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1879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1879A1
WO2019031879A1 PCT/KR2018/009103 KR2018009103W WO2019031879A1 WO 2019031879 A1 WO2019031879 A1 WO 2019031879A1 KR 2018009103 W KR2018009103 W KR 2018009103W WO 2019031879 A1 WO2019031879 A1 WO 20190318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si
control channel
csi reporting
pusc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1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지원
김기준
김형태
양석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37,72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40673B2/en
Publication of WO20190318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18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Definitions

  •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e.g., uplink time /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uplink transmission .
  •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e.g., uplink time /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an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he CSI reporting time is set for a control channel based transmission or a data channel based transmission .
  • the setting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range of a CSI reporting time point for CSI reporting based on the control channel, A format of the control channel, a number of symbols constituting the control channel, or a physical resource block size of the control channe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type of the control channel, a format of the control channel, .
  • the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 CSI reporting timing offset between the control channel-based CSI report and the data channel-based CSI report .
  • the CSI report based on the control channel may be aperiodic CSI reporting performed by receiving a triggering instruction from the base station.
  • FIG. 10 show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erminal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 FIG. 1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Non-standalone NR A configuration in which gNB requests an LTE eNB as an anchor for EPC control plane connection or an eLTE eNB as an anchor for control plane connection to NGC.
  • the transmission of the uplink frame number i from the User Equipment (UE) is shorter than the start of the corresponding downlink frame in the corresponding UE You have to start before.
  • Beam sweeping An operation that covers the spatial region with the beam transmitted and / or received during a time interval in a predetermined manner.
  • the capability indicat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UE beam is supported by the TRP.
  • Each CSI-RS resource set includes K? 1 CSI-RS resources (some parameters of the K CSI-RS resources may be the same, eg, port number, time domain behavior,
  • the UE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monitor NR-PDCCH on M beam-pair links.
  • NR For reception of a unicast DL data channel, NR supports the indication of the spatial QCL hypothesis between the DL RS antenna port and the DMRS antenna port of the DL data channel.
  • Such a slot can be defined as a 'self-contained slot'.
  • the antenna element is connected to all TXRUs.
  • a digital beam having a higher resolution can be formed to increase the throughput of a corresponding region.
  • a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A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 the CSI framework can be set to a reporting setting 902, a measurement setting 904, and a resource setting 906.
  • the report setting means the CSI report setting
  • the measurement setting means the CSI measurement setting
  • the resource setting can mean the CSI-RS resource setting.
  • 'A / B' means A or B, and a combination in which the order is changed between '/' may be considered.
  • 'A / B and C / D' can mean 'A and C', 'A and D', 'B and C', or 'B and D'.
  • first PUSCH use - PUSCH for transmission of UL data
  • a second PUSCH use for UL data transmission and CSI reporting
  • the PUSCH is allocated to a fixed timing from the reception timing of the DCI. For example, if the UE receives the DCI for PUSCH allocation in the nth subframe, the UE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USCH in the (n + 4) th subframe.
  •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SI report can be set to a wide variety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the information or the computation time required. For example, whether the PMI is included in the CSI report information, the number of CSI-RS antenna ports when the PMI is reported, and / or the CSI output amount and the calculation time required according to the codebook type may be changed .
  • the configuration of the PUSCH timing value, the minimum value, the maximum value, and / or the range of the second PUSCH application may be set by one of the following four methods.
  • the terminal may be set (or indicated) with a separate PUSCH timing value, minimum value, and / or range, depending on the three uses of the PUSCH.
  • the combination of the setting for the PUSCH timing for the first PUSCH application and the setting for the PUSCH timing for the third PUSCH application may be performed in one of the following manners depending on the UE capability Lt; / RTI >
  • the 3-bit DCI (or 3-bit DCI field) indicating the PUSCH timing indicates the PUSCH timing offset 0 to 7 Can be set.
  • 3-bit DCI (or 3-bit) indicating the PUSCH timing if the PMI associated with the N-port CSI-RS or lower is included in the CSI feedback in the PUSCH for the third PUSCH purpose and the subband PMI is not included.
  • DCI field may be set to indicate PUSCH timing offsets 1-8.
  • the PUSCH-based CSI reporting timing i.e., PUSCH timing offset
  • the PUCCH-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UCCH timing offsets may be needed.
  • an aperiodic CSI report triggering field includes an indicator for distinguishing between PUSCH-based transmission and PUCCH-based transmission
  • the resource allocation field is configured, piggyback (or multiplexing) the PUSCH to perform CSI reporting
  • the PUSCH designated by the resource allocation field may be distinguished whether to transmit UL data and perform CSI reporting via PUCCH.
  • Method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PUSCH-based aperiodic CSI report and the PUCCH-based aperiodic CSI report can be extended to a method for distinguishing PUSCH-based semi-persistent CSI reporting and PUCCH-based semi-persistent CSI reporting.
  • the ON / OFF information for the triggering of the aperiodic CSI report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turn ON / OFF information for activation of the semi-persistent CSI report and / - ON / OFF information for deactivation or release of persistent CSI reporting can be applied.
  • the base station 1110 includes a processor 1111, a memory 1112, and a communication module 1113.
  • Processor 1210 implements the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suggested in FIGS. 1 through 10 above.
  • the layer of the air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by the processor 12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timing)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eference Signal,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control channel resourc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는 단말의 CSI 보고(CSI reporting) 및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산출 시간(computation time)을 고려하여, CSI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CSI 보고와 관련된 타이밍 오프셋(timing offset)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타이밍 오프셋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기반한 CSI 보고 및/또는 UL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아닌,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기반한 CSI 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timing)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eference Signal,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control channel resourc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링(triggering) 지시를 수신하여 수행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aperiodic CSI reportin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 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CSI 보고 시점이 제어 채널 기반의 전송 또는 데이터 채널 기반의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CSI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상기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보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은,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상기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미리 설정된 특정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CSI 보고 시점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SI 보고 시점의 범위는 상기 제어 채널의 유형(type), 상기 제어 채널의 포맷(format), 상기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symbol)의 수, 또는 상기 제어 채널의 물리 자원 블록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siz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와 데이터 채널 기반의 CSI 보고 간의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CSI reporting timing offset)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에 대한 후보 값(candidate value)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지시되는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은 상기 후보 값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보 값들은 시간 영역(time domain) 상의 슬롯 단위(slot unit)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timing)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eference Signal,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control channel resourc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링(triggering) 지시를 수신하여 수행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aperiodic CSI reportin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 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CSI 보고 시점이 제어 채널 기반의 전송 또는 데이터 채널 기반의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CSI 보고 시점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SI 보고 시점의 범위는 상기 제어 채널의 유형(type), 상기 제어 채널의 포맷(format), 상기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symbol)의 수, 또는 상기 제어 채널의 물리 자원 블록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siz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CSI 보고를 지시 또는 할당 받은 경우, CSI 보고에 요구되는 산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또는, 동일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의 필드)를 이용하여 CSI 보고 및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 오프셋이 지시되므로,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오버헤드(blind decoding overhead)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 기반한 CSI 보고를 수행함에 따라, 하나의 전송 단위(예: self-contained slot/subframe) 내에서 또는 짧은 시간 내에서 CSI-RS 수신 및 CSI 보고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CSI 보고에 대한 지연(latency)가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slo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TXRU와 안테나 element의 연결 방식의 일례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TXRU 별 서비스 영역의 다양한 일례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2 차원 평면 어레이 구조를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CSI 프레임워크(CSI framework)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next generation NB, general NB, gNodeB)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NR(New RAT)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정의
eLTE eNB: eLTE eNB는 EPC 및 NGC에 대한 연결을 지원하는 eNB의 진화(evolution)이다.
gNB: NGC와의 연결뿐만 아니라 NR을 지원하는 노드.
새로운 RAN: NR 또는 E-UTRA를 지원하거나 NGC와 상호 작용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네트워크 슬라이스(network slice):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종단 간 범위와 함께 특정 요구 사항을 요구하는 특정 시장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operator에 의해 정의된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네트워크 기능은 잘 정의된 외부 인터페이스와 잘 정의된 기능적 동작을 가진 네트워크 인프라 내에서의 논리적 노드.
NG-C: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U: 새로운 RAN과 N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비 독립형(Non-standalone) NR: gNB가 LTE eNB를 EP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거나 또는 eLTE eNB를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요구하는 배치 구성.
비 독립형 E-UTRA: eLTE eNB가 NGC로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위한 앵커로 gNB를 요구하는 배치 구성.
사용자 평면 게이트웨이: NG-U 인터페이스의 종단점.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G-RAN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상기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gNB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N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gNB는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 (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NR(New Rat) 뉴머롤로지(Numerology) 및 프레임(frame) 구조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에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 N(또는,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1
)으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를 살펴본다.
NR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다수의 OFDM 뉴머롤로지들은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1
NR 시스템에서의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와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다양한 필드의 크기는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2
의 시간 단위의 배수로 표현된다. 여기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3
이고,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4
이다. 하향링크(downlink) 및 상향링크(uplink) 전송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5
의 구간을 가지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은 각각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6
의 구간을 가지는 10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 및 하향링크에 대한 한 세트의 프레임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User Equipment, UE)로 부터의 상향링크 프레임 번호 i의 전송은 해당 단말에서의 해당 하향링크 프레임의 시작보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7
이전에 시작해야 한다.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8
에 대하여, 슬롯(slot)들은 서브프레임 내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09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고, 무선 프레임 내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0
의 증가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진다. 하나의 슬롯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1
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로 구성되고,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2
는, 이용되는 뉴머롤로지 및 슬롯 설정(slot configuration)에 따라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에서 슬롯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3
의 시작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OFDM 심볼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4
의 시작과 시간적으로 정렬된다.
모든 단말이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는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또는 상향링크 슬롯(uplink slot)의 모든 OFDM 심볼들이 이용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는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5
에서의 일반(normal)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내고, 표 3은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6
에서의 확장(extended) CP에 대한 슬롯 당 OFDM 심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2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3
NR 물리 자원(NR Physical Resource)
NR 시스템에서의 물리 자원(physical resource)과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자원 블록(resource block), 캐리어 파트(carrier part)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될 수 있는 상기 물리 자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안테나 포트와 관련하여, 안테나 포트는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이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의 다른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도록 정의된다. 하나의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의 광범위 특성(large-scale property)이 다른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이 운반되는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경우, 2 개의 안테나 포트는 QC/QCL(quasi co-located 혹은 quasi co-location)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광범위 특성은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주파수 쉬프트(Frequency shift), 평균 수신 파워(Average received power), 수신 타이밍(Received Timin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자원 그리드가 주파수 영역 상으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7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 x 2u OFDM 심볼들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R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신호(transmitted signal)는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8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그리드들 및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19
의 OFDM 심볼들에 의해 설명된다. 여기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0
이다. 상기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1
는 최대 전송 대역폭을 나타내고, 이는, 뉴머롤로지들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에도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2
및 안테나 포트 p 별로 하나의 자원 그리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및 뉴머롤로지 별 자원 그리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3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로 지칭되며, 인덱스 쌍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4
에 의해 고유적으로 식별된다. 여기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5
는 주파수 영역 상의 인덱스이고,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6
는 서브프레임 내에서 심볼의 위치를 지칭한다. 슬롯에서 자원 요소를 지칭할 때에는, 인덱스 쌍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7
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8
이다.
뉴머롤로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29
및 안테나 포트 p에 대한 자원 요소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0
는 복소 값(complex value)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1
에 해당한다. 혼동(confusion)될 위험이 없는 경우 혹은 특정 안테나 포트 또는 뉴머롤로지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덱스들 p 및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2
는 드롭(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복소 값은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3
또는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4
이 될 수 있다.
