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5407A -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5407A
KR20160055407A KR1020140155133A KR20140155133A KR20160055407A KR 20160055407 A KR20160055407 A KR 20160055407A KR 1020140155133 A KR1020140155133 A KR 1020140155133A KR 20140155133 A KR20140155133 A KR 20140155133A KR 20160055407 A KR20160055407 A KR 20160055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ingertip
eyes
touc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택
Original Assignee
이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택 filed Critical 이윤택
Priority to KR102014015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5407A/ko
Publication of KR20160055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Holography touch method and Projector touch method}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홀로그래피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홀로그래피에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사용자공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사용자공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전자장치는 좀더 선명하고 화려하고 입체적인 디스플레이로 발전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대표적인 예로, 이동 단말기를 들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하지만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무한정으로 키우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환경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의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홀로그래피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이용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에 대해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사용자가 3차원 공간안에서 홀로그래피를 영상을 볼 수는 있지만,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에 대해서는 연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홀로그래피는 단순히 영상을 보는것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한 이유로는, 3차원 공간안에서 사용자가 홀로그래피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홀로그래피에 대한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홀로그래피에 대한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에 구현되는 프로젝터 영상에 대한 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사용자공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사용자공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설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더해진 카메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기본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를 감지하면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따라움직이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제공한다.
도1 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전면 간략도.
도2 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후면 간략도.
도3 은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전면 간략도.
도4 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이동단말기의 후면 간략도.
도5 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 이동단말기의 전면 간략도. 여기서 일점쇄선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6 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 이동단말기의 후면 간략도. 여기서 일점쇄선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7 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 이동단말기의 전면 간략도. 여기서 일점쇄선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8 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3차원 공간의 간략도. 3차원 공간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도면의 전자장치는 3차원 공간상에 복수개의 전자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점쇄선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사용자는 따로 묘사하지 않았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2차원 내지 3차원 공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설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더해진 카메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기본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에 터치되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충분히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를 감지하면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따라움직이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카메라가 홀로그래피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일정간격이상 홀로그래피 형상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일정간격이상 홀로그래피 형상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한 것으로 인식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 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가 되는 전자장치의 측면에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디바이스를 뜻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홀로그래피 영상 출력부 외에,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종래에 사용되는 화면에 직접접촉하거나 일정부분 떨어져서 사용하는 터치기술을 적용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기술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터치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는, 종래에 수행되고 있는 터치스크린를 활용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설명에 대하여 충분히 기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종래에 수행되고 있는 터치스크린를 활용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이 포함된 전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홀로그래피가 아닌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홀로그래피가 아닌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2차원 내지 3차원공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카메라가 프로젝터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판단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판단부는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모듈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광원(예를들어, 레이저 광),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은, 렌즈 또는 모듈을 제어하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모듈은,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은, 프로젝터 모듈의 소형화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모듈 및 프로젝터 모듈은 전자장치의 측면, 정면, 배면, 중 선택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프로젝터 모듈이 전자장치의 측면에 구비되어, 전자장치가 테이블위에 놓여져 있을때 테이블로 영상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전자장치의 정면 및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홀로그래피를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서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기술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에는 홀로그래피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홀로그래피 모듈은 전자장치의 전면인 디스플레이부상의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되거나 또는/및 전자장치의 후면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에는 프로젝터 모듈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전자장치의 전면, 후면, 측면, 중 선택되는 위치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프로젝터 모듈, 홀로그래피 모듈,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나 상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의 구성부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는 피에조 액추에이터 또는 피에조 모터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 프로젝터 모듈, 홀로그래피 모듈,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은 전자장치에서 회전, 상하좌우로 움직임, 탈착, 중 선택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2차원(2D) 평면 영상 및 3차원(3D) 입체영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것은 홀로그래피 모듈을 기계적으로 제어함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영상의 위치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평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설정된 2차원 평면은 3차원 평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레이저 광선으로 2차원 평면에 3차원 입체를 묘사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로부터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직접 터치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2차원, 3차원,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의 정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a.