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91A1 -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91A1
WO2019088491A1 PCT/KR2018/011933 KR2018011933W WO2019088491A1 WO 2019088491 A1 WO2019088491 A1 WO 2019088491A1 KR 2018011933 W KR2018011933 W KR 2018011933W WO 2019088491 A1 WO2019088491 A1 WO 20190884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pointer
projector
view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9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원근
이동길
박종복
심하몽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596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716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715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97747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ublication of WO20190884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multi-view image using a plurality of projectors and controlling a multi-view image to be displayed.
  • the three-dimensional imaging technology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pectacle-type three-dimensional display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auto-stereoscopic display.
  • multi-view three-dimensional display is most commonly known, and time-multiplexing or space-multiplexing techniques are used to obtain a finite number of three- Dimensional image with binocular disparity and motion disparity information to the observer in front of the display.
  • a separate device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s used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image.
  • a separate device or a display devic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active display device must be stopp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to directly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oint image control system and method which modularize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n image and adjust the size of the apparatus for convenience of management.
  • a system for controlling a multi-view image displayed by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multi-view image comprising: a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multi-view image; A pointer recognition device for recognizing whether the pointer is a spatial coordinate of a pointer to which the pointer is pointing or whether the pointer is moved, and a pointer recognition device for analyzing whether the pointer is a spatial coordinate or a movem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ulti-view image, wherein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includes a base unit having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structures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and a heat dissipation unit disposed around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a control unit A diffusion unit for diffusing an image transferred from the image transfer unit, and a diffusion unit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diffused by the diffusion unit, A microlens array for generating point images for the images diffused by the diffusing unit, and a frame for
  • the controller analyzes a spatial position of a pointer recognized by the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to a position in a multi-view image displayed by the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multi-view image moves in a pointer movement direction recognized by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from a position within the multi-view image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recognized by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 the projector unit includes a projector unit fixing unit for connecting the projector unit and the base unit to fix the projector unit to the base unit when the projector unit is attached to the base unit .
  • the project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rradiated with an image is positioned on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supporting the image transmitting portion and the frame supporting the base portion in which the projector portion is dispos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the start and end points.
  • the imag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proj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a side surface of the image transfer unit, and a yaw recess having the predetermined width on the other side.
  • the frame may include a space in which each image transfer unit may be disposed so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transfer units may be disposed, and the bas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jectors, And a space in which each projector section can be disposed.
  •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view image displayed by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multi-view image according to a coordinate pointed by a user using a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A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spatial coordinate of the pointer pointed by the user or a movement of the pointer and an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extracted in the extraction step in the multi- And controlling the multi-view image to move according to whether the pointer extracted in the extracting process is moved or not.
  •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comprising: a base unit having at least one heat radiating structure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and a display unit disposed at a periphery of the heat radiating structure, And a diffusion unit for diffus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transmission unit and a diffusion unit for diffus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transmission unit, And a frame supporting the base unit and the image transfer unit, wherein the image transfer unit and the projector unit are modularized, and the image transfer unit and the projector unit are modularized , Each projector portion is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and each image transfer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view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delivery unit in an image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jector unit and a base unit in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view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 / or < / RTI &gt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view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ulti-view image control system 100 includes a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and a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multi-view images.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transmits one or more images using one or more image projectors, and converts the dispatched images into point images to generate and display multi-view images.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110 not only generates and displays multi-view images, but also analyzes the information of the pointers received from the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120 and controls the displayed images according to pointers.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110 may enlarge or reduce a specific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ointer, or may move the image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pointer recognizing device 120 is a device for recognizing a position to be pointed by the system user.
  • the system user can use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to point to a point to be pointed within the multi-view image to be displayed.
  • the system user can use the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120 to point a portion of the displayed multi-view image and enlarge the corresponding portion.
  • the system user may use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to point a portion of the displayed multi-view image and to move the pointed portion to the left in order to further view the right image of the pointed portion.
