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476A1 -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476A1
WO2019216476A1 PCT/KR2018/006357 KR2018006357W WO2019216476A1 WO 2019216476 A1 WO2019216476 A1 WO 2019216476A1 KR 2018006357 W KR2018006357 W KR 2018006357W WO 2019216476 A1 WO2019216476 A1 WO 20192164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l
bulge
moving
bracket
bulg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3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세익
김인규
박성준
이제원
심영덕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917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92614B1/en
Priority to US17/054,337 priority patent/US11719609B2/en
Priority to CN201880092516.XA priority patent/CN112055810B/zh
Publication of WO20192164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4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34Assembling, maintenance or repair of the bu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5Geometry of the test
    • G01N2203/0252Monoaxial, i.e. the forces being applied along a single axis of the specim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30Assemblies of a number of fuel elements in the form of a rigid unit
    • G21C3/32Bundles of parallel pin-, rod-, or tube-shaped fuel elements
    • G21C3/34Spacer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 type bulge bulge tool fatigue te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WH type skeleton to be able to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fatigue degree of the bulge tool by repeatedly applying a fatigue load to the bulge tool or bulge tool prototype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 the nuclear fuel assembly has a top and bottom fixture that is compatible with the upper and lower core plates inside the reactor, and 10 to 13 support grids supporting a plurality of nuclear fuel rods and fuel rod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uclear fuel rods. It consists of a guide tube and a measuring tube of 4m length that is arranged and fastened to the support grid body to form a skeleton.
  • Such fuel assemblies are provided in two types, KSNP type and WH type.
  • the guide tube and the measuring tube of the double WH fuel assembly are in the form of a long tube, and the supporting grid 1 has several spaces 2 through which the guide tube and the measuring tube can pass, as shown in FIG.
  • the two guide tubes and the measuring tube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id 1 to form a skeleton.
  • the guide tube and the measuring tube inserted into the support grid 1 are fastened to the support grid 1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upport grid 1, through a process called bulge. It is performing a joint.
  •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spot welding when the guide tube or the measurement tub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grid 1, but in the case of the WH fuel assembly, the spot welding cannot be performed. Through the bulge process, pipe joints are carried out.
  • the sleeve 3 and the guide tube 4 are simultaneously swelled radially so that the pipe joint is made using local plastic deformation.
  • a tool used for local plastic deformation of the sleeve 3 and the guide tube 4 is called a bulge tool, and the bulge tool is shown in FIG. 4.
  • the bulge tool 10 is composed of a hollow cylinder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 the bulge tool 10 forms a plurality of cut slots (11), due to the slot 11 formed, the bulge tool 10 can be expanded as the slot 11 is opened.
  • the slot 11 of the bulge tool 10 is As the swelling portion 12 opens, the guide tube 4 and the sleeve 3 are p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guide tube 4 and the sleeve 5 are fastened.
  • the bulge tool 10 has a strong stress acting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ulge 12 and the slot 11 in the process of plastic deformation of the guide tube 4 while the slot 11 is expanded, repeated
  • the high risk of breaking the boundary wood in terms of stress concentration or fatigue fail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rocess manufacturing quality.
  • bulgetool prototyp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of the bulge tool 10, it is not easy to machine and satisfies the high hardness value through heat treatment and at the same tim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elongation, thereby preventing stress concentration, fatigue fracture and suitable machining. Testing of bulgetool prototypes is required in situations where technical measures are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andomly open the slot of the bulge tool through repeated entry and exit into the bulge tool repeatedly loa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ulge and the slot By concentrating the stress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e load is applied until fatigue failure occurs, the fatigue failure degree of the bulge tool can be measured easily and accurately, and the bulge tool prototype test can also be performed. To provide a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 both sides of the fixed through-hole fixed bracket A tool housing coupled to the tool hole of the fixing bracket and having a bulging tool inserted and installed to expose the bulge of the bulging tool through one side thereof;
  • a moving rai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l housing and providing a reciprocating movement path toward the tool housing;
  • a moving bracket reciprocating along the moving rail;
  • a pusher protruding from the moving bracket toward the tool housing and moving in and out of the bulge tool by a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 Measurement means installed between the pusher and the moving bracket and measuring a load applied to the bulge tool while the pusher moves in and out of the bulge tool; It provides a WH-type skeletal body bulge tool fatigue test device comprising a drive means for generating a power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bracket on the moving rail.
  • both sides of the fixing bracket is formed through the tool hole;
  • a moving rai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ed bracket and providing a reciprocating movement path toward the fixed bracket;
  • a moving bracket reciprocating along the moving rail;
  • a bulge tool prototype inserted through a tool hole of the fixing bracket, the slot being positioned opposite the moving rail;
  • a taper pin exposed through the slot of the bulge tool prototype through the inside of the bulge tool prototype to the moving rail side;
  • Measuring mean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means and the moving bracket to measure a load applied to the bulge tool prototype by the tapered pin; It provides a WH-type skeletal body bulge tool fatigue test device comprising a drive means for generating a power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bracket on the moving rail.
  • the connecting means the screw adapter is screwed to the bulge tool prototype exposed on the moving rail side, the tool adapter is inserted into the tool hole to fasten the bulge tool prototype to the fixed bracket;
  • the tapered pin adapter fastening the tapered pin exposed to the moving rail side to the measuring means.
