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9450A1 -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 Google Patents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9450A1
WO2019059450A1 PCT/KR2017/012264 KR2017012264W WO2019059450A1 WO 2019059450 A1 WO2019059450 A1 WO 2019059450A1 KR 2017012264 W KR2017012264 W KR 2017012264W WO 2019059450 A1 WO2019059450 A1 WO 201905945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bolt
closed curve
pie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2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마당월드 주식회사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당월드 주식회사, 김도현 filed Critical 마당월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5945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94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2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varying rope or cable tension, e.g. when recovering craft from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Definitions

  • a solar cell system has attracted attention due to an increase in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 a plurality of solar modules includ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are installed in series or in parallel, And converts the light into electrical energy.
  • the closed curve wire 200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wire W to each other by a wire loading port 400.
  • a pair of the tension wedges 410 provided in the wire loading port 400 are formed of a plurality Shaped head 411 formed by a dividing piece 411a of the hemispherical head 411.
  • a threaded portion 412 is formed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411b of the hemispherical head 411 and the center of the hemispherical head 411 and the center of the threaded portion 412
  • a plurality of split pieces 411a press the ends of the wires W inserted into the wire through holes 413 by pressing the hemispherical head 411, Can be fixed.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rning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 prevention bolt 124 is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vertical piece 111a and the guide piece 121 so that the lateral flow of the rotary part 110 can be prevented.
  • An elongated slot-like slit may be formed in the guide piece 121 of the guide fixing part 120 so as to be easily appli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flow prevention bolt 124.
  • the wire winding structure S using the wire winding and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tationary mounting module H to be mount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at least a pair of closed curve wires 20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Volplaning Construction System) that installs continuously in both directions or in a single direction.
  • a stationary mounting module H to be mounted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at least a pair of closed curve wires 20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Volplaning Construction System) that installs continuously in both directions or in a single direction.
  • the wire mount 400 may include a pair of tension wedges 410.
  • the tension wedge 410 supports a hemispherical head 411 formed of a plurality of split pieces 411a.
  • a threaded portion 412 is formed on a curved surface portion 411b of the hemispherical head 411, and a hemispherical head 411
  • a wire through hole 413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readed portion 412.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회동받침에 회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에 회동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가 권취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와이어의 긴장도가 용이하게 조절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본 발명은 와이어 권치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받침에 회동축이 구비되고, 회동체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가 권취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고정부로 구성되어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설분야에 있어 대부분의 구조물은 콘크리트나 골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로서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많은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에 와이어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엘레베이터나 주차타워 구조에서 와이어를 사용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건축 구조물의 입면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커튼월 구조에서 횡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써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토목 구조물에서는 사장교나 현수교와 같은 교량 구조물에 와이어가 적용되고 있으며, 기타 곤돌라나 케이블카를 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도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와이어를 이용한 구조물은 최초 설계상에 계획된 위치에 미리 설치된 기둥이나 보와 같은 기초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시공되며, 그 과정에서 와이어의 긴장도를 최종적으로 확인한 상태에서 장착 고정이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장착된 이후에도 와이어의 긴장도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특수한 환경이나 가변적인 사용 이후에는 수시로 점검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이어 긴장도의 조절 및 보완 작업은 전문적인 지식과 노하우가 요구되는 작업으로서 고비용이 소요되고, 구조물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와이어의 긴장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며, 위험성이 동반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태양광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으며, 상기 태양광 시스템은 다수의 솔라셀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Solar Module)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다수개 설치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시스템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태양광 모듈의 효율적인 설치 및 배치 그리고 충분한 용량의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효율성 향상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시키고 있다.