  • the pointer recognizing device 120 recognizes the position that the system user wants to point to.
  • the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120 includes an operation recognition sensor (not shown) therein, and can recognize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pointed by the system user. As shown in FIG. 1,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can be mounted on a part of a body of a system user, and recognizes the coordinates on the current space using the motion recognizing sensor, so that the pointer of the pointer Recognizes spatial coordinates. Also,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recognizes the directionality of the pointer, and recogniz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inter has moved in the current coordinate, there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pointer is moved.
  •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Although only on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i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es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pointer to be recognized. For example, when two pointer recognizing devices are implemented so that each of the pointer recognizing devices is distant from each other, such an operation can be recognized as an operation of enlarging a multi-view image of a specific position.
  •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coordinates of a pointe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to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rei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by wire or wirelessly. Accordingly, the pointer recognizing device 120 transmits information such as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recognized by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to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n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to be pointed by the system user may be substituted. That is, even if the pointer recognition apparatus 120 is not mounted on a part of the body of a system user, a depth value in a space is extracted from the outside using a light source or the like, so that a device or the like for recognizing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May be used as the device 120.
  •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may be implemented as a Leap Motion Controller.
  • the lip motion controller corresponds to a device for observing a certain region using a plurality of infrared cameras and a plurality of LEDs and extracting a three-dimensional position of a space in which the lip motion controller is arranged. By continually analyzing these extracted locations, the lip motion controller can analyze its behavior.
  •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may be replaced with an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such as the lip motion controller.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110 includes an image generation unit 210, a diffusion unit 220, a microlens array 230, and an additional space 240 do.
  •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generates a basic image serving as a basis of the multi-view image.
  • the image generation unit 210 generates a base image and transmits the base image to the diffusion unit 220 so that a multi-view image can be generated.
  • the spreader 220 spreads th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or 210.
  • the microlens array 230 generates an array of point images based on the diffused base image from the diffusion unit 220 to generate a multi-view image.
  • the microlens array 2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lens-shaped microlenses successively 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basic images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 Accordingly, the microlens array 230 generates an array of point images for the basic image.
  • the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110 includes an additional space 240 below the image generation unit 21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pointer recognition device 120 is disposed in the additional space 240.
  • the control unit (not shown) Furthe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110 including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configuration of electric wires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additional space 240.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includes an image transmitting unit 310, a projector unit 320, a base unit 330, and frames 340 and 345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transmits the image irradiated from the projector unit 320 to the upper side (diffusing unit).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inside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s empty so that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s shown in detail in FIG.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ideo delivery unit in an image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mage transmission unit 310 includes an image input port 410 for receiving a basic image from the projector unit 320.
  • the image inlet 410 has a larger or larger diameter than the irradiating portion of the projector unit 320 in order to receive the fundamental image irradiated by the projector unit 320 in its entirety.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ncludes a body 420 for transmitting a via image.
  • the body portion 420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 the body portion 420 can be mounted on the frame 340 by being divided into two portions 424 and 428 having mutually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 the frame 340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portion 424 of the body portion 420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nd is formed of a portion 428 of the body portion 420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body portion 420 can be mounted. And has a space with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 the body portion 420 is divided into two portions 424 and 428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al areas so that the image transfer portion 310 can be arranged and fixed on the space of the frame 340.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may be modularized. That is,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A plurality of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may be disposed in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such that the number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may be arranged as in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shown in FIG. Therefore,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are disposed in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each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can be independently attached and detached.
  • the image transfer unit 310 has a protrusion 430 and a concave groove 435 in the body 420.
  • the body 420 has at least one protrusion 4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one side and a groov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protrusion 430 on the opposite side.
  • one of the remaining two surfaces has the same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has a groove 435.
  • the body portion 420 has the protruding portions 430 on the two surfaces and the recesses 435 on the other two surfaces,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mage transmitting portions 310.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when a large number of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are disposed in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ther image transmitting units before, after, left, and right . At this time, if the image transmitting unit is disposed without any actio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is lowered, and the image transmitting unit can not be disposed in the image generating unit 210 at a risk.
