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7251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7251A1
WO2019027251A1 PCT/KR2018/008740 KR2018008740W WO2019027251A1 WO 2019027251 A1 WO2019027251 A1 WO 2019027251A1 KR 2018008740 W KR2018008740 W KR 2018008740W WO 2019027251 A1 WO2019027251 A1 WO 20190272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et
resource
terminal
uplink transmiss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7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대성
배덕현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35,11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10018B2/en
Priority to CN201880052578.8A priority patent/CN111034321B/zh
Priority to EP18841905.5A priority patent/EP3664556A4/en
Publication of WO20190272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72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using the method.
  •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that take into account improv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s, massive MTC, and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iscussed as well as communication systems that are sensitive to reliability and latency. It can be called new radio access technology (RAT) or new radio (NR).
  • RAT new radio access technology
  • NR new radio
  • the UE does not perform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f there is no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base station that it is ambiguous whether or not the setting of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s properly performed by the UE.
  •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that can be used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can be set. Activation / deactivation of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by one-time signaling.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in which resource set among the plurality of resource sets is used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or deactivating a specific resource set among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and for activating the specific resource set, To perform uplink transmission without a grant.
  •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entity of the specific resource set.
  • the uplink transmission may be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transmission.
  •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may be a scheme in which the UE transmits the PUSCH using resources among resources belonging to the specific resource set, without an uplink grant for scheduling the PUSCH.
  • And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ACK) for the activation information in the response.
  • ACK acknowledgment
  • a sounding reference signal may be transmitted in the response.
  •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 a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may be transmitted in the response.
  • 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 the plurality of resource sets may be set by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signal.
  • RRC radio resource control
  • At least one resource set of the plurality of resource sets may be used for a fallback operation in an RRC reconfiguration period.
  •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use a scrambling or cyclic redundancy check (CRC) masking sequence specific to the particular resource set.
  • CRC cyclic redundancy check
  • a terminal provided in another aspect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signals and a process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ceiver, the processor for activating a particular set of resources among a plurality of sets of resources, Or deactivation of the specific resource, an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activates the specific resource set, performs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resources belonging to the specific resource set.
  • a response is transmitted to a signal for setting (activating / deactivating)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thereby reducing ambiguity as to whether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s set up.
  • the signal for setting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nforms which resource set among the resource sets that can be used for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Ambiguity is also reduced.
  • RRC radio resource control
  • FIG 1 illustrates an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user plane.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 FIG. 4 illustrates a system structure of a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 to which NR is applied.
  •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Figure 5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that may be applied in NR.
  • FIG. 6 illustrates CORESET.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control area and CORESET in NR.
  • FIG. 8 illustrates a carrier bandwidth part newly introduced in NR.
  • Fig. 9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NR.
  • 11 shows an example of signaling between a subscr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for a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operation.
  • FIG. 12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FIG. 13 shows an example of a terminal operation when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are set.
  • FIG. 14 show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 E-UTRAN 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 LTE Long Term Evolution
  • the E-UTRAN includes a base station (BS) 20 that provides a user plane (UE) with a control plane and a user plane.
  • the terminal 10 may be fixed or mobile and may be referred to by other terms such as a mobile station (MS),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mobile terminal (MT) .
  • the base station 20 is a fixed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0 and may be referred to as another term such as an evolved NodeB (eNB),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or the like.
  • eNB evolved NodeB
  • BTS base transceiver system
  • access point or the like.
  • the base stations 20 may be interconnected via an X2 interface.
  • the base station 20 is connected to an S-GW (Serving Gateway) through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and an S1-U through an EPC (Evolved Packet Core) 30, more specifically, an S1-MME through an S1 interface.
  • S-GW Serving Gateway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EPC Evolved Packet Core
  • the EPC 30 is composed of an MME, an S-GW, and a P-GW (Packet Data Network-Gateway).
  • the MME has information o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or the capability of the terminal, and this information is mainly used for managing the mobility of the terminal.
  • the S-GW is a gateway having an E-UTRAN as an end point
  • the P-GW is a gateway having a PDN as an end point.
  • the layers of the radio interface protocol between the UE and the network are classified into L1 (first layer), L1 (second layer), and the like based on the lower three layers of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 a physical layer belonging to a first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using a physical channel, and a physical layer (physical layer)
  • An RRC (Radio Resource Control) layer located at Layer 3 controls the radio resources between the UE and the network. To this end, the RRC layer exchanges RRC messages between the UE and the BS.
  • th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adio protocol architecture for a user plane.
  •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protocol structure for a control plane.
  • the user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transmitting user data
  • the control plane is a protocol stack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 a physical layer provides an information transfer service to an upper layer using a physical channel.
  • the physical layer is connected to a MAC (Medium Access Control) layer, which is an upper layer, through a transport channel.
  • Data is transferred between the MAC layer and the physical layer through the transport channel.
  • the transport channel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the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interface.
  • the physical channel can be modulated by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cheme, and uses time and frequency as radio resources.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the function of the MAC layer includes a mapping between a logical channel and a transport channel and a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into a transport block provided as a physical channel on a transport channel of a MAC SDU (service data unit) belonging to a logical channel.
  • the MAC layer provides a service to a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through a logical channel.
  • RLC Radio Link Control
  • the function of the RLC layer includes 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the RLC SDUs.
  • the RLC layer includes a Transparent Mode (TM), an Unacknowledged Mode (UM), and an Acknowledged Mode (RB) in order to guarantee various QoSs required by a radio bearer (RB) , And AM).
  • AM RLC provides error correction via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 the Radio Resource Control (RRC) layer is defined only in the control plane.
  • the RRC layer is responsible for the control of logical channels, transport channels and physical channels in connection with the configuration, re-configuration and release of radio bearers.
  • RB means a logical path provided by a first layer (PHY layer) and a second layer (MAC layer, RLC layer, PDCP layer)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 UE and a network.
  • the functions of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in the user plane include transmission of user data, header compression and ciphering.
  • the functions of th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layer in the control plane include transmission of control plane data and encryption / integrity protection.
  • the setting of the RB means a process of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radio protocol layer and a channel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and setting each specific parameter and an operation method.
