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82418A1 - 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82418A1
WO2019182418A1 PCT/KR2019/003407 KR2019003407W WO2019182418A1 WO 2019182418 A1 WO2019182418 A1 WO 2019182418A1 KR 2019003407 W KR2019003407 W KR 2019003407W WO 2019182418 A1 WO2019182418 A1 WO 20191824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soft water
supplied
line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4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수영
권태성
손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41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549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5974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3622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ublication of WO20191824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4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Definitions

  • Common tap water contains ionic substances such as calcium ions (Ca2 +) and magnesium ions (Mg2 +). Water containing ionic substances can damage the skin or fibers.
  • calcium ions (Ca 2+) may be precipitated as calcium carbonate (CaCO 3) by heat, and the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CaCO 3) may be fixed to a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Due to such sticking, cracks may occur in pipes and the like.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reproducing an electrode in a CDI method.
  • 12 to 14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supplying mixed soft water in the soft water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23-25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oftening system which concerns on the modification of this invention.
  • the second supply line 420 refers to a line for supplying the remaining raw water from the main flow path 10 to the storage 300.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supply line 420 may be branched from the first supply line 410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300. Alternatively, the first supply line 410 may be branch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300. The second supply line 42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upply valve 620, and raw water may or may not be supplied to the storage 300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supply valve 620.
  •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lines 430a and 430b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200a and 200b, and the plurality of lines 430a and 430b may be combined into one line. Can be.
  • the drain lines 440a and 440b may also be provided to branch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lines 430a and 430b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200a and 200b.
  •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refers to a line for supply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300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valve 670, an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discharge valve 670, the second soft water may or may not flow into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
  • the first supply line 410 and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is connected to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the raw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supply line 410 and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 the second soft water flowing along the line 470 may be mixed with the first soft water flowing along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 a flow rate sensor 720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at which the first supply line 410 and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low rate of soft water supplied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is provided. This can be measured.
  • the filter unit 200 removes ionic substances in water derived from raw water based on electrical force. More specifically, there is an electric deionization method among the methods of removing the ionic material. When a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d particles in the electrolyte, the positive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charged particles move to the positive electrode. This is called electrophoresis. Electrodeionization is a method of selectively absorbing or moving ions (ionic materials) in water through electrodes or 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the principle of electrophoresis.
  • Examples of electric deionization include electrodialysis (ED), electro deionization (EDI), 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EDI), and capacitive deionization (CDI).
  • the ED filter unit includes an electrode and an ion exchange membrane.
  • the EDI filter unit includes an electrode,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n ion exchange resin.
  • the CDI filter unit does not include an ion exchange membrane or an ion exchange resin.
  • the partition 320 is a configuration for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310a.
  • the replenishmen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lets 301 and 302.
  • replenishment water may interfere with the flow toward the outlet 309. That is, the supplementary water and the sof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easily mixing, and the soft water originally stored in the water outlet 309 can be discharged first.
  • some of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the remaining raw water not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of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is the first supply line. It may be supplied to the demand source 20 through 410.
  •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demand source 20 along the first supply line 410 and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200 and supplied to the demand source 20 along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are mixed. Mixed soft water can be produced.
  • the amount of the io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soft water supplied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may be set in advance to be below a certain reference value, the amount of the ionic material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is increased, the mixed soft water If the amount of the ionic material included in the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the ionic material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exceeds the limit.
  • the controller may inform the user that the amount of the ionic material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300 has exceeded the limit. If necessary, the control method may be changed so that the second soft water is not mixed to generate mixed soft water.
  •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mixed soft water is supplied in a soft water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More specifically,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mixed soft water formed by mixing only raw water and second soft water is supplied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 the soft water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oes not supply raw water to the storage 300b, the hardness of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300b may be maintained relatively constant. It is easy to control the ion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the ionic material in the storage 300b.
  • first and second soft water are mixed to generate mixed soft wate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oftening system 2 to allow water to flow as shown in FIG. 14.
  • the filter module When the supply of water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is stopped and the filter module performs the removal mode, all of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200.
  • the soft wat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300b to supplement the soft wat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aw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300b in the case of the soft water system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b as in the soft water system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ft water can be replenished in the storage part 300b only by replenishing the first soft water, without recovering it to the filter part 200.
  •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together and perform the regeneration mode toge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together and the playback mode together.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oftening system 2 to allow water to flow as shown in FIG. 16.
  • the softening system 3 includes a filter line 405, a first supply line 410, a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a storage line 435, and drainage.
  • the recovery line 490 is branched from the second supply line 420 to be connected to the filter line 405, and the recovery line 490 may be provided with a recovery pump 790.
  •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200.
  • the first soft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storage space 325c to supplement the soft water in the storage 300c.
  • the raw water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pace 315c may be discharged.
  •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storage space 315c may not be discarded, but may be recovered to the filter unit 200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420 and the recovery line 490 to be used again to supplement the soft water. .
  •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together and perform the regeneration mode toge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together and the playback mode together.
  • FIG. 2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enerating the filter unit 200 in the softening system 3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ly of water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is stopped.
  • the discharge pump 770 may operate to discharge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300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io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300.
  • the discharge pump 770 may not operate.
  •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is the second soft water discharge line 470, the first soft water discharge line 430,
  • the filter unit 200, the filter line 405, and the second supply line 420 may be sequentially passed, and may circulate between the storage unit 300 and the filter unit 200.
  • a port connected to the supply circulation line 4100 in the storage unit 300 is defined as a raw water port 303, and a portion between the first port 3010 and the second port 3020 of the discharge line 4300 is defined.
  •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350 may be located at a port located far from the raw water port 303 of the first port 3010 and the second port 3020 in the inner line 4300a. It may be provided in an adjacent position.
  • the first soft water and the soft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350 are mixed and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discharge line 4300, and the first supply line 410 is connected thereto.
  •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mixture may be mixed to generate mixed soft water supplied to the demand source 20.