  •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ncludes the protrusion 430 and the groove 435 in the body 420, so that the protrusion 430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ove of the other image transmitter by the groove 435 To be coupled with the projection of the image transfer part. Accordingly,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 the projector unit 320 is disposed in the base unit 330 and irradiates a base image for generating a multi-view image with the image transmitter 310.
  • the projector unit 320 is disposed in the base unit 330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image transfer unit 310 to irradiate the basic image with the image transfer unit 310.
  • the projector unit 320 irradiates the basic image to the image input port 410 so that the image can be fully transmitted.
  • the base portion 330 supports the projector portion 320 and dissipates heat inevitably generated in the projector portion 320.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rojector unit and a base unit in an imag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jector unit 320 includes a body unit 510 for generating a base image and an irradiation unit 515 for irradiating the generated base image. 5, the irradiation unit 515 is not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art 510 but is bias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dy part 5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rojector unit 320 can not b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even if it is disposed, and is disposed offset to one side.
  • the projector unit 320 may be modularized, like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Particularly, the projector unit 320 can be modularized into a set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and the projector unit 3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In other words, like the image transmission unit 310, the projector unit 320 can be disposed in the base unit 330 independently of each projector unit.
  • the projector unit 320 includes a projector unit fixing unit 520.
  • the projector fixing unit 520 connects the projector unit 320 and the base unit 330 to fix the projector unit 320 to the base unit 330.
  • the projector unit fixing unit 520 is illustrated as being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rojector unit 320.
  • the irradiation unit 515 of the projector unit 320 may irradiate the basic image
  • the projector fixing unit 520 may be connected to any portion of the projector unit 320. [
  • the base portion 330 has a heat radiation structure 530 around the portion where the projector portion 320 is disposed.
  •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530 has a vertically upwardly projecting structure and is arranged around the space in which the projector unit 320 is disposed in the base unit 330.
  • the heat dissipating structure 530 radiates heat generated by the projector unit 320 during the generation and irradiation of the basic image to prevent damage due to heat that the projector unit 320 can receive.
  • the base portion 330 includes a base portion fixing portion 540.
  • the base unit fixing unit 540 connects the base unit 330 and the frame 34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and the projector unit 320 or between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and the base unit 330 And fixes the base part 330 and the frame 340 together.
  • the base portion fixing portion 540 is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330 and can be connected to both base portions when the bas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even when the base fixing portion 540 is connected to the frame 340, wh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can be connected to both the connection portions. Accordingly, the base unit fixing unit 540 fixes not only the base unit 330 and the frame 340, but also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base unit,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 the frames 340 and 345 support the image transfer unit 310 and the frame 340. Further, the frames 340 and 345 create an additional space 240 at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330.
  • the upper frame 340 has a space in which the image transfer unit 310 can be disposed.
  • One unit block of the upper frame 340 has a space capable of dispos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transmitters 310, for example, 2 * 4 or 3 * 3. Accordingly, one unit block of the upper frame 340 allows the base image to be arranged in one unit.
  • the upper frame 340 can arrange a plurality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s 310, and the basic images can have a constant arrangement.
  • the base portion 330 also has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rojector units 320 can be dispo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jector unit 320 and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can be modularized into one set, the same number of the projector units 320 and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must be disposed. Accordingly, the base part 330 has a space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rojector parts 320 can be arranged, like the upper frame 340.
  • the lower frame 345 supports the base portion 330.
  • the unit block of the lower frame 345 is a block having a size in which a base portion 330 having a space for dispos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he projector units 320 is disposed.
  •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unit blocks of the upper frame 340 are different from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unit blocks of the lower frame.
  • the irradiating unit 515 of the projector unit 320 is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projector unit 320 so as not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rojector unit 320. Therefore, The projector unit 320 must be biased toward one side. Accordingly,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and the projector unit 320 can not be arranged in a line, and one side of the projector unit 320 can only be arrang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mage transmitting unit 310.