또한,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 상의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5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로 정의된다. 주파수 영역 상에서, 물리 자원 블록들은 0부터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6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이 때, 주파수 영역 상의 물리 자원 블록 번호(physical resource block number)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7
와 자원 요소들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8
간의 관계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1
또한, 캐리어 파트(carrier part)와 관련하여, 단말은 자원 그리드의 서브셋(subset)만을 이용하여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수신 또는 전송하도록 설정된 자원 블록의 집합(set)은 주파수 영역 상에서 0부터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39
까지 번호가 매겨진다.
빔 관리(Beam management)
NR에서 빔 관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빔 관리(Beam management): DL 및 UL 송수신에 사용될 수 있는 TRP(들) 및/또는 UE 빔들의 세트(set)를 획득하고 유지하기 위한 L1/L2 절차들의 세트로서, 적어도 다음 사항들을 포함한다:
- 빔 결정: TRP (들) 또는 UE가 자신의 송신 / 수신 빔을 선택하는 동작.
- 빔 측정: TRP (들) 또는 UE가 수신된 빔 형성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는 동작.
- 빔 보고: UE가 빔 측정에 기반하여 빔 형성된 신호의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 빔 스위핑 (Beam sweeping):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시간 간격 동안 송신 및 / 또는 수신된 빔을 이용하여 공간 영역을 커버하는 동작.
또한, TRP 및 UE에서의 Tx / Rx 빔 대응(correspondenc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TRP에서의 Tx / Rx 빔 대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유지된다.
- TRP는 TRP의 하나 이상의 송신 빔에 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수신을 위한 TRP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TRP는 TRP의 하나 이상의 Rx 빔들에 대한 TRP의 상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TRP T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UE에서의 Tx / Rx 빔 대응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유지된다.
- UE는 UE의 하나 이상의 Rx 빔에 대한 UE의 하향링크 측정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UE Tx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UE는 하나 이상의 Tx 빔에 대한 상향링크 측정에 기초한 TRP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수신을 위한 UE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 TRP로 UE 빔 대응 관련 정보의 능력 지시가 지원된다.
다음과 같은 DL L1 / L2 빔 관리 절차가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 내에서 지원된다.
P-1: TRP Tx 빔 / UE Rx 빔 (들)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 TRP에서의 빔포밍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빔 세트에서 인트라(intra)/인터(inter)-TRP Tx 빔 스윕(sweep)을 포함한다. UE에서의 빔포밍을 위해, 그것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빔들의 세트로부터의 UE Rx 빔 sweep를 포함한다.
P-2: 상이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이 인터/인트라-TRP Tx 빔(들)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P-3: UE가 빔 포밍을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TRP Tx 빔에 대한 UE 측정이 UE Rx 빔을 변경시키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네트워크에 의해 트리거된 비주기적 보고(apreiodic reporting)는 P-1, P-2 및 P-3 관련 동작에서 지원된다.
빔 관리 (적어도 CSI-RS)를 위한 RS에 기초한 UE 측정은 K (빔의 총 개수) 빔으로 구성되며, UE는 선택된 N개의 Tx 빔들의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여기서, N은 반드시 고정된 수는 아니다. 이동성 목적을 위한 RS에 기반한 절차는 배제되지 않는다. 보고 정보는 적어도 N <K 인 경우 N 개의 빔 (들)에 대한 측정량 및 N 개의 DL 송신 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UE가 K'> 1 논-제로-파워 (NZP) CSI- RS 자원들에 대해, UE는 N'의 CRI (CSI-RS 자원 지시자)를 보고 할 수 있다.
UE는 빔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상위 계층 파라미터(higher layer parameter)들로 설정될 수 있다.
- N≥1 보고 설정(setting), M≥1 자원 설정
- 보고 설정과 자원 설정 간의 링크들은 합의된 CSI 측정 설정에서 설정된다.
- CSI-RS 기반 P-1 및 P-2는 자원 및 보고 설정으로 지원된다.
- P-3은 보고 설정의 유무에 관계없이 지원될 수 있다.
- 적어도 이하 사항들을 포함하는 보고 설정(reporting setting)
- 선택된 빔을 나타내는 정보
- L1 측정 보고(L1 measurement reporting)
- 시간 영역 동작(예: 비주기적(aperiodic) 동작, 주기적(periodic) 동작, 반-지속적(semi-persistent) 동작)
- 여러 주파수 세분성(frequency granularity)이 지원되는 경우의 주파수 세분성
- 적어도 이하 사항들을 포함하는 리소스 설정(resource setting)
- 시간 영역 동작(예: 비주기적 동작, 주기적 동작, 반-지속적 동작)
- RS 유형: 적어도 NZP CSI-RS
-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세트. 각 CSI-RS 자원 세트는 K≥1 CSI-RS 자원들을 포함(K개의 CSI-RS 자원들의 일부 파라미터들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번호, 시간 영역 동작, 밀도 및 주기)
또한, NR은 L> 1 인 L 그룹을 고려하여 다음 빔 보고를 지원한다.
- 최소한의 그룹을 나타내는 정보
- N1 빔에 대한 측정량(measurement quantity)(L1 RSRP 및 CSI 보고 지원 (CSI-RS가 CSI 획득을 위한 경우))
- 적용 가능한 경우, Nl개의 DL 송신 빔을 나타내는 정보
상술한 바와 같은 그룹 기반의 빔 보고는 UE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기반의 빔 보고는 UE 단위로 턴-오프(turn-off) 될 수 있다(예를 들어, L = 1 또는 Nl = 1인 경우).
NR은 UE가 빔 실패로부터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트리거할 수 있음을 지원한다.
빔 실패(beam failure) 이벤트는 연관된 제어 채널의 빔 쌍 링크(beam pair link)의 품질이 충분히 낮을 때 발생한다(예를 들어 임계 값과의 비교, 연관된 타이머의 타임 아웃). 빔 실패(또는 장애)로부터 복구하는 메커니즘은 빔 장애가 발생할 때 트리거된다.
네트워크는 복구 목적으로 UL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갖는 UE에 명시적으로 구성한다. 자원들의 구성은 기지국이 전체 또는 일부 방향으로부터(예를 들어, random access region) 청취(listening)하는 곳에서 지원된다.
빔 장애를 보고하는 UL 송신/자원은 PRACH (PRACH 자원에 직교하는 자원)와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instance)에 또는 PRACH와 다른 시간 인스턴스(UE에 대해 구성 가능)에 위치할 수 있다. DL 신호의 송신은 UE가 새로운 잠재적인 빔들을 식별하기 위해 빔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NR은 빔 관련 지시(beam-related indication)에 관계 없이 빔 관리를 지원한다. 빔 관련 지시가 제공되는 경우, CSI-RS 기반 측정을 위해 사용된 UE 측 빔 형성 / 수신 절차에 관한 정보는 QCL을 통해 UE에 지시될 수 있다. NR에서 지원할 QCL 파라미터로는 LTE시스템에서 사용하던 delay, Doppler, average gain등에 대한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의 빔포밍을 위한 공간 파라미터가 추가될 예정이며, 단말 수신 빔포밍 관점에서 angle of arrival 관련 파라미터 및/또는 기지국 수신 빔포밍 관점에서 angle of departure 관련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NR은 제어 채널 및 해당 데이터 채널 전송에서 동일하거나 다른 빔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한다.
빔 쌍 링크 블로킹(beam pair link blocking)에 대한 견고성(robustness)를 지원하는 NR-PDCCH 전송을 위해, UE는 동시에 M개의 빔 쌍 링크상에서 NR-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M=1 및 M의 최대값은 적어도 UE 능력에 의존할 수 있다.
UE는 상이한 NR-PDCCH OFDM 심볼들에서 상이한 빔 쌍 링크(들)상의 NR-PDCCH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빔 쌍 링크들 상에서 NR-PDCCH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UE Rx 빔 설정과 관련된 파라미터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MAC CE에 의해 구성되거나 및 / 또는 탐색 공간 설계에서 고려된다.
적어도, NR은 DL RS 안테나 포트(들)과 DL 제어 채널의 복조를 위한 DL RS 안테나 포트(들) 사이의 공간 QCL 가정의 지시를 지원한다. NR-PDCCH(즉, NR-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성 방법)에 대한 빔 지시를 위한 후보 시그널링 방법은 MAC CE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스펙 transparent 및/또는 암시적 방법, 및 이들 시그널링 방법의 조합이다.
유니 캐스트 DL 데이터 채널의 수신을 위해, NR은 DL RS 안테나 포트와 DL 데이터 채널의 DMRS 안테나 포트 사이의 공간 QCL 가정의 지시를 지원한다.
RS 안테나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는 DCI (다운 링크 허가)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이 정보는 DMRS 안테나 포트와 QCL 되어 있는 RS 안테나 포트를 나타낸다. DL 데이터 채널에 대한 DMRS 안테나 포트의 상이한 세트는 RS 안테나 포트의 다른 세트와 QCL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들에 대해 먼저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5G, New Rat(NR) 등 차세대 통신에서는,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dio access technology(RAT)에 비해 향상된 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성(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 및/또는 단말(UE)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 또는 구조가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communication, massive MTC(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radio access technology(RAT)의 도입이 현재 논의되고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해당 technology를 'new RAT(NR)'로 통칭하기로 한다.
Self-contained 슬롯 구조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latency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세대 New RAT(NR)에서는 도 5와 같은 self-contained slot structure를 고려하고 있다.
즉,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self-contained slot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서, 빗금 친 영역(510)은 하향링크 제어(down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520)은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낸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부분(530)은 downlink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uplink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slot 내에서 DL 전송과 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하나의 slot 내에서 DL data를 보내고, UL Ack/Nack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lot을 'self-contained slot'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이러한 slot 구조를 통해서,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단말로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self-contained slot 구조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 간격(time gap)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해당 slot 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symbol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된다.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들의 설치가 가능해 진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4 x 4cm의 패널(panel)에 0.5 lambda(파장) 간격으로 2-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64(8x8)개의 안테나 element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를 사용하여 beamforming(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throughput을 높이려고 한다.
이 경우에 안테나 element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Transceiver Unit)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beamforming이 가능하다.
그러나, 약 100개의 안테나 element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 개의 안테나 element를 mapping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analog phase shifter)로 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analog beamforming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beam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beamforming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Digital BF와 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element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hybrid BF(HBF)를 고려할 수 있다.
HBF는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element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beam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TXRU와 안테나 element의 연결 방식의 일례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TXRU 가상화(virtualization) 모델은 TXRU의 출력 signal과 antenna elements의 출력 signal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TXRU가 sub-array에 연결된 방식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안테나 element는 하나의 TXRU에만 연결된다. 도 6의 (a)와 달리 도 6의 (b)는 TXRU가 모든 안테나 element에 연결된 방식을 나타낸다.
즉, 도 6의 (b)의 경우, 안테나 element는 모든 TXRU에 연결된다.
도 6에서, W는 analog phase shifter에 의해 곱해지는 위상 벡터를 나타낸다.
즉, W에 의해 analog beamforming의 방향이 결정된다. 여기서, CSI-RS antenna ports와 TXRU들과의 mapping은 1-to-1 또는 1-to-many 일 수 있다.
CSI feedback
3GPP LTE(-A)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기기(UE)가 채널상태정보(CSI)를 기지국(BS)으로 보고하도록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채널상태정보(CSI)라 함은 UE와 안테나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무선 채널(혹은 '링크'라고도 함)의 품질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를 통칭한다.
