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0468B1 -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468B1
KR101240468B1 KR1020110063765A KR20110063765A KR101240468B1 KR 101240468 B1 KR101240468 B1 KR 101240468B1 KR 1020110063765 A KR1020110063765 A KR 1020110063765A KR 20110063765 A KR20110063765 A KR 20110063765A KR 101240468 B1 KR101240468 B1 KR 10124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cooling
cooling devic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환
Original Assignee
대광중전기 주식회사
오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중전기 주식회사, 오석환 filed Critical 대광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은, 박스 및 상기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단기 및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알루미늄재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동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체로 구성된 복합 부스바이며, 상기 박스의 일측에는 상기 부스바의 내부 중공과 연통하여 공기를 직접 송풍 시키는 냉각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냉기가 발열하는 부스바의 내부로 직접 송풍 되어 냉각 작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송풍수단 내부에 설치된 열전소자의 출력 값에 따른 부스바의 표면온도에 따라 단계적인 송풍력을 제공하여 배전반에 대한 안전성과 전원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Distributing board having cooling device with copper-clad busbar}
본 발명은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도체(동피복)로 구성된 부스바와, 전기 저항에 발열하는 부스바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한전으로부터 공급된 특별고압의 전기를 공장, 빌딩, 병원, APT단지, 및 각종 산업 시설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시설문의 정격에 맞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의 배전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전반은 벽면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돌출되게 설치되는 박스(10)와, 상기 박스(10)내에 설치되는 부스바(20)와, 상기 부스바(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차단기(30)와, 상기 부스바(20)를 복수개 이상 연결하는 연결구(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외부고압의 전력은 상기 부스바(20)와 차단기(30)를 순차적으로 거침으로써 정격에 맞는 안정된 전력으로 변환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전반이 전기 사용량이 많은 대규모 공장이나 통신업체에 설치될 경우, 상기 부스바(20)의 배치 및 연결구조도 함께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전기저항으로 인한 과열현상에 의해 주변기기가 타서 붙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은 상기 부스바(20)가 발열하는 현상에 대하여 직접 냉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스바(20)로부터 발열되는 과열현상은 단순히 자연대류에 의한 공냉식에만 의존함에 따라 그 온도가 높아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전력공급량은 감소함에 따라 전력이 변동적으로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스바의 과열된 온도에 대응하여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체적으로 냉각 효과가 뛰어나게 설계된 부스바를 구비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은,
박스, 및
상기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단기 및 부스바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알루미늄재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동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체로 구성된 복합 부스바이며, 상기 박스의 일측에는 상기 부스바의 내부 중공과 연통하여 공기를 직접 송풍 시키는 냉각송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스바는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의 점적률에 대한 상기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률의 비가 0.1~0.3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송풍수단은 제어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송풍 팬과, 상기 송풍 팬 앞에 설치되어 냉각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스바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의 출력 값을 해석하여 상기 부스바의 표면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부스바의 표면온도에 따라 단계적인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 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송풍 팬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축되어, 복수의 상기 부스바와 최단 거리로 연결되고, 상기 송풍 팬과 복수의 상기 부스바와의 거리에 따라 그 직경을 달리하여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 내부에는 상기 부스바와 상기 차단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차단기 접속단자와 타단에 형성된 부스바 연결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 연결단자에는 부스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순환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외측에 냉각송풍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냉기가 발열하는 부스바의 내부로 직접 송풍 되어 냉각 작용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 팬이 부스바의 온도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송풍 량을 제공하여 배전반에 대한 안전성과 전원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구를 통해 다수의 부스바를 연결함으로써, 단일모선 사용으로 냉각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다중 모선 설치 시 필요한 압착 부위가 없어 내부응력 상승이 없고, 중공형 모선 적용으로 동일한 공간에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열발산 능력이 향상되고, 이로 인해 전류 별 최대 단면적을 종래의 편형 부스바보다 줄임으로써 콤팩트하고 경량의 배전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을 도시한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냉각송풍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부스바의 통전특성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전된 교류 전류에 의해 한 주기 동안 복합 부스바의 열 발생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부스바의 온도 상승 특성 평가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부스바의 자연대류 상태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1000)은 크게, 박스(100)와, 상기 박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기(200) 및 부스바(300)와, 상기 다수개의 부스바(300)를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기(200)와 부스바(3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400)와, 상기 부스바(300)를 냉각시키는 냉각송풍수단(5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박스(100)는 건물 벽면에 설치되고 외부의 전력선이 연결되며 전면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박스(10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기(200)는 박스(100)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전력과 직접 통전되고 공급받은 