  • the base fixing portion 540 also includes a base portion 330 and an upper frame 340 Shaped, and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base 330 and the position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340 are different.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multi-view imag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extracts the spatial coordinates and the movement of the pointer using the motion recognizing sensor (S610).
  •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transmits the spatial coordinates and the movement of the extracted pointer to the controller (S620).
  • the controller analyzes which posi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correspond to (S630).
  • the controller analyzes the spatial coordinates of the pointer received from the pointer recognizing apparatus 120 to determine which posi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the coordinate pointed by the system user is displayed.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S640). If the mobility of the pointer is determined by the system use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ulti-view image display device to move the stereoscopic ima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inter at the position in the stereoscopic image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 ROM, And the like).
  •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빛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열구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베이스부, 방열구조의 주변에 배치되며,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부, 프로젝터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다시점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전달부, 영상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에 대한 점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베이스부와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영상 전달부 및 프로젝터부는 모듈화되어, 각 프로젝터부는 베이스부에 영상 전달부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것이 특징이며,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대한 관리의 편리성을 증가시키고,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및 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며 디스플레이되는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을 해결할 대안으로서 제시된 3차원 영상구현 기술을 일반적으로 무안경식 3차원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Display)라고 한다. 이 중에서, 다시점(Multi-view) 3차원 디스플레이는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타임 멀티플렉싱(Time-Multiplexing) 또는 공간 멀티플렉싱(Space-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하여 공간상 유한수의 3차원 시점영상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앞의 관찰자에게 양안시차와 운동시차 정보가 있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무안경식 다시점(Multi-view) 3차원 디스플레이는 공간상 유한수의 3차원 시점영상을 배치하기 위해 많은 영상 투사장치와 렌즈가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와 같은 수많은 영상 투사장치와 렌즈가 장치 내부에 설치된 채로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내 복수의 영상 투사장치나 렌즈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다 하더라도, 그것의 수리를 위해서는 모든 영상 투사장치나 렌즈를 분리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이처럼 제공되는 3차원 영상을 제어함에 있어, 별도의 장치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하왔다. 그러나 별도의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동작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지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따라서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직접 3차원 영상을 제어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을 모듈화하여 관리의 편의와 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을 이용하여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작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를 인식하는 포인터 인식장치 및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이동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열구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방열구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부와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상기 다시점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전달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에 대한 점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달부 및 프로젝터부는 모듈화되어, 각 프로젝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각 영상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가 상기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 내에서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에 대응되는 다시점 영상 내 위치로부터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 이동방향으로 상기 다시점 영상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프로젝터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된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젝터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프로젝터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프로젝터부는 영상을 조사하는 부분이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로젝터부가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의 시점 및 종점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영상 전달부는 상기 영상 전달부의 측면에 기 설정된 폭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 상기 기 설정된 폭을 갖는 요(凹)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은 기 설정된 개수의 영상 전달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각 영상 전달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기 설정된 개수의 프로젝터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각 프로젝터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이 포인터 인식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포인팅한 좌표에 따라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포인팅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를 추출하는 추출과정과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가 상기 다시점 영상 내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과정 및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다시점 영상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열구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방열구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부와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상기 입체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전달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에 대한 점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전달부 및 프로젝터부는 모듈화되어, 각 프로젝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각 