예를 들어,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 프리코딩행렬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채널품질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RI는 채널의 랭크(rank) 정보를 나타내며, 이는 UE가 동일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수신하는 스트림의 개수를 의미한다. 이 값은 채널의 롱 텀 페이딩(fading)에 의해 종속되어 결정되므로, PMI, CQI보다 보통 더 긴 주기를 가지고 UE에서 BS로 피드백된다.
PMI는 채널 공간 특성을 반영한 값으로, SINR 등의 메트릭(metric)을 기준으로 UE가 선호하는 프리코딩 인덱스를 나타낸다.
CQI는 채널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기지국(BS)가 PMI를 이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신 SINR을 의미한다.
3GPP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다수개의 CSI 프로세스를 UE에게 설정해 주고, 각 프로세스에 대한 CSI를 보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CSI 프로세스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품질 특정을 위한 CSI-RS와 간섭 측정을 위한 CSI-interference measurement (CSI-IM) 자원으로 구성된다.
참조 신호 가상화(RS virtualization)
mmW에서 analog beamforming에 의해 한 시점에 하나의 analog beam 방향으로만 PDSCH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특정 방향에 있는 일부 소수의 UE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안테나 포트별로 analog beam 방향을 다르게 설정하여 여러 analog beam 방향에 있는 다수의 UE들에게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TXRU 별 서비스 영역의 다양한 일례들을 나타낸다.
*도 7의 경우, 256 antenna element를 4등분하여 4개의 sub-array를 형성하고, 각 sub-array에 TXRU를 연결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sub-array가 2-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64(8x8)의 안테나 element로 구성되면, 특정 analog beamforming에 의해 15도의 수평각 영역과 15도의 수직각 영역에 해당하는 지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지국이 서비스해야 되는 지역을 다수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한번에 하나씩 서비스 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CSI-RS antenna port와 TXRU는 1-to-1 mapping되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antenna port와 TXRU는 이하의 설명에서 같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7의 (a)와 같이, 모든 TXRU(안테나 포트, sub-array)가 동일 analog beamforming 방향을 가지면, 더 높은 resolution을 갖는 digital beam을 형성하여 해당 지역의 throughput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역으로 전송 데이터의 랭크(rank)를 증가시켜 해당 지역의 throughput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와 같이, 각 TXRU(안테나 포트, sub-array)가 다른 analog beamforming 방향을 가지면, 더 넓은 영역에 분포된 UE들에게 해당 subframe(SF)에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진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안테나 포트들 중에서 2개는 영역 1에 있는 UE1에게 PDSCH 전송을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 2개는 영역 2에 있는 UE2에게 PDSCH 전송을 위해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 7의 (b)는 UE1에게 전송되는 PDSCH 1과 UE2에게 전송되는 PDSCH 2가 SDM(Spatial Division Multiplexing)된 예를 나타낸다.
이와 달리, 도 7의 (c)에서와 같이, UE1에게 전송되는 PDSCH 1과 UE2에게 전송되는 PDSCH 2가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모든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한 영역을 서비스 하는 방식과 안테나 포트들을 나누어 여러 영역을 동시에 서비스 하는 방식 중에서 cell throughput을 최대화(maximization)하기 위하여, UE에게 서비스하는 RANK 및 MCS에 따라서 선호되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
또한, 각 UE에게 전송할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도 선호되는 방식이 바뀌게 된다.
기지국은 모든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한 영역을 서비스 할 때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scheduling metric을 계산하고, 안테나 포트를 나누어서 두 영역을 서비스 할 때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scheduling metric을 계산한다.
기지국은 각 방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cell throughput 또는 scheduling metric을 비교하여 최종 전송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SF-by-SF으로 PDSCH 전송에 참여하는 안테나 포트의 개수가 변동되게 된다.
기지국이 안테나 포트의 개수에 따른 PDSCH의 전송 MCS를 계산하고 scheduling 알고리즘에 반영하기 위하여, 이에 적합한 UE로부터의 CSI 피드백이 요구된다.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레거시(legacy) LTE 시스템을 포함한 대부분의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에서, 단말은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을 위한 파일럿 신호(예: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기지국으로 보고(report)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피드백(feedback) 받은 CSI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data) 신호(즉,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이 피드백하는 CSI 정보는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Precoding Matrix Index, PMI),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RI)를 포함한다. 이하, CQI 피드백, PMI 피드백, 및 RI 피드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CQI 피드백은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어떠한 변조 및 부호화 기법(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을 적용할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무선 채널 품질 정보이다.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품질이 높은 경우, 단말은 높은 CQI 값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높은 CQI 값을 피드백 받은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높은 변조 차수(modulation order)와 낮은 채널 코딩 비율(channel coding rate)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달리,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품질이 낮은 경우, 단말은 낮은 CQI 값을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낮은 CQI 값을 피드백 받은 기지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변조 차수와 높은 채널 코딩 비율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PMI 피드백은 기지국이 다중 안테나(multiple-antenna)를 설치한 경우, 어떠한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리코딩 기법(precoding scheme)을 적용할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선호되는 프리코딩 행렬(preferred precoding matrix) 정보이다. 단말은 파일럿 신호로부터 기지국과 단말 간의 하향링크 MIMO 채널을 추정하고, 기지국이 어떠한 MIMO 프리코딩을 적용하면 효율적일 지에 대한 정보를 PMI 피드백을 통해 전달한다. LTE 시스템의 경우, PMI 구성에 있어 행렬 형태로 표현 가능한 선형 MIMO 프리코딩(linear MIMO precoding)만 고려된다.
이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다수의 프리코딩 행렬들로 구성된 코드북(codebook)을 공유하고 있으며, 코드북 내 각각의 MIMO 프리코딩 행렬은 고유의 인덱스(index)를 갖는다. 따라서, 단말은 코드북 내에서 가장 선호하는 MIMO 프리코딩 행렬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PMI를 통해 피드백함에 따라, 단말의 피드백 정보량을 최소화한다. 이 때, PMI 값이 반드시 하나의 인덱스로만 구성될 필요는 없다.
일례로, LTE 시스템에서 송신안테나 포트 수가 8개인 경우, 두 개의 인덱스들(예: W1 및 W2)을 결합하여야만 최종적인 8 전송(tx) MIMO 프리코딩 행렬을 도출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첫 번째 PMI에 해당하는 W1는, 보다 긴 주기(예: 롱 텀(long term))로 피드백되며 광대역(wideband)의 속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으로 wideband PMI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PMI에 해당하는 W2는 보다 짧은 주기(예: 숏 텀(short term))로 피드백되며 서브밴드(subband) 속성을 갖고 있어 subband PMI로 지칭될 수 있다.
이 때, 최종적인 프리코더는 W1과 W2 간의 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W1은 cross-polarization 안테나 환경에서 각 polarization별 빔 그룹을 선택하기 위해 설정되고, W2는 각 polarization에서 최종 빔 선택 및 cross-polarization 간에 위상 결합(co-phasing)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빔 그룹에 속한 빔의 수가 1 개인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W2는 co-phasing 을 위해서만 설정될 수도 있다. 빔 그룹에 속한 빔의 수 및 빔 그룹 선택 시 수직(vertical) 빔과 수평(horizontal) 빔 인덱스 조합의 어떤 패턴을 기준으로 선택할 지에 대하여, 기지국이 코드북 설정 파라미터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RI 피드백은 기지국과 단말이 다중 안테나를 설치하여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을 통한 다중-레이어(multi-layer) 전송이 가능한 경우, 단말이 선호하는 전송 레이어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제공하는 선호하는 전송 레이어 수에 대한 정보이다. 이 때, RI는 PMI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는, 전송 레이어 수에 따라 기지국은 각각의 레이어에 대해 어떠한 프리코딩을 적용해야 하는 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PMI/RI 피드백 구성에 있어, 단일 레이어 전송을 기준으로 PMI 코드북을 구성한 후 레이어 별로 PMI를 정의하여 단말이 피드백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전송 레이어 수의 증가에 따라 PMI/RI 피드백의 정보량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LTE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전송 레이어 수에 따른 PMI 코드북이 정의되어 있다. 즉, R-레이어(R-layer) 전송을 위하여, 크기 Nt x R의 행렬 N개가 코드북 내에 정의된다. 여기에서, R은 레이어의 수, Nt는 송신 안테나 포트 수, N은 코드북의 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LTE 시스템의 경우, 전송 레이어 수에 관계없이 PMI 코드북의 크기가 정의된다. 이 경우, 전송 레이어 수(R)는 프리코딩 행렬(Nt x R 행렬)의 랭크(rank) 값과 일치하게 된다.
또한, LTE 시스템의 FD(full dimension)-MIMO에서는 non-precoded CSI-RS 기반 Class A 동작과 beamformed CSI-RS 기반 Class B 동작이 정의되었다. 여기에서, Class A 동작은 수평 빔포밍(horizontal beamforming)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한 PMI 코드북을 수직 및 수평 빔포밍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Class B 동작은 기존 동작 및 Class A 동작과는 다르게 기지국이 CSI-RS 전송 시(예: DMRS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송) 빔포밍을 적용하여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4 port CSI-RS 자원 A와 4 port CSI-RS 자원 B는, 자원 단위로 서로 다른 방향의 빔포밍이 적용되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두 개의 CSI-RS 자원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자원을 선택한 후, 해당 자원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예: PMI, CQI, RI)를 피드백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SI-RS 자원 선택과 관련된 인덱스는 CRI(CSI-RS resource indicator)로 지칭될 수 있으며, CSI feedback 파라미터로써 다른 채널 상태 정보(예: PMI, CQI, RI)와 함께 피드백될 수 있다.
Class B 동작의 경우 동일 자원 내에 포트 별로 서로 다른 빔포밍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트 선택 코드북(port selection codebook)으로 특정 포트만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포트 결합 코드북(port combining codebook)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eFD-MIMO(enhanced FD-MIMO)에서는 하이브리드 CSI 동작(hybrid CSI operation)으로 지칭되는 기술이 고려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기지국이 CSI-RS를 전송하고, 단말이 CSI 산출 및 피드백하는 2 단계 절차를, i) 기지국이 CSI-RS를 전송하고, ii) 단말이 CSI 산출 및 피드백하고, iii) 기지국이 상기 CSI 피드백 기반으로 CSI-RS를 전송하고, iv) 단말이 CSI 산출 및 피드백하는 4 단계 절차로 확장한 개념이다. 이 때,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메커니즘(mechanism)들이 고려될 수 있다.
먼저, Class A 동작과 Class B 동작이 결합된 형태의 'hybrid CSI mechanism 1'이 고려될 수 있다. 해당 메커니즘의 경우, i) 기지국이 non-precoded CSI-RS 전송하고, ii) 단말이 RI 및 (WB) PMI를 피드백하고, iii) 기지국은 상기 피드백 정보 기준으로 beamformed CSI-RS를 전송하며, iv) 단말은 beamformed CSI-RS에 대한 PMI, RI, CQI를 피드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두 개의 Class B 동작들이 결합된 형태의 'hybrid CSI mechanism 2'이 고려될 수 있다. 해당 메커니즘의 경우, i) 기지국이 다수의 beamformed CSI-RS 자원들을 전송하고, ii) 단말이 CRI를 피드백하며(이를 통해 빔이 선택됨), iii) 기지국은 상기 CRI에 기반하여 beamformed CSI-RS 포트들을 전송하고, iv) 단말은 상기 CSI-RS에 대한 PMI, RI, CQI를 피드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PMI/RI는, 프리코딩 행렬(Nt x R 행렬)의 인덱스 값과 프리코딩 행렬의 랭크 값을 의미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PMI/RI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PMI는 송신단에서 적용 가능한 MIMO 프리코더 중에서 선호하는 MIMO 프리코더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 경우, 프리코더의 형태는 행렬로 표현가능한 선형 프리코더 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RI는 선호하는 전송 레이어 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LTE에서의 RI보다 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CSI 정보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해 생성되거나, 또는 일부 주파수 영역에 대해 생성될 수도 있다. 특히, 광대역 시스템(wideband(또는 broadband) system)에서는 단말 별로 선호하는 일부 주파수 영역(예: 서브밴드(subband))에 대한 CSI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하는 방법이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CSI 정보에 대한 피드백은 상향링크 채널을 통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주기적인(periodic) CSI 피드백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수행되고, 비주기적인(aperiodic) CSI 피드백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수행된다.