전류에 대하여 과전류가 흐르면 이를 차단하는 주차단기와, 상기 주차단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부하장치(미도시)로 출력시키는 부차단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300)는 전술한 주차단기와 부차단기를 상호 연결시켜 통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부스바(300)는 전기 사용량이 많은 대규모 시설물에 설치되는 하나의 모선만을 사용하여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가정용 등의 소규모에 적용되는 부스바(300)에는 그 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는 자선부스바(미도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부스바(300)는 내부가 중공의 상태로 이루어지며, 그 외형은 사각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전반에 대한 안정성과 전원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스바에 정격전류 통전 시, 도체(부스바)의 최대 상승온도가 허용온도 이하가 되도록 부스바를 냉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중공의 상태로 이루어진 부스바(300) 내부로 냉각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는 동시에, 부스바(300) 자체의 열발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스바(300) 서로 다른 복수의 도체로 구성된 복합 부스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부스바(300)는 내부에 알루미늄재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동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체로 구성된 복합 부스바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의 점적률에 대한 상기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률의 비가 0.1~0.3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예로,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의 점적률이 0.7이고, 그 외부를 둘러싸는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률이 0.3인 복합 부스바의 통전 특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복합 부스바에 1600Arms, 60Hz의 전류를 흘려주었을 때, 전류밀도 세기는 구리 및 알루미늄의 전기 전도도 차이에 의해 구리영역에 집중되며, 이에 따라 전자기력의 세기는 전류가 집중되어 있는 외피의 구리영역에서 크게 발생한다.
부스바에서 발생하는 열은 부스바를 구성하는 도체의 내부 저항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통전된 교류 전류의 한 주기 동안의 열 발생 분포를 도시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열은 점적율이 작은 외피의 구리영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는 구리영역의 열발생이 알루미늄 영역에서의 열손실보다 더 큰 것에서 비롯되며, 구체적으로 통전 전류의 한 주기 동안 315 J/m의 열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부스바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구리영역의 열발생을 줄이고, 알루미늄 영역에서의 열손실을 늘릴 필요가 있는데, 이는 복합 부스바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와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율을 조절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합 부스바의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의 점적률에 대한 상기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률의 비가 0.1~0.3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한 시험 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합 부스바의 온도 상승 특성 평가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시험에서의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와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율은 각각 0.7, 0.3이고, 주변 온도는 20°C이며, 도체온도 상승 폭의 시험 기준치는 50도 미만인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시험 결과, 3시간 통전 후, 부스바의 최대 온도는 55도에 수렴하였고, 최대온도 상승량은 35도이므로, 시험 기준치인 50도 미만의 목표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400)는 상기 부스바(300)들, 또는 상기 부스바(300)와 차단기(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부스바(300)와 차단기(20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위와 아래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착탈 결합되는 상측 연결구와 하측 연결구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부스바(300)와 차단기(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400)의 구조만이 도시되었으며, 부스바(3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와 그 결합 구조 및 효과에 있어서 차이가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부스바(300)와 차단기(200)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40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호 착탈 결합되는 상측 연결구 및 하측 연결구 각각은 본체부(410)와 상기 본체부(410)의 일단에 형성된 차단기 접속단자(430)와 타단에 형성된 부스바 연결단자(420)로 구성된다.
통전 시 부스바의 최대도달온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도체의 내부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량(Q1)과 발생된 열 에너지를 주변으로 전달하는 냉각량(Q2)이 같아지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49736915-pat00001
구체적으로 부스바를 수평으로 포설할 경우, 부스바의 자연대류 상태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동에 의한 난류 발생으로 최대온도는 부스바와 차단기가 연결된 부스바의 상부 표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부스바의 상부 표면을 집중적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부스바 연결단자(420)에 순환배출구를 형성함으로써, 부스바 내부의 공기가 이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상기 상측 연결구와 하측 연결구는 나사, 볼트, 리벳 등을 사용하여 고정결합 되고, 특히, 상기 연결구(400)는 순환배출구가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의 부스바(300)에 적용되었더라도 후술할 냉각송풍수단(500)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용이하게 전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400)는 "T"자 및 "L"자형 외에도 "+"자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스바(30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400), 또는 상기 부스바(300)와 차단기(2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400)의 연결부위에는 방열탄성 도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방열탄성 도료는 에틸렌(Ethylene), 프로필렌(Propylene), Non-conjugated Diene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로 Sulfur, Peroxide, Phenol Resin, 방사선 등으로 가황할 수 있으며, 특히 Dinene은 Sulfur 가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방열탄성 도료는 내오존성, 내후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이 뛰어나고 다른 합성고무에 비해 비중이 작으며, 충전제 오일 등의 고충전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매우 뛰어나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에서의 연결부위에 상술한 방열탕성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부스바(300)에서의 열방사(확산)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400)에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에서의 중공형 동관 단자와의 볼트 결합 등을 통해 연결구(400)는 전력 케이블과 연결된다.