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카메라로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예를들어, 코, 입술, 눈썹,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얼굴방향을 감지 할 수 있는 부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을 감지하는 것은 정보의 정확성을 구비하기 위하여,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카메라에서 직선부로 위치되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와 손끝의 위치를 각도값으로 계산하여 3차원 맵상에서의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정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하나이상의 카메라가 한 방향 이상에서 구비될 수 있음이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와 손끝의 위치를 3차원 맵상에서의 여러 데이터 값으로 변환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와 손끝의 위치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같이 감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와 손끝의 위치 및 프로젝터 영상을 같이 감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는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로 촬영된 것을 의미한다. 홀로그래피(holography)는 빛의 간섭성을 이용하여 입체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 창출하는 것이다. 홀로그래피는 2D 또는 3D 입체 영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의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느것이라도 적용 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의 카메라는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느것이라도 적용 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3차원 공간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을 구비한 상태로 사용자가 3차원 공간상에서 홀로그램을 자유자재로 터치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으로는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터치 방법은 멀티 터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 터치 방법은 동시에 여러 개의 터치 포인트를 인식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a.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움직임을 감지 한 후 카메라로 감지
b. 감지를 최적화 하기위해 카메라를 최대사이즈로 확대하여(예를들어, 줌인하여) 감지
, 로 구성되는 a 내지 b,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촬영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카메라로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300만화소 이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300만화소 이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CCD나 CMOS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홀로그래피 영상/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전자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일직선상에서 위치하였을때 확실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홀로그래피 영상/사용자가 전자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3차원 공간상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프로젝터 영상/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전자장치, 3차원 공간,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의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였을때 확실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얼굴이 어느 방향으로 향하는지)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눈의 중앙에서 눈동자가 어느 위치에 위치되는지)를 감지해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홀로그래피 영상/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전자장치의 카메라로부터 일직선상에서 위치하였을때 사용자로부터 홀로그래피 영상의 뒷부분, 예를들어 터치를 감지하기 어려운 위치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장치 또는 사용자가 홀로그래피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홀로그래피 영상의 모든부분을 터치하는데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홀로그래피 영상을 드레그 하여 다른 임의의 3차원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옮기고자 하면,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른 전자장치를 ON 시켜, 상기 ON 된 전자장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을 상기 임의의 3차원 공간에 출력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개의 홀로그래피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어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데 있어서,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구비되어, 프로젝터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영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프로젝터 영상을 드레그 하여 다른 임의의 3차원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옮기고자 하면,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다른 전자장치를 ON 시켜, 상기 ON 된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영상을 상기 임의의 3차원 공간에 출력하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개의 프로젝터 영상을 사용자가 터치하여 제어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또다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라는 표현은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라는 표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는, 카메라가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3차원 공간상에 하나 이상 구비된 상태라면 충분한 감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판단부가 인식 한 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여 영상을 변화하여 출력하는 방식을 구비하되, 상기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는 방식은 명암, 원근감, 색상, 눈과 눈동자의 경계, 등 이미지로 부터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검토하는 방식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맵핑데이터와 비교검토하는 방식은 카메라로 둘 이상의 사진, 영상, 등을 감지하여, 명암, 원근감, 색상, 눈과 눈동자의 경계, 등 이미지로 부터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검토하는 방식을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카메라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하되, 상기 카메라는 프로젝터 영상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터 영상 및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설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더해진 카메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영상데이터를 함께 감지하여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비주얼C, C++,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판단부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의 앱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프로젝터 영상을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맵핑데이터는 2차원 정보를 3차원으로 입체 해석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홀로그래피 영상을 3차원 입체 정보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프로젝터 영상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프로젝터 영상을 3차원 입체 정보로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판단부가 사용자의 특정 손모양, 예를들어 손가락 하나만 펴고 나머지는 주먹진 모양을 '클릭' 이라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클릭'의 모양을 했을때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상기 방법은 오류발생이 적도록 일정한 패턴의 손모양을 판단부가 미리 인식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상기 패턴에 일치하는 손모양을 구비했을때 판단부가 명령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예를들어 엄지와 검지만 펴고 나머지 손가락은 접으면,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을 '패턴 인식' 이라고 명한다. 상기 '패턴 인식'은 손가락의 모양 및 손가락의 방향, 위치, 손바닥의 방향, 손의 방향, 등 특정하게 패턴을 나눌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턴 인식'은 전자장치에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3D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3D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카메라(3D 카메라)는 두대의 카메라가 인간의 눈처럼 촬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카메라(3D 카메라)의 각각의 카메라는 피에조 액추에이터나 피에조모터로 기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모션 트래킹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및 하나 이상의 모션 트래킹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모션 트래킹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모션 트래킹 카메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모션 트래킹 카메라 및 거리센서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거리센서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모션 트래킹 카메라로부터 디지털데이터값을 전송받아 기계적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을 구현하면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3차원으로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손의 형상 또는 패턴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판단 하여 사용자의 손끝의 형상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변화에 따른 2차원 내지 3차원 데이터변화값을 감지하며, 초음파 센서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의 3차원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카메라 및 초음파 센서의 데이터값을 판단부에서 판단하여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3차원 위치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선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거리 센서)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서 구비되는 거리 센서는 전자장치 또는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설정된 공간 내에서 움직임이 포착되면 자동적으로 이동물체에 고정, 이동물체를 확대해 영상을 표출하고, 물체의 이동에 따라 추적,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영상을 받아들이는 CCD(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빛을 전하로 변환시켜 화상을 얻어내는 센서이다. 