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27161A1 -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27161A1
WO2019027161A1 PCT/KR2018/008180 KR2018008180W WO2019027161A1 WO 2019027161 A1 WO2019027161 A1 WO 2019027161A1 KR 2018008180 W KR2018008180 W KR 2018008180W WO 2019027161 A1 WO2019027161 A1 WO 20190271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de
stroller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8180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윤유술
박봉균
정의경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271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2716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44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by providing the operator with a computer generated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vehicle, e.g. virtual reality,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62B5/0076Remotely controll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erein,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an infant/child, as well as the convenience of a guardian who uses the stroller, the stroller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strolle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 a rest driving function, a call function,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 remote control driving function, etc.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guardian, whereby the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infant/child and the guardian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및 이의 구동 방법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모차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영/유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a baby / infant while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baby carriage using the baby carriag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이동 수단의 일종으로서, 유아의 성장과정에서 이동 기능, 유희 도구의 기능 및 취침 보조도구의 기능 등을 제공한다. 이에, 유아의 안전성 및 보호자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유모차들이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Generally, a stroller is a type of moving means for pushing and pulling an infant, and provides a function of a moving function, a play tool, and a sleep aid in the process of infant growth.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functional stroller having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infa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on the market.
기본적으로 유모차는 시트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는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유모차의 주행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한다. 이는 경사지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유모차를 놓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잠재적인 위험으로 작용한다. Basically, the baby carriage is composed of a main body having a seat and a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In such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there is no separate braking device, and when the user stops the driving of the baby carriage, a force should be appli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unning direction. This poses a potential risk of a safety accident if the user misses the stroller due to carelessness on the slope.
반면, 오르막이나 내리막 경사지에서는 평지에 비하여 유모차에 더욱 큰 힘을 들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는 상술한 안전사고의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stroller needs to exert a greater force on the uphill or downhill slope compared to the flat land, which may be another cause of the above-mentioned safety acciden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력 및 제동력을 갖는 전동식 유모차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전동식 유모차는 이동 상태나 이동 환경에 대응하여 보호자가 수동으로 속도와 방향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전동식 유모차의 수동 조작 실수시에는 안전사고로 직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n electric baby stroller having power and braking force.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baby stroller has inconvenience to manually manipulate the speed an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state or the moving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when the electric stroller is manually operated, it is directly connected to a safety accident.
또한, 종래의 전동식 유모차는 단순히 동력을 제공하는 가속 보조 기능만 제공했기 때문에 유모차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보호자가 항상 유모차와 함께 위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충돌 등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시 영/유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동식 유모차의 사용은 더욱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electric baby stroller only provides the acceleration assistance function for providing the pow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caregiver must always be positioned with the baby stroller while using the baby stroller. In the case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collision or the like, the use of the electric baby stroller was inevitably further shrunk because it directly affects infants and young children.
이와 더불어, 종래의 전동식 유모차는 동력을 부가해주는 기능 외에는 보호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기능들이 미비하여, 비싼 가격 대비 만족도를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ic baby stroll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s for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carer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adding the power, so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ensive price can not be raised.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가 선택한 유모차의 주행 모드에 대응되는 다양한 주행 보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와 보호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모차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and a driving method for the baby carriage which are capable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baby / infant and the caregiver by enabling various carrying assistanc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of the baby carriage selected by the caregi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나 패턴을 따라 유모차가 반복해서 자율 주행할 수 있고, 보호자의 호출에 응답해서는 최단거리 경로로 안전하게 보호자에게 자율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oll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troller so that the stroller can autonomously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traveling path or pattern and can autonomously move to the caregiver safely in the shortest distance path in response to a call of the guardian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자가 노동력을 들이지 않아도 유모차가 장애물을 피해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하되, 보호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행할 수 있고, 무선으로 원격 조종이 가능한 유모차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oller and its driving method that can be operated while keeping the distance from the protector constant while allowing the stroller to freely travel without obstacles even when the protector does not apply labor, .
본 발명의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는 보호자가 선택한 주행 모드에 대응되는 주행 보조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 및 조향 제어모듈 등이 주행 제어모듈과 연계 구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모듈은 보호자가 설정한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에 따라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주행 제어모듈에 의해 보호자가 원하는 주행 모드가 수행되도록 지원한다.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 association with the driving control modul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interface module and the steering control module etc. can be operated so that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caregiver can be performed. Here, the interface module generates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set by the guardian, thereby supporting the driving mode desired by the car by the driving control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는 주행 제어모듈에서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주행 모드를 설정하도록 하여, 조향 제어모듈과 유모차 구동모듈에 의해 유모차의 주행이 제어되도록 한다. 특히, 주행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가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나 패턴을 따라 자율 주행되도록 하거나, 보호자 호출에 응답하여 유모차가 자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in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module sets the traveling mode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so that the traveling of the baby carriage is controlled by the steering control module and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module, the stroller is allowed to autonomously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traveling route or pattern, or the stroller can be moved autonomously in response to a guardian call.
또한, 본 발명의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모듈을 이용해 유모차가 장애물을 피해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센싱 모듈의 보호자 감지 기능에 의해 유모차가 보호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주행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보호자가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기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 유모차를 무선으로 조종하여 주행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the baby carriage having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t least one sensing module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self-run while avoiding obstacles. In particular, the sensing module of the sensing module enables the stroller to travel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aregiver. In addition, the protector supports wireless control of the stroller by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보호자가 선택한 주행 모드에 따라 유모차의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 휴식 주행 기능, 호출 기능, 자율 주행 기능,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 등이 수행되도록 하는바, 영/유아와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가속 및 감소 기능 지원시에는 유모차의 주행 상태와 주행 환경 및 장애물 감지 정보에 따라 가속, 감속 및 제동 기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여 영/유아의 안정성은 높이면서도 보호자의 노동력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 the resting driving function, the calling function,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the remote control driving function of the baby carriag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caregi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 particular, when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unctions are supported, the acceleration, deceleration, and braking function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stroller,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infant / child and minimizing the workforce of the protector.
