서 최상위 열에 배치된 3개의 키패드들(150A, 150B, 150C) 중에서 제1 및 제3 키패드(150A, 150C)에는 상하 식별을 돕기 위한 돌기(P)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돌기(P)를 통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상하를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돌기(P)는, 최상위 행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키패드들(150A, 150B, 150C) 각각에 형성되거나, 제1 내지 제3 키패드들(150A, 150B, 150C) 중 제2 키패드(150B)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돌기(P)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최상위 행에 배치된 N개의 키패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돌기(P)는, 최하위 행에 배치된 제10 내지 제12 키패드들(150J, 150K, 150L) 각각에 형성되거나, 제10 내지 제12 키패드들(150J, 150K, 150L) 중 제10 및 제12 키패드들(150J, 150L)에 형성되거나, 아니면 제10 내지 제12 키패드들(150J, 150K, 150L) 중 제11 키패드(150K)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하 식별용 돌기(P)는 최하위 행에 배치된 N개의 키패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복수의 키패드들(150A-150L)은 복수의 사용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로써 키패드들(150A-150L)은 3개의 사용 모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를 도 4a, 4b, 및 4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1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2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키패드들이 "제3 모드"로 사용될 경우 그 키패드들에 지정된 기능들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모드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의 프로그램들 및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제1 언어 기반의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3 모드는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제2 언어 기반의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제1 언어는 한국어이고 제2 언어는 영어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사용 모드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 중 희망하는 모드를 수시로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키패드(150A), 제2 키패드(150B), 및 제3 키패드(150C)가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변경 키패드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키패드(150A)를 길게(예로써 1초 이상) 누르면 외장형 피캐드 유닛(150)이 제1 모드로 설정된다.
대안적으로, 12개의 키패드들(150A-150L) 외에 모드 변경 기능 만을 수행하는 제13 키패드(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예로써 제13 키패드를 한번 누를 때마다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사용 모드가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순으로 전환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이 제1 모드(접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최상위 행에 배열된 제1, 제2, 및 제3 키패드(150A, 150B, 150C)는 모드 변경 기능을 수행한다. 대안적으로, 최하위 행에 배열된 제10, 제11, 및 제12 키패드(150J, 150K, 150L)가 모드 변경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행의 중앙에 배치된 제8 키패드(150H)는 실행 기능을 갖는다. 즉 제8 키패드(150H)는 이른바 "엔터(ENTER)" 키패드이다.
또한, 제8 키패드(150H)를 중심으로 위, 아래, 왼쪽, 및 오른쪽에 각각 배치된 제5 키패드(150E), 제11 키패드(150K), 제7 키패드(150G), 및 제9 키패드(150I)는 상, 하, 좌, 및 우 이동 키패드로 각각 사용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4개의 이동 키패드(150E, 150K, 150G, 150I)를 사용하여 희망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택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희망하는 컨텐츠에 또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이동 키패드(150E, 150K, 150G, 150I)를 사용하여 희망하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접근하는 기능을 소위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이라 한다.