  • RB can be divided into SRB (Signaling RB) and DRB (Data RB).
  • S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RRC message in the control plane
  • DRB is used as a path for transmitting the user data in the user plane.
  • the UE When an RRC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RRC layer of the UE and the RRC layer of the E-UTRAN, the UE is in the RRC connected state, and if not, the UE is in the RRC idle state.
  • the down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network to the terminal includes a BCH (Broadcast Channel)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and a downlink SCH (Shared Channel)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 BCH Broadcast Channel
  • SCH Shared Channel
  • a traffic or control message of a downlink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 it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downlink SCH, or may be transmitted via a separate downlink MCH (Multicast Channel).
  • the uplink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UE to the network includes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for transmitting an initial control message and an uplink SCH (Shared Channel) for transmitting user traffic or control messages.
  • RACH random access channel
  • a logical channel mapped to a transport channel is a 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 a paging control channel (PCCH), a common control channel (CCCH), a 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 a multicast traffic Channel).
  • BCCH broadcast control channel
  • PCCH paging control channel
  • CCCH common control channel
  • MCCH multicast control channel
  • a physical channel is composed of several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and a plurality of sub-carriers in the frequency domain.
  • One sub-fram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the time domain.
  • a resource block is a resource allocation unit,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FDM symbols and a plurality of sub-carriers.
  • each subframe may use specific subcarriers of specific OFDM symbols (e.g., the first OFDM symbol) of the corresponding subframe for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i.e., L1 / L2 control channel.
  • the 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 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 NR new radio
  •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 FIG. 4 illustrates a system structure of a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 to which NR is applied.
  • NG-RAN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 the NG-RAN may include a gNB and / or an eNB that provides a user plane and control plane protocol termination to the terminal.
  • FIG. 4 illustrates a case where only gNB is included.
  • the gNB and the eNB are interconnected by an Xn interface.
  • the gNB and the eNB are connected to the 5G Core Network (5G Core Network: 5GC) via the NG interface.
  • 5G Core Network: 5GC 5G Core Network
  •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 UPF user plane function
  • the gNB supports inter cell inter-cell RRM, RB control, connection mobility control, radio admission control,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provisioning, , Dynamic resource allocation, and the like.
  • AMF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NAS security, idle state mobility handling, and so on.
  • the UPF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mobility anchoring, PDU processing, and the like.
  • Figure 5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that may be applied in NR.
  • the frame may be composed of 10 ms (millisecond) and may include 10 subframes composed of 1 ms.
  • one or a plurality of slots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 subcarrier spacing.
  • the following table illustrates the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 .
  •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number of slots in a frame (N frame, ⁇ slot ), the number of slots in a subframe (N subframe, ⁇ slot ), and the number of symbols in a slot (N slot symb ) according to a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 . .
  • a plurality of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s may be included in the slot.
  • a plurality of OFDM symbols in a slot can be divided into a downlink (denoted by D), a flexible (denoted by X), and an uplink (denoted by U).
  • the format of the slo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ich of the D, X, and U the OFDM symbols in the slot are configured.
  • the following table shows an example of a slot format.
  • the UE may receive the format of the slot through the upper layer signal, set the format of the slot through the DCI, or set the format of the slot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layer signal and the DCI.
  • the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an be composed of one or more control channel elements (CCE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 CCEs control channel elements
  • the PDCCH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resource consisting of 1, 2, 4, 8, or 16 CCEs.
  • the CCE is composed of six resource element groups (REGs).
  • REGs resource element groups
  • One REG is composed of one resource block in the frequency domain and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mbol in the time domain.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 FIG. 6 illustrates CORESET.
  • CORESET is composed of N CORESET RB resource block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N CORESET symb ⁇ ⁇ 1, 2, 3 ⁇ symbols in the time domain.
  • N CORESET RB , N CORESET The symb may b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via an upper layer signal.
  • a plurality of CCEs (or REGs) may be included in the CORESET.
  • the UE can attempt to detect the PDCCH in units of 1, 2, 4, 8, or 16 CCEs in the CORESET.
  • One or a plurality of CCEs capable of attempting to detect a PDCCH may be referred to as a PDCCH.
  • the terminal can set a plurality of CORESETs.
  •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ntional control area and CORESET in NR.
  • the control region 300 in the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g., LTE / LTE-A) is configured over the entire system band used by the base station. All terminals except for some terminals (eMTC / NB-IoT terminal for example) supporting only a narrow band receive radio signals of the entire system band of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properly receive / decode the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I should have been able.
  • All terminals except for some terminals eMTC / NB-IoT terminal for example
  • the CORESETs 301, 302, and 303 may be radio resources for control information that the UE should receive, and may use only a part of the system bandwidth.
  • the base station can assign CORESET to each UE and can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assigned CORESET.
  • the first CORESET 301 may be allocated to the UE 1
  • the second CORESET 302 may be allocated to the second UE
  • the third CORESET 303 may be allocated to the UE 3.
  • the terminal in the NR can receive control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without necessarily receiving the entire system band.
  • CORESET may have a UE-specific CORESET for transmitting UE-specific control information and a common CORESET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common to all UEs.
  • FIG. 8 illustrates a carrier bandwidth part newly introduced in NR.
  • the carrier band portion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a bandwidth portion (BWP).
  • BWP bandwidth portion
  • various numerologies e.g., various subcarrier intervals
  • NR can define a common resource block (CRB) for a given numerology on a given carrier.
  • CRB common resource block
  • the band portion is a set of consecutive physical resource blocks (PRBs) selected from successive subsets of common resource blocks (CRBs) for given numerology on a given carrier.
  • PRBs physical resource blocks
  • CRBs common resource blocks
  • a common resource block can be defined according to a numerology for a certain carrier band, for example, a certain subcarrier interval is used.
  • a common resource block can be indexed (starting from 0) starting from the lowest frequency of the carrier band, and a resource grid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common resource block resource grid) with a common resource block as a unit can be defined .
  • the band portion can be indicated on the basis of a CRB having the lowest index (this is referred to as CRB 0).
  • CRB 0 having the lowest index
  • the CRB 0 having the lowest index may also be referred to as point A.
  • the ith band part can be indicated by N start BWP, i and N size BWP, i .