본 발명은 보호자가 직접 유모차를 흔들거나 일정한 패턴으로 유모차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유모차가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나 패턴을 따라 반복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 주행으로 영/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깊은 수면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의 호출시, 유모차가 호출에 응답하여 자율 주행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의 편의사항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roller to repeatedly travel along a predetermined driving route or pattern without automatically shaking the stroller or moving the stroller in a predetermined pattern. These repetitive driving can provide comfort and stability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well as induce deep sleep. In addition, when the caregiver calls, the stroller can freely move and move in response to the call,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가 장애물을 피해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하되, 보호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기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 유모차를 무선 조종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와 보호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며, 유모차의 이용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baby carriage to self-run while avoiding obstacles, and to be able to travel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aregiver,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baby / infant on the baby carria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ntrol the stroller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infant and the caregiver, and further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 of the s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와 그 제어 기기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its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의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행 제어 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travel control modul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모차 구동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shown in FIG. 2. FIG.
도 5는 도 3의 휴식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break driving control unit of FIG.
도 6은 도 3의 호출 응답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all response control section of Fig.
도 7은 도 3의 호출 응답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FIG. 7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of FIG. 3. FIG.
도 8은 도 3의 주행 보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driving assist control unit of Fig.
도 9는 도 3의 자동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automatic drive control section of Fig.
도 10은 도 3의 리모트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remote drive control unit of Fig. 3. Fig.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all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및 이의 구동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와 그 제어 기기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its contro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100)는 보호자의 이동 통신기기(300), 및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유모차(100)는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원격 제어에 따라 주행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 1, the baby carriage 100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of the guardian. Accordingly, the baby carriage 100 performs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
이동 통신기기(300)는 스마트폰 등의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기기(300)는 유모차(100)의 제조사나 통신사 등으로부터 제공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유모차(100)의 주행 보조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may be a tablet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control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stroller 100 by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provided from a manufacturer of the stroller 100 or a communication company.
이동 통신기기(30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보호자의 등록 정보와 유모차(100)의 고유 정보가 매칭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서는 제어 명령이나 제어 신호를 매칭된 유모차(100)로 전송하여, 유모차(100)의 주행 보조 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 통신기기(300)는 유모차(100)와 와이파이(Wi-Fi), 와이다이(Wi-D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 유모차(100)와 5G, LTE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llow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guardian and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stroller 100 to be matched through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aregiver using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command and the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to the matched stroller 100 so that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stroller 100 is controlled. For this purpos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troller 100, such as Wi-Fi, Wi-Di, and Bluetooth. Also, it may perform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5G or LTE with the stroller 100 through the base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이동 통신기기(30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유모차(100)의 다양한 주행 보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옵션 정보를 미리 설정하거나, 다양한 주행 보조 기능(또는, 주행 모드)을 선택해서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유모차(100)의 주행 보조 기능으로는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 영/유아의 휴식을 위한 휴식 주행 기능, 호출 기능, 자율 주행 기능,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 등이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preset op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various driving assist functions of the stroller 100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r can control various driving assist functions (or driving modes) in real time .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s of the baby carriage 100 includ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s, resting function for res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lling functio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remote control driving function.
따라서, 유모차(100)는 보호자가 인터페이스용 버튼으로 직접 설정하거나,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통해 설정한 주행 모드에 따라 주행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 휴식 주행 모드, 호출 모드, 자율 주행 모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 등의 설정에 따라서,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 휴식 주행 기능, 호출 기능, 자율 주행 기능,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 등을 수행한다. 유모차(100)의 주행 보조 기능 및 그 제어 방식은 이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ccordingly, the baby carriage 100 carries out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t by the protector directly through the interface button o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 That is, according to the setting of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mode, break mode, call mode, autonomous mode, remote control mode, etc.,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 break drive function, call function, autonomous drive function, And so on.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baby carriage 100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 및 등록된 유모차(100)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보호자 조작에 따른 제어 명령이나 제어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유모차(100)에 전송한다. 또한, 보호자의 직접적인 버튼 조작에 따라 유모차(100)의 주행 보조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옵션 정보를 미리 설정하거나, 다양한 주행 모드를 선택해서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션 정보는 주행 속도 정보, 장애물 감지시의 제동 속도 정보, 오르막 속도 정보, 내리막 속도 정보, 자율 주행 패턴 정보, 호출시 이동 정보 등을 포함한다.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이동 통신기기(300)의 동시 제어시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우선순위를 두어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한다. The remote controller 20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and ZigBee with the baby carriage 100 set and registered in advance. Thus, the remote controller 2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guardian operation to the stroller 100 by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of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direct button operation of the caregiver, or various driving modes can be selected and controlled in real time. Here, the option information includes driving speed information, braking speed information at the time of detecting an obstacle, uphill speed information, downhill speed information, autonomous travel pattern information, and movement information at the time of call. When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controlled to be prioritized by the remote controller 200.
