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854B1 -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854B1
KR101227854B1 KR1020070049218A KR20070049218A KR101227854B1 KR 101227854 B1 KR101227854 B1 KR 101227854B1 KR 1020070049218 A KR1020070049218 A KR 1020070049218A KR 20070049218 A KR20070049218 A KR 20070049218A KR 101227854 B1 KR101227854 B1 KR 10122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oft
soft water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589A (ko
Inventor
함정윤
쿠르기 에듀어드
정진하
히데오 노지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85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02F2209/055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제품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며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양의 공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는원수와 연수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가전제품에 공급하는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49218
연수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공급수 제공부

Description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Capacitive deionization water softe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of}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가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가 세탁기에 이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세탁기 110,310: 공급수제공부
120,320: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 130, 350: 제어부
본 발명은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제품 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흡착탈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원수에 함유된 금속 이온들과 이온교환을 하는 이온교환 수지와 이온교환수지가 실장되도록 하는 본체로 이루어져, 경도가 높은 원수를 경도가 낮은 연수로 변환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연수기는 세제의 용해력을 높여 세정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하여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이용되거나, 경수에 의해 스팀관에 생성되는 스케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발생장치 등에 이용되고 있는 등 그 사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는 연수기는 이온 교환수지를 재생하기 위해 소금물을 생성하는 재생수가 저장되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고, 주기적으로 소금을 주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공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 후 이온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물에 함유된 이온 성분을 제거하고, 이온들을 제거한 후에는 전압 인가를 하지 않거나 또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바꾸어 흡착되어 있던 이온을 물과 함께 배출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는 전극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연수를 생성하고 있다.
한편, 세탁기 및 식기 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경도는 다소 높으나 많은 양의 공급수를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에서 제안된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를 가전제품에 이용되기 위해 서는 가전제품에서 요구하는 경도를 가지며 가전제품에서 요구하는 양의 공급수를 생성 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는 연수효율이 높아 가전제품이 요구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는 데에는 적합하나, 처리유량이 작아 가전제품이 요구하는 양의 공급수를 생성하는 데에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처리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극의 크기를 크게하여 처리유량을 증가시키는 때에는 고가의 다공성 전극을 많이 사용해야 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부피가 커져 가전제품에 이용하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며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양의 공급수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처리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로 전극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도 가전제품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는원수와 연수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가전제품에 공급하는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수를 저장하는 연수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제공부는 상기 연수저장부에 저장된 연수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제공부는 상기 원수의 경도가 상기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원수만으로 공급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제공부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 및 상기 연수의 유입량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기와, 식기 세탁기와, 전기오븐의 스팀발생장치 및 전자 레인지의 스팀발생장치 중 하나이다.
또한, 상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은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과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공급수 제공조건이면 원수와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에서 생성된 연수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가 상기 가전제품에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수와 상기 원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은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과 연수저장부 및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 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공급수 제공조건이면 원수와 전기 상기 연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연수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이 요구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가 상기 가전제품에 제공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연수저장부의 연수수위가 선택된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는 경도가 높은 원수를 경도가 낮은 연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과, 전기 흡탈착식 연수 모듈(120)에서 생성된 연수(WL)와 원수(WH)를 이용하여 세탁기(2)에 알맞은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생성하여 세탁기(2)에 제공하는 공급수제공부(110)와, 공급수 제공부(110)와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은 외관을 이루며 원수가 흐르면서 연수화되도록 하는 연수유로(122)가 마련되는 케이스(121)와, 연수유로(122)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전극부(127,128)와 제 1 및 제 2 전극부(127,12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9)로 이루어진 전기장발생부(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121)의 일 측에는 연수유로(125)로 원수(WS)가 공급되도록 하 는 유입구(123)가 형성되고, 케이스(121)의 타 측에는 연수유로(122)를 지나면서 연수화된 연수(WL)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배출구(1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구(123)는 원수공급관(30)에서 분지되는 분지관(31)에 연결되어 원수(WH)가 연수유로(122)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수배출구(124)는 공급수제공부(110)에 연결된 연수공급관(50)에 연결되어 연수(WL)가 공급수제공부(110)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입구(123)에는 유량조절밸브(125)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량조절밸브(125)는 유입구(123)를 개폐하거나 유입구(123)의 개도를 조절하여, 연수유로(122)에 원수(WH)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연수유로(122)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은, 전원공급부(129)와 유량조절밸브(125)가 후술되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전극부(127)와 제 2 전극(128)에 전원이 인가되고 유입구(123)가 개방되면, 원수(WH)가 연수유로(122)를 지나면서 제 1 전극부(127)과 제 2 전극부(128)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도록 한다. 이때에, 연수유로(122)를 지나는 원수(WH)에 포함된 이온들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제 1 전극부(17) 또는 제 2 전극부(18)에 흡착되어, 원수(WH)는 연수(WL)로 변하게 된다.