  • the plug is fastened to the tip of the tool housing so that the bulge tool inserted in the tool housing is not separated from the tool housing, and a washer is interposed between the plug and the tool housing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lug and the tool housing is variable. It is preferable.
  • a guide fram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ing rai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and the sensor is installed on the guide fram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ving bracket, the power of the drive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moving bracket of the sensor
  •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bulge tool fatigue measurement it is provided to have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manner in which the guide tube is fastened to the support grid sleeve through the repeated push-in and out of the bulge tool,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bulge tool fatigue measurement. have.
  • 1 is a plan view showing a support grid of the WH-type fuel assembly.
  •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support grid of the WH-type fuel assembly dissected.
  •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method for fixing the guide tube in the state of fixing the guide tube using a sleeve of the support grid of the WH-type fuel assembly.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lge tool that is a tool for securing a guide tube to a sleev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tigue testing apparatus of the WH type skeleton bulge too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part “A” of FIG. 5;
  • Figure 7a and 7b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a state of measuring the fatigue of the bulge tool using the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8.
  •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in FIG. 8;
  • Figure 10a and Figure 10b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measuring the fatigue of the bulge tool prototype using the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WH-type skeletal bulge tool fatigue test device is a device to measure the fatigue load applied to the boundary of the finished bulge tool and to perform the bulge tool prototype test.
  • the WH-type skeletal body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body frame 100, the fixing bracket 200, the tool housing 300, and move The rail 400, the moving bracket 500, the pusher 600, the measuring means 700, the driving means 800, and the sensor 900 are configured to be included.
  • Each component is installed in the body frame 100 and is a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 the body frame 100 is preferably mad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ousing so that fatigue can be measured with a sense of stability,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100 constitutes a flat base plate 110.
  • the bod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not shown), a touch panel 120 and a display unit 130 for the measurement operation.
  • the fixing bracket 200 is provided for fixing the tool housing 300 and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100.
  • the fixing bracket 200 is formed with a tool hole 210 penetrating both sides.
  • Tool hole 210 is provided as a fastening means for the coupling of the tool housing 300 in a preferred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as a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bulge tool prototype.
  • the tool housing 300 fixes the bulge tool 10 for fatigue measurement, and loads the boundary of the bulge tool 10 when the pusher 60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10. To act.
  • the tool housing 300 is bolted to the tool hole 210 of the fixing bracket 200.
  • the tool housing 300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fixing bracket 200, and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 the bulge tool 1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tool housing 300.
  • the plug 310 is fastened to the distal end of the tool housing 300, that is, the opposite sid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00, as shown in FIG. 6.
  • the tip of the tool housing 300 forms a male screw
  • the plug 310 forms a female screw
  • the plug 310 serves to prevent the bulge tool 10 inserted into the tool housing 3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ol housing 30.
  • the plug 310 has a form in which both sides penetrate through, and an inner diameter thereof is larg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bulge tool 10.
  • the bulge 12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lug 310 through the plug 310.
  • a washer 320 may be further interposed between the tool housing 300 and the plug 310.
  • the washer 320 serves to space the plug 310 and the tool housing 300, and the bulge tool 10 exposed through the plug 31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ool housing 300 and the plug 300.
  • the exposure range of may vary.
  • the fatigue degree of the bulge tool 10 is measured while varying the range in which the fatigue load of the bulge tool 10 is applied through the washer 320. It is intended to vary the scope.
  • the moving rail 400 provides a moving path of the moving bracket 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l housing 300 protrudes from the fixing bracket 200 on the base plate 110.
  • the moving rail 400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ing path of the moving bracket 500, and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rotated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eans 8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moving rail 400 may be provided by a screw.
  • the movable bracket 500 serves to reciprocate the pusher 600 to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tool housing 300, and is reciprocated along the movable rail 400.
  • the moving bracket 500 is installed to automatically reciprocate on the moving rail 400 through the power of the driving means 800.
  • the moving bracket 500 includes a moving part 510 corresponding to the moving rail 400 and a bent part 520 bent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tool housing 300 from the moving part 510.
  • the pusher 600 arbitrarily forces the bulge tool 10 so that the fatigue measurement of the bulge tool 10 can be made by forcibly opening the slot 11 of the bulge tool 10 coupled to the tool housing 300. It is a configuration that adds.
  • the pusher 600 is installed on the moving bracket 500 and serves to enter and exit the bulge tool 10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500.
  • the pusher 600 forms an insertion pin 610 so that the pusher 60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10, and the insertion pin 610 is formed to be inclined like a tapered pin to actually expand the bulge tool 10. Becomes
  • the pusher 60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bent portion 520 of the moving bracket 500.
  • Desorption means of the pusher 6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rovided in a screw fastening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 the measuring means 700 serves to measure the force exerted by the pusher 600 when the pusher 600 expands the bulge tool 10, and is installed on the moving bracket 500.
  • the measuring means 700 is installed at the bent portion 520 of the moving bracket 500 and is screwed with the pusher 600.
  • the pusher 600 is fastened to the measuring means 700 installed on the moving bracket 500 accurately.
  • the measuring means 7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load cell, as shown in Figure 6, the load cell 700 is formed with a male screw 710 protruding forward and the pusher 60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is screwed together It is coupled through fastening.
  • the driving means 800 generates power to reciprocate the moving bracket 500 on the moving rail 400.