한편, 제4 키패드(150D), 제6 키패드(150F), 제10 키패드(150J), 및 제12 키패드(150L)는 "메뉴(MENU)" 키패드, "홈(HOME)" 키패드, "스크린 리더 온-오프(SCREEN READER ON-OFF)" 키패드, 및 "백(BACK)" 키패드로 사용된다. 여기서, 메뉴(MENU), 홈(HOME), 및 백(BACK) 기능은 일반적인 키패드 유닛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10 키패드(150J)가 담당하는 스크린 리더 온-오프는 모바일 기기(10, 도 1 참조)가 제공하는 스크린 리더(screen leader) 기능을 작동시키거나 중지시키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스크린 리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컨텐츠에 상응하는 명칭 내지 문장을 모바일 기기(10)가 음향으로 읽어주는 기능을 말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이 제2 모드(제1 언어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12개의 키패드들(150A-150L)은 제1 언어(본 실시예에서는 한국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지원한다. 도 4b에 도시된 키패드들(150A-150L)의 자판 조합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들 키패드들(150A-150L)에 다른 한국어 자판 조합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목할 점은 최상위 행에 배치된 제1 키패드(150A), 제2 키패드(150B), 및 제3 키패드(150C)는 제2 모드에서도 여전히 모드 변경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이다. 예로써, 사용자가 제3 키패드(150C)를 기준 시간(예로써 1초)보다 짧게 누르면 문자 "ㅡ" 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제3 키패드(150C)를 기준 시간(예로써 1초)보다 길게 누르면 제2 모드로부터 제3 모드(영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이 제2 모드(제1 언어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12개의 키패드들(150A-150L)은 제2 언어(본 실시예에서는 영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지원한다. 도 4c에 도시된 키패드들(150A-150L)의 자판 조합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들 키패드들(150A-150L)에 다른 영어 자판 조합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목할 점은 최상위 행에 배치된 제1 키패드(150A), 제2 키패드(150B), 및 제3 키패드(150C)는 제3 모드에서도 여전히 모드 변경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이다. 예로써, 사용자가 제2 키패드(150b)를 기준 시간(예로써 1초)보다 짧게 누르면 문자 "a", "b", 또는 "c" 가 입력되고, 사용자가 제2 키패드(150b)를 기준 시간(예로써 1초)보다 길게 누르면 제3 모드로부터 제2 모드(한국어 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도 5a, 5b, 및 5c는 도 2에 도시된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사용하여 희망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의 평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10)의 터치 스크린(11) 상에는 예로써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또는 폴더에 대응하는 아이콘들(21-26)이 배치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들 아이콘들(21-26)을 제1, 제2, 제3, 제4, 제5, 및 제6 아이콘(21,22,23,24,25,26)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1) 상에는 현재 선택 가능한 아이콘을 가리키기 위한 음영 표시(S)가 있으며, 초기에 음영 표시(S)는 제1 아이콘(21)을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제1 모드(접근 모드)로 설정하고 제9 키패드(우 이동 키패드)(150I)를 누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 표시(S)는 제2 아이콘(22)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11 키패드(하 이동 키패드)(150K)를 누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 표시(S)는 제5 아이콘(25)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음영 표시(S)가 제2 아이콘(22) 및 제5 아이콘(25)으로 이동할 때, 모바일 기기(10)의 스크린 리더가 작동 중에 있다면 모바일 기기(10)의 스피커로부터 제2 아이콘(22) 및 제5 아이콘(25)의 명칭들에 상응하는 소리들이 제공된다.
상기 음영 표시(S)가 제5 아이콘(25)에 위치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제8 키패드(실행 키패드)(150H)를 누르면 제5 아이콘(25)에 지정된 해당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이후 사용자는 실행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전술한 상, 하, 좌, 우 이동 키패드들(150E, 150K, 150G, 150I)을 이용하여 희망하는 콘텐츠로 접근할 수 있다. 이때에도 대상 콘텐츠는 음영 표시(S)에 의해 가리켜지며, 스크린 리더 작동시 모바일 기기(10)의 스피커로부터 대상 콘텐츠에 상응하는 소리가 제공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언어(한국어) 기반의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제2 키패드(150B)를 눌러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제2 모드(제1 언어 입력 모드)로 전환시키면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2 언어(영어) 기반의 텍스트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제3 키패드(150B)를 눌러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제3 모드(제2 언어 입력 모드)로 전환시키면 된다.
만약 사용자가 제5 아이콘(25)에 지정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밖으로 나오기를 원할 경우, 사용자는 제1 키패드(150A)를 눌러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사용 모드를 제1 모드(접근 모드)로 전환한 후 "HOME" 키패드인 제6 키패드(150F) 또는 "BACK" 키패드인 제12 키패드(150L)를 사용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바일 기기를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호 케이스를 닫혀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200)는 후면 커버부(210)와 전면 커버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면 커버부(210)는 모바일 기기(10)에 부착되어 모바일 기기(10)의 후면을 커버하며, 전면 커버부(220)는 후면 커버부(210)에 일체로 구비며 닫혀진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10)의 전면을 커버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200)는 모바일 기기(10)의 전면 및 후면을 모두 커버하는 이른바 '양면 커버 타입' 인 점에서, 모바일 기기(10)의 후면 만을 커버하는 이른바 '후면 커버 타입' 인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보호 케이스(100, 도 1 참조)와 구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부(220)의 전면(외면)(221)에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전술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과 동일한 것이다. 대안적으로, 외장형 키패드 닛(150)은 전면 커버부(220)의 후면(내면)(222)에 또는 후면 커버부(210)의 후면(외면)(도면에서 보이지 않음)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전면 커버부(220)의 전면(221) 상에서 약간 위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호 케이스(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예로써, 엄지손가락)이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의 모든 키패드들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100, 200)에 의하면, 시각장애가 있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를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한 사람과 같은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10)의 터치 스크린(11)을 사용하지 않고도 보호 케이스(100, 200)에 구비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10)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외장형 키패드 유닛(150)은 별도의 물품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보호 케이스(100, 200)에 통합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와 같은 별도의 물품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음은 물론 키패드 유닛(150)에 대한 접근성 또한 개선될 수 있다.