전하결합소자)와 CCD에서 인식된 영상의 디지털 산출값의 변화에 따라 물체를 탐지하고 감지하게 되는 원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가 움직임이 전혀 없는 상태의 영상을 ‘100’이라는 숫자로 스스로 지정했다고 가정하면, 렌즈에 움직임이 포착되면 영상은 ‘90’ 이라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때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산출된 변화값의 발생지점으로 렌즈를 돌리도록 만든 기술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영상의 움직임이 전혀 없는 산출값만을 기억하던 카메라가 어떤 특정 움직임에 의해 그 산출값이 변화됐을 때 그 변화된 지점으로 카메라의 렌즈가 자동적으로 돌아가게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모션트래킹 기능은 모션트래킹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가 움직임이 전혀 없는 상태의 영상을 ‘100’이라는 숫자로 스스로 지정했다고 가정하면, 렌즈에 움직임이 포착되면 영상은 ‘90’ 이라는 값으로 변화하게 되고, 이때 모션 트래킹 카메라는 산출된 변화값의 발생지점의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의 변화를 감지해내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감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영상과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감지하고 있는 영상과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2차원 내지 3차원 좌표값으로 환산하여 영상과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어디에 위치하는 지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먼저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이후, 눈의 위치로부터 눈동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순서의 방법을 구비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가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가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에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여러 단계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공간은 여러 장치들을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을 구비할 수 있다.
''
여기서, "기술되다" 는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이 있는 그대로 열거되거나 기재되어 서술되다"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위 그룹,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일면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면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채용된 용어 및 표현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용어로써 사용되나 의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징의 용어나 표현을 제한할 의도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청구된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들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기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적 실시예 및 선택적 특징들, 여기서 기술된 개념의 수정 및 변화가 종래 기술등에 의해 재분류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화들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의 예시이고, 본 발명이 장치들, 장치 구성요소들, 방법단계들의 많은 변화들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 특별히 기술된 것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치 및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은 불필요한 실험에 의지하지 않고 넓게 드러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방법, 장치, 순서 그리고 특히 기술적으로 동일하게 알려진 기술은 의도되지 않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과도한 설명에 의지하지 않고도 본 발명이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공된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의 예시이고, 본 발명이 장치들, 구성요소들, 방법단계들의 많은 변화들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여기서 제시된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는 다양한 선택적 구성 및 방법 및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개별 멤버들 및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은, 상기 상위 그룹의 기술된 범위 안에서 실현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그것은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 및 그룹의 개별 멤버들이 각각 포함되어 기술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서 상위 그룹이 기술될 때,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개별 멤버들 및 상기 상위 그룹에 포함 가능한 하위 그룹 조합은 상기 상위 그룹의 기술된 범위 안에서 포함되어 기술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단수로 설명된 것은 복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는 다양한 선택적 구성 및 절차 구성요소 및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환된 구성요소들이 개시될 때, 그것은 모든 하위 그룹 및 그룹의 모든 개별 멤버들이 각각 개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일반적 기술을 가진자가 같은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을 다르게 부를 수도 있는 점에서 임의의 예시로서 불려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명칭은 기술된 본 발명의 전반적인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조합은 달리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위그룹내에 포함 가능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조합은 달리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가 상세하게 주어질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들에 포함 가능한 개별 값들은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가 상세하게 주어질 때 뿐만 아니라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들에 포함 가능한 그룹의 조합들은 상기 기술되거나 설명된 그룹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기술된 그룹의 설명의 범위는 여기서 청구된 청구항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고 이해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그룹은 여기서 청구된 청구항에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고 이해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레벨에서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설명된 본 발명은, 포함 가능한 본 발명의 상위 그룹의 설명의 범위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에서 그룹, 그룹의 범위, 그룹의 하위 범위, 그룹의 포함 범위로 기술된 설명이 충분히 본 발명의 상위 그룹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과도한 실험에 기대지 않고도 본 발명의 실시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임의의 방법들 및 기능적으로 등가인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또한, 적당하게 도식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 상세하게 개시되지 않은 제한 또는 제한들이 없는 경우에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적당하게 도식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임의의 방법들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알려진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부
110A : 홀로그래피 모듈
110AA : 110A의 홀로그래피 영상
110B : 홀로그래피 모듈
110BB : 110B의 홀로그래피 영상
120 : 프로젝터 모듈
120A : 프로젝터 영상
200A : 카메라
200B : 카메라
200C : 카메라
300 : LED플레쉬
400 : 손
500 : 얼굴
1000 : 전자장치
1100 : 카메라
1200 : 홀로그래피 영상

Claims (55)

  1.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2.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3.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5.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6.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8.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9.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0.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1.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2.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3.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15.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16. 프로젝터 터치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17.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18.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19.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터치 방법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0.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1.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2. 청구항 16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3.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4.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5.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6.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7. 청구항 15항 내지 청구항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터치 방법.