  • N start BWP, i may indicate the start CRB of the i-th BWP based on CRB 0, and N size BWP, i may indicate the size in the frequency domain of the i-th BWP (e.g., in units of PRB) .
  • PRBs within each BWP may be indexed from zero.
  • a terminal can set up to four downlink band parts in the downlink, but only one downlink band part can be activated at a given time.
  • the UE does not expect to receive PDSCH, PDCCH, CSI-RS, etc. outside the active downlink band portion among the downlink band portions.
  • Each downlink band portion may comprise at least one CORESET.
  • the UE can set up to four uplink band portions in the uplink, but only one uplink band portion can be activated at a given time.
  • the UE does not transmit PUSCH, PUCCH, or the like outside the active uplink band portion among the uplink band portions.
  • the band part (BWP) is a feature that allows a terminal that can not support the above-mentioned wide band to operate.
  • Fig. 9 shows an example of a frame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NR.
  • a structure in which a control channel and a data channel are TDM in one TTI can be considered as one of frame structures for the purpose of minimizing latency.
  • the hatched area indicates a downlink control area
  • the black area indicates an uplink control area.
  • the unmarked area may be used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or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 This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downlink (DL) transmission and uplink (UL) transmission sequentially proceed in one subframe, DL data is transmitted in a subframe, and UL ACK / NACK Can receiv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taken to retransmit the data when a data transmission error occurs, thereby minimizing the latency of the final data transmission.
  • a time gap may be required for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reception mode or from the reception mode to the transmission mode.
  • some OFDM symbols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DL to UL in a self-contained subframe structure may be set as a guard period (GP).
  • the wavelength is shortened so that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can be installed in the same area. That is, a total of 64 (8x8) antenna elements can be installed in a 2-dimension array at 0.5 lambda (wavelength) intervals on a 4 by 4 cm panel with a wavelength of 1 cm in the 30 GHz band. Therefore, in the mmW,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beamforming (BF) gain, thereby increasing the coverage or increasing the throughput.
  • BF beamforming
  • TXRU transceiver unit
  • independent beamforming can be performed for each frequency resource.
  • installing a TXRU on all 100 antenna elements has a problem in terms of cost effectiveness. Therefore, a method of mapping a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to one TXRU and adjusting the direction of a beam with an analog phase shifter is considered.
  • Such an analog beamforming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perform frequency selective beamforming since it can make only one beam direction in all bands.
  • Hybrid beamforming with B TXRUs that are fewer than Q antenna elements in the middle of digital beamforming (Digital BF) and analog beamforming (analog BF) can be considered.
  • Digital BF digital beamforming
  • analog beamforming analog beamforming
  • the UE receives UL grant at time T1 and transmits UL data at time T2.
  • At least one of time resources and frequency resources used for the UL data transmission may be indicated by the UL grant, which indicates that the UL data transmission is scheduled by the UL grant.
  • the time points T1 and T2 may be predetermined, the time point T2 may be indicated by the UL grant, and the time point T2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time point T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plink transmission without an uplink grant. Specifically, when setting (resetting) a resource for UL transmission operating without an UL grant, a physical layer (L1) signaling method for efficiently operating and a physical layer (L1) signaling method for performing an RRC re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the base station sets up a resource set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and can instruct or inform the terminal.
  • the terminal can start UL transmission without UL grant.
  • Resources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may be established through RRC establishment and / or physical layer (L1) signal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lleviating ambiguity in resource setting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n the above situations.
  •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base station,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terminal,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example, and conversely the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roles of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are opposite) It is apparent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a situation where it is replaced. Also, although the uplink transmission method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he downlink transmission, the side link transmission, and the like.
  • a resource capable of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may be a resource after the L1 signaling is transmitted.
  • L1 signaling can indicate a frequency resource capable of at least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 timing information on the uplink grant and uplink data may be set semi-static or dynamically indicated in the DCI.
  •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ource may be set based on the timing information in the L1 signaling and the L1 signaling.
  • Grant-based UL transmission timing information (whether specific values and / or ranges of values and / or whether they can be dynamically changed or not) can be set independently of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the timing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tting.
  • the resource (GF resource) of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can be set from the slot corresponding to the timing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L1 signal from the time when the L1 signal is received. If semi-static timing is applied, it can be set based on UL grant-to-UL data timing.
  • the scheme may be applied to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and / or modification.
  • a terminal does not always need to transmit a PUSCH in a resource (GF resource)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and may transmit only when there is at least UL traffic. That is, the UE does not transmit the PUSCH in the GF resource, for example, 1) the L1 signal setting the GF resource correctly but not the UL traffic, or 2) Or may not correctly detect the L1 signal that sets the GF resource.
  • GF resource a resource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11 shows an example of signaling between a subscriber station and a base station for a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operation.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L1 signal (for example, an uplink transmission without grant), an L1 signal for setting up a resource / resource set in which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is performed Physical layer signal) (S110).
  • the L1 signal may include, for example, frequency information indicating a frequency that can be used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and timing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whe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is allowed / supported.
  • the terminal transmits a response to the L1 signal to the base station (S12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can send a response signal to the L1 signal.
  • the following i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response signal to the L1 signal for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That is, the steps S120 are implemented.
  • Embodiment 1 The UE can perform HARQ-ACK feedback on the L1 signal for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 the timing of the HARQ-ACK feedback may be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from when the L1 signal is received.
  • the specific time may be equal to the UL grant-to-UL data timing or may be the timing difference between resources for the L1 signal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f the timing is dynamically indicated by the L1 signal, the timing may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 Embodiment 2 There may be a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quest field in the L1 signal for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 the SRS can be used as a response signal to the L1 signal.
  • the time at which the SRS is transmitted may be the initial resource indicated via the L1 signal.
  • the SRS may be transmitted after a certain time (or predefined or signaled by a higher layer and / or set by dynamic indication) from the time the L1 signal is received.
  • Embodiment 3 The L1 signal for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may have a CSI request field, in which case CSI may be used as a response signal to the L1 signal.
  • the UL data may or may not be transmitted from the initial resource, and therefore, the location and method of mapping the CSI may be the same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UL data in order to avoid ambiguity.
