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351A1 - 편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5351A1
WO2019245351A1 PCT/KR2019/007577 KR2019007577W WO2019245351A1 WO 2019245351 A1 WO2019245351 A1 WO 2019245351A1 KR 2019007577 W KR2019007577 W KR 2019007577W WO 2019245351 A1 WO2019245351 A1 WO 20192453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tarder
layer
film
polarizing plat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5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형일
고동호
김성진
정철인
이명호
김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980029932.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074408B/zh
Priority to US17/053,020 priority patent/US20210252813A1/en
Publication of WO20192453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53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2037/009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 which absence of adhesives is explicitly presented as an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retarder may b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the like.
  •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transfer type thin film retarder of 10 micrometers or less requires the process of plywooding each retarder to a polarizer, respectively.
  • a transfer medium such as an adhesive
  •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thin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optical performance.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transfer retarder laminate comprising a carrier substrate, an alignment film and a retarder layer in sequence; And plywood the transfer type retarder laminate on one surface of the polymer stretched film containing a dichroic material.
  • the transfer of the retarder may refer to a process of peeling and removing the carrier substrate after plywood the retarder formed on the carrier substrate through an adhesive or the like, for example, a polarizer.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implify the process by directly injecting the transfer type retarder into the plywood process of the existing polarizer drawing process instead of the step of separately plying the transfer type retarder layer after the stretching process and the plywood process of the polarizer.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implify the process by directly injecting the transfer type retarder into the plywood process of the existing polarizer drawing process instead of the step of separately plying the transfer type retarder layer after the stretching process and the plywood process of the polarizer.
  • by removing unnecessary layers in addition to the layer for the optic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ery thin polarizing plate at the same performance.
  • the stretching process of the polarizer is difficult to change the speed freely because the stretching speed of the polymer film must be constant, and even after the plywood process of the polarizer, it must go through a long process path such as an oven UV inspector.
  • the transfer retarder may be partially peeled off the carrier substrate, which is difficult because the process line cannot be stopped.
  • the transfer object can be transferred well, bu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retarder from peeling off the carrier in other driving situations.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transfer the retarder to the transfer target, but the retarder can be prevented from peeling off the carrier in other driving conditions. After confirming that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of directly injecting the transfer retarder w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of the transfer retarder laminate may be in the range of 0.10 N / 20mm to 0.13 N / 20mm.
  • the peel force may be a peel force measured at a peel angle of 90 ° and a peel rate of 300 mm / min.
  • the peeling force is less than 0.10 N / 20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are peeled off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peeling off the carrier substrate, and when the peeling force exceeds 0.13 N / 20mm, after the plywood process There exists a problem which is difficult to peel a carrier base material.
  • a carrier base material a well-known material can be used without a restriction
  • inorganic base materials such as a glass film, a crystalline or amorphous silicon film, a quartz, or an Indium Tin Oxide (ITO) film, a plastic base, etc. can be used.
  • ITO Indium Tin Oxide
  • plastic substrate examples include triacetyl cellulose (TAC); COP (cyclo olefin copolymer) such as norbornene derivatives; Poly (methyl methacrylate); PC (polycarbonate); PE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PVA (polyvinyl alcohol); DAC (diacetyl cellulose); PAC (Polyacrylate); PES (poly ether sulfone); PEEK (polyetheretherketon Substrates including polyphenylsulfone (PPS), polyetherimide (PEI); polyethylenemaphthatlate (PEN); polyethyleneterephtalate (PET); polyimide (PI); polysulfone (PSF); polyarylate (PAR) or amorphous fluorine resin It is not limited.
  • TAC triacetyl cellulose
  • COP cyclo olefin copolymer
  • PC polycarbonate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PVA poly
  • the alignment layer may have a function of aligning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ncluded in the retarder layer described later.
  • the alignment layer may be a photo alignment layer.
  • the photo alignment layer may exhibit orientation characteristics by a non-contact method such as irradiation of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alignment layer may include a photoalignment compound.
  • the term photo-orientation compound may refer to a compound that is alig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irradiation of light and orientates adjacent liquid crystal compounds or the like in the alignment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the alignment compound may be a monomolecular compound, a monomeric compound, an oligomeric compound, or a high molecular compound.
  • the photoalignable compound may be a compound including a photosensitive moiety.
  • Various photo-alignment compounds that can be used for the alignment of the liquid crystal compound are known.
  • Photo-alignment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compounds aligned by trans-cis photoisomerization; Compounds aligned by photo-destruction, such as chain scission or photo-oxidation; Compounds ordered by photocrosslinking or photopolymerization such as [2 + 2] addition cyclization ([2 + 2] cycloaddition), [4 + 4] addition cyclization or photodimerization; Compounds aligned by photo-Fries rearrangement or compounds aligned by ring opening / closure reaction may be used.
  • azo compounds or stilbenes such as sulfated diazo dyes or azo polymers
  • cyclobuta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cyclobutane-1,2,3,4-tetracarboxylic dianhydride
  • aromatic polysilane or polyester polystyrene or polyimide and the like
  • polystyrene or polyimid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 a compound aligned by photocrosslinking or photopolymerization a cinnamate compound, a coumarin compound, a cinnanam compound, a tetrahydrophthalimide compound, a maleimide compound , Benzophenone compounds, diphenylacetylene compounds, compounds having chalconyl resid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lconyl compounds) or compounds having anthracenyl resid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thracenyl compounds) as photosensitive residues;
  • chalconyl compounds compounds having chalconyl residues
  • anthracenyl compounds compounds having anthracenyl residues
  • examples of the compounds aligned by the optical freeze rearrangement include aromatic compounds such as benzoate compounds, benzoamide compounds, and methacrylamidoaryl methacrylate compounds.
  • the compound aligned by the ring-opening / ring-closure reaction such as a spiropyran A [4 + 2] ⁇ electron system ([4 + 2] ⁇ electronic system), but may be exemplified by compounds such as sorting by a ring opening / ring-closure reaction of,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 the photo-alignment compound may be a monomolecular compound, a monomeric compound, an oligomeric compound, or a high molecular compound, or may be in the form of a blend of the photo-alignment compound and the polymer.
  • the oligomeric or polymeric compound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residue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photoalignable compound or a photosensitive residue described above in the main chain or in the side chain.
  • Polymers having residues or photosensitive residues derived from photo-alignment compounds or that can be mixed with the photo-alignment compounds include polynorbornene, polyolefins, polyarylates, polyacrylates, poly (meth) acrylates, poly Examples include mead, poly (amic acid), polymaleimide, polyacrylamide, polymethacrylamide, polyvinyl ether, polyvinyl ester, polystyrene, polysiloxane, polyacrylonitrile or polymethacrylonitril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olymeric compounds that can be used as the photo-alignment compound include polynorbornene cinnamate, polynorbornene alkoxy cinnamate, polynorbornene allylyloxy cinnamate, polynorbornene fluorinated cinnamate, polynorbornene chlorination Cinnamate or polynorbornene discinnamate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riented compound is a polymeric compound
  • the compound may have, for exampl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 g / mol to 500,000 g / m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lignment layer may be formed by irradiating polarized ultraviolet rays after coating the alignment layer composition including the photoalignable compound on a carrier substrate or a retarder layer.
