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24840A1 - 금융 자동화 기기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24840A1
WO2019124840A1 PCT/KR2018/015542 KR2018015542W WO2019124840A1 WO 2019124840 A1 WO2019124840 A1 WO 2019124840A1 KR 2018015542 W KR2018015542 W KR 2018015542W WO 2019124840 A1 WO2019124840 A1 WO 20191248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lt portion
belt
medium
guide
ca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5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백승태
박성호
이승수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955,46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02154B2/en
Publication of WO20191248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248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is an automation device that can support basic financial services such as deposits or withdrawals without any banking staff,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 financial automation devices have been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checking in and out of bills, depositing and withdrawing checks, organizing bankbooks, paying bills, and issuing tickets.
  • the financial automation device may include a cassette module for storing a medium such as banknotes, and a medium carry-out part for delivering the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module to the user from the cassette module.
  • a cassette module for storing a medium such as banknotes
  • a medium carry-out part for delivering the medium stored in the cassette module to the user from the cassette module.
  •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h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medium carrying-out part, and a movement path of the medium defined by the conveying belt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erms of space efficiency.
  •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includes a frame having a first belt portion and a second belt portion for transporting a medium and a frame slidably coupled to the frame,
  • the second belt portion and the third belt portion form a continuous medium movement path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elt portion, and the carry-out unit is slid forward In this stat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belt portion and the third belt portion, and the first belt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ing space.
  • the frame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the first belt portion and the second belt portion inside, one e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guide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slit.
  • the carry-out unit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to be slidably coupl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on both sides thereof and moving along the guide slit have.
  • the guide sl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ther end at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slit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guide portion is bent .
  • an engaging member protrudes from an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a hook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rry-out unit.
  • the hook portion may include a shaft member having both end portions thereof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y-out unit so as to be rotatable, a shaft memb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member, And may include a hook which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ooking member and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hooking member, and a gripping portion fixedly coupled to the shaft member.
  • the hook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maintain the shaft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third belt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overlap with the second bel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before the slide of the carry-out unit is moved, And the third belt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elt portion.
  • the frame may further include a lift unit on which the media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belt unit are integrated. After the media fed into the first belt unit are integrated in the lift unit, The second belt portion, and the third belt portion.
  •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and when the collection of the media introduced along the first belt is completed, The medium can be guided.
  •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assette in which a medium is stored, and a cassette module for supplying a medium to the frame.
  •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includes a first belt unit for transferring a medium discharged from at least one cassette storing media to a sheet, a medium conveyed from the first belt unit to be bundled, And a third belt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belt portion and conveying the medium to a user, wherein the third belt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belt portion overlaps with the second belt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hird belt portion is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where the third belt portion is spaced from the second belt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third belt portion is spaced from the second belt portion.
  •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medium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medium is caught on the movement path.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arry-out unit slides in the medium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arry-out unit is slid in the medium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 FIG. 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um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view of a media take-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nancial automatic machine 1 includes a cassette module 10 in which a medium is accommodated and a medium carry-out portion 60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sette module 10 can do.
  • the cassette modul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cassette 11 and a conveyance belt 12 for conveying the medium taken out from the cassette 11 to the medium carry- have.
  • At least one cassette 11 may be included, and when a plurality of cassettes 11 are provided, the cassette 11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medium M can be integrated inside the cassette 11.
  • the conveyance belt 1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sette 11.
  • the conveyance belt 12 can convey the medium so that the medium taken out of the cassette 11 flows into the medium carrying-out part 60.
  • the conveyance belt 12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assette 11 to convey the medium discharged from the cassette 11 to the medium carry-out portion 60 provided at the upper side.
  • the conveyor belt 12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driving source (not shown).
  • a medium carry-out part 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sette module 10.
  • a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carry-out part 60 by the conveying belt 12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medium carry- .
  •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carry-out unit 60 can be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on space S above the lift unit 230 through the first path Rl defined by the first belt unit 210 have. Thereafter, the raising and lowering part 230 is moved up and down, and when the raising and lowering part 230 is rotated upwards, the medium is conveyed through the second path R2 defined by the second belt part 220, And finally to the user through the third path R3 defined by the third belt 310.
