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685B1 -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685B1
KR101272685B1 KR1020110041874A KR20110041874A KR101272685B1 KR 101272685 B1 KR101272685 B1 KR 101272685B1 KR 1020110041874 A KR1020110041874 A KR 1020110041874A KR 20110041874 A KR20110041874 A KR 20110041874A KR 101272685 B1 KR101272685 B1 KR 101272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hardness
measuring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161A (ko
Inventor
김은상
Original Assignee
김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상 filed Critical 김은상
Priority to KR102011004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685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02F2209/055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역마다 물성 차를 보이는 물의 표준화를 통해 현재 급증하고 있는 음용수, 농업용수, 축산 음용수 생성을 위한 2차 물이용장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성분을 낮추어 주기 위한 연수기(10)와; 상기 연수기(10)를 통과하여 연수되어진 물이 저장되어지는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도 측정센서(31)와; 상기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PH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3 2)와; 상기 저장탱크(30)에 저장되어진 물을 외부의 물 이용기기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정량펌프(40)와; 상기 저장탱크(30)로 부터 외부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와; 상기 측정센서(31,32)에서의 측정된 각각의 수치가 일정 범위의 경도 및 PH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0)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A WATER TREATMENT DEVICE FOR WATER STANDARDIZATION}
본 발명은 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별도 각기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는 물을 표준화 하여 물 이용장치의 신뢰성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우리 생활 전반에 반드시 필요한 자원이다. 생존 유지에 필요한 음용수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의 다양한 용도로 변환이 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물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실상은 물이 존재하는 지역의 지질 등 환경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서울의 물과 경상도의 물, 심지어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물, 영국 런던의 물, 미국 로스엔젤레스의 물 등이 어느 한 곳도 다른 한곳과 동일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
결국, 세상의 모든 물은 다른 성상을 보이고 있으며, 물의 차이를 나타내는 성상 중에서도 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이나 석회성분의 함유 정도에 따라 맛 뿐만 아니라, 그 물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효과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물 이용제품(커피자판기, 정수기, 세탁기 등)은 한정적인 동일성을 바탕으로 제품을 생산하고 유통하게 되며, 그 결과 제품의 생산량, 유지보수 등 영업활동이 지역적으로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물이라는 원료의 비표준화로 인해서 대량생산이 쉽지 않고, 제품의 가격구조 또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해 소비자들은 그 편익을 누리지 못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물의 지역적 비표준화는 최근 급속히 증대되고 있는 물 이용기기 제품군의 보급속도가 그 효용가치에 비해 빨리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근본 원인이기도 하다.
덧붙여, 알칼리 이온수의 농업용수(식물 및 축산용)로의 사용에 대한 수요는 확대 일로에 있지만, 각기 지역마다 다른 물 특성으로 인해서 알칼리 이온수기 생성장치는 각기 다른 기계적인 특징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차이에 따라 다르게 생산되는 생성장치는 소량주문생산으로 가격이 비싸며 유지보수면에서도 많은 제약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물 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지역마다 다른 성질을 보이는 물들을 일정 범위 내에서 동질성을 띄도록 하여 많은 2차 물 이용기기의 표준화 및 이에 따른 대량생산 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물 표준화용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는,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성분을 낮추어 주기 위한 연수기와; 상기 연수기를 통과하여 연수되어진 물이 저장되어지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도 측정센서와; 상기 저장탱크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PH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어진 물을 외부의 물 이용기기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정량펌프와; 상기 저장탱크로 부터 외부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측정센서에서의 측정된 각각의 수치가 일정 범위의 경도 및 PH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지역마다 물성 차이를 보이는 물의 표준화를 통해 현재 급증하고 있는 음용수, 농업용수, 축산 음용수 생성을 위한 2차 물이용장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조그만 트럭 등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면 쉽게 아무곳에나 필요한 지역에 이동, 고정되어 있는 기존의 물공급장치와 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 이동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 제품설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 표준화용 수처리 장치의 구조를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물 속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탄산칼슘 등의 광물질의 양)를 낮추어 주기 위한 연수기(10)와, 연수기(10)에 의해 연수되어진 물이 저장되어지는 저장탱크(20)와,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도 측정센서(31)와,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PH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32)와,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 물을 외부의 물 이용기기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정량펌프(40)와, 저장탱크(20)로 부터 외부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와, 측정센서(31,32)에서의 측정된 각각의 수치가 일정 범위의 경도 및 PH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0)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제어부(60)로 구성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0)는 각각의 측정센서(31,32)에서 측정된 경도 및 PH수치를 인터넷(70)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80)에게 전달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61)가 구성되어져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60)에서는 각 측정센서(31,32)의 수치가 경도 50 ~ 100PPM, PH 5 ~ 8 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인터넷(70)을 통해 관리자(80)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연수기(10)의 교체시기임을 알려주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응용 예로서 저장탱크(20) 내부에는 물분자의 활성화를 위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21)가 추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0은 클라이언트로서, 인터넷 환경을 통해 원격으로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수처리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제품을 나타낸 것으로서, 장치 상부에는 처리수 생성장치(100) 및 저장용기(110)가 각각 연결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원수가 연수기(10)로 유입되면 연수기(1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경도를 내리는 연수과정을 통해 적절한 PH조절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같이 필터링이 이루어진 물은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다.
또한,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 물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라 설치되어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21)에 의해 물분자의 활성화가 이루어져 보다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 물은 정량펌프(40) 구동에 의해 일정 주기로 물 이용 기기인 처리수 생성장치(100)로 공급되어진다.
즉, 이때에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50)가 개방되어짐과 함께 정량펌프(4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어지게 됨으로서 처리수 생성장치(100)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진 후 저장용기(110)에 저장되어 언제든지 처리수의 물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60)에서는 저장탱크(20)에 설치된 경도 측정센서(31)와 PH 측정센서(32)의 데이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데이타 수치가 일정범위(경도 50 ~ 100PPM, PH 5 ~ 8)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밸브(50)를 차단시켜서 더이상 처리수의 공급이 안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자체적인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인터넷(70)을 통해 연결된 관리자(80)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연수기(10)의 교체시기임을 알려주게 되면, 관리자는 연수기(10)를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지역마다 상이한 물 특성으로 인해 각기 다른 기계적 특성을 가진 장치들에 표준화된 모듈이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되어, 장치의 양산체제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지역적으로 상이한 물의 특성과 사용량 등을 원격지에서 인터넷환경을 통해 파악이 가능하게 되어 물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장치를 고정형이 아닌 트럭 등에 설치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필요한 지역으로 언제든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느 지역에서도 비슷한 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연수기 20 : 저장탱크
31 : 경도 측정센서 32 : PH 측정센서
40 : 정량펌프 50 : 솔레노이드밸브
60 : 제어부 70 : 인터넷
80 : 관리자 90 : 클라이언트
100 : 처리수 생성장치 110 : 저장용기