  • the driving means 800 preferably includes a motor 810 and a moving block 820.
  • the motor 810 generat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power and is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100.
  • the moving block 820 is installed on the moving bracket 500 and screwed to the moving rail 400 made of a screw.
  • the moving block 820 is reciprocated by screw rotation on the moving rail 400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810.
  • the reciprocating mechanism of the moving bracket 500 through the driving means 800 is not limited to the screw type, but may be configured using a linear motor and an LM guide.
  • one side of the moving rail 400 is provided with a guide frame (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ing rail (400).
  • the guide frame (G) is provided with a sensor 90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bracket 500,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moving bracket 500 through the sensor 900 to the motor ( 810 may control power.
  • the senor 9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photosensor.
  • the moving bracket 500 is provided with a sensing piece 530 for detecting the photo sensor 900.
  • the pusher 600 is screwed into the male screw 710 of the load cell 700.
  • the tool housing 300 is bolted to the tool hole 210 of the fixing bracket 200.
  • the insertion pin 610 of the pusher 600 is directed toward the tool housing 300.
  • the bulge tool 10 is inserted into the tool housing 300.
  • the plug 310 is coupled to the tool housing 300 to prevent the bulge tool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ool housing 300.
  • the gap between the plug 310 and the tool housing 300 can be adjusted using the washer 320.
  • the screw 400 rotates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810, and the moving bracket 500 moves forward toward the tool housing 300 by the screw 400 rotation.
  • the insertion pin 610 of the pusher 600 is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10 while opening the slot 11 of the bulge tool 10.
  • the slot 11 of the bulge tool 10 is opened while being interfered with the tool housing 300, precisel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lug 310 is constrained expansion.
  • the load cell 700 measures the load applied by the pusher 600 to the bulge tool 10.
  • the load of the pusher 60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30.
  • the motor 810 revers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bracket 500.
  • the photosensor 900 detects the sensing piece 530 of the moving bracket 500, the controller recognizes this to stop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810.
  • the operator recognizes thi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calculates the fatigue load of the bulge tool 10 based on how many fatigue loads are applied to the bulge tool 10 through the pusher 600.
  • the bulge tool prototype test can be performed using the above-described WH type skeleton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 the WH-type skeletal bulge tool fatigue test apparatus includes a body frame 100, a fixing bracket 200, a moving rail 400, a moving bracket 500, and a connecting means 350. ), A measuring means 700, a driving means 800, and a sensor 900.
  • connection means 350 is provided instead of the pusher 600 and the tool housing 300.
  • the connecting means 350 is configured to fix the taper pin 20 for expanding the bulge tool 10 and to fix the bulge tool 10, and is compatible with the pusher 600 and the tool housing 300 to be coupled to the seat. Can be.
  • connection means 35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ool adapter 351 and a tapered pin adapter 352.
  • the tool adapter 351 serves to fix the bulge tool 10 to the fixing bracket 200.
  • the tool adapter 351 form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both sides are formed, and a thread for screwing with the bulge tool 1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adapter 351 in which the through hole is formed.
  • the tapered pin adapter 352 is a medium means for fixing the tapered pin 20 for expanding the bulge tool 10 to the moving bracket 400, and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710 of the load cell 700 of the moving bracket 500. do.
  • One end of the tapered pin 20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for coupling with the load cell 700, the other end of the tapered pin adapter 352 is formed with a male screw for coupling with the tapered pin 20.
  • the tool adapter 351 is inserted into the tool hole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bulge tool 10 is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ol adapter 351 exposed through the tool hole 210.
  • the bulge tool 10 is fixed to the tool hole 210 of the fixing bracket 200 through the tool adapter 351.
  • the tapered pin 20 is inserted through the slot 11 formed at one end of the bulge tool 10.
  • the tapered pin 20 is in a state of being integrated with the tapered pin adapter 352.
  • FIGS. 9B and 10A This can be understood through FIGS. 9B and 10A and is ready for bulgetool prototype test.
  • the movable bracket 500 is in a state close to the fixed bracket 200.
  • the screw 400 rotates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810, and the moving bracket 500 moves backward to the lef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 10B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400.
  • the tapered pin adapter 352 also pulls the tapered pin 20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10 while reversing.
  • the tapered pin 20 is gradually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prototype 10 while opening and expanding the slot 11 of the bulge tool prototype 10.
  • the load cell 700 measures the fatigue load of the bulge tool prototype 10 due to the resistance that the tapered pin 20 inserted into the bulge tool 10 is applied in the bulge tool 10.
  • the position of the moving bracket 500 is controlled by the detection of the photosensor 900 in the process of the moving bracket 500 is reversed.
  • the pair of photosensors 900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G sense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moving bracket 500, so that excessive stress does not occur in the bulge tool prototype 10.
