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482A1 -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 Google Patents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482A1
WO2018190482A1 PCT/KR2017/012596 KR2017012596W WO2018190482A1 WO 2018190482 A1 WO2018190482 A1 WO 2018190482A1 KR 2017012596 W KR2017012596 W KR 2017012596W WO 2018190482 A1 WO2018190482 A1 WO 20181904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us bar
air
injection pipe
air injection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5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선
변재홍
공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Publication of WO20181904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4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Definitions

  •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of a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bus ba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both ends open and a hollow part formed therein; An air injection pipe having one end passing through the bus bar and disposed in the hollow part;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to generate a high-pressure air, the air supply unit disposed inside the case; comprising, wherein the bus bar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ong in the case, the air One end of the injection pipe is protruded more th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s bar is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the air supply unit, the motor; An air tank for storing the air supplied by the motor at a high pressur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consisting of, the high pressure external air is injected from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Hot air inside the bus bar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external air injected from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is mov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charge
  • the busbar When the hollow busbar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usbar is quickly discharged by discharging hot air inside the busbar to the outside by high pressure air injected through one end of the air injection pipe disposed inside the busbar. It can cool, and this can raise the energizing current amount and current density of a bus bar.
  • FIG.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witchboard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for a bus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rocess diagram of a cooling device for a bus ba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witchboard equipped with the cooling device of the bus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 a bus bar 20, an air injection pipe 30, and an air supply part 40.
  • the inclined portion 22 is bent to be inclin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jected by the air injection pipe (30).
  • the injected high-pressure air moves along the inclined lower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2, and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area at the portion where the inclined portion 22 is formed.
  • the narrowing effect is obtained as a nozzle, and thus high pressure air can be moved toward both ends of the bus bar body 21 at a highe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버스바를 냉각시킬 수 있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본 발명은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버스바를 냉각시킬 수 있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장치라 함은, 분/배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렇게, 여러 전력공급장치 중에서도 산업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공급장치에서는 배전반이 필수적인데, 배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공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고, 한국전력공사로부터 공급된 특별고압의 전기를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시설물의 정격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내부에는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는 다수개의 버스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스바는 전원 케이블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긴 금속의 제품을 총칭하며, 이러한 버스바는 케이블에 비해 방열효과가 크고, 또한 그 표면적이 넓어 도체의 표면에 흐르는 고주파 전류의 임피던스를 낮추어 줄 수 있어 전류가 큰 고전력의 배전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버스바의 크기를 줄이면서 효율적으로 통전전류량을 높이고, 버스바의 발열량을 낮추어 열전달량 및 전류밀도를 높일 수 있는 중공형상(터널형)의 버스바가 개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중공형상의 터널형 버스바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 내부의 중공부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져 버스바의 발열량을 낮출 수 있지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버스바 내부의 중공부에 존재하는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아 버스바의 통전전류량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은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중공형상의 버스바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버스바를 냉각시켜 발열량을 낮추고 통전전류량 및 전류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버스바와; 일단이 상기 버스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공기분사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은 상기 버스바의 내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고압으로 저장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에어탱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고압의 외부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스바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분사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버스바의 온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분사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한 공기 압력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된 공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공기분사관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는 상기 버스바의 개방된 양단방향으로 분사구가 형성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버스바의 양단방향으로 분사한다.
상기 버스바는, 내부에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버스바본체와; 상기 버스바본체의 일단과 타단이 사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버스바본체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버스바본체와 이격되며, 상기 버스바본체에 연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버스바본체의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버스바본체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흡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공기분사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된다.
