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50068A1 - 고액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액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50068A1
WO2019050068A1 PCT/KR2017/009872 KR2017009872W WO2019050068A1 WO 2019050068 A1 WO2019050068 A1 WO 2019050068A1 KR 2017009872 W KR2017009872 W KR 2017009872W WO 2019050068 A1 WO2019050068 A1 WO 201905006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id
plate
water
housing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8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원태
강성봉
강성혁
Original Assignee
(주)더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존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존코리아
Priority to PCT/KR2017/0098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50068A1/ko
Publication of WO201905006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500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liquid separator capable of discharging treated water from which solid matter has been removed from waste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olid matter to prevent organic matter load in the subsequent treatment and backwashing in the case of occlusion during operation.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75977 the inside of the case is partitioned into an inner space portion and an outer space portion with a filt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fluid outlet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pace, the fluid outlet being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space.
  • the cartridge filter body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center portion of the cartridge filter body vertically And a plurality of blades arranged in a tube shape and communicating with the passage in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lurality of blades being arranged to be laterally protruded, , A mouth that is join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otary shaf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system, To a solid-liquid separator capable of preventing a loa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id-liquid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raw water inflow line at an upper end thereof, a solid discharge line at a lower end side thereof and a treatment water discharge line formed inside the solid discharge line;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housing and rotated by a driving unit; A plate-shaped separation plate formed at least one of the rotation shafts and integrally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s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supports ar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separating plate, a plurality of supports are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separating plate, a solid dropping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s, and a downward slope is forme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 induction portion; And a partition wall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solids storage space on the outer side and a treatment water storage space on the inner side.
  • a first shatterproof rim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 rim of the separator, and a second shatterproof rim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 rim of the guide.
  • a plurality of guide plates for forming an oblique gradient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ke preventing frame.
  • the separation plate rim has a first shatterproof rim protruding downward, and a plurality of guide plates for forming an oblique slope are protruded from the periphery of the first shatterproof rim.
  • the separating plate may be a flat plate, a convex plate having an upward sloping gradient, or a concave plate having a downward sloping gradient.
  •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essure plate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and a striking plate having an inclined gradien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protruded.
  • One example is a backwash storage unit having a backwash wat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outside the housing to store the treated water as backwash water and supply the stored backwash water, And a reverse water discharge outlet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and discharging the reverse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mechanical structure, which can redu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and is advantageous in economical operation.
  •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obtain a solid material with almost no moisture removed by performing a repeated separation process.
  •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backwashed when a separation plate or the like is closed during operation.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ng por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parato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and 4B are side sectional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parator plate.
  •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parator.
  •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olid-liquid separation device (1) is characterized in that a raw water inflow line (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solid matter discharge line (22) is formed at a lower end side and a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23) A housing (2) formed thereon; A rotating shaft 3 passing through the housing 2 and rotated by a driving unit m; A plate-shaped separator plate 4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3 and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ting shaft 3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1; And a solid dropping passage 63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s 62 and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2 by a plurality of supports 62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ng plate 4, An induction part 6 in which a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64 is formed so that the rotation axis 3 is embedded in the center part while a downward inclination is formed; And a partition wall 5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 to form a solids storage space 51 on the outer side and a treatment water storage space 52 on the inner side.
  • a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2.
  • the raw water is introduced as wastewater containing solid matter through the raw water inflow line 21, and the separated solid is discharged through the solid discharge line 22 And the treated water in which the solid content is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23.
  • the raw water inflow line (21) is installed so that raw water falls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separator plate (4).
  • the solid material is centrifuged to flow outward by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plate 4, and the treated water with the solid content separated in the flow process is dropped down through the through-hole 41.
  • the solid-liquid discharging line (22) is connected to the solid-state storage space (51) so as to discharge the solids immersed in the solid-state storage space (51) to the outside, and the treated water discharging line (23) And communicates with the space 52 so that the treated water in which the solid components are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rotating shaft 3 passes through the housing 2 and rotates by the driving unit m. Since the driving unit m has various known technologie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One or more separation plates 4 are formed on the rotary shaft 3 and integrally rotate with the rotary shaft 3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line 21 drops into the separating plate 4 and the separating plate 4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3 so that the moisture in the raw water (treated water) 41, and the solid content of the raw water is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so as to flow outward.