  • body frame 110 base plate
  • moving part 520 bending part
  • detection piece 600 pus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지툴의 팽출부와 슬롯 사이의 경계목에 반복적인 하중을 가하여 벌지툴의 피로도를 측정함으로써, 벌지툴 제작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을 도모하고, 벌지툴 시제품의 품질도 겸하여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양측이 관통된 툴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툴공에 결합되며, 벌지툴이 삽입 설치되되 일측을 통해 벌지툴의 팽출부가 노출되는 툴하우징;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툴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툴하우징을 향해 왕복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으로부터 툴하우징을 향해 돌출 설치되며, 이동브라켓의 왕복이동에 의해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푸셔; 상기 푸셔와 이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푸셔가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벌지툴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브라켓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본 발명은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지툴 또는 벌지툴 시제품에 반복적으로 피로 하중을 가하여 벌지툴의 피로도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연료집합체는 원자로 내부의 상하부 노심판과 양립할 수 있는 상하단 고정체 및 다수의 핵연료봉과 핵연료봉을 지지하는 10개 내지 13개 정도의 지지격자체가 핵연료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핵연료봉과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지지격자체들과 체결되어 골격을 형성하는 4m 길이의 안내관 및 계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핵연료 집합체는 KSNP형과 WH형 두가지 타입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중 WH형 핵연료 집합체의 안내관 및 계측관은 긴 튜브의 형태로, 지지격자체(1)에는 도 1과 같이 안내관 및 계측관이 관통할 수 있는 몇 개의 공간(2)이 확보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안내관 및 계측관이 지지격자체(1)로 삽입 관통되어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지지격자체(1)에 삽입된 안내관 및 계측관은 지지격자체(1)와 체결되어져 지지격자체(1)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되는데, 이때의 체결방법으로 벌지(bulge)라는 공정을 통해 관이음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KSNP형 핵연료 집합체의 경우, 안내관 또는 계측관과 지지격자체(1)의 슬리브 연결시 점용접을 통해 연결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WH형 핵연료 집합체의 경우에는 점용접을 수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벌지공정을 통해 관이음을 수행하고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와 안내관(4)을 동시에 반경방향으로 팽윤(bulge)시켜 국부적인 소성변형을 이용해 관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슬리브(3)와 안내관(4)의 국부적인 소성 변형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를 벌지툴(Bulge Tool)이라고 하며, 벌지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벌지툴(10)은 안내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공의 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벌지툴(10)은 절개된 복수의 솔롯(slot)(11)을 형성하며, 상기 슬롯(11) 형성으로 인해, 슬롯(11)이 벌어지면서 벌지툴(10)은 확관될 수 있다.
이때, 슬롯(11)의 단부는 볼록한 팽출(膨出)부(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벌지툴(10)을 안내관(4)에 삽입시킨 후, 테이퍼핀(20:도 8참조)을 벌지툴(10) 내에 삽입시키면 상기 벌지툴(10)의 슬롯(11)은 벌어지면서 팽출부(12)로 하여금 안내관(4) 및 슬리브(3)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안내관(4)과 슬리브(5)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벌지툴(10)은 슬롯(11)이 확관되면서 안내관(4)을 소성변형시키는 과정에서 팽출부(12)와 슬롯(11) 사이의 경계목 부위에 강한 응력이 작용하며,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응력집중 또는 피로파괴 측면에서 상기 경계목 파단 위험성이 높아 공정 제조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벌지툴(10) 형상의 특성상, 기계 가공이 쉽지 않고 열처리를 통한 고경도 값을 만족함과 동시에 충분한 연신율(elongation)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응력집중, 피로파괴 방지 및 적합한 기계 가공에 대한 기술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에서 벌지툴 시제품에 대한 테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1347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벌지툴의 슬롯을 임의로 벌려 벌지툴 내부로의 반복적인 출입을 통해 팽출부와 슬롯 사이의 경계목에 반복적인 하중을 가하여 응력을 집중시켜 피로파괴가 발생할 때까지의 하중 적용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벌지툴의 경계목 피로파괴도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벌지툴 시제품 테스트도 겸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이 관통된 툴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툴공에 결합되며, 벌지툴이 삽입 설치되되 일측을 통해 벌지툴의 팽출부가 노출되는 툴하우징;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툴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툴하우징을 향해 왕복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으로부터 툴하우징을 향해 돌출 설치되며, 이동브라켓의 왕복이동에 의해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푸셔; 상기 푸셔와 이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푸셔가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벌지툴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브라켓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써, 양측이 관통된 툴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왕복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툴공을 통해 삽입되되, 이동레일의 반대측으로 슬롯이 위치된 벌지툴 시제품; 상기 벌지툴 시제품의 슬롯을 통해 벌지툴 시제품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과 상기 이동브라켓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과 이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벌지툴 시제품에 테이퍼핀이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브라켓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레일측에 노출된 벌지툴 시제품에 나사 체결되되, 툴공에 삽입되어 상기 벌지툴 시제품을 고정브라켓에 체결시킨 툴어댑터;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을 측정수단에 체결시킨 테이퍼핀 어댑터: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툴하우징의 선단부에는 툴하우징에 삽입된 벌지툴이 툴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플러그가 체결되며, 플러그와 툴하우징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플러그 및 툴하우징 간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이동브라켓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의 이동브라켓 위치 감지에 따라 구동수단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벌지툴을 구성하는 슬롯과 팽출부 사이의 경계목에 대한 피로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응력 집중 및 피로파괴 방지에 적합한 최적의 기계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벌지툴 피로도 측정에 있어서, 벌지툴 내부로 푸셔의 반복적인 출입을 통해 지지격자 슬리브에 안내관이 체결되는 방식과 유사한 환경을 갖도록 제공됨으로써, 벌지툴 피로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벌지툴 시제품에 대한 응력집중 및 피로도 파괴 측정이 미리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한 개의 측정장비로 벌지툴의 피로도 파괴 및 벌지툴 시제품에 대한 피로도 파괴 측정이 겸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벌지툴 피로도 측정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WH형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WH형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3은 WH형 핵연료 집합체의 지지격자에 안내관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 중, 슬리브를 이용해 안내관을 고정시킨 상태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슬리브에 안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공구인 벌지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이용해 벌지툴의 피로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8의 "B"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도 8의 "B"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이용해 벌지툴 시제품의 피로도를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는 완제품 벌지툴의 경계목에 가해지는 피로 하중을 측정하고, 벌지툴 시제품 테스트를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먼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0)과, 고정브라켓(200)과, 툴하우징(300)과, 이동레일(400)과, 이동브라켓(500)과, 푸셔(600)와, 측정수단(700)과, 구동수단(800)과, 센서(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 프레임(100)에는 각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부위이다.
