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6590A1 -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6590A1
WO2018186590A1 PCT/KR2018/002371 KR2018002371W WO2018186590A1 WO 2018186590 A1 WO2018186590 A1 WO 2018186590A1 KR 2018002371 W KR2018002371 W KR 2018002371W WO 2018186590 A1 WO2018186590 A1 WO 20181865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re
bending path
virtual
teet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23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호, 정재웅, 최광선 filed Critical 정연호
Publication of WO20181865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65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Defini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 Dental treatment refers to a series of treatments for preventing, diagnosing, and treating diseases and abnormal conditions of the maxillofacial region including teeth, surrounding tissues, and oral cavity.
  • Orthodontic treatment simply means correcting various skeletal inconsistencies that may occur during the growth process, including straightening of the crooked teeth, so that they can function normally and produce healthy oral tissue and beautiful facial appearance.
  • Orthodontic wires are often used in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tooth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patient's teeth, such as the shape of the tooth to produce the correct shape of the wire for orthodontics is a prerequisite for shortening the procedure period and improving the treatment effect. Therefore, for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the orthodontic wire must be precisely shaped according to the oral structure of each patient.
  • Such a method of forming the orthodontic wire was often performed by hand by a dentist or a dental technician after floating a mold (model) in the oral cavity including a tooth.
  • the molding quality of the orthodontic wire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the work cost and work time can be greatly increased, which acts as an increase factor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cost. do.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method for generating a bending path of the orthodontic wire.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that can easily form the wire along the wire bending path and reduce the bending molding cost of the orthodontic wire.
  • scan data is generated using a 3D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a virtual 3D tooth model is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and the virtual Create an occlusal plane for a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of, create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create an occlusal plane where the virtual plane meets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and virtually along the occlusal pl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which generates a bending path of a wire by generating a dot and outputs a bending path of the wire.
  • the tooth scan data may be produced as a gypsum model after obtaining the tooth sound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for the plurality of teeth, and the scan data may be gener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the produced gypsum model.
  • the tooth scan data may directly generate scan data of the plurality of teeth using a 3D scanner.
  • the occlusal plane of the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may be a virtual plane connecting the three or mo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 the occlusal plane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plurality of teeth.
  • the virtual plane may be adjusted at least one of tilt and height.
  • the wire bending path may generate at least three or more virtual points for each tooth.
  • the virtual points may be three or more points generat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pective teeth and the central portion.
  • the virtual points can adjust the left, right, front, back, height, and can be controlled in only one direction when moving the position.
  • the virtual points may be further generated between each of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spective tooth and the central portion.
  • the wire bending path may be generated to set the thickness of the wire so that the wire does not penetrate the boundary of the occlusal surface.
  • the output data for the wire bending path may correspond to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ire.
  • control board for converting the coordinates for bending the wire through the data output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th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and the motor of the machine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verted coordinates, conversion It provides a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wire designed through the coordinates.
  • a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is gener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the oral cavity of a target patient, and the occlusal plane and the virtual plane are generated for the generated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By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along the occlusal surface where it meets, the shaping path of the orthodontic wire can be easily set.
  • the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manufactures wires according to a set wire path,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anual work, thereby simplifying a method of forming wires, and reducing work cost and work time. can do.
  •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calib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creen show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reen showing an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creen illustrating a virtu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creen illustrat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creen illustrat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100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eps, but at least some of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 order, in combination with other steps, omitted, divided into substeps, or not shown. One or more steps may be added and performed.
  • generating scan data using a 3D scanner for a plurality of teeth in a mouth of a target patient (S101).
  • Generat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through the generated scan data (S102), generating an occlusal plane for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nd generating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S103), generating an occlusal surface where the virtual plane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meet (S104), generating a virtual point along the occlusal surface to generate a bending path of the wire (S105), And outputting a bending path of the wire (S106).
  • the tooth scan data is produced as a gypsum after obtaining the tooth shape by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for a plurality of teeth, and the scan data using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for the produced gypsum model Can be generated.
  • the tooth scan data may be generat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directly in the oral cavity for a plurality of teeth without producing a separate gypsum model.
  • the data obtained by the 3D scanner may be obtained from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may be obtained in a form recorded in a storage device.
  • the data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a 3D STL (Stereolithography) file. Can be.
  • FIG. 2 is a screen showin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eeth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creen showing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A screen show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occlus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Figure 5 shows a screen showing a virtual pl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creen showing a path of a wire is shown.
  • the scan data generated and stored as an STL file is loaded by a computer to form a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includes a plurality of teeth. For each of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can be generated.
  • the occlusal plane 210 generated for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200 is generated in a form in which three or more points of the plurality of teeth are connected in succession.
  •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eg,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 a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is automatically generated as a virtual plane form following the three highest points 221. 222 and 223 of the plurality of teeth. 200) may be formed for each of the formed upper and lower jaws.
  • a virtual plane 230 is generated that is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virtual plane 230 may include any three of the generated occlusal planes 210, as shown in FIG. 4.
  • Shafts 241, 242 and 243 are formed, which are formed by the user adjusting at least one of tilt and height.