  • the solidified material thus flowed is allowed to fall down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or plate 4 as shown in Fig.
  • the separating plate 4 is formed in a plurality of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rotary shaft 3 so as to separate the solid component and the water component,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solid component from the raw water.
  • the through holes 41 of each of the separating plates 4 are formed so as to have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separation of the solid components is sequentially performed for each particle size without clogging.
  • the induction unit 6 is formed below the separation plate 4 and is fixed 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2 by a plurality of supports 62 and a solid dropping passage 63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s 62, A processing water discharge pipe 64 is formed so that the rotary shaft 3 is embedded in the central portion while a downward inclination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3.
  • the induction unit 6 includes a body 61 having a downwardly inclined slope in a direction in which a process water discharge pipe 64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solid dropping passage (63) between the support stand (62).
  • the guide portion 6 allows the solid matter separated from the upper separating plate 4 to drop into the solid matter dropping passage 63 and the treated water into which the solid portion has been separated is guided to the center portion, The treated water dropped to the central portion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pipe 64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4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partition plate 4,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is repeated.
  • the guide portion 6 blocks the re-mixing of the water separated by the separating plate 4 and the solid portion, and the separated water is guid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eparating plate 41, Thereby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 a first anti-scattering frame 42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 rim of the separator plate 4
  • a second anti-scattering frame 65 protruding upwardly is formed at a rim of the guide unit 6 So that the separated water and solids are scatter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or plate 4 and prevented from being remixed at one sid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n embodiment for further improving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solid content from the raw water by further controlling the re-mixing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ed water and the solid part in FIG.
  • a plurality of induction plates 421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ke prevention frame 42 to form an inclined gradient.
  • a plurality of guide plates 421 forming an inclined gradient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hatterproofing rim 42.
  • the guide plate 421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laid dow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solid component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separating plate 4 is dropped from the separating plate 4 while drawing a larger parabolic curve. That is, when the solidified matter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plate 4 by the induction plate 421 is dropped, the solidified substance dropped by the solidified material is guided outward, To prevent re-mixing of water and solids.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separation plate 4 is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axis 3.
  • the separation plate 4a of this embodiment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parating plate 4a is formed in a convex plate shape in which an inclination gradient is formed. Even if the rotating speed of the rotating shaft 3 is lowered than that of the separating plate 4 having a smooth surface shape, the solid content in the raw water can be slipped along the inclined gradient of the separating plate 4a in addition to the centrifugal force, 3), the solid content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raw water. That is, the separation plate 4a of this embodiment is meaningful as an energy saving type.
  • the separation plate 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paration plate 4b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in which an inclination gradient is formed.
  • the rotating speed of the rotating shaft 3 should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parating plate 4 having a smooth surface shape, because the centrifugal force must be larger so that the solid content flows in the sloping gradient in the raw water.
  • the solid part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eparating plate 4b while receiving the frictional force, and water contained in the solid part is mor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 from the solid part flowing due to the added frictional force.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separator 4b of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shaft 3 is rotated at a higher speed, which is somewha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but the solid content from which water has been removed is the most excellent in separation efficiency.
  • the separating plate 4 shown in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triking plates 4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ng plate 4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shaft 3, and the striking plate 43 having an inclined gradient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is protruded.
  • an inclined gradient ⁇ is formed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 direc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as shown in FIG. 5 because the raw water dropped on the center of the separating plate 4 4), the solid content of the solid component flows to the outside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solid component flowing in the solid component is hit by each impact plate 43,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solid component is separated by impact energy .
  • the separated water drops through the through hole 41 and the solid content having a high water removal rate is longer by the impact plate 43, the distance for removing water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removal efficiency of moisture from the solid content is increased It will increase.