공급수제공부(11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공급수생성실(112)이 마련되는 본체(111)와, 공급수생성실(112)에 원수(WH)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수유입구(113)와, 공급수생성실(112)에 연수(WL)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수 유입구(114) 및 공급수생성실(112)로부터 공급수(WS)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수배출구(1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원수유입구(113)는 원수공급관(30)과 연결되어 공급수생성실(112)에 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연수유입구(114)는 연수공급관(50)에 연결되어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에서 생성된 연수(WL)가 공급수생성실(1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급수 배출구(115)는 공급수관(40)과 연결되어 세탁기(2)에 공급수(WS)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원수 유입구(113)와 연수 유입구(114) 측에는 공급수생성실(112)로 유입되는 원수(WH)와 연수(WL)의 경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는 원수경도센서(116) 및 연수경도센서(119)가 설치된다.
그리고 원수 유입구(113) 상에는 원수(WH)의 유입을 제어하는 원수유입밸브(116)가 설치되고, 공급수 배출구(115)에는 공급수(WS)의 배출을 제어하는 공급수 밸브(117)가 설치되고, 연수 유입구(114) 상에는 공급수생성실(112)의 공급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18)가 설치된다.
제어부(130)는 원수(WH)의 경도와 연수(WL)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공급수제공실(112)에 유입되는 원수(WH)와 연수(WL)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세탁기(2)에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가 제공될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원수(WH)의 경도가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고 있으면, 원수(WH)가 세탁기(2)에 곧 바로 제공될 수 있도록 원수유입밸브(116)와 공급수밸브(117)을 완전 개방하고, 유량조절밸브(125)를 폐쇄한다. 그리고 원수(WH)의 경도 가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보다 높으면, 원수(WH)와 연수(WL)이 소정의 비율을 가지고 혼합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과 공급수제공부(110) 및 제어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과 공급수제공부(110) 및 제어부(130)는 세탁기(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1)에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201), 제어부(130)는 공급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한다(202). 여기서, 공급수 제공조건은 세탁기의 제어부(21)에서 송출되는 공급수 제공명령일 수 있다.
이때에, 제어부(130)는 공급수 제공조건이 아니면 계속하여 공급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공급수 제공조건이면 원수유입밸브(116)가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원수(WH)가 공급수생성실(112)로 유입되도록 한다(203). 이와 동시에 제어부(130)는 원수경도센서(140)이 작동되도록 하여 원수경도센서(140)이 원수의 경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도록 한다(204).
그 다음, 제어부(130)는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205).
여기서,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보다 작으면, 제어부(130)는 공급수생성실(112)에 유입되는 원수(WH)가 공급수(WS)로서 곧 바로 제공되도록 제어한다(206). 즉, 제어부(130)는 공급수밸브(117)가 개방되도록 하여 공급수생성실(112)의 공급수(WS)를 세탁기(2)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한다(209). 여기서,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은 세탁기의 제어부(201)로부터 입력되는 급수정지명령일 수 있다.