즉, 전력 케이블은 중공형 동관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력 케이블이 접속된 동관 단자를 연결구(400)에 연결함으로써, 전력 케이블과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구(400)에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모델이 상이한 전력 케이블과 부스바의 연결도 가능하다.
냉각송풍수단(500)은 부스바(300)가 전류의 전기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열을 신속히 냉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BCS(Bus bar Cooling System)라고도 한다.
이러한 상기 냉각송풍수단(500)은 상기 박스(100)의 외측 면에 설치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와의 접촉면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송풍수단(500)은 제어부를 구비한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 내에 설치되는 송풍 팬(520)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스바(300)에 연통되는 연결부재(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 팬(520)은 제어부(550)의 작동 지시 값에 따라 단계적인 송풍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케이스(510)에는 부스바(300)에 대한 냉각 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전소자(54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는, 송풍 팬(520)에 의한 냉각 작용은 한계가 있으므로 열전소자(540)에서 발생되는 냉각된 공기를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부스바(30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열전소자(540)는 송풍 팬(520)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고, 제어부(550)는 상기 열전소자(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열전소자(540)의 출력 값을 해석하여 상기 부스바(300)의 표면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부스바(300)의 표면온도에 따라 단계적인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 팬(520)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부스바와 접촉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온도센서의 출력 값에 따라 제어부가 송풍 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온도센서는 부스바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출력 값의 정확성에 대하여 의문이 있었고, 온도센서를 차폐막으로 감싸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별도의 비용 및 설치 공간 상의 문제로 인해 해결이 쉽지 않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온도센서, 또는 차폐막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별도의 로직(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열전소자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해석하여 부스바의 표면온도를 추적함으로써, 종래의 온도센서의 센싱 데이터의 정확성, 설치 시 공간 또는 비용적인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530)는 송풍 팬(520)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구축되어, 복수의 부스바(300)와 최단 거리로 연결되어, 냉각된 공기를 중공형 부스바(300) 내부로 직접 전달한다. 도 4에서는 연결부재(530)가 서로 다른 송풍 홀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연결부재(530)가 1개의 송풍 홀과 연결되고, 분기되는 형태로 복수의 부스바(300)와 연결되는 실시예까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530)는 송풍 팬(520)과 복수의 상기 부스바(300)와의 거리에 따라 그 직경을 달리하여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각각의 부스바(300)에 대한 고른 냉각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 팬(520)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쪽의 부스바(300)와 연결된 연결부재(530)는 상대적으로 그 직경을 크게 하고,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의 부스바(300)와 연결된 연결부재(530)는 상대적으로 그 직경을 작게 하여, 각각의 부스바(300) 내부에 단위 시간 당 전달되는 냉각 공기의 양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부스바(300) 전체에 고른 냉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1000)은 몸체(100)의 외측에 냉각송풍수단(50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냉각송풍수단(500)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가 발열하는 부스바(300)의 내부로 직접 전달되고 그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작용을 실시한 후 상기 순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일련의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부스바(300)에 대한 냉각 작용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1000: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100: 박스
200: 차단기
300: 부스바
400: 연결구
500: 냉각송풍수단

Claims (9)

  1. 박스와, 상기 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단기 및 부스바와, 상기 박스의 일 측에서 상기 부스 바의 내부 중공과 연통하여 공기를 직접 송풍시키는 냉각송풍수단과, 상기 부스바와 상기 차단기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바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알루미늄재의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동 재질로 이루어진 피복체로 구성된 복합 부스바이며,
    상기 박스와 상기 냉각송풍수단은 상기 냉각송풍수단 내부에 설치된 송풍 팬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구축되어, 복수의 상기 부스바와 최단 거리로 연결되고, 상기 송풍 팬과 복수의 상기 부스바와의 거리에 따라 그 직경을 달리하여 설계된 중공의 연결부재로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구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형성된 차단기 접속단자와 타단에 형성된 부스바 연결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부스바 연결단자에는 부스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순환배출구가 형성된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중심체의 점적률에 대한 상기 동 재질의 피복체의 점적률의 비가 0.1~0.3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송풍수단은,
