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82273A1 -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82273A1
WO2019182273A1 PCT/KR2019/002725 KR2019002725W WO2019182273A1 WO 2019182273 A1 WO2019182273 A1 WO 2019182273A1 KR 2019002725 W KR2019002725 W KR 2019002725W WO 2019182273 A1 WO2019182273 A1 WO 20191822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eep
examinee
posture
sleep apnea
apnea seve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7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교구
김정훈
김태훈
안광석
신재영
이돈문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91822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2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8Sleep apno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Definitions

  • Sleep apnea is a phenomenon in which breathing stops temporarily during sleep. Sleep apnea can lead to sleep interruption and daytime sleepiness, which can serious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the condition.
  • a determination may be made in which a weight is determined to determine sleep apnea severity.
  • the sound generated in a predetermined posture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size, or a sound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generated when the posture changes from a predetermined posture to another posture is judged as noise and excludes the corresponding sound from sleep apnea severity judgment. Judgment may be made.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검사하는 수면 중증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본 발명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검사하는 수면 중증도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한다.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에 일시적으로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을 말한다. 수면 무호흡이 발생하면 수면의 단절과 주간 졸림이 일어남으로써, 해당 증상을 가진 사람의 삶의 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수면 무호흡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서, 수면 다원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면 다원검사는 수면의 단계와 기능, 수면 중 발생하는 사건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표준 수면 다원검사는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ECG), 뇌전도(electro encephalogram, EEG), 안전도(electrooculogram,EOG), 근전도(electromyogram, EMG), 동맥의 산소 포화도, 비강 및 구강의 기류, 흉부 및 복부의 움직임, 수면자세, 혈압 등이 기록되고, 호흡 노력을 보기 위해 식도압을 추가하기도 한다. 심전도는 무호흡으로 생길 수 있는 부정맥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이다. 뇌전도, 안전도, 근전도를 통해 수면과 각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동맥의 산소포화도는 무호흡 동안에 일어나는 산소의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또 비강 및 구강의 기류와 흉부 및 복부의 움직임 측정은 호흡의 노력을 통해 정상 호흡인지 중추성 또는 폐쇄성 무호흡인지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중추성 무호흡은 기류가 없으면서 호흡노력도 없는 경우를 말하며, 폐쇄성 무호흡은 호흡 노력은 있으나 코나 입으로 기류가 나오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수면 다원 검사는 수면질환의 총체적 검사법으로 좋은 진단법이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고 번거로우며, 숙련된 인력과 노력, 및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환자에게 접근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다른 방법의 수면검사가 제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휴대용 검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휴대용 검사 장치들은 복잡한 측정 준비 과정이 필요하거나, 오차가 발생하여 진단이 정확하지 않은 단점들이 있으며, 특히 수면 무호흡의 유형을 진단할 수 없는 장치들도 있다. 특히, 수면 무호흡의 중증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수면 다원 검사와 같은 정확도를 확보하면서, 검사가 간편한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면 다원 검사와 같은 정확도를 확보하면서, 검사가 간편한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센서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 부분에 착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수 개의 수면 자세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수면 자세군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가 상기 수 개의 수면 자세군 중 특정한 수면 자세에 해당할 때 발생한 수면음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한다.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고리즘은, 수면 자세로부터 수면 단계를 도출하는 수면 단계 도출 모델을 포함하며, 각각의 수면 단계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한다.
상기 알고리즘은, 특정 시간 동안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의 변화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상일 경우 해당 시간 동안 발생한 수면음을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배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 장치는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에는, 수면 자세와 수면음 및 수면 무호흡 중증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수면음과 피검사자의 자세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수면 다원 검사와 같은 정확도를 확보하면서, 검사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에서,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한 자세 정보를 토대로 처리 장치가 피검사자의 자세를 분류한 일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100);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200);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100)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200)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300); 를 포함한다.