  • the flow control valve 620 the flow rate of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discharge line 4300 for the generation of mixed soft water can be adjust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softening system as follows to allow the water to flow as shown in FIG. 26.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200a and 200b may perform the removal mode so that the first sof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 the filter module 200a enters the removal mode and the filter module 200b. Can perform the playback mode. Accordingly, the hardness and flow rate of the mixed soft water supplied to the demand destination 20 can be kept constant (see FIG. 2).
  • a control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io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That is, the ionic material is remov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while circulating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between the filter unit 200 and the storage unit 300, so that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is higher. It can be made to contain a small amount of ionic material.
  •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200a and 200b of FIG. 2 may alternately perform the removal mode together and perform the regeneration mode toge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200a and 200b of FIG. 2 may perform a removal mode.
  • some of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is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raw water not supplied to the filter unit 200 amo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flow path 10 may be used. It may be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supply circulation line 4100, or may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line 4300 between the storage unit 300 and the demand destination 20 through the first supply line 410.
  • a control may be performed to remove the ionic material contained in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That is, the ionic material is remov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while circulating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between the filter unit 200 and the storage unit 300, so that the soft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is higher. It can be made to contain a small amount of ionic material.

Abstract

수요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로에 연결되고,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은,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공급받은 물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로부터 제1 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제1 연수에서 유래하는 제2 연수를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1 연수 및 제2 연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수요처로 공급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할 때,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된다.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돗물에는 칼슘 이온(Ca2+)이나 마그네슘 이온(Mg2+) 등의 이온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물은 피부나 섬유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칼슘 이온(Ca2+)은 열에 의해 탄산 칼슘(CaCO3)으로 석출될 수 있으며, 석출된 탄산 칼슘(CaCO3)은 물이 유동하는 파이프 등에 고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착으로 인해 파이프 등에는 균열(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는 물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연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온교환수지를 활용하여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연수 시스템이 사용되었는데, 종래의 연수 시스템은 연수 시스템에서 배출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작동을 위해 소금을 보충해주어야 하고, 이에 따라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물에 소금이 포함되어 식수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술한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수요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로에 연결되고,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은,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공급받은 물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로부터 제1 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제1 연수에서 유래하는 제2 연수를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1 연수 및 제2 연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수요처로 공급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할 때,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된다.
다른 예에서, 수요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로에 연결되고,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은,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공급받은 물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제1 연수에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수요처로 공급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할 때,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혼합 연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를 수요처에 공급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소금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종래의 연수 시스템에 비해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연수를 보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연수를 보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1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원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2는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7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8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1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돗물 등의 원수는 메인 유로(10)를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된다. 수요처(20)는 통상의 가정집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메인 유로(10)에 연결되고, 메인 유로(10)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한다. 따라서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가 연수 시스템(1)에서 배출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수요처(20)의 유입구보다 전단에 마련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되는 모든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연수 시스템을 Point Of Entry(POE) 연수 시스템이라고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POE 연수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부(200)와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필터부(200)와 저장부(3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POE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모든 원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원수를 처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부(200)와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던 원수는 필터부(200)를 통해 제1 연수로 배출된다. 또는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던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는 직접 수요처(20)로 공급되거나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도 있다. 저장부(300)는 필터부(200)로부터 제1 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적어도 제1 연수에서 유래하는 제2 연수를 배출하여 수요처(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연수 및 제2 연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된다.
이때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하면,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 및 유량,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경도 및 유량,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경도 및 유량에 기초해서, 제1 연수, 제2 연수 및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을 측정한 후, 측정된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이 공급되도록 요구된 경도와 유량과 차이가 있다면,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경도 및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는 원수의 경도에 기초해서, 제1 연수의 유량, 제2 연수의 유량 및 원수의 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요구된 경도와 유량을 갖는 혼합 연수를 수요처(2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와 유량은 필터부(200)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 및 필터부(20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경도는 측정할 수 있고,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유량은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2 연수가 배출되는 라인에 유량 조절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는 수돗물 등의 원수의 경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유로 형성을 위해, 필터라인(405), 제1 공급라인(410), 제2 공급라인(420), 제1 연수 배출라인(430), 저장라인(435), 배수라인(440), 제2 연수 배출라인(470) 및 회수라인(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라인(405)은 원수를 메인 유로(10)에서 필터부(200)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필터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을 포함할 수 있는데, 필터라인(405)은 각각의 필터모듈(200a, 200b)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 개의 라인으로 분기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유로(10)에는 메인밸브(601)가 마련되고, 메인밸브(601)의 개폐에 따라 원수가 연수 시스템(1)으로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은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를 메인 유로(10)에서 수요처(20)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제1 공급라인(410)은 메인 유로(10)에서 분기되어 후술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에는 유량 조절 밸브(610)가 마련될 수 있고,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공급라인(420)은 나머지 원수를 메인 유로(10)에서 저장부(300)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공급라인(420)은 제1 공급라인(410)에서 분기되어 저장부(300)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공급라인(410)과 별개로 메인 유로(10)에서 분기되어 저장부(300)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공급라인(420)에는 제2 공급밸브(620)가 마련되어, 제2 공급밸브(620)의 개폐에 따라 원수가 저장부(300)로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은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물을 수요처(20)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하고, 배수라인(440)은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통하는 라인을 말한다.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의 말단에는 제1 배출밸브(630)가 마련되어, 제1 배출밸브(630)의 개폐에 의해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수 배출라인(430) 역시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에 연결된 복수 개의 라인들(430a, 430b)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라인들(430a, 430b)이 하나의 라인으로 합쳐질 수 있다. 그리고 배수라인(440a, 440b) 역시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배출라인(430a, 430b) 각각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수 배출라인(430)과 배수라인(440)이 만나는 지점에는 배수밸브(640)로서 삼방밸브가 마련되어, 배수밸브(640)가,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요처(20)를 향해 유동하게 개방되거나 또는 배수라인(440)을 향해 유동하게 개방되는 것에 의해,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밸브(640)가 반드시 삼방밸브일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배수라인(440a, 440b)들을 각각 개폐하는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라인(435)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분기되어 저장부(300)로 연결되는 라인을 말한다. 제1 연수 배출라인(430)과 저장라인(435)에는 저장밸브(635, 636)가 마련되어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을 따라 유동하던 물이 수요처(20)를 향해 유동하거나 또는 저장부(300)를 향해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저장밸브(635, 636)가 제1 연수 배출라인(430)과 저장라인(435)에 각각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저장라인(435)이 분기되는 지점에 삼방밸브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은 저장부(300)에서 배출된 물을 수요처(20)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제2 연수 배출라인(470)에는 제2 배출밸브(670)가 마련되어, 제2 배출밸브(670)의 개폐에 따라 제2 연수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으로 유동하거나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저장부(300)는, 저장 탱크로서 밀폐형 탱크가 사용될 수 있고, 제2 공급라인(42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 및/또는 저장라인(435)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되는 제1 연수의 압력에 의해 저장부(300)에서 제2 연수가 배출될 수 있다.