  • the alignment layer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v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rying before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after the coating.
  • the coating method of the alignment film composition may be performed by coating through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for example, roll coating, printing, inkjet coating, slit nozzle method, bar coating, comma coating, spin coating or gravure coating.
  •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for example, roll coating, printing, inkjet coating, slit nozzle method, bar coating, comma coating, spin coating or gravure coating.
  • the alignment layer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initiator in addition to the photoalignment compound.
  • a photoinitiator as long as it can induce free radical reaction by the ancestor of light, it can use without a restriction
  • a photoinitiator an alpha hydroxy ketone compound, an alpha amino ketone compound, a phenyl glyoxylate compound, an oxime ester compound, etc. can be illustrated, for example, an oxime ester compound can be used.
  • the ratio of the photoinitiator in the alignment film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cluded to such an extent that an appropriate reaction can be induced.
  • the method of adjusting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said carrier base material and the retarder in the said range is not restrict
  •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 rays when forming the alignment film on the carrier substrate.
  •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s may be in the range of, for example, 250 mJ / cm 2 to 1300 mJ / cm 2 .
  • the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can obtain desired peeling force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ange of an ultraviolet irradiation amount within the said range according to the kind of carrier base material and an orientation film composition.
  • the retarder layer may be a cured layer of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 the term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mean a compound containing a site capable of exhibiting liquid crystallinity, for example, a mesogen skeleton, and the like, and further including at least on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
  • Such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s are variously known under the name of RM (Reactive Mesogen).
  •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 polymerized form in the cured layer, which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liquid crystal compound is polymerized to form a skeleton such as a main chain or a side chain of the liquid crystal polymer in the cured layer. have.
  • th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may be, for example, an alkenyl group, epoxy group, carboxyl group, acryloyl group, methacryloyl group, acryloyloxy group or methacryloyloxy group.
  •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a monofunctional or polyfunctional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 the monofunctional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mean a liquid crystal compound having on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 the polyfunctional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mean a liquid crystal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 the retarder layer may comprise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in a horizontal orientation, a vertical orientation, a spray orientation, or a tilted orientation.
  • the alignment state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desired retarder layer.
  • the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by forming an alignment layer on a carrier substrate and then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on the alignment layer.
  • the transfer retarder stack may include a retarder layer of a single layer structure. In this case, after forming the alignment layer on the carrier substrate, the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step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on the alignment layer once.
  • the transfer retarder stack may include a multi-layered retarder layer. In this case, after forming the alignment layer on the carrier substrate, the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by performing a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on the alignment layer two or more times.
  • the retarder when the retarder has an n-layer structure, the retarder may be formed by perform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alignment layer o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process of coating and curing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n times.
  • the retarder layer has a two-layer structure, after forming a first alignment layer on the carrier substrate, the first liquid crystal composition is coated and cured on the first alignment layer to form a first retarder layer.
  • the second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by coating and curing the second liquid crystal composition on the second alignment layer to form a second retarder layer.
  • the coat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omposition may be carried out by coating through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for example, roll coating, printing, inkjet coating, slit nozzle method, bar coating, comma coating, spin coating or gravure coating.
  • a known coating method such as, for example, roll coating, printing, inkjet coating, slit nozzle method, bar coating, comma coating, spin coating or gravure coating.
  • the harden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composi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can be performed by a well-known liquid crystal compound polymerization method.
  • the polymerization may be performed by maintaining a suitable temperature or by irradiating an appropriate active energy ray so tha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can be initiated. If the maintenance 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irradia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 the irradiation of the active energy ray may be performed using, for example,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electrodeless lamp or a xenon lamp, and the like, and the conditions such as the wavelength, light intensity, or light quantity of the active energy ray to be irradiated are described above.
  • the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compound can be selected in a range that can be appropriately made.
  • an adhesive or an adhesive may not be used when the retarder layer is formed. Through this, by removing unnecessary layers in addition to the layer for optic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ery thin polarizing plate at the same performance.
  •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include an adhesive or an adhesive layer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layer or between the plurality of retarder layers when the retarder lay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thickness increase by excluding the adhesive or the adhesive used for the transfer of two or more retarder layers. In addition, since the use of the adhesive or the adhesive layer in the transfer process requires the plywood step of the retarder layer and the peeling step of the carrier substr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steps increases as the number of retarder layers increases. In the present application,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tarder layer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multilayered retarder layer can be manufactured by only one transfer process, and thus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 the thickness of the retarder layer may be 0.2 ⁇ m to 10 ⁇ m.
  • each retarder layer may satisfy the above thickness range independently.
  • the polarizer may be used as a circular polarizer or an optical compensation polarizer.
  • the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to satisfy the refractive index relationship of any one of Equations 1 to 7 below.
  • each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to satisfy the refractive index relationship of any one of Equations 1 to 7 below.
  • nx> ny nz (+ A plate)
  • nx nz> ny (-A plate)
  • nz> nx ny (+ C plate)
  • nx ny> nz (-C plate)
  • nx, ny, and nz denote refractive indexes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of the retarder layer, respectively.
  • the x-axis direction may refer to a slow axis direction
  • the y-axis direction to a fast axis direction
  • the z-axis direction may mean a thickness direction.
  • the refractive index may refer to a refractive index for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550 nm.
  • the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to satisfy the wavelength dispersion of any one of Equations 8 to 10, respectively.
  • each retarder layer may be formed to satisfy wavelength dispersion of any one of Equations 8 to 10 independently.
  • Equation 8 may be referred to as a reverse dispersion characteristic
  • Equation 9 may be referred to as a normal dispersion characteristic
  • Equation 10 may be referred to as a flat dispersion characteristic.
  • R (450) / R (550) R (650) / R (450)
  • R ( ⁇ ) may mean a phase difference value for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 nm of the retarder layer.
  • the retardation value may mean a plane direction retardation (Rin) value calculated by Equation 11 or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value calculated by Equation 12 below.
  • Rin d ⁇ (nx-ny)
  • Equations 11 and 12 nx, ny and nz are as defined above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retarder layer.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axis of a retarder layer and the absorption axis of a polarizer can also be suit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objective polarizing plate.
  • the polymer stretched film containing the dichroic material may be referred to as a polarizer.
  • polarizer means a film, sheet or device having a polarizing function.
  • the polarizer is a functional element that can extract light vibrating in one direction from incident light vibrating in various directions.
