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534A1 - 지방 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지방 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534A1
WO2018190534A1 PCT/KR2018/003572 KR2018003572W WO2018190534A1 WO 2018190534 A1 WO2018190534 A1 WO 2018190534A1 KR 2018003572 W KR2018003572 W KR 2018003572W WO 2018190534 A1 WO2018190534 A1 WO 20181905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oling
handpiece
laser
flow rate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5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현준
전승규
한풍석
임승용
김영준
이서현
최상혁
민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475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6806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68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2216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6784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3140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ublication of WO20181905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5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Abstract

레이저를 이용하여 체내의 지방을 분해시키는 지방 분해 장치,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및 의료기 냉각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지방 분해 장치는, 본체와; 신호전달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LD 모듈과; 진동을 발생시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통한 지방조직의 이완시술과 상기 LD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조사를 통한 지방조직의 분해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 분해 장치
본 발명은 지방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 분해 방법, 및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풍족한 먹거리와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분류되는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비만이나 과체중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하는 사람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세계보건기구 아시아 태평양 기준(WHO, Asia-Pacific Perspective)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3㎏/㎡ 이상이면 과체중,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대한내분비학회의 진료지침에 따르면, 한국인의 경우에 비만은 25㎏/㎡ 이상으로 정의하고, 동반된 비만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23㎏/㎡ 이상부터 치료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비만이나 과체중이 되는 이유는 대부분 체지방이 증가하기 때문이므로,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적절한 식이요법이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BMI가 40㎏/㎡ 이상이거나 35㎏/㎡ 이상이면서 비만과 연관된 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들에게는 비만수술을 통한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외과적인 시술을 통한 비만수술은 필연적으로 출혈과 통증을 수반하므로, 비외과적인 시술을 통한 비만수술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대 의학에서 레이저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 외과적 수술 분야에 국한되었던 레이저의 의학적 응용은 비침습적 진단 및 치료 분야에까지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
외과적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레이저는 주로 시술자가 환자의 체내로 레이저 조사기의 발진 부분을 시술 위치를 위치시킨 후 레이저를 시술 위치에 조사하여 제거 또는 절개가 필요한 피부 생체의 일부를 제거 또는 절개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이저는 피부 미용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중 비외과적이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비만한 지방 세포에 열을 가함으로써 지방을 분해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지방을 분해하는 지방 분해 장치의 일례로서, 본체 내에 설치된 레이저 발생 수단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를 핸드피스에 전달하고, 이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시켜 지방 분해 시술을 실시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인 레이저를 이용한 지방 분해 장치와 같은 레이저 시술 장비들은 레이저 발생 수단 및 시술 부위에 접하는 핸드피스에서 다량의 열이 발생되므로, 이들 레이저 시술 장비들은 레이저 발생 수단과 핸드피스에 대한 적절한 냉각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5334호 (2011. 08. 0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7516호 (2003.06. 25. 공고)
본 발명은 지방을 분해하기 위하여 레이저 빔을 신체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수단과, 지방의 분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신체 부위를 진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시술 효과를 향상시킨 지방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 분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보다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나의 냉각 탱크로 메인 냉각과 서브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의료기 냉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신호전달부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핸드피스, 핸드피스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LD 모듈 및 진동을 발생시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진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통한 지방조직의 이완시술과 LD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조사를 통한 지방조직의 분해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방 분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진동부는 LD 모듈과 함께 핸드피스에 설치될 수 있다.
핸드피스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핸드피스가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정확하게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신호전달부와 연결되는 핸드피스 몸체와, LD 모듈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핸드피스 몸체에 장착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커버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는 커버의 모서리마다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에는 온도센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커버의 모서리에서 진동부보다 가장자리 쪽에는 접촉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드피스는 피시술자를 향하는 쪽이 원형 평면인 반구형상을 갖는 핸드피스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복수개가 평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회전부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지방 분해 장치는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은, 핸드피스가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 분해 장치는 핸드피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핸드피스에서 회전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방 분해 장치는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핸드피스를 고정유닛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유닛에 구비되어 피시술자의 지방 조직의 이완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신호전달부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핸드피스, 핸드피스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LD 모듈, 그리고 진동을 발생시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하되,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LD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를 시술부위에 조사시켜 지방 조직을 분해시키는 지방조직 분해 단계; 및 진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시술부위에 제공하여 지방조직을 이완시키는 지방조직 이완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지방조직 분해 단계는 지방조직 이완 단계와 함께 병행될 수 있다.
지방 분해 장치는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지방분해 시술방법은 고정유닛을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지방조직 분해 단계와 지방조직 이완 단계는 핸드피스를 고정유닛에 장착시킨 후 LD 모듈과 진동부가 고정유닛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핸드피스 몸체, 핸드피스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난반사를 통해 레이저의 확산 효율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가 제공된다.
반사부에는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가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전달되도록 레이저 전달 통로가 형성되며, 레이저 전달 통로의 내벽은, 레이저 전달 통로의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레이저 전달 통로가 확대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면은, 반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반사면, 및 반사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 반사면과 연결되고 제1 반사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중 제1 반사면에 형성된 일부는 복수의 돌기 중 제2 반사면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중 제1 반사면에 형성된 일부는 복수의 돌기 중 제2 반사면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기는 폭과 높이의 비가 1:1 내지 1:20일 수 있다.
반사부와 복수의 돌기의 표면에는 반사층이 코팅될 수 있다.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확산시켜 반사부로 전달하는 확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 본체에 설치되어 피시술자의 지방 조직 분해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본체와 연결되어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전달하는 레이저 전달부, 및 레이저 전달부와 연결되어 레이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레이저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조사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핸드피스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핸드피스 몸체, 핸드피스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부, 및 반사부에 형성되어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난반사를 통해 레이저의 확산 효율을 증가시키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전달부는 본체와 핸드피스를 연결하는 관 구조로 형성되며 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전달부 및 핸드피스는 서로 일대응 대응되도록 동일한 개수만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각 유체가 수용되는 냉각 탱크, 냉각 탱크 내의 냉각 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피시술자의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를 냉각시키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와 레이저 발생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1 냉각 라인, 제1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제1 냉각 라인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1 냉각 펌프,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냉각시키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와 핸드피스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2 냉각 라인,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제2 냉각 라인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2 냉각 펌프,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핸드피스를 경유하고 냉각 탱크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핸드피스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제어부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이상 온도 상한값 이하인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의료기 냉각 장치는,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 탱크와 핸드피스 사이를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제2 유속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유속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과 제2 유속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 측정값을 비교하여, 유속 목표값에 대한 유속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의료기 냉각 장치는 냉각 탱크 내 수용된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 냉각 장치는 제1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냉각 탱크와 레이저 발생부 사이를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제1 유속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핸드피스에서 발생되는 열량 보다 클 수 있다.