이때에,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이 아니면 제어부(130)는 공급수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202)로 회귀하고,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이면 제어부(130)는 공급수의 제공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210). 즉, 제어부(130)는 공급수밸브(117)이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운전종료조건인를 판단하여 운전종료조건이 아니면 공급수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202)로 회귀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운전종료조건이면 전원을 오프하며(212), 종료한다. 여기서, 운전종료조건은 설정시간의 경과일 수 있다.
한편,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설정경도에 대응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30)는 원수유입구(113)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WH)의 경도와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연수(WL)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설정경도에 대응하는 경도에 대응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를 생성하는 데에 요구되는 연수(WL)의 유량과 원수(WH)의 유량을 산출한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원수유입밸브(116)과 유량조절밸브(125)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공급수 생성실(112)에서는 설정 경도에 대응하는 공급수가 생성된다.
그 다음, 제어부(130)는 공급수생성실(112)에서 생성된 공급수(WS)가 세탁기(1)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급수 밸브(117)를 개방한다(208).
그리고 제어부(130)는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209)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3)는 경도가 높은 원수를 경도가 낮은 연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320)과, 전기 흡탈착식 연수 모듈(320)에서 생성된 연수(WL)를 저장하는 연수저장부(330)와, 연수저장부(330)에 저장되는 연수(WL)와 원수(WS)를 이용하여 세탁기(2)에 알맞은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를 생성하여 공급수(WS)를 세탁기(2)에 공급하는 공급수제공부(310)와, 전기 흡탈착식 연수 모듈(320)과 연수저장부(330) 및 공급수제공부(31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320)은 외관을 이루며 원수가 흐르면서 연수화되도록 하는 연수유로(322)가 마련되는 케이스(321)와, 연수유로(322)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전극부(327,328)와 제 1 및 제 2 전극부(327,32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9)로 이루어진 전기장발생부(3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케이스(321)의 일 측에는 연수유로(322)로 원수(WS)가 공급되도록 하는 유입구(323)가 형성되고, 케이스(321)의 타 측에는 연수유로(322)를 지나면서 연수화된 연수(WL)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수배출구(324)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구(323)는 원수공급관(30)에서 분지되는 분지관(31)에 연결되어 원수(WH)가 연수유로(322)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연수배출구(324)는 연수저장부(330)에 연결된 제 1 연수공급관(60)에 연결되어 연수(WL)가 연수저장부(330)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입구(323)에는 유량조절밸브(325)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량조절밸브(325)는 유입구(323)를 개폐하거나 유입구(323)의 개도를 조절하여, 연수유로(322)에 원수(WH)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연수유로(322)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320)은, 전원공급부(329)와 유량조절밸브(325)가 후술되는 제어부(350)에 의해 제어되어 제 1 전극부(327)와 제 2 전극(328)에 전원이 인가되고 유입구(323)가 개방되면, 원수(WH)가 연수유로(322)를 지나면서 제 1 전극부(327)과 제 2 전극부(328)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도록 한다. 이때에, 연수유로(322)를 지나는 원수(WH)에 포함된 이온들이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제 1 전극부(327) 또는 제 2 전극부(328)에 흡착되어, 원수(WH)는 연수(WL)로 변하게 된다.
연수저장부(330)는 내부에 연수가 저장되는 연수저장실(332)가 마련되는 저장실 케이스(331)와, 저장실 케이스(331)의 일측에 마련되어 연수저장실(332)로 연수(WL)가 유입되도록 하는 저장실 유입구(335) 및 저장실 케이스(331)의 타측에 마련되어 공급수제공부(310)로 연수(WL)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실 유출구(334)를 포함 한다.