제1 센서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서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립, 안대 등과 같은 착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장치(100)는 피검사자의 신체 자세를 포착할 수 있는 소정의 센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센서 수단은 소정의 가속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 장치(100)에서 감지된 피검사자의 자세 정보를 처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송수신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센서 장치(100)가 소정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될 경우, 처리 장치(300)는 가속도 센서에서 획득한 3 축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를 유추할 수 있다. 유추된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는 제2 센서 장치(200)에서 획득된 피검사자의 수면음과 함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제2 센서 장치(200)는 피검사자의 수면중 발생하는 각종 수면음을 포착하는 장치이다. 제2 센서 장치(200)는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거나 또는 수면음을 포착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에서는 제1 센서 장치(100)와 제2 센서 장치(200)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수면 안대 형태의 착용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착용 수단에 제1 센서 장치(100)와 제2 센서 장치(200)가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센서 장치(200)는, 예컨대 골전도 마이크일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는 사용자가 수면 중 호흡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코, 인두 또는 후두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 장치(200)는 호흡기류에 따라서 발생하는 두개골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골전도 마이크는 사용자의 수면 중 발생하는 음성 정보를 골전도 방식으로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중 호흡음 등을 포착할 수 있다. 골전도 마이크는 예컨대 피검사자의 머리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골전도 마이크를 포함한 제2 센서 장치(200)를 사용할 경우, 주변의 소음 및 잡음 등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어 검사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2 센서 장치(200)에서 감지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정보를 처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송수신 장치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처리 장치(300)는 소정의 알고리즘 및 데이터 등이 내장된 소정의 CPU 로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장치(300)에 포함된 알고리즘은 상기 제1 센서 장치(100)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200)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00)는 제1 센서 장치(100)와 제2 센서 장치(2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소정의 송수신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처리 장치(300)는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는, 실제 수면 무호흡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검사 결과가 있을 수 있으며, 처리 장치에서는 이러한 검사 결과와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대조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수면 자세와 수면음 및 수면 단계를 토대로 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수면 무호흡 환자들의 수면 자세와 수면음, 및 수면 단계와 수면 무호흡 사이의 관계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베이스에는 특정 자세에서 특정 수면음이 발생할 경우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 지수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에서는 피검사자의 자세 및 수면음이 상기 데이터와 부합할 경우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그에 해당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지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수면 단계와 관련된 수면 무호흡 중증도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이미 저장된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정보가 저장되며 해당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베이스는 검사된 각종 사례들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으며, 처리 장치(300)는 이러한 새로운 데이터를 기존에 저장된 정보와 새 정보를 결합, 처리하여 새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및 처리 장치(300)는 도출된 새 데이터를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음향 분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특성 및 그의 1차 미분값을 추출하여 수면음의 시간적 주파수적 특성을 동시에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00)는 추출된 음향특성과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을 적용한 분류기 및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분류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에서는, 제1 센서 장치(100)의 예시로서 수면 자세 취득 장치를 나타내고 잇으며, 제2 센서 장치(200)의 예시로서 소정의 수면음 녹음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제1 센서 장치(100)에서 취득된 피검사자의 자세 정보와, 제2 센서 장치(200)에서 취득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정보를 각각 처리 장치(30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센서 장치(100)에서 취득된 피검사자의 자세 정보는 소정의 보조 특성으로 추출되며, 제2 센서 장치(200)에서 취득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정보는 소정의 전처리를 통해 음향 특성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 장치(300)에 포함된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자세에 의한 보조 특성과, 피검사자의 수면음의 음향 특성과 각각 추출하는 제1 알고리즘, 및 제2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알고리즘은, 제1 센서 장치(100)에서 취득된 정보를 토대로, 피검사자의 자세를 유추할 수 있다. 도 3 은 제1 센서 장치(100)에서 포착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처리 장치(300)가 유추한 피검사자의 자세를 분류한 일 예이다. 이와 같은 피검사자의 자세 판단에는 지면과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수면 중 몸의 정면 방향이 판단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장치(300)는 피검사자의 자세를 몸이 바로 누운 자세, 몸이 비스듬한 자세, 몸이 옆으로 누운 자세, 및 몸이 엎드린 자세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몸이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머리가 바른 자세, 및 머리만 돌아간 자세로 다시 분류될 수 있다. 즉, 피검사자의 자세는 크게 5 개의 자세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피검사자의 자세는, 지면과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머리와 몸이 모두 바른 자세, 머리는 돌아가고 몸이 바른 자세, 및 몸이 옆으로 돌아간 자세로 분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음향 특성을 추출하는 제2 알고리즘의 경우, 실질적으로 피검사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수면음 외의 다른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소정의 필터링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알고리즘에서는 노이즈의 주파수적 특성을 이용하여, 1 차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수면음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음향 특성과 보조 특성이 처리 장치(300)에 저장된 수면 무호흡증 중증도 판단 모델로 입력되면 수면 무호흡증 중증도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처리 장치(300) 내에는, 음향 특성과 보조 특성을 이용하여 소정의 수면 무호흡증 중증도를 판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 모델을 갖는 제3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수 개의 수면 자세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수면 자세군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자세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분류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제3 알고리즘은,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를 판단할 때, 바로자는 자세의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supine apnea-hypopnea index), 및 돌아누워 자는 자세의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lateral apnea-hypopnea index)를 각각 분리하여 판단하고, 예측함으로써 피검사자의 전체 수면무호흡-저호흡지수(total apnea-hypopnea index)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머리와 몸이 바로 누운 자세에서 발생한 수면음이 소정의 크기 이상일 경우,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소정의 가중치를 두는 형태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자세에서 발생한 소리 중 소정의 크기 이상의 소리, 또는 소정의 자세에서 다른 자세로 자세가 변동될 때 발생한 소정의 크기 이상의 소리는 노이즈로 판단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해당 소리를 배제하는 형태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보조 특성의 활용 형태는, 특정 자세 뿐만이 아니라, 자세가 변화되는 정도를 판단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자세 변화 정도가 클 경우에 발생하는 수면음을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배제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 장치(100)에서 포착된 가속도 센서의 변화량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몸의 움직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동안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의 변화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상으로 판단되어, 자세 변화가 심한 시간 구간에서 포착된 것으로 판단된 수면음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 중증도의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제1 센서 장치(100)에 의해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가 상기 수면 자세군 중 특정한 자세군에 해당하는 자세일 때, 상기 제2 센서 장치(200)에 의해서 포착된 수면음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한다.