핸드피스는 복수로 마련되며, 제2 냉각 라인, 제2 냉각 펌프, 및 제2 온도 센서는 핸드피스에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시술자의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를 냉각시키도록, 제1 냉각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 유체를 제1 냉각 라인을 통해 냉각 탱크와 레이저 발생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냉각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 유체를 제2 냉각 라인을 통해 냉각 탱크와 핸드피스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 제2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핸드피스를 경유하고 냉각 탱크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핸드피스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방법이 제공된다.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 및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이상 온도 상한값 이하인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 이후에, 제2 유속 센서를 이용하여 냉각 탱크와 핸드피스 사이를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제2 유속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추가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추가로 조절하는 단계는,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과 제2 유속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 측정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유속 목표값에 대한 유속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각 유체가 수용되는 냉각 탱크, 냉각 탱크 내의 냉각 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피시술자의 시술을 위한 시술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부를 냉각시키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와 에너지 발생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1 냉각 라인, 제1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제1 냉각 라인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1 냉각 펌프, 시술 에너지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를 냉각시키도록,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와 핸드피스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2 냉각 라인,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제2 냉각 라인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2 냉각 펌프,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핸드피스를 경유하고 냉각 탱크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핸드피스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시술 에너지는 레이저, 초음파 및 고주파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빔을 신체에 비침습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수단과,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신체 부위를 진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지방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 분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지방 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 분해 방법에 의하면,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술 부위의 지방조직을 이완시킬 수 있어, 레이저만을 이용하여 지방을 분해하는 것에 비해 지방의 분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사부 내벽에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보다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한 냉각 탱크를 활용하여 메인 냉각과 서브 냉각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되어 핸드피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시술시 피시술자에 대한 핸드피스의 다양한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측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핸드피스를 나타낸 다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반사부 내벽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반사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A 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가 적용되는 의료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방법의 핸드피스 냉각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부호의 설명]
10A: 본체
12A: 조작부
14A: 표시부
16A: 제어부
18A: 신호전달부
20A, 120A, 220A, 320A: 핸드피스
22A: LD 모듈
24A: 진동부
26A: 온도센서
28A: 접촉센서
30A: 표시등
50A, 350A: 고정유닛
52A, 352A: 프레임
10B: 지방 분해 장치
11B: 본체
12B: 레이저 발생부
13B: 레이저 전달부
14B: 조작부
15B: 표시부
16B: 제어부
100B: 핸드피스
110B: 핸드피스 몸체
120B: 반사부
122B: 레이저 전달 통로
124B: 반사면
126B: 제1 반사면
128B: 제2 반사면
130B: 돌기
140B: 반사층
150B: 확산 유닛
160B: 투광판
170B: 커버
10C: 의료기
11C: 본체
12C: 조작부
13C: 표시부
14C: 신호전달부
15C: 레이저 발생부
16C: LD 모듈
17C: 핸드피스
100C: 의료기 냉각 장치
110C: 냉각 탱크
112C: 냉각기
120C: 제1 냉각 라인
122C: 제1 냉각 펌프
124C: 제1 온도 센서
126C: 제1 유속 센서
130C: 제2 냉각 라인
132C: 제2 냉각 펌프
134C: 제2 온도 센서
136C: 제2 유속 센서
140C: 제어부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본체(10A)와, 신호전달부(18A)를 통해 본체(10A)에 연결되는 핸드피스(20A)를 포함한다.
핸드피스(20A)는 시술시 시술대상자의 시술 대상 피부 조직에 대향되어 지방 분해 시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핸드피스(20A)는 고정유닛(50A)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50A)은 시술시 시술대상 피부 조직 상에 상기 핸드피스(20A)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50A)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체(10A)에는 시술자의 시술 조작을 위한 다수의 동작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부(12A)와 시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A)에는, 조작부(12A)에 의해 입력된 시술자의 지시사항에 근거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6A)가 구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0A)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 핸드피스(20A)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드피스(20A)는 신호전달부(18A)에 의해 본체(10A)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다. 핸드피스(20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나의 지방 분해 장치에는 4개의 핸드피스가 구비되어, 시술시 시술 대상자의 복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시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20A)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이하, 'LD 모듈'이라 함)(22A)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부(24A)를 포함할 수 있다.
LD 모듈(22A)은 피부 안쪽에 분포되어 있는 지방세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을 분해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LD 모듈(22A)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파장 및 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지방분해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 다양한 사양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는 진피층 아래에 위치하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가열하여 분해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는 다른 광원들에 비해 높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피부층 내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략 1060nm 내지 1070nm 파장대의 적색 레이저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분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핸드피스(20A)를 통해 시술 대상 피부 조직에 대해 레이저를 침투시켜 지방을 분해시킬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방 조직을 분해하는 원리를 대략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피하지방층에 레이저를 쏘게 되면 특정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원자단(즉, 발색단)에 의해 흡수가 되어 이 에너지가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은 지방세포와 콜라겐, 미세혈관 등에 열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지방세포에 전달된 열은 세포막에 광섬유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구멍을 내게 되어 지방세포 안의 지방이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며 지방이 유출되고 남은 지방세포가 분해된다. 또한, 레이저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 고출력 레이저와 저출력 레이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할 경우, 장비 자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 냉각수단을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시술시 피부와 접촉되는 핸드피스(20A)가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수단에 의한 핸드피스(20A)의 냉각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되는 레이저로서는, 시술이 이루어지는 영역 내의 피하조직이 가장 두꺼운 지점의 피하조직의 깊이에 상당하거나 이보다 더 긴 침투 깊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시술부위를 가열할 수 있도록 피부조직 내로 침투가 가능해야 하는 요건에 부합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예를 들어 대략 800nm 내지 1200n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침투성, 그리고 피부의 주요 색소포인 멜라닌 및 수분에 의한 비교적 낮은 흡수율 등을 감안하면, 파장이 대략 1060nm 내지 1065nm인 적색 계열 레이저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방 분해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한 대략 800nm 내지 1200nm 파장대의 레이저 이외에도, 지방성분에 의한 광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1.7㎛ 파장대의 레이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시술부위의 온도가 피부손상 없이 지방분해가 가능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레이저는 시술도중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정지될 수 있다. 혹은,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피부 혹은 핸드피스의 온도 검출값을 근거로, 레이저의 작동 및 정지가 번갈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냉각수단은, 핸드피스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냉각부와, 시술이 이루어지는 신체부위의 피부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피부 냉각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 냉각부는, TEC(Thermoelectric Cooling) 방식을 이용하여 레이저 발생에서 발생하는 핸드피스(20A)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TEC 방식의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열전냉각소자는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레이저에 의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사양의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냉각부는 피부 냉각용 기체를 피부에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부에 분사되는 피부 냉각용 기체는 대기중의 공기나, 공지의 냉매냉동 사이클에 의해 냉각된 공기일 수 있다. 피부 냉각용 기체를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신체부위의 피부에 분사시키기 위해서, 핸드피스 전면의 유리면, 예컨대 사파이어 크리스탈(36A)(도 2 참조)에는 기체의 유동이 가능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기체를 분사시키기 위해 핸드피스(20A)의 내부에는 팬(도시생략)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A)의 내부에 팬(도시생략)을 설치한 후, 팬에 의해 가압된 기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가요성 파이프를 신호전달부(18A) 및 핸드피스(20A)에 걸쳐 매립함으로써, 기체를 피부에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진동부(24A)는 지방분해 시술이 실시될 신체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지방세포를 이완시켜 지방분해 효과를 향상시킨다. 진동부(24A)에 의한 진동은, LD 모듈(22A)에 의한 레이저 조사가 실시되기 전이나 후, 또는 레이저 조사와 함께 실시될 수 있다. 또는 진동과 레이저 조사를 교대로 번갈아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24A)에 의한 진동은, LD 모듈(22A)에 의한 레이저 조사를 실시하기 전에 정해진 시간동안 수행되거나, LD 모듈(22A)이 작동하기 시작하여 레이저에 의해 시술부위가 가열됨에 따라 시술부위의 온도가 상승하여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핸드피스(20A)는, 레이저로 인한 발열로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6A)와, 핸드피스 몸체가 피시술자의 피부에 정확하게 밀착되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접촉센서(28A)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26A) 및 접촉센서(28A)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는 본체(10A)에 내장된 제어부(16A)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6A)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핸드피스(20A)에서의 작동이 기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시술 대상 피부 조직과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시술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핸드피스(20A)의 외부에는 핸드피스의 동작 양호 또는 불량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30A)이 설치될 수 있어, 시술자는 이 표시등(30A)을 통하여 시술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20A)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신호전달부(18A)와 연결되는 핸드피스 몸체(32A)와, 이 핸드피스 몸체(32A)에 장착될 수 있는 커버(34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4A)에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개구에는 레이저 빔의 투과율이 높은 투명한 보호창이 장착될 수 있다. 보호창으로서는 예를 들어 투명한 사파이어 크리스탈(36A)이 사용될 수 있다. 