PUCCH를 통해 수행되는 주기적인 CSI 피드백에 대한 PUCCH CSI 보고 모드(PUCCH CSI reporting mode)는 표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PUCCH CSI 보고 모드는, 단말이 주기적인 CSI 피드백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말이 어떠한 정보를 피드백해야 하는 지에 대해 모드로 구분한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4
주기적인 CSI 피드백과 달리,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은 기지국이 CSI 피드백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ePDCCH(enhanced PDCCH)와 같은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을 트리거(trigger)한다. LTE 시스템에서 비주기적인 CSI 피드백이 트리거된 경우, 단말이 어떠한 정보를 피드백해야 하는 지에 대한 PUSCH CSI 보고 모드(PUSCH CSI reporting mode)는 표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동작할 PUSCH CSI 보고 모드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즉, 상위 계층 메시지)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5
PUCCH는 PUSCH보다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즉,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이 작으므로, PUCCH의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CSI 정보를 한 번에 전송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PUCCH CSI 보고 모드에 따라 CQI 및 PMI를 전송하는 시점(예: 서브프레임)과 RI를 전송하는 시점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4의 Mode 1-0의 경우, 단말은 특정 PUCCH 전송 시점에서 RI만 전송하고, 다른 PUCCH 전송 시점에서 광대역 CQI(wideband CQI)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PUCCH 보고 유형(PUCCH reporting type)은 특정 PUCCH 전송 시점에 구성되는 CSI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I만 전송하는 보고 유형은 유형 3(type 3)에 해당하고, 광대역 CQI만 전송하는 보고 유형은 유형 3(type 4)에 해당한다. RI에 대한 피드백 주기(feedback period) 및 오프셋(offset) 값과 CQI/PMI에 대한 피드백 주기 및 오프셋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즉,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단말로 지시(또는 설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CSI 피드백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Channel, UCI)에 포함된다.
빔 참조 신호(beam reference signal, BRS)
빔 참조 신호(BRS)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 포트들 p = {0, 1, ..., 7}에서 전송된다.
BRS의 시퀀스 생성과 관련하여, 참조 신호 시퀀스 rl(m)은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2
수학식 2에서, l은 0 내지 13으로, OFDM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c(i)는 의사-랜덤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를 의미하며,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각 OFDM 심볼의 시작에서 수학식 3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3
빔 조정 참조 신호(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또한, 빔 조정 참조 신호(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와 관련하여, 빔 조정 참조 신호는 8 개의 안테나 포트들(p = 600 내지 607)까지의 안테나 포트를 통해 전송된다.
빔 조정 참조 신호의 시퀀스 생성과 관련하여, 참조 신호 rl,ns(m)은 수학식 4와 같이 생성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4
수학식 4에서, ns는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번호를 나타내고, l은 슬롯 내의 OFDM 심볼 번호를 나타낸다. c(n)은 의사-랜덤 시퀀스를 의미하며,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각 OFDM 심볼의 시작에서 수학식 5로 초기화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5
수학식 5에서,
Figure PCTKR2018009103-appb-I000040
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설정된다.
DL 위상 잡음 보상 참조 신호(DL Phase noise compensation reference signal)
xPDSCH(즉, NR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PDSCH)와 연관된 위상 잡음 보상 참조 신호는 DCI 포맷에서의 시그널링을 통해 안테나 포트(들) p = 60 및/또는 p = 61에서 전송된다. 또한, 위상 잡음 보상 참조 신호는 해당 안테나 포트와 연관된 xPDSCH 전송에 대해서만 존재(present) 및/또는 유효(valid)하며, 해당 xPDSCH가 매핑된 물리 자원 블록들 및 심볼들에서만 전송된다. 또한, 위상 잡음 보상 참조 신호는 xPDSCH 할당에 해당하는 모든 심볼들에서 동일하다.
위상 잡음 보상 참조 신호의 시퀀스 생성과 관련하여, 참조 신호 시퀀스 r(m)은 수학식 6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6
수학식 6에서, c(i)는 의사-랜덤 시퀀스를 의미하며, 의사-랜덤 시퀀스 생성기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수학식 7로 초기화된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M000007
수학식 7에서, xPDSCH 전송의 경우, nSCID는 xPDSCH 전송과 관련된 DCI 포맷에 의해 주어지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0으로 설정된다.
또한, 3D-MIMO(3-dimensio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또는 FD-MIMO(Full-dimensio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의 경우, 2 차원 평면 어레이 구조(2-dimensional planar array structure)를 갖는 능동 안테나 시스템(Active Antenna System, AAS)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2 차원 평면 어레이 구조를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다.
2 차원 평면 어레이 구조를 통해, 많은 수의 안테나 요소(antenna element)들이 가능한 기지국 형태의 요소들 내에서 패킹(packing)될 뿐만 아니라, 3 차원 공간에서의 적응적인 빔포밍(adaptive electronic) 능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NR 시스템에서의 CSI 프레임워크 (CSI framework)
NR 시스템의 MIMO 설계와 관련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의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를 위한 CSI 프레임워크(CSI framework)가 고려되고 있다.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CSI 프레임워크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CSI 프레임워크는, 레거시 LTE 시스템에서 CSI 관련 절차가 CSI 프로세스(CSI process)의 형태로만 규정된 것과는 달리,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자원 설정(resource setting), 및 CSI 측정 설정(CSI measurement setting)을 이용하여 CSI 관련 절차를 규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NR 시스템에서는 CSI 관련 절차는 채널 및/또는 자원 상황에 맞추어 보다 유연한(flexible)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NR 시스템에서의 CSI 관련 절차에 대한 설정은, CSI 보고 설정, 자원 설정, 및 CSI 측정 설정 간의 조합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N≥1 개의 CSI 보고 설정들, M≥1 개의 자원 설정들, 및 하나의 CSI 측정 설정으로 CSI 획득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CSI 측정 설정은 N 개의 CSI 보고 설정들과 M 개의 자원 설정들 간의 링크 관계(link)에 대한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자원 설정들은 참조 신호 설정들(RS settings) 및/또는 간섭 측정 설정들(Interference Measurement settings, IM settings)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CSI 프레임워크(CSI framework)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CSI 프레임워크는 보고 설정(Reporting setting)(902), 측정 설정(Measurement setting)(904), 및 자원 설정(Resource setting)(906)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보고 설정은 CSI 보고 설정을 의미하고, 측정 설정은 CSI 측정 설정을 의미하며, 자원 설정은 CSI-RS 자원 설정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CSI-RS 자원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SI 획득(CSI acquisition)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해 이용 가능한 하향링크 참조 신호(DL RS)에 대한 자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보고 설정(902)은 N 개의(N≥1) 보고 설정들(예: Reporting setting n1, Reporting setting n2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원 설정(906)은, M 개의(M≥1) 자원 설정들(예: Resource setting m1, Resource setting m2, Resource setting m3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 자원 설정은 S 개의(S≥1) 자원 집합(resource set)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자원 집합은 K 개의(K≥1) CSI-RS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설정(904)는, 보고 설정과 자원 설정 간의 링크(link) 관계 및 해당 링크에 대해 설정된 측정 유형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측정 설정은 L 개의(L≥1)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 설정은, Reporting setting n1과 Resource setting m1 간의 링크(Link l1) 에 대한 설정 정보, Reporting setting n1과 Resource setting m2 간의 링크(Link l2) 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Link l1 및 Link l2 각각은 채널 측정용 링크 또는 간섭 측정용 링크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Link l1 및/또는 Link l2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또는 다른 용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CSI 측정 설정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SI 보고 설정들이 L1(Layer 1) 또는 L2(Layer 2)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dynamically)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자원 설정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SI-RS 자원 집합들 및 적어도 하나의 CSI-RS 자원 집합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SI-RS 자원들도 L1 또는 L2 시그널링을 통해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CSI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CSI 보고 설정, 자원 설정(즉, CSI-RS 자원 설정), 및 CSI 측정 설정에 대해 살펴본다.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먼저, CSI 보고 설정은 단말이 기지국에 대해 수행할 CSI 보고의 유형, 해당 CSI 보고에 포함되는 정보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보고 설정은,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time-domain behavior type), 주파수 세분성(frequency granularity), 보고될 CSI 파라미터(예: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CSI 유형(예: CSI Type 1 또는 2), 코드북 부분 집합 제한(codebook subset restriction)을 포함하는 코드북 설정, 측정 제한(measurement restriction)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은 비주기적(aperiodic) 동작, 주기적(periodic) 동작, 또는 반-지속적(semi-persistent)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CSI 보고 설정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ing)(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또는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CSI 보고 설정과 관련하여 세 가지 주파수 세분성들로 광대역 보고(wideband reporting), 부분 대역 보고(partial band reporting) 및 서브 대역 보고(subband reporting)이 지원될 수 있다.
자원 설정(resource setting)
다음으로, 자원 설정은 CSI 측정 및 보고를 위해 이용할 자원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설정은,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 RS의 유형(예: NZP CSI-RS(Non-Zero Power CSI-RS), ZP CSI-RS(Zero Power CSI-RS), DMRS 등), K 개의 자원들로 구성된 자원 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자원 설정은 하나 이상의 자원 집합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자원 집합은 하나 이상의 자원들(예: CSI-RS 자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원 설정은 채널 측정 및/또는 간섭 측정을 위한 신호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각 자원 설정은 S 개의 자원 집합(예: CSI-RS 자원 집합)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각 자원 집합에 대한 K 대의 자원들에 대한 설정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자원 집합은 단말에 대해 설정된 모든 CSI-RS 자원들의 풀(pool)로부터 다르게 선택된 집합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각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는, 자원 요소로의 매핑, 포트의 수,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각 자원 설정은 S 개의 CSI-RS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 및/또는 각 CSI-RS 자원에 대해 같거나 작은 수의 포트들의 K 개의 CSI-RS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N-포트 CSI-RS 자원의 CSI-RS RE 매핑 패턴은 동일하거나 더 적은 포트 수(예: 2, 4, 또는 8)의 CSI-RS 자원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SI-RS 매핑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CSI-RS RS 매핑 패턴은 슬롯 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설정 가능한 연속적/비연속적 OFDM 심볼들에 걸칠(span) 수 있다.