  • step S104 the occlusal surface 250 where the virtual plane 230 generated by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occlusal plane 210 and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tooth model 200 meet each other. 6 is generated, and as shown in FIG. 6, in the step (S105), virtual points 261, 262, at positions where the occlusal surface 250 passes with respect to the tooth surface of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dental model 200. 263 is generated to generate a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 At least thre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may be generated for each tooth, and specifically, th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may be generated as shown in FIG. 5. It may consist of three or more points generated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261 and 263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262 and the central portion of each tooth.
  • FIG. 7 is a screen showing a path of a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that generate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are 0.1 at the left and right boundaries 261 and 263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262 of the tooth, respectively. It can be generated at mm intervals, and as shown in FIG. 7, the virtual points 264, 265, and 266 can be added between the three virtual points 261, 262, and 263 to create a more detailed path. Can be.
  •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can be changed by adjusting the left, right, front, back, height for each virtual point 261, 262, 263 as necessary,
  • the structure may be controlled in only one direction.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icknesses may be classified and outpu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ire 300 used when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is output. As disclosed in 8,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the tooth 270 may be adjusted to be non-penetrating. That is, the bending path of the wire 300 sets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to generate the wire so as not to penetrate the boundary of the occlusal surface 250.
  • the output data for the wire 300 bending path may be adjusted in a form generated on the line 310 connecting the center poi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ire 300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wire 300.
  •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wire bending path for orthodontics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and used in a computer.
  • the recording medium is not limited to USB, CD, etc., and may be used in not only an office laptop computer but also a terminal device of a user such as a tablet PC and a smartphone.
  • the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generate a wire orthodontic wire bending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re manufactur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ntrol board and a motor for converting coordinates for bending wires through data output by the wire bending path generation method.
  • the motor may generate a wire in a predesigned shape through the converted coordin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 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서 교합평면 및 가상평면을 생성하여 이들이 만나는 교합면에 따라 와이어 벤딩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 경로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치과 치료는 치아와 그 주위 조직 및 구강을 포함한 악안면 영역의 질병이나 비정상적 상태 등을 예방하고 진단하며 치료를 도모하는 일련의 치료를 의미한다.
최근 구강 위생 상태를 개선하고 건강한 치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진료 이외에 교정 치료가 많이 수행된다. 교정 치료란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포함,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 및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만들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교정 치료 과정에서 교정용 와이어가 많이 사용된다. 교정환자의 치아배열, 치아모양 등의 치아 구조에 따라 정확한 형상의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제작하는 것이 시술기간을 단축시키고 시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교정 치료를 위해서, 치아 교정용 와이어는 각각의 환자의 구강구조에 따라 정교하게 성형되어야 한다.
이러한 치아 교정용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은 치아를 포함한 구강 내부의 틀(모형)을 뜬 뒤 치과의사 또는 치기공사 등에 의하여 수작업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이 수작업 방법에 의하여 교정용 와이어가 성형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품질이 좌우되고,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이 크게 증가할 수 있고 이는 교정 치료비용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이 단순화되고, 교정용 와이어의 벤딩 성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벤딩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와이어 벤딩 경로에 따라 와이어를 간단하게 성형하고 교정용 와이어의 벤딩 성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Wire)의 벤딩(Bending)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원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가상평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평면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가상의 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에 생성되는 3개 이상의 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이동 시에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들 각각의 사이에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와이어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합면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와이어를 벤딩하는 좌표를 변환하는 제어 보드 및 상기 변환된 좌표를 통하여 기계의 모터가 제어되고, 변환된 좌표를 통해 디자인된 상기 와이어의 형상에 따라 벤딩하는 와이어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제조 장치로 제조되는 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서 교합평면 및 가상평면을 생성하여 이들이 만나는 교합면에 따라 와이어 벤딩 경로를 생성함으로써, 치아 교정용 와이어의 성형 경로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설정된 와이어 경로에 따라 와이어 제조 장치가 와이어를 제조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와이어를 성형하는 방법이 단순화되고, 작업 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1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100)은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01),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는 단계(S102),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는 단계(S103),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는 단계(S104),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S105),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101) 단계에서, 치아 스캔 데이터는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치아 스캔 데이터는 별도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지 않고,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구강 내에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를 성형하는 과정을 더욱 단순화 할 수 있다.
이때, 3차원 스캐너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는 컴퓨터 및 컴퓨터와 연결된 주변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저장 장치에 기록되는 형태로 획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차원 STL(Stereolithography) 파일로 생성 및 저장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합평면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평면을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STL 파일로 생성 및 저장된 스캔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로드 되어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은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 각각에 대해서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103) 단계에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에 대해 생성되는 교합평면(210)은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의 점(221. 222, 223)을 이은 가상평면 형태로서 자동으로 생성되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이 형성된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합평면(210)과 평행한 가상평면(230)을 생성하게 되며, 이러한 가상평면(230)은 도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생성된 교합평면(210)에 대해서 임의의 3개의 축(241, 242, 243)을 형성하고, 이를 사용자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S104) 단계에서, 교합평면(210)의 위치 조절에 의해서 생성된 가상평면(230)과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이 만나는 교합면(250)이 생성되고, 도 6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S105) 단계에서,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200)의 치면에 대해서 교합면(250)이 지나가는 위치에 가상의 점(261, 262, 263)을 생성하여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생성한다.