사파이어 크리스탈을 사용하면, 레이저 빔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조사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핸드피스 몸체(32A)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면의 내측에는 진동부(24A)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24A)는 예를 들어 진동모터, 압전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24A)는 직육면체 형상의 핸드피스 몸체(32A)의 4개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는 2개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24A)는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부(24A)가 좁은 양측면에 배치됨으로써 진동부(24A)의 진동이 핸드피스 몸체(32A)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진동부(24A)의 진동 세기를 필요 이상으로 높게 설정하지 않더라도 핸드피스 몸체(32A)의 진동 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핸드피스(20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진동부(24A)가 직육면체 형상의 핸드피스 몸체(32A)의 상대적으로 좁은 양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진동부(24A) 간 물리적 충돌이나 진동의 상쇄를 최소화하여 장치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진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34A)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에는 온도센서(26A)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26A)는 시술 도중에 시술부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센서(26A)는 핸드피스(20A)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도 있고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부위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접촉센서(28A)는 커버(34A)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센서(28A)는 시술이 이루어질 신체 부위에 핸드피스(20A)가 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밀착 여부에 대한 정확한 검출을 위해, 접촉센서(28A)는 커버(34A)의 모서리에서 가장자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드피스 몸체(32A)의 내부표면에는 레이저 빔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사판(38A)이 형성된다. 반사판(38A)은 신호전달부(18A)로부터 커버(34A)를 향해 감에 따라 내부 공간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38A)의 경사각도는 반사판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반사판(38A)은 예를 들어 구리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판(38A)과 신호전달부(18A) 사이에는 LD 모듈(22A)이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LD 모듈(22A)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파장 및 출력, 레이저다이오드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지방분해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 다양한 사양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LD 모듈(22A)과 반사판(38A) 사이에는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기 위한 디퓨저(40A)가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저(40A)는 입사된 레이저 빔을 굴절시켜 핸드피스의 커버에 형성된 개구부에 해당하는 면적 전체에 조사되도록 확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퓨저는 일측 표면에 매우 미세한 요철구조가 형성된 투명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되어 핸드피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핸드피스(20A)는,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피시술자의 신체에 대해 정해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A)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고정유닛(50A)은, 핸드피스(20A)가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52A)과, 이 프레임(52A)을 피시술자의 신체 특정부위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벨트(58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2A)은, 핸드피스(20A)의 사파이어 크리스탈(36A)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이 신체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중앙부분이 개방된 대략 사각의 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52A)에는 한 쌍의 결합부(54A)가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54A)는 핸드피스(20A)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54A)는 오목한 홈이나 구멍을 가지는 한편, 핸드피스(20A)에는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 사이의 결합을 통해 핸드피스(20A)가 프레임(52A)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54A)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핸드피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면 어떤 구성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핸드피스(20A)가 고정유닛(50A)과 함께 사용될 경우, 핸드피스(20A)에 설치된 접촉센서(28A)는 프레임(52A) 상에 핸드피스(20A)가 밀착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52A)에는 벨트(58A)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레임(52A)의 양쪽에는 벨트 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벨트(58A)는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유닛(50A)의 프레임(52A)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a)에는 4개의 핸드피스를 병렬로 장착시킬 수 있는 프레임(52AA)이 예시되어 있다. 도 4의 (b)에는 3개의 핸드피스를 병렬로 장착시킬 수 있는 프레임(52AB)이 예시되어 있다. 도 4의 (c)에는 2개의 핸드피스를 병렬로 장착시킬 수 있는 프레임(52AC)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의 (d)에는 1개의 핸드피스를 장착시킬 수 있는 프레임(52AD)이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레임은 모두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는,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한 지방분해 시술시, 피시술자에 대한 핸드피스의 다양한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프레임(52AA)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하복부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b)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프레임(52AB)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하복부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c)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프레임(52AB)과 도 4의 (d)에 도시된 프레임(52AD)을 함께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복부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d)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프레임(52AC)과 도 4의 (d)에 도시된 프레임(52AD)을 함께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복부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e)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프레임(52AC)을 2개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하복부 좌우측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f)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프레임(52AC)을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옆구리에 지방분해 시술을 실시할 때의 핸드피스의 배치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피시술자의 복부나 옆구리 이외에도 다양한 신체부위에 대한 지방분해 시술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도시되지 않은 형태로 핸드피스를 배치하여 시술을 실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본체(10A)에 설치된 조작부(12A)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적합한 시술시간, 사용할 핸드피스의 개수 등을 설정한다. 이 때, 시술에 사용할 핸드피스는 피시술자에게 고정유닛을 통하여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16A)는 핸드피스(20A)에 설치되어 있는 접촉센서(28A)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할 핸드피스(20A)가 정위치에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A)는 핸드피스(20A)의 정위치 여부를 핸드피스(20A)에 설치된 표시등(30A)과 본체(10A)에 설치된 표시부(14A)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여 시술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A)는 진동부(24A)의 진동 세기 및/또는 진동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핸드피스(20A)가 정위치에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면, 제어부(16A)는 조작부(12A)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에 따라 핸드피스(20A)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진피층 아래의 지방조직에 대한 가열온도를 42 내지 47 정도로 설정하면, LD 모듈(22A)을 동작시켜 시술부위에 대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되, 시술부위의 온도가 적정 온도까지 상승하는 동안에는 진동부(24A)에 의해 시술부위를 진동시킴으로써 지방조직을 이완시킬 수 있다. 이때, 진동부(24A)의 작동시간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도 있고, 피시술자의 시술부위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진동부(24A)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시술부위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여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진동부(24A)가 정지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레이저 빔의 조사와 진동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진동부(24A)는 핸드피스(20A)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6A)는 이러한 복수의 진동부(24A)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핸드피스(20A) 내에 설치된 복수의 진동부(24A)를 독립 제어함으로써 진동부(24A)에 의한 이완시술이 보다 다양한 모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24A)를 각각 구비한 핸드피스(20A)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비되어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6A)는 이들 핸드피스(20A)에 각각 설치된 진동부(24A)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핸드피스에 각각 적용되는 진동 세기 및/또는 진동 주기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핸드피스(20A)의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등을 상이하게 셋팅함으로써, 피시술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이완시술의 정도를 국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지방분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 제어부(16A)는 피시술자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에 따라 진동부(24A)의 작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피시술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장치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어 지방분해 시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시술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제어부(16A)는 온도센서(26A) 및 접촉센서(28A)를 통해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온도센서(26A)에 의해 측정된 시술부위에 인접하는 핸드피스(20A) 부분, 예컨대 커버(34A)의 온도가 설정범위를 넘어 상승하면 제어부(16A)는 LD 모듈(22A)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A)는 장비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표시부(14A)에 이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A)는 온도센서(26A)에 의해 측정된 시술부위에 인접하는 핸드피스(20A) 부분의 온도가 설정범위 아래로 하강하면 제어부(16A)는 다시 LD 모듈(22A)을 자동으로 재작동시키거나,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도록 표시부(14A)에 재작동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시술부위의 온도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상승하여 지속되거나 핸드피스(20A)가 정위치로부터 이탈하는 비정상시, 제어부(16A)는 핸드피스(20A)에 설치된 표시등(30A)과 본체(10A)에 설치된 표시부(14A) 중 적어도 하나에 비정상임을 표시하여 시술자에게 통지한다. 필요시 제어부(16A)는, 시술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LD 모듈(22A)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A)는 핸드피스의 작동을 중단하고 표시부(14A)에 시술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
다수의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시술을 진행할 경우, 각 핸드피스의 작동시간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와 핸드피스를 포함하지만 도 6 및 도 7에서는 편의상 본체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체 및 신호전달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의 경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LD 모듈(22A)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부(24A)를 포함한다는 점,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핸드피스 몸체(232A)를 갖는다는 점, 핸드피스 몸체(32A)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34A) 및 개구에 장착된 보호창을 구비한다는 점 등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의 경우 진동부(24A)가 핸드피스(20A)의 하면, 즉 커버(34A)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진동부(24A)가 핸드피스(20A)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동부(24A)는 대략 직사각형인 커버(34A)의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센서(28A)는 진동부(24A)가 배치된 커버(34A)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밀착 여부에 대한 정확한 검출을 위해, 접촉센서(28A)는 커버(34A)의 모서리에서 진동부(24A)보다 가장자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와 핸드피스를 포함하지만 도 8에서는 편의상 본체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체 및 신호전달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20A)는,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20A)와 비교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LD 모듈(22A)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부(24A)를 포함한다는 점은 동일하나, 대략 반구형의 핸드피스 몸체(132A)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진동부(24A)는 반사판(138A)을 중심으로 둥글게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진동부(24A)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20A)는, 핸드피스 몸체(132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14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진동부(24A)는 회전부(142A)에 장착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42A)의 회전을 위해, 핸드피스 내부에는 모터(도시생략)가 설치될 수 있고, 회전부(142A)와 핸드피스 몸체(132A) 사이에는 베어링(도시생략)이 개재될 수 있다. 회전하지 않는 핸드피스 몸체(132A)와 회전부(142A)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함으로써 진동부(24A)에 대한 전기공급이 단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부와 고정부 사이의 전기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방식의 공지된 구조도 사용될 수 있다.