  • the polarizer may be an absorption type polarizer.
  • an absorbing polarizer refers to an element that exhibits selective transmission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incident light.
  • the absorption type polarizer may transmit light oscillating in one direction from incident light oscillating in various directions and absorb light oscillating in the other direction.
  • the polarizer may be a linear polarizer.
  •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means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selectively transmitted light vibrates in one direction, and linearly polarized light in which selectively absorbing light vibrate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ibration direction of the linearly polarized light.
  • the dichroic material may be an iodine or dichroic dye.
  • the dichroic material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stretched film in an oriented state. In one example, the dichroic material may be present in a state oriented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ymer stretched film.
  • the polymer stretched film containing the dichroic material may be formed by dyeing the dichroic material on the polymer film and then stretching the polymer film.
  • a polyvinyl alcohol-based stretched film can be used as the polymer stretched film.
  • the transmittance to polarization degree of the polarize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er may be 42.5% to 55%,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may be 65% to 99.9997%.
  • the retarder layer may be laminated to a polymer stretched film via an adhesive layer.
  • the plywood of the retarder layer and the polymer stretched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tarder layer or in a stat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gent can be used, for example.
  • an acrylic adhesive for example, polyester acrylic, polystyrene acrylic, epoxy acrylic, polyurethane acrylic or polybutadiene acrylic, silicone acrylic, or alkyl acrylic adhesiv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side of the adhesive may be in contact with the polymer stretched film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tarder layer.
  • the retarder layer is directly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have a structure that does not have a base film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erefore, sinc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include an unnecessary layer other than the layer for optical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very thin polarizing plate at the same performance.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plywood a surface treatment film on one surface of the polymer stretched film.
  • the surface treatment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transfer retarder laminate of the polymer stretched film is laminated.
  • the plywood of the surface treatment film and the polymer stretched film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dhesive layer.
  • the plywood of the surface treatment film and the polymer stretched film may be in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or in a stat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rface treatment film.
  • As the adhesive layer a known adhesive used for adhesion of the polarizer and the base film can be used.
  • the adhesive layer examples include polyvinyl alcohol adhesives; Acrylic adhesives; Vinyl acetate adhesives; Urethane adhesives; Polyester-based adhesives; Polyolefin adhesives; Polyvinyl alkyl ether adhesives; Rubber adhesives; Vinyl chloride-vinylacetate adhesives; Styrene-butadiene-styrene (SBS) adhesives; Hydrogenated (SEBS) -based adhesives of styrene-butadiene-styrene; Ethylene-based adhesives; And it may include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of acrylic ester-based adhesives and the like.
  • Such an adhesive can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n aqueous, solvent-based or solvent-free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thermosetting type,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moisture curing type, active energy ray curing type or hybrid curing type adhesive composition.
  • one side of the adhesive may be in contact with the polymer stretched film and the other side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reated film.
  • the plywood process of the surface treatment film and the plywood process of the transfer retarder laminate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plate.
  • a known surface treatment film may be used as the surface treatment film.
  • the surface treatment film may include, for example, a base film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on the base film.
  • the base film include triacetyl cellulose (TAC), cyclo olefin copolymer (COP), acryl, or polyethylene terephtalate (PET).
  • TAC triacetyl cellulose
  • COP cyclo olefin copolymer
  • PET polyethylene terephtalate
  • the surface treatment layer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a hard coating layer, and the like.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carrier substrate after the transfer retarder laminate is laminated to a polymer stretched film. Removal of the carrier substrate can be performed by peeling the carrier substrate from the retarder layer. One surface of the carrier substrate may not be released, and may be released if necessary.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alignment layer from which the carrier substrate is remov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lignment layer via the adhesive layer or directly on one side of the alignment layer.
  •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rubbe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used for attaching a polarizing plate to a display device.
  • th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sed as a circular polarizing plate or an optical compensation polarizing plate. Such a polarizer may be used in various display devices.
  •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display element,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or a light emitting device as a light emitting source.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s the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n inorganic electro 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 a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electric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etc.), Surface Field Emission Display (SED), Electronic Paper (Display Using Electronic Ink or Electrophoretic Element), Plasma Display, Projection Display (Grating Light Valve (GLV) Display, Digital Micro Mirror Device (DMD) And a piezoelectric ceramic display.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ny of a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direct view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roj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 These display devices may be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images or stereoscopic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 th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the in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the optical compensation polarizing plat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touch panel display device.
  • optical performance of this application is excellent and can provid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very thin polarizing plate.
  • a polarizer may be used as a circular polarizer or an optical compensation polarizer in various display devices.
  • FIG. 1 exemplarily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 FIG. 2 exemplarily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2.
  • FIG. 3 exemplarily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 FIG. 4 exemplarily shows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2.
  • FIG. 5 is an optical characteristic evaluation result of 1 compared with Example 1.
  • FIG. 6 is a reflectance graph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f 1 compared with Example 1.
  • FIG. 7 is an optical characteristic evaluation result of 2 compared with Example 2.
  • FIG. 8 is a reflectance graph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2 compared with Example 2.
  • FIG. 9 is a result of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evaluation of Example 1.
  • FIG. 10 is a result of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evaluation of Comparative Example 3.
  •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was measured with a TA50 / 900E Taxture Analyzer from Stable Micro Systems. Specifically, the peeling force was measured while pulling the retarder from the carrier substrate at a peel angle of 90 ° and a peel rate of 300 mm / min (measured temperature: 20 ° C.).
  •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the retarder layer of single layer structur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IG. 1 (The orientation film is not shown).
  • the alignment film composition (polycinnamate-based alignment film) on the carrier substrate 10 (PET film, thickness: 100 ⁇ m, area: 100cm 2 ) and dried, the alignment film is formed by irradiating UV light in the UVB region. It was.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ultraviolet ray is 250 mJ / cm 2 .
  • a horizontal alignment liquid crystal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alignment layer and cured by irradiating 400 mJ / cm 2 ultraviolet rays to form a +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 ⁇ m and having a ⁇ / 4 characteristic as the retarder 20 (see FIG. 1). a).
  • the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is 0.11 N / 20 mm.
  • a PVA-based stretched film 30 having a thickness of 12 ⁇ m in which iodine was dyed as a polarizer was prepared.
  • As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 a film having a hard coat layer coated on a TAC base film having a total thickness of 42 ⁇ m was prepared (b of FIG. 1).
  • the first adhesive 501 is dispo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30 and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 and the second adhesive 502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30 and the retarder layer 20.
  •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FIG. 1C).
  • a UV curabl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 ⁇ m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 the carrier base material 10 was peeled from the retarder layer 20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and the adhesive layer 60 (PSA) of thickness 13micrometer was formed (d of FIG. 1).
  •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was 72 ⁇ m.
  • a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er lay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was manufactured (orientation film is not shown).