이 경우, 자원 설정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반-지속적 자원 설정 또는 주기적 자원 설정의 경우, 주기성(periodicity)은 설정 정보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CSI 측정 설정(CSI measurement setting)
다음으로, CSI 측정 설정은 단말이 CSI 보고를 위하여 특정 CSI 보고 설정과 이에 매핑된 특정 자원 설정에 대해 어떠한 측정을 수행할지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CSI 측정 설정은 CSI 보고 설정과 자원 설정 간의 링크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각 링크(link)에 대한 측정 유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유형은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 간섭 측정(interference measurement),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CSI 측정 설정은, CSI 보고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 자원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 CQI의 경우 기준 전송 방식(reference transmission scheme)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은 L≥1 개의 CSI 측정 설정을 지원할 수 있으며, L 값은 해당 단말의 능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CSI 보고 설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원 설정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CSI 보고 설정이 동일한 자원 설정에 대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CSI 측정 설정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CSI 피드백을 위한 ZP(zero-power) CSI-RS 기반의 간섭 측정이 지원된다. 또한, CSI 피드백을 위한 간섭 측정에 대한 ZP CSI-RS에 기반하는 비주기적 간섭 측정 자원(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 IMR), 반-지속적 IMR, 및 주기적 IMR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CSI 보고 설정, 자원 설정, 및 CSI 측정 설정과 관련하여,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에 따른 합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기적 CSI-RS의 경우(즉, CSI-RS의 전송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반-지속적 CSI 보고는 MAC CE 및/또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활성화(activation)/비활성화(deactivation)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주기적 CSI 보고는 DCI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으며, 다만 이 경우, MAC CE로 설정된 추가적인 시그널링이 필요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반-지속적 CSI-RS의 경우(즉, CSI-RS의 전송이 반-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주기적 CSI 보고는 지원되지 않는다. 반면, 반-지속적 CSI 보고는 MAC-CE 및/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반-지속적 CSI-RS는 MAC-CE 및/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비주기적 CSI 보고는 DCI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으며, 반-지속적 CSI-RS는 MAC-CE 및/또는 DCI에 의해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주기적 CSI-RS의 경우(즉, CSI-RS의 전송이 비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주기적(및 반-지속적) CSI 보고는 지원되지 않는다. 반면, 비주기적 CSI 보고는 DCI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으며, 비주기적 CSI-RS는 DC 및/또는 MAC-CE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 및 합의 사항들을 참고하면, NR 시스템에서는 CSI 보고와 관련하여 세 가지의 시간-영역의 동작 유형들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세 가지의 시간-영역의 동작 유형들은 비주기적(aperiodic) CSI 보고, 반-지속적(semi-persistent) CSI 보고, 및 주기적(periodic) CSI 보고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NR 시스템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빔(beam)과 관련된 보고에 대하여 세 가지의 시간-영역의 동작 유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주기적 CSI 보고는, 트리거링 시에만 단말이 CSI 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지속적 CSI 보고는, 해당 보고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단말이 CSI 보고를 (특정 주기에 따라) 수행하고,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는 CSI 보고를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 CSI 보고는, 단말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설정된 주기 및 시점(예: 슬롯 오프셋(slot offset))에 따라 CSI 보고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CSI 획득(CSI acquisition)시 채널 측정을 위한 하향링크 참조 신호(DL RS)의 경우에도 상술한 세 가지의 시간-영역의 동작 유형들(예: 비주기적 CSI-RS, 반-지속적 CSI-RS, 주기적 CSI-RS)이 지원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빔 관리(beam management)를 위한 DL RS에 대해서도 상술한 세 가지의 시간-영역의 동작 유형들 전부 또는 일부가 지원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빔 관리를 위한 DL RS로 CSI-RS가 고려되지만, 다른 DL 신호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관리를 위한 DL RS는, 이동성 RS(mobility RS), 빔 RS(beam RS),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SS 블록(SS block), DL DMRS(예: PBCH DMRS, PDCCH DMRS) 등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비주기적 CSI-RS는, 트리거링 시에만 단말이 CSI-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지속적 CSI-RS는, 해당 CSI-RS가 활성화되는 경우에는 단말이 CSI-RS에 대한 측정을 (특정 주기에 따라) 수행하고, 비활성화되는 경우에는 CSI-RS에 대한 측정을 중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 CSI-RS는, 단말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설정된 주기 및 시점(예: 슬롯 오프셋(slot offset))에 따라 CSI-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은, CSI 획득(CSI acquisition)시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정하는 간섭 측정 자원(IMR)과 관련하여, ZP CSI-RS 기반의 간섭 측정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섭 측정 자원(IMR)과 관련하여, NZP(non-zero-power) CSI-RS 기반의 간섭 측정 방식 또는 DMRS 기반의 간섭 측정 방식 중 적어도 하나가 지원될 수 있다.
특히, LTE 시스템(즉, 레거시 LTE 시스템)에서는 ZP CSI-RS 기반의 IMR이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된 것과 달리, NR 시스템에서는 동적으로 ZP CSI-RS 기반의 IMR을 설정하는 방식이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P CSI-RS 기반의 비주기적 IMR, 반-지속적 IMR, 및/또는 주기적 IMR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CS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채널 추정(또는 채널 측정), 간섭 추정(또는 간섭 측정), 및 보고에 대해 다양한 시간 영역의 동작 유형들의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보고는, 채널 측정을 위한 비주기적/반-지속적/주기적 NZP CSI-RS 및 간섭 측정을 위한 비주기적/반-지속적/주기적 ZP CSI-RS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지속적 CSI 보고는, 채널 측정을 위한 반-지속적/주기적 NZP CSI-RS 및 간섭 측정을 위한 반-지속적/주기적 ZP CSI-RS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주기적 CSI 보고는, 채널 측정을 위한 주기적 NZP CSI-RS 및 간섭 측정을 위한 주기적 ZP CSI-RS와 함께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B'는, A 또는 B를 의미하며, '/' 간에는 순서를 바꾼 조합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B 및 C/D'는 'A 및 C', 'A 및 D', 'B 및 C', 또는 'B 및 D'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예시들에서, 비주기적 RS 및/또는 IMR(예: 비주기적 NZP CSI-RS 및/또는 비주기적 ZP CSI-RS)은 비주기적 보고에만 이용되고, 반-지속적 RS 및/또는 IMR(예: 반-지속적 NZP CSI-RS 및/또는 반-지속적 ZP CSI-RS)은 비주기적 또는 반-지속적 보고에만 이용되고, 주기적 RS 및/또는 IMR(예: 주기적 NZP CSI-RS 및/또는 주기적 ZP CSI-RS)은 모든 보고에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들(예: 비주기적 RS 및/또는 IMR와 함께 설정된 반-지속적 보고)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RS 및 IMR은 모두 자원 설정(resource setting)에 포함되며, 해당 자원의 용도(예: 채널 추정용, 간섭 추정용)인지는 측정 설정(measurement setting)에서 각 링크에 대한 설정을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비주기적 CSI 보고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 수행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고려될 수 있다.
먼저, 해당 CSI 보고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와 다중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CSI 보고와 상향링크 데이터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없이, 해당 CSI 보고만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들은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뿐만 아니라,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두 종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예: PUCCH)들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두 종류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들은, 각각 짧은 PUCCH(이하, short PUCCH) 및 긴 PUCCH(이하, long PUCCH)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short PUCCH는 시간 축으로는 1 개 또는 2 개의 OFDM 심볼들을 차지하며, 주파수 축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Short PUCCH는 앞서 언급된 Self-contained 슬롯 구조(예: 도 5)에서 주로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DL data)에 대한 빠른 ACK/NACK 피드백(fast ACK/NACK feedback) 용도(또는 목적)로 설계될 수 있다.
반면, long PUCCH는 시간 축으로는 4 개 내지 12 개의 OFDM 심볼들을 차지하며, 주파수 축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PRB들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long PUCCH는 기존의 PUCCH(예: LTE 시스템에서의 PUCCH)와 유사하게 단말 별로 특정 자원을 점유하여 ACK/NACK 및/또는 CSI 피드백 등의 용도로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Long PUCCH의 최소 심볼 수가 4 개인 것은, NR 시스템에서 다양한 슬롯 구조들이 고려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NR 시스템에서 하나의 슬롯에 포함된 OFDM 심볼 수는 14 개 또는 7 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슬롯 구조의 경우에도, 하향링크(DL) 및/또는 상향링크(UL) 용도뿐만 아니라, 하향링크 지배적(DL dominant) 구조 또는 상향링크 지배적(UL dominant)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일례로, 하향링크 지배적 구조는 슬롯 내에 PDCCH, PDSCH와 short PUCCH가 공존하는 구조를 의미하고, 상향링크 지배적 구조는 슬롯 내에 PDCCH와 PUSCH가 공존하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심볼 수를 갖는 short PUCCH 및/또는 long PUCCH에 대해 다수의 포맷(format)들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 포맷 별로 전송할 수 있는 페이로드(payload)의 크기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할 수 있는 최대 단말 수 또는 채널 코딩 방식 등에 따라, 다수의 short PUCCH 포맷들 및/또는 다수의 long PUCCH 포맷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LTE(-A) 시스템에서는 비주기적 CSI 보고(aperiodic CSI reporting) 및 주기적 CSI 보고(periodic CSI reporting)이 지원되며, 단말은 각각 PUSCH 및 PUCCH를 통해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다만, 앞서 언급된 반-지속적 CSI 보고(semi-persistent CSI reporting)은 기존의 LTE(-A) 시스템에서 지원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NR 시스템의 경우,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한 비주기적 CSI 보고, 주기적 CSI 보고, 및 반-지속적 CSI 보고가 고려될 수 있다. 일례로, NR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LTE(-A) 시스템과 같이, NR 시스템에서도 PUSCH의 용도(또는 목적)는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 UL 데이터의 전송만을 위한 PUSCH (이하, 제1 PUSCH 용도)
- UL 데이터의 전송과 CSI 보고를 위한 PUSCH (이하, 제2 PUSCH 용도)
- CSI 보고만을 위한 PUSCH (이하, 제3 PUSCH 용도)
이와 같이, PUSCH의 용도는 해당 채널(즉,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할당된(또는 전달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정보의 유형은, 해당 채널에 CSI 보고가 할당되는지, CSI 보고 및 UL 데이터가 할당되는지, 또는 UL 데이터가 할당되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상기 정보의 유형은 'CSI reporting only type', 'CSI reporting + UL data transmission type', 또는 'UL data transmission only type'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USCH 할당 시, 기지국은 해당 PUSCH의 용도가 상술한 세 가지의 용도들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를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일례로, PUSCH의 용도는, PUSCH 할당을 위한 DCI 포맷 0(DCI format 0)와 DCI 포맷 4(DCI format 4)의 CSI 요청 필드(CSI request field)와 UL MCS 필드(UL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field)의 조합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SI 요청 필드에 의해 비주기적 CSI 보고가 트리거링되고 UL MCS 필드가 'MCS=null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인 경우는, 제3 PUSCH 용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CSI 요청 필드에 의해 비주기적 CSI 보고가 트리거링되고 UL MCS 필드가 특정 MCS를 지시하는 값인 경우는, 제2 PUSCH 용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CSI 요청 필드에 의해 비주기적 CSI 보고가 트리거링되지 않는 경우는, 제1 PUSCH 용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존의 LTE(-A) 시스템의 경우, PUSCH는 DCI 수신 시점부터 고정된 타이밍(timing)에 할당되었다. 예를 들어, 단말이 n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SCH 할당을 위한 DCI를 수신한 경우, 해당 단말은 n+4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PUSCH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NR 시스템의 경우, PUSCH가 할당되는 시점(즉, PUSCH 전송 타이밍)은 DCI 등에 의해 동적으로(dynamically) 지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NR 시스템에서는 보다 유연한(flexible) PUSCH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할당(assignment)과 해당 UL 데이터 전송 간의 타이밍(즉, 타이밍 오프셋)은 다수의 값들 중에서 DCI의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값들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DL 할당과 해당 DL 데이터 전송 간의 타이밍, DL 데이터 수신과 해당 DL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전송 간의 타이밍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NR 시스템에서는, 빠른 CSI 획득(fast CSI acquisition)을 위하여, 보다 유연한 CSI 피드백 타이밍(CSI feedback timing)이 고려될 수 있다.