유모차(100)는 기본적으로 영/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희 도구의 기능 및/또는 취침 보조도구의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유모차(100)는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제어에 따라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 영/유아의 휴식을 위한 휴식 주행 기능, 호출 기능, 자율 주행 기능,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 등을 수행한다. The stroller 100 is basically configured to provide a function of a play tool and / or a function of a sleep aid, while allowing the baby / infant to be pushed, dragged, and moved. In addition, the baby carria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resting driving function for resting the infant or young child, , And remote control driving func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의 구성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baby carriage shown in FIG. 1. FIG.
도 2에 도시된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100)는 통신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주행 제어 모듈(130), 센싱 모듈(150), 조향 제어 모듈(160),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포함한다. 2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n interface module 120, a travel control module 130, a sensing module 150, a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 stroller drive module 150, (170).
통신모듈(110)은 이동 통신기기(300) 및 리모트 컨트롤러(200)와 근거리 및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모듈(110)은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와이다이,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 5G, LTE 등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통신모듈(110)은 이동 통신기기(300) 및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주행 보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11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performs short-range and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Wi-Fi, Wi-Dia, and Bluetooth. Also, it may perform remote radio communication such as 5G and LTE throug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receives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and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ransmits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to the interface module 120.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module 120.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유모차(100)의 손잡이 등 보호자가 인지하기 용이하면서도 버튼들을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통신모듈(110)을 통해 주행 보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반면, 보호자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의 버튼을 조작하여 옵션 정보와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보호자 입력에 따른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자체 생성하기도 한다. The interface module 120 can be configured to be easy to recognize by the protector such as the handle of the baby carriage 100, The interface module 120 receives option information and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tector selects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by operating the button of the interface module 120,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arental input are generated.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보호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주행 모드 선택 신호가 생성되거나,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로(200)부터 주행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주행 모드 선택 신호를 주행 제어모듈(1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행 제어모듈에서 주행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주행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button operation of the protector or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interface module 120 outputs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When the running mode is set in the running control module, information on the set running mod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주행 제어 모듈(130)은 인터페이스 모듈(120)로부터의 옵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주행 모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주행 모드에 따라 유모차(100)의 조향 방향과 주행 속도가 제어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향 제어 모듈(160) 및 유모차 구동모듈(170)로 공급한다. 이때, 주행 제어 모듈(130)은 센싱 모듈(150)의 센싱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반영되도록 하여, 주행 모드에 따른 보조 주행 기능이 수행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 및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The travel control module 130 stores the option information from the interface module 120 in the database 140 and sets the travel mode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and the travel mode selection signal.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stroller 100 according to the set traveling mode and supplied to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At this time,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so that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is reflected in real time so that the auxiliary dr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is performed .
보호자에 의해 선택되는 주행 모드는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 휴식 주행 모드, 호출 모드, 자율 주행 모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가 될 수 있다. 이에, 주행 제어 모듈(130)은 보호자 선택에 따른 주행 모드에 따라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에서는 유모차의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휴식 주행 모드에서는 휴식 주행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호출 모드에서는 유모차 호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자율 주행 모드에서는 자율 주행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고,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에서는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protector may b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mode, a resting driving mode, a calling mode, a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a remote control driving mode.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performs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s of the baby carriage in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modes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caregiver. In the rest mode, the break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call mode, the function of calling the stroller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autonomous running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autonomous running mode, and the remote control running function is executed in the remote control running mode.
센싱 모듈(150)의 경우는 보조 주행 기능이 수행되는 동안, 주행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모차(100)의 전/후 방향 장애물과 보호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전후 방향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행 제어 모듈(130)로 전송한다. 이에, 주행 제어 모듈(130)은 주행 모드에 대응되도록 보조 주행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장애물과 보호자의 위치 정보를 받아 유모차(100)가 장애물이나 보호자와 접촉되지 않도록 자동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nsing module 150, in order to secure driving safety during the auxiliary driving function, the front and rear obstacles of the stroller 100 and the protector position are detected in real time. Then, the back-and-forth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tector are transmitted to the travel control module 130 in real time. Accordingly, while the navigation control module 130 performs the auxiliary driving fun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mode,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may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stacle and the guardian so a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troller 100 from contacting the obstacle or the guardian.
조향 제어 모듈(160)은 유모차(100)의 핸들이나 바퀴 구동축에 구성되어 유모차(100) 바퀴의 조향을 제어한다. 이때, 조향 제어 모듈(160)은 보호자의 직접적인 핸들 제어나, 주행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100) 바퀴의 조향을 제어한다. 이러한 조향 제어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서보 모터와 모터 제어 보드, 및 저행 회전력 전달 축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is configured on the handle of the stroller 100 or on the wheel drive shaft to control the steering of the wheel of the stroller 100. [ At this time,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controls the steering of the wheel of the baby carriage 100 according to the direct steering control of the caregiver o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rvo motor and a motor control board, and a low torque transmission shaft.