태양광 시스템의 발전 효율 향상에 대한 고민은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졌으며,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3-247237호 '태양광 발전 패널 지지장치'(2013. 12. 9.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 및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3-318430호 '태양전지 모듈과 그 설치방법'(2003. 11. 7.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과 2는 복수의 롤러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뒤틀리게 하는 방법이나 절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지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변화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을 뿐, 와이어의 긴장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사상이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태양광 모듈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술사상은 제안된 바 없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문헌 1과 2에서 제시한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미리 와이어에 태양광 모듈을 결합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구조물에 거치시켜야 하므로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를 제안할 수 밖에 없는 설치상의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의 긴장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긴장도의 조절이 완료된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텐션고정 시스템(Tensing lock System)의 개념이 적용된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간적인 제약이 없이 양 방향 또는 단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가공설치 시스템(Volplaning Construction System)을 제공할 수 있고, 입체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없이 특정장소에서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적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며, 와이어가 상호 교차되도록 구비되어 자중이나 풍하중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구조물이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회동받침(111)에 회동축(112)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112)에 회동체(113)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는 회동부(110); 및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와이어(W)의 긴장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은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수직편(1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는 상기 수직편(111a)과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편(12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편(121) 사이에 회동부(110)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수직편(111a)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편(111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편(111b)과 평행하게 고정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10)의 이동이 제한되며, 위치조절볼트(123)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볼트(123)는 고정편(122)을 관통하되, 단부가 회동받침(111)의 체결편(111b)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미는 푸쉬볼트(123a); 및 상기 체결편(111b)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당기는 풀볼트(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편(111a)과 가이드편(121)을 관통하는 유동방지볼트(124)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측방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편(111a)의 타측 단부에는 보조 체결편(111c)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평행하게 보조 고정편(126)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보조 고정편(12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25)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한 쌍의 가이드편(121) 사이에는 와이어(W)를 받치도록 강봉가드(128)가 구비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찬넬형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결합되거나, 상기 회동부(110)의 상부에는 회동부 케이싱(140)이 결합되어 상하반전이나 적층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의 상면 또는 회동축(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체(113)와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볼, 원형 핀 또는 롤베이어링을 포함하는 롤링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은 청구항 1 내지 8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를 적어도 네 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여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하고,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에는 상호 이동방향이 동일한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210)에는 거치모듈(H)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브라켓(3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를 각각 복수로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하되, 각층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여 각각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쌍의 폐곡선 와이어(200)가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에 구비된 와이어 브라켓(300)을 거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 교차점(HC) 또는 수직 교차점(V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인접 위치하는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는 원통형 언더펜션(220)이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쳐짐이나 인장이 하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전달되어 구조 하중이 보상 간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브라켓 본체(310);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의 거치부(210)가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부(320); 및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10)와 이동방향을 달리하는 폐곡선 와이어(200)나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관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결합부(320) 또는 와이어 관통부(330)는 U볼트(UB)가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된 U볼트공(310a)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U볼트(UB)의 체결정도에 따라 내측에 구비되는 폐곡선 와이어(200)가 고정 결합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한 쌍의 C형 찬넬(311)의 개방부(311a)가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C형 찬넬(311)의 내측에는 판상형의 스페이서(312)가 구비되되, 상기 스페이서(312)에는 U볼트(UB)가 결합되고, 상기 U볼트(UB)가 U볼트공(310a)으로 노출되어 너트(N)로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관통부(330)는 브라켓 본체(3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랜지(331)에 돌출편(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332)에 폐곡선 와이어(2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와이어 안착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내삽몸체(341)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몸체(342)가 힌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340)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삽몸체(341)와 가압몸체(342)는 상호 맞닿는 내측면에 안착반홈(341a)(342a)이 형성되고, 폐곡선 와이어(200)가 상기 와이어 안착반홈(341a)(342a)에 의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안착공(340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몸체(342)에는 가압볼트(343)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삽입레일(342a)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몸체(342)를 커버하도록 케이싱(344)이 내삽몸체(341)와 체결되되, 상기 가압볼트(343)가 케이싱(344)을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와이어 안착공(340a)에 구비된 폐곡선 와이어(200)가 가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는 와이어(W)의 양 단부를 와이어 장착구(400)로 상호 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인장쐐기(410)는 복수의 분할편(411a)으로 형성된 반구형 헤드(411)를 지니되,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에 나사부(412)가 형성되고, 반구형 헤드(411)와 나사부(41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413)이 형성되며, 상기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하면 복수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 관통공(413)에 삽입된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의 장착구 몸체(420)는 양 단에 장착 플레이트(421)가 형성되고, 상기 인장쐐기(410)의 나사부(412)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끼움공(422)에 삽입되어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내부에 스프링(423)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423)의 양 단에는 가압편(424)이 구비되어 상기 인장쐐기(410)의 반구형 헤드(411)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장착 