100 : 보호 케이스(제1 실시예) 110 : 케이스 본체
120 : 베이스부 130 : 테두리부
150 : 외장형 키패드 유닛 150A-150L : 키패드
200 : 보호 케이스(제2 실시예) 210 : 후면 커버부
220 : 전면 커버부 221 : 전면
10 : 모바일 기기 11 : 터치 스크린

Claims (16)

  1.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로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을 위한 복수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외장형 키패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정렬 배치되며, 상기 M 및 N은 3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에서 최상위 또는 최하위 행에 배치된 키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의 상하 식별을 돕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위 또는 상기 최하위 행에 배치된 N개의 키패드들 중에서 최좌측 및 최우측에 배치된 키패드들 각각에 상기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상기 모바일 기기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의 접근을 위한 제1 모드, 제1 언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제2 모드, 및 제2 언어 기반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제3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4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정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이 상기 제1 모드로 사용될 때,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 4개의 키패드는 상, 하, 좌, 우 이동 키패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이 상기 제1 모드로 사용될 때, 상기 상, 하, 좌, 우 이동 키패드는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키패드를 중심으로 위, 아래, 왼쪽, 오른쪽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서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 및 후면을 커버하는 양면 커버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부착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키패드 유닛은 상기 후면 커버부의 후면, 상기 전면 커버부의 전면, 및 상기 전면 커버부의 후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패드들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터치 스크린을 가진 휴대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1020130001811A 2013-01-07 2013-01-07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40090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11A KR20140090347A (ko) 2013-01-07 2013-01-07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PCT/KR2014/000120 WO2014107077A1 (ko) 2013-01-07 2014-01-07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US14/759,592 US20150335116A1 (en) 2013-01-07 2014-01-07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11A KR20140090347A (ko) 2013-01-07 2013-01-07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347A true KR20140090347A (ko) 2014-07-17

Family

ID=5106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11A KR20140090347A (ko) 2013-01-07 2013-01-07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35116A1 (ko)
KR (1) KR20140090347A (ko)
WO (1) WO20141070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358B2 (en) 2018-08-29 2022-04-19 Tai Hong CHOI Smart phone case combination keyboard for bli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71500A (en) * 2013-10-14 2019-10-15 Chee Tieng Wong A functional flip cover protective case with physical keypad for smart phone devices
USD777155S1 (en) * 2015-02-17 2017-01-2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77716S1 (en) * 2015-02-19 2017-01-31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9344S1 (en) 2015-02-19 2017-06-1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6851S1 (en) * 2015-02-23 2017-05-16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7491S1 (en) * 2015-02-23 2017-05-2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6852S1 (en) * 2015-02-23 2017-05-16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9345S1 (en) 2015-02-23 2017-06-1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87492S1 (en) 2015-02-23 2017-05-2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831632S1 (en) * 2015-12-24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harger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ES2586290B1 (es) * 2016-02-04 2017-07-24 José Juan ALACID PEÑALVER Accesorio optimizador de escritura para pantalla táctil.