  •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carry-out unit is slid in a medium carry-o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4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hematic partial cutaway view of a medium carry-ou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dium carry-out unit 60 included i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1 includes a first belt unit 210 and a second belt unit 220 And a take-out unit 5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frame 40 and includes a third belt unit 510 for carrying out a medium introduced from the second belt unit 220 can do.
  • the frame 40 can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medium carry-out portion 60 and includes a body portion 20 having a first belt portion 210 and a second belt portion 220 on the inner side, 20 and the other end thereof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20 and guide slits 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art 30.
  • the body part 20 is provided with an elevating part 230 provided with an accumulating space S on which media are accumulated and rotatably and elevatable, a first belt part 210 for conveying the medium to the accumulating space S, A stack guide 240 disposed above the lift unit to press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lift unit 230, a second belt unit 220 that lifts the media accumulated in the lift unit, and a lift unit 240 And a stopper 250 contacting one end of the stack guide 24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acker 240 through the lift part 240.
  • the first belt portion 210 defines a first path R1 through which the medium is conveyed and the first belt portion 210 conveys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medium carrying portion 60 through the conveying belt 12, To the accumulating space (S) on the upper part (230).
  • the first belt portion 210 may be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belt members and rollers.
  •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elt portion 210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media transport.
  • the medium conveyed by the first belt portion 210 can be accumul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on portion 230.
  • the medium may be taken out in a bundle form, and an accumulation space S in which media can be accumulated is provided on the elevation portion 230 Can be provided.
  • the elevating part 230 can be rotated and elevated to guide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ng space S to the second path R2.
  • the elevating part 230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disposed below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ath R1. Therefore,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integrated space S as a single sheet through the first belt 210 can b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scending part 230 in a state where the ascending part 230 is descending, have. Then, the elevating part 230 can be rotated upwards about the other end.
  • the elevating unit 230 can rotate up until the medium accumulated in the elevating unit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belt unit 220 disposed above the elevating unit 230, and the second belt unit 220 may be transported through the second belt 220 and taken out through the second path R2.
  • the elevating portion 230 may be driven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for example, a motor.
  • the motor can raise or lower the elevating part 230 by rotating the elevating part 230 about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part 230 as an axis.
  • the second belt portion 220 may define a second path R2 through which the medium is taken out. And the second path R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ath R3.
  • the second belt portion 220 may include an upper second belt portion 221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 second belt portion 22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econd belt portion 221.
  •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elt portion 220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configurations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media transport.
  •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1 includes a stopper 250 and a stack guide 240 to prevent the medium flowing into the lift part 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ccumulation space S. .
  • the stopper 25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lifting unit 230.
  • the stopper 250 may be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lift portion 230.
  • One end of the stopper 250 passing through the lift part 230 may be located in the accumulation space S.
  • one end of the stopper 250 may contact the stack guide 240.
  • the front end of the medium introduced into the accumulating space S can collide with the stopper 250 and can be stacked in the accumulating space S defined by the elevating portion 230, the stopper 250, .
  • the stack guide 2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portion 230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medium flowing into the lift portion 230 and press the medium when the lift portion 230 is lifted.
  • the stack guide 240 may include a hinge connection portion 242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shaft 241 and a pressing portion 243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2 to press the medium .
  • the pivot shaft 241 can be coupled to the frame 20a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medium carry-out portion 20.
  • the pivot shaft 241 may serve as a rotation axis of the stack guide 240, and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tubular shaft member.
  • One end of the hinge coupling part 242 may be rotatably hinged to the pivot shaft 241 and the other end of the hinge coupling part 242 may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ft part 230 is provided.
  • a pressing portion 24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242.
  • the pressing portion 243 may contact the stopper 250 provided through the elevating portion 230 before the elevating portion 230 rises. Therefore, the pressing portion 243 can define the accumulating space S in which the medium is stacked together with the elevating portion 230 and the stopper 250.
  • a weight portion 243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can be rotated downward by the weight portion 243a.
  • the weight portion 243a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separate member such as a screw to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or by molding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thicker than the other end.
  • bent portion 243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 the bent portion 243b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oth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toward the hinge connecting portion 242. [ The bending portion 243b can contact the medium front end when the medium enters the accumulating space S. [ The medium can be easily guided to the accumulating space S by the bent portion 243b bent upwardly into the accumulating space.
  •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2 may be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243 between the weight portion 243a and the bent portion 243b.