바디 프레임(100)은 안정감 있는 피로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육면의 함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바디프레임(100)의 상면은 평평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구성한다.
또한, 바디프레임(100)에는 측정동작을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터치패널(12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30) 등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고정브라켓(200)은 툴하우징(300)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며, 바디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고정브라켓(200)에는 양측이 관통된 툴공(210)이 형성된다.
툴공(21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툴하우징(300)의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으로 제공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벌지툴 시제품 결합을 위한 체결수단으로 제공이 된다.
다음으로, 툴하우징(300)은 피로도 측정을 위한 벌지툴(10)을 고정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푸셔(600)가 벌지툴(10)에 삽입시 벌지툴(10)의 경계목에 하중을 가하는 역하을 한다.
상기 툴하우징(30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툴공(210)에 볼트 결합된다.
툴하우징(300)은 고정브라켓(20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하되며, 중공(中空)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툴하우징(300)의 내부로 벌지툴(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툴하우징(300)의 선단부 즉,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된 반대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310)가 체결된다.
이를 위해, 툴하우징(300)의 선단부는 수나사를 형성하며, 플러그(310)는 암나사를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310)는 툴하우징(300)의 내부에 삽입된 벌지툴(10)이 툴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310)는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경은 벌지툴(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툴하우징(300)에 삽입된 벌지툴(10)은 팽출부(12)가 플러그(310)를 통해 플러그(310)의 외측에 노출된다.
한편, 상기 툴하우징(300)과 플러그(310) 사이에는 와셔(320)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와셔(320)는 플러그(310)와 툴하우징(300)간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며, 툴하우징(300)과 플러그(300)간 이격 거리에 따라 플러그(310)를 통해 노출된 벌지툴(10)의 노출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즉, 벌지툴(10)의 경계목 부위에 대한 피로 하중을 측정하는 것에 있어서, 와셔(320)를 통해 벌지툴(10)의 피로 하중이 가해지는 범위를 가변시키면서 벌지툴(10)의 피로도 측정 범위를 다양하게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이동 레일(400)은 후술하는 이동 브라켓(5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서 고정브라켓(200)으로부터 툴하우징(300)이 돌출된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레일(400)은 이동브라켓(5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해주는 구성으로써, 후술하는 구동수단(80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레일(400)은 스크류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브라켓(500)은 툴하우징(300)을 향해 후술하는 푸셔(600)를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레일(400)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이동브라켓(500)은 구동수단(800)의 동력을 통해 이동레일(400) 상에서 자동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동브라켓(500)은 이동레일(400)에 대응된 이동부(510)와, 이동부(510)로부터 툴하우징(3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절곡된 절곡부(520)로 구성이 된다.
다음으로, 푸셔(600)는 툴하우징(300)에 결합된 벌지툴(10)의 슬롯(11)을 강제로 벌려 벌지툴(10)의 피로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벌지툴(10)에 임의로 힘을 가하는 구성이다.
상기 푸셔(600)는 이동브라켓(500)에 설치되며, 이동브라켓(500)의 왕복 이동에 의해 벌지툴(1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푸셔(600)는 벌지툴(10)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핀(610)을 형성하며, 삽입핀(610)은 벌지툴(10)을 실제로 확관시키는 테이퍼핀처럼 경사지게 형성이 된다.
이때, 푸셔(600)는 이동브라켓(500)의 절곡부(520)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푸셔(600)의 탈착수단은 특정하게 제한되지는 않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체결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측정수단(700)은 푸셔(600)가 벌지툴(10) 확관시, 푸셔(600)가 가하는 힘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동브라켓(500)에 설치된다.
상기 측정수단(700)은 이동브라켓(500)의 절곡부(520)에 설치되며, 푸셔(600)와 나사 체결된다.
즉, 푸셔(600)는 정확하게 이동브라켓(500)에 설치된 측정수단(700)에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정수단(700)은 로드셀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700)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수나사(710)가 형성되고 푸셔(600)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이 된다.
다음으로, 구동수단(800)은 이동레일(400) 상에서 이동브라켓(500)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한다.
구동수단(800)은 모터(810)와 이동블럭(8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모터(810)는 정,역 회전동력을 발생하며, 바디 프레임(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이동블럭(820)은 이동브라켓(500)에 설치되며, 스크류로 구성된 이동레일(400)과 나사 결합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모터(8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이동블럭(820)은 이동레일(400) 상에서 스크류 회전을 통해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블럭(820)이 이동브라켓(50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브라켓(500)의 왕복 작용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구동수단(800)을 통한 이동브라켓(500)의 왕복 메커니즘은 스크류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니어 모터 및 LM가이드를 이용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레일(400)의 일측에는 이동레일(4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프레임(G)이 설치된다.