  • Embodiment 4 When a terminal receives an L1 signal for activation and / or deactivation, it can transmit a PRACH in response thereto.
  • the scheme may be advantageous in matching uplink synchronization (UL synch) before starting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More specifically, whether the PRACH is transmitted or not can be indicated in the L1 signal.
  • the UE performs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S130).
  • the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resources indicated by the frequency information.
  • FIG. 12 illustrates a method for performing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a terminal receives activation information for activating or deactivation of a specific resource set among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S210), and when the activation information activates the specific resource set , And performs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resources belonging to the specific resource set (S220).
  •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 the acti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identity of the specific resource set.
  • the uplink transmission may be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transmission, and the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by allocating resources of the resources belonging to the specific resource set without the uplink grant scheduling the PUSCH May be used to transmit the PUSCH.
  •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can be set.
  • a base station may set up a resource set for UL transmission for UL SPS and a UL reduction for latency reduction, and may also set a variety of resources according to the amount or characteristics of traffic even in the case of delay reduction.
  • each resource set is set by the RRC setting or the L1 signal without the L1 signal can be specified for each resource set. Then, it can be advantageous especially if the application of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is different.
  • the resource set may be set to the RRC setting method without the L1 signal or the terminal setting based on the L1 signal. In this case, whether to use or no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of the L1 signal.
  • the overhead may be reduced by setting candidate parameters for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through the RRC signal and selecting one of the candidates through the L1 signal.
  • each resource set may support an L1 signal for activation or deactivation.
  • the L1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in the DCI the resource aggregate ID or no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 the L1 signal for activation or deactivation corresponding to each resource set may have different data scrambling and / or cyclic redundancy check (CRC) masking sequence.
  • CRC cyclic redundancy check
  • FIG. 13 shows an example of a terminal operation when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are set.
  • the UE may receive a plurality of resource sets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for example, setting information for setting a first resource set and a second resource set.
  •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using the RRC signal or the L1 signal.
  • a terminal may receive a signal that activates (or deactivates, e.g., activates) a particular resource set, e.g., a first resource set, of the plurality of resource sets.
  • the activation signal may be an L1 signal, and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ecific resource set, for example, the ID of the specific resource set.
  • the UE can perform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through a resource determined by the selection of the UE among the resources belonging to the first resource set.
  • a resource or resource set (GF resource)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can be set only by RRC setting without an L1 signal.
  • a resource set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RRC configuration before UL traffic occurs.
  • RRC configuration before UL traffic occurs.
  • a fallback operation may be required.
  • a resource set to be used for a fallback operation can be set in at least a resource set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a terminal performs transmission without an instruction of a base station, so the base station may need to instruct the terminal whether to use the resource set.
  • the base station may allow the UE to perform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a specific resource set for fallback operation via an L1 signal (e.g., PDCCH and / or PDSCH) before or during RRC re-establishment Or instruct the UE to perform a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a specific resource set (for a fallback operation) via a media access control (MAC) message.
  • L1 signal e.g., PDCCH and / or PDSCH
  • MAC media access control
  • FIG. 14 shows another example of a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the base station transmits RRC settings to the mobile station (S310).
  • the RRC setting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resource set for a grantless UL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for setting a fallback resource set for a fallback operation.
  • the UE can perform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resources in the first resource set (S320).
  • the terminal may request the RRC re-establishment to the base station (S340).
  • the base station first transmits an L1 signal or a media access control (MAC) message indicating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the set of fallback resources to the mobile station (S350). Then, the UE performs the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using the fallback resource set in the RRC reset period (S360).
  • MAC media access control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RRC re-establishment message to the terminal (S370).
  • the RRC reset message may establish / direct a second resource set for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 the MS performs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using resources in the second resource set (S380).
  • the second resource set is a resourc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 characteristic of the changed terminal traffic, so that the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of the terminal becomes more efficient.
  •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 an apparatus 100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transceiver 130.
  • the processor 110 implements the proposed functions, processes and / or methods.
  • the memory 12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driving the processor 110.
  • Transceiver 130 is coupled to processor 110 to transmit and / or receive wireless signals.
  • the device 100 may be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a logic circuit,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 or a converter for converting baseband signals and radio signals.
  • Memory 120 may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memory cards, storage media, and / or other storage devices.
  • Transceiver 130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for 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 the above-described techniques may be implemented with modules (processes, functions, and so on)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 the modul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 the memory 120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processor 110 and may be coupled with the processor 110 in a variety of well known ways.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 또는 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역시 논의되고 있는데, 개선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통신, 매시브 MTC,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을 새로운 RAT(radio access technology) 또는 NR(new radio)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NR과 같은 장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응용 분야에 따라서는 전송 지연을 크게 줄이는 방식에 대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특히,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기존의 상향링크 그랜트 기반의 스케줄링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대신, 단말의 결정에 의해서 상향링크 전송이 시작되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grant-free UL transmission)의 도입도 고려하고 있다.
그런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첫째,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되더라도 단말은 실제 전송할 상향링크 데이터가 없으면 상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기지국 입장에서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설정이 단말에게 제대로 되었는지 여부가 모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집합은 복수개가 설정될 수 있는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활성화/비활성화는 1회적인 시그널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 어느 자원 집합이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에 사용되는지도 모호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셋째,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자원 집합들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와 같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설정하는 경우, 상향링크 트래픽 양/특징 등이 변경되어 상기 자원 집합들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 RRC 재설정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RRC 재설정 과정에서 어떤 자원 집합을 사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지에 대해 단말과 기지국 간에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의 ID (identity)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송은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일 수 있다.
상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은,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들 중 어느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PUSCH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ment)을 상기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운딩 참조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집합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구간에서 폴백(fallback) 동작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집합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물리 계층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특정적인 스크램블링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 시퀀스(masking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제공되는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설정(활성화/비활성화)하는 신호에 대하여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설정 여부에 대해 모호성이 경감된다. 또한,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설정(활성화/비활성화)하는 신호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 집합들 중 어느 자원 집합에 대한 것인지를 알려줌으로써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에 대한 모호성도 경감된다. 또한,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자원 집합들을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와 같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설정하는 경우, RRC 재설정 구간에서는 폴백 동작에 사용되는 자원 집합을 도입/사용하게 함으로써, RRC 재설정 구간에서 사용될 자원 집합에 대한 모호성도 경감된다.