즉, 피검사자가 특정한 자세를 취할 때 발생한 수면음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배제하고, 그 외의 자세를 취할 때 발생한 수면음만을 토대로 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엎드린 자세인 경우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가 비교적 부족하므로, 피검사자의 자세가 엎드린 자세에 해당할 때 발생한 수면음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에 활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무호흡 검사 장치의 검사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알고리즘은, 수면 자세로부터 수면 단계를 도출하는 수면 단계 도출 모델을 포함하며, 각각의 수면 단계(sleep stage)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수면 자세와 수면 단계 사이의 유의미한 관계가 저장되어 수면 자세로부터 수면 단계를 유추하는 소정의 제4 알고리즘이 처리 장치(3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알고리즘은 4 알고리즘에 의해서 유추된 피검사자의 수면 단계와, 각각의 수면 단계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수면 자세와 수면음만을 이용하는 것에 더하여, 수면 자세로부터 수면 단계를 도출하는 과정과, 도출된 수면 단계와 수면음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알고리즘은 수면 단계와 수면음 사이의 관계로부터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제5 알고리즘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수면 자세에 따라서 수면 단계를 REM 수면, 1 단계 수면, 2 단계 수면, 및 3 단계 수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기존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결과와 대조하여, 상기 각각의 수면 단계 중 2 단계 수면 및 3 단계 수면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였을 때가 가장 정확도가 높을 경우, 2 단계 수면 및 3 단계 수면에 해당하는 경우의 수면음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 중증도의 판단이 더욱 정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피검사자의 수면음과 피검사자의 자세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함으로써, 종래의 수면 다원 검사와 같은 정확도를 확보하면서, 검사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피검사자의 수면음을 피검사자의 자세에 따라서 분류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활용함으로써, 정확한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이 가능해질 수 있다.
수면음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할 때,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서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유의미한 수면음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같은 수면음임에도 불구하고 피검사자가 특정한 수면 자세를 취할 경우에는 해당 수면음이 수면 무호흡과 관계가 없는 수면음일 수 있으며, 다른 수면 자세를 취할 경우에는 해당 수면음이 비교적 중증의 수면 무호흡을 나타내는 수면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에서는,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를 포착하고, 수면 자세별로 수면음을 분류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수면 무호흡 중증도의 판단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는 이미 저장된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정보가 저장되며 해당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따라서, 검사된 각종 사례들을 추가로 저장하여 기존에 저장된 정보와 새 정보를 결합, 처리하여 새 데이터를 도출하고, 도출된 새 데이터를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딥 러닝 기법에 의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더욱 정확도가 높은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7)

  1.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피검사자의 자세를 포착하는 제1 센서 장치;
    피검사자의 수면 중의 수면음을 포착하는 제2 센서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자세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서 장치에서 포착된 피검사자의 수면음 데이터를 종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을 갖는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장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수 개의 수면 자세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수면 자세군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가 상기 수 개의 수면 자세군 중 특정한 수면 자세에 해당할 때 발생한 수면음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수면 자세로부터 수면 단계를 도출하는 수면 단계 도출 모델을 포함하며,
    각각의 수면 단계에서 발생한 수면음을 각각 분리하여, 수면 무호흡 중증도를 판단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소정의 시간 동안 피검사자의 수면 자세의 변화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상일 경우 해당 시간 동안 발생한 수면음을 수면 무호흡 중증도 판단에서 배제하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 내에는,
    수면 자세와 수면음 및 수면 무호흡 중증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 및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는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PCT/KR2019/002725 2018-03-22 2019-03-08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WO20191822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93 2018-03-22
KR1020180033493A KR102068330B1 (ko) 2018-03-22 2018-03-22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273A1 true WO2019182273A1 (ko) 2019-09-26

Family