핸드피스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접촉센서는 진동부(24A)와 함께 회전부(142A)에 장착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는 핸드피스 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20A) 역시 고정유닛(도시생략)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유닛의 프레임(도시생략)은 핸드피스(12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대의 지방 분해 장치에 구비된 핸드피스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한 대의 지방 분해 장치에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의 핸드피스(20A)와 도 8에 도시된 반구형의 핸드피스(120A)가 함께 구비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 몸체(132A)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반사판(138A)이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20A)의 반사판(38A)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반구형의 핸드피스 몸체(132A)에 대응하도록 반사판의 형태가 반구형으로 이루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와 핸드피스를 포함하지만 도 9에서는 편의상 본체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체 및 신호전달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A)는, 도 8에 도시된 핸드피스(120A)와 비교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LD 모듈(22A)과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부(24A)를 포함한다는 점이나, 대략 반구형의 핸드피스 몸체(232A)를 갖는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다만, 진동부(24A)가 시술시 피시술자를 향하는 핸드피스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장착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20A)와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A)의 진동부(24A)는 반사판을 중심으로 둥글게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A)는, 핸드피스 몸체(232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부(24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부(242A) 상에 진동부(24A)가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부(24A)가 돌출됨에 따라 회전부(242A)의 표면은 요철 형상을 갖는다.
핸드피스에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접촉센서는 진동부(24A)와 함께 회전부(242A)에 장착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는 핸드피스 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A) 역시 고정유닛(도시생략)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유닛의 프레임은 핸드피스(22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대의 지방 분해 장치에 구비된 핸드피스가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한 대의 지방 분해 장치에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핸드피스들이 함께 구비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A) 내부에 형성된 반사판은,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20A)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반구형의 핸드피스 몸체(232A)에 대응하도록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에 포함된 고정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와 마찬가지로 본체와 핸드피스를 포함하지만 도 10에서는 편의상 본체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본체 및 신호전달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진동부(24A)가 핸드피스(320A)가 아닌 고정유닛(350A)의 프레임(352A)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와 상이하다.
도 10에는 2개의 핸드피스(320A)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형태의 프레임이 예시되어 있으며, 4개의 진동부(24A)가 프레임(352A)의 모서리마다 한 개씩 설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진동부(24A)의 설치개수 및 설치위치는 도시된 것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는, 프레임(352A)에 장착된 진동부(24A)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본체와 프레임(352A)을 연결하는 별도의 전선(도시생략)을 더 포함하거나, 핸드피스(320A)와 프레임(352A)을 연결하는 별도의 전선(도시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핸드피스(320A)가 아닌 고정유닛(350A)의 프레임(352A)에 진동부(24A)가 설치되므로, 제5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A)는 진동부(24A)가 제거되어 있다는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A)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지방 조직을 분해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11B), 레이저 발생부(12B), 레이저 전달부(13B), 조작부(14B), 표시부(15B), 제어부(16B), 및 핸드피스(100B)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10B)가 제시된다. 이 경우 핸드피스(100B)는 핸드피스 몸체(110B), 반사부(120B), 돌기(130B), 반사층(140B), 확산 유닛(150B), 투광판(160B), 및 커버(17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방 분해 장치(10B)의 핸드피스(100B) 내에 레이저의 반사 및 확산을 위하여 구비되는 반사부(120B)의 내벽에 복수의 돌기(130B)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를 보다 균일하게 확산시켜 피술자의 시술 부위에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방 분해 시술의 안정성 및 지방 분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10B)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B)에는 시술자의 시술 조작을 위한 다수의 동작 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부(14B)와 시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B)에는, 조작부(14B)에 의해 입력된 시술자의 지시 사항에 근거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6B)가 구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1B)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 핸드피스(100B)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2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B)에 설치되어 피시술자의 지방 조직 분해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발생부(12B)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이하, 'LD 모듈'이라 함)일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2B)는 피부 안쪽에 분포되어 있는 지방 세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을 분해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레이저 발생부(12B)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파장 및 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지 방분해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 다양한 사양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는 진피층 아래에 위치하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가열하여 분해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는 다른 광원들에 비해 높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피부층 내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략 1060nm 내지 1070nm 파장대의 레이저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분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10B)는 핸드피스(100B)를 통해 시술 대상 피부 조직에 대해 레이저를 침투시켜 지방을 분해시킬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방 조직을 분해하는 원리를 대략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피하지방층에 레이저를 쏘게 되면 특정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원자단(즉, 발색단)에 의해 흡수가 되어 이 에너지가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은 지방 세포와 콜라겐, 미세 혈관 등에 열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지방 세포에 전달된 열은 세포막에 광섬유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구멍을 내게 되어 지방 세포 안의 지방이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며 지방이 유출되고 남은 지방 세포가 분해된다.
또한, 레이저는 출력의 크기에 따라 고출력 레이저와 저출력 레이저로 구분될 수 있는데,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할 경우, 장비 자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피부 냉각수단을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시술시 피부와 접촉되는 핸드피스(100B)가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수단에 의한 핸드피스(100B)의 냉각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되는 레이저로서는, 시술이 이루어지는 영역 내의 피하조직이 가장 두꺼운 지점의 피하 조직의 깊이에 상당하거나 이보다 더 긴 침투 깊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시술 부위를 가열할 수 있도록 피부 조직 내로 침투가 가능해야 하는 요건에 부합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예를 들어 대략 800nm 내지 1200n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침투성, 그리고 피부의 주요 색소포인 멜라닌 및 수분에 의한 비교적 낮은 흡수율 등을 감안하면, 파장이 대략 1060nm 내지 1065nm인 레이저가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방 분해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한 대략 800nm 내지 1200nm 파장대의 레이저 이외에도, 지방성분에 의한 광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1.7㎛ 파장대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시술 부위의 온도가 피부 손상 없이 지방 분해가 가능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레이저는 시술 도중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정지될 수 있다. 혹은,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피부 혹은 핸드피스(100B)의 온도 검출값을 근거로, 레이저의 작동 및 정지가 번갈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냉각 수단은, 레이저 발생부(12B)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레이저 발생부(12B) 냉각부, 핸드피스(100B)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핸드피스(100B) 냉각부, 시술이 이루어지는 신체부위의 피부에 대한 냉각을 수행하는 피부 냉각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100B) 냉각부, 레이저 발생부(12B) 냉각부는 냉각수 등을 이용하여 레이저 발생 및 조사에 따라 발생되는 레이저 발생부(12B)와 핸드피스(100B)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냉각부는 피부 냉각용 기체를 피부에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부에 분사되는 피부 냉각용 기체는 대기 중의 공기나, 공지의 냉매 냉동 사이클에 의해 냉각된 공기일 수 있다.