    제어부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송풍 팬;
    상기 송풍 팬 앞에 설치되어 냉각된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전소자; 및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스바에 연결되는 중공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의 출력 값을 해석하여 상기 부스바의 표면온도를 출력하고, 상기 부스바의 표면온도에 따라 단계적인 송풍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송풍 팬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는 직경이 상이한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서의 중공형 동관 단자와의 볼트 결합을 통해 상기 연결구는 전력 케이블과 연결되는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연결부위에는 열방사(확산)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방열탄성 도료가 코팅되어 있는 것
    인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20110063765A 2011-06-29 2011-06-29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KR10124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65A KR101240468B1 (ko) 2011-06-29 2011-06-29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65A KR101240468B1 (ko) 2011-06-29 2011-06-29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468B1 true KR101240468B1 (ko) 2013-03-11

Family

ID=4818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65A KR101240468B1 (ko) 2011-06-29 2011-06-29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6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58B1 (ko) * 2017-01-12 2017-03-22 현대건설 주식회사 Dc 전력량계
KR101808693B1 (ko) * 2017-04-10 2018-01-18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용 버스바의 냉각 장치
KR101812178B1 (ko) * 2017-04-10 2018-01-30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CN107785850A (zh) * 2016-08-26 2018-03-09 江苏向荣电气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母线插接箱
KR20180076531A (ko) * 2016-12-28 2018-07-06 오석환 버스바의 자가발전식 냉각 장치
WO2020209509A1 (ko) * 2019-04-08 2020-10-15 엘에스일렉트릭㈜ 기중 차단기용 온도상승 방지장치
KR20200127612A (ko) * 2019-05-03 2020-11-11 오석환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336A (ja) * 1999-12-20 2001-06-29 Asahi Glass Co Ltd 耐熱耐油性電線
KR20090011780A (ko) * 2007-07-27 2009-02-02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KR20100137977A (ko) *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336A (ja) * 1999-12-20 2001-06-29 Asahi Glass Co Ltd 耐熱耐油性電線
KR20090011780A (ko) * 2007-07-27 2009-02-02 대진전기 (주) 수배전반의 전력선용 부스바
KR20100137977A (ko) * 2009-06-24 2010-12-31 오석환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5850A (zh) * 2016-08-26 2018-03-09 江苏向荣电气有限公司 一种高稳定性母线插接箱
KR20180076531A (ko) * 2016-12-28 2018-07-06 오석환 버스바의 자가발전식 냉각 장치
KR101714658B1 (ko) * 2017-01-12 2017-03-22 현대건설 주식회사 Dc 전력량계
KR101808693B1 (ko) * 2017-04-10 2018-01-18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배전반용 버스바의 냉각 장치
KR101812178B1 (ko) * 2017-04-10 2018-01-30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WO2018190482A1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버스바의 냉각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WO2020209509A1 (ko) * 2019-04-08 2020-10-15 엘에스일렉트릭㈜ 기중 차단기용 온도상승 방지장치
KR20200127612A (ko) * 2019-05-03 2020-11-11 오석환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KR102230392B1 (ko) * 2019-05-03 2021-03-22 오석환 배전반, 무정전 전원장치(ups), 버스덕트의 셀프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468B1 (ko) 동피복 중공형 부스바에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배전반
JP3226511U (ja) 第1入力端子管を第2入力端子管に接続する入力端子タブを備えた装置
CN107078652B (zh) 具有多部分式壳体和内部冷却空气通道的逆变器
EP2280460B1 (en) Power switchgear
KR101226635B1 (ko) 냉각효율이 향상된 일체형 배전반
US20170166324A1 (en) Power distribution connector
KR20100137977A (ko) 냉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CN213817242U (zh) 直流供电装置和变压整流供电系统
KR20140055602A (ko) 유선형의 요철구조를 갖는 부스바
CN208141928U (zh) 带温控的铝壳电阻器
CN206773132U (zh) 一种gis设备内部接头过热故障模拟试验装置
JP6674015B2 (ja) 充放電器
CN204858285U (zh) 一种无孔封闭母线系统及断路器转接器组件
CN212779621U (zh) 变电站线路连接处温度监测装置
KR101558847B1 (ko) 화재예방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접속함
CN204361621U (zh) 建筑室内用插座分电器
CN112217184A (zh) 变电站3/2接线保护死区故障的消除方法
CN211654733U (zh) 一种户外高压断路器的套管结构
CN208567112U (zh) 一种控制器外置的家用暖风机
CN107591263B (zh) 一种控制与保护开关
KR101016764B1 (ko) 블로워 및 원통형 부스바를 이용한 수배전반
SE531237C2 (sv) Kylning av högspänningsanordningar
CN105762028B (zh) 一种断路器的触臂和制造该触臂的方法
CN213339788U (zh) 一种防潮电缆
CN216436353U (zh) 一种转向可调母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