  • the striking plate 43 has an inclined slope in a lying shape opposite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separating plate 4, so that solid particles struck by the striking plate 43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plate 4 ),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distance is made longer so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water from the solid component is further increased as mentioned above.
  • the partition 5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 to form a solids storage space 51 on the outer side and a treatment water storage space 52 on the inner side. 5 is protruded at least at a position which is at least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parating plate 4 on the upper side because the separated solid material separated from the separating plate 4 is dropped into the treated water storage space 52 .
  • the water sepa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partition plate 4 by the construction of the partition wall 5 is stored in the process water storage space 52 as process water and is separated outwardly by the centrifugal force in the partition plate 4
  • the solid content is guided to the solid content storage space 51 and stored.
  • the stored solid cont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olid discharge line 22, and the stored tre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23.
  • the backwashing means 7 is connected to the treated water discharge line 23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 so that the treated water can be returned
  • a reverse osmosis water storage tank 71 formed with a reverse osmosis water supply line 72 for storing the stored reverse osmosis water and a reverse osmosis water storage line 71 connected to the reverse osmosis water supply line 72 for discharging reverse osmosis water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2, And a wash water discharge port (73).
  • the reverse discharge water outlet 73 is located between each separator 4 and the guide 6 so that the supplied backwash water is discharg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원수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부에 고형분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고형분배출라인 내측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하부에 구성되며 하우징 내주연에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대 사이에 고형물낙하유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내재되도록 처리수배출관이 형성되는 유도부; 상기 하우징 하면에서 돌출형성 되어 외측에 고형분저장공간과 내측에 처리수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액분리장치
본 발명은 고형분이 다량 함유된 오폐수로부터 고형분을 제거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여 이후 처리과정에서 유기물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 중 폐색 등의 경우 역세가 가능한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폐수는 고농도 유기물 폐수이므로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편의상 축산폐수를 그대로 하천에 방류하는 경우, 하천의 BOD 및 COD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심각한 부영양화가 발생되고, 이것이 하천 생태계의 파멸은 물론 상수원의 직접적인 오염원이 되어 질소, 인 등의 영향으로 잦은 녹조현상과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그동안 제시된 축산 폐수의 처리기술은 대부분 대규모 처리장 위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경제성과 효율성이 떨어져 소규모의 영세농가에서는 축산폐수를 그대로 하천에 방류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바,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5977호에서는 그 케이스 내부가 필터체를 사이에 두고 내측공간부와 외측공간부로 구획되며 상기 내측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될 오염액이 유입되는 오염액유입구와 상기 외측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여과된 유체가 배출되는 유체배출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 필터체와, 상기 카트리지 필터체의 중심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상기 카트리지 필터체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통로에 내부 연통되는 관형상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정렬되어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부 연장되는 하단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제거된 입자가 수집되는 입자수집조와, 상기 내측공간부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연결되는 가스공급관과, 상기 내측공간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되는 압력측정수단과, 상기 내측공간부와 상기 외측공간부간의 차압을 측정하기 위해 장착되는 차압측정수단과, 전체적인 작동제어를 위해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고액분리 여과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필터체에 의해 고액을 분리하고자 하는데 고형물 함량이 높은 축산폐수 등의 경우 이러한 필터체에 의한 고형물의 충분한 분리를 기대할 수 없으며 필터체가 쉽게 폐색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구성되어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단계적인 분리 과정에서 고형물을 완전히 분리한 처리수를 배출토록 함으로써 이후 하폐수처리공정 등에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고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는, 상단에 원수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부에 고형분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고형분배출라인 