이 때, CSI 보고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해당 정보의 양 또는 요구되는 산출 시간(computation time) 측면을 고려할 때 매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보고 정보에 PMI가 포함되는지 여부, PMI가 보고될 때의 CSI-RS 안테나 포트 수, 및/또는 코드북 유형(codebook type)에 따라 요구되는 CSI 산출량 및 산출 시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조건에 따라 지원되는 CSI 보고 오프셋 값(또는 해당 값의 범위)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PUSCH 전송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CSI 보고 오프셋 값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서, CSI 보고 오프셋은, 단말이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CSI 보고 오프셋은 슬롯(slot) 단위로 설정(예: 슬롯 오프셋(slot offset))될 수도 있다. 또는, CSI 보고 오프셋은 슬롯 단위 및/또는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들에서는 PUSCH 전송 타이밍 및/또는 PUCCH 전송 타이밍의 설정과 관련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을 고려하는 경우가 가정된다. 여기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은, 단말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은 'Y'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들은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뿐만 아니라, 주기적 CSI 보고 및/또는 반-지속적 CSI 보고에 대해서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PUSCH 전송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CSI 보고 오프셋뿐만 아니라,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는, NR 시스템에서의 PUSCH는 상술한 제1 PUSCH 용도(즉, UL 데이터의 전송만을 위한 PUSCH) 또는 제2 PUSCH 용도(즉, UL 데이터의 전송과 CSI 보고를 위한 PUSCH)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은, 단말이 PUSCH를 통해 UL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PUSCH 용도의 PUSCH를 전송하기 위한 타이밍 오프셋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은 슬롯 단위로 설정(예: 슬롯 오프셋(slot offset))될 수도 있다. 또는, UL 데이터 전송 오프셋은 슬롯 단위 및 심볼 단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은 'Z'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들에서, Z 값의 범위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즉, 상위 계층 메시지)을 통해 설정되며, 실제 적용할 Z 값은 DCI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가 가정된다. 즉, Z에 대한 값들(즉, Z 후보 값들)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고, 해당 값들 중 어느 하나의 값이 DCI에 의해 지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즉, Y) 및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즉, Z)을 고려하여, PUSCH의 세 가지 용도들(즉, 제1 PUSCH 용도, 제2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에 따라 PUSCH 타이밍(즉, PUSCH 전송 타이밍)을 설정 및/또는 지시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이용하여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지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용도의 DCI(이하, UL DCI)를 이용하여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지시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실시 예들은 PUSCH를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다른 상향링크 채널(예: PUCCH, short PUCCH, long PUCCH 등) 또는 하향링크 채널(예: PDCCH, PDSCH)에도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된 것일 뿐,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 예
상술한 제1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의 설정 가능한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및/또는 범위(즉, 최대값)를 용도 별로 따로 설정하거나,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PUSCH 타이밍은 단말이 PUSCH를 전송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예: 슬롯 단위의 시간)을 의미하며, (즉, PUSCH 타이밍 오프셋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때, 제2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최대값, 및/또는 범위에 대한 설정(configuration)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방법들 중 하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 방법 1: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방법
- 방법 2: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설정하는 방법
- 방법 3: 제1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과 별도로 설정하는 방법
- 방법 4: 제1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과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을 결합하여 설정하는 방법
PUSCH가 CSI 피드백 용도로 이용되는 경우(즉, 제2 PUSCH 용도 및/또는 제3 PUSCH 용도),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및/또는 범위는, CSI 피드백 정보의 구성, CSI-RS 안테나 포트 수 등과 관련된 특정 조건에 따라 미리 규정되거나,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CSI 보고 설정 별로 설정되는 경우, 상술한 조건에 따른 최소값 요건을 만족시키는 값(들)에 한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 피드백에 PMI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USCH 타이밍의 슬롯 오프셋 최소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CSI 피드백에 N-port CSI-RS 이하와 관련된 PMI가 포함되고, 서브밴드 PMI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USCH 타이밍의 최소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CSI 피드백에 N-port CSI-RS 이상과 관련된 PMI가 포함되고, 서브밴드 PMI가 포함된 경우, PUSCH 타이밍의 최소값은 '2'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과 관련된 설정은 시스템상으로 정의되거나, 기지국이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해당 설정을 단말에게 전달해줄 수도 있다. 여기에서, 해당 설정은, 조건 자체에 대한 설정 및/또는 각 조건에 해당하는 PUSCH 타이밍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CSI 보고 설정 별로 상술한 최소값 요건을 만족시키는 값들 중에서 특정 값을 선택하여 단말에게 설정해줄 수도 있다.
먼저, 방법 1이 적용되는 경우, 제2 PUSCH 용도와 제3 PUSCH 용도에 대해, 단말은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한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및/또는 범위를 설정(또는 지시) 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방법 2가 적용되는 경우, 제2 PUSCH 용도와 제3 PUSCH 용도에 대해, 단말은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및/또는 범위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을 설정(또는 지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과 관련된 정보는, 설정 가능한 PUSCH 타이밍의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의 천이(shift)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추가/삭제되는 PUSCH 타이밍 값에 대한 정보 등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은,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을 기준으로 K 개의 슬롯 또는 심볼이 더해진 값(즉, K 슬롯 또는 심볼 지연)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은, '타이밍 오프셋 = 0'인 경우를 제외하고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을 따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과 관련된 정보는, CSI 보고 설정에 공통(common)으로 설정되거나, 특정 CSI 보고 설정의 집합(set)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방법 3이 적용되는 경우, PUSCH의 세 가지 용도들에 따라, 단말은, 별도의 PUSCH 타이밍 값, 최소값, 및/또는 범위가 설정(또는 지시) 받을 수 있다.
또한, 방법 2에서의 연관성 정보는 미리 결정된 특정 규칙 및/또는 값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PUSCH 용도로 할당될 수 있는 PUSCH 타이밍 값의 범위 또는 최소 값은, 제1 PUSCH 용도 또는 제3 PUSCH 용도로 할당될 수 있는 PUSCH 타이밍 값의 범위 또는 최소값 대비 미리 설정된 오프셋 값만큼 증가(또는 감소)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오프셋 값은 고정된 슬롯 수(예: 1 슬롯), 고정된 절대 시간(예: 1msec)에 해당하는 슬롯 수, 제1 PUSCH 용도로 설정된 PUSCH 타이밍 값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값(예: 제1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의 최소값) 등일 수 있다.
특히, 방법 4가 적용되는 경우, 제1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과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에 대한 설정의 결합은, 단말 능력(UE capability)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식들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제2 PUSCH 용도를 위한 PUSCH 타이밍의 최소값을, 설정 가능한 Z 값의 최소값과 Y 값의 최소값 중 큰 값으로 결정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 보고 및 UL 데이터 전송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 해당 PUSCH의 전송 타이밍의 최소값은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의 최소값과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의 최소값 중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PUSCH 용도를 위한 PUSCH 타이밍의 최대값은, 설정 가능한 Z 값의 최대값과 Y 값의 최대값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방식에 속하는 단말은, UL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처리(encoding processing)과 CSI 산출 처리(CSI computation processing)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PUSCH 용도를 위한 PUSCH 타이밍의 최소값을, 설정 가능한 Z 값의 최소값과 Y 값의 최소값의 합으로 결정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 보고 및 UL 데이터 전송이 함께 수행되는 경우, 해당 PUSCH의 전송 타이밍의 최소값은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의 최소값과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의 최소값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PUSCH 용도를 위한 PUSCH 타이밍의 최대값은, 설정 가능한 Z 값의 최대값과 Y 값의 최대값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해당 방식에 속하는 단말은, UL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처리과 CSI 산출 처리를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즉, 직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자신의 UL 데이터 및/또는 CSI 산출에 대한 처리 능력을 나타내는 단말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의 경우, CSI 보고에 요구되는 타이밍 오프셋과 UL 데이터의 전송에 요구되는 타이밍 오프셋을 모두 고려하므로, CSI 보고 및 UL 데이터의 전송 중 어느 하나가 드롭(drop)되지 않고 모두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된 PUSCH 용도에 따른 PUSCH 타이밍의 슬롯 오프셋에 대한 설정(또는 정의)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PUSCH 용도에 따라 PUSCH 타이밍의 슬롯 오프셋이 설정(또는 정의)되는 경우가 가정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상술한 바와 같이, NR 시스템의 경우 U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타이밍 오프셋(즉, 제1 PUSCH 용도의 PUSCH 전송을 위한 타이밍 오프셋, Z)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범위 내에서 DCI를 통해 동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이 때, 제2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에 대해서는 다른 시그널링 메커니즘(예: MAC-CE)이 적용될 수 있지만, 제1 PUSCH 용도와 동일한 시그널링 메커니즘(즉, 상위 계층 시그널링과 DCI의 조합)을 공통적으로 이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는, PUSCH는 용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물리 계층 채널(physical layer channel)이며, PUSCH 타이밍(즉, PUSCH 전송 타이밍)과 관련된 DCI의 필드(field)가 정의될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용도에 관계없이 동일한 DCI 필드를 통해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되, 각 DCI 코드 값(DCI code point)이 지시하는 PUSCH 타이밍 값은 PUSCH의 용도에 따라 별도로 설정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동일한 DCI 코드 값이더라도, 해당 코드 값이 지시하는 대상(또는 내용)이 PUSCH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DCI 코드 값은, 상기 DCI 필드가 나타내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해당 DCI 필드가 2 비트로 설정되는 경우, DCI 코드 값은 '00', '01', '10', '11'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PUSCH 용도에 따른 DCI 코드 값과 PUSCH 타이밍 간의 매핑 설정(예: 매핑 표(mapping table))은 시스템 상으로 미리 정의되어 고정적이거나,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예: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매핑 설정을 설정 및/또는 갱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제2 PUSCH 용도에 대한 매핑 설정은, 제1 PUSCH 용도 또는 제3 PUSCH 용도 중 어느 하나의 것을 따르거나, 별도로 설정(또는 지시)될 수도 있다.