  • the pressing portion 243 has a weight portion 243a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with the hinge connection portion 242 connected thereto being heavier than the other end portion provided with the bent portion 243b . Accordingly, the pressing portion 243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one end is lower, that is, the elevation portion 230 is provided. Therefore, on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43 can contact the stopper 250 before the lifting portion 230 rises, and can press the medium when the lifting portion 230 rises. As such, the pressing portion 243 can be provided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edium and pressing the medium.
  • the guide portion 3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0. [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30 can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ther end can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20. [ The carry-out unit 5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portion 30 so as to be slidable.
  • the guide slit 31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 30 so as to guide the slide movement of the carry-out unit 50.
  • the guide protrusion 530 of the carry-out unit 50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slit 31 so that the carry-out unit 50 can slid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guide slit 31.
  • the guide slit 31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30 along the other end. Therefore, the carry-out unit 50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30.
  • At least a part of the guide slit 31 formed on one end side of the guide portion 30 is bent upward convexly to form the bent portion 31a. Therefore, when the carry-out unit 50 slides, the carry-out unit 50 can be moved upwards along the bend, then lowered,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30. [ By forming the bent portion 31a in this manner, collision between the member provided inside the carry-out unit 50 and the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portion 20 can be prevented when the carry-out unit 50 is slid.
  • the carry-out unit 50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unit 30 and guide protrusions 530 inserted into the guide slits 31 and moving along the guide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rry- And may be provided with protrusions.
  • the hook unit 52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rry-out unit 50.
  • the hook portion 5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20b of the body portion 20. [ Therefore, when the hook portion 52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20b, the slide movement of the carry-out unit 50 can be restricted, and when the hook portion 520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member 20b, 50 can slide.
  • the hook portion 52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member 521 and the shaft member 521 at both ends thereof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y-out unit 50, A grip portion 522 fixed to the hook member 522 and the shaft member 521 to be engaged or separated by the engaging member 20b to rotate together and to rotate the shaft member 521 by the user, . ≪ / RTI >
  • the hook 52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524 that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maintain the shaft member 52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elastic member 524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torsion spring have.
  • the user can slide the carry-out unit 50 by separating the hook 520 from the engaging member 20b by rotating the shaft member 521 while grasping the gripper 523.
  • the take-out unit 50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belt portion 510 for taking out the medium introduced from the second belt portion 220.
  • the second belt portion 220 and the third belt portion 510 may form continuous media movement paths R2 and R3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elt portion 210.
  • the second movement path R 2 and the third movement path R 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elt portion 210. Therefore, the second movement route R2 and the third movement route R3 may include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movement route R1.
  • the third belt portion 510 may include an upper third belt portion 511 and a lower third belt portion 312.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belt portion 510 may be provided so as to overlap the second belt portion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efore the carry-out unit 50 slides (see FIG. 3).
  •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third belt portion 311 may be provided so as to overlap with the lower second belt portion 22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vertical direction can mea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 the carry-out unit 50 can be slid forward (see FIGS. 4 and 5).
  • the carry-out unit 5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bending portion 31a in the initial stage of the movement, and can slide.
  • the third belt portion 5100 and the second belt portion 220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when the carry-out unit 50 is slid.
  • the spacing space P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belt portion 220 and the third belt portion 510 in a state in which the carry-out unit 50 is slid forward. At this time, the first belt portion 2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spacing space P formed between the second belt portion 220 and the third belt portion 510. Therefore, when the medium is caught by the first belt part 210, the user slides the carry-out unit 50 forward and then approaches the first belt part 210 through the spacing space P, can do.
  • the third belt portion 510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where at least a part of the third belt portion 510 overlaps with the second belt portion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d the third belt portion 510 may be moved between a second position spaced from the second belt portion 220.