도 1은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는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6은 CORESET을 예시한다.
도 7은 종래의 제어 영역과 NR에서의 CORESET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NR에서 새롭게 도입된 반송파 대역 부분(carrier bandwidth part)을 예시한다.
도 9는 NR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기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1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3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복수의 자원 집합들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기존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2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자원으로 활용한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제어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단말의 RRC 계층과 E-UTRAN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ion)이 확립되면, 단말은 RRC 연결(RRC connected) 상태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아이들(RRC idle) 상태에 있게 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시스템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과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SCH(Shared Channel)이 있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맵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은 시간 영역에서 여러 개의 OFDM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여러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자원블록은 자원 할당 단위로, 복수의 OFDM 심볼들과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OFDM 심볼들(예, 첫번째 OFDM 심볼)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서브프레임 전송의 단위시간이다.
이하, 새로운 무선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 new RAT) 또는 NR(new radio)에 대해 설명한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에 비해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mobile broadband)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시브 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reliability) 및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단말을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확장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커뮤니케이션(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 massive 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을 고려한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해당 기술(technology)을 new RAT 또는 NR이라고 부른다.
도 4는 NR이 적용되는 차세대 무선 접속 네트워크(New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RAN)의 시스템 구조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NG-RAN은, 단말에게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termination)을 제공하는 gNB 및/또는 eN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gNB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gNB 및 eNB는 상호 간에 Xn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다. gNB 및 eNB는 5세대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와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과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UPF(user plane function)과는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gNB는 인터 셀 간의 무선 자원 관리(Inter Cell RRM), 무선 베어러 관리(RB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무선 허용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측정 설정 및 제공(Measurement configuration & Provision),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MF는 NAS 보안, 아이들 상태 이동성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PF는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PDU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NR에서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10 ms (millisecond)로 구성될 수 있고, 1 ms로 구성된 서브프레임 10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에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slot)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표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를 예시한다.
[표 1]
Figure PCTKR2018008740-appb-I000001
다음 표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 μ에 따라, 프레임 내 슬롯 개수(Nframe,μ slot), 서브프레임 내 슬롯 개수(Nsubframe,μ slot), 슬롯 내 심볼 개수(Nslot symb) 등을 예시한다.
[표 2]
Figure PCTKR2018008740-appb-I000002
도 5에서는, μ=0, 1, 2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슬롯 내에는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슬롯 내 복수의 OFDM 심볼들은 하향링크(downlink, D로 표시), 플렉서블(flexible, X로 표시), 상향링크(uplink, U로 표시)로 구분될 수 있다. 슬롯 내 OFDM 심볼들이 상기 D, X, U 중 어떤 것으로 구성되는지에 따라 상기 슬롯의 포맷(format)이 결정될 수 있다.
다음 표는 슬롯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KR2018008740-appb-I000003
Figure PCTKR2018008740-appb-I000004
단말은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슬롯의 포맷을 설정 받거나, DCI를 통해 슬롯의 포맷을 설정 받거나, 상위 계층 신호 및 DCI의 조합에 기반하여 슬롯의 포맷을 설정 받을 수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다음 표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들로 구성될 수 있다.
[표 4]
Figure PCTKR2018008740-appb-I000005
즉, PDCCH는 1, 2, 4, 8 또는 16개의 CCE들로 구성되는 자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CCE는 6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며, 하나의 REG는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자원 블록,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된다.
한편,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이라는 새로운 단위를 도입할 수 있다. 단말은 CORESET에서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CORESET을 예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CORESET은 주파수 영역에서 NCORESET RB 개의 자원 블록들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 NCORESET symb ∈ {1, 2, 3}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NCORESET RB, NCORESET symb 는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 기지국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RESET 내에는 복수의 CCE들(또는 REG들)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CORESET 내에서, 1, 2, 4, 8 또는 16개의 CCE들을 단위로 PDCCH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PDCCH 검출을 시도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CCE들을 PDCCH 후보라 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CORESET들을 설정 받을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제어 영역과 NR에서의 CORESET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예컨대, LTE/LTE-A)에서의 제어 영역(300)은 기지국이 사용하는 시스템 대역 전체에 걸쳐 구성되었다. 좁은 대역만을 지원하는 일부 단말(예를 들어, eMTC/NB-IoT 단말)을 제외한 모든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제어 정보를 제대로 수신/디코딩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지국의 시스템 대역 전체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했다.
반면,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CORESET을 도입하였다. CORESET(301, 302, 303)은 단말이 수신해야 하는 제어정보를 위한 무선 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시스템 대역 전체 대신 일부만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 CORESET을 할당할 수 있으며, 할당한 CORESET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제1 CORESET(301)은 단말 1에게 할당하고, 제2 CORESET (302)는 제2 단말에게 할당하고, 제3 CORESET(303)은 단말 3에게 할당할 수 있다. NR에서의 단말은 시스템 대역 전체를 반드시 수신하지 않더라도 기지국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CORESET에는, 단말 특정적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특정적 CORESET과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인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적 CORESET이 있을 수 있다.
도 8은 NR에서 새롭게 도입된 반송파 대역 부분(carrier bandwidth part)을 예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송파 대역 부분은 간단히 대역 부분(bandwidth part: BWP)으로 약칭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반송파에 대해 다양한 numerology(예컨대, 다양한 부반송파 간격들)가 지원될 수 있다. NR은 주어진 반송파에서 주어진 numerology에 대하여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을 정의할 수 있다.
대역 부분은, 주어진 반송파에서 주어진 numerology에 대한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CRB)들의 연속적인 부분 집합들 중에서 선택된 연속된 물리적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들의 집합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떤 반송파 대역에 대한 numerology 예컨대, 어떤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공통 자원 블록이 정해질 수 있다. 공통 자원 블록은 반송파 대역의 가장 낮은 주파수부터 인덱싱(0부터 시작)될 수 있고, 공통 자원 블록을 단위로 하는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 이를 공통 자원 블록 자원 그리드라 칭할 수 있음)가 정의될 수 있다.