플레이트(421)에는 가압볼트공(421a)이 형성되고, 가압볼트(430)가 가압볼트공(421a)의 외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브라켓(800)은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는 모두 폐곡선 와이어(200)가 중심을 관통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 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811)(821)(8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810)와 너트부(830)가 나사 체결하는 과정에서 사이에 구비되는 쐐기부(820)의 쐐기몸체(822)를 구성하는 분할편(822a)이 폐곡선 와이어(200)를 가압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모듈(H)에 의한 음영발생영역에는 채광산란 모듈(500)이 구비되되, 상기 채광산란 모듈(500)은 물방울 단면의 복수의 반사체(510)로 구성되어 빛이 상기 반사체(510) 사이를 통과하여 회절함으로써 조사영역을 확장시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의 하부에는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앵커(600)가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 앵커(600)는 체결편(610)의 하부에 스크류 몸체(62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몸체(620)는 중심로드(621)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 스프링(622)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622)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크류 날개(623)가 코일 스프링(622)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의 하부에는 하부에는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 앵커(700)가 결합되되, 상기 스파이크 앵커(700)는, 방출 로드(723)가 가이드 되도록 하는 복수의 방출홀(711)이 형성된 중공형 강관의 실린더(710); 내부에 케이블(721)이 구비되는 케이블 케이싱(722)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출 로드(723)가 방출 스프링(724)에 의하여 확장되도록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출 후크(720); 상기 실린더(7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 후크(72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방출 로드(723)의 확장이 가이드되도록 외측 상부로 경사진 가이드면(731)을 지니는 가이드 링(730); 및 상기 케이블 케이싱(72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방출 후크(7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너트(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는, 가이드 고정부가 와이어를 권취하는 회동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긴장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텐션고정 시스템(Tensing lock System)의 개념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고정부가 이동이 완료된 회동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손쉽게 고정함으로써 긴장도의 조절이 완료된 와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회동부의 수직편과 가이드 고정부의 가이드편을 관통하는 유동방지볼트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회동부의 보조 체결편과 가이드 고정부의 보조 고정편을 관통하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가이드 고정부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고정력이 약화된 경우에도 상기 회동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구조물은,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복수로 구비하고, 적어도 한 쌍의 폐곡선 와이어를 구비하여 각각 서로 다른 한 쌍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공간적인 제약이 없이 양 방향 또는 단 방향에서 연속적인 설치가 가능한 가공설치 시스템(Volplaning Construction System)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호 이동방향이 동일한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가 마련되어, 거치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태양광모듈을 설치함에 있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입체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없이 특정장소에서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적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폐곡선 와이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 교차점 또는 수직 교차점이 형성되도록 하여 와이어 트러스구조를 제안할 수 있으므로 자중이나 풍하중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는 회동부나 가이드 고정부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찬넬형 베이스 플레이트나, 회동부 케이싱이 결합되어 적층구조를 형성하거나 상하 반전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우수 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텐션조절블럭(Tensing Block)의 개념을 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하로 배치된 와이어 트러스구조를 바탕으로 곡률을 지니는 입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방식으로 폐곡선 와이어에 결합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거치모듈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폐곡선 와이어가 형성되도록 와이어의 양 단부를 와이어 장착구로 상호 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시공환경에 적합한 길이의 폐곡선 와이어를 쉽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 앵커 또는 스파이크 앵커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포함한 구조물이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의 다양한 배치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권취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모듈을 거치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사이에 구비되는 언더펜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그리고 상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그리고 상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볼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착구의 체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착구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장착구의 체결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광산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앵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체결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와이어(W)를 권취하되, 상기 외이어(W)에 건설용 거치모듈(H)을 구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설용 거치모듈(H)은 태양광 모듈, 건축물의 외장패널, 케이블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조부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가 권취되는 회동부(110)와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부(110)는 회동회동받침(111)에 회동축(112)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112)에 회동체(113)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W)가 권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권취'의 의미는 와이어가 상기 회동부(110)에 1 회전 이상 감기는 구조는 물론 1 회전 미만으로 감기더라도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체(113)가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경우라면 '권취'된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의 상면 또는 회동축(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체(113)와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볼, 원형 핀 또는 롤베이어링을 포함하는 롤링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는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가이드 고정부(120)와 상기 회동부(1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동부(110)에 권취된 와이어(W)의 긴장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은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수직편(1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는 상기 수직편(111a)과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편(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110)의 이동 방향은 와이어(W)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와이어(W)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직편(111a)은 회동받침(111)의 폭방향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한 쌍의 가이드편(121)도 폭방향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편(121) 사이에 회동부(110)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편(121)에 의하여 수직편(111a)이 나란하게 슬라이드되어 상기 회동부(110)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기 수직편(111a)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편(111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편(111b)과 평행하게 고정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10)가 고정편(122)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없어 일정 위치를 벗어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위치조절볼트(123)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볼트(123)는 상기 고정편(122)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절볼트(123)는 푸쉬볼트(123a)와 풀볼트(12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푸쉬볼트(123a)는 단부가 회동받침(111)의 체결편(111b)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미는 볼트이며, 상기 풀볼트(123b)는 체결편(111b)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당기는 볼트이다.