  • the carry-out unit 50 is slidably provided so that the media can be easily removed when the medium is caught in the movement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를 이송하는 제1 벨트부 및 제2 벨트부가 구비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벨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매체를 반출하는 제3 벨트부가 구비된 반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 3 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부의 상측에서 연속된 매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반출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3 벨트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벨트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 기기
본 발명은 금융 자동화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 기기는 지폐 입출금은 물론 수표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 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 기기는 지폐 등의 매체(MEDIA)를 저장하는 카세트 모듈 및 카세트 모듈에 저장된 매체를 카세트 모듈로부터 사용자에게 반출하는 매체 반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체 반출부 내부에는 매체 이송을 위한 이송벨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공간 효율적 측면에서 이송벨트가 규정하는 매체의 이동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체의 이동경로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배열된 금융 자동화 기기의 경우 최하측에 형성되는 매체의 이동경로에 매체가 걸리게 되면, 걸린 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금융 자동하 기기를 전체적으로 분리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걸린 매체를 제거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매체 이송 중 매체가 이동 경로에 걸리는 경우, 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 기기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를 이송하는 제1 벨트부 및 제2 벨트부가 구비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벨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매체를 반출하는 제3 벨트부가 구비된 반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 3 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부의 상측에서 연속된 매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반출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3 벨트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벨트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벨트부 및 상기 제2 벨트부가 내측에 구비된 바디부 및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슬릿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반출 유닛은, 상기 가이드 유닛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 내면에는 걸림부재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반출 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반출 유닛의 내면에 양측 단부가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양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축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후크 및 상기 축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축부재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반출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전에는 상기 제3 벨트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벨트부와 겹쳐지게 구비되고, 상기 반출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후에는 상기 제3 벨트부는 상기 제2 벨트부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벨트부를 통과한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승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벨트부로 유입된 매체는 상기 승강부에 집적된 후,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3 벨트부를 통해 반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에서 상기 승강부는 상승 및 하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트를 따라 유입된 상기 매체의 집적이 완료되면 상승 회전하여 상기 제2 벨트부로 상기 제2 매체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매체를 공급하는 카세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로부터 이송되어 번들형태로 적재된 매체를 이송하는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2 벨트부와 연결되어 매체를 사용자에게 이송하는 제3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벨트부는 상기 제3 벨트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벨트부와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제 1 위치와, 제3 벨트부가 상기 제2 벨트부로부터 이격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는 매체가 이동 경로에 걸리는 경우에 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에서 반출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에서 반출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한 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에 다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의 개략 부분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매체가 수용되는 카세트 모듈(10) 및 상기 카세트 모듈(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체 반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 모듈(10)은 반출대상 매체를 저장하는 부재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11)와 카세트(11)로부터 반출된 매체를 매체 반출부(60)로 이송시키는 이송 벨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1)는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카세트(11)를 복수 개로 구비하는 경우, 카세트(11)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세트(11)의 내부에는 매체(M)가 집적될 수 있다. 한편, 카세트(11)의 일측에는 이송 벨트(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벨트(12)는 카세트(11)로부터 반출된 매체가 매체 반출부(60)로 유입되도록 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벨트(12)는 카세트(11)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상측에 구비된 매체 반출부(60)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이송 벨트(12)는 별도의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카세트 모듈(10)의 일측에는 매체 반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이송 벨트(12)에 의해 매체 반출부(60)로 유입된 매체는 매체 반출부(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 반출부(60)로 유입된 매체는 제1 벨트부(210)에 의해 규정되는 제1 경로(R1)를 통해 승강부(230) 상부의 집적공간(S)에 집적될 수 있다. 이 후 승강부(230)의 상승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승강부(230)의 상승 회전 동작이 완료되면, 매체는 제2 벨트부(220)에 의해 규정되는 제2 경로(R2)를 통해 이송되어 제3 벨트(310)에 의해 규정되는 제3 경로(R3)를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에 구비되는 매체 반출부(6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에서 반출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에서 반출 유닛이 슬라이드 이동한 후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에 다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체 반출부의 개략 부분 절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에 구비되는 매체 반출부(60)는 제1 벨트부(210) 및 제2 벨트부(220)가 구비된 프레임(40), 프레임(4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벨트부(220)로부터 유입된 매체를 반출하는 제3 벨트부(510)가 구비된 반출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매체 반출부(6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벨트부(210) 및 제2 벨트부(220)가 내측에 구비된 바디부(20) 및 일단이 바디부(20)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부(20)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슬릿(31)이 관통형성된 가이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에는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S)을 제공하고, 회전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30), 집적공간(S)으로 매체를 이송하는 제1 벨트부(210), 승강부(230)에 집적되는 매체를 가압하도록 승강부 상측에 배치되는 스택 가이드(240), 승강부에서 집적된 매체를 반출하는 제2 벨트부(220) 및 승강부(24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승강부(240)를 관통한 일측 단부는 스택 가이드(240)와 접촉하는 스토퍼(25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벨트부(210)는 매체가 이송되는 제1 경로(R1)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제1 벨트부(210)는 이송 벨트(12)를 통해 매체 반출부(60)로 유입된 매체를 승강부(230) 상부의 집적공간(S)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벨트부(210)는 복수 개의 벨트 부재 및 롤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제1 벨트부(210)의 구성은 매체 이송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벨트부(210)에 의해 이송된 매체는 승강부(230)의 상부에 집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에 있어서, 매체는 번들(bundle)형태로 반출될 수 있으며, 승강부(230)의 상부에는 매체가 집적될 수 있는 집적공간(S)이 제공될 수 있다.