대역 부분은,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RB (이를 CRB 0이라 하자)를 기준으로 지시될 수 있다.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CRB 0을 포인트 A라 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반송파의 주어진 numerology하에서, i번 대역 부분은 Nstart BWP,i 및 Nsize BWP,i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다. Nstart BWP,i 는 CRB 0을 기준으로 i번 BWP의 시작 CRB를 지시할 수 있고, Nsize BWP,i는 i번 BWP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크기를 지시(예컨대, PRB 단위로)할 수 있다. 각 BWP 내의 PRB들은 0부터 인덱싱 될 수 있다. 각 BWP 내의 CRB의 인덱스는 PRB의 인덱스에 맵핑될 수 있다. 예컨대, nCRB = nPRB + Nstart BWP,i와 같이 맵핑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에서 최대 4개의 하향링크 대역 부분을 설정 받을 수 있으나, 주어진 시점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대역 부분만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 대역 부분들 중에서 활성화된 하향링크 대역 부분 외에서는 PDSCH, PDCCH, CSI-RS 등을 수신하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각 하향링크 대역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CORESET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에서 최대 4개의 상향링크 대역 부분을 설정 받을 수 있으나, 주어진 시점에서 하나의 상향링크 대역 부분만 활성화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대역 부분들 중에서 활성화된 상향링크 대역 부분 외에서는 PUSCH, PUCCH 등을 전송하지 않는다.
NR은 종래 시스템에 비해 광대역에서 동작하는데, 모든 단말이 이러한 광대역을 지원하지 못할 수 있다. 대역 부분(BWP)은, 상기 광대역을 지원할 수 없는 단말도 동작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 구조(Self-contained subframe structure)>
도 9는 NR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NR에서는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9와 같이, 하나의 TTI내에,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이 TDM 되는 구조가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의 한가지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9에서 빗금 친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down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상향링크 제어(uplink control) 영역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downlink data; D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uplink data; UL data)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하향링크(DL) 전송과 상향링크(UL)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브프레임(subframe) 내에서 DL data를 보내고, UL ACK/NACK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전송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전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레이턴시(latency)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self-contained subframe) 구조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 과정을 위한 타임 갭(time gap)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셀프 컨테인드 서브프레임(self-contained subframe)구조에서 DL에서 UL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이 보호 구간(guard period; GP)로 설정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1(Analog beamforming #1)>
밀리미터 웨이브(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의 설치가 가능해 진다. 즉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4 by 4 cm의 패널(panel)에 0.5 lambda(파장) 간격으로 2-dimension 배열 형태로 총 64(8x8)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에서는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를 사용하여 빔포밍(beamforming; BF)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 별로 전송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트랜시버 유닛(Transceiver Unit; TXRU)을 가지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beamforming)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를 매핑(mapping)하고 아날로그 페이즈 쉬프터(analog phase shifter)로 빔(beam)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beam)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빔포밍(beamforming)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디지털 빔포밍(Digital BF)과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하이브리드 빔포밍(hybrid BF)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element)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beam의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도 10은 기존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예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T1 시점에서 UL 그랜트를 수신하고, T2 시점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UL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UL 그랜트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는데, 이를 상기 UL 데이터 전송이 상기 UL 그랜트에 의하여 스케줄링된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T1, T2 시점은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상기 UL 그랜트에 의하여 T2 시점이 지시될 수도 있고, T1 시점에 T2 시점이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존의 상향링크 전송과 달리, 상향링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관련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그랜트(UL grant) 없이 동작하는 상향링크 전송(UL transmission)을 위한 자원을 (재)설정할 때,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물리 계층(L1) 시그널링 방법과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구간 동안의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응용 분야에 따라서는 전송 지연(latency)을 크게 줄이는 방식에 대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특히, 상향링크 전송에 있어서는 기존의 방법 즉, UL 그랜트를 기반으로 스케줄링하는 것 대신에 단말의 결정에 의해서 UL 전송이 시작되는 방법 (UL 그랜트 없이 UL 전송이 시작된다는 측면에서 이를, 그랜트-프리 상향링크 전송(grant-free UL transmission) 또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라 칭할 수 있음)의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 집합(resource set)을 설정하고 이를 단말에게 지시 또는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UL 그랜트 없이도 UL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은 RRC 설정 및/또는 물리 계층(L1) 시그널링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L1 신호를 통해서 자원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L1 신호를 단말이 제대로 검출하였는지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단말은 트래픽(traffic)양에 따라서는 해당 L1 시그널링 검출 여부에 관계 없이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단말과 기지국 간에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모호성(ambiguity)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RRC 설정 만으로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을 설정하는 경우, RRC 재설정 구간 동안에 모호성을 회피할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황들에 대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설정 시 모호성을 경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기지국이 지시하는 정보, 기지국 동작, 단말 동작, 혹은 단말이 지시하는 정보 등은 일례에 불과하며, 그 반대(즉, 기지국과 단말의 역할이 반대인 경우) 상황이나 다른 노드로 대체되는 상황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확장되어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향링크 전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하향링크 전송, 사이드링크 전송 등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확장 적용 가능하다.