유모차 구동모듈(170)은 보호자의 직접적인 제어나, 주행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100)의 가/감속 및 제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에 따라서는 유모차 바퀴에 제동을 걸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모차 구동모듈(170)은 유모차 바퀴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모터, 모터에 전력은 인가하는 배터리부, 모터 제어부. 및 유모차 바퀴에 제동력을 인가하는 제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controls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and braking of the baby carriage 100 according to the direct control of the caregiver o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module 130. Depending on the obstacle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and the protector position information, the braking of the baby carriage wheel may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includes a motor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stroller wheels, a battery for a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motor, and a motor controller. And a braking unit for applying a braking force to the baby carriage wheel.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행 제어 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travel control module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주행 제어 모듈(130)은 주행 모드 설정부(131), 주행 보조 제어부(132), 휴식 주행 제어부(133), 호출 응답 제어부(134), 자율 주행 제어부(135), 및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를 포함한다. 3 includes a driving mode setting section 131, a driving assistance control section 132, a break driving control section 133, a call response control section 134,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section 135, And a travel control unit 136. [
주행 모드 설정부(131)는 인터페이스 모듈(120)로부터 입력되는 옵션 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 휴식 주행 모드, 호출 모드, 자율 주행 모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 등을 설정한다.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sets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mode, the resting driving mode, the calling mode,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remote control driving mod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op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terface module 120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
옵션 정보는 휴식 주행 모드에서의 주행 패턴 정보, 호출 모드에서 호출에 응답하여 유모차(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설정된 이동 경로나 설계 구조, 자율 주행 속도, 장애물 감지 및 회피 민감도 등이 될 수 있다. O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in the resting driving mode, movement path or design structure, autonomous driving speed, obstacle detection and avoidance sensitivity, etc., which are set so that the stroller 100 can be moved in response to a call in the calling mode.
주행 모드 설정부(131)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입력된 옵션 정보들을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선택된 주행 모드에 따라서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 주행 보조 제어부(132), 휴식 주행 제어부(133), 호출 응답 제어부(134), 자율 주행 제어부(135), 및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가 각각 동작하도록 인에이블 시킨다. The traveling mode setting unit 131 stores the op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120 in the database 140. [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the driving assistance control unit 132, the break driving control unit 133,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134,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135, and the remote driving control unit 136, Respectively.
휴식 주행 제어부(133)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휴식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100)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주행되도록 휴식 주행 기능을 수행한다. When the resting driving control unit 133 is set to the resting driving mode i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the resting driving func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stroller 100 travels in a preset pattern.
휴식 주행 제어부(133)는 휴식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주행 패턴 정보를 읽어들여 주행 패턴 정보에 따라 주행 패턴과 주행 속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하여 주행 패턴 정보에 따라 유모차가 패턴 주행되도록 한다. When the break driving mode is set to the break driving mode, the break driving control unit 133 reads the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40 and sets the traveling pattern and the traveling spe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so that the baby carriage runs in a pattern according to the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호출 응답 제어부(134)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 호출 명령을 발생시킨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 위치로 유모차(100)가 이동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When the call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134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unit 130 to move the stroller 100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160) and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주행 보조 제어부(132)는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100)가 주행하는 동안의 유모차(100) 기울기에 따라 유모차(100)가 가속 및 감속될 수 있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The driving assistant controller 132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control module 160 so that the stroller 100 can be accelerated and decelera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oller 100 while the stroller 100 is running And controls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미리 설정된 속도로 유모차(100)가 자율 주행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When the autonomic driving control unit 135 is set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baby carriage 150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can self- And controls the driving module 170.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100)가 주행할 수 있도록 유모차(100)의 조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The remote control unit 136 controls the steering of the stroller 100 such that the stroller 100 can trav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aregiver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when the remote control driving mode is set in the traveling mode setting unit 131. [ Control the spe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모차 구동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FIG. 4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shown in FIG. 2. FIG.
도 4에 도시된 유모차 구동모듈(170)은 바퀴 구동축(173), 적어도 하나의 모터(170), 모터 제어부(170, 제동부(174), 배터리부(176), 충전 커넥터(177)를 포함한다. 4 includes a wheel driving shaft 173, at least one motor 170, a motor control unit 170, a braking unit 174, a battery unit 176, and a charging connector 177 do.
바퀴 구동축(173)은 유모차 바퀴(175)에 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면서도 조향을 전환시킨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모터(170)는 모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바퀴 구동축(173)에 동력을 제공한다. The wheel drive shaft 173 transmits the power and the braking force to the stroller wheel 175 and switches the steering. At this time, at least one motor 170 provides power to the wheel drive shaft 173 under the control of the motor control unit 170.
배터리부(176)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170)에 전력을 제공하게 되고, 반면 제동부(174)는 바퀴 구동축(173)에 제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배터리부(176)는 충전 커텍터(177)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로부터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The battery 176 provides power to at least one motor 170 while the braking unit 174 transmits braking force to the wheel drive shaft 173. The battery unit 176 can charge the external power input through the charging connector 177.
도 5는 도 3의 휴식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break driving control unit of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식 주행 제어부(133)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휴식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100)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주행되도록 휴식 주행 기능을 수행한다. 유모차(100)의 주행 패턴은 옵션 정보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5, the break driving controller 133 performs a break driving func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travels in a predetermined pattern when the rest driving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 The driving pattern of the baby carriage 100 may be preset as option information.
보호자는 인터페이스 모듈(120)이나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주행 패턴 입력 메뉴를 선택하여, 휴식 주행 모드에서의 주행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는 특정 공간에 유모차(100)를 위치시키고, 주행 패턴 입력 메뉴를 선택한 후, 원하는 패턴으로 유모차(100)를 주행시킨다. 만일, 직선 형태로 왕복하게 되면 직선 형태로 왕복하는 주행 패턴이 저장되며, 원형 등의 폐루프 형태로 이동시키면 원형 등의 폐루프 형태로 주행 패턴이 저장된다. 휴식 주행 제어부(133)는 유모차(100)가 이동하는 경로와 속도 및 조향 방향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한다. The protector can select the driving pattern input menu of the interface module 12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o store the driving pattern in the rest driving mode. At this time, the stroller 100 is placed in a specific space, the driving pattern input menu is selected, and the stroller 100 is driven in a desired pattern. If the vehicle travels in a straight line, the traveling pattern that is reciprocated in a straight line is stored. When the vehicle travels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such as a circle, the traveling pattern is stored in a closed loop form such as a circle. The break driving controller 133 stores information on the route, the speed and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0 in the database 140 in real time.