회수라인(480)은 저장부(300)에서 필터라인(405)으로 연결되는 라인을 말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수라인(480)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에서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제2 연수 배출라인(470)과는 별도로 마련되어 저장부(300)와 필터라인(405)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회수라인(480)에는 회수밸브(680)가 마련되어 회수밸브(680)의 개폐에 따라 저장부(300)에서 배출된 제2 연수가 회수라인(480)으로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회수라인(480)에는 회수펌프(705)가 마련되어 회수펌프(705)의 작동에 의해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200)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제1 공급라인(410)과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과 연결되어 있어,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유동하던 원수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따라 유동하던 제2 연수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을 따라 유동하던 제1 연수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제1 공급라인(410)과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이 연결된 지점의 후단에는 유량센서(720)가 마련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연수의 유량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연수 시스템(1)의 전단, 즉 메인 유로(10)와, 연수 시스템(1)의 후단 및 저장부(300)의 내부에는 TDS 센서(701, 702, 710)가 마련될 수 있다.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직접 획득하는 것, 즉 물의 경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는데, 물의 TDS(총용존고형물)가 높다는 것은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물의 TDS에 기초해서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
메인 유로(10)에 마련된 TDS 센서(701)는 연수 시스템(1)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TDS를 측정할 수 있고, 연수 시스템(1)의 후단에 마련된 TDS 센서(702)는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TDS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저장부(300)의 내부에 마련된 TDS 센서(710)는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연수의 TDS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로(10)와, 연수 시스템(1)의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녹과 같은 물리적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는 카본 필터일 수 있다. 메인 유로(10)에 마련된 필터는 원수에 포함된 물리적 이물질이 연수 시스템(1)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수 시스템(1)의 후단에 마련된 필터는 연수에 포함된 물리적 이물질이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부(200)와 저장부(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터부(200)
필터부(200)는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의 일부를 공급받아,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공급받은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한다.
필터부(200)는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전기적인 힘에 기초하여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부는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부는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부는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터부(200)는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 (필터모듈)가,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이하에서 제거모드라고 한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필터모듈)가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이하에서 재생모드라 한다. 재생모드는 제거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는데, 재생모드와 제거모드 사이의 시간 간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가 한 쌍의 전극만 가지고 있을 경우, 필터부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에는 필터부에서 제1 연수가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필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은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 각각은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병렬로 마련되는 필터모듈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 각각은,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시간보다 제거모드를 수행하는 시간이 더 길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재생모드 시에 전극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가, 제거모드 시에 전극에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의 재생모드 시 전극이 충분히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200)가 재생모드와 제거모드를 수행하면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연수 시스템과 같이 소금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에 소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제1 연수가 식수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필터부(20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배출되는 물에는 이온만 포함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연수시스템과 같이 폐수에 따른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POE 연수 시스템이므로, 많은 유량의 원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저장부(300)
도 5는 본 발명의 저장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저장부(300)는 저장 공간(310a)을 구비하는 본체(310), 저장 공간(310a)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310)에 마련된 급수구(301, 302) 및 저장 공간(310a)에 저장된 연수를 본체(3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본체(310)에 마련된 출수구(309)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0)로서 사용되는 저장 탱크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저장부(300)는 저장 탱크로서 밀폐형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300)는 수요처(20)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를 저장 공간(310a)에 저장하고, 적어도 필터부(200)로부터 공급받은 제1 연수에서 유래하는 제2 연수를 수요처(20)로 배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원수도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급수구(301, 302)를 통해 제1 연수 또는 원수가 본체(3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출수구(309)를 통해 제2 연수가 본체(3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제2 연수로서 배출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제1 연수를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경우보다 많은 유량의 연수를 수요처(20)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저장 공간(310a)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출수구(309)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급수구(301, 302)를 통해 보충수가 저장 공간(310a)으로 공급되어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이 항상 일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저장부(300)가 밀폐형 탱크인 경우 특히 그러하다.