그리고 연수저장실(332)의 일 측에는 제어부(350)에 의해 제어되어 연수저장실(332)에 저장된 연수를 저장실 유출구(334)로 펌핑하는 연수펌프(3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연수저장실(332)의 일 측에는 연수저장실(332)에 저장되는 연수(WL)의 수위를 감지하여, 연수(WL)수위를 제어부(350)로 제공하는 수위센서(336)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위센서(336)는 연수저장실(332)에 저장되는 연수(WL)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연수(WL)의 수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연수저장실(332)의 일 측에는 연수 경도센서(337)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수 경도센서(337)는 연수저장실(332)에 저장되는 연수(WL)의 경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연수(WL)의 경도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공급수제공부(310)는 외형을 이루며 내부에 공급수생성실(312)이 마련되는 본체(311)와, 공급수생성실(312)에 원수(WH)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원수유입구(313)와, 공급수생성실(312)에 연수(WL)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연수 유입구(314) 및 공급수생성실(312)로부터 공급수(WS)가 배출되도록 하는 공급수배출구(3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원수유입구(313)는 원수공급관(30)과 연결되어 공급수생성실(312)에 원수(WH)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연수유입구(314)는 제 2 연수공급관(70)에 연결되어 연수저장부(330)에 저장된 연수(WL)가 공급수생성실(3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공급수 배출구(315)는 공급수관(40)과 연결되어 세탁기(2)에 공급수(WS) 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원수 유입구(313) 측에는 공급수생성실(312)로 유입되는 원수(WH)의 경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제공하는 원수경도센서(3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원수 유입구(313) 상에는 공급수생성실(312) 내부로 원수(WH)의 유입을 제어하는 원수유입밸브(316)가 설치되고, 공급수 배출구(315)에는 공급수(WS)의 배출을 제어하는 공급수 밸브(317)가 설치되고, 연수 유입구(314) 상에는 공급수생성실(312)의 공급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318)가 설치된다.
제어부(130)는 원수(WH)의 경도와 연수(WL)의 경도를 기초로 하여 공급수제공실(312)에 유입되는 원수(WH)와 연수(WL)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세탁기(2)에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가 제공될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원수(WH)의 경도가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고 있으면, 원수(WH)가 세탁기(2)에 곧 바로 제공될 수 있도록 원수유입밸브(316)와 공급수밸브(317)을 완전 개방하고, 연수펌프(333)의 구동을 정지한다. 그리고 원수(WH)의 경도가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보다 높으면, 원수(WH)와 연수(WL)이 소정의 비율을 가지고 혼합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세탁기(2)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WS)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연수(WL)가 연수저장부(330)에 충분히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수위센서(337)로부터 입력되는 수위가 설정 수위 이하이면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320)이 연수를 생성하도록 하여 연수저장부(330)에 연수(WL)가 충분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3)에 전원이 인가되면(401), 제어부(350)는 연수저장실(332)의 연수수위가 제 1설정수위 이상인가를 판단한다(402). 즉, 제어부(350)는 수위센서(336)이 작동되도록 하여 수위센서(336)로부터 연수수위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수신된 연수수위가 저장된 제 1 설정수위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이때에, 연수수위가 제 1 설정수위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350)는 연수를 보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403). 즉,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320)이 연수를 생성하여 연수저장실(332)에 제공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350)는 연수의 보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404). 즉, 제어부(350)는 연수수위가 제 1 설정수위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연수의 보충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하여 연수의 보충이 완료되는지를 판단하고, 연수의 보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연수보충을 정지하며(405), 공급수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6)를 수행한다.
그리고 연수수위가 제 1 설정수위보다 크면, 제어부(350)는 공급수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한다(406). 여기서, 공급수제공조건은 세탁기의 제어부(21)로부터 이력되는 공급수제공명령일 수 있다.
이때에, 제어부(350)는 공급수제공조건이 아니면 상기되는 402단계로 회귀하 고,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공급수제공조건이면 원수유입밸브(316)이 개방되도록 하여 공급수생성실(312)로 원수(WH)가 유입되도록 한다(407).
이어서, 제어부(350)는 원수유입구(316)측에 설치된 원수경도센서(340)가 원수(WH)의 경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에 제공하도록 한다(408).