승강부(230)는 회전되어 상승함으로써 집적공간(S)에 집적된 매체를 제2 경로(R2)로 안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230)는 일측 단부가 제1 경로(R1)의 말단보다 하측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벨트(210)를 통해 낱장으로 집적공간(S)에 유입된 매체는 승강부(230)가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부(23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집적되어 번들 형태로 적재될 수 있다. 이후 승강부(230)는 타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상승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승강부(230)는 승강부(230)에 집적된 매체가 승강부(230) 상부에 배치된 제2 벨트부(220)와 접촉할때까지 상승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벨트부(220)에 접촉된 매체는 제2 벨트(220)를 통해 이송되어 제2 경로(R2)를 통해 반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230)는 별도의 구동원, 예를 들어, 모터(motor)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모터(motor)는 승강부(230)의 타측 단부를 축으로 하여 승강부(230)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부(23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제2 벨트부(220)는 매체가 반출되는 제2 경로(R2)를 규정할 수 있다. 제2 경로(R2)는 제3 경로(R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벨트부(220)는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제2 벨트부(221)와 상측 제2 벨트부(22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제2 벨트부(222)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벨트부(220)의 구성은 매체 이송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1)는 승강부(230)로 유입되는 매체가 집적공간(S)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50) 및 스택 가이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50)는 승강부(23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250)는 승강부(23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230)를 관통한 스토퍼(250)의 일측 단부는 집적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250)의 일측 단부는 스택 가이드(24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적공간(S)으로 유입된 매체의 전단은 스토퍼(250)에 충돌할 수 있으며, 승강부(230), 스토퍼(250) 및 스택 가이드(240)가 규정하는 집적공간(S)에 집적될 수 있다.
승강부(230)의 상측에는 승강부(230)로 유입되는 매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고, 승강부(230) 상승 시 매체를 가압하도록 스택 가이드(24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택 가이드(240)는 일 예로서, 피봇축(2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연결부(242) 및 힌지 연결부(24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매체를 가압하는 가압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축(241)은 매체 반출부(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20a)에 결합될 수 있다. 피봇축(241)은 스택 가이드(24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형 축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242)는 일단이 피봇축(24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 결합부(242)의 타단은 승강부(230)가 구비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242)의 타단에는 가압부(24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243)는 승강부(230)가 상승하기 전 승강부(23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스토퍼(25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43)는 승강부(230) 및 스토퍼(250)와 함께 매체가 집적되는 집적공간(S)을 규정할 수 있다.