레이저 전달부(13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B)와 연결되어 레이저 발생부(12B)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핸드피스(100B)로 전달할 수 있다. 레이저 전달부(13B)는 레이저 전달을 위한 광도파로 또는 광섬유를 구비할 수 있으며, 레이저 전달부(13B) 내부에는 핸드피스(100B) 냉각을 위한 냉각수 전달을 위한 냉각 라인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전달부(13B)는 본체(11B)와 핸드피스(100B)를 연결하는 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 구조는 유연성을 갖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전달부(13B)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피시술자의 다양한 부위에 핸드피스(100B)를 용이하게 위치시켜 효과적인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핸드피스(100B)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전달부(13B)와 연결되어 레이저 전달부(13B)로부터 전달되는 레이저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100B)는 고정 유닛을 통해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은 시술시 시술 대상 피부 조직 상에 핸드피스(100B)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핸드피스(100B)가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피시술자의 신체 특정 부위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의 프레임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부, 옆구리 기타 다양한 시술 부위에 따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복수의 프레임 단위가 상하 다수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핸드피스(100B)와 레이저 전달부(13B)는 서로 일대응 대응되도록 동일한 개수만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핸드피스(100B)와 레이저 전달부(13B)는 각각 4개씩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핸드피스(100B)와 레이저 전달부(13B)를 복수로 구비함에 따라 피술자의 복부 둘레 등 넓은 시술 부위를 한번에 커버(170B)할 수 있으므로, 지방 분해 시술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6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00B)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핸드피스 몸체(110B)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 몸체(110B)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반사부(120B), 확산 유닛(150B)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확산 유닛(150B)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몸체(110B)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1차적으로 확산시키면서 반사부(120B)로 전달할 수 있다. 확산 유닛(150B)은 예를 들어, 다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 중 반사부(120B)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렌즈는 확산판(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확산 유닛(150B)을 통해 입사된 레이저가 굴절되어 레이저 조사 범위를 1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반사부(120B)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몸체(110B)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레이저 전달부(13B)를 통해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반사시켜 확산시킬 수 있다. 반사부(120B)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확산 유닛(150B)에 의해 1차적으로 확산되고, 이어서 반사부(120B)에 의해 2차적으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레이저는 반사부(120B)의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출구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에 고르게 분산되어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20B)에는 레이저 전달 통로(12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이러한 레이저 전달 통로(122B)를 따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내벽은,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출구로 갈수록 레이저 전달 통로(122B)가 확대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면(12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반사부(120B) 내부의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횡단면적이 증가되도록, 반사면(124B)은 하부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부(120B) 내부의 레이저 전달 통로(122B)는 사각뿔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반사부(120B) 내부의 반사면(124B)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반사부(12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반사면(124B)을 따라 다수회 반사를 반복하면서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출구 면적에 대응되도록 균일하게 분산 및 확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사면(124B)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면(126B)과 제 2 반사면(12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반사면(126B)은 확산 유닛(150B)과 인접하도록 반사부(120B)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사면(128B)은 반사부(120B)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 반사면(126B)과 연결되고 제1 반사면(126B)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반사면(128B)이 제1 반사면(126B)에 비해 바깥쪽으로 더 벌어지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레이저 전달 통로(122B)의 출구면을 기준으로 제2 반사면(128B)의 경사도가 제1 반사면(126B)의 경사도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이 반사면(124B)을 기울기가 상이하게 이중 구조로 형성하고 하부 측의 제2 반사면(128B)의 기울기를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반사부(12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제1 반사면(126B)을 거쳐 제2 반사면(128B)으로 진입하면서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산 및 확산될 수 있다.
돌기(130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20B) 내벽에 형성되어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난반사를 통해 레이저의 확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돌기(130B)가 반사부(120B)의 반사면(124B) 표면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130B)는 블라스팅, 식각 등 다양한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124B)에 다수의 돌기(130B)를 형성함으로써, 반사부(12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130B)의 표면에서 난반사를 일으키게 되므로, 이에 따라 레이저의 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레이저의 조사 범위 내에서 각 영역별 레이저의 균일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돌기(130B)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과 높이(h)의 비가 1:1 내지 1:20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30B)의 폭은 100nm 내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돌기(130B)의 높이는 100nm 내지 2μ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돌기(130B)는 돌기(130B)는 원뿔, 다각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5에는 예시적으로 반구와 유사한 형태의 돌기(130B)가 제시되어 있다.
반사층(140B)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20B)와 복수의 돌기(130B)의 표면에는 코팅될 수 있다. 반사층(140B)은 예를 들어 고반사율을 갖는 금 또는 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금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면(124B)과 돌기(130B) 표면에 최종적으로 반사층(140B)을 형성함으로써, 반사부(120B)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반사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면(124B)에서의 레이저 반사 및 돌기(130B) 표면에서의 레이저 난반사를 배가시켜 시술 부위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 범위 내에서의 균일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투광판(160B)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몸체(110B)의 하부에 설치되어 핸드피스 몸체(110B)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 몸체(110B)로 입사되는 레이저는 확산 유닛(150B)에서 1차 확산되고, 반사부(120B)에서 2차 확산된 후, 투광판(160B)을 통해 피술자의 피부로 침투될 수 있다. 투광판(160B)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한 사파이어 크리스탈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170B)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몸체(110B)의 하면에 결합되어 투광판(160B)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버(170B)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커버(170B)에는 후술할 온도 센서, 접촉 선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핸드피스(100B)는 진동부, 온도 센서, 접촉 센서, 표시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진동부는 핸드피스 몸체(110B)에 설치되어 지방 분해 시술이 실시될 시술 부위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지방 세포를 이완시켜 지방 분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부에 의한 진동은, 레이저 조사가 실시되기 전이나 후, 또는 레이저 조사와 함께 실시될 수 있다. 또는 진동과 레이저 조사를 교대로 번갈아 실시할 수도 있다. 진동부는 예를 들어 진동 모터, 압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핸드피스(100B) 커버(170B)에 설치되어 레이저로 인한 발열로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술 부위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접촉 센서는 핸드피스(100B) 커버(170B)에 설치되어 핸드피스(100B)가 시술 부위에 정상적으로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 및 접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는 본체(11B)에 내장된 제어부(16B)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6B)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핸드피스(100B)에서의 작동이 기설정된 온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시술 대상 피부 조직과 정상적으로 접촉되어 시술되고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핸드피스 몸체(110B)의 외부에는 핸드피스(100B)의 동작 양호 또는 불량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이 설치될 수 있어, 시술자는 이 표시등을 통하여 시술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10B)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1B), 레이저 발생부(12B), 레이저 전달부(13B), 조작부(14B), 표시부(15B), 제어부(16B), 및 핸드피스(1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핸드피스(100B) 또한 핸드피스 몸체(110B), 반사부(120B), 돌기(130B), 반사층(140B), 확산 유닛(150B), 투광판(160B), 및 커버(170B)를 포함하여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반사면(124B) 내부에 형성되는 돌기(130B)의 사이즈와 밀집도 측면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이러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130B) 중 제1 반사면(126B)에 형성된 일부는 복수의 돌기(130B) 중 제2 반사면(128B)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즉 복수의 돌기(130B)는 상대적으로 다른 사이즈(폭과 높이)를 갖는 2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돌기(130B)들은 제1 반사면(126B)에 형성되고,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돌기(130B)들은 제2 반사면(128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130B) 중 제1 반사면(126B)에 형성된 일부는 복수의 돌기(130B) 중 제2 반사면(128B)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반사면(126B)에 형성된 작은 돌기(130B)들은 보다 밀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면(128B)에 형성된 큰 돌기(130B)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에 위치한 제1 반사면(126B)에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돌기(130B)를 높은 밀도로 형성함으로써, 확산 유닛(150B)을 통과하면서 1차 확산된 레이저의 제1 반사면(126B)에서의 난반사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레이저의 조사면에서의 균일도, 정도 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냉각 장치의 냉각 대상인 의료기(1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기(10C)는 본체(11C)와, 신호전달부(14C)를 통해 본체(11C)에 연결되는 핸드피스(17C)를 포함한다.
핸드피스(17C)는 시술시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 분해 등 시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핸드피스(17C)는 피시술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드피스(17C)는 신호전달부(14C)에 의해 본체(11C)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접속될 수 있다. 핸드피스(17C)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하나의 의료기(10C)에는 4개의 핸드피스(17C)가 구비되어, 시술시 시술 대상자의 복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시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C)에는 시술자의 시술 조작을 위한 다수의 동작버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작부(12C)와 시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C)에는, 조작부(12C)에 의해 입력된 시술자의 지시 사항에 근거하여 동작을 수행하고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40C)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C)는 본체(11C)의 각 구성, 즉 조작부(12C), 표시부(13C), 핸드피스(17C), 및 레이저 발생부(15C)의 작동을 제어함은 물론이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100C)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C)에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기 위한 레이저 발생부(15C)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5C)는 예를 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이하, 'LD 모듈'이라 함)일 수 있으며, 이들 LD 모듈(16C)은 4개의 핸드피스(17C)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4개 구비될 수 있다.