  • the first alignment layer was formed on the carrier substrate 10 (PET film, thickness: 100 ⁇ m, area: 100 cm 2 )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a second alignment layer was formed on the first retarder layer 201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a second retarder layer 202 is formed as a +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 ⁇ m and having a ⁇ / 4 characteristic. It was.
  • the polarizer 30 and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 were prepared by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c of FIG. 2).
  • the first adhesive 501 is dispos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30 and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 and the second adhesive 502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30 and the second retarder layer 202.
  • th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arrange
  • the carrier base material 10 was peeled from the 1st retarder layer 201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and the adhesive layer 60 (PSA) of 13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formed (FIG. 2E).
  •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2 was 73 ⁇ m.
  •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the retarder layer of single layer structur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IG. 3 (The orientation film is not shown).
  • the polarizer 30 and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1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 m was prepared as the base film 402 (FIG. 3A).
  •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 an aqueous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was used.
  • An alignment film was formed on the carrier substrate 10 (PET film, thickness: 100 ⁇ m, area: 100 cm 2 )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a horizontal alignment liquid crystal composition was coated on the alignment layer and cured by irradiation with 400 mJ / cm 2 ultraviolet rays to form a + A plate having a thickness of 3 ⁇ m and having a ⁇ / 4 characteristic as the retarder layer 20 (FIG. 3).
  • a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by disposing a third adhesive 503 between the base film 402 and the retarder layer 20 and plywood (c in FIG. 3).
  • a UV curabl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 ⁇ m was used as the third adhesive.
  • the carrier base material 10 was peeled from the retarder layer 20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and the adhesive layer 60 (PSA) of thickness 13micrometer was formed (d of FIG. 3).
  •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111 ⁇ m.
  • a polarizing plate having a retarder lay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was manufactured (orientation film is not shown).
  • the polarizer 30 and the surface treatment film 401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a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 m was prepared as the base film 402 (FIG. 4A).
  • a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 an aqueous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00 nm was used as the first adhesive and the second adhesive.
  • a first alignment layer was formed on the first carrier substrate 101 (PET film, thickness: 100 ⁇ m, area: 100 cm 2 )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arrange
  • a UV curabl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 ⁇ m was used as the third adhesive.
  • a second alignment layer was formed on the second carrier substrate 102 (PET film, thickness: 100 ⁇ m, area: 100 cm 2 )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 C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 ⁇ m and a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of 60 nm as a second retarder layer 202 by coating a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composition on the second alignment layer and curing by irradiating 400 mJ / cm 2 ultraviolet rays. Formed (c in FIG. 4) (c in FIG. 4).
  • the first carrier substrate 202 was peeled from the first retarder layer 201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retarder layer was attached to the first retarder layer via the fourth adhesive layer 504 (FIG. 4). d).
  • a UV curable adhesive having a thickness of 1 ⁇ m was used as the third adhesive.
  • the 2nd carrier base material 102 was peeled from the 2nd retarder layer 202 of the said polarizing plate, and the adhesive layer 60 (PSA) of 13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formed (FIG.4E).
  • the total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113 ⁇ m.
  • the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ttached to the OLED TV Panel (55 ⁇ Panel of LG Display)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0, and the reflectances of the incident angle and the azimuth angle were measured by EZ contrast of ELDIM.
  • 5 to 8 are graphs of evaluation results.
  • the color contours mean colors at all directions and at all angles of incidence, and the lighter the colors, the better the viewing angle uniformity characteristics.
  • the color contour with contrast means color and reflectance at all directions and all incident angles, and the darker it is, the better th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are.
  •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have the same level of luminous sensitivity and reflectivity,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luminous sensitivity and reflectance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are similar.
  •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may be expressed as a difference in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tarder layers, and it is confirmed that Example 2 has a lower reflectance for each viewing angle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2. Can be. This is because the second retarder layer of Example 2 is closer to the [lambda] / 4 characteristic than the second retarder layer of Comparative Example 2. If the phase difference values are the same, the reflectance is expected to be the same.
  • Example 1 th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except that the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ray was changed to 1300 mJ / cm ⁇ 2> at the time of formation of an oriented film.
  • the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is 0.13 N / 20 mm.
  • Example 1 TAC film (thickness: 40 micrometers, area: 100 cm ⁇ 2> ) was used instead of PET film as a carrier base material, except the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ray was changed to 1300 mJ / cm ⁇ 2> at the time of formation of an oriented film. Prepared a polarizing plate in the same manner. The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is 0.06 N / 20 mm.
  • Example 1 TAC film (thickness: 40 micrometers, area: 100 cm ⁇ 2> ) was used instead of PET film as a carrier base material, except the irradiation amount of ultraviolet-ray was changed to 250 mJ / cm ⁇ 2> at the time of formation of an oriented film.
  • the peel force between the carrier substrate and the retarder is 0.08 N / 20 mm.
  • Judging 10 is an evaluation result image of Example 1 (A: non-transfer zone, B: transcription zone, C: interface).

Abstract

본 출원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광학 성능이 우수하고 얇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서 원 편광판 내지 광학 보상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출원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6월 22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7176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리타더(Retarder)를 포함하는 편광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10㎛ 이하의 전사형 박막 리타더를 포함하는 편광판은 각 리타더를 편광자에 각각 합판하여 전사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2층 이상의 리타더를 전사하는 공정 시 점착제 등의 전사 매개체에 의한 두께 상승이 불가피하다(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191104호).
본 출원은 광학 성능이 우수하고 얇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캐리어 기재, 배향막 및 리타더 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연신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타더의 전사는 캐리어 기재 상에 형성된 리타더를 접착제 등을 통해서 피전사체, 예를 들어, 편광자에 합판한 후 상기 캐리어 기재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의 연신 공정과 합판 공정 후에, 전사형 리타더 층을 별도로 합판하는 공정 대신에, 기존 편광자의 연신 공정의 합판 공정에 전사형 리타더를 직접 투입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학 성능을 위한 층 외에 불필요한 층을 제거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에서 매우 얇은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편광자의 연신 공정은 고분자 필름의 연신 속도가 일정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를 자유롭게 변경하기 어렵고, 편광자의 합판 공정 후에도 오븐 UV 검사기 등의 긴 공정 경로(process path)를 거쳐야 한다. 긴 공정 경로 내에서 전사형 리타더가 캐리어 기재에서 일 부분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정 라인을 정지할 수 없기 때문에 조치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 전사체에는 전사가 잘 되나 그 외의 주행 상황에서는 리타더가 캐리어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이 소정 범위 내인 경우, 피 전사체에는 전사가 잘 되나 그 외의 주행 상황에서는 리타더가 캐리어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기존 편광자의 합판 공정에 전사형 리타더를 직접 투입하는 공정의 실제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의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0.10 N/20mm 내지 0.13 N/20mm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은 90˚의 박리 각도와 300 mm/min의 박리속도에서 측정된 박리력일 수 있다. 상기 박리력이 0.10 N/20mm 미만인 경우, 캐리어 기재를 박리하기 전의 편광판의 제조 공정 중에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가 박리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박리력이 0.13 N/20mm를 초과하는 경우, 합판 공정 후에 캐리어 기재를 박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캐리어 기재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필름,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실리콘 필름, 석영 또는 ITO(Indium Tin Oxide) 필름 등의 무기계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재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A(polyvinyl alcohol); DAC(diacetyl cellulose); PAC(Polyacrylate);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 PPS(polyphenylsulf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maphthatl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I(polyimide); PSF(polysulfone); PAR(polyarylate)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등을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향막은 후술하는 리타더 층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을 정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은 광 배향막일 수 있다. 광 배향막은 직선 편광의 조사 등과 같은 비접촉식 방식에 의해 배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배향막은 광배향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배향성 화합물은, 광의 조사를 통하여 소정 방향으로 정렬(orientationally ordered)되고, 상기 정렬 상태에서 인접하는 액정 화합물 등을 역시 소정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배향성 화합물은, 단분자 화합물, 단량체성 화합물, 올리고머성 화합물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일 수 있다.