한편, 제2 연수는 제1 연수에서 유래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저장부(300)에 원수도 보충수로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구(301, 302)를 통해 공급된 물이 출수구(309)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저장부(300)는 저장 공간(310a)을 구획하는 구획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320)란, 저장 공간(310a)을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저장 공간(310a)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출수구(309)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보충수가 급수구(301, 302)를 통해 저장 공간(310a)으로 공급될 때, 보충수가 출수구(309)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즉, 보충수와 연수가 쉽게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출수구(309)로 원래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먼저 배출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구획부(320)는 저장 공간(310a)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 플레이트(3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 플레이트(321)는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보충수가 급수구(301, 302)에서 출수구(309)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복수의 구획 플레이트(321)들은, 물이 유동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물이 유동하기 위한 구획 유로(32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의 개념도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라인은 물이 유동하고 있는 라인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라인은 물이 유동하고 있지 않은 라인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요구되는 연수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저장부(300)에서는 제2 연수를 배출하지 않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와 메인 유로(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일부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는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던 원수와, 필터부(200)에서 배출되어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던 제1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이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공급라인(410)에 마련된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혼합 연수를 생성하기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전술한 밸브, 펌프 등 연수 시스템(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여 도 6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 필터부 배출수는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물, 예를 들어 제1 연수를 말한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1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밸브(640a)는 수요처(20)를 향해 개방되고, 배수밸브(640b)는 배수라인(440)을 향해 개방되면, 필터모듈(200a)은 제거모드를, 필터모듈(200b)은 재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요구되는 연수의 유량이 매우 적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가 너무 낮지 않아,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모두가 필터부(200)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1 연수만 수요처(20)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수와 원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제어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수 시스템(1)에 저장부(30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요구되는 연수의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저장부(300)에서는 배출되는 제2 연수를 활용하여 메인 유로(10)를 통해 공급되는 원수와 함께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일부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는 모두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일부는 수요처(20)로 공급되고, 일부는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수요처(20)로 공급된 나머지 원수의 일부와,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가 생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는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저장라인(435)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되고, 나머지 원수 중 일부는 제2 공급라인(42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수와 나머지 원수가 저장부(300)로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제2 연수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수 배출라인(470)과 제1 공급라인(410)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와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혼합되어 혼합 연수가 생성되고, 생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에도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여 도 7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2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저장부(30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경도는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의 경도와 비슷한 정도일 것이기 때문에, 복수 개의 필터모듈이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하더라도,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일부가 필터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와,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일부와, 저장부(300)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일부는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고, 일부는 제2 공급라인(420)을 따라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원수가 저장부(300)로 공급됨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제2 연수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과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으로 연결되고, 원수, 제1 연수 및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여 도 8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3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을 경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제2 연수가 사용되는 경우, 저장부(300)에서 제2 연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제2 공급라인(42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 또는 저장라인(435)을 통해 유입되는 제1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이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에는 점차 이온성 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한편,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연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은 어느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혼합 연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게 된다면, 그때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제2 연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제어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를 필터부(200)와 저장부(300) 사이에서 순환시키면서 필터부(200)를 통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가 보다 적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에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모듈이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는 회수라인(480), 필터라인(405), 필터부(200),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저장라인(43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저장부(300)와 필터부(200)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여 도 9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4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에서 필터부(200)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라인(405)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여 도 10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5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저장부(300b)로서 개방형 탱크가 사용되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2)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에는 제2 공급라인(420)과 회수라인(480)이 구비되어 있지 않고, 저장부(300b)로부터 제2 연수를 배출하기 위해 배출펌프(770)를 사용하는 점에서도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필터라인(405), 제1 공급라인(410), 제1 연수 배출라인(430), 저장라인(435), 배수라인(440) 및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수 배출라인(470)에는 배출펌프(77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00b)에는 하측 수위센서(711)와 상측 수위센서(719)가 마련되어, 저장부(300b)에 저장된 연수가 소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수위센서(711)는 TDS 센서로서 작동할 수도 있고, 또는 TDS 센서(미도시)가 하측 수위센서(711)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의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12는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제어 방법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2)을 제어하여 도 12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6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요구되는 연수의 유량이 매우 적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가 너무 낮지 않아,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모두가 필터부(200)로 공급되도록 하여, 제1 연수만 수요처(2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13은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원수와 제2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일부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는 모두 저장부(30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전부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차이가 있다. 즉, 수요처(20)로 공급된 나머지 원수의 전부와, 저장부(300b)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는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저장라인(435)을 통해 저장부(300b)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펌프(770)가 작동함에 따라 제2 연수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연수 배출라인(470)과 제1 공급라인(410)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저장부(300b)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와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저장부(300b)로 원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부(300b)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의 경도가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하기에 용이하고, 저장부(300b) 내에 이온성 물질이 축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2)을 제어하여 도 13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7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저장부(300b)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은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일부가 필터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와,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전부와, 저장부(300b)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전부는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펌프(770)가 작동함에 따라 제2 연수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급라인(410)과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으로 연결되고, 원수, 제1 연수 및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2)을 제어하여 도 14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8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의 부피가 기준 부피 미만이 되는 경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제2 연수가 사용되는 경우, 저장부(300b)에서 제2 연수가 배출되는 속도가 저장라인(435)을 통해 제1 연수가 유입되는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00b)에 저장된 연수의 부피가 감소하여 제2 연수를 배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제2 연수의 배출을 정지시키고, 제1 연수와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제어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하측 수위센서(711)는 저장부(300b)에 저장된 연수의 부피가 기준 부피 미만이 되는 것을 감지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기준 부피란 제2 연수의 배출이 어려운 정도의 물의 부피를 나타내는 값으로 실험적으로 선택되어 제어부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수위센서(719)는 저장부(300b)에 저장된 물이 제2 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정도의 수위 이상이 되는 것을 감지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측 수위센서(719)에 의해 수위가 감지될 때까지 저장부(300b)에 연수를 보충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부(300b)에 연수를 보충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에서 저장부(300b)에 연수를 보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모듈이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모두 필터부(200)로 공급하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를 저장부(300b)에 저장하여 연수를 보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2)의 경우 저장부(300b)로 원수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같이 저장부(300b)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200)로 회수시키지 않고, 제1 연수를 보충하는 것만으로 저장부(300b)에 연수를 보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2)을 제어하여 도 15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09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6은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2)에서 필터부(200)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라인(405)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2)을 제어하여 도 16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0