LD 모듈(16C)은 예를 들어 피부 안쪽에 분포되어 있는 지방 세포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방을 분해할 수 있도록 레이저를 발생시킨다. LD 모듈(16C)에서 발생되는 레이저의 파장 및 출력, 레이저 다이오드의 종류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지방 분해를 포함한 다양한 미용, 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 다양한 사양의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는 진피층 아래에 위치하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가열하여 분해시킬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는 다른 광원들에 비해 높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피부층 내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까지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략 1060nm 내지 1070nm 파장대의 적색 레이저는 셀룰라이트 및 지방 조직을 분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의료기(10C)는 핸드피스(17C)를 통해 시술 대상 피부 조직에 대해 레이저를 침투시켜 지방을 분해시킬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방 조직을 분해하는 원리를 대략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다. 피하지방층에 레이저를 쏘게 되면 특정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원자단(즉, 발색단)에 의해 흡수가 되어 이 에너지가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은 지방세포와 콜라겐, 미세혈관 등에 열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지방 세포에 전달된 열은 세포막에 광섬유의 직경과 같은 크기의 구멍을 내게 되어 지방 세포 안의 지방이 세포 밖으로 나오게 되며 지방이 유출되고 남은 지방 세포가 분해된다.
사용되는 레이저로서는, 시술이 이루어지는 영역 내의 피하조직이 가장 두꺼운 지점의 피하조직의 깊이에 상당하거나 이보다 더 긴 침투 깊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시술부위를 가열할 수 있도록 피부조직 내로 침투가 가능해야 하는 요건에 부합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예를 들어 대략 800nm 내지 1200n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침투성, 그리고 피부의 주요 색소포인 멜라닌 및 수분에 의한 비교적 낮은 흡수율 등을 감안하면, 파장이 대략 1060nm 내지 1065nm인 적색 계열 레이저가 선택될 수 있다.
지방 분해를 위해서 위에서 언급한 대략 800nm 내지 1200nm 파장대의 레이저 이외에도, 지방성분에 의한 광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1.7㎛ 파장대의 레이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되는 레이저의 파장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레이저의 발생 및 시술에는 고열이 수반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발생부(15C), 즉 LD 모듈(16C)에는 다량의 열이 발생되고, 레이저 발생부(15C)로부터 신호전달부(14C)를 통해 레이저를 전달받아 시술 부위에 조사하는 핸드피스(17C)에도 레이저 발생부(15C)에 비해서는 작으나 다량의 열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제8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이 다량의 열이 수반되는 의료기(10C)의 냉각을 위한 장치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탱크(110C), 냉각기(112C), 제1 냉각 라인(120C), 제1 냉각 펌프(122C), 제1 온도 센서(124C), 제1 유속 센서(126C), 제2 냉각 라인(130C), 제2 냉각 펌프(132C), 제2 온도 센서(134C), 제2 유속 센서(136C), 및 제어부(140C)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장치(100C)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제8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 유속 센서 및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 라인의 유속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탱크(110C)만을 활용하여 메인 냉각(레이저 발생부(15C))과 서브 냉각(핸드피스(17C))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5C)와 핸드피스(17C)는 그 작동에 따라 다량의 열이 발생하며, 이 중 레이저 발생부(15C)는 핸드피스(17C)에 비해 고온의 열을 방출하여 레이저 발생부(15C)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핸드피스(17C)에서 발생되는 열량 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들 각각의 냉각을 위한 냉각 탱크가 별도로 마련되었으며 물 등의 냉각 유체 또한 상이한 온도로 설정되어 이용되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온도 센서(134C), 제2 유속 센서(136C) 및 제2 냉각 펌프(132C)를 이용하여 제2 냉각 라인(130C)의 유속을 제1 냉각 라인(120C)과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2 냉각 라인(130C)에서의 냉각 용량이 레이저 발생부(15C)와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냉각 탱크(110C)에 수용된 동일한 온도의 냉각 유체를 이용하여 발열량의 차이가 큰 두 부품, 즉 레이저 발생부(15C)와 핸드피스(17C) 모두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8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100C)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냉각 탱크(110C)는 의료기(10C)의 발열부, 즉 레이저 발생부(15C)와 핸드피스(17C)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등의 냉각 유체를 수용한다. 레이저 발생부(15C)와 핸드피스(17C)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냉각 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될 수 있으며, 레이저 발생부(15C) 및 핸드피스(17C)와의 열교환에 의해 승온된 냉각 유체는 다시 냉각 탱크(110C)로 복귀되어 설정된 온도로 다시 냉각될 수 있다.
냉각기(112C)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C) 내부에서 냉각 탱크(110C)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냉각 탱크(110C) 내 냉각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기(112C)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및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동 사이클에 의해 냉각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탱크(110C) 내에는 냉각 탱크(110C) 내에 수용된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124C)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C)는 이러한 제1 온도 센서(124C)에 의해 감지된 온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냉각기(112C)의 구동을 조절하여 냉각 유체의 온도를 레이저 발생부(15C)의 냉각에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섭씨 10℃ 정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온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냉각 라인(120C)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110C)와 레이저 발생부(15C) 사이에서 순환시켜 레이저 발생부(15C)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1 냉각 라인(120C)은 냉각 유체가 냉각 탱크(110C)와 레이저 발생부(15C)를 순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냉각 유체는 이러한 제1 냉각 라인(120C)을 따라 레이저 발생부(15C), 즉 LD 모듈(16C)을 통과하면서 레이저 발생부(15C)와 열교환을 일으켜 레이저 발생부(15C)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냉각 펌프(122C)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냉각 라인(120C)에 설치되어 제1 냉각 라인(120C)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냉각 라인(120C)과 이에 수반되는 제1 온도 센서(124C), 제1 유속 센서(126C) 및 제1 냉각 펌프(122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100C)의 메인 냉각 파트에 해당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기(10C)에서 레이저 발생부(15C)가 많은 열량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므로, 냉각 탱크(110C) 내 냉각 유체의 온도는 레이저 발생부(15C)의 냉각에 적합한 온도로 세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온도 센서(124C)에서 실시간 감지되는 온도값에 대응되어 냉각기(112C)가 구동되므로 냉각 유체의 온도는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제1 냉각 펌프(122C)의 구동 속도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냉각 유체의 유속도 거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럼에도 제1 냉각 라인(120C)을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은, 제1 온도 센서(124C)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 탱크(110C) 내 냉각 유체의 온도 및 제1 유속 센서(126C)에서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제1 냉각 펌프(122C)를 제어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으며, 이는 4개의 핸드피스(17C) 중 일부만이 시술에 사용되어 4개의 LD 모듈(16C) 중 일부만이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경우 등에 큰 실익이 있다.
즉 4개의 LD 모듈(16C) 중 일부만이 사용되어 레이저 발생부(15C) 전체의 발열량이 감소되는 경우 레이저 발생부(15C)를 통과하고 냉각 탱크(110C)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는 LD 모듈(16C)이 전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낮은 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냉각 탱크(110C) 내에 수용된 냉각 유체 또한 LD 모듈(16C)이 전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게 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어부(140C)는 제1 온도 센서(12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감소시키도록 제1 냉각 펌프(12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C)는 냉각 탱크(110C) 내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기설정되어 있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과 제1 유속 센서(126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을 비교하여, 유속 목표값에 대한 유속 측정값의 차이에 대응되도록 제1 냉각 펌프(122C)의 구동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냉각 유체의 유속을 추가 조절할 수 있다.