광배향성 화합물은, 광감응성 잔기(photosensitive moiety)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배향에 사용될 수 있는 광배향성 화합물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광배향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트랜스-시스 광이성화(trans-cis photoisomerization)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 사슬 절단(chain scission) 또는 광산화(photo-oxidation) 등과 같은 광분해(photo-destruction)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 [2+2] 첨가 환화([2+2] cycloaddition), [4+4] 첨가 환화 또는 광이량화(photodimerization) 등과 같은 광가교 또는 광중합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 광 프리즈 재배열(photo-Fries rearrangement)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 또는 개환/폐환(ring opening/closure) 반응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트랜스-시스 광이성화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술포화 디아조 염료(sulfonated diazo dye) 또는 아조고분자(azo polymer) 등의 아조 화합물이나 스틸벤 화합물(stilbenes) 등이 예시될 수 있고, 광분해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로는, 시클로부탄 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cyclobutane-1,2,3,4-tetracarboxylic dianhydride), 방향족 폴리실란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이미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광가교 또는 광중합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로는, 신나메이트(cinnamate) 화합물, 쿠마린(coumarin) 화합물, 신남아미드(cinnamamide) 화합물, 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tetrahydrophthalimide) 화합물, 말레이미드(maleimide)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또는 디페닐아세틸렌(diphenylacetylene) 화합물이나 광감응성 잔기로서 찰코닐(chalconyl) 잔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찰콘 화합물) 또는 안트라세닐(anthracenyl) 잔기를 가지는 화합물(이하, 안트라세닐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고, 광 프리즈 재배열에 의해 정렬되는 화합물로는 벤조에이트(benzoate) 화합물, 벤조아미드(benzoamide) 화합물, 메타아크릴아미도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methacrylamidoaryl methacrylate) 화합물 등의 방향족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으며, 개환/폐환 반응에 의해 정렬하는 화합물로는 스피로피란 화합물 등과 같이 [4+2] π 전자 시스템([4+2] π electronic system)의 개환/폐환 반응에 의해 정렬하는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배향성 화합물은, 단분자 화합물, 단량체성 화합물, 올리고머성 화합물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이거나, 상기 광배향성 화합물과 고분자의 블랜드(blend)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올리고머성 또는 고분자성 화합물은, 상기 기술한 광배향성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잔기 또는 상기 기술한 광감응성 잔기를 주쇄 내 또는 측쇄에 가질 수 있다.
광배향성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잔기 또는 광감응성 잔기를 가지거나, 상기 광배향성 화합물과 혼합될 수 있는 고분자로는, 폴리노르보넨, 폴리올레핀, 폴리아릴레이트, 폴라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암산(poly(amic acid)), 폴리말레인이미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아미드,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실록산, 폴리아크릴니트릴 또는 폴리메타크릴니트릴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 배향성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성 화합물로는, 대표적으로는 폴리노르보넨 신나메이트, 폴리노르보넨 알콕시 신나메이트, 폴리노르보넨 알릴로일옥시 신나메이트, 폴리노르보넨 불소화 신나메이트, 폴리노르보넨 염소화 신나메이트 또는 폴리노르보넨 디신나메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향성 화합물이 고분자성 화합물인 경우에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약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정도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향막은 상기 광 배향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향막 조성물을 캐리어 기재 또는 리타더 층 상에 코팅 후에 편광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배향막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팅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건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향막 조성물의 코팅 방법은 예를 들면, 롤 코팅, 인쇄법, 잉크젯 코팅, 슬릿 노즐법, 바 코팅, 콤마 코팅, 스핀 코팅 또는 그라비어 코팅 등과 같은 공지의 코팅 방식을 통한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배향막 조성물은 상기 광배향성 화합물에 추가로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광의 조상 의하여 자유 라디칼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 개시제로는, 알파 히드록시 케톤 화합물, 알파 아미노 케톤 화합물, 페닐 글리옥실레이트 화합물 또는 옥심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옥심 에스테르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배향막 조성물 내에서 광 개시제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정도로 포함되면 된다.