상기 푸쉬볼트(123a)는 회동받침(111)의 체결편(111b)을 밀도록 결합되되, 푸쉬볼트(123a)의 위치가 특정되면 너트(N)로 고정편(122)에 고정되거나, 체결편(122)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직접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풀볼트(123b)는 체결편(111b)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111b)에 가해지는 너트(N)의 조임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와이어(W)에 긴장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위치조절볼트(123)는 회동부(110)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를 고정함으로써 긴장도를 조절하는 것이나, 상기 회동부(110)의 수직편(111a)과 가이드 고정부(120)의 가이드편(121)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유동방지볼트(124)는 상기 수직편(111a)과 가이드편(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110)의 측방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가이드편(121)에는 유동방지볼트(124)의 위치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적용되도록 타원형의 장공형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위치조절볼트(123)의 조임이 풀리거나, 고정편(122)이나 체결편(111b)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측방향에 유지방지볼트(124)가 결합되는 경우 어느정도 고정력이 확보될 수는 있으나, 장공형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딩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수직편(111a)의 타측 단부에는 보조 체결편(111c)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평행하게 보조 고정편(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보조 고정편(12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25)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부재의 손상이나 위치조절볼트(123)가 느슨해지는 경우에도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시 견고한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보조 고정편(126)에는 회동부(110)를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돌기(127)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10)의 보조 체결편(111c)을 지지함으로써, 혹여나 발생할 수 있는 고정볼트(125)의 풀림에 따른 체결력 저하에도 상기 회동부(110)의 위치가 일정 이상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여, 와이어(W)의 급격한 긴장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한 쌍의 가이드편(121) 사이에는 와이어(W)를 받치도록 강봉가드(128)가 구비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강봉가드(128)는 회동부(110)의 회전에 의한 와이어(W)를 받침으로써 마찰에 의한 마모를 예방하고, 안정적으로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와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상하 보조볼트(129)가 결합될 수 있어 상하 방향의 들뜸과 유동이 방지되도록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찬넬형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가이드 고정부(12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며, 상부와 하부가 반전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적층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볼트(124)나 강봉가드(128)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110)의 상부에는 회동부 케이싱(140)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부 케이싱(140)은 회동부(110) 내에 우수나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회동부(110)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다층 구조로 적층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가 반전되도록 구비할 수 있어 처마와 같은 구조물의 하부나 역경사 구조물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은 적어도 인접 배치된 한 쌍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바탕으로 연속적인 거치모듈(H)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적인 제약이 없이 양 방향 또는 단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가공설치 시스템(Volplaning Construction System)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폐곡선'이란 단부가 없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된 와이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상의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에서 정사영(正射影)으로 보았을때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교차부가 형성되는 모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를 적어도 네 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여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되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예컨데, A 내지 D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 A와 B 사이에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가 권취되도록 구비하고, C와 D 사이에 또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가 권취되도록 구비한다.
이로써,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의 입체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없이 특정장소에서만 작업할 수 있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적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A, B, C, D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에 연속적으로 권취하되, 하나의 교차점(HC)이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폐곡선 와이어(200)에는 상호 이동방향이 동일한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210)에는 거치모듈(H)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브라켓(300)이 고정된다.
상기 거치부(210)는 폐곡선 와이어(200)의 연속적인 회전 이동에도 불구하고,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폐곡선 와이어(2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특정 구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거치부(210)는 동일한 폐곡선 와이어(20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폐곡선 와이어(200)에 고정되어 각종 건설용 거치모듈(H)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거치모듈(H)은 태양광 모듈, 건축물의 외장패널, 케이블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조부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모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각각 복수로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각 층당 네 개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가 구비되는 경우 2층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총 네 군데의 위치에서 적층 구조로 여덟 개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가 구비되며, 3층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총 열두 개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가 구비된다.