아래의 표 6은 PUSCH 용도에 따른 DCI 코드 값과 PUSCH 타이밍 간의 매핑 표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CTKR2018009103-appb-T000006
예를 들어, 단말이 제1 PUSCH 용도의 PUSCH를 할당 받은 경우, 해당 단말이 수신한 PUSCH 타이밍과 관련된 DCI의 필드의 코드 값이 '01'인 것은, 해당 PUSCH에 대한 PUSCH 타이밍 값이 'Z2'로 지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말이 제3 PUSCH 용도의 PUSCH를 할당 받은 경우, 해당 단말이 수신한 PUSCH 타이밍과 관련된 DCI의 필드의 코드 값이 '01'인 것은, 해당 PUSCH에 대한 PUSCH 타이밍 값이 'Y2'로 지시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를 위한 매핑 설정(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매핑 표가 설정되는 경우) 또는 매핑 설정을 통해 지시할 수 있는 PUSCH 타이밍의 범위(예: MAC-CE에 의해 매핑 표가 설정되는 경우)는, 각 CSI 보고 설정마다 별도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 번째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n)에 대해, 제2 PUSCH 용도에서 지원되는 PUSCH 타이밍 값의 범위와 제3 PUSCH 용도에서 지원되는 PUSCH 타이밍 값의 범위가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또는, n 번째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n)에 대해, 제2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과 제3 PUSCH 용도의 PUSCH 타이밍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관련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PUSCH 타이밍의 최소값 및/또는 최대값의 천이 값에 대한 정보, 또는 추가/삭제되는 PUSCH 타이밍 값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 PUSCH 용도 및 제3 PUSCH 용도를 위한 매핑 설정 또는 매핑 설정을 통해 지시할 수 있는 PUSCH 타이밍의 범위는, CSI 피드백 정보의 구성, CSI-RS 안테나 포트 수 등과 관련된 특정 조건에 따라 미리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PUSCH 용도의 PUSCH에서 CSI 피드백에 PMI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는 3 비트(bit) DCI(또는 3 비트 DCI 필드)는, PUSCH 타이밍 오프셋 0 내지 7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3 PUSCH 용도의 PUSCH에서 CSI 피드백에 N-port CSI-RS 이하와 관련된 PMI가 포함되고, 서브밴드 PMI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는 3 비트(bit) DCI(또는 3 비트 DCI 필드)는, PUSCH 타이밍 오프셋 1 내지 8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제3 PUSCH 용도의 PUSCH에서 CSI 피드백에 N-port CSI-RS 이하와 관련된 PMI가 포함되고, 서브밴드 PMI가 포함된 경우,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는 3 비트(bit) DCI(또는 3 비트 DCI 필드)는, PUSCH 타이밍 오프셋 2 내지 9를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PUSCH 용도의 PUSCH에서 CSI 피드백에 PMI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는 3 비트(bit) DCI(또는 3 비트 DCI 필드)는, PUSCH 타이밍 오프셋 1 내지 8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제2 PUSCH 용도의 PUSCH에서 CSI 피드백에 PMI가 포함되는 경우, PUSCH 타이밍을 지시하는 3 비트(bit) DCI(또는 3 비트 DCI 필드)는, PUSCH 타이밍 오프셋 2 내지 9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PUSCH의 용도 및/또는 상술한 특정 조건에 따라, 매핑 설정 또는 매핑 설정을 통해 지시할 수 있는 PUSCH 타이밍의 범위가 별도로 설정 또는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경우, 공통적인 DCI 필드를 이용하여 다양한 PUSCH 용도들의 타이밍을 지시할 수 있으므로, DCI 오버헤드가 적으며,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즉, Y 값)은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즉, Z)을 지시하기 위해 정의된 DCI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UL 데이터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은 k2 값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 경우, Y 값의 후보 집합(candidate set)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며, Y 값에 대한 제한 조건들(restricted conditions)는 CSI 관련 설정들(CSI related settings)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정의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구현 복잡도(UE implementation complexity)를 고려하면, 2 또는 4 개의 CSI-RS 포트를 이용하는 서브밴드 PMI 보고(subband PMI reporting) 및 광대역 PMI 보고(wideband PMI reporting)는 Y 값 0 또는 1에 의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Y 값 0 또는 1에 해당하는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은 2 또는 4 개의 CSI-RS 포트를 이용하는 서브밴드 PMI 보고 및/또는 광대역 PMI 보고에는 적용될 수 없다.
Y 값이 0인 경우에는, (지원 가능하다면) short PUCCH(즉, short duration PUCCH)의 활용이 NR 시스템의 슬롯 구조(slot structure)를 고려할 때 PUSCH 보다 더 적합할 수도 있다.
또한, PUSCH에 대한 CSI 보고의 두 가지 유형(즉, 제3 PUSCH 용도(CSI only), 제2 PUSCH 용도(UL data multiplexed with CSI))에 대해 상술한 작은 Y 값들에 대한 조건들이 분리될 필요가 없도록, 데이터 인코딩(data encoding) 및 CSI 산출(CSI calculation)은 단말 측에서의 병렬 처리 구현으로써 동시에 처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낮은 Y 값(예: 0, 1)에 대한 제한 조건은 CSI가 PU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즉, UL 데이터)와 다중화되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공통적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CSI 보고 설정마다 Y 값들의 후보 집합이 설정될 수 있으며, Y 값의 모든 설정 값(예: Y 값의 모든 RRC 설정 값)들은 미리 정의된 제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CSI 보고와 UL 데이터의 전송이 다중화되는 경우, 단말이 DCI 필드를 해석하는 방법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즉, Y)을 위해 N 개의 값들({y1 내지 yN})이 설정되고, U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요구되는 오프셋(즉, Z 또는 k2)을 위해 (RRC 설정된) N 개의 값들({k1 내지 kN})이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단말이 CSI와 함께 UL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받은 경우 어느 값에 따를 지가 모호할 수 있다.
이러한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CSI 보고 및 UL 데이터의 전송이 다중화될 때, 두 개의 값들의 집합들로부터 DCI 테이블(DCI table)을 생성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구성된 두 개의 값들의 집합들 중 어느 하나를 따르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다만, DCI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두 개의 집합들 모두에 속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일례로, 단말은 (RRC) 설정된 k2값들로부터 DCI 테이블을 해석하고, DCI에 의해 지시되는 값이 설정된 Y값들에 속하지 않으면, 해당 단말은 CSI를 산출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DCI 테이블은 설정된 Y 값들 및 설정된 k2 값들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되거나, 설정된 Y 값들만을 고려하여 설정되거나, 설정된 k2 값들만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설정뿐만 아니라,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설정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 실시 예
또한, 상술한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지시 방식과 유사하게,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지시도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과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모두 DCI(예: UL DCI)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PUSCH 기반의 전송인지 또는 PUCCH 기반의 전송인지 여부는 명시적인 지시자(indicator)를 추가하여 구분하거나, 기존의 필드(예: 자원 할당 필드(Resource Allocation field, RA field))를 이용하여 암시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에 대한 보고 트리거링(reporting triggering)이 수행되었으나 자원 할당 필드를 통해 특정 값(예: 보류된(reserved) 값, NULL 값 등)이 지시되는 경우, 이는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를 지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자원 할당 필드의 존재(즉, 유무)에 따라 DCI 포맷(DCI format)을 다르게 설계하여, PUSCH 기반의 전송과 PUCCH 기반의 전송을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지시되는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도 미리 정의된 Y 값 즉, 미리 정의된 비주기적 CSI 보고 오프셋에 대한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allowed/disallowed condition)을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은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의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은 PUSCH 기준의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은 코드북 유형(codebook type), CSI-RS 포트의 수, CSI 피드백의 컨텐츠(contents)(즉, CSI 피드백되는 정보의 유형)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만약 (DCI를 통해) 지시된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해당 CSI 보고 타이밍이 상술한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제어 채널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을 DCI를 통해 지시 받았으나, 실제로 해당 CSI 보고 타이밍에서 제어 채널을 통한 CSI 보고가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은 단말이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를 위해 할당 받은 PUCCH 자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은 상술한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에 포함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후속하는 PUCCH 자원들 중 가장 이른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지시된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지시된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이 존재 또는 위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은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들 중 지시된 타이밍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지시된 CSI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기지국에 의한 CSI 보고 트리거링(CSI reporting triggering)에 대한 명령(command) 또는 지시를 무시하고, 다음 지시를 기다리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지시된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이 존재 또는 위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은 지시된 CSI 보고를 수행하지 않고, 다음 CSI 보고 지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후속하는 PUCCH 자원들 중 가장 이른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상황에 전송하기로 미리 설정된(또는 약속된) 특정 값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지시된 타이밍에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이 존재 또는 위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단말은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들 중 지시된 타이밍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미리 설정된 특정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미리 설정된 특정 값으로 NULL 값, 이전 CSI 보고 값, 가장 낮은 CQI 값, 실패 메시지(fault message)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세 가지 방법들은 앞서 언급된 허용 또는 비허용 조건, PUCCH 유형(예: long PUCCH, short PUCCH), PUCCH 포맷(예: PUCCH format 1, PUCCH format 2 등), PUCCH 자원(예: PRB 크기 등)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설정과 관련하여, 해당 타이밍 및/또는 해당 타이밍의 범위(range)가 PUCCH 유형(예: long PUCCH, short PUCCH), PUCCH 포맷(예: PUCCH format 1, PUCCH format 2 등), PUCCH의 자원 영역 상의 위치 및/또는 PUCCH에 대한 PRB 크기에 따라 미리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는 경우,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MAC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 DCI)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R 시스템에서는 1 심볼 내지 2 심볼로 구성된 short PUCCH 유형(즉, short duration PUCCH 유형)과 4 심볼 내지 12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 유형(즉, long duration PUCCH 유형)이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NR 시스템에서는 PUCCH 유형, PUCCH에 할당된 심볼의 수 및/또는 PRB 크기 등에 따라 보고 가능한 CSI 피드백 정보의 구성이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hort PUCCH에서는 광대역 CSI(wideband CSI)만 보고 가능하도록 설정되고, long PUCCH에서는 광대역 CSI뿐만 아니라 서브밴드 CSI(subband)도 보고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PUCCH 포맷에 따라 전송 가능한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가 다르게 설정되므로,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이라 하더라도 지원 가능한 CSI 정보의 구성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슬롯 내에서 PUCCH 심볼의 위치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동일한 CSI 피드백 정보라 하더라도 PUCCH 시작 심볼(PUCCH starting symbol)의 위치에 따라 CSI 보고 타이밍의 오프셋이 다르게 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PUCCH 유형, PUCCH에 할당된 심볼 수, PUCCH 포맷, PUCCH의 자원 영역 상의 위치 및/또는 PUCCH에 대한 PRB 크기를 고려하여,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 또는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범위가 설정(또는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을 통해, CSI 보고 타이밍 지시를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범위가 설정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범위 내에서 특정 하나의 값을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MAC 계층 시그널링(즉, MAC-CE)) 및/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 DCI)를 통해 지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비주기적 CSI 보고 타이밍의 범위를 설정 받은 경우, 단말은 해당 범위 내에서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들 중 특정 자원(예: 첫 번째 자원, 단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자원)을 통해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에 대한 트리거링을 DCI(특히, UL DCI)로 지시하는 경우, PUS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과 PUC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 간의 오프셋 값(또는 오프셋 정보)를 지시 및/또는 설정하는 방법이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여기에서, PUS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 및/또는 PUC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 각각은 특정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는 오프셋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L DCI에 포함된 PUS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을 지시하는 DCI 필드가 PUC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을 함께 지시하는 경우, PUS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즉, PUSCH timing offset)과 PUC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PUCCH timing offset) 간의 차이 값에 대한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이 값은 특정 값(예: +1 슬롯, -1 슬롯 등)으로 미리 정의되거나, 기지국에 의해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 시그널링, MAC 계층 시그널링(MAC-CE))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차이 값의 집합(또는 후보 값들)이 설정되는 경우, 이들 중 특정 값이 별도의 DCI 필드(DCI field)(예: 1, 2 비트)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데이터 전송 용도(즉, 제1 PUSCH 용도)의 PUSCH 전송 타이밍(또는 PUSCH timing offset)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0, 1, 2, 3}으로 설정되는 경우, 이 중 하나의 값이 2 비트의 DCI로 지시될 수 있다. 이 때, 정의 또는 설정된 슬롯 타이밍 오프셋의 값 즉, PUS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과 PUCCH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 간의 차이 값이 1 슬롯으로 설정 또는 지시되는 경우, 단말은 PUCCH 기반의 CSI 보고 시에 이용할 슬롯 오프셋 값을 {1, 2, 3, 4}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때, UL DCI에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의 트리거링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가 온(ON)되고 PUSCH 전송 타이밍(즉, PUSCH 전송을 위한 슬롯 오프셋)으로 1 슬롯으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DCI를 수신한 슬롯을 기준으로 1 슬롯 이후에 PUSCH를 통해 UL 데이터 전송 및/또는 CSI 보고를 수행하고, 2 슬롯 이후에 PUCCH를 통해 CSI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PUSCH 및 PUCCH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자원은 UL DCI에 포함된 자원 할당 필드(RA field)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이와 관련하여, UL DCI에 존재하는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필드(예: PUSCH 시간 자원 할당 필드)는 PUCCH에 대한 자원 할당(예: PUCCH 시간 자원 할당)을 위해 재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해당 필드 값을 PUCCH 자원 할당 용도로 해석하기 위하여, PUSCH의 경우와는 별개로 설정된 표(table)를 이용하거나, PUCCH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해 미리 정의된 규칙 또는 수식을 이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해당 필드(즉, PUSCH 자원 할당을 위한 필드)에 의해 PUCCH의 시간 영역상의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 이는 PUCCH에 대한 슬롯(slot) 단위의 타이밍만을 지시 또는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슬롯 내에서의 구체적인 PUCCH 심볼 위치(PUCCH symbol location) 및/또는 구간(duration)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과 같은 별도의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 또는 지시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과 같이 UL DCI를 통해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와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가 동시에 트리거링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앞서 제안한 자원 할당 필드의 특정 값(예: 보류된 값, NULL 값 등)을 통해 암시적으로 PUSCH 기반 전송과 PUCCH 기반 전송을 구분하는 방법은 유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비주기적 CSI 보고 트리거링 필드에 PUSCH 기반 전송과 PUCCH 기반 전송을 구분하는 지시자가 포함되어 자원 할당 필드가 구성되는 경우, PUSCH에 피기백(piggyback)(또는 다중화)하여 CSI 보고를 수행할 지 또는 자원 할당 필드가 지정하는 PUSCH에는 UL 데이터를 전송하고 PUCCH를 통해 CSI 보고를 수행할 지가 구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시자는 보고 설정 지시자(reporting setting indicator)(또는 보고 설정 유형 지시자(reporting setting type indicator))에 의해 암시적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주기적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보고 설정들(reporting settings)이 예: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경우, 각 보고 설정마다 (특정 유형의 지시자를 통해) PUSCH 기반 전송인지 또는 PUCCH 기반 전송인지가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이 보고 설정 식별자(reporting setting ID)(또는 보고 설정 유형 식별자)를 DCI 및/또는 MAC-CE를 통해 동적으로 지시하면, 이에 따라 단말은 비주기적 CSI 보고 트리거링에 대한 DCI 필드를 PUSCH 기반인 경우 또는 PUCCH 기반인 경우로 구분하여 해석할 수 있다.