Claims (4)

  1.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성분을 낮추어 주기 위한 연수기(10)와;
    상기 연수기(10)에 의해 연수되어진 물이 저장되어지며, 내부에는 물분자의 활성화를 위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UV램프(21)가 구성된 저장탱크(20)와;
    상기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도 측정센서(31)와;
    상기 저장탱크(20) 내에 저장되어지는 물의 PH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32)와;
    상기 저장탱크(20)에 저장되어진 물을 외부의 물 이용기기로 일정량씩 공급하는 정량펌프(40)와;
    상기 저장탱크(20)로 부터 외부로 물이 공급되는 유로를 개폐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와;
    상기 측정센서(31,32)에서의 측정된 각각의 수치가 일정 범위의 경도 및 PH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원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0)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각각의 측정센서(31,32)에서 측정된 경도 및 PH수치를 인터넷(70)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자(80)에게 전달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부(61)가 구성되며, 각 측정센서(31,32)의 수치가 경도 50 ~ 100PPM, PH 5 ~ 8 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인터넷(70)을 통해 관리자(80)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연수기(10)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도록 하는 제어부(6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41874A 2011-05-03 2011-05-03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KR101272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74A KR101272685B1 (ko) 2011-05-03 2011-05-03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74A KR101272685B1 (ko) 2011-05-03 2011-05-03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61A KR20120124161A (ko) 2012-11-13
KR101272685B1 true KR101272685B1 (ko) 2013-06-10

Family

ID=4750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74A KR101272685B1 (ko) 2011-05-03 2011-05-03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6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123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스텐레스상공(주) 기능성 청정수 제조장치
JP2008157579A (ja) * 2006-12-26 2008-07-10 Miura Co Ltd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KR20080102589A (ko) * 2007-05-21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72899A (ja) * 2009-09-30 2011-04-14 Miura Co Ltd 水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123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스텐레스상공(주) 기능성 청정수 제조장치
JP2008157579A (ja) * 2006-12-26 2008-07-10 Miura Co Ltd ボイラ給水用補給水の供給方法
KR20080102589A (ko) * 2007-05-21 2008-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흡탈착식 연수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72899A (ja) * 2009-09-30 2011-04-14 Miura Co Ltd 水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161A (ko) 201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0513B1 (en) Beverage water maker
Wu et al. A critical review of point-of-use drinking water treatment in the United States
US20130341285A1 (en) Assuring threshold ozone concentration in water delivered to an exit point
RU2356853C2 (ru) Система дозирования добавки и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CN106396225B (zh) 水处理系统及工艺
US20230303409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household water treatment apparatus
CA2640826C (en) Sensor assembly for controlling water softener tanks
CN104205058A (zh) 使用基于互联网的软件和数据库的水系统的远程监测、控制及自动分析
CN109564149A (zh) 侧流泡沫监测与控制系统
CN216808373U (zh) 水分配器及将至少一种营养物差别添加到饮用水中的系统
RU2011106963A (ru) Автомат для розничной продажи воды
KR101272685B1 (ko) 물 표준화용 수 처리장치
US20130082002A1 (en) 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032441B1 (ko)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및 하이브리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시스템
KR20160011606A (ko) 음수기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e Graaf et al. Implementation of an innovative sensor technology for effective online water quality monitoring in the distribution network
US20110223280A1 (en) Basic Water
CN207713561U (zh) 一种附带消毒装置的纯净水设备
CN101781000A (zh) 电解制水机
KR20160100708A (ko) 지하수 소독장치
CN105467092A (zh) 食品质量监测系统
US20210139344A1 (en) Water Vapor Distill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Redelinghuys Design and application of a bench scale evaporator for the treatment of coal power plant waste water
Afridi A study on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Systems in view of UN SDG 6 centering advanced ICTs
Gilron Sc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