제2 냉각 라인(130C)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유체를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에서 순환시켜 핸드피스(17C)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2 냉각 라인(130C)은 냉각 유체가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를 순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냉각 유체는 이러한 제2 냉각 라인(130C)을 따라 핸드피스(17C)를 통과하면서 핸드피스(17C)와 열교환을 일으켜 핸드피스(17C)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 펌프(132C)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 라인(130C)에 설치되어 제2 냉각 라인(130C) 내에서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온도 센서(134C)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 라인(130C)에 설치되어 핸드피스(17C)를 경유하고 냉각 탱크(110C)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C)는 이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핸드피스(17C)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유속 목표값은 최대 유속에 대한 백분율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0 내지 100%)
즉 핸드피스(17C)의 발열량이 클수록 핸드피스(17C)를 경유하고 배출되는 냉각 유체의 온도는 증가되며 이는 핸드피스(17C)의 냉각을 위해 요구되는 냉각 용량이 증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C)는 미리 설정된 온도 설정값(온도 하한값, 온도 상한값)에 대한 온도 측정값의 편차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속이 미리 정해진 유속 목표값에 도달하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C)는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핸드피스(17C)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보다 작은 경우, 핸드피스(17C)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상태이므로 핸드피스(17C)의 냉각을 위해 요구되는 냉각 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고, 따라서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C)는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핸드피스(17C)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 보다 큰 경우, 핸드피스(17C)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이므로 핸드피스(17C)의 냉각을 위해 요구되는 냉각 용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따라서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C)는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른 상술한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 조절에도 불구하고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분 동안 냉각 유체의 온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최초 설정된 유속 목표값을 1%씩 증가시키며, 이는 10회에 걸쳐 이루어져 유속 목표값은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최초 설정되었던 값에 비해 최대 10%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 유체의 각 온도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각 유속 목표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제어부(140C)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세팅되어 있는 온도 하한값 또는 온도 상한값과 차이가 클수록 유속 목표값 또한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되거나 크게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C)는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이상 온도 상한값 이하인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현재 냉각 유체의 온도와 유속에 의해 결정되는 냉각 유체의 냉각 용량이 핸드피스(17C)의 냉각에 요구되는 양과 대응되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냉각 유체의 유속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작동도 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냉각 라인(130C)과 이에 수반되는 제2 온도 센서(134C) 및 제2 냉각 펌프(132C), 그리고 후술할 제2 유속 센서(136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100C)의 서브 냉각 파트에 해당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15C)는 핸드피스(17C)에 비해 고온의 열을 방출하여 레이저 발생부(15C)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핸드피스(17C)에서 발생되는 열량 보다 크게 되므로, 기본적으로,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는 제1 냉각 펌프(122C) 보다 작은 구동 속도로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 제2 유속 센서(136C) 및 제2 냉각 펌프(132C)를 이용하여 제2 냉각 라인(130C)의 유속을 제1 냉각 라인(120C)과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2 냉각 라인(130C)에서의 냉각 용량이 레이저 발생부(15C)와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냉각 탱크(110C)에 수용된 동일한 온도의 냉각 유체를 이용하여 발열량의 차이가 큰 두 부품, 즉 레이저 발생부(15C)와 핸드피스(17C) 모두에 대해 효과적으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2 유속 센서(136C)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 라인(130C)에 설치되어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를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C)는 이와 같이 제2 유속 센서(136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대응되게 설정되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과 제2 유속 센서(136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을 비교한 뒤, 유속 목표값에 대한 유속 측정값의 차이에 따라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C)는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과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의 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C)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과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의 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C)는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과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의 편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 이하인 경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유속 센서(136C)와 제2 냉각 펌프(132C)의 제어를 통해 유속 목표값과 실제 유속 측정값 간의 오차를 줄임으로써, 핸드피스(17C)에 대한 냉각을 보다 정밀하게 실시간 제어하여 냉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7C)는 복수로 마련되며, 제2 냉각 라인(130C), 제2 냉각 펌프(132C), 및 제2 온도 센서(134C)는 핸드피스(17C)에 대응되도록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핸드피스(17C)에 대해 핸드피스(17C) 냉각 수단이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이들은 제어부(140C)에 의해 개별적으로 독립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드피스(17C)의 사용 유무, 핸드피스(17C) 시술 부위 등에 따라 핸드피스(17C)간 발열량의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냉각 탱크(110C)만을 이용하여 각 핸드피스(17C)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 냉각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 유체를 제1 냉각 라인(120C)을 통해 냉각 탱크(110C)와 레이저 발생부(15C)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 냉각 유체를 제2 냉각 라인(130C)을 통해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단계,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냉각 유체의 유속을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 유속 센서 및 펌프를 이용하여 냉각 라인의 유속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냉각 탱크(110C)만을 활용하여 메인 냉각(레이저 발생부(15C))과 서브 냉각(핸드피스(17C))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본체(11C), 신호전달부(14C), 핸드피스(17C)를 포함하는 의료기(10C)와, 그 냉각을 위한 냉각 탱크(110C), 냉각기(112C), 제1 냉각 라인(120C), 제1 냉각 펌프(122C), 제1 온도 센서(124C), 제1 유속 센서(126C), 제2 냉각 라인(130C), 제2 냉각 펌프(132C), 제2 온도 센서(134C), 제2 유속 센서(136C), 및 제어부(140C)를 포함하는 의료기 냉각 장치(100C)의 각 구성 및 그에 따른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의료기(10C)를 냉각하는 제어 방법 자체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피시술자의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15C)를 냉각시키도록, 제1 냉각 펌프(122C)를 이용하여 냉각 유체를 제1 냉각 라인(120C)을 통해 냉각 탱크(110C)와 레이저 발생부(15C) 사이에서 순환시킨다(S110).
의료기(10C)에서 가장 많은 열을 발산하는 레이저 발생부(15C)에 대한 냉각 단계로, 레이저 발생부(15C)에 대한 적합한 냉각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섭씨 약 10도로 냉각 유체의 온도가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유체의 온도는 냉각 탱크(110C) 내에 설치된 제1 온도 센서(124C)를 이용한 냉각기(112C)의 제어를 통해 세팅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발생부(15C)의 사용 유무, 사용 시간 등 요인에 따라 레이저 발생부(15C)의 발산 열량이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냉각 탱크(110C) 내의 냉각 유체 온도도 변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1 냉각 펌프(122C)의 구동 속도를 증가/감소시켜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감소시킴으로써 레이저 발생부(15C)에서 요구되는 냉각 용량을 맞출 수도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기 위한 핸드피스(17C)를 냉각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를 이용하여 냉각 유체를 제2 냉각 라인(130C)을 통해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에서 순환시킨다(S120).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냉각 탱크(110C)만을 이용하여 발열량이 큰 레이저 발생부(15C)에 대한 메인 냉각과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작은 핸드피스(17C)에 대한 서브 냉각을 모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냉각 라인(130C) 역시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에 배치되어 냉각 탱크(110C)의 냉각 유체로 핸드피스(17C)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냉각 탱크(110C)를 이용한 독립 냉각 제어는 제2 냉각 라인(130C)에 설치된 제2 온도 센서(134C)와 제2 유속 센서(136C)를 이용하여 제2 냉각 펌프(132C)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핸드피스(17C) 냉각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를 이용하여 핸드피스(17C)를 경유하고 냉각 탱크(110C)로 복귀하는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한다(S120).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7C)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일대일 대응되어 제2 냉각 라인(130C), 제2 온도 센서(134C), 제2 유속 센서(136C) 및 제2 냉각 펌프(132C)가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핸드피스(17C)를 통과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Vs)으로 변화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유속 목표값(Vs)은 최대 유속에 대한 백분율로서 최대 유속은 100%로 설정될 수 있다.
핸드피스(17C)에서 발산되는 열량이 증가/감소될수록 핸드피스(17C)의 냉각에 요구되는 냉각 용량이 증가/감소되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감소시키는 것이다.
우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측정값(T)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온도 설정값(온도 하한값(Tl), 온도 상한값(Th))과 비교하고(S120), 이어서 다음과 같은 각 경우에 따라 제2 냉각 펌프(132C)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Tl)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T < Tl),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Vs)으로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킨다(S132).
그리고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Tl) 이상 온도 상한값(Th) 이하인 경우(Tl ≤ T ≤ Th),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킨다(S134).
그리고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Th)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T > Th),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Vs)으로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킨다(S136).
이 경우,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른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 조절에도 불구하고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분 동안 냉각 유체의 온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최초 설정된 유속 목표값(Vs)을 1%씩 증가시키며, 이는 10회에 걸쳐 이루어져 유속 목표값(Vs)은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최초 설정되었던 값에 비해 최대 10% 증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되는 냉각 유체의 각 온도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각 유속 목표값(Vs)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제어부(140C)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냉각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세팅되어 있는 온도 하한값(Tl) 또는 온도 상한값(Th)과 차이가 클수록 유속 목표값(Vs) 또한 그에 대응되게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속 센서(136C)를 이용하여 냉각 탱크(110C)와 핸드피스(17C) 사이를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한다(S140).
제2 유속 센서(136C)는 제2 냉각 라인(130C)을 순환하는 냉각 유체의 유속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 센싱값에 따라 유속 목표값(Vs)에 대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속 센서(136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추가로 조절한다.
제2 냉각 라인(130C) 내부의 상태, 제2 냉각 펌프(132C)의 상태 등 요인들로 인하여 기설정된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과 실제 유속 측정값(V) 간 편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추가로 조절하게 된다.