실시예 3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은 저장부(300c)로서 사용되는 탱크의 형태에 있어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1, 2)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에는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고, 회수라인(490)이 마련되는 위치 및 형태와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있어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1, 2)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1, 2)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은 필터라인(405), 제1 공급라인(410), 제1 연수 배출라인(430), 저장라인(435), 배수라인(440) 및 회수라인(49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수라인(490)은 제2 공급라인(420)으로부터 분기되어 필터라인(405)으로 연결되며, 회수라인(490)에는 회수펌프(79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의 필터부(200)는 원수의 공급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로 마련된 필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 장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연통되고,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장치 역시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병렬로 마련된 복수 개의 필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00)가 복수 개로 마련된 필터 장치를 포함하면 필터부(200)가 수용할 수 있는 원수의 유량도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1, 2)의 필터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저장부(300c)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저장부(300c)는 제1 본체(310c)와 제2 본체(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310c)는 제1 저장공간(315c)을 구비하고, 제2 본체(320c)는 제2 저장공간(325c)을 구비하며, 제2 본체(320c)는 제1 저장공간(315c)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장공간(315c)과 제2 저장공간(325c)에 저장되는 유체는 서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공간(315c)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제2 저장공간(325c)이 가압되는 경우, 제2 저장공간(325c)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저장공간(325c)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제1 저장공간(315c)이 가압되는 경우, 제1 저장공간(315c)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라인(420)은 메인 유로(10)에서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를 제1 저장공간(315c) 및 제2 저장공간(325c)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는 라인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서 분기되는 저장라인(435)은 제1 저장공간(315c) 및 제2 저장공간(325c) 중 다른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공급라인(420)이 제1 저장공간(315c)으로 연결되고, 저장라인(435)이 제2 저장공간(325c)으로 연결된 것으로 취급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의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18은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은 원수와 제1 연수만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제어 방법은 원수가 다수 개의 필터 장치로 공급되는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연수 시스템(, 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다수 개의 필터 장치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제2 유량센서(730)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에 더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3)을 제어하여 도 18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1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경우
도 19는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는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은 원수와 제1 연수와 제2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일부가 필터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와,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일부와, 저장부(300c)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일부는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고, 일부는 제2 공급라인(420)을 따라 제1 저장공간(315c)으로 공급될 수 있다. 원수가 제2 공급라인(420)을 통해 제1 저장공간(315c)으로 공급될수록 제2 저장공간(325c)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제2 저장공간(325c)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제2 연수로서 저장라인(435) 및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을 통해 수요처(2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300c)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는 제2 저장공간(325c)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그대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저장부(300c) 내에 마련된 TDS 센서(미도시)를 통해 저장부(300c)에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혼합 연수의 경도 역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3)을 제어하여 도 19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2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부(300c)에 연수를 보충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 유로(10)에서 원수를 필터부(200)로 공급하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를 통해 제2 저장공간(325c)에 연수를 채울 수 있다.
도 20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에서 저장부(300c)에 연수를 보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가 제2 저장공간(325c)으로 공급되어 저장부(300c)에 연수를 보충할 수 있다. 이때, 제2 저장공간(325c)으로 연수가 공급되어 제1 저장공간(315c)이 가압됨에 따라, 제1 저장공간(315c)에 저장되어 있던 원수가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저장공간(315c)에서 배출되는 원수는 버려지지 않고, 제2 공급라인(420) 및 회수라인(490)을 통해 상기 필터부(200)로 회수되어 연수의 보충에 다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3)을 제어하여 도 20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3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은 제1 저장공간(315c)에 저장된 원수를 필터부(200)로 회수하여 제2 저장공간(325c)으로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1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원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3)을 제어하여 도 21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4
도 22는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수 시스템(3)에서 필터부(200)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라인(405)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제1 연수 배출라인(430) 및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3)을 제어하여 도 22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5
변형례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일부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며, 구체적인 구성 차이는 후술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23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a)은,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이 수요처(20)로 연결되지 않고 저장부(300)로 연결된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차이가 있다. 즉,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는 모두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수 배출라인(470)이 직접 수요처(20)로 연결되어있고, 제1 공급라인(410)은 제2 연수 배출라인(470)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a)은 제2 연수와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같이, 제1 연수와 연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제어 및 제1 연수, 제2 연수 및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제어가 불필요한 경우,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 시스템(1a)을 이용하여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연수와 원수를 혼합하여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제어와,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 등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b)은, 회수라인(480)이 마련되지 않고, 제2 배수라인(415)이 마련되며, 제2 연수 배출라인(470)에 배출펌프(770)가 마련된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과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배수라인(415)은 필터라인(405)에서 분기되어 배수라인(440)으로 연결된 라인을 말하며, 제2 배수라인(415)이 분기되는 지점에는 삼방밸브(615)가 마련되어 필터라인(405)을 유동하는 물의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 차이에 따라 연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펌프(770)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다만, 저장부(300)로 공급되는 제1 연수 또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제2 연수가 배출될 수 있을 때에는, 배출펌프(770)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모듈이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는 제2 연수 배출라인(470), 제1 연수 배출라인(430), 필터부(200), 필터라인(405) 및 제2 공급라인(4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저장부(300)와 필터부(200)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는 제2 연수 배출라인(470) 및 제1 연수 배출라인(430)을 통해 필터부(200)에 공급되어,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필터라인(405)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수라인(415) 및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원수는 제2 공급라인(42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c)은, 도 24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b)에 비해 저장라인(435)이 구비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연수가 저장부(300)로 공급될 필요가 없는 경우, 도 24에 비해 간단한 시스템을 통해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실시예 1에 따른 연수 시스템(1) 또는 도 23에 도시된 연수 시스템(1b)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6를 참조하여 POE 연수 시스템일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POE 연수 시스템은 수요처(20)로 공급되는 모든 원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유량의 원수를 처리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부(200), 저장부(300), 배출라인(4300) 및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은 공급순환라인(4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0)는, 필터부(200)로부터 제1 연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또는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던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원수는 직접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순환라인(4100)은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저장부(300)로 공급한다.