<L1 시그널링 기반으로 자원 설정 시, 단말의 동작 방법>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자원(이하 GF 자원이라 칭할 수 있음)은 L1 시그널링이 전송된 이후의 자원일 수 있다. 상기에서 L1 시그널링을 통해서는 적어도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주파수 자원을 지시할 수 있다.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1) 하향링크 제어 신호와 하향링크 데이터 그리고/혹은 2) 상향링크 그랜트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타이밍 정보(예를 들어, 상향링크 그랜트와 상향링크 데이터 각각의 시작 지점들 간 타이밍 차이(timing difference) 또는 제어 신호의 마지막 시점으로부터 데이터의 시작 시점간의 타이밍 차이)는 반 정적(semi-static)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동적으로(dynamic) DCI에서 지시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을 지정함에 있어서, 상기 자원이 시작되는 시점은 L1 시그널링과 L1 시그널링 내의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랜트 기반의 UL 전송 시 타이밍 정보(특정 값 그리고/혹은 값의 범위 그리고/혹은 반정적인지 아니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지 여부)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설정에 따라서는 타이밍 정보가 상이할 수도 있다. L1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으로부터 L1 신호가 지시하는 타이밍 정보만큼의 슬롯부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GF 자원)이 설정될 수 있다. 반정적 타이밍이 적용된 경우라면, UL 그랜트-to-UL 데이터 타이밍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활성화(activation) 및/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및/또는 변경(modification)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GF 자원)에서 항상 PUSCH를 전송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UL 트래픽이 있는 경우에만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이 GF 자원에서 PUSCH를 전송하지 않는 것은, 예를 들어, 1) 상기 GF 자원을 설정하는 L1 신호는 제대로 검출하였으나 UL 트래픽이 없는 경우일 수도 있고, 또는 2) (UL 트래픽은 있으나) 상기 GF 자원을 설정하는 L1 신호를 제대로 검출하지 못한 경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단지 GF 자원에서 단말이 PUSCH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만으로는, 상기 단말이 상기 GF 자원을 설정하는 L1 신호를 검출하지 못한 것인지 여부를 기지국은 알 수 없고,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간 모호성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게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설정(예컨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활성화/비활성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자원/자원 집합의 설정)하는 L1 신호(물리 계층 신호)를 전송한다(S110). 상기 L1 신호는 예컨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를 알려주는 주파수 정보,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허용/지원되는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기 L1 신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120). 즉,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상기 L1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보낼 수 있다.
다음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상기 L1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의 보다 구체적인 예이다. 즉, 상기 S120 단계를 구현하는 예들이다.
실시예 1: 단말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에 대하여 HARQ-ACK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다. HARQ-ACK 피드백의 타이밍은 해당 L1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점 이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UL 그랜트-to-UL 데이터 타이밍과 동일할 수도 있고,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L1 신호에 대한 자원 간 타이밍 차이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타이밍이 L1 신호에 의해서 동적으로 지시되는 경우에는 해당 지시에 따라서 타이밍이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2: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요청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SRS를 L1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SRS가 전송되는 시기는 L1 신호를 통해서 지시된 처음 자원일 수 있다. 또는, SRS는 L1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후 (또는 사전에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하여 시그널링된 및/또는 동적 지시에 의해 설정)에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 3: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에는 CSI 요청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CSI를 L1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UL 트래픽에 따라서는 처음 자원부터 UL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모호성(ambiguity)을 피하기 위해서 UL 데이터 유무에 관계없이 CSI가 맵핑되는 위치 및 방법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단말은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PRACH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식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시작함에 있어서 사전에 상향링크 동기(UL synch)를 맞추는데 이득일 수 있다. 좀더 특징적으로 PRACH 전송 여부는 L1 신호에서 지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L1 신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타이밍 정보가 지시하는 시간 후(또는 시간 구간 동안)부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시간 구간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130). 이 때, 상기 주파수 정보가 지시하는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S210)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S220)한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의 ID (identity)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전송은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일 수 있으며, 상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은,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들 중 어느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PUSCH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집합을 복수 개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은 UL SPS와 지연 감소(latency reduction) 목적의 UL 전송을 위해서 각각 자원 집합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지연 감소 목적의 경우에도 트래픽의 양 혹은 특성에 따라서 자원 집합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자원 집합이, L1 신호 없이 RRC 설정에 의하여 설정될지 혹은 L1 신호 기반으로 설정될지는 각각의 자원 집합 별로 지정될 수 있다. 그러면, 특히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어플리케이션이 상이한 경우에 이득일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복수의 자원 집합들이 도입되는 경우에도 자원 집합이 L1 신호 없는 RRC 설정 방식으로 설정될지 혹은 L1 신호 기반으로 설정될지는 단말 특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L1 신호의 신뢰성(reliability)에 따라서 사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복수의 자원 집합들이 L1 신호로 설정/지원된다고 할 때, 만약 단일 L1 신호를 통해 복수의 자원 집합들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할 경우에는 제어 신호의 페이로드 크기가 과도하게 커질 수 있다. 상기 문제를 경감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RRC 신호를 통해 복수의 자원 집합들에 대한 후보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L1 신호를 통해서는 그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오버헤드를 줄일 수도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각각의 자원 집합 별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를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L1 신호는 해당 DCI 내에 자원 집합 ID 혹은 어떤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해 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통해서 해당 L1 신호가 어떤 자원 집합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지 알 수 있다. 또는 자원 집합 별로 이에 대응되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L1 신호는 상이한 데이터 스크램블 및/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 시퀀스(masking sequence)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복수의 자원 집합들이 설정되는 경우, 단말 동작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복수의 자원 집합들, 예컨대, 제1 자원 집합과 제2 자원 집합을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RRC 신호 또는 L1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 특정 자원 집합, 예컨대, 제1 자원 집합을 활성화(또는 비활성화, 여기서는 활성화를 예로 설명)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신호는 L1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알려주는 정보 예컨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제1 자원 집합에 속하는 자원들 중에서 상기 단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 어느 자원을 통해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L1 신호 없이 RRC 설정 기반으로 자원 설정 시 단말 동작 방법>
장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L1 신호 없이 RRC 설정 만으로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또는 자원 집합(GF 자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L 트래픽이 발생하기 전에 RRC 설정의 형태로 자원 집합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트래픽의 양 혹은 특성이 변경됨에 따라, 자원 집합에 대한 변경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변경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과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RRC 재설정 구간 동안에는 단말과 기지국(gNB)간의 자원 집합에 대하여 불일치(misalignment)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단말이 이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기지국과 단말 간에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인식에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폴백 동작(fallback operation)이 요구될 수도 있다. 상기 방식을 위해서는 적어도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집합을 설정함에 있어서 폴백 동작 용도로 활용할 자원 집합을 설정할 수 있다.
폴백 동작 용도의 자원 집합이 설정된 경우라도,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의 경우에는 기지국의 지시 없이 단말이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해당 자원 집합의 사용 여부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해줄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일례로, 기지국은 RRC 재설정을 수행하기 전에 혹은 그 구간 동안에 L1 신호 (예를 들어, PDCCH 및/또는 PDSCH)를 통해서 폴백 동작 용도의 특정 자원 집합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단말이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고,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를 통해서 (폴백 동작 용도의) 특정 자원 집합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단말이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RRC 설정을 단말에게 전송한다(S310). 상기 RRC 설정은, 예컨대, 그랜트 없는 UL 전송을 위한 제1 자원 집합 및 폴백 동작을 위한 폴백 자원 집합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제1 자원 집합 내의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320).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단말의 트래픽의 양 또는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S330).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게 RRC 재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340).