이후, 보호자가 인터페이스 모듈(120)이나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로 휴식 주행 모드를 선택하면, 휴식 주행 제어부(133)는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주행 패턴 정보를 읽어들인다. 그리고 읽어들인 주행 패턴 정보에 따라 주행 패턴과 주행 속도를 설정한 후,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하여 주행 패턴 정보에 따라 유모차가 패턴 주행되도록 한다. Thereafter, if the protector selects the rest mode by the interface module 12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rest / travel controller 133 reads the travel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40 . After setting the traveling pattern and the traveling speed according to the read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are controlled so that the stroller is driven to run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pattern information.
도 6은 도 3의 호출 응답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기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3의 호출 응답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all response control section of Fig. And FIG. 7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of FI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호출 응답 제어부(134)는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100)의 현재 위치와 호출 명령을 발생시킨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유모차(100)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나 리모트 컨트롤러(200) 간의 이동 경로를 설정한다. 이후, 유모차(100)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6 and 7, when the call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131, the call response controller 134 set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troller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determined. And sets a movement path betwee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such that the baby carriage 100 is moved to a plac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located.
구체적으로, 호출 응답 제어부(134)는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 GPS 수신기를 이용해 유모차(100)의 현재 GPS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호출 명령을 발생시킨 이동 통신기기(300)나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GPS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Specifically, when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134 is set to the call mode, the GPS receiver 100 extracts the current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roller 100 using the GPS receiver.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that has generated the paging command request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이어, 호출 응답 제어부(134)는 도 7과 같이, 유모차(100)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간에 최단 거리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를 반영하여,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장애물이 없는 방향으로 유모차(100)를 이동시킨다. 이때의 유모차(100) 이동 경로와 위치 정보들은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하여, 호출 모드 설정시 참조될 수 있도록 한다. 7,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134 set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 And reflects the obstacle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to move the stroller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re is no obstacle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obstacle. At this time, the movement path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roller 100 are stored in the database 140 so that they can be referred to when setting the calling mode.
도 7을 통해서는 유모차(100)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간의 최단 거리 경로로 유모차(100)를 이동시키는 기술만 제시하였지만, 호출 응답 제어부(134)는 맵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는 유모차(100)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각각의 GPS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된 맵 정보나, 맵 지원 서버로부터 수신한 맵 정보에 적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맵 정보에 따라 유모차(100)와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 간에 최단 거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최단 거리 경로가 설정되면, 최단 거리 경로로 유모차(100)를 이동시키되,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를 반영하여,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유모차(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7, only the technique of moving the stroller 100 by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troller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shown. However, the call response control unit 134 may use the map information It is possible. At this time,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roller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may be applied to the map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r the ma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p support server. According to the map informati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can be set. When the shortest path is set,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moved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obstacle by moving the baby carriage 100 through the shortest distance path, reflecting the obstacle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도 8은 도 3의 주행 보조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driving assist control unit of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보조 제어부(132)는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100)가 주행하는 동안의 유모차(100) 기울기에 따라 유모차(100)가 가속되거나 감속될 수 있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8, when the driving assist control unit 132 is set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mode, the stroller 100 may be accelerated or decelera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troller 100 during traveling of the stroller 100 And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so that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is operated.
구체적으로, 주행 보조 제어부(132)는 유모차(100)가 주행하는 동안의 유모차(100) 기울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유모차(100)가 오르막 경사를 주행되는 상태로 판단되면, 옵션 정보로 미리 설정된 속도로 유모차(100)가 주행될 수 있도록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이때는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통해 가속력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vel assist controller 132 detects the change in the inclination of the stroller 100 while the stroller 100 travels in real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by carriage 100 is going to go uphill,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is controlled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driven at a preset speed with op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an acceleration force may be applied through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반면, 유모차(100)가 내리막 경사를 따라 주행하는 상태로 판단되면, 옵션 정보로 미리 설정된 속도로 유모차(100)가 주행될 수 있도록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하여 제동이 걸리도록 한다. 즉, 내리막 경사를 주행할 때는 유모차(100)가 미리 설정된 속도를 유지하도록 제동을 걸어 감속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by carriage 100 is traveling along a downward slope, the baby carriage driving module 170 is controlled to brak the baby carriage 100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driven at a preset speed with option information. That is, when traveling downhill,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braked and decelerated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speed.
도 9는 도 3의 자동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automatic drive control section of Fig.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는 유모차(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20)이나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통해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유모차(100)가 자율 주행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9, the protector can be set to the self-running mode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120 of the baby carriage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 When the self-running mode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autonomic drive controller 135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e module 170 such that the stroller 100 self-runs.
이때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유모차(100)가 미리 설정된 속도로 직진하도록 하되,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유모차(100)가 자율 주행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autonomic drive control unit 135 causes the stroller 100 to travel at a preset speed, and reflects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guardia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so that the stroller 100 can run autonomously.