우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온도 센서(134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과 제2 유속 센서(136C)에 의해 감지된 냉각 유체의 유속 측정값(V)을 비교한다(S150).
보다 구체적으로, 핸드피스(17C)를 경유한 냉각 유체의 각 온도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과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V) 간 편차가 미리 설정된 유속 오차 허용값(L)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비교한다.
이어서, 유속 목표값(Vs)에 대한 유속 측정값(V)의 차이에 따라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조절한다. 본 단계는 다음과 같이 각 경우에 따라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V)과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의 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L)을 초과하는 경우(Vs - V > L),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S132).
또한 제어부(140C)는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V)과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의 편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L) 이하인 경우(-L ≤ Vs - V ≤ L),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S132).
그리고 냉각 유체의 유속 목표값(Vs)과 냉각 유체의 실제 유속 측정값(V)의 차가 유속 오차 허용값(L)을 초과하는 경우(V - Vs > L),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제2 냉각 펌프(132C)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S132).
이와 같이 제2 유속 센서(136C)와 제2 냉각 펌프(132C)의 제어를 통해 유속 목표값(Vs)과 실제 유속 측정값(V) 간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핸드피스(17C)에 대한 냉각을 보다 정밀하게 실시간 제어하여 냉각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시술용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를 구비하는 의료기의 핸드피스 및 레이저 발생부를 냉각하기 위한 의료기 냉각 장치 및 그 냉각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 냉각 장치는, 다양한 시술 목적 하에 레이저뿐만 아니라 초음파, 고주파 등과 같은 다양한 시술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부를 구비하는 의료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의료기 냉각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냉각 탱크를 이용하여 핸드피스와 에너지 발생부 모두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본체;
    신호전달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핸드피스;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LD 모듈; 및
    진동을 발생시켜 피시술자의 시술부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를 포함하여,
    상기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진동부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통한 지방조직의 이완시술과 상기 LD 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조사를 통한 지방조직의 분해시술을 수행할 수 있는, 지방분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를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핸드피스가 장착될 수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피시술자의 신체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지방분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핸드피스 몸체;
    상기 핸드피스 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부; 및
    상기 반사부에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를 확산시키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는 상기 핸드피스 몸체로 입사되는 레이저가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전달되도록 레이저 전달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이저 전달 통로의 내벽은, 상기 레이저 전달 통로의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상기 레이저 전달 통로가 확대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반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지방 분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상기 반사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반사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반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사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형성된 일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 중 상기 제2 반사면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지방 분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 중 상기 제1 반사면에 형성된 일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 중 상기 제2 반사면에 형성된 나머지보다 조밀하게 배치되는, 지방 분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진동부는 복수개의 상기 핸드피스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핸드피스에 각각 설치된 상기 진동부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복수개의 상기 핸드피스에 각각 적용되는 진동 세기 및 진동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지방분해장치.
  9.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피시술자의 지방 조직 분해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부,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된 레이저를 전달하는 레이저 전달부, 상기 레이저 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레이저를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로 조사하는 핸드피스, 및 진동을 발생시켜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지방 분해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로서,
    냉각 유체가 수용되는 냉각 탱크;
    상기 냉각 탱크 내의 상기 냉각 유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피시술자의 시술을 위한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상기 레이저 발생부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냉각 탱크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1 냉각 라인;
    상기 제1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냉각 라인 내에서 상기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1 냉각 펌프;
    레이저를 시술 부위에 조사하기 위한 상기 핸드피스를 냉각시키도록,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냉각 탱크와 상기 핸드피스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제2 냉각 라인;
    상기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냉각 라인 내에서 상기 냉각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제2 냉각 펌프;
    상기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피스를 경유하고 상기 냉각 탱크로 복귀하는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를 통과하는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기설정된 유속 목표값으로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상한값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하한값 이상 온도 상한값 이하인 경우,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유지시키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 탱크와 상기 핸드피스 사이를 순환하는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제2 유속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속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에 따라 상기 제2 냉각 펌프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탱크 내 수용된 상기 냉각 유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 탱크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 사이를 순환하는 상기 냉각 유체의 유속을 감지하는 제1 유속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량은 상기 핸드피스에서 발생되는 열량 보다 큰, 지방 분해기 냉각 장치.
PCT/KR2018/003572 2017-04-12 2018-03-27 지방 분해 장치 WO201819053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43A KR101868061B1 (ko) 2016-04-18 2017-04-12 레이저 및 진동을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KR10-2017-0047543 2017-04-12
KR1020170066852A KR101822165B1 (ko) 2017-05-30 2017-05-30 의료기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2017-0066852 2017-05-30
KR10-2017-0067846 2017-05-31
KR1020170067846A KR101831407B1 (ko) 2017-05-31 2017-05-31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34A1 true WO2018190534A1 (ko) 2018-10-18

Family

ID=6379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572 WO2018190534A1 (ko) 2017-04-12 2018-03-27 지방 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19053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639A (ja) * 2002-04-19 2003-11-05 Mitsunobu Miyagi レーザプローブ、レーザハンドピース並びに医療用レーザ装置
KR20090046324A (ko) * 2007-11-05 2009-05-11 김규 진동자를 구비한 레이져 치료기
KR20130005126A (ko) * 2011-07-05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지방 분해 시술용 핸드 피스
KR20160014740A (ko) * 2016-01-19 2016-02-11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 분해 장치
KR20160106941A (ko) * 2015-03-03 2016-09-13 (주)참메드 광원 수냉식 엔드스코프 시스템
KR20170119292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하이로닉 레이저 및 진동을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분해방법
KR101831407B1 (ko) * 2017-05-31 2018-02-22 주식회사 하이로닉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639A (ja) * 2002-04-19 2003-11-05 Mitsunobu Miyagi レーザプローブ、レーザハンドピース並びに医療用レーザ装置
KR20090046324A (ko) * 2007-11-05 2009-05-11 김규 진동자를 구비한 레이져 치료기
KR20130005126A (ko) * 2011-07-05 2013-01-15 (주)아모레퍼시픽 지방 분해 시술용 핸드 피스
KR20160106941A (ko) * 2015-03-03 2016-09-13 (주)참메드 광원 수냉식 엔드스코프 시스템
KR20160014740A (ko) * 2016-01-19 2016-02-11 주식회사 하이로닉 지방 분해 장치
KR20170119292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하이로닉 레이저 및 진동을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분해방법
KR101831407B1 (ko) * 2017-05-31 2018-02-22 주식회사 하이로닉 레이저 시술용 핸드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7030A1 (ko) 냉각장치 및 냉각방법
WO2020231216A1 (ko) 얼굴 미용기기 및 이에 이용되는 마스크 시트
WO2021206229A1 (ko)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드라이어
WO2014129732A1 (ko) 선집속 초음파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선집속 초음파 발생 장치
WO2015160064A1 (ko) 산광형 광섬유를 포함하는 프로브, 그 제조 방법 및 응용
WO2020060154A1 (en) Display device
WO2013180365A1 (en) Member for cotrolling luminous flux, method for fabricating the member,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WO2021177582A1 (ko) 피부 접촉을 센싱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10117142A2 (en) Air conditioner
WO2019172688A1 (ko) 공기조화기
WO2017164717A1 (ko) 센서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8084355A1 (ko) 고분해능 테라헤르츠파 집광모듈, 산란광 검출모듈 및 테라헤르츠파 베셀빔을 이용한 고분해능 검사 장치
WO2018190534A1 (ko) 지방 분해 장치
WO2011142632A2 (ko) 레이저 조사기
WO2021246759A1 (ko) 휴대용 ipl 살균장치 및 ipl 변기 살균 장치
WO2021177577A1 (ko) 씰링 부재가 구비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결합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020863A1 (ko) 피부 미백 마스크, 피부 미백 기기 및 이를 이용하는 피부 미백 방법
WO2020231033A1 (ko) 피부미용기기
WO2018230987A1 (ko) 피부 치료용 레이저 발생장치
WO2020222439A1 (ko) 초음파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기기
WO2018208066A1 (ko) 피부 치료용 레이저 발생장치
WO2019135617A1 (ko) 고주파 암 치료 장치
WO2021177581A1 (ko) 냉각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기기
WO2021118282A2 (ko) 약액 주입 장치
WO2020159022A1 (ko) 내시경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38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38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