상기 배전반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탱크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에 면접하여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중공형상의 버스바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버스바의 내부에 배치된 공기분사관의 일단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켜 상기 버스바를 냉각시킬 수 있고, 이로 통해 버스바의 통전전류량 및 전류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버스바의 온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고압 공기의 배출량 및 배출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중공부에 존재하는 뜨거운 공기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스바의 냉각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압력게이지에 의해 항상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에 경사부 및 흡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중공부에서 보다 빠르게 이동하고 외부 공기가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중공부로 유입되어 상기 버스바가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의 작동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의 작동과정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케이스(10)와, 버스바(20)와, 공기분사관(30)과, 공기공급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20), 공기분사관(30) 및 공기공급부(40) 등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20)는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중공부(25)가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도면과 같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20)는 세로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20)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버스바(20)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2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경우에는, 상기 버스바(20)에 대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버스바(20)의 중공부(25)에 존재하는 공기는 가열되어 뜨겁게 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2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버스바(20)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아 버스바(20)의 통전전류량이 낮아지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버스바(20)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본 발명에서는 공기분사관(30), 공기공급부(40) 등을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상기 버스바(20)를 냉각시켜 상기 버스바(20)의 통전전류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관(30)은 일단이 상기 버스바(20)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25)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된다.
위와 같은 상기 공기분사관(30)은 테프론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2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공기분사관(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분사관(30)과 상기 버스바(20) 사이에 절연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버스바(20)와 상기 공기분사관(30)이 절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은 상기 버스바(20)의 내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25)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은 상기 버스바(20)를 관통하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중공부(25)에 공기를 분사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는 상기 버스바(20)의 개방된 양단방향으로 분사구(31)가 형성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버스바(20)의 양단방향으로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사구(31)에는 배출공기 점점 작아지는 노즐이 장착되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 상기 버스바(20)의 개방된 양단방향으로 분사구(3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부(40)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버스바(20)의 개방된 양단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중공부(25)에 내부에 존재하는 뜨거운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관(30)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공기공급부(40)는, 모터(41)와 에어탱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41)는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탱크(42)에 저장한다.
상기 에어탱크(42)는 상기 모터(41)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고압으로 저장하고 상기 공기분사관(30)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에어탱크(4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배전반이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탱크(42)도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에 면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전반 내부의 공간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기 공기공급부(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고압의 외부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20)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스바(20)가 냉각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 이외에 보다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 조절밸브(51), 온도센서(52), 압력게이지(53), 제어부(54)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절밸브(51)는 상기 공기분사관(3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밸브(51)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이 전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센서(52)는 상기 버스바(20)에 장착되어 상기 버스바(20)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압력게이지(53)는 상기 공기분사관(30)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공급부(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온도센서(52)에서 측정한 상기 버스바(20)의 온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압력게이지(53)에서 측정한 공기 압력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51)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압력게이지(53)에서 측정된 공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조절밸브(51)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의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4)는 상기 압력게이지(53)에서 측정한 공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이 되지 않으면 상기 조절밸브(51)를 폐쇄하고,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조절밸브(51)를 개방하여 고압의 공기가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52)에서 측정한 상기 버스바(20)의 온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51)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고압 공기의 배출량 및 배출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중공부(25)에 존재하는 뜨거운 공기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스바(20)의 냉각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냉각장치의 작동과정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버스바(20)의 구체적인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버스바(20)는 버스바본체(21)와 경사부(22)와 흡입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버스바본체(21)는 내부에 중공부(25)가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 또는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일단과 타단이 사이에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22)는 일단이 상기 버스바본체(21)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버스바본체(21)와 이격되며,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버스바본체(21)에 연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배치된다.