영상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내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을 모듈화함으로써,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에 대한 관리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영상을 생성하는 구성의 개수를 조절하여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 및 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중인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직접 제어하기 때문에, 영상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중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지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 내 영상 전달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 내 프로젝터부 및 베이스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100)은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 및 포인터 인식장치(120)를 포함한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영상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영상을 송출하며, 송출된 영상을 점 영상을 변환함으로써,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것 뿐만 아니라, 포인터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한 포인터의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포인터에 따라 제어한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포인터의 동작에 따라, 특정 위치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고, 영상을 특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시스템 사용자는 포인터 인식장치(1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다시점 영상 내에서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에 포인터로 포인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사용자는 포인터 인식장치(1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다시점 영상 중 일 부분을 포인팅하고, 해당 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또는, 시스템 사용자는 포인터 인식장치(1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다시점 영상 중 일 부분을 포인팅하고, 포인팅한 부분의 우측 영상을 보다 자세히 보기 위해, 포인팅한 부분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위치를 인식한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내부에 동작인식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시스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동작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공간상의 좌표를 인식함으로써,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인식한다. 또한,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포인터의 방향성도 함께 인식하여, 포인터가 현재 좌표에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를 인식함으로써, 포인터의 이동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는 포인터 인식장치(120)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것을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 또는 인식하고자 하는 포인터의 동작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 인식장치가 2개로 구현되어, 각 포인터 인식장치가 서로 멀어지는 경우, 이러한 동작은 특정 위치의 다시점 영상을 확대하라는 동작으로 인식될 수 있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동작인식 센서로 인식한 포인터의 좌표나 이동여부 등의 정보를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한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며, 포인터 인식장치(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동작인식 센서로 인식한 포인터의 좌표나 이동여부 등의 정보를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한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반드시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자 하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기기는 어떠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포인터 인식장치(120)가 시스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광원 등을 이용하여 공간상의 깊이(Depth) 값을 추출함으로써,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인식하는 장치 등이 포인터 인식장치(120)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립 모션 컨트롤러(Leap Motion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립 모션 컨트롤러란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와 복수의 LED를 이용하여 일정 영역을 관찰하며, 립 모션 컨트롤러가 배치된 공간의 3차원 위치를 추출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처럼 추출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립 모션 컨트롤러는 자신의 동작을 분석할 수 있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립 모션 컨트롤러 등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영상 생성부(210), 확산부(220),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0) 및 추가 공간(240)을 포함한다.
영상 생성부(210)는 다시점 영상의 기초가 되는 기초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생성부(210)는 기초영상을 생성하여 확산부(220)로 전달함으로써, 다시점 영상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확산부(220)는 영상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영상을 확산시킨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0)는 확산부(220)로부터 확산된 기초영상을 토대로 점영상의 배열을 생성하여 다시점 영상을 생성한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0)는 영상 생성부(210)에서 생성되는 기초영상의 배열과 대응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볼록렌즈 형태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렌즈 어레이(230)는 기초영상에 대한 점 영상의 배열을 생성한다.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영상 생성부(210)의 하부에 추가 공간(240)을 구비한다. 영상 생성부(210)의 영상 생성 등을 위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포인터 인식장치(120)에 따라 영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추가 공간(240)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10) 내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장치 및 전선 등의 구성도 추가 공간(24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의 사시도 및 일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210)는 영상 전달부(310), 프로젝터부(320), 베이스부(330) 및 프레임(340, 345)을 포함한다.
영상 전달부(310)는 프로젝터부(320)에서 조사된 영상을 상방(확산부)으로 전달한다. 영상 전달부(310)는 빛이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로 구성되며, 영상 전달부(310)의 내부는 비어있어, 영상 전달부(310)로 전달된 영상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온전히 상방으로 전달된다. 영상 전달부(31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 내 영상 전달부의 구성도이다.
영상 전달부(310)는 프로젝터부(320)로부터 기초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유입구(410)를 포함한다. 영상 유입구(410)는 프로젝터부(320)가 조사하는 기초 영상을 온전히 수신하기 위해, 프로젝터부(320)의 조사부보다 큰 폭 또는 큰 직경을 갖는다.
영상 전달부(310)는 내부가 비어 영상을 전달하는 몸체부(420)를 포함한다. 다만, 몸체부(420)는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두 부분(424, 428)으로 구분됨으로써, 몸체부(420)는 프레임(340)에 거치될 수 있다. 프레임(340)은 몸체부(42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작은 단면적을 갖는 몸체부(420)의 부분(424)보다는 큰 단면적을 가지며, 큰 단면적을 갖는 몸체부(420)의 부분(428)보다는 작은 단면적을 갖는 공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프레임(340)의 공간상에 영상 전달부(310)가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부(420)는 서로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두 부분(424, 428)으로 구분된다.