자율 주행시의 주행 속도는 옵션 정보로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모듈(120)이나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하다. The traveling speed at the time of autonomous traveling can be preset as option information and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using the interface module 12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반면,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센싱 모듈(150)을 통해 유모차(100)와 보호자 간의 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고, 유모차(100)와 보호자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모차(100)의 자율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는 보호자의 이동 속도에 대응하여, 유모차(100)와 보호자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유모차(100)의 주행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135 receives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caregiver in real time through the sensing module 150, and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unit 135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caregiver is kept constant. The driving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the traveling speed of the stroller 100 may be vari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troller 100 and the caregiver is kept constant,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caregiver.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실시간으로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자율 주행 제어부(135)는 기본적으로는 유모차(100)가 직진하도록 자율 주행을 제어하되,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에 따라서는 장애물을 피해서 주행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을 제어한다. The autonomous drive control unit 135 receives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guardia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in real time. The autonomic driving control unit 135 basically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stroller 100 so that the driving control module 160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stroller 100 so that the stroller 100 travels while avoiding obstacles depending on the obstacle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and the protector position information. .
만일, 주행 방향 정면에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위치하게 되면, 우선순위로 제동 신호를 발생시켜 유모차 구동모듈(170)로 전송함으로써, 유모차(100) 주행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If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r an obsta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raking signal is generated in a priority order and transmitted to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to stop the driving of the stroller 100 .
도 10은 도 3의 리모트 주행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remote drive control unit of Fig. 3. Fi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자는 유모차(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20)이나 이동 통신기기(300)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10, the protector can be set to the remote control driving mode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120 of the baby carriage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300, or the remote controller 200. [
이에, 주행 모드 설정부(131)에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한 보호자의 실시간 제어에 따라 유모차(100)가 주행될 수 있도록 유모차(100)의 조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When the remote control 200 is set to the remote control traveling mode by the traveling mode setting unit 131, the remote control unit 136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200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 ≪ / RTI >
보호자는 리모트 컨트롤러(200)를 이용해 유모차(100)의 조향과 속도를 수동으로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리모트 컨트롤러(200)는 유모차(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2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보호자의 제어에 대응되는 조향 제어신호와 속도 제어신호를 유모차(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20)로 전송한다. The guardian can manually control the steering and the speed of the baby carriage 100 in real tim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 The remote controller 200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rface module 120 of the baby carriage 100. And transmits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spee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guardian to the interface module 120 of the baby carriage 100.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는 조향 제어신호와 속도 제어신호를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로 각각 전송하여, 유모차(100)의 주행 방향과 속도가 제어되도록 한다. The remote driving control unit 136 transmits the steering control signal and the speed control signal to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peed of the stroller 100 can be controlled.
이때, 리모트 주행 제어부(136)는 실시간으로 센싱 모듈(150)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에 따라 장애물과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조향 제어 모듈(160)과 유모차 구동모듈(170)을 제어한다. 즉, 주행 방향 정면에 장애물이 감지되거나,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장애물이 위치하게 되면, 우선순위로 제동 신호를 발생시켜 유모차 구동모듈(170)로 전송함으로써, 유모차(100) 주행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emote driving control unit 136 receives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guardia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150 in real time. And controls the steering control module 160 and the stroller drive module 170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obstacle according to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protector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if an obstacle is detected on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r if an obstacle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braking signal is generated in priority order and transmitted to the stroller driving module 170 to stop the driving of the stroller 100 .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자가 선택한 주행 모드에 따라 유모차의 가속 및 감속 지원 기능, 휴식 주행 기능, 호출 기능, 자율 주행 기능, 리모트 컨트롤 주행 기능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영/유아와 보호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속 및 감소 기능 지원시에는 유모차의 주행 상태와 주행 환경 및 장애물 감지 정보에 따라 가속, 감속 및 제동 기능이 자동 제어되도록 하여 보호자의 노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function, the resting driving function, the calling function,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and the remote control driving function of the baby carriag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caregiver. Thus, the convenience of the infant and the caregiver can be increased. In particular, when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function is supported, the acceleration, deceleration, and braking function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stroller, the driving environment, and the obstacle detection information, thereby minimizing the workforce of the carer.
또한, 보호자가 직접 유모차를 흔들거나 일정한 패턴으로 끌어 영/유아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유모차가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나 패턴을 따라 반복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복 주행으로 영/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깊은 수면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의 호출시, 유모차가 호출에 응답하여 자율 주행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의 편의사항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oller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repeatedly along a predetermined driving route or pattern without having to give the infant or baby a comfort by shaking the stroller or dragging the stroller in a certain pattern. These repetitive driving can provide comfort and stability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well as induce deep sleep. In addition, when the caregiver calls, the stroller can freely move and move in response to the call,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
또한, 유모차가 장애물을 피해 자율 주행할 수 있도록 하되, 보호자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주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의 노동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기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 유모차를 무선 조종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와 보호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며, 유모차의 이용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ork force of the caregiver by allowing the stroller to freely travel by avoiding obstacles, while keeping the distance from the carer to be constan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can control the stroller by radio, thereby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young / infant and the caregive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 of the stroller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Claims (12)

  1. 시트가 구비된 본체; A body provided with a sheet;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바퀴부; A wheel unit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to move the main body;
    상기 바퀴부의 주행을 제어하는 구동모듈; A drive module for controlling the running of the wheels;
    이동 통신기기나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주행 보조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An interface module for receiving a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for controlling a traveling assistance function from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a remote controller; And
    상기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주행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주행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And a driving control module for setting the driving mode accor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and controlling the driving module to perform the set driving mode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The interface module
    상기 이동 통신기기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주행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주행 모드 선택 신호를 상기 주행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When the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to the traveling control module,
    상기 주행 제어모듈에서 설정된 주행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set in the driving control module on the display window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3.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 The interface module
    상기 본체의 손잡이와 인접하게 구성되어, 보호자가 버튼을 조작해서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호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 모드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 선택 신호 자체 생성하여 상기 주행 제어모듈로 전송하며, And a protector configured to select a driving mode by operating a button, generating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protecto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to the driving control module,