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버스바본체(21)에 1개 또는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공기분사관(3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분사관(30)이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공기분사관(30)을 기준을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경사부(2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관(30)의 일단에서 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경사부(22)의 경사진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고 특히 상기 경사부(22)가 형성된 부위에서 단면적이 좁아져 노즐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고, 이로 인해 고압의 공기가 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양단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23)은 상기 경사부(22)가 상기 버스바본체(21)에서 절개된 후 절곡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버스바본체(21)와 상기 경사부(22) 사이에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중공부(25) 내부에서 공기가 상기 버스바본체(21)의 양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흡입공(23)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중공부(25) 내부로 유입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버스바(20)를 보다 더 잘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전반에 적용되어 버스바를 냉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양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버스바와;
    일단이 상기 버스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공기분사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버스바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은 상기 버스바의 내주면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고압으로 저장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에어탱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고압의 외부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버스바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버스바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서 분사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버스바의 온도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한 공기 압력에 따라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게이지에서 측정된 공기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은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의 일단에는 상기 버스바의 개방된 양단방향으로 분사구가 형성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버스바의 양단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내부에 상기 중공부가 형성된 버스바본체와;
    상기 버스바본체의 일단과 타단이 사이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버스바본체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버스바본체와 이격되며, 상기 버스바본체에 연결된 일단을 중심으로 상기 버스바본체의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버스바본체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형성된 흡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공기분사관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탱크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반의 내측면에 면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PCT/KR2017/012596 2017-04-10 2017-11-08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WO20181904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12 2017-04-10
KR1020170046012A KR101812178B1 (ko) 2017-04-10 2017-04-10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82A1 true WO2018190482A1 (ko) 2018-10-18

Family

ID=6107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596 WO2018190482A1 (ko) 2017-04-10 2017-11-08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2178B1 (ko)
WO (1) WO2018190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7761B (zh) * 2019-11-13 2021-08-24 芜湖伊莱特电气有限公司 一种便于散热的配电控制设备
KR102371877B1 (ko) 2021-04-01 2022-03-08 주식회사 화인이엔티 쿨링 시스템을 이용한 배전반 버스바 냉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640A (ja) * 1999-11-09 2001-05-18 Toshiba Corp 母線装置
KR20090011780A (ko) * 2007-07-27 2009-02-02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KR20100137977A (ko) *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240468B1 (ko) * 2011-06-29 2013-03-11 대광중전기 주식회사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KR101707963B1 (ko) * 2012-06-05 2017-0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상분리 모선용 공기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482B1 (ko) 2008-10-22 2009-06-11 이광수 복층 관형 버스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6640A (ja) * 1999-11-09 2001-05-18 Toshiba Corp 母線装置
KR20090011780A (ko) * 2007-07-27 2009-02-02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KR20100137977A (ko) *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240468B1 (ko) * 2011-06-29 2013-03-11 대광중전기 주식회사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KR101707963B1 (ko) * 2012-06-05 2017-0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상분리 모선용 공기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178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26507B (en) Gas circuit breaker
WO2018190482A1 (ko)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WO2011052879A2 (ko) 축소 모델을 이용한 송전 선로 특성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N106451220A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及方法
WO2020138637A1 (ko) 배전반의 환기 시스템
CN212968739U (zh) 一种新型散热开关柜
CN205355660U (zh) 一种户外交流金属封闭环网开关柜
WO2019132237A1 (ko) 직류 차단기
CN108565766A (zh) 一种气体绝缘开关柜及并柜组合
CN210517446U (zh) 一种安全保护易保养的电力调整器
CN206195248U (zh) 带电更换同杆多回路杆塔上设备的旁路设备
WO2021015589A1 (ko) 이차전지 실링공정용 히터
CN209088399U (zh) 一种新型kyn中置式高压开关柜装置
CN106654869A (zh) 一种开关柜
CN208461317U (zh) 全绝缘型电压互感器gis柜
CN219394034U (zh) 一种便于电缆安装和维护的高压开关柜
CN219779429U (zh) 一种环保气体绝缘的高压开关柜
CN115954837A (zh) 一种气体绝缘型配电装置及其配电方法
CN213585122U (zh) 一种横向低压电缆分线箱开关
CN216355584U (zh) 一种具有温湿度自适应功能的开关柜
CN219394027U (zh) 一种电气导轨
CN208923778U (zh) 一种可有效散热的母线槽
CN214957999U (zh) 一种大电流高压开关设备
CN216872482U (zh) 一种小型高压柜用绝缘转接装置
CN207010060U (zh) 一种铠装移开式封闭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055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55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