영상 전달부(310)는 모듈화될 수 있다. 즉, 영상 전달부(310)는 하나 하나 따로 구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상 전달부(310)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영상 생성부(210)와 같이 수 많은 영상 전달부(310)가 영상 생성부(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 많은 영상 전달부(310)가 영상 생성부(210) 내 배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각 영상 전달부(310)가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영상 전달부(310)는 몸체부(420)에 돌출부(430)와 요(凹)홈(435)을 갖는다. 몸체부(420)는 일 면에 기 설정된 폭을 갖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430)를 구비하며, 반대편 일면에는 돌출부(430)와 동일한 폭을 갖는 요홈을 갖는다. 또한, 남은 두 면중 일면에는 동일하게 돌출부를, 반대편 일면에는 요홈(435)을 갖는다. 이처럼, 몸체부(420)는 두 면은 돌출부(430)를, 나머지 두 면은 요홈(435)을 구비함으로써, 영상 전달부(310) 상호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많은 영상 전달부(310)가 영상 생성부(210) 내 배치되는 경우, 영상 전달부(310) 는 전·후·좌·우로 다른 영상 전달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아무런 조치 없이 배치되는 경우, 영상 전달부 상호 간에 결합력이 낮아져, 영상 전달부가 영상 생성부(210) 내 위태롭게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영상 전달부(310)는 몸체부(420)에 돌출부(430)와 요홈(435)을 구비함으로써, 돌출부(430)가 다른 영상 전달부의 요홈과, 요홈(435)이 다른 영상 전달부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영상 전달부(310)는 영상 전달부 상호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젝터부(320)는 베이스부(330)에 배치되어, 영상 전달부(310)로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초영상을 조사한다. 프로젝터부(320)는 베이스부(330)에 배치되며, 영상 전달부(3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영상 전달부(310)로 기초영상을 조사한다. 프로젝터부(320)는 기초 영상을 영상 유입구(410)로 조사함으로써, 영상이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부(330)는 프로젝터부(320)를 지지하며, 프로젝터부(320)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킨다.
프로젝터부(320)와 베이스부(33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생성부 내 프로젝터부 및 베이스부의 구성도이다.
프로젝터부(320)는 기초 영상을 생성하는 몸체부(510)와 생성된 기초영상을 조사하는 조사부(515)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조사부(515)는 몸체부(510)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몸체부(5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부(320)는 배치되더라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없고,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프로젝터부(320)는 영상 전달부(310)와 마찬가지로, 모듈화 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부(320)는 영상 전달부(310)와 대응되어 하나의 영상 전달부(310)와 프로젝터부(320)가 세트로 모듈화 될 수 있다. 즉, 영상 전달부(310)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터부(320)는 각 프로젝터부가 독립적으로 베이스부(33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부(320)는 프로젝터부 고정부(520)를 포함한다. 프로젝터부 고정부(520)는 프로젝터부(320)와 베이스부(330)를 연결하여, 프로젝터부(320)를 베이스부(330)에 고정시킨다. 도 5에는 프로젝터부 고정부(520)가 프로젝터부(320)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로젝터부(320)의 조사부(515)가 기초영상을 조사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프로젝터부 고정부(520)는 프로젝터부(320)의 어느 부분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베이스부(330)는 프로젝터부(320)가 배치되는 부분의 주변에 방열구조(530)를 갖는다. 방열구조(530)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로서, 베이스부(330) 내 프로젝터부(320)가 배치되는 공간의 주변에 배치된다. 방열구조(530)는 프로젝터부(320)가 기초영상을 생성하고 조사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사하여, 프로젝터부(320)가 받을 수 있는 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베이스부(330)는 베이스부 고정부(5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 고정부(540)는 베이스부(330)와 프레임(340)을 연결하여, 영상 전달부(310)와 프로젝터부(320) 또는 영상 전달부(310)와 베이스부(330) 간 거리를 유지시키며, 베이스부(330)와 프레임(340)을 고정시킨다. 베이스부 고정부(540)는 베이스부(330)와 연결됨에 있어, 베이스부와 베이스부가 서로 맞닿는 경우, 양 베이스부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 고정부(540)는 프레임(340)과 연결됨에 있어서도, 연결부와 연결부가 서로 맞닿는 경우, 양 연결부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 고정부(540)는 베이스부(330)와 프레임(340)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간, 프레임과 프레임 간을 고정시킨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340, 345)은 영상 전달부(310)와 프레임(340)을 지탱한다. 나아가, 프레임(340, 345)은 베이스부(330)의 하부에 추가 공간(240)을 생성한다.