    상기 이동 통신기기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주행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주행 모드 선택 신호를 상기 주행 제어모듈로 전송하고, When the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traveling mode selection signal to the traveling control module,
    상기 주행 제어모듈에서 설정된 주행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driving mode set in the driving control module on the display window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4.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주행 제어모듈은 The travel control module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의 옵션정보와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 휴식 주행 모드, 호출 모드, 자율 주행 모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주행 모드를 설정하는 주행 모드 설정부; A traveling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traveling mode among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mode, a rest mode, a call mode, an autonomous mode, and a remote control mode according to option information from the interface module and a mode selection signal;
    상기 주행 모드 설정부에서 휴식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주행되도록 하는 휴식 주행 기능을 지원하는 휴식 주행 제어부; 및 A resting driving controller for supporting a resting driving function to allow the stroller to travel in a preset pattern when the resting driving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And
    상기 주행 모드 설정부에서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 호출 명령을 발생시킨 상기 이동 통신기기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되도록 하는 지원하는 호출 응답 제어부를 포함하는 And a call response controller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troller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hat has generated the paging command whe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is set to the calling mode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5.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주행 제어모듈은 The travel control module
    상기 주행 모드 설정부에서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가 주행하는 동안의 유모차 기울기에 따라 가속 및 감속 기능을 지원하는 하는 주행 보조 제어부; A driving assist controller for supporting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aby carriage during driving of the baby carriage whe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is set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mode;
    상기 주행 모드 설정부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센싱 모듈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옵션 정보로 설정된 속도로 유모차가 자율 주행하도록 지원하는 자율 주행 제어부; 및 An autonomic drive controller for supporting the baby carriage to autonomously drive the baby carriage at a speed set as the o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bstacle information and the guardia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whe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is set to the autonomous mode; And
    상기 주행 모드 설정부에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조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리모트 주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And a remote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the speed so that the stroller can trav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guardia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driving mode setting unit is set to the remote control driving mode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6.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전/후 방향의 장애물과 보호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센싱 모듈; 및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in real time an obstacle in a front / back direction and a position of a protector; And
    상기 보호자의 직접적인 제어나, 상기 주행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조향을 제어하는 조향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Further comprising a steer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of the wheels according to the direct control of the protector or th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module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7.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구동모듈은 The drive module
    상기 바퀴부의 바퀴에 동력 및 제동력을 전달하면서도 조향을 전환시키는 바퀴 구동축; A wheel drive shaft for switching the steering while transmitting power and braking force to the wheels of the wheels;
    상기 주행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퀴 구동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At least one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wheel drive shaft under th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module;
    상기 주행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 A mo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module;
    상기 주행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바퀴 구동축에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동부; A braking unit that transmits braking force to the wheel drive shaft under th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modu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부; 및 A battery unit for providing power to the at least one motor; And
    상기 배터리부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커넥터를 포함하는 And a charging connector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battery unit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8. 보호자의 선택에 대응되도록 이동 통신기기나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Generating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lection of the guardian;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기기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Receiving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상기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대응되도록 유모차의 주행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 driving mode of the stroller to correspond to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상기 설정된 주행 모드에 따라 조향 방향과 주행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according to the set traveling mode; And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유모차 바퀴부의 조향 방향과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of the s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9.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호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포함된 버튼을 조작해서 주행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Causing the protector to select a driving mode by operating a button included in the interface module;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선택된 주행 모드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 선택 신호 생성하여 상기 주행 모드를 설정되도록 하는 단계; 및 Generating a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interface module to set the driving mode; And
    상기 설정된 주행 모드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set driving mode on a display window so that a guardian can confirm the information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 Stroller with driving assistance function.
  10.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조향 방향과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미리 설정된 옵션정보와 상기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 휴식 주행 모드, 호출 모드, 자율 주행 모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주행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Setting at least one traveling mode of an acceleration / deceleration support mode, a resting driving mode, a calling mode, a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a remote control driving mode according to preset op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signal;
    상기 주행 모드 설정 단계에서 휴식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가 미리 설정된 패턴으로 주행되도록 하는 휴식 주행 기능을 지원하는 단계; 및 Supporting a resting driving function to allow the stroller to travel in a predetermined pattern when the resting driving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step; And
    상기 주행 모드 설정 단계에서 호출 모드로 설정되면 호출 명령을 발생시킨 상기의 이동 통신기기나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되도록 지원하는 호출 응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And a call response control step of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baby carriage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remote controller that has generated the call command when the call mode is set in the traveling mode setting step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11. 제 10 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조향 방향과 주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는 The step of controlling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traveling speed
    상기 주행 모드 설정 단계에서 가속 및 감속 지원 모드로 설정되면 유모차가 주행하는 동안의 유모차 기울기에 따라 가속 및 감속 기능을 지원하는 단계; Support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baby carriage while the baby carriage is running, when the mode is set to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upport mode in the driving mode setting step;
    상기 주행 모드 설정 단계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센싱 모듈의 장애물 정보와 보호자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옵션 정보로 설정된 속도로 유모차가 자율 주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If the autonomous driving mode is set in the driving mode setting step, autonomously driving the stroller at a speed set by the op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bstacle information and guardia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module; And
    상기 주행 모드 설정 단계에서 리모트 컨트롤 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보호자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가 주행할 수 있도록 조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and the speed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trav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guardian using the remote controller when the remote control driving mode is set in the traveling mode setting step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12. 제 8 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센싱 모듈을 이용하여 유모차의 전/후 방향 장애물과 보호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센싱하는 센싱하는 단계; Sensing the front and rear obstacles of the stroller and the protector position in real time using a sensing module;
    상기 보호자의 직접적인 제어나, 상기 주행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 바퀴의 조향을 제어하는 단계; 및 Controlling the steering of the baby carriage wheel according to the direct control of the caregiver o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module; And
    상기 보호자의 직접적인 제어나, 상기 주행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유모차 바퀴의 가/감속 및 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nd controlling the acceleration / deceleration and braking of the baby carriage wheels according to the direct control of the caregiver or the control of the driving control module
    주행 보조 기능을 갖는 유모차의 구동 방법. A driving method of a baby carriage having a driving assistance function.