내측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하부에 구성되며 하우징 내주연에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대 사이에 고형물낙하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내재되도록 처리수배출관이 형성되는 유도부; 상기 하우징 하면에서 돌출형성 되어 외측에 고형분저장공간과 내측에 처리수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분리판 테두리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비산방지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 테두리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비산방지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1비산방지테두리 외주연에는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유도판이 복수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분리판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비산방지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비산방지테두리 외주연에는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유도판이 복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분리판은 평판, 상방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볼록판, 또는 하방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오목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분리판 상면에는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되 원심방향에서 경사구배가 형성된 타격판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역세수단이 구성되되, 역세수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처리수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역세수로서 저장되며 저장된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수공급라인이 형성된 역세수저장조와, 상기 역세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역세수를 토출토록 하는 역세수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는, 간단한 기계적 구조로 구성되어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는 반복적인 분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분이 거의 제거된 고형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는 운용중 분리판 등이 폐색되는 경우 역세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리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분리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분리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액분리장치(1)는, 상단에 원수유입라인(21)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부에 고형분배출라인(22)이 형성되고 상기 고형분배출라인(22) 내측에 처리수배출라인(23)이 형성된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을 관통하며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 상기 회전축(3)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복수의 관통공(411)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리판(4); 상기 분리판(4) 하부에 구성되며 하우징(2) 내주연에 복수의 지지대(62)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대(62) 사이에 고형물낙하유로(63)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이 내재되도록 처리수배출관(64)이 형성되는 유도부(6); 상기 하우징(2) 하면에서 돌출형성 되어 외측에 고형분저장공간(51)과 내측에 처리수저장공간(5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을 통해 고형분이 함유된 오폐수로서 원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분리된 고형분은 고형분배출라인(2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원수로부터 고형분이 분리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라인(2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은 상기 분리판(4)의 중앙부분에서 원수가 낙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분리판(4)의 회전에 의해 고형분은 원심을 받아 외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며 유동과정에서 고형분이 분리된 처리수가 상기 관통공(41)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형분배출라인(22)은 상기 고형분저장공간(5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어 고형분저장공간(51)에서 침적되는 고형분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며 상기 처리수배출라인(23)은 상기 처리수저장공간(52)에 연통하도록 하여 고형분이 분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3)은 상기 하우징(2)을 관통하며 구동부(m)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구동부(m)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분리판(4)은 상기 회전축(3)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복수의 관통공(41)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수유입라인(21)을 통해 유입된 원수가 상기 분리판(4)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분리판(4)은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여 원수 중 수분(처리수)은 관통공(41)을 통해 하부로 낙하토록 하는 것이며 원수 중 고형분은 원심력을 받아 외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유동된 고형분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판(4) 외측으로 낙하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판(4)은 회전축(3)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고형분과 수분을 분리토록 함으로써 원수로부터 고형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분리판(4)에 있어 관통공(41)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폐색없이 고형분의 분리가 입경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도부(6)는 상기 분리판(4) 하부에 구성되며 하우징(2) 내주연에 복수의 지지대(62)에 의해 고정되고 지지대(62) 사이에 고형물낙하유로(63)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3)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3)이 내재되도록 처리수배출관(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6)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처리수배출관(64)이 형성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가 하우징(2) 내주연에서 이격이 형성되도록 고정시키는 지지대(62)와, 상기 지지대(62) 사이의 고형물낙하유로(63)로 구성된다.