상기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박리력의 조절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자외선의 조사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의 조사량은 예를 들어 250 mJ/cm2 내지 1300 mJ/cm2 범위 내일 수 있다. 자외선 조사량은 캐리어 기재와 배향막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자외선 조사량의 범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박리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리타더 층은 액정 조성물의 경화 층일 수 있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부위, 예를 들면, 메소겐(mesogen) 골격 등을 포함하고, 또한 중합성 관능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성 액정 화합물들은 소위 RM(Reactive Mesogen)이라는 명칭으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경화 층 내에서 중합된 형태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상기 액정 화합물이 중합되어 경화 층 내에서 액정 고분자의 주쇄 또는 측쇄와 같은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관능기는 예를 들어 알케닐기, 에폭시기, 카복실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기일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에서 단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1개 가지는 액정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고, 다관능성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액정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리타더 층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 수직 배향, 스프레이 배향 또는 틸트 배향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 상태는 목적하는 리타더 층의 광학 물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리타더 층은 캐리어 기재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단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는 공정을 1회 수행함으로써 리타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다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는 공정을 2회 이상 수행함으로써 리타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리타더가 n층 구조를 갖는 경우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는 공정 n회 수행함으로써 리타더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리타더 층이 2층 구조를 갖는 경우, 캐리어 기재 상에 제 1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배향막 상에 제 1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여 제 1 리타더 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리타더 층 상에 제 2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배향막 상에 제 2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여 제 2 리타더 층을 형성함으로써 리타더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조성물의 코팅 방법은 예를 들면, 롤 코팅, 인쇄법, 잉크젯 코팅, 슬릿 노즐법, 바 코팅, 콤마 코팅, 스핀 코팅 또는 그라비어 코팅 등과 같은 공지의 코팅 방식을 통한 코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액정 조성물의 경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액정 화합물 중합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이 개시될 수 있도록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방식이나 적절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적정 온도에서의 유지 및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가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상기 공정은 순차적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예를 들면, 고압수은 램프, 무전극 램프 또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활성 에너지선의 파장, 광도 또는 광량 등의 조건은 상기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에 있어서, 리타더 층을 형성 시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광학 성능을 위한 층 외에 불필요한 층을 제거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에서 매우 얇은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층의 사이 또는 리타더 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 복수의 리타더 층 사이에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 층이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2층 이상의 리타더 층의 전사에 사용되는 접착제 내지 점착제를 배제함으로써 두께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사 공정 시의 접착제 내지 점착제 층의 사용은 리타더 층의 합판 공정과 캐리어 기재의 박리 공정을 필요로 하므로, 리타더 층의 매수가 증가할수록 공정 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에서는 리타더 층의 매수에 관계없이, 1회의 전사 공정만으로 다층의 리타더 층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타더 층의 두께는 0.2㎛ 내지 10㎛일 수 있다. 리타더 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각 리타더 층은 독립적으로 상기 두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리타더 층의 광학 물성은 목적하는 편광판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원 편광판 또는 광학 보상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리타더 층은 하기 수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굴절률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이 다층의 리타더 층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리타더 층이 독립적으로 하기 수식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굴절률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식 1]
nx>ny=nz (+A 플레이트)
[수식 2]
nx=nz>ny (-A 플레이트)
[수식 3]
nz>nx=ny (+C 플레이트)
[수식 4]
nx=ny>nz (-C 플레이트)
[수식 5]
nz>nx>ny (+B 플레이트)
[수식 6]
nx>ny>nz (-B 플레이트)
[수식 7]
nx>nz>ny (Z축 배향 필름)
수식 1 내지 7에서, nx, ny 및 nz는 각각 리타더 층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x축 방향은 지상축 방향을, y축 방향은 진상축 방향을, z축 방향은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굴절률은 약 55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리타더 층은 각각 하기 수식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분산성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타더 층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각 리타더 층이 독립적으로 하기 수식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파장 분산성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기 수식 8은 역분산 특성으로 호칭할 수 있고, 수식 9는 정분산 특성으로 호칭할 수 있고, 수식 10은 플랫분산 특성으로 호칭할 수 있다.
[수식 8]
R(450)/R(550) < R(650)/R(450)
[수식 9]
R(450)/R(550) > R(650)/R(450)
[수식 10]
R(450)/R(550)= R(650)/R(450)
수식 8 내지 10에서, R(λ)은 리타더 층의 λ nm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차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값은 하기 수식 11로 계산되는 면 방향 위상차(Rin) 값 또는 하기 수식 12로 계산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Rth)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식 11]
Rin = d × (nx - ny)
[수식 12]
Rth = d × (nz - ny)
수식 11 및 수식 12에서, nx, ny 및 nz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고, d는 리타더 층의 두께이다.
또한, 리타더 층의 광축과 편광자와의 흡수축과의 관계도 목적하는 편광판의 기능에 따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연신 필름은 편광자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가지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광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자이다.
상기 편광자는 흡수형 편광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흡수형 편광자는 입사 광에 대하여 선택적 투과 및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를 의미한다. 흡수형 편광자는 예를 들어,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는 입사 광으로부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선편광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편광자는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광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 편광이고,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광이 상기 선편광의 진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선편광인 경우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색성 물질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물질은 배향된 상태로 고분자 연신 필름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색성 물질은 고분자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연신 필름은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물질을 염착한 후, 상기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연신 필름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 내지 편광도는 본 출원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자의 투과율은 42.5% 내지 55%일 수 있고, 편광도는 65% 내지 99.9997% 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타더 층은 접착제 층을 매개로 고분자 연신 필름에 합판될 수 있다. 상기 리타더 층과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은, 접착제가 리타더 층의 일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또는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아크릴계 접착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폴리스티렌 아크릴계, 에폭시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아크릴계 또는 폴리부타디엔 아크릴계, 실리콘 아크릴계 또는 알킬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리타더 층과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 후에, 상기 접착제의 일면은 고분자 연신 필름과 접하고 다른 일면은 리타더 층과 접할 수 있다. 기존의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서 편광자의 양면에 기재 필름이 각각 합판되는 것과는 달리,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편광자의 어느 일면에는 리타더 층이 직접 합판된다. 본 출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에 기재 필름을 갖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광학 성능을 위한 층 외에 불필요한 층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동일 성능에서 매우 얇은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고분자 연신 필름의 일면에 표면 처리 필름을 합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필름은 고분자 연신 필름의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가 합판되는 반대 면에 합판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필름과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은 접착제 층을 매개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필름과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은 접착제가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는 표면 처리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층으로는 편광자와 기재 필름의 부착에 사용되는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층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수소 첨가물(SEBS)계 접착제; 에틸렌계 접착제;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는, 예를 들면, 수계, 용제계 또는 무용제계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열 경화형, 상온 경화형, 습기 경화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혼성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표면 처리 필름과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 후에, 상기 접착제의 일면은 고분자 연신 필름과 접하고 다른 일면은 표면 처리 필름과 접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표면 처리 필름의 합판 공정과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의 합판 공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조 방법은 편광판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표면 처리 필름으로는 공지의 표면 처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필름은 예를 들어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표면 처리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COP(cyclo olefin copolymer), Acryl 또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 층으로는 반사 방지 층, 하드 코팅 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고분자 연신 필름에 합판한 후에 캐리어 기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기재의 제거는, 리타더 층으로부터 캐리어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기재의 일면에는 이형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형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캐리어 기재가 제거된 배향막의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 층은 접착제 층을 매개로 배향막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배향막의 일면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 점착제 등의 공지의 점착제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은 편광판을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원 편광판 내지 광학 보상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란, 표시 소자를 갖는 장치이며, 발광원으로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표시 장치, 무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표시 장치, 터치 패널 표시 장치, 전자 방출 표시 장치 (전기장 방출 표시 장치 (FED 등), 표면 전계 방출 표시 장치 (SED)), 전자 페이퍼 (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사용한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투사형 표시 장 치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 (GLV)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DMD) 를 갖는 표시 장치 등)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직시형 액정 표시 장치 및 투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 중 어느 것도 포함한다. 이들 표시 장치는, 2 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여도 되고, 3 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 장치여도 된다. 특히 원 편광판은 유기 EL 표시 장치 및 무기 EL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광학 보상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 표시 장치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광학 성능이 우수하고 매우 얇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판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서 원 편광판 내지 광학 보상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2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비교예 1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비교예 2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과 비교에 1의 광학 특성 평가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과 비교에 1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와 비교에 2의 광학 특성 평가 결과이다.