가압부(243)의 일단에는 중량부(243a)가 구비될 수 있다. 중량부(243a)에 의해 가압부(243)부의 일단은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중량부(243a)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가압부(243)의 일단에 결합하거나, 가압부(243)의 성형 시 일단을 타단보다 두껍게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43)의 타단에는 절곡부(243b)가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243b)는 가압부(243)의 타단이 힌지 연결부(242)를 향해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243b)는 매체가 집적공간(S)으로 유입되는 경우, 매체 전단과 접촉할 수 있다. 매체는 집적공간 내측으로 상향 절곡된 절곡부(243b)에 의해 집적공간(S)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연결부(242)는 중량부(243a)와 절곡부(243b) 사이에서 가압부(24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243)는 가압부(243)의 힌지 연결부(242)가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중량부(243a)가 구비된 일단측이 절곡부(243b)가 구비된 타단측보다 더 무겁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43)는 일단이 하측 다시 말해, 승강부(230)가 구비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243)의 일단은 승강부(230)가 상승하기 전에는 스토퍼(25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승강부(23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매체를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243)는 매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매체를 가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바디부(20)에는 가이드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일단이 바디부(20)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은 바디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0)에는 반출 유닛(5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30)의 양측면에는 반출 유닛(50)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가이드 슬릿(31)이 관통형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31)에는 반출 유닛(50)의 가이드 돌기(5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반출 유닛(50)은 가이드 슬릿(31)의 형상에 대응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슬릿(31)은 가이드부(30)의 일단에서 타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출 유닛(50)은 가이드부(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30)의 일단측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31)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되어 굴곡부(31a)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출 유닛(50)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반출 유닛(50)은 굴곡부를 따라 초기에 상측으로 이동한 후 하강하여 가이드부(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곡부(31a)를 형성함으로써 반출 유닛(5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반출 유닛(50)의 내부에 구비되는 부재와 바디부(20) 내부에 구비되는 부재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반출 유닛(50)은 가이드부(3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반출 유닛(5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슬릿(31)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530)가 돌출 구비될 수 있다.
반출 유닛(50)의 일단에는 후크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부(520)는 바디부(20)의 걸림부재(20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520)가 걸림부재(20b)에 체결되는 경우, 반출 유닛(50)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한될 수 있으며, 후크부(520)가 걸림부재(20b)로부터 분리된 경우 반출 유닛(50)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520)는 예를 들어, 반출 유닛(50)의 내면에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축부재(521), 축부재(521)의 양단측에 구비되고, 축부재(521)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걸림부재(20b)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후크(522) 및 축부재(521)에 고정 결합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축부재(521)를 회전시키기위한 파지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520)는 축부재(521)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부재(52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524)는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523)를 파지한 상태에서 축부재(521)를 회전시켜 후크부(520)를 걸림부재(20b)에서 분리시켜 반출 유닛(50)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반출 유닛(50)에는 제2 벨트부(220)로부터 유입된 매체를 반출하는 제3 벨트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벨트부(220)와 제3 벨트부(510)는 제1 벨트부(210)의 상측에서 연속된 매체 이동경로(R2, R3)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이동경로(R2)와 제3 이동경로(R3)는 제1 벨트부(210)의 상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 경로(R2) 및 제3 이동 경로(R3)는 제1 이동 경로(R1)와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부(510)는 상측 제3 벨트부(511) 및 하측 제3 벨트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벨트부(510) 중 적어도 일부분은 반출 유닛(50)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벨트부(220)와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예를 들어, 상측 제3 벨트부(311)의 단부가 하측 제2 벨트부(222)와 수직방향으로 겹쳐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이란 도 3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반출 유닛(50)의 후크부(520)와 걸림부재(20b)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 반출 유닛(50)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반출 유닛(5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경우, 반출 유닛(50)은 굴곡부(31a)에 의해 이동 초기엔 상승한 후 하강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반출 유닛(5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제3 벨트부(5100와 제2 벨트부(220)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반출 유닛(50)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제2 벨트부(220) 및 제3 벨트부(510) 사이에 이격 공간(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벨트부(210)는 제2 벨트부(220)와 제3 벨트부(51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P)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가 제1 벨트부(210)에 걸리는 경우 사용자는 반출 유닛(50)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이격 공간(P)을 통해 제1 벨트부(210)에 접근하여 걸려있는 매체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반출 유닛(50)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제3 벨트부(510)는 제3 벨트부(5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2 벨트부(220)와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제 1 위치와, 제3 벨트부(510)가 제2 벨트부(220)로부터 이격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 기기의 경우, 반출 유닛(5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매체가 이동 경로에 걸리는 경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2)

  1. 매체를 이송하는 제1 벨트부 및 제2 벨트부가 구비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벨트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매체를 반출하는 제3 벨트부가 구비된 반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 3 벨트부는 상기 제1 벨트부의 상측에서 연속된 매체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반출유닛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3 벨트부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벨트부는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벨트부 및 상기 제2 벨트부가 내측에 구비된 바디부; 및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양측면에는 가이드 슬릿이 관통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유닛은,