가이드 프레임(G)에는 이동브라켓(5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900)가 설치되며, 제어부는 센서(900)를 통해 이동브라켓(5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구동수단(800)의 모터(810) 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센서(900)의 감지에 따라 모터(81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센서(900)는 포토센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이동브라켓(500)에는 포토 센서(900) 감지를 위한 감지편(530)이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로드셀(700)의 수나사(710)에 푸셔(600)를 나사 체결시킨다.
아울러, 고정브라켓(200)의 툴공(210)에 툴하우징(300)을 볼트 체결시킨다.
이때, 푸셔(600)의 삽입핀(610)은 툴하우징(300)을 향하게 된다.
다음으로, 툴하우징(300)의 내부로 벌지툴(10)을 삽입시킨다.
이때, 벌지툴(10)의 슬롯(11)은 툴하우징(3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툴하우징(300)에 플러그(310)를 결합하여 툴하우징(300)으로부터 벌지툴(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측정하고자 하는 벌지툴(10)의 피로 하중 부위를 감안하여, 와셔(320)를 이용해 플러그(310)와 툴하우징(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지툴(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시험장치를 작동시킨다.
모터(810)의 회전동력에 의해 스크류(400)가 회전하고, 스크류(400) 회전에 의해 이동브라켓(500)은 툴하우징(300)을 향해 전진한다.
이후, 푸셔(600)의 삽입핀(610)은 벌지툴(10)의 슬롯(11)을 벌리면서 벌지툴(10) 내부로 삽입이 된다.
이때, 벌지툴(10)의 슬롯(11)은 벌어지면서 툴하우징(300), 정확하게는 플러그(310)의 내주면에 간섭되어 확관이 구속된다.
이는 벌지툴(10)에 피로하중이 가해짐을 의미한다.
한편, 푸셔(600)의 삽입핀(610)은 벌지툴(10) 내부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드셀(700)은 푸셔(600)가 벌지툴(10)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한다.
이러한 푸셔(600)의 하중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푸셔(600)의 피로 하중값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와 동일한 것으로 표시되면, 모터(810)는 역회전하여 이동브라켓(500)을 후진시킨다.
이때, 포토센서(900)는 이동브라켓(500)의 감지편(530)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모터(810)의 회전동력을 정지시킨다.
이후,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고, 이동브라켓(500)은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푸셔(600)로 하여금 벌지툴(10)의 슬롯(11)을 확관시킨다.
이후, 벌지툴(10)의 피로 하중이 파괴되면, 푸셔(600)가 벌지툴(10)에 가하는 피로 하중 측정값이 낮아지게 된다.
작업자는 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인식하며, 푸셔(600)를 통해 벌지툴(10)에 몇 번의 피로 하중이 가해졌는지 등을 따져 벌지툴(10)의 피로 하중을 산출한다.
한편, 전술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벌지툴 시제품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0)과, 고정브라켓(200)과, 이동레일(400)과, 이동브라켓(500)과, 연결수단(350)과, 측정수단(700)과, 구동수단(800)과, 센서(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푸셔(600) 및 툴하우징(300) 대신 연결수단(350)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결수단(350)은 벌지툴(10) 확관을 위한 테이퍼핀(20) 고정과, 벌지툴(10)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푸셔(600) 및 툴하우징(300) 결합 자리에 호환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50)은 툴어댑터(351)와 테이퍼핀 어댑터(35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툴어댑터(351)는 벌지툴(10)을 고정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툴어댑터(351)는 양측이 관통된 통공을 형성하고, 통공이 형성된 툴어댑터(351)의 외주면에는 벌지툴(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테이퍼핀 어댑터(352)는 벌지툴(10) 확관을 위한 테이퍼핀(20)을 이동브라켓(400)에 고정시키는 매개수단이며, 이동브라켓(500)의 로드셀(700) 수나사(710)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테이퍼핀(20)의 일단부에는 로드셀(700)과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테이퍼핀 어댑터(352)의 타단부에는 테이퍼핀(20)과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른 실시예에 따른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를 이용해 벌지툴 시제품을 테스트하는 작용에 대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로드셀(700)의 수나사(710)에 테이퍼핀 어댑터(352)를 나사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툴공(210)에 툴어댑터(351)를 삽입시키고, 툴공(210)을 통해 노출된 툴어댑터(351)의 외주면에 벌지툴(10)의 타단부를 나사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벌지툴(10)은 툴어댑터(351)를 통해 고정브라켓(200)의 툴공(2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벌지툴(10)의 내부 관로와 툴어댑터(351)의 내부 관로는 서로 통해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벌지툴(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슬롯(11)을 통해 테이퍼핀(20)을 삽입시킨다.
이후, 테이퍼핀(20)의 단부는 벌지툴(10)의 내부 관로 및 툴어댑터(351)의 내부 관로를 통해 고정브라켓(200)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작업자는 테이퍼핀(20)의 타단부를 테이퍼핀 어댑터(352)의 수나사에 나사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테이퍼핀(20)은 테이퍼핀 어댑터(352)와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는 도 9b 및 도 10a를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벌지툴 시제품 테스틀 위한 준비 상태가 된다.