도 8은 실시예 2와 비교에 2의 시야각에 따른 반사율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제조 공정성 평가 결과이다.
도 10은 비교예 3의 제조 공정성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예 1. 박리력의 측정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Stable Micro Systems 사의 TA50/900E Taxture Analyzer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리어 기재로부터 리타더를 90°의 박리 각도와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당기면서, 박리력을 측정하였다(측정 온도: 20℃).
실시예 1. 편광판 A의 제조
도 1의 제조 공정에 따라 단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배향막은 미도시).
구체적으로, 캐리어 기재(10)(PET 필름, 두께: 100㎛, 면적: 100cm2) 상에 배향막 조성물(폴리신나메이트계 배향막)을 바 코팅하고 건조한 후, UVB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자외선의 조사량은 250 mJ/cm2이다. 상기 배향막 상에 수평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리타더(20)로서 두께가 3㎛이고 λ/4 특성을 갖는 +A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도 1의 a).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0.11 N/20mm이다.
편광자로 요오드가 염착된 두께 12㎛의 PVA계 연신 필름(30)을 준비하였다. 표면 처리 필름(40)으로 총 두께가 42㎛인, TAC 기재 필름 상에 하드코트층을 코팅한 필름을 준비하였다(도 1의 b).
편광자(30)의 일면과 표면 처리 필름(40) 사이에 제 1 접착제(501)를 배치하고, 편광자(30)의 다른 일면과 리타더 층(20) 사이에 제 2 접착제(502)를 배치하여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도 1의 c). 상기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는 두께 1㎛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리타더 층(20)으로부터 캐리어 기재(10)를 박리하고, 두께 13㎛의 점착제층(60)(PSA)을 형성하였다(도 1의 d). 실시예 1의 편광판의 총 두께는 72㎛였다.
실시예 2. 편광판 B의 제조
도 2의 제조 공정에 따라 다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배향막은 미도시).
구체적으로, 캐리어 기재(10)(PET 필름, 두께: 100㎛, 면적: 100cm2)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배향막 상에 수직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제 1 리타더 층(201)으로서 두께가 1㎛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60nm인 +C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도 2의 a).
제 1 리타더 층(201)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배향막 상에 수평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제 2 리타더 층(202)으로서 두께가 3㎛이고 λ/4 특성을 갖는 +A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30) 및 표면 처리 필름(40)을 준비하였다(도 2의 c).
편광자(30)의 일면과 표면 처리 필름(40) 사이에 제 1 접착제(501)를 배치하고, 편광자(30)의 다른 일면과 제 2 리타더 층(202) 사이에 제 2 접착제(502)를 배치하여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도 2의 d). 상기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는 두께 1㎛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제 1 리타더 층(201)으로부터 캐리어 기재(10)를 박리하고, 두께 13㎛의 점착제층(60)(PSA)을 형성하였다(도 2의 e). 실시예 2의 편광판의 총 두께는 73㎛였다.
비교예 1. 편광판 C의 제조
도 3의 제조 공정에 따라 단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배향막은 미도시).
구체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30) 및 표면 처리 필름(401)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402)으로서 두께 40㎛의 TAC 필름을 준비하였다 (도 3의 a).
편광자(30)의 일면과 표면 처리 필름(401) 사이에 제 1 접착제(501)를 배치하고 편광자(30)의 다른 일면과 기재 필름(402) 사이에 제 2 접착제(502)를 배치하고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는 두께 100nm의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캐리어 기재(10)(PET 필름, 두께: 100㎛, 면적: 100cm2)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배향막 상에 수평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리타더 층(20)으로서 두께가 3㎛이고 λ/4 특성을 갖는 +A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도 3의 b).
상기 기재 필름(402)과 리타더 층(20) 사이에 제 3 접착제(503)을 배치하고,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도 3의 c). 상기 제 3 접착제로는 두께 1㎛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리타더 층(20)으로부터 캐리어 기재(10)를 박리하고, 두께 13㎛의 점착제층(60)(PSA)을 형성하였다(도 3의 d). 비교예 1의 편광판의 총 두께는 111㎛였다.
비교예 2. 편광판 D의 제조
도 4의 제조 공정에 따라 다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배향막은 미도시).
구체적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30) 및 표면 처리 필름(401)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402)으로서 두께 40㎛의 TAC 필름을 준비하였다 (도 4의 a).
편광자(30)의 일면과 표면 처리 필름(401) 사이에 제 1 접착제(501)를 배치하고 편광자(30)의 다른 일면과 기재필름(402) 사이에 제 2 접착제(502)를 배치하고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로는 두께 100nm의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제 1 캐리어 기재(101)(PET 필름, 두께: 100㎛, 면적: 100cm2)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1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1 배향막 상에 수평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제 1 리타더 층(201) 으로서 두께가 3㎛이고 λ/4 특성을 갖는 +A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도 4의 b).
상기 기재 필름(402)과 제 1 리타더 층(201) 사이에 제 3 접착제(503)을 배치하고, 합판함으로써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3 접착제로는 두께 1㎛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 2 캐리어 기재(102)(PET 필름, 두께: 100㎛, 면적: 100cm2)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 2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배향막 상에 수직 배향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400 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제 2 리타더 층(202)으로서 두께가 1㎛이고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이 60nm인 +C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도 4의 c) (도 4의 c).
편광판의 제 1 리타더 층(201)으로부터 제 1 캐리어 기재(202)를 박리하고, 제 1 리타더 층에 제 4 접착제층(504)을 매개로 제 2 리타더 층을 부착하였다 (도 4의 d). 상기 제 3 접착제로는 두께 1㎛의 UV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편광판의 제 2 리타더 층(202)으로부터 제 2 캐리어 기재(102)를 박리하고, 두께 13㎛의 점착제층(60)(PSA)을 형성하였다(도 4의 e). 비교예 2의 편광판의 총 두께는 113㎛였다.
평가예 1. 광학 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점착제층(60)을 매개로 OLED TV Panel(LG Display의 55˝Panel)에 부착하고, ELDIM사의 EZ contrast로 입사각, 방위각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도 5 내지 도 8는 평가 결과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7에서 각각 color contour는 전 방위, 전 입사각에서의 색상을 의미하고, 색상이 옅을수록 시야각 균일성 특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color contour with contrast는 전 방위, 전 입사각에서의 색상과 반사율을 의미하고, 어두워질수록 반사율 특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도 6 및 도 8에서 <0°>, <45°>, <90°> 및 <135°>는 각각 방위각을 의미하고, 그래프의 x축은 입사각(°)을 의미하며, 그래프의 y축은 반사율(%)을 의미한다. ELDIM사의 적분구 표준시료의 반사율을 100%로 본다. 평가 결과, 실시예 1과 비교예 1은 시감과 반사율이 동일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시감과 반사율이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서, 반사율의 차이는 제 1 리타더 층과 제 2 리타더 층의 위상차의 차이로 발현될 수 있는데, 실시예 2가 비교예 2에 비하여 시야각별 반사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2의 제 2 리타더 층이 비교예 2의 제 2 리타더 층에 비해 λ/4 특성에 좀 더 가깝기 때문이다. 위상차 값이 동일하면 반사율도 동일할 것으로 예측된다.