배출라인(4300)은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를 수요처(20)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라인(4300)은 저장부(300)에 형성된 제1 포트(3010) 및 제2 포트(30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저장부(300)를 관통하여 수요처(20)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포트(3010) 및 제2 포트(3020)는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저장부(300)에 형성된 포트이다. 또한, 도 26에는 배출라인(4300)이 하나의 관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하나의 연결된 관일 필요는 없고, 다수 개의 라인들이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배출라인(4300)에 형성된다.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과 배출라인(430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배출라인(4300)을 따라 유동하던 물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물도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배출라인(4300)에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이 형성됨으로써, 원수가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됨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200)에서 배출되어 배출라인(430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되던 제1 연수는,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된 연수와 혼합되어 배출라인(4300)을 통해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와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가, 저장부(300)를 관통하는 배출라인(4300)을 따라 수요처로 공급되기 때문에, 저장부(300)를 관통하는 배출라인(4300) 없이, 제1 연수를 저장부(300)로 공급하고 저장부(300) 내의 물을 수요처(20)로 공급할 때와 대비하여,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제1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될 때, 제1 연수가 저장부(200) 내의 물과 보다 적게 혼합될 수 있다.
한편, 관통공(43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배출라인(4300)이 다수 개의 관으로 형성된 경우, 관과 관 사이를 연결하는 메쉬(mesh)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에서 공급순환라인(4100)과 연결되는 포트를 원수 포트(303)라고 정의하고, 배출라인(4300) 중 제1 포트(3010)와 제2 포트(3020) 사이의 부분을 내부라인(4300a)이라고 정의할 때,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내부라인(4300a)에서 제1 포트(3010) 및 제2 포트(3020) 중 원수 포트(303)에서 멀리 위치하는 포트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된 원수가 관통공(4350)으로 유동하기 위한 거리가 멀게 형성되어, 원수가 관통공(4350)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수요처(20)로 공급되는 물의 경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은,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저장부(300)와 수요처(20) 사이의 배출라인(4300)으로 안내하는 제1 공급라인(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급라인(410)에는 제1 공급라인(410)을 개폐하고, 제1 공급라인(410)을 따라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로서 유량 조절 밸브(61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수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유입된 연수가 혼합되어 배출라인(4300)을 통해 저장부(300)로부터 배출되며, 여기에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혼합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량 조절 밸브(620)를 통해,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가,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요구된 경도와 차이가 있는 경우,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혼합 연수의 경도는 필터부(200)로부터 배출된 제1 연수의 유량과 경도,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의 경도 및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는 연수의 유량 및 메인 유로(10)에서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 및 경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제1 연수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된 연수가 혼합된 물의 경도에 기초해서,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라인(4300)의 말단에는 경도 측정 센서(70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제1 연수의 경도와 유량은 필터부(200)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 및 필터부(200)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에서 다수 개의 관통공(4350)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은, 원수 포트(303)의 크기 및/또는 관통공(4350)들의 개수 및 크기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일반적으로 메인 유로(10)를 따라 유동하는 수돗물 등의 원수의 경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필터라인(405)과 배수라인(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라인(405)은 원수를 메인 유로(10)에서 필터부(200)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라인을 말한다. 도 26에는 필터라인(405)이 하나의 라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부(200)가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을 포함하는 경우, 필터라인(405)은 각각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 개의 라인(도 2의 405a, 405b)으로 분기될 수 있다.
배수라인(440)은 필터부(200)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배출라인(4300)에서 분기되어 외부로 연결되는 라인을 말한다. 도 26에는 배수라인(440)이 하나의 라인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되고 상술한 것과 같이 필터부(200)가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을 포함하는 경우, 배출라인(43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라인(4300)과 배수라인(440)이 만나는 지점에는 배수밸브(640)로서 삼방밸브가 마련되어, 배수밸브(640)가,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물이 수요처(20)를 향해 유동하게 개방되거나 또는 배수라인(440)을 향해 유동하게 개방되는 것에 의해, 필터부(200)에서 배출되는 물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밸브(640)가 반드시 삼방밸브일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배수라인(440)들을 각각 개폐하는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유로(10)에는 메인밸브(601)와 경도 측정 센서(7000)가 마련되어, 메인밸브(601)의 개폐에 따라 원수가 연수 시스템(4)으로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도록 하며, 공급되는 원수의 경도는 경도 측정 센서(700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그리고 후술할 경도 측정 센서들(7000, 7010, 7020, 7030)은 물의 TDS를 측정하는 TDS 센서일 수 있다. 또한, 경도 측정 센서(7010)가 배출라인(4300)의 말단에도 마련되어 수요처(20)로 공급되는 물의 경도도 측정될 수 있고, 저장부(300)에도 TDS 센서(7020, 7030)가 마련되어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의 경도도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00)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 개의 센서(7020, 7030)가 마련되어, 저장부(300)에 저장된 물의 경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공급순환라인(4100)에는 공급순환라인(4100)을 개폐하는 공급순환밸브(6100)가 마련되고, 배출라인(4300)에는 배출라인(4300)을 개폐하는 배출밸브(630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급순환밸브(6100)와 배출밸브(6300)로, 역시 유량 조절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혼합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경우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개념도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된 라인은 물이 유동하고 있는 라인을 의미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라인은 물이 유동하고 있지 않은 라인을 의미한다.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의 일부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원수는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되거나, 또는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저장부(300)와 수요처(20) 사이의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필터부(200)를 통해 배출된 제1 연수는 배출라인(4300)을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며,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원수가 공급됨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어 제1 연수와 혼합될 수 있다. 제1 연수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유입된 연수는 배출라인(4300)을 따라 유동하다가,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공급된 원수와 혼합되어 혼합 연수를 생성하며, 생성된 혼합 연수가 수요처(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을 제어하여 도 26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6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200a, 200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밸브(640a)는 수요처(20)를 향해 개방되고, 배수밸브 (640b)는 배수라인(440)을 향해 개방되면, 필터모듈(200a)은 제거모드를, 필터모듈(200b)은 재생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요처(20)로 공급되는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을 경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배출되고,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원수가 유입됨에 따라,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이 저장부(300)에 축적될 수 있다.