이때, 각 층에는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여 각각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가 적층되어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인접 위치하는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는 원통형 언더펜션(220)이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쳐짐이나 인장이 하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전달되어 구조 하중이 보상 간섭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의 폐곡선 와이어(200)가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에 구비된 와이어 브라켓(300)을 거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 교차점(HC) 또는 수직 교차점(V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폐곡선 와이어(200)의 교차점을 복수로 형성하는 경우, 와이어 트러스구조를 제안할 수 있으므로 자중이나 풍하중에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다만, 어느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기준으로 복수의 와이어 브라켓(3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가 동일한 와이어 브라켓(300)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에 구비된 와이어 브라켓(300)은 기준이 되는 폐곡선 와이어(200)가 공유하는 와이어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폐곡선 와이어(200)가 거치는 와이어 브라켓(300)이란 폐곡선 와이어(200)가 와이어 브라켓(300)에 결합 고정되는 것은 물론,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을 단순 관통하는 것을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폐곡선 와이어(200)가 거치되도록 브라켓 본체(310), 와이어 결합부(320) 및 와이어 관통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320)는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의 거치부(210)가 고정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와이어 관통부(330)는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10)와 이동방향을 달리하는 폐곡선 와이어(200)나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가 관통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결합부(320) 또는 와이어 관통부(330)는 U볼트(UB)가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된 U볼트공(310a)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는 상기 U볼트(UB)에 삽입됨으로써 와이어 브라켓(300)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볼트(UB)의 너트(N)에 대한 체결정도에 따라 내측에 구비되는 폐곡선 와이어(200)가 고정 결합되어 와이어 브라켓(300)이 폐곡선 와이어(2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체결정도를 느슨하게 하는 경우 폐곡선 와이어(200)가 U볼트(UB)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단순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한 쌍의 C형 찬넬(311)의 개방부(311a)가 마주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브라켓(300)과 폐곡선 와이어(200)의 체결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C형 찬넬(311)의 내측에는 판상형의 스페이서(312)가 구비되되, 상기 스페이서(312)에는 U볼트(UB)가 결합되고, 상기 U볼트(UB)가 U볼트공(310a)으로 노출되어 너트(N)로 조여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12)는 C형 찬넬(311)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중에 취약한 중공형 형상에도 불구하고,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일정한 강도를 형성하며, 상기 스페이서(312)에 일정한 홈을 형성하고, 홈에 U볼트(UB)를 미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 상태로 C형 찬넬(311)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C형 찬넬(311)이 아닌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와이어 관통부(330)는 브라켓 본체(310)의 내부가 아닌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플랜지(331)에 돌출편(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332)에 폐곡선 와이어(2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와이어 안착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관통부(330)가 브라켓 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폐곡선 와이어(200)의 거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 트러스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331)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C형 찬넬(311)이 결합되는 경우 플랜지(331)를 브라켓 본체(310)에 볼팅함으로써 C형 찬넬(311) 간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랜지(331)에 돌출되는 돌출편(332)은 평판형 부재는 물론 각관형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332)에 형성되는 와이어 안착홈(333)은 돌출편(332)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나, 추가적으로 돌출편(332)의 내부에 U자형 부재를 구비하여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돌출편(332)에는 추가적인 횡방향 부재(HM)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회동 브라켓(34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동 브라켓(340)은 내삽몸체(341)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몸체(342)가 힌지 회동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삽몸체(341)와 가압몸체(342)는 상호 맞닿는 내측면에 안착반홈(341a)(342a)이 형성되고, 폐곡선 와이어(200)가 상기 와이어 안착반홈(341a)(342a)에 의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안착공(340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삽몸체(341)와 가압몸체(342)의 내측면에는 안착반홈(341a)(342a)에 인접하여 사선형의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폐곡선 와이어(200)가 상기 안착반홈(341a)(342a)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몸체(342)에는 가압볼트(343)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삽입레일(342b)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몸체(342)를 커버하도록 케이싱(344)이 내삽몸체(341)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압볼트(343)가 케이싱(344)을 관통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써 상기 내삽몸체(341)와 가압몸체(342)가 밀착되는 바, 와이어 안착공(340a)에 구비된 폐곡선 와이어(200)가 가압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삽몸체(341)에 한 쌍의 가압몸체(342)가 힌지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하로 인접한 폐곡선 와이어(200)가 한 쌍의 가압몸체(342)에 의하여 내삽몸체(341)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쳐짐이나 인장이 하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전달되어 구조 하중이 보상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에 거치모듈(H)이나 와이어 브라켓(30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폐곡선 와이어(200) 상에 볼트 브라켓(8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트 브라켓(800)은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쐐기부(820)는 쐐기헤드(823)의 일측에 쐐기몸체(822)가 형성되되, 상기 쐐기몸체(822)는 복수의 분할편(822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는 모두 폐곡선 와이어(200)가 중심을 관통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 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811)(821)(8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810)와 너트부(830)가 나사 체결하는 과정에서 사이에 구비되는 쐐기부(820)의 쐐기몸체(822)를 구성하는 분할편(822a)이 폐곡선 와이어(200)를 가압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브라켓(800)은 너트부(83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쐐기부(820)와 볼트부(81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는 와이어(W)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와이어(W)의 양 단부를 와이어 장착구(400)로 상호 결속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는 한 쌍의 인장쐐기(4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장쐐기(410)는 복수의 분할편(411a)으로 형성된 반구형 헤드(411)를 지지니되,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에 나사부(412)가 형성되고, 반구형 헤드(411)와 나사부(41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를 가압하면 복수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 관통공(413)을 향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와이어 관통공(413)에 삽입된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는 장착구 몸체(420)를 구비하되, 상기 장착구 몸체(420)는 양 단에 장착 플레이트(421)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장쐐기(410)의 나사부(412)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끼움공(422)에 삽입되고,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맞닿으면서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내부에는 스프링(423)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423)의 양 단에는 