상기 유도부(6)는 상부의 분리판(4)에서 분리된 고형분이 상기 고형물낙하유로(63)로 낙하되도록 하고 고형분이 분리된 처리수는 중앙부로 유도하여 상기 처리수배출관(64)을 통해 하부 분리판(4)으로 낙하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 분리판(4)에서는 상기 처리수배출관(64)을 통해 중앙부로 낙하한 처리수를 다시 상부의 분리판(4)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형분과 수분이 분리되도록 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도부(6)는 상부의 분리판(4)에 의해 분리된 수분과 고형분의 재혼합을 차단하는 것이며 분리된 수분이 하부의 분리판(41) 중앙부로 유도되도록 하여 하부에서 수분과 고형분의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판(4) 테두리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비산방지테두리(42)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6) 테두리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비산방지테두리(65)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분리된 수분과 고형물이 분리판(4) 하부에서 비산되어 일측에서 재혼합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분리된 수분과 고형분의 하부에서 재혼합을 더욱 제어하여 원수로부터 고형분의 분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비산방지테두리(42) 외주연에는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유도판(421)이 복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비산방지테두리(42) 외주연에는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복수의 유도판(421)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유도판(42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누운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분리판(4)에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고형분이 상기 분리판(4) 외부에서 더욱 큰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유도판(421)이 상기 분리판(4)에서 분리된 고형물이 낙하할 시 고형물을 타격함으로써 낙하하는 고형물을 외측방향으로 유도토록 함에 따라 낙하시 하부에 위치하는 유도부(6)에서 분리된 수분과 고형물의 재혼합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3)의 회전속도에 따라 분리판(4)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4a에서는 분리판(4a)이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볼록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회전축(3)의 회전속도를 평활면 형상의 분리판(4)의 경우보다 낮게 가져가더라도 원수에서 고형분은 원심력에 더하여 분리판(4a)의 경사구배를 타고 미끄러질 수 있어 회전축(3)의 속도를 더디게 가더라도 원수로부터 고형분을 충분히 분리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에너지 절약형으로서 본 실시 예의 분리판(4a)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b에서는 분리판(4b)이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오목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회전축(3)의 회전속도를 평활면 형상의 분리판(4)의 경우보다 크게 가져가야 하는데 이는 원수에서 고형분은 경사구배를 유동하도록 원심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고형분은 마찰력을 받으면서 분리판(4b) 외측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부가되는 마찰력에 의해 유동하는 고형분으로부터 고형분에 함유된 수분이 관통공(41)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의 분리판(4b)을 사용하는 경우 회전축(3)을 더욱 빠르게 회전시켜 에너지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나 수분이 제거된 고형분이 분리효율은 가장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심력을 받아 분리판(4) 외측으로 유동하는 고형분의 경우에도 수분이 함유된 상태이므로 고형분저장공간(51)으로 분리된 고형분은 외부로 배출후 별도로 수분을 제거해야 하는 공정을 거쳐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실시 예를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다.
도 5에서 제시하고 있는 분리판(4)에는 그 상면에 회전축(3)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되 원심방향에서 경사구배가 형성된 타격판(43)이 돌출 형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타격판(43)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심방향(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에서 경사구배(α)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분리판(4)의 중앙부에 낙하된 원수(상부 분리판(4)에서 낙하된 수분)는 고형분이 원심력을 받아 원심방향으로 외측으로 유동하는데 유동하는 고형분이 각 타격판(43)에서 타격이 되면서 고형분에 함유된 수분이 타격에 의한 충격에너지에 의해 분리되도록 한다. 이렇게 분리된 수분이 관통공(41)을 통해 낙하하고 수분제거율이 높은 고형분이 타격판(43)에 의해 유동거리가 더 길어지면서 그만큼 수분이 제거되는 거리가 길어져 결국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의 제거효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격판(43)은 분리판(4)의 회전방향 반대로 누운형상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타격판(43)에 의해 타격된 고형분이 분리판(4)에서 유동거리가 더 길어지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형분으로부터 수분의 제거효율을 더욱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5)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 하면에서 돌출형성 되어 외측에 고형분저장공간(51)과 내측에 처리수저장공간(52)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상기 격벽(5)은 상부의 분리판(4)의 직경보다 적어도 같거나 작은 위치에서 돌출형성 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한데 이유는 분리판(4)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고형분이 처리수저장공간(52)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격벽(5)이 구성됨에 의해 분리판(4)에서 하방향으로 분리되는 수분들은 처리수로서 상기 처리수저장공간(52)에 저장되는 것이며 분리판(4)에서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된 고형분은 고형분저장공간(51)으로 유도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고형분은 고형분배출라인(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저장된 처리수는 처리수배출라인(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세수단(7)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역세수단(7)은 상기 하우징(2) 외부에서 상기 처리수배출라인(23)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역세수로서 저장되며 저장된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수공급라인(72)이 형성된 역세수저장조(71)와, 상기 