한편, 수요처(20)로 공급되는 연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은 어느 기준값 이하가 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증가하여, 혼합 연수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게 된다면, 그때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의 이온성 물질의 양이 한계량을 초과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를 필터부(200)와 저장부(300) 사이에서 순환시키면서 필터부(200)를 통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가 보다 적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7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공급순환라인(4100)에 마련된 순환펌프(7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200)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순환펌프(7100)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상기 공급순환라인(4100), 필터라인(405), 필터부(200) 및 배출라인(43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저장부(300)와 필터부(200)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이때 배출라인(4300)을 따라 유동하던 제1 연수는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4)을 제어하여 도 27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7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8은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필터부를 재생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라인(405)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4)을 제어하여 도 31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8
실시예 5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순환라인(4100)의 형상에 있어서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5)은, 공급순환라인(4100)이 저장부(300)에 마련되어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원수 포트(303)를 지나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까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내부라인(4300a)에서 제1 포트(3010) 및 제2 포트(3020) 중 공급순환라인(4100)의 말단에서 멀리 위치하는 포트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급순환라인(4100)을 따라 저장부(300)로 공급된 원수는 공급순환라인(4100)의 말단에서 저장부(300)로 공급될 수 있고,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공급순환라인(4100)의 말단으로부터 멀게 위치하여, 원수가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5)을 통해 혼합 연수를 수요처(20)로 공급하기 위해서,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5)을 제어하여 도 29와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19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통해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 방법은,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6)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공급순환라인(4100)과 저장부(300)의 연결 방식에 있어서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과 차이가 있다.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과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6)은, 제1 포트(3010)가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고, 배출라인(430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형성된 점에서 실시예 4에 따른 연수 시스템(4)과 차이가 있다. 또한, 공급순환라인(4100)은, 캡(410a)을 매개로 제1 포트(301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410a)은 제1 포트(3010)를 커버하여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되, 공급순환라인(4100)과 연결되어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제1 포트(3010)로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급순환라인(4100)이 캡(410a)을 매개로 제1 포트(3010)에 연결됨으로써, 제1 포트(3010)가 실시예 4의 원수 포트(303)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은 제2 포트(302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제1 포트(3010)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관통공(4350)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혼합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하는 경우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6)에서 혼합 연수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된 원수 중의 일부는 필터부(200)로 공급되고, 메인 유로(10)에서 공급되는 원수 중 필터부(200)로 공급되지 않은 원수는 공급순환라인(4100)을 통해 저장부(300)로 공급되거나, 또는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저장부(300)와 수요처(20) 사이의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공급순환라인(4100)을 따라 유동하던 원수는, 캡(410a) 및 제1 포트(3010)를 통해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배출라인(4300)은 제1 포트(3010)를 관통하여 지나가고 있기 때문에, 배출라인(4300)을 따라 유동하는 제1 연수와 제1 포트(3010)를 통해 저장부로 공급되는 원수를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00)로 원수가 공급됨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가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되어, 제1 연수와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과 마찬가지로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유동하던 원수가 배출라인(4300)으로 공급되어, 제1 연수, 다수 개의 관통공(4350)들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유입된 원수 및 제1 공급라인(410)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혼합되어 혼합 연수가 생성될 수 있고, 제1 공급라인(410)에 마련된 유량 조절 밸브(610)를 통해 원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혼합 연수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을 제어하여 도 30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하여 제1 연수가 지속적으로 수요처(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20
수요처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를 필터부(200)와 저장부(300) 사이에서 순환시키면서 필터부(200)를 통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가 보다 적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1은 수요처(20)로 물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6)에서 저장부(300)에 저장된 연수에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연수 시스템(6)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공급순환라인(4100)에 마련되거나, 또는 배출라인(4300)에서 저장부(300)와 필터부(200) 사이에 마련된 순환펌프(7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1에서는 순환펌프가 공급순환라인(4100)에 마련된 것을 기초로 설명한다.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순환펌프(7100)가 작동함에 따라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는 필터부(200)와 저장부(300)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00)의 내부 공간에서 다수 개의 관통공(4350)을 통해 배출라인(4300)으로 압송된 물은, 배출라인(4300), 필터부(200), 필터라인(405) 및 공급순환라인(41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저장부(300)와 필터부(200) 사이에서 순환할 수 있다.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연수 시스템(4)을 제어하여 도 31과 같이 물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PCTKR2019003407-appb-I000021
이때 복수 개의 필터모듈(도 2의 200a, 200b)은,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거모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요처(20)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필터부(20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라인(405)을 통해 공급된 원수가 필터부(200)를 통과하며 필터부(20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배수라인(44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필터부(200)를 재생시키는 제어는 실시예 4에 따른 제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수요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공급받은 물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 상기 제1 연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제1 연수에서 유래하는 제2 연수를 배출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수 및 제2 연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할 때,
    상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되는, 연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과, 상기 제1 공급 라인에 마련된 유량 조절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량 조절 밸브를 통해, 상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도록 요구된 경도 및 유량과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연수, 제2 연수 및 원수의 경도에 기초해서, 상기 제1 연수, 제2 연수 및 원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혼합 연수의 경도 및 유량을 조절하는, 연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 중 일부는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 중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와,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제1 연수만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 중 일부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연수는 모두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며,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 중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 연수만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결되는 저장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저장부로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및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2 연수 배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와, 상기 제1 연수가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저장라인을 통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가 상기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2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결되는 저장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2 연수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연수 공급라인에 마련된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나머지 원수의 전부와,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되는 상기 원수 중 일부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연수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지 않은 나머지 원수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저장부로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 및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2 연수 배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와,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연수와,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가 상기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됨에 따라, 상기 제2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상기 저장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2 연수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연수 배출라인에 마련된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나머지 원수의 전부와,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연수와, 상기 공급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11.