그리고 제어부(350)는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 이하인지를 판단한다(409). 이때에,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 이하이면, 제어부(350)는 원수(WH)를 직접 공급수(WS)로 제공하는 제어를 수행한다(410). 다시 말하면, 제어부(350)는 공급수밸브(317)이 개방되도록 하여 공급수 생성실(312)로 유입되는 원수(WH)가 공급수(WS)로서 곧 바로 세탁기(2)에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한다(411).
반면에, 원수(WH)의 경도가 설정경도 이하가 아니면, 제어부(350)는 설정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한다(412). 다시 말하면, 원수(WH)의 경도와 연수저장실(332)에 저장되는 연수(WL)를 기초로 하여 공급수생성실(312)에서 혼합되어야 할 연수(WL)와 원수(WH)의 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원수(WH)와 연수(WL)의 비율을 기초로 하여, 공급수생성실(312)로 유입되어야 할 원수(WH)의 유량과 연수(WL)의 유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연수(WL)와 연수(WL)의 유량을 기초로 하여 연수펌프(334)의 구동량을 제어하고, 원수유입밸브(316)의 개도를 조절한다.
그 다음,제어부(350)는 공급수 생성실(312)에서 생성된 공급수(WS)가 세탁기(2)에 제공될 수 있도록 공급수밸브(315)를 개방한다(413).
그리고 제어부(350)는 공급수 생성실(312)에 연수(WL)가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연수저장실(332)의 연수수위가 제 2 설정수위 이하로 되는지를 판단한다(414). 이때에, 연수수위가 제 2 설정수위 이하가 아니면 제어부(350)는 급수제공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11)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연수수위가 제 2 설정수위 이하이면, 제어부(350)는 원수공급밸브(316)과 공급수밸브(315)를 폐쇄함과 동시에 연수펌프(33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연수저장실(332)의 연수수위가 제 1설정수위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402)로 회귀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되는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11)에서, 제어부(350)는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이 아니면 원수의 경도를 감지하는 단계(409)로 회귀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공급수제공종료조건이면 공급수의 제공을 종료한다.
이어서, 운전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하여 운전종료조건이 아니면 제어부(350)는 운전종료조건이면 제어부(350)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2)에 인가되는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하며 종료한다(418).
한편, 상기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가 세탁기에 이용되는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정한 경도의 연수가 요구되는 가전제품인 식기 세척기와, 전기 오븐 레인지의 스팀 발생장치와, 전자 레인지의 스팀 발생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가 세탁기와 별개로 마련되어 세탁기에 일정한 경도의 연수를 제공하는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세탁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처리유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에서 생성된 연수와 원수를 혼합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와 량의 공급수를 제공할 수 있어 가전제품에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별도로 고가의 다공성 전극을 크게하지 않고도 처리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연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 모듈; 및
    원수와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에서 생성된 연수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를 상기 가전제품에 공급하는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제공부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연수가 유입되는 연수 유입구 및 공급수가 배출되는 공급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를 저장하는 연수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수제공부는 상기 연수저장부에 저장된 연수를 이용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제공부는 상기 원수의 경도가 상기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원수만으로 공급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제공부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 및 상기 연수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은 세탁기와, 식기 세탁기와, 전기오븐의 스팀발생장치 및 전자 레인지의 스팀발생장치 중 하나인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6. 연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과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연수가 유입되는 연수 유입구 및 공급수가 배출되는 공급수 배출구를 가지는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공급수 제공조건이면 원수와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에서 생성된 연수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가전제품에서 요구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가 상기 가전제품에 제공되도록 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수와 상기 원수가 소정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
  8. 연수를 생성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과,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에서 생성된 연수를 저장하는 연수저장부 및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 연수가 유입되는 연수 유입구 및 공급수가 배출되는 공급수 배출구를 가지는 공급수제공부를 포함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급수 제공조건인지를 판단하고,
    공급수 제공조건이면 원수와 상기 연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연수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가전제품이 요구하는 경도를 가지는 공급수를 생성하고,
    상기 공급수가 상기 가전제품에 제공되도록 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흡탈착식 연수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연수저장부의 연수수위가 선택된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49218A 2007-05-21 2007-05-21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2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18A KR101227854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18A KR101227854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89A KR20080102589A (ko) 2008-11-26