이때, 이동브라켓(500)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달리, 고정브라켓(200)에 근접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측정 준비 작업이 완료되면, 시험장치를 작동시킨다.
모터(810)의 회전동력에 의해 스크류(400)가 회전하고, 스크류(400) 회전에 의해 이동브라켓(500)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후진한다.
이때, 테이퍼핀 어댑터(352) 역시 후진하면서 벌지툴(10)에 삽입되어 있는 테이퍼핀(20)을 당긴다.
이때, 테이퍼핀(20)은 벌지툴 시제품(10)의 슬롯(11)을 벌려 확관시키면서, 벌지툴 시제품(10)의 내부로 점차 삽입이 된다.
이때, 로드셀(700)은 벌지툴(10)로 삽입되는 테이퍼핀(20)이 벌지툴(10)내에서 걸리는 저항력에 의한 벌지툴 시제품(10)의 피로 하중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값은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된다.
한편, 이동브라켓(500)이 후진되는 과정에서 포토센서(900)의 감지를 통해 이동브라켓(500)의 위치는 컨트롤된다.
즉, 가이드 프레임(G)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포토센서(900)가 이동브라켓(500)의 전,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벌지툴 시제품(10)에 과도한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벌지툴 시제품의 피로 하중 측정을 통한 테스트가 실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바디프레임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터치패널 130 : 디스플레이부
200 : 고정브라켓 210 : 툴공
300 : 툴하우징 310 ; 플러그
320 : 와셔 350 : 연결수단
351 : 툴어댑터 352 : 테이퍼핀 어댑터
400 : 이동레일(스크류) 500 : 이동브라켓
510 : 이동부 520 : 절곡부
530 : 감지편 600 : 푸셔
610 : 삽입핀 700 : 측정수단(로드셀)
710 : 수나사 800 : 구동수단
810 : 모터 820 : 이동블럭
900 : 센서 G : 가이드프레임
10 : 벌지툴 20 : 테이퍼핀

Claims (5)

  1. 양측이 관통된 툴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툴공에 결합되며, 벌지툴이 삽입 설치되되 일측을 통해 벌지툴의 팽출부가 노출되는 툴하우징;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툴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툴하우징을 향해 왕복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으로부터 툴하우징을 향해 돌출 설치되며, 이동브라켓의 왕복이동에 의해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푸셔;
    상기 푸셔와 이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며, 푸셔가 벌지툴의 내외부를 출입하면서 벌지툴에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브라켓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2. 양측이 관통된 툴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왕복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툴공을 통해 삽입되되, 이동레일의 반대측으로 슬롯이 위치된 벌지툴 시제품;
    상기 벌지툴 시제품의 슬롯을 통해 벌지툴 시제품의 내부를 통과하여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과 상기 이동브라켓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과 이동브라켓 사이에 설치되어, 벌지툴 시제품에 테이퍼핀이 가하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이동레일 상에서 이동브라켓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레일측에 노출된 벌지툴 시제품에 나사 체결되되, 툴공에 삽입되어 상기 벌지툴 시제품을 고정브라켓에 체결시킨 툴어댑터
    상기 이동레일측으로 노출된 테이퍼핀을 측정수단에 체결시킨 테이퍼핀 어댑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툴하우징의 선단부에는 툴하우징에 삽입된 벌지툴이 툴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플러그가 체결되며,
    플러그와 툴하우징 사이에는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플러그 및 툴하우징 간 간격이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의 일측에 이동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이동브라켓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의 이동브라켓 위치 감지에 따라 구동수단의 동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PCT/KR2018/006357 2018-05-08 2018-06-04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WO20192164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917739.7A EP3792614B1 (en) 2018-05-08 2018-06-04 Apparatus for fatigue testing bulge tool having wh-type skeleton
US17/054,337 US11719609B2 (en) 2018-05-08 2018-06-04 Apparatus for fatigue testing bulge tool having WH-type skeleton
CN201880092516.XA CN112055810B (zh) 2018-05-08 2018-06-04 用于wh型骨架膨胀工具的疲劳测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632A KR102065770B1 (ko) 2018-05-08 2018-05-08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KR10-2018-0052632 2018-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476A1 true WO2019216476A1 (ko) 2019-11-14

Family

ID=6846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357 WO2019216476A1 (ko) 2018-05-08 2018-06-04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19609B2 (ko)
EP (1) EP3792614B1 (ko)
KR (1) KR102065770B1 (ko)
CN (1) CN112055810B (ko)
WO (1) WO201921647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980A (en) * 1997-02-21 2000-02-15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High-cycle fatigue test machine
KR100645446B1 (ko) * 2005-10-31 2006-11-14 한국전력공사 재료의 충격 마모 시험용 하중 인가장치
KR101012659B1 (ko) * 2010-05-26 2011-02-09 대경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시험기