가압편(424)이 구비되어 상기 인장쐐기(410)의 반구형 헤드(411)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23)의 탄성력에 의하여 가압편(424)이 상기 인장쐐기(410)의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하면,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맞닿으면서 보다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장착 플레이트(421)에는 가압볼트공(421a)이 형성되고, 가압볼트(430)가 가압볼트공(421a)의 외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볼트(430)의 단부가 가압볼트공(421a)을 관통하여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를 가압함으로써 분할편(411a)이 더욱 견고하게 와이어(W)를 가압하여 충분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은 폐곡선 와이어(200)에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여 태양광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태양광 모듈을 포함한 각종 거치모듈(H)에 의한 음영발생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영발생영역에는 채광산란 모듈(5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채광산란 모듈(500)은 물방울 단면의 복수의 반사체(510)로 구성되어 빛이 상기 반사체(510) 사이를 통과하여 회절함으로써 조사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방울 단면의 복수의 반사체(510)는 투명패널(520)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패널(520)은 상기 복수의 반사체(5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반사체 수용홈(521)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 수용홈(521)에 개별 반사체(510)가 삽입되어 채광산란 모듈(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패널(520)의 고정홀더(530)에 결합되어 폐곡선 와이어(2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을 형성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각종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는 그 하부에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고정앵커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에는 스크류 앵커(6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앵커(600)는 체결편(610)의 하부에 스크류 몸체(62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몸체(620)는 중심로드(621)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 스프링(622)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622)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크류 날개(623)가 코일 스프링(622)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몸체(620)의 중심로드(621)는 스크류 날개(623)를 매개로 코일 스프링(6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622)의 상부와 하부에 스크류 날개(623)가 형성됨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충분한 강성으로 스크류 날개(623)가 스스로 지중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622)에 의하여 하부로 가압시 탄성력에 의하여 스크류 몸체(620)의 무게중심을 하부에 형성할 수 있어 체결과정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바탕으로 용이한 삽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스크류 몸체(620)는 분할된 복수의 몸체편(620a)로 구성되되, 상호 결합되어 하나 의 스크류 몸체(6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의 하부에는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 앵커(7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 앵커(700)는 중공형 강관의 실린더(710), 방출 후크(720), 가이드 링(730) 및 조절너트(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710)는 방출 로드(722)가 가이드 되도록 하는 복수의 방출홀(711)이 형성된 중공형 강관이며, 상기 방출후크(720)는 내부에 케이블(721)이 구비되는 케이블 케이싱(722)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출 로드(723)가 방출 스프링(724)에 의하여 탄성력이 가해져 확장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링(730)은 상기 실린더(7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 후크(72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방출 로드(723)의 확장이 가이드되도록 외측 상부로 경사진 가이드면(731)을 지닌다. 상기 조절너트(740)는 케이블 케이싱(72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방출 후크(7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스파이크 앵커(700)의 체결 원리에 대하여 체결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우선 지중에 중공형 강관의 실린더(710)를 매립하되, 상기 실린더(710)의 내부에는 가이드 링(730)이 미리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710)의 내부로 방출 후크(720)를 삽입한다. 이때, 방출 후크(720)의 이동은 방출 후크(720)의 방출 로드(723)와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740)의 조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출 후크(720)의 하부에는 반구형 헤드부(725)가 형성되어 가이드 링(730)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방출 후크(720)가 가이드 링(730)을 지나 충분한 심도로 삽입되면, 상기 조절너트(74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서서히 방출 후크(720)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그 과정에서 방출 후크(720)의 방출 로드(723)는 방출 스프링(724)에 의하여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탄성력이 가해지므로, 상기 방출 로드(723)의 단부가 실린더(710)의 방출홀(711)에 삽입되면 방출 로드(723)가 탄성력에 의하여 벌어지면서 실린더(710)의 외측으로 확장된다.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절너트(74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방출 후크(720)를 충분히 상승시키면 방출 로드(723)는 더욱 확장되면서 지중에 충분한 깊이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방출 후크(720)의 방출 로드(723)는 상기 가이드 링(730)의 가이드면(731)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확장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S)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7)

  1. 회동받침(111)에 회동축(112)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112)에 회동체(113)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는 회동부(110); 및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가이드 고정부(120);
    를 포함하여 와이어(W)의 긴장도가 용이하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은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수직편(111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는 상기 수직편(111a)과 평행하게 한 쌍의 가이드편(12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편(121) 사이에 회동부(110)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수직편(111a)의 일측 단부에는 체결편(111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편(111b)과 평행하게 고정편(12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부(110)의 이동이 제한되며, 위치조절볼트(123)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 및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볼트(123)는 고정편(122)을 관통하되,
    단부가 회동받침(111)의 체결편(111b)에 맞닿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미는 푸쉬볼트(123a); 및