상부 프레임(340)은 영상 전달부(31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340)의 하나의 단위 블럭은 기 설정된 개수, 예를 들어, 2*4 또는 3*3의 영상 전달부(31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부 프레임(340)의 하나의 단위 블럭은 기초 영상이 하나의 단위 배열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340)의 단위 블럭이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써, 상부 프레임(340)은 복수 개의 영상 전달부(3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기초 영상이 일정한 배열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부(330)도 상부 프레임(340)과 동일하게, 기 설정된 개수의 프로젝터부(32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전술한 대로, 프로젝터부(320)와 영상 전달부(310)는 하나의 세트로 모듈화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개수의 프로젝터부(320)와 영상 전달부(310)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330)도 상부 프레임(340)과 동일하게, 기 설정된 개수의 프로젝터부(32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345)은 베이스부(330)를 지탱한다. 하부 프레임(345)의 단위 블럭은 기 설정된 개수의 프로젝터부(32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베이스부(330)가 배치되는 크기의 블럭을 의미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340)의 단위 블럭의 시점과 종점은 하부 프레임의 단위 블럭의 시점과 종점과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부(320)의 조사부(515)는 프로젝터부(320)의 중심이 아닌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기 때문에, 프로젝터부(320)의 조사부(515)가 영상을 영상 전달부(310)로 온전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부(320)가 일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영상 전달부(310)와 프로젝터부(32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없고, 프로젝터부(320)의 일측이 영상 전달부(310)의 일측보다 튀어나오도록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부 프레임(340)의 단위 블럭과 하부 프레임(345)의 단위 블럭도 약간 틀어져 시점과 종점이 상이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340)의 단위 블럭과 하부 프레임(345)의 단위 블럭도 약간 틀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베이스부 고정부(540)도 일 직선상으로 베이스부(330)와 상부 프레임(340)을 연결하지 않고, 'ㄹ'자 형상을 가져 베이스부(330)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부 프레임(340)과 연결되는 위치가 상이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동작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및 이동여부를 추출한다(S610).
포인터 인식장치(120)는 추출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및 이동여부를 제어부로 전송한다(S620).
제어부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가 입체 영상 내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한다(S630). 제어부는 포인터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를 이용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 있는 좌표가 디스플레이되는 입체 영상 내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 분석한다.
제어부는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 입체영상을 제어한다(S640).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고 있는 포인터에 이동성이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전술한 과정으로 파악한 입체 영상 내 위치에서 포인터의 이동에 따라 입체 영상이 이동하도록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한다.
도 6에서는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본 특허출원은 2017년 11월 03일 한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45963호 및 2017년 12월 13일에 한국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71591호에 대해 미국 특허법 119(a)조(35 U.S.C § 119(a))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면,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아울러, 본 특허출원은 미국 이외에 국가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한 이유로 우선권을 주장하면 그 모든 내용은 참고문헌으로 본 특허출원에 병합된다.