이 경우, 기지국은 폴백 자원 집합을 사용하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지시하는 L1 신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메시지를 먼저 단말에게 전송한다(S350). 그러면, 단말은 RRC 재설정 구간에서는 폴백 자원 집합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360).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 재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370). RRC 재설정 메시지는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제2 자원 집합을 설정/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자원 집합 내의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S380). 제2 자원 집합은, 변경된 단말 트래픽의 양/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자원일 것이므로, 단말의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이 보다 효율적이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장치(100)은 프로세서(processor, 110), 메모리(memory, 120) 및 트랜시버(transceiver, 1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트랜시버(13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장치(100)는 기지국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데이터 처리 장치 및/또는 베이스밴드 신호 및 무선 신호를 상호 변환하는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30)는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10)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의 ID (identit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은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은, 상기 PUSCH를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그랜트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들 중 어느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PUSCH를 전송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에 대한 ACK(acknowledgement)을 상기 응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사운딩 참조 신호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를 상기 응답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신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자원 집합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구간에서 폴백(fallback) 동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집합을 사용하도록 지시하는 물리 계층 신호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특정적인 스크램블링 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 시퀀스(masking sequence)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단말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트랜시버(transceiver);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자원 집합들 중에서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는 활성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정보가 상기 특정 자원 집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특정 자원 집합에 속한 자원을 이용하여 그랜트 없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PCT/KR2018/008740 2017-08-02 2018-08-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90272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35,114 US11310018B2 (en) 2017-08-02 2018-08-01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CN201880052578.8A CN111034321B (zh) 2017-08-02 2018-08-01 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终端
EP18841905.5A EP3664556A4 (en) 2017-08-02 2018-08-01 METHOD OF TRANSMISSION OF AN UPLINK SIGNAL OF A TERMINAL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0552P 2017-08-02 2017-08-02
US62/540,552 201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251A1 true WO2019027251A1 (ko) 2019-02-07

Family

ID=6523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740 WO2019027251A1 (ko) 2017-08-02 2018-08-0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0018B2 (ko)
EP (1) EP3664556A4 (ko)
CN (1) CN111034321B (ko)
WO (1) WO20190272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172A (zh) * 2019-03-27 2020-06-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3862B2 (en) * 2019-07-02 2022-10-25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ed grant resource valid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564A1 (en) * 2015-09-04 2017-03-09 Intel Corporation Grant-less pusch uplin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326B1 (ko) * 2011-07-26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방법 및 기지국
CN104521309B (zh) * 2012-08-02 2018-08-14 Lg 电子株式会社 基于干扰测量发送和接收上行链路信号的方法及其装置
JP6325134B2 (ja) * 2014-02-08 2018-05-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リソースの用途変更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フォールバック(fallback)モードの上りリンク信号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972974B2 (en) * 2015-04-15 2021-04-0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in cellular networks
JP6762303B2 (ja) * 2015-08-31 2020-09-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基地局
US20180035459A1 (en) * 2016-07-29 2018-02-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existence of Grant-Based and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in a Channel
WO2018031620A1 (en) * 2016-08-12 2018-02-15 Intel IP Corporation Uplink grant-free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US11595905B2 (en) * 2017-03-22 2023-02-28 Idac Holdings, Inc. Methods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in new radio (NR) systems
US11122612B2 (en) * 2017-06-15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gical channel mapping to grant fre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564A1 (en) * 2015-09-04 2017-03-09 Intel Corporation Grant-less pusch uplink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G ELECTRONICS: "Discussion o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3GPP DRAFT; R1-1707655 DISCUSSION ON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1, no. Hangzhou, China; 20170514 - 20170519, 6 May 2017 (2017-05-06),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XP051261995 *
NOKIA, ALCATEL-LUCENT SHANGHAI BELL: "On L1 activation for UL grant-free URLLC transmission", 3GPP DRAFT; R1-1708524_L1_ACTIVATION_FINAL,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1, no. Hangzhou; 20170515 - 20170519, 14 May 2017 (2017-05-14),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XP051273716 *
PANASONIC: "Repetition/retransmission of UL grant-free", 3GPP DRAFT; R1-1708115,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1, no. Hangzhou; 20170515 - 20170519, 5 May 2017 (2017-05-05),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XP051261351 *
SAMSUNG: "UE-Common NR-PDCCH Transmission Aspects", 3GPP DRAFT; R1-1707999 UE-GROUP PDCCH - TX,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vol. RAN WG1, no. Hangzhou, China; 20170515 - 20170519, 6 May 2017 (2017-05-06), Mobile Competence Centre ; 650, route des Lucioles ; F-06921 Sophia-Antipolis Cedex ; France, XP05126217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8172A (zh) * 2019-03-27 2020-06-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指示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2190A1 (en) 2020-08-06
EP3664556A1 (en) 2020-06-10
CN111034321A (zh) 2020-04-17
EP3664556A4 (en) 2021-03-10
US11310018B2 (en) 2022-04-19
CN111034321B (zh)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0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with pre-allocated bea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04688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8084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2603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819970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90224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LATERAL LINK TRANSMISSIONS ON MULTIPLE CARRI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74688A1 (ko) 복수의 반송파들이 설정된 단말의 전력 할당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4051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plurality of cells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808467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WO2012008691A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late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WO201713880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확인응답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3048137A2 (ko)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방법 및 장치
WO201814363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랜트 프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9200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816932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12831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랜트 프리 기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199692A1 (ko)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9066326A1 (ko) V2x 시스템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199693A1 (ko) 랜덤 액세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701077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4546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자원 선택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WO2019022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BASED ON ANCHOR CARRI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222257A1 (ko) 다중 전송 기법이 적용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03194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 및 nr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701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ARRIER RESELECTION BASED ON CHANNEL OCCUPANCY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1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41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