USD828346S1 (en) 2017-03-04 2018-09-11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36623S1 (en) 2017-04-18 2018-12-25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54693S1 (en) 2017-06-12 2022-06-1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0318S1 (en) 2017-06-23 2021-05-25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58501S1 (en) 2017-08-16 2019-09-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41638S1 (en) * 2017-08-22 2019-02-26 Eljon Jackson Wrist worn phone holder
USD862447S1 (en) 2017-09-21 2019-10-08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861658S1 (en) 2017-09-27 2019-10-01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83972S1 (en) 2017-10-16 2020-05-1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90157S1 (en) 2018-01-10 2020-07-1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68767S1 (en) 2018-01-18 2019-12-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57685S1 (en) 2018-02-05 2019-08-27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62452S1 (en) 2018-02-23 2019-10-08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s
USD891418S1 (en) 2018-07-16 2020-07-28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2911S1 (en) 2018-07-26 2020-11-24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94164S1 (en) 2018-11-26 2020-08-25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77136S1 (en) 2019-02-25 2020-03-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1477S1 (en) 2019-04-18 2020-11-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5675S1 (en) 2019-06-25 2020-12-2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1478S1 (en) 2019-07-24 2020-11-10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0085S1 (en) 2019-08-01 2020-10-27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5682S1 (en) 2019-08-22 2020-12-2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39491S1 (en) 2019-08-22 2021-12-28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5683S1 (en) 2019-08-26 2020-12-2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05684S1 (en) 2019-08-27 2020-12-22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6742S1 (en) 2019-09-06 2021-08-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26743S1 (en) 2019-09-11 2021-08-0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911323S1 (en) 2020-03-25 2021-02-23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258A (ja) * 1985-06-14 1986-12-18 Nippon Texas Instr Kk 電子機器用ケ−ス
US6999804B2 (en) * 2001-01-22 2006-02-14 Wildseed, Ltd. Interchangeable covering addition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display and key reorientation
KR200242596Y1 (ko) * 2001-04-28 2001-10-12 박정훈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JP2003140804A (ja) * 2001-10-30 2003-05-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KR101172454B1 (ko) * 2006-10-20 2012-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CN201219079Y (zh) * 2007-12-08 2009-04-08 乔桂华 触摸定位键盘
KR20100006264U (ko) * 2008-12-11 2010-06-21 곽창인 장애인용 핸드폰 키보드
US20100238119A1 (en) * 2009-03-18 2010-09-23 Zivthan Dubrovsky Touchscreen Keyboard Overlay
KR20100116084A (ko) * 2009-04-21 2010-10-29 이제명 터치스크린 휴대폰케이스
KR101641229B1 (ko) * 2009-10-23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US8279589B2 (en) * 2010-02-01 2012-10-02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entry from a removable portable device cover
TWI377464B (en) * 2010-02-02 2012-11-21 Pegatron Corp Mobile apparatus
US8988355B2 (en) * 2012-06-13 2015-03-24 Solomatrix, Inc. Keyboard appliance for touchscre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0358B2 (en) 2018-08-29 2022-04-19 Tai Hong CHOI Smart phone case combination keyboard for bli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7077A1 (ko) 2014-07-10
US20150335116A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0347A (ko)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JP6224202B2 (ja) 腕時計キーボード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CN201348962Y (zh) 手持无线通信设备
KR100964732B1 (ko) 전자기기
WO2014085820A1 (en)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US8562437B2 (en) Keyboard equipped with functions of operation buttons and an analog stick provided in a game controller
JP2013025422A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JP6109788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作動方法
US8115749B1 (en) Dual touch pad interface
JP4944267B1 (ja) 選択肢選択・文字入力装置、選択肢選択・文字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4052666A (ja) タッチパネル用入力補助装置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US20120274548A1 (en) Pliable fingertip key depressor for use with small keyboards
KR101136096B1 (ko) 가상 키보드의 키버튼 구분장치
KR101432529B1 (ko) 키보드 기능을 갖는 마우스
KR20100011716A (ko) 입력 장치
JP2012243153A (ja) 情報処理装置
EP2360895B1 (en) Cellular phone
CN106325732A (zh) 盲打膜
KR20190023252A (ko) 조도 센서를 이용한 멀티 터치 장치 및 방법
KR20140111180A (ko) 터치 패널을 덮은 상태에서도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폰 커버
KR20110057027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50009284A (ko) 손가락 끝에 소형 입력장치를 장착해 사용하는 착용형 입력장치
KR20130104929A (ko) 장갑용 비전도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비전도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