    상기 가이드 유닛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된 금융 자동화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슬릿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금융 자동화 기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양측 내면에는 걸림부재가 돌출 구비되고,
    상기 반출 유닛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가 구비된 금융 자동화 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반출 유닛의 내면에 양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축부재;
    상기 축부재의 양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축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림부재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후크; 및
    상기 축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축부재가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전에는 상기 제3 벨트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2 벨트부와 겹쳐지게 구비되고,
    상기 반출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후에는 상기 제3 벨트부는 상기 제2 벨트부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벨트부를 통과한 상기 매체가 집적되는 승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벨트부로 유입된 매체는 상기 승강부에 집적된 후, 상기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3 벨트부를 통해 반출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승 및 하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벨트를 따라 유입된 상기 매체의 집적이 완료되면 상승 회전하여 상기 제2 벨트부로 상기 제2 매체를 안내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1. 제1 항에 있어서,
    매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매체를 공급하는 카세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12. 매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로부터 배출된 매체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제1 벨트부;
    상기 제1 벨트부로부터 이송되어 번들형태로 적재된 매체를 이송하는 제2 벨트부; 및
    상기 제2 벨트부와 연결되어 매체를 사용자에게 이송하는 제3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벨트부는 상기 제3 벨트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벨트부와 상하방향으로 겹쳐지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3 벨트부가 상기 제2 벨트부로부터 이격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PCT/KR2018/015542 2017-12-22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WO201912484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55,461 US11302154B2 (en) 2017-12-22 2018-12-07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a slidable unloading unit having a belt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691A KR102010398B1 (ko) 2017-12-22 2017-12-22 금융 자동화 기기
KR10-2017-0178691 2017-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840A1 true WO2019124840A1 (ko) 2019-06-27

Family

ID=6699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542 WO2019124840A1 (ko) 2017-12-22 2018-12-07 금융 자동화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02154B2 (ko)
KR (1) KR102010398B1 (ko)
WO (1) WO20191248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8249B1 (en) * 2022-06-21 2023-06-27 Ncr Corporation Media item transpor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895A (ja) * 2003-12-08 2004-05-2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紙葉類払出し機
KR20120010735A (ko) * 2010-07-27 2012-02-06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잼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지폐처리장치
KR101258286B1 (ko) * 2006-06-30 2013-04-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반송로개방이 감지되는 금융자동화기기
JP2014006599A (ja) * 2012-06-21 2014-01-16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処理装置
JP2014123222A (ja) * 2012-12-20 2014-07-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647A (ko) *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5895A (ja) * 2003-12-08 2004-05-2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紙葉類払出し機
KR101258286B1 (ko) * 2006-06-30 2013-04-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반송로개방이 감지되는 금융자동화기기
KR20120010735A (ko) * 2010-07-27 2012-02-06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잼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지폐처리장치
JP2014006599A (ja) * 2012-06-21 2014-01-16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処理装置
JP2014123222A (ja) * 2012-12-20 2014-07-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取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02154B2 (en) 2022-04-12
KR102010398B1 (ko) 2019-08-13
US20200372765A1 (en) 2020-11-26
KR20190076686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5942B1 (en) Accumulating device and circulating type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WO2012015148A1 (ko) 지폐 잼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지폐처리장치
KR20090072666A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14104683A1 (en) Moving rail assembly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WO2019124840A1 (ko) 금융 자동화 기기
WO2017065471A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WO2017171312A1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910001242B1 (ko) 지폐출납기 등에 있어서의 지폐반송장치
KR100961577B1 (ko) 금융자동화기기
GB2236524A (en) Bill delivering apparatus
JPH02193837A (ja) 紙葉類収納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10008011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WO2019240474A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보충회수 카세트용 트랜짓 반송로 유닛 구조
KR101508266B1 (ko) 묶음지폐 입출금기
EP1544806A3 (en) Equipment for the automatic deposit of banknotes
WO2011081495A2 (ko) 금융 자동화기기
WO2010074457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CN110461743B (zh) 纸页类处理装置
WO2010077073A2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 스토퍼
JPS5810342B2 (ja) 紙葉処理装置
WO2010059010A2 (ko) 매체처리기의 매체회수장치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WO2024076037A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카세트 커넥팅 장치
WO2021080180A1 (ko) 카드 처리장치
WO2016204463A1 (ko) 연결반송로를 구비한 매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11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11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