Claims (10)

  1.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포인팅하는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를 인식하는 포인터 인식장치; 및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이동여부를 분석하여 상기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열구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방열구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부;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상기 다시점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전달부;
    상기 영상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에 대한 점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전달부 및 프로젝터부는 모듈화되어, 각 프로젝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각 영상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가 상기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 내에서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에 대응되는 다시점 영상 내 위치로부터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가 인식한 포인터 이동방향으로 상기 다시점 영상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프로젝터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된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로젝터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연결하는 프로젝터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영상을 조사하는 부분이 중심을 기준으로 일 측에 치우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로젝터부가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의 시점 및 종점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달부는,
    상기 영상 전달부의 측면에 기 설정된 폭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다른 일측에 상기 기 설정된 폭을 갖는 요(凹)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기 설정된 개수의 영상 전달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각 영상 전달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기 설정된 개수의 프로젝터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각 프로젝터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9.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이 포인터 인식장치를 이용해 사용자가 포인팅한 좌표에 따라 다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다시점 영상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 인식장치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가 포인팅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 또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를 추출하는 추출과정;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포인터의 공간상 좌표가 상기 다시점 영상 내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지를 분석하는 분석과정; 및
    상기 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상기 포인터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다시점 영상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점 영상 제어방법.
  10.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된 방열구조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방열구조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부;
    상기 프로젝터부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상기 입체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영상 전달부;
    상기 영상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과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확산부에서 확산된 영상에 대한 점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영상 전달부를 지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 전달부 및 프로젝터부는 모듈화되어, 각 프로젝터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각 영상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PCT/KR2018/011933 2017-11-03 2018-10-11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90884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963A KR101987161B1 (ko) 2017-11-03 2017-11-03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7-0145963 2017-11-03
KR10-2017-0171591 2017-12-13
KR1020170171591A KR101997747B1 (ko) 2017-12-13 2017-12-13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91A1 true WO2019088491A1 (ko) 2019-05-09

Family

ID=6633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933 WO2019088491A1 (ko) 2017-11-03 2018-10-11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8849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745A (ja) * 2006-01-11 2007-07-26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8058747A (ja) * 2006-09-01 2008-03-13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0122466A (ja) * 2008-11-19 2010-06-03 Sony Corp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068338A (ja) * 2010-09-22 2012-04-0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
KR20160055407A (ko) * 2014-11-10 2016-05-18 이윤택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7745A (ja) * 2006-01-11 2007-07-26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8058747A (ja) * 2006-09-01 2008-03-13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JP2010122466A (ja) * 2008-11-19 2010-06-03 Sony Corp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2068338A (ja) * 2010-09-22 2012-04-0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
KR20160055407A (ko) * 2014-11-10 2016-05-18 이윤택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01362A2 (en) Metadata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metadata
WO2010074437A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027930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174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th map
WO2015064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d mounted display indicating process of 3d printing
CN112255802B (zh) 头戴式设备的主体装置及头戴式设备
WO201504668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394520B (zh) 头戴式设备的主体装置及头戴式设备
WO2013122368A1 (ko)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한 키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시스템
WO2015137769A1 (en) Display apparatus
WO2012046964A9 (ko) 응시위치를 추적하여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9022517A1 (ko) 차량용 삼차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WO2019088491A1 (ko)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2291977A (zh) 头戴式设备的主体装置及头戴式设备
WO2016204335A1 (ko)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기반한 운동시스템의 증강된 가상 운동공간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1071313A2 (ko) 텍스쳐 영상과 깊이 영상을 추출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3051796A2 (ko) 입체영상 촬영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KR101997747B1 (ko)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0047523A2 (ko) 복수의 라인패턴을 활용한 3차원 스캐닝 장치 및 방법
WO2010098508A1 (ko) 입체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CN210694195U (zh) 一种集成3d成像装置及电子设备
WO2015102314A1 (ko) 결합 장치
KR101987161B1 (ko)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7111419A1 (en) Device, chair and system for providing environmental effect
WO2018212437A1 (ko) 증강현실 객체의 정합을 위한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3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35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