  28.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29.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홀로그래피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0.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1.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2.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a.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끝,
    b.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바닥,
    c.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
    d.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과 손목,
    e.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팔,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3.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피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홀로그래피 멀티 터치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4.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홀로그래피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5.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6.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7.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홀로그래피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8.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홀로그래피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39.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0.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에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1. 청구항 28항 내지 청구항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2.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3.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 및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 모듈로부터 3차원 공간상에서 설정된 공간에 프로젝터 영상을 출력하고,
    3차원 공간상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설정된 공간에 구현되어 있는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4.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a. 사용자의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b.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c. 사용자의 홍채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d.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e.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특정적인 일부분과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e 중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5.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손끝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a. 하나 이상의 손끝을 모으는 축소,
    b. 하나 이상의 손끝을 펼치는 확대,
    c.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움직이는 터치,
    d. 손끝의 위치를 따라서 화면이 바뀌는 터치,
    e.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는 터치,
    f. 손끝의 위치를 클릭으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포인터로 인식하며 가속/감속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h. 손끝의 위치를 드레그로 인식하는 터치,
    g. 손끝의 위치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패턴인식 터치
    , 로 구성되는 상기 a 내지 g 중 선택되는 것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6.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영상을 터치하는 것은
    프로젝터 멀티 터치 방법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7.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전자장치를 제어하여 변화된 프로젝터 영상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8.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눈의 방향과 사용자의 눈에서 눈동자가 위치하는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49.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은
    사무실, 거실, 방, 사용자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 중 선택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0.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가 프로젝터 영상으로부터 일정간격이상 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1.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사용자의 눈과 눈동자와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 및 추가적으로 프로젝터 영상을 더 감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2.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는
    하나 이상의 3차원 카메라, 모션 트래킹 카메라, 중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3.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상에 사용자의 손끝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4. 청구항 42항 내지 청구항 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스마트TV;
    디지털TV;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로 구성되는 것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공간
  55. 청구항 28항 또는 청구항 29항 또는 청구항 42항 또는 청구항 43항에 따른 사용자공간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KR1020140155133A 2014-11-10 2014-11-10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60055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33A KR20160055407A (ko) 2014-11-10 2014-11-10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33A KR20160055407A (ko) 2014-11-10 2014-11-10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645A Division KR20160080107A (ko) 2016-06-29 2016-06-29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07A true KR20160055407A (ko) 2016-05-18

Family

ID=5611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133A KR20160055407A (ko) 2014-11-10 2014-11-10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54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303A (zh) * 2016-12-23 2017-05-10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系统以及一种智能手环
WO2019088491A1 (ko) * 2017-11-03 2019-05-09 한국광기술원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752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광기술원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303A (zh) * 2016-12-23 2017-05-10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系统以及一种智能手环
CN106647303B (zh) * 2016-12-23 2019-10-01 重庆墨希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方法、系统以及一种智能手环
WO2019088491A1 (ko) * 2017-11-03 2019-05-09 한국광기술원 복수 개의 프로젝터를 사용한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0752A (ko) * 2017-12-13 2019-06-21 한국광기술원 다시점 영상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0461B (zh) 手勢輸入的方法及系統
EP3195595B1 (en) Technologies for adjusting a perspective of a captured image for display
CN116324677A (zh) 响应于检测到的手势的非接触式照片捕获
JP609014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53151A1 (en)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KR101196291B1 (ko)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3d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14106219A1 (en) User centri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sual display that recognizes user intentions
EP2932358A1 (en) Direct interaction system for mixed reality environments
JP2015523583A5 (ko)
WO2011011029A1 (en) Display to determine gestures
CN114647317A (zh) 由外围设备启用的远程触摸检测
KR20160019548A (ko) 다중 심도 구간 재초점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전자 장치
JP2012238293A (ja) 入力装置
US201903698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6103137A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用プログラム
WO202008010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55407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JPWO2018150569A1 (ja) 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ジェスチャー認識方法、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を備えたプロジェクタおよび映像信号供給装置
JP2018112894A (ja) 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TW201539252A (zh) 觸控系統
KR20150137908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60080107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101591038B1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60085416A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KR20160002620U (ko) 홀로그래피 터치 방법 및 프로젝터 터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