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병렬로 마련된 복수 개의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복수 개의 필터모듈은, 상기 제거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과, 상기 재생모드를 다 함께 수행하는 것을 교호적으로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12. 청구항 4, 청구항 5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병렬로 마련된 복수 개의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복수 개의 필터모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를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면서 상기 필터부를 통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연수가 보다 적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는, 연수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필터라인;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된 배수라인;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결되는 저장라인;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필터라인으로 연결되는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연수는 상기 회수라인, 필터라인, 필터부,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저장라인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상기 저장부와 필터부 사이에서 순환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연수 시스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연수를 보충하는, 연수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필터라인;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된 배수라인; 및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결되는 저장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메인 유로에서 공급된 상기 원수의 전부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고,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상기 제1 연수가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저장라인을 통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연수 시스템.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1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제1 본체와, 제2 저장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저장공간 내에 마련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연수 배출라인;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저장라인;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제1 공급라인; 및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다른 하나로 공급하는 제2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가 상기 제2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다른 하나로 공급될수록,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저장라인 및 제1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연수가 배출되며,
    상기 제1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나머지 원수 중 일부와,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1 연수와, 상기 저장라인 및 제1 연수 배출라인을 통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상기 제2 연수가 혼합되어 상기 혼합 연수를 생성하는, 연수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원수를 상기 메인 유로에서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공급하는 필터라인;
    상기 제2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필터라인으로 연결되는 회수라인; 및
    상기 회수라인에 마련된 회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다른 하나에 저장되어 있던 원수는 상기 회수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 공급라인 및 회수라인을 통해 상기 필터부로 회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해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상기 제1 연수는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저장라인을 통해 상기 제1 저장공간 및 제2 저장공간 중 어느 하나로 공급되는, 연수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에서 분기된 배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제1 연수 배출라인 및 배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연수 시스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복수 개가 병렬로 마련된 필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유입구는 유입구끼리,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는 유출구끼리 연통되게 병렬로 마련된 복수 개의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수 시스템의 전단 및 상기 연수 시스템의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연수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 시스템에서 상기 수요처에게 배출되는 상기 연수에 포함된 물리적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저장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된 연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출수구;
    상기 저장 공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급수구; 및
    상기 저장 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연수가 상기 출수구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상기 급수구를 통해 보충수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공급될 때, 상기 보충수가 상기 출수구를 향해 유동하는 것이 방해되도록,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4. 수요처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 유로를 통해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에서 유래하는 물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물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공급받은 물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제1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수에 상기 원수가 혼합되어 생성되는 혼합 연수가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며,
    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경도라고 정의할 때,
    상기 혼합 연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혼합 연수의 경도가 조절되는, 연수 시스템.
PCT/KR2019/003407 2018-03-23 2019-03-22 연수 시스템 WO20191824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121 2018-03-23
KR1020180034121A KR102275495B1 (ko) 2018-03-23 2018-03-23 연수시스템
KR10-2018-0059745 2018-05-25
KR1020180059745A KR102536229B1 (ko) 2018-05-25 2018-05-25 연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418A1 true WO2019182418A1 (ko) 2019-09-26

Family

ID=6798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407 WO2019182418A1 (ko) 2018-03-23 2019-03-22 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824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61B1 (ko) * 2005-02-28 2005-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자동경도측정기를 갖는 경수연화장치
KR20080102079A (ko) * 2007-05-18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기
KR100934161B1 (ko) * 2009-01-30 2009-12-29 (주) 시온텍 Cdi 전극 모듈
KR101227854B1 (ko) * 2007-05-21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3737A (ko) * 2012-05-03 2013-11-13 코웨이 주식회사 원수 농도 측정을 통한 재생식 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861B1 (ko) * 2005-02-28 2005-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자동경도측정기를 갖는 경수연화장치
KR20080102079A (ko) * 2007-05-18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기
KR101227854B1 (ko) * 2007-05-21 201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34161B1 (ko) * 2009-01-30 2009-12-29 (주) 시온텍 Cdi 전극 모듈
KR20130123737A (ko) * 2012-05-03 2013-11-13 코웨이 주식회사 원수 농도 측정을 통한 재생식 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생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43553A1 (ko) 메소코즘 모사 시스템에 장착되는 실험수조
WO2017164498A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WO2017155274A1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 방법
WO2016204414A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WO2018135747A2 (ko) 유류 오염 퇴적물의 자연 회복능을 실험하는 모사 메소코즘
WO2015037842A1 (ko) 근해의 리튬 흡착설비와 연안의 리튬 분리설비를 사용한 해수의 리튬 회수장치, 리튬 회수 스테이션, 및 에어레이션을 이용한 리튬 탈착 장치
WO2017171215A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15053511A1 (ko) 폐수 재생장치 및 이를 포함한 폐수 재활용 세척설비
WO2013015651A2 (ko) 온도응답성 정삼투 유도용질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및 정수방법
WO2021194277A1 (ko) 가습기
WO2017119677A1 (en) Lock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WO2014133284A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EP418915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182418A1 (ko) 연수 시스템
WO2019088782A1 (ko) 전기 생산과 탈염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발전 장치 및 방법
WO2019194327A1 (ko) 웨이퍼 수납용기
EP315812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O2020105921A1 (ko) 이온 제거키트
WO2020235829A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0076096A1 (ko) 전열 포트
WO2021025460A1 (ko) 엘이디 스핀척
WO2019112132A1 (en) Lens curvature variation apparatus
WO2019045410A1 (ko) 프리캐스트 겔, 전기 전달 모듈, 전기영동 및 웨스턴 블롯용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66452A1 (ko) 물 가열기용 이온 제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스케일 프리 보일러와, 스케일 프리 물 가열기와, 휴대용 이온 제거장치
WO2019066455A1 (ko) 스케일 프리 보일러 및 스케일 프리 물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71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718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