PCT/KR2018/008180 2017-08-01 2018-07-19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9027161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68A KR102433062B1 (en) 2017-08-01 2017-08-01 Baby carriage having driving auxiliary function and driving method the same
KR10-2017-0097868 2017-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161A1 true WO2019027161A1 (en) 2019-02-07

Family

ID=6523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8180 WO2019027161A1 (en) 2017-08-01 2018-07-19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062B1 (en)
WO (1) WO2019027161A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46352A1 (en) * 2019-04-30 2020-11-05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WO2021069321A1 (en) * 2019-10-12 2021-04-15 Robert Bosch Gmbh Electrical auxiliary drive
US11433934B2 (en) * 2020-06-04 2022-09-06 Kimberly Butler Motorized cart assembly
WO2022204785A1 (en) * 2021-03-31 2022-10-06 Glüxkind Technologies Inc. Carriage with guided autonomous locomotion
WO2022226658A1 (en) * 2021-04-30 2022-11-03 Glüxkind Technologies Inc. Carriage for guided autonomous locomotion
US11511785B2 (en) * 2019-04-30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with automatic follow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693B1 (en) * 2020-07-29 2022-02-28 모터싱스 주식회사 Smart moving device and mov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481629B1 (en) * 2020-09-24 2022-12-28 주식회사 디카트 Electric motor wagon with wireless control and physical human-robot intera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407A (en) * 1990-02-20 1991-10-28 Ishikawajima Shibaura Kikai Kk Steering controller for automatic traveling truck
US20060254839A1 (en) * 2005-05-12 2006-11-16 Hasty Christopher M Remote/occupant controlled toy vehicle
KR20090095765A (en) * 2008-03-06 2009-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anny robo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20150144411A1 (en) * 2013-07-17 2015-05-28 Cathy Washington Remote Controllable Self-Propelled Stroller
KR101559665B1 (en) * 2014-04-30 2015-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Baby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08B1 (en) * 2008-10-15 2010-12-28 주식회사 미래인도 Unmanned Automatic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45181B1 (en) * 2015-11-18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utonomous unmanned driving baby carri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1407A (en) * 1990-02-20 1991-10-28 Ishikawajima Shibaura Kikai Kk Steering controller for automatic traveling truck
US20060254839A1 (en) * 2005-05-12 2006-11-16 Hasty Christopher M Remote/occupant controlled toy vehicle
KR20090095765A (en) * 2008-03-06 2009-09-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anny robo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US20150144411A1 (en) * 2013-07-17 2015-05-28 Cathy Washington Remote Controllable Self-Propelled Stroller
KR101559665B1 (en) * 2014-04-30 2015-10-1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Baby carriag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46352A1 (en) * 2019-04-30 2020-11-05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US11511785B2 (en) * 2019-04-30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with automatic following function
US11585934B2 (en) * 2019-04-30 2023-02-21 Lg Electronics Inc. Cart robot having auto-follow function
WO2021069321A1 (en) * 2019-10-12 2021-04-15 Robert Bosch Gmbh Electrical auxiliary drive
US11433934B2 (en) * 2020-06-04 2022-09-06 Kimberly Butler Motorized cart assembly
WO2022204785A1 (en) * 2021-03-31 2022-10-06 Glüxkind Technologies Inc. Carriage with guided autonomous locomotion
WO2022226658A1 (en) * 2021-04-30 2022-11-03 Glüxkind Technologies Inc. Carriage for guided autonomous locomo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68A (en) 2019-02-11
KR102433062B1 (en)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27161A1 (en) Stroller having driving assistance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855957B2 (en) Method for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tor vehicle while autopilot is activated and motor vehicle
JP6380768B2 (en) Charging stand
CN106744090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starting elevator service using communications bridge
KR20100071804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 valet parking
JP2017214800A (en) Automatic driving parking system
WO2020096170A1 (en) Mobile robot usable as shopping cart
JP2015032292A5 (en)
CN102114811A (en)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support used on sam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200131170A (en) Autonomous moving body, control program of autonomous moving body, method of controlling autonomous moving body, and system serv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oving body from remote place
JP2002348055A (en) User guide device of elevator
KR102330034B1 (en) Intellectual vehicle control method
JP6649663B1 (en) Elevator system,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US11661081B2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ed driving vehicle
KR102344773B1 (en) Intellectual vehicle control method
JP3116351U (en) Wheelchair movement support device
CN109209480B (en) Automatic tunnel rescue system
WO2020096169A1 (en) Anti-theft system for mobile robot
CN215285110U (en) Electric vehicle for executing distribution task
KR101598949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tomatic valet mode, and head unit
JP7081537B2 (en) Processing equipment,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JP7043853B2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200247343A1 (en) Movement apparatus and movement apparatus system
JP2021009429A (en) Automatic driving vehicle and operation management system
KR101488894B1 (en) Mobile robot capable of drive using smart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0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087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