KR101241786B1 (ko) * 2012-12-12 2013-03-15 해양기계 주식회사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의 내구성 시험장치
KR101381808B1 (ko) * 2012-11-21 2014-04-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고압 수화학 환경 피로 시험기, 이를 사용한 피로하중 보정방법 및 피로하중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2152A (en) * 1977-09-08 1980-01-0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Grid sleeve bulge tool
KR820001806B1 (ko) 1978-09-07 1982-10-12 알 피 와그너 팽출 공구
US4748854A (en) * 1986-06-10 1988-06-07 Systran Corporation Fatigue test apparatus
US6607547B1 (en) * 1999-08-25 2003-08-19 Origin Medsystems, Inc. Longitudinal dilator and method
JP2001058232A (ja) 1999-08-24 2001-03-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の湾曲管を構成する節輪等のパイプ状部材のバルジ加工装置
US20070288034A1 (en) * 2006-06-07 2007-12-13 Maccollum Michael W Stent Expanding device
KR100871437B1 (ko) 2007-12-18 2008-12-03 노영주 파이프 확관기
KR100920102B1 (ko) * 2008-10-31 2009-10-0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길이 방향 열피로 균열 형성장치
JP5515639B2 (ja) * 2009-11-02 2014-06-11 村田機械株式会社 工作機械
JP2012106249A (ja) 2010-11-15 2012-06-07 Mitsubishi Heavy Ind Ltd 拡管工具
WO2012067179A1 (ja) * 2010-11-18 2012-05-24 国際計測器株式会社 材料試験機
KR101289126B1 (ko) * 2011-12-27 2013-08-07 주식회사 포스코 확관율 측정장치
CN103163032B (zh) * 2013-03-29 2015-08-05 四川大学 检测波形钢腹板钢梁疲劳强度的系统及方法
KR101494648B1 (ko) * 2013-04-18 2015-02-23 주식회사 위닉스 파이프 확관장치
KR101324751B1 (ko) 2013-07-17 2013-11-05 협신정공 주식회사 파이프 진원진직 및 확관장치
CN104815911A (zh) * 2015-04-01 2015-08-05 玉环县和成铜业有限公司 一种膨胀工具
CN105157977A (zh) * 2015-09-28 2015-12-16 江苏比微曼智能科技有限公司 吸尘器波纹管旋转疲劳强度测试机
KR101794953B1 (ko) * 2015-09-30 2017-11-07 주식회사 위닉스 냉각파이프 확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파이프 확관방법
US10438709B2 (en) * 2015-12-31 2019-10-08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asurement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pressive loading that will be applied to a fuel rod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CN105758740B (zh) * 2016-04-06 2018-04-17 吉林大学 可控磁场强度的小型扭转疲劳材料力学性能原位测试仪
CN107843422B (zh) * 2017-12-14 2024-03-26 大连科迈尔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可施加轴向预张力的疲劳试验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3980A (en) * 1997-02-21 2000-02-15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High-cycle fatigue test machine
KR100645446B1 (ko) * 2005-10-31 2006-11-14 한국전력공사 재료의 충격 마모 시험용 하중 인가장치
KR101012659B1 (ko) * 2010-05-26 2011-02-09 대경테크 주식회사 파이프 확관 시험기
KR101381808B1 (ko) * 2012-11-21 2014-04-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 고압 수화학 환경 피로 시험기, 이를 사용한 피로하중 보정방법 및 피로하중 측정방법
KR101241786B1 (ko) * 2012-12-12 2013-03-15 해양기계 주식회사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의 내구성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19609B2 (en) 2023-08-08
US20210088431A1 (en) 2021-03-25
EP3792614B1 (en) 2023-04-05
EP3792614A4 (en) 2022-04-06
CN112055810A (zh) 2020-12-08
CN112055810B (zh) 2023-10-27
KR20190128435A (ko) 2019-11-18
EP3792614A1 (en) 2021-03-17
KR102065770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4584A1 (ko) 시술장치
WO2019216476A1 (ko) Wh형 골격체 벌지툴 피로 시험장치
WO2011159022A2 (ko) 토크-전단형 고력볼트의 디지털 축력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3089373A1 (ko) 강판의 결함 탐상 장치
WO2022108400A1 (ko) 볼팅 장치
WO2023128135A1 (ko) Ae 센서 노드 네트워크 시스템
WO2013122317A1 (ko) 가스 주입용 체크밸브 구동장치
KR101061969B1 (ko) 시험 프레임 장치
WO2017039082A1 (en)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using same
WO2021230626A1 (ko) 진공 청소기용 텔레스코픽 연장관 제조 및 검사장치
WO2023085525A1 (ko)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도 모니터링 방법
JPH07128177A (ja) 円筒体のシール検査装置
WO2022039332A1 (ko) 구조물 균열점검 장치
US6584679B2 (en) Device for holding and installing a spacer frame of an insulated glass window
CN219675957U (zh) 一种桥梁健康监测装置
CN112114213B (zh) 一种电气连接器可靠性检测装置
WO2023101394A1 (ko) 탭 가이드 및 탭 가이드를 포함하는 탭 가이드 장치
WO2023042968A1 (ko) 무빙 앤빌 모듈을 통한 가압하중 상쇄가 가능한 축 교정장치
JP4295873B2 (ja) ワーク圧入装置
JP3157739B2 (ja) 懸垂碍子の全自動引張試験装置
WO2024063499A1 (ko) 배터리 장기 시험 분석 장치 및 방법
CN218211704U (zh) 一种拆卸型扭力测试仪
WO2023163339A1 (ko) 케이블 고정 치구
WO2023210895A1 (ko) 프로브의 돌출길이가 조정되는 프로브 헤드
WO2023054974A1 (ko) 충격 시험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7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9177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