    상기 체결편(111b)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구비되어 회동부(110)를 상대적으로 당기는 풀볼트(123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111a)과 가이드편(121)을 관통하는 유동방지볼트(124)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측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111a)의 타측 단부에는 보조 체결편(111c)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121)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평행하게 보조 고정편(126)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체결편(111c)과 보조 고정편(126)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25)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110)의 상대적인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한 쌍의 가이드편(121) 사이에는 와이어(W)를 받치도록 강봉가드(128)가 구비되어 와이어(W)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부(120)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도록 찬넬형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결합되거나, 상기 회동부(110)의 상부에는 회동부 케이싱(140)이 결합되어 상하반전이나 적층 구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110)의 회동받침(111)의 상면 또는 회동축(1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체(113)와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볼, 원형 핀 또는 롤베이어링을 포함하는 롤링부재(1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10.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의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를 적어도 네 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여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하되,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여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하고,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에는 상호 이동방향이 동일한 적어도 한 쌍의 거치부(210)가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210)에는 거치모듈(H)이 구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브라켓(30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를 각각 복수로 적층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하되, 각층에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를 구비하여 각각 서로 다른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 사이에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폐곡선 와이어(200)가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에 구비된 와이어 브라켓(300)을 거치도록 구비되어 복수의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 교차점(HC) 또는 수직 교차점(V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 위치하는 폐곡선 와이어(200) 사이에는 원통형 언더펜션(220)이 거치되도록 구비되어 상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쳐짐이나 인장이 하부의 폐곡선 와이어(200)에 전달되어 구조 하중이 보상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브라켓 본체(310);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폐곡선 와이어(200)의 거치부(210)가 고정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결합부(320); 및
    상기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210)와 이동방향을 달리하는 폐곡선 와이어(200)나 다른 폐곡선 와이어(200)가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관통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합부(320) 또는 와이어 관통부(330)는 U볼트(UB)가 브라켓 본체(310)에 형성된 U볼트공(310a)을 관통하여 너트(N)로 조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U볼트(UB)의 체결정도에 따라 내측에 구비되는 폐곡선 와이어(200)가 고정 결합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310)는 한 쌍의 C형 찬넬(311)의 개방부(311a)가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C형 찬넬(311)의 내측에는 판상형의 스페이서(312)가 구비되되, 상기 스페이서(312)에는 U볼트(UB)가 결합되고, 상기 U볼트(UB)가 U볼트공(310a)으로 노출되어 너트(N)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관통부(330)는 브라켓 본체(3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플랜지(331)에 돌출편(332)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332)에 폐곡선 와이어(200)가 이동 가능하도록 거치되는 와이어 안착홈(3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브라켓(300)은 내삽몸체(341)에 적어도 하나의 가압몸체(342)가 힌지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340)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삽몸체(341)와 가압몸체(342)는 상호 맞닿는 내측면에 안착반홈(341a)(342a)이 형성되고, 폐곡선 와이어(200)가 상기 와이어 안착반홈(341a)(342a)에 의하여 형성되는 와이어 안착공(340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몸체(342)에는 가압볼트(343)의 헤드가 삽입되도록 삽입레일(342b)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몸체(342)를 커버하도록 케이싱(344)이 내삽몸체(341)와 체결되되, 상기 가압볼트(343)가 케이싱(344)을 관통하여 조임으로써 와이어 안착공(340a)에 구비된 폐곡선 와이어(200)가 가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폐곡선 와이어(200)는 와이어(W)의 양 단부를 와이어 장착구(400)로 상호 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인장쐐기(410)는 복수의 분할편(411a)으로 형성된 반구형 헤드(411)를 지니되,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곡면부(411b)에 나사부(412)가 형성되고, 반구형 헤드(411)와 나사부(41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413)이 형성되며, 상기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하면 복수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 관통공(413)에 삽입된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장착구(400)의 장착구 몸체(420)는 양 단에 장착 플레이트(421)가 형성되고, 상기 인장쐐기(410)의 나사부(412)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끼움공(422)에 삽입되어 상기 반구형 헤드(411)의 분할편(411a)이 와이어(W)의 단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내부에 스프링(423)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423)의 양 단에는 가압편(424)이 구비되어 상기 인장쐐기(410)의 반구형 헤드(411)가 상기 장착 플레이트(421)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 몸체(420)의 장착 플레이트(421)에는 가압볼트공(421a)이 형성되고, 가압볼트(430)가 가압볼트공(421a)의 외측에서 체결되어 상기 반구형 헤드(411)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브라켓(800)은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로 구성되되, 상기 볼트부(810), 쐐기부(820) 및 너트부(830)는 모두 폐곡선 와이어(200)가 중심을 관통할 수 있도록 각각 길이 방향으로 와이어 관통공(811)(821)(8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810)와 너트부(830)가 나사 체결하는 과정에서 사이에 구비되는 쐐기부(820)의 쐐기몸체(822)를 구성하는 분할편(822a)이 폐곡선 와이어(200)를 가압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모듈(H)에 의한 음영발생영역에는 채광산란 모듈(500)이 구비되되, 상기 채광산란 모듈(500)은 물방울 단면의 복수의 반사체(510)로 구성되어 빛이 상기 반사체(510) 사이를 통과하여 회절함으로써 조사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의 하부에는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앵커(600)가 결합되되, 상기 스크류 앵커(600)는 체결편(610)의 하부에 스크류 몸체(620)가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몸체(620)는 중심로드(621)를 중심으로 하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 스프링(622)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622)의 상부와 하부에는 스크류 날개(623)가 코일 스프링(622)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100)의 하부에는 지중 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한 스파이크 앵커(700)가 결합되되, 상기 스파이크 앵커(700)는,
    방출 로드(723)가 가이드 되도록 하는 복수의 방출홀(711)이 형성된 중공형 강관의 실린더(710);
    내부에 케이블(721)이 구비되는 케이블 케이싱(722)을 중심으로 복수의 방출 로드(723)가 방출 스프링(724)에 의하여 확장되도록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출 후크(720);
    상기 실린더(7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방출 후크(72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상기 방출 로드(723)의 확장이 가이드되도록 외측 상부로 경사진 가이드면(731)을 지니는 가이드 링(730); 및
    상기 케이블 케이싱(722)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방출 후크(7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너트(7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권취 구조물.