또는, PUCCH 기반의 비주기적(또는 반-지속적) CSI 보고를 지시하는 경우에는 UL 자원 할당 필드가 필요 없으므로 DL DCI로 지시하고, PUSCH 기반의 비주기적(또는 반-지속적) CSI 보고를 지시하는 경우에만 UL DCI로 지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UL DCI뿐만 아니라, DL DCI에도 비주기적 CSI 보고의 트리거링을 지시하기 위한 DCI 필드가 규정될 수 있다. DL DCI를 통해 CSI 보고의 트리거링이 지시되는 경우, 자원 할당 필드 또는 별도의 필드를 통해 PUCCH 자원이 동적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L DCI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의 트리거링이 온(ON)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은 자원 할당 필드를 PUCCH 자원들(예: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계층 시그널링으로 미리 설정된 PUCCH 자원들) 중에 특정 자원을 선택하는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DL DCI에서 비주기적 CSI 보고의 트리거링이 오프(OFF)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은 자원 할당 필드를 DL 자원 수신을 위한 PDSCH의 자원 위치에 대한 설정 정보로 해석할 수 있다.
상술한 PUS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와 PUCCH 기반의 비주기적 CSI 보고를 구분하는 방법들은 PUSCH 기반의 반-지속적 CSI 보고와 PUCCH 기반의 반-지속적 CSI 보고를 구분하는 방법에 확장하여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비주기적 CSI 보고의 트리거링에 대한 온(ON)/오프(OFF) 정보는 반-지속적 CSI 보고의 활성화(activation)에 대한 온(ON)/오프(OFF) 정보 및/또는 반-지속적 CSI 보고의 비활성화(deactivation) 또는 해제(release)에 대한 온(ON)/오프(OFF) 정보로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SI)를 보고하는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은 앞서 설명된 제어 채널(예: PUCCH) 기반의 CSI 보고 및/또는 데이터 채널(예: PUSCH)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하도록 구현된 경우가 가정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5 단계). 일례로,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링 지시를 수신하여 수행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일 수 있다.
이 때, 해당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예: 상술한 이용 가능한 PUCCH 자원(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설정 정보는 CSI 보고 설정(CSI reporting setting) 또는 CSI 보고 설정의 서브 집합(sub set)일 수 있으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 등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즉, 상술한 CSI 보고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단계).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예: 상향링크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즉, UL DCI)일 수 있다.
이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지시된 CSI 보고 시점에서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할 수 있다(S1015 단계).
이 때, 상술한 방법과 같이,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CSI 보고 시점이 제어 채널 기반의 전송 또는 데이터 채널 기반의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시된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지시된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CSI를 보고할 수 있다. 또는, 지시된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상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지시된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미리 설정된 특정 값(예: NULL 값 등)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CSI 보고 시점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CSI 보고 시점의 범위는 제어 채널의 유형(type), 제어 채널의 포맷(format),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symbol)의 수, 또는 제어 채널의 물리 자원 블록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siz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와 데이터 채널 기반의 CSI 보고 간의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와 데이터 채널 기반의 CSI 보고 간의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은,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과 데이터 채널 기반의 CSI 보고 타이밍 간의 오프셋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 정보는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에 대한 후보 값들을 더 포함하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지시되는 값은 이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후보 값들은 시간 영역 상의 슬롯 단위(slot unit)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또는 네트워크)(1110)와 단말(1120)을 포함한다.
기지국(1110)는 프로세서(processor, 1111), 메모리(memory, 1112) 및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11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유/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1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12)는 프로세서(11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1113)은 프로세서(1111)와 연결되어, 유/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상기 통신 모듈(1113)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radio frequency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20)은 프로세서(1121), 메모리(1122) 및 통신 모듈(또는 RF부)(11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1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122)는 프로세서(11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 모듈(1123)는 프로세서(11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1112, 1122)는 프로세서(1111, 11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11, 11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10) 및/또는 단말(11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12에서는 앞서 도 11의 단말을 보다 상세히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프로세서(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1210), RF 모듈(RF module)(또는 RF 유닛)(1235), 파워 관리 모듈(power management module)(1205), 안테나(antenna)(1240), 배터리(battery)(1255), 디스플레이(display)(1215), 키패드(keypad)(1220), 메모리(memory)(1230), 심카드(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1225)(이 구성은 선택적임), 스피커(speaker)(1245) 및 마이크로폰(microphone)(1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 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프로세서(12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1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2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30)는 프로세서(12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21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키패드(1220)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로폰(1250)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21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1225) 또는 메모리(12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215)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RF 모듈(1235)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21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RF 모듈(1235)에 전달한다. RF 모듈(1235)은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하여 수신기(receiver) 및 전송기(transmitter)로 구성된다. 안테나(12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RF 모듈(1235)은 프로세서(121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245)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은 3GPP LTE/LTE-A 시스템, 5G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timing)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eference Signal,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control channel resourc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링(triggering) 지시를 수신하여 수행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aperiodic CSI repor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CSI 보고 시점이 제어 채널 기반의 전송 또는 데이터 채널 기반의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CSI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상기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보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 어느 하나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들 중에서 상기 CSI 보고 시점 이후에 위치하는 첫 번째 제어 채널 자원을 통해 미리 설정된 특정 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CSI 보고 시점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SI 보고 시점의 범위는, 상기 제어 채널의 유형(type), 상기 제어 채널의 포맷(format), 상기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symbol)의 수, 또는 상기 제어 채널의 물리 자원 블록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siz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와 데이터 채널 기반의 CSI 보고 간의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CSI reporting timing offset)을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에 대한 후보 값(candidate value)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지시되는 CSI 보고 타이밍 오프셋은, 상기 후보 값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값들은, 시간 영역(time domain) 상의 슬롯 단위(slot unit)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SI 보고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보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및
    상기 RF 모듈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제어 채널(control channel)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수행할 CSI 보고 시점(timing)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eference Signal, CSI-RS)에 의해 측정된 CSI를, 상기 CSI 보고 시점에 제어 채널을 통해 보고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설정 정보는,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해 할당된 하나 이상의 제어 채널 자원(control channel resource)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트리거링(triggering) 지시를 수신하여 수행되는 비주기적 CSI 보고(aperiodic CSI report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uplink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CSI 보고 시점이 제어 채널 기반의 전송 또는 데이터 채널 기반의 전송 중 어느 것을 위해 설정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indica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제어 채널 기반의 CSI 보고를 위한 CSI 보고 시점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CSI 보고 시점의 범위는, 상기 제어 채널의 유형(type), 상기 제어 채널의 포맷(format), 상기 제어 채널을 구성하는 심볼(symbol)의 수, 또는 상기 제어 채널의 물리 자원 블록 크기(physical resource block size)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PCT/KR2018/009103 2017-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318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37,727 US11140673B2 (en) 2017-08-09 2018-08-09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2818P 2017-08-09 2017-08-09
US62/542,818 2017-08-09
US201762566537P 2017-10-02 2017-10-02
US62/566,537 2017-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1879A1 true WO2019031879A1 (ko) 2019-02-14

Family

ID=6527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103 WO2019031879A1 (ko) 2017-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40673B2 (ko)
WO (1) WO20190318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047A (zh) * 2020-01-20 2020-06-12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非服务小区的csi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CN114175705A (zh) * 2019-07-22 2022-03-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网络协作通信的信道状态信息的测量和报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9826A (zh) 2016-08-19 2018-03-06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方法以及无线通信系统
EP3787189A1 (en) * 2017-11-09 2021-03-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si transmission with multiple bandwidth parts
EP3841811A1 (en) * 2018-08-21 2021-06-30 IDAC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power control
US11870718B2 (en) * 2019-09-17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Sidelink CSI report transmission methods and conditions
CN114071557A (zh) * 2020-08-06 2022-02-1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动态信道状态信息报告的方法、设备、装置和存储介质
GB2597802A (en) * 2020-08-07 2022-02-09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11743750B2 (en) 2020-10-20 2023-08-29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CSI type II codebook compliance
WO2022204889A1 (zh) * 2021-03-29 2022-10-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测量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3013915A1 (ko) * 2021-08-05 2023-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3780A1 (en) * 2011-10-03 2013-04-04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time offset i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and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US20150207600A1 (en) * 2012-07-31 2015-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periodic channel information in multi cell-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1556A1 (ja) * 2011-08-05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基地局、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CN115426087A (zh) * 2017-03-23 2022-12-02 三星电子株式会社 由终端执行的方法、由基站执行的方法、终端及基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3780A1 (en) * 2011-10-03 2013-04-04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time offset i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and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US20150207600A1 (en) * 2012-07-31 2015-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aperiodic channel information in multi cell-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G ELECTRONICS: "Discussion on CSI timing", RL-1700473, 3GPP TSG RAN WG1 NR AD-HOC MEETING, 10 January 2017 (2017-01-10), Spokane, USA, XP051202897 *
NOKIA: "On the CSI timing relationships", RL-1705992, 3GPP TSG RAN WG1 #88BIS, 24 March 2017 (2017-03-24), Spokane, WA, USA, XP051250812 *
ZTE: "On CSI framework details", 3GPP TSG RAN WG1 NR ADHOC#2 RL-1710187,, 17 June 2017 (2017-06-17), Qingdao, China, XP05130486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5705A (zh) * 2019-07-22 2022-03-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网络协作通信的信道状态信息的测量和报告方法
CN111278047A (zh) * 2020-01-20 2020-06-12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非服务小区的csi的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40673B2 (en) 2021-10-05
US20200178223A1 (en)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441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3097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436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2835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36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9970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6433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9876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9879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1253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370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4767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283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6661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cl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367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107873A1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812837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103562A1 (en) Method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WO201913928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10804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4372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17751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31879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20372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50380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복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43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43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