역세수공급라인(72)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2) 내측에서 역세수를 토출토록 하는 역세수토출구(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수배출라인(23)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상기 역세수저장조(71)로 저장토록 하면서 분리판(4) 등이 폐색되는 경우 상기 역세수공급라인(72)을 통해 역세수토출구(73)로 역세수가 토출되도록 하여 역세기능이 수행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역세수토출구(73)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분리판(4)과 유도부(6) 사이에 위치하여 공급된 역세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단에 원수유입라인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부에 고형분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고형분배출라인 내측에 처리수배출라인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연동을 하며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형상의 분리판;
    상기 분리판 하부에 구성되며 하우징 내주연에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며 지지대 사이에 고형물낙하유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이 내재되도록 처리수배출관이 형성되는 유도부;
    상기 하우징 하면에서 돌출형성 되어 외측에 고형분저장공간과 내측에 처리수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테두리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비산방지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유도부 테두리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비산방지테두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비산방지테두리 외주연에는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유도판이 복수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평판, 상방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볼록판, 또는 하방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는 오목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상면에는 회전축에서 이격된 위치에 복수로 형성되되 원심방향에서 경사구배가 형성된 타격판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역세수단이 구성되되, 역세수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처리수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역세수로서 저장되며 저장된 역세수를 공급하는 역세수공급라인이 형성된 역세수저장조와, 상기 역세수공급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역세수를 토출토록 하는 역세수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액분리장치.
PCT/KR2017/009872 2017-09-08 2017-09-08 고액분리장치 WO201905006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872 WO2019050068A1 (ko) 2017-09-08 2017-09-08 고액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872 WO2019050068A1 (ko) 2017-09-08 2017-09-08 고액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0068A1 true WO2019050068A1 (ko) 2019-03-14

Family

ID=6563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872 WO2019050068A1 (ko) 2017-09-08 2017-09-08 고액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5006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2370A (en) * 1990-11-29 1995-01-17 Ecc International Ltd. Screening system
JP2000248589A (ja) * 1999-02-26 2000-09-12 Takiron Co Ltd 雨水等の固形物分離装置
JP2002166110A (ja) * 2000-12-04 2002-06-11 Nkk Corp 固液分離装置
US7862637B2 (en) * 2008-03-25 2011-01-04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cyclone dust separator
KR101714353B1 (ko) * 2015-04-03 2017-03-09 김상묵 임펠라 디스크형 원심분리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2370A (en) * 1990-11-29 1995-01-17 Ecc International Ltd. Screening system
JP2000248589A (ja) * 1999-02-26 2000-09-12 Takiron Co Ltd 雨水等の固形物分離装置
JP2002166110A (ja) * 2000-12-04 2002-06-11 Nkk Corp 固液分離装置
US7862637B2 (en) * 2008-03-25 2011-01-04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cyclone dust separator
KR101714353B1 (ko) * 2015-04-03 2017-03-09 김상묵 임펠라 디스크형 원심분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224B1 (ko)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WO20201742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dispersions
KR102397619B1 (ko)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101771502B1 (ko) 고액분리장치
KR101844470B1 (ko) 고액분리장치
KR970074672A (ko) 여과 일체형 침전조 및 그 역세척 방법
WO2019050068A1 (ko) 고액분리장치
KR101608864B1 (ko) 유수 분리장치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2092805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KR101889663B1 (ko) 슬러지 채널링 방지가 가능한 원형슬러지 농축조
KR100280975B1 (ko) 부정수중 슬러지를 원심분리하는 청정장치
KR20210002060A (ko)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KR20210002062A (ko)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CN113023852A (zh) 旋转填料自清洗油泥渣水分离池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JP2595441B2 (ja) 凝集沈澱分離装置
RU2284863C1 (ru) Аппарат для промывки 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песковых фракций пульпы бокситового шлама
CN219730755U (zh) 污泥回收利用装置
JP2001025618A (ja) 洗浄装置を付設した濾過脱水機
JP2505719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液体処理施設
KR960002420Y1 (ko) 고액(固液)분리기
KR102397626B1 (ko)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KR100894645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CN109553216B (zh) 去除水中污染物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3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3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