KR101227854B1 true KR101227854B1 (ko) 2013-01-31

Family

ID=4028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18A KR101227854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8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175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190101795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WO2019182418A1 (ko) *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190111684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시스템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10056759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고전압 전기 연수기의 감전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685B1 (ko) * 2011-05-03 2013-06-10 김은상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KR102567351B1 (ko) * 2018-11-20 2023-08-1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이온 제거키트,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수의 공급방법
KR20200058854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이온 제거키트
US11572287B2 (en) * 2019-03-07 2023-02-07 Kyungdong Navien Co., Ltd. Water-softening system
KR102333809B1 (ko) * 2021-09-10 2021-12-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탈착공정용 순환탱크를 구비한 축전식 탈염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440B1 (ko) * 1999-03-12 2001-11-15 구자홍 세탁기
KR100498861B1 (ko) * 2005-02-28 2005-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자동경도측정기를 갖는 경수연화장치
KR20070011513A (ko) * 2004-05-17 2007-01-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세척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6508A (ko) * 2004-10-18 2007-03-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분류가 감소된 세탁물의 세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440B1 (ko) * 1999-03-12 2001-11-15 구자홍 세탁기
KR20070011513A (ko) * 2004-05-17 2007-01-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세척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6508A (ko) * 2004-10-18 2007-03-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분류가 감소된 세탁물의 세정 방법
KR100498861B1 (ko) * 2005-02-28 2005-07-04 매일유업주식회사 자동경도측정기를 갖는 경수연화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35B1 (ko) * 2018-02-23 2021-05-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190101794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190101795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WO2019164175A1 (ko) *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102598182B1 (ko) * 2018-02-23 2023-11-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WO2019182418A1 (ko) * 2018-03-23 2019-09-2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102275495B1 (ko) * 2018-03-23 2021-07-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시스템
KR20190111684A (ko) * 2018-03-23 2019-10-0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시스템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102536229B1 (ko) * 2018-05-25 2023-05-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30074679A (ko) * 2018-05-25 2023-05-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102621163B1 (ko) 2018-05-25 2024-01-0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10056759A (ko)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고전압 전기 연수기의 감전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589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54B1 (ko)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685702B (zh) 洗碗机的控制方法
CN107550421B (zh) 洗碗机的软水器控制方法和装置以及洗碗机
CN105849331B (zh) 具有软水系统的洗衣机和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
KR101902834B1 (ko) 전기흡착방식의 연수장치 및 상기 연수장치의 구동 방법
EP3090087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washing machine
US20070000292A1 (en) Washing machine having water softener
CN105874114B (zh) 洗衣机和用于控制洗衣机的方法
EP3494860A1 (en) Control system for a household appliance, water treatment system controlled by the system and related program and method
CN112591858A (zh) 水路系统及控制方法、净水机、机器可读存储介质
US20150274545A1 (en) Softening apparatus
WO2017174265A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9056403A (ja) 軟水化ユニット、給湯システム
JP2010247098A (ja) 軟水装置における軟水化処理剤の再生方法および軟水装置
KR20240011205A (ko) 물 가열기에 대한 연수의 공급방법
US20220009802A1 (en) Ion removal kit
JP6349176B2 (ja) 洗濯機
KR20090004065A (ko) 의류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
KR20120067142A (ko) 살균수 챔버를 갖는 연수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N214299411U (zh) 软水机
KR101666133B1 (ko) 연수 및 알칼리성 세탁수 공급방법
KR2004009086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778462B2 (ja) 軟水器の再生制御方法
KR102567351B1 (ko) 이온 제거키트,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수의 공급방법
CN219680538U (zh) 一种循环软水器及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