실시예 3. 편광판 E의 제조
실시예 1에 있어서, 배향막의 형성 시에 자외선의 조사량을 1300 mJ/cm2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0.13 N/20mm이다.
비교예 3. 편광판 F의 제조
실시예 1에 있어서, 캐리어 기재로 PET 필름 대신에 TAC 필름(두께: 40㎛, 면적: 100cm2)을 사용하고, 배향막의 형성 시에 자외선의 조사량을 1300 mJ/cm2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0.06 N/20mm이다.
비교예 4. 편광판 G의 제조
실시예 1에 있어서, 캐리어 기재로 PET 필름 대신에 TAC 필름(두께: 40㎛, 면적: 100cm2)을 사용하고, 배향막의 형성 시에 자외선의 조사량을 250 mJ/cm2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박리력은 0.08 N/20mm이다.
평가예 2. 편광판의 제조 공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기준으로 공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O: 캐리어 기재에서 리타더를 일부 떼어 냈을 때 캐리어 기재에서 리타더가 떨어진 부분과 리타더가 남아 있는 부분의 경계가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전사는 가능하나 캐리어 기재에 대한 밀착력은 최대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10은 실시예 1의 평가 결과 이미지이다(A: 비전사 구역, B: 전사 구역, C: 경계면).
X: 캐리어 기재에서 리타더를 일부 떼어 냈을 때 캐리어 기재에서 리타더가 떨어진 부분과 리타더가 남아 있는 부분의 경계가 부분적으로 뜯겨나간 모양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전사는 잘 되나 밀착력이 약하여 공정 진행 중 일부분이 캐리어 기재에서 탈리되거나(고분자 연신 필름과 합지 전), 리타더와 캐리어 기재 간의 들뜸 현상(고분자 연신 필름과 합지 후)의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도 11은 비교예 3의 평가 결과 이미지이다(A: 비전사 구역, B: 전사 구역, C: 경계면).
박리력(N/20mm) 공정성 평가 결과
실시예 1 0.11 O
실시예 3 0.13 O
비교예 3 0.06 X
비교예 4 0.08 X
[부호의 설명]
10, 101, 102: 캐리어 기재
20: 리타더 층, 201: 제 1 리타더 층, 202: 제 2 리타더 층
30: 고분자 연신 필름
40, 401: 표면 처리 필름, 402: 기재필름
501, 502, 503, 504: 제 1, 제 2, 제 3, 제 4 접착제층
60: 점착제층

Claims (15)

  1. 캐리어 기재, 배향막 및 리타더 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이색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분자 연신 필름의 일면에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의 캐리어 기재와 리타더 간의 90˚의 박리 각도와 300 mm/min의 박리속도에서의 박리력은 0.10 N/20mm 내지 0.13 N/20mm 범위 내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더 층은 액정 조성물의 경화 층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단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는 공정을 1회 수행함으로써 형성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다층 구조의 리타더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는 캐리어 기재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상기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는 공정을 2회 이상 수행함으로써 형성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에 있어서, 리타더 층의 형성 시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색성 물질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연신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연신 필름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색성 물질은 고분자 연신 필름의 연신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존재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더 층은 접착제 층을 매개로 고분자 연신 필름에 합판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층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층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연신 필름의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가 합판되는 반대 면에 표면 처리 필름을 합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필름의 합판은,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와 고분자 연신 필름의 합판과 동시에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필름은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표면 처리 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형 리타더 적층체를 고분자 연신 필름에 합판한 후에 캐리어 기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기재가 제거된 배향막의 일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PCT/KR2019/007577 2018-06-22 2019-06-24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92453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9932.XA CN112074408B (zh) 2018-06-22 2019-06-24 用于制造偏光板的方法
US17/053,020 US20210252813A1 (en) 2018-06-22 2019-06-24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66 2018-06-22
KR20180071766 2018-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351A1 true WO2019245351A1 (ko) 2019-12-26

Family

ID=6898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577 WO2019245351A1 (ko) 2018-06-22 2019-06-24 편광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52813A1 (ko)
KR (1) KR102267513B1 (ko)
CN (1) CN112074408B (ko)
WO (1) WO201924535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131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막용 이색성 염료, 이를 포함하는 편광막 조성물, 이를이용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편광판
KR20110098689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KR20120050401A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KR20140096605A (ko) * 2013-01-28 201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2827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4270A (ja) * 2005-10-18 2007-05-10 Nippon Oil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4924631B2 (ja) 2009-02-17 2012-04-25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CN104345372B (zh) * 2013-08-09 2018-04-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TW201520612A (zh) * 2013-11-05 2015-06-01 Fujifilm Corp 偏光板及偏光板之製造方法
KR102119328B1 (ko) * 2015-10-23 2020-06-04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배향막용 조성물, 광배향막,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JP6622385B2 (ja) * 2016-03-22 2019-12-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131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막용 이색성 염료, 이를 포함하는 편광막 조성물, 이를이용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편광판
KR20110098689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KR20120050401A (ko) *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KR20140096605A (ko) * 2013-01-28 2014-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2827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74408B (zh) 2023-05-16
KR102267513B1 (ko) 2021-06-22
KR20200000374A (ko) 2020-01-02
US20210252813A1 (en) 2021-08-19
CN112074408A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2520A1 (ko) 액정 소자
WO2011090355A2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WO2014104863A1 (ko) 편광 마스크
WO2019107906A1 (ko) 투과도 가변 장치 및 그 용도
WO2019146977A1 (ko) 다층 액정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09088240A2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전자 장치
WO2013115628A1 (ko) 액정 조성물
WO2019156330A1 (ko) 반사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21252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043979A1 (ko) 다층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WO2019245351A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3085315A1 (ko) 액정셀
WO2016085072A1 (ko) 편광자 보호층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자 보호층,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5047013A1 (ko) 광학 소자
WO2020145672A1 (ko) 광학 이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0153640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3055021A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WO2019117422A1 (ko) 접착제 조성물
WO2016175601A1 (ko) 편광자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20091552A1 (ko) 원편광판
WO2020091551A1 (ko) 원편광판
WO2019112163A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18080089A1 (ko) 투과도 가변 필름
WO2023080517A1 (ko) Uv 경화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46994A1 (ko) 다층 액정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20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220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