ID=6798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725 WO2019182273A1 (ko) 2018-03-22 2019-03-08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8330B1 (ko)
WO (1) WO2019182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17A (ko) 2020-04-17 2021-10-28 코웨이 주식회사 코골이 저감 동작이 가능한 모션 프레임 침대 및 이를 이용한 코골이 저감 방법
WO2021225382A1 (ko) * 2020-05-06 2021-1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호흡상태 검사 장치 및 방법, 수면 장애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23536514A (ja) * 2020-08-04 2023-08-25 エースリープ 使用者の睡眠環境で測定されたデータに基づいて睡眠状態を予測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
US20220202358A1 (en) * 2020-12-29 2022-06-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pnea
KR102387734B1 (ko) * 2021-04-22 2022-04-18 주식회사 에이슬립 비접촉 데이터 수집을 통한 수면상태 판단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372A (ko) * 2010-01-05 2011-07-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 다원 검사용 수면 자세 측정 장치
JP5350735B2 (ja) * 2008-09-30 2013-11-27 テル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16007418A (ja) * 2014-06-25 2016-01-18 株式会社東芝 睡眠状態推定装置、睡眠状態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7521A (ko) * 2015-11-16 2017-05-25 (주)탑중앙연구소 무호흡 탐지 시스템
KR20170108462A (ko) * 2016-03-17 2017-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9108B2 (en) 2009-11-05 2013-04-02 Inovise Medical, Inc. Multi-axial heart sounds and murmur detection for hemodynamic-condition assessment
KR101096089B1 (ko) 2010-01-28 2011-12-1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검출 및 유형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3499B1 (ko) * 2013-06-1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수면 품질 측정 방법 및 장치
JP6564040B2 (ja) 2014-12-08 2019-08-21 ユニヴァーシティ オブ ワシントン 対象における睡眠時無呼吸事象を識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96871B1 (ko) 2016-07-29 2017-11-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및 호흡 음향을 이용하여 수면 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0735B2 (ja) * 2008-09-30 2013-11-27 テル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80372A (ko) * 2010-01-05 2011-07-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수면 다원 검사용 수면 자세 측정 장치
JP2016007418A (ja) * 2014-06-25 2016-01-18 株式会社東芝 睡眠状態推定装置、睡眠状態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7521A (ko) * 2015-11-16 2017-05-25 (주)탑중앙연구소 무호흡 탐지 시스템
KR20170108462A (ko) * 2016-03-17 2017-09-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413A (ko) 2019-10-02
KR102068330B1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2273A1 (ko) 수면 무호흡 중증도 검사 장치
JP5153770B2 (ja) いびき検知及び確認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559903B2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detection of sleep apnea/popnea events
CN107529991A (zh) 用于检测对象的心脏和/或呼吸疾病的设备、系统和方法
KR101096089B1 (ko) 수면 무호흡 검출 및 유형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319277A1 (en) Sleep disorder monitoring and diagnostic system
Mayer et al. Simultaneous laboratory-based comparison of ResMed Autoset with polysomnography in the diagnosis of sleep apnoea/hypopnoea syndrome
CN103153183A (zh) 用于诊断阻塞性睡眠呼吸暂停的装置和方法
EP1379170A2 (en) Multi-channel self-contain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s of sleep disorders
CN10788703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15194833A1 (ko) 침식 호흡음 해석장치 및 방법
WO2021201464A1 (ko) 생체 신호 분석 알고리즘과 시스템 및 방법
JPH10295695A (ja) 無呼吸検出器
KR102324471B1 (ko) 휴대형 수면 무호흡증 컴퓨터 보조 진단 센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7713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ryngeal examination
CA2585824A1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detection of sleep apnea/hypopnea events
US11291406B2 (en) System for determining a set of at least one cardio-respiratory descriptor of an individual during sleep
EP3813642B1 (en) Monitoring swallowing in a subject
WO2001091631A1 (en) A sleep study apparatus
TW202302032A (zh) 基於心跳間隔下降率分組之呼吸暫停與不足事件偵測方法
CN116322504A (zh) 用于监测、表征和评估用户咳嗽的系统、方法、便携式设备、计算机设备和计算机程序
CA2584258A1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estimation of airflow rate
TW202145254A (zh) 一種資訊處理系統及其方法
CN207837532U (zh) 睡眠呼吸暂停症的人脸识别侦测系统
Guul et al. Portable prescreening system for sleep apn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714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714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