PCT/KR2017/012264 2017-09-19 2017-11-01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WO201905945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603 2017-09-19
KR1020170120603A KR101824631B1 (ko) 2017-09-19 2017-09-19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9450A1 true WO2019059450A1 (ko) 2019-03-28

Family

ID=6123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264 WO2019059450A1 (ko) 2017-09-19 2017-11-01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4631B1 (ko)
WO (1) WO2019059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927B1 (ko) 2019-09-26 2020-03-02 (주)신아기계 스레드 탄소섬유 와인딩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11Y1 (ko) * 2003-02-17 2003-07-04 곽병운 파이프 고정 장치
US20060280549A1 (en) * 2005-06-09 2006-12-14 Jung-Kuang Hsieh Fastener for securing a cargo container
KR20100095920A (ko) * 2009-02-23 2010-09-01 김태섭 태양광의 집광 및 저장,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천창시스템
KR101027801B1 (ko) * 2010-05-24 2011-04-07 준이앤씨(주)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1190695B1 (ko) * 2011-10-17 2012-10-1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조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JP2015014180A (ja) * 2013-06-07 2015-01-22 株式会社中藏 地中アンカ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工斜面の耐震補強方法
KR20160109883A (ko) * 2015-03-13 2016-09-21 허광학 케이블 드럼 유압 풀링 장치
KR101725038B1 (ko) * 2016-04-04 2017-04-10 마당월드 주식회사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설치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37B1 (ko) 2016-08-17 2017-04-10 마당월드 주식회사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설치 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11Y1 (ko) * 2003-02-17 2003-07-04 곽병운 파이프 고정 장치
US20060280549A1 (en) * 2005-06-09 2006-12-14 Jung-Kuang Hsieh Fastener for securing a cargo container
KR20100095920A (ko) * 2009-02-23 2010-09-01 김태섭 태양광의 집광 및 저장,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천창시스템
KR101027801B1 (ko) * 2010-05-24 2011-04-07 준이앤씨(주) 관로 성형기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KR101190695B1 (ko) * 2011-10-17 2012-10-1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조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JP2015014180A (ja) * 2013-06-07 2015-01-22 株式会社中藏 地中アンカ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工斜面の耐震補強方法
KR20160109883A (ko) * 2015-03-13 2016-09-21 허광학 케이블 드럼 유압 풀링 장치
KR101725038B1 (ko) * 2016-04-04 2017-04-10 마당월드 주식회사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설치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631B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045B1 (ko) 현수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WO2011046414A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on-line electric vehicle, method for forming same and magnetic field cancelation apparatus
KR100913253B1 (ko)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KR101994674B1 (ko) 가공 송전선로의 복도체 연결장치
WO2020162665A1 (ko)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WO2019203417A1 (ko) 가변형 각도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FI942258A0 (fi) Kattoelementtien liitinlaite ja menetelmä näiden asentamiseksi
WO2018070593A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WO2019074147A1 (ko) 와이어 권취 지지구조체 및 그 제작방법
JPH111323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架台
WO2019059450A1 (ko) 와이어 권취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권취 구조물
WO2019194471A1 (ko) 태양전지패널용 태양광 추적장치
WO2018034403A1 (ko) 와이어를 이용한 태양광모듈 설치 구조물
WO2022231086A1 (ko)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WO2021225261A1 (ko) 가변형 조립 pc 부재
GB2311899A (en) Method of replacing an overhead conductor
CN114977994B (zh) 柔性光伏支架及光伏系统
CN212543699U (zh) 一种同时安装光伏组件与接触网的结构
WO2014175803A1 (en) Solar panel support structure & method
KR100939937B1 (ko) 전력케이블의 접지선 취부구조
KR102600895B1 (ko) 지붕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클램프
WO2022265444A1 (ko) 루프탑코너용 안테나 기기의 설치 장치
CN211377479U (zh) 一种电缆敷设用可调节横梁装置
SE504375C2 (sv) Fästanordning för rörstolpbyte
KR20190072361A (ko) 고정 패스너를 포함하는 천정 구조물 고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6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6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0.05.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6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