이때, 가상의 점(261, 262, 263)은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생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가상의 점(261, 262, 263)은 도 5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262) 및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261, 263)에 생성되는 3개 이상의 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의 경로를 나타내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생성하는 가상의 점(261, 262, 263)은 치아의 중앙 부위(262)를 기준으로 좌우 경계부(261, 263)에 각각 0.1mm 간격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가상의 점(261, 262, 263) 사이에 가상의 점(264, 265, 266)을 추가하여 좀더 세밀한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05)에서,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가상의 점(261, 262, 263)에 대해서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고, 각각의 가상의 점(261, 262, 263)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S106)에서,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를 출력할 때 사용되는 와이어(300)의 종류에 따라 굵기를 구분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도 8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300)의 굵기에 따라, 치아(270)를 비관통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와이어(300)의 벤딩 경로는 와이어(300)의 두께를 설정하여 와이어가 교합면(250)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한다.
따라서, 와이어(300)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와이어(300)의 굵기를 고려하여, 와이어(300)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310) 상에서 생성되는 형태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USB, CD 등 제한을 두지 않으며 사무용 랩탑 컴퓨터뿐만 아니라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단말 기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제조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와이어 제조장치는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통해 와이어를 벤딩하는 좌표를 변환하는 제어보드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변환된 좌표를 통해 기 디자인된 형상으로 와이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대상 환자의 구강내 복수의 치아에 대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통하여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에 대해 교합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평면과 평행한 가상평면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평면과 상기 가상의 3차원 치아모형이 만나는 교합면을 생성하고,
    상기 교합면을 따라 가상의 점을 생성하여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와이어의 벤딩 경로를 출력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 인상재를 이용하여 치아음형을 채득한 이후 석고 모형으로 제작하고, 제작된 석고모형에 대해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아 스캔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치아에 대해서 직접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캔데이터를 생성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치아모형의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가장 높은 3개 이상의 점을 이은 가상평면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합평면은 상기 복수의 치아의 상악 및 하악의 각각에 대하여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상평면은 기울기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각각의 치아에 대해 적어도 3개 이상의 가상의 점들을 생성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에 생성되는 3개의 이상의 점인,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좌, 우, 앞, 뒤,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이동 시에는 한 방향으로만 제어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점들은 상기 각각의 치아의 중앙 부위 및 상기 중앙 부위에 대해 좌우 경계부들 각각의 사이에 추가로 생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는 와이어의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교합면의 경계를 비관통하도록 생성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벤딩 경로에 대한 출력 데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수직 단면에 대한 중앙점을 잇는 선에 해당하는,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하나의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용 기록매체.
  14. 청구항 1 내지 12 중 하나의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통하여 와이어를 벤딩하는 좌표를 변환하는 제어 보드 및 모터를 포함하고,
    변환된 좌표에 따라 기 디자인된 형상으로 상기 모터가 제어되어 상기 와이어를 벤딩하는, 와이어 제조 장치.
  15. 청구항 14에 따른 와이어 제조 장치로 제조되는, 와이어.
PCT/KR2018/002371 2017-04-06 2018-02-27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WO20181865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608A KR102019164B1 (ko) 2017-04-06 2017-04-06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KR10-2017-0044608 2017-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590A1 true WO2018186590A1 (ko) 2018-10-11

Family

ID=637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2371 WO2018186590A1 (ko) 2017-04-06 2018-02-27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19164B1 (ko)
WO (1) WO20181865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0264A1 (en) * 2021-03-05 2022-09-08 YOAT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orthodontic wi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8493B (zh) * 2020-06-01 2021-05-2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基于弯制点角距比和的正畸弓丝变角度划分方法
KR102196811B1 (ko) * 2020-10-28 2020-12-30 요트 주식회사 z축 벤딩을 방지하는 와이어 가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961A (ko) * 2010-02-24 2011-08-31 박영석 치열교정 치료를 위한 교정장치 제작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와, 치열교정 치료 시스템
KR20130048202A (ko) * 2010-02-25 2013-05-09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동적 가상 교합기
KR20130075744A (ko) * 2010-05-17 2013-07-05 에이치 32 치열 교정용 아치 또는 고정용 아치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이에 따라 제조되는 치열 교정용 아치 또는 고정용 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용 기기
KR101606668B1 (ko) * 2015-01-13 2016-03-25 조건제 치아 교정 장치 제조 방법
KR101658113B1 (ko) * 2014-12-29 2016-09-21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컴퓨터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굽힘점 및 굽힘각도 산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2966B2 (ja) * 1995-04-14 2005-07-20 株式会社ユニスン 歯科用予測模型の作成方法および作成装置
AU2003277136A1 (en) * 2002-09-26 2004-04-19 Ormco Corporation Custom orthodonti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KR101480147B1 (ko) 2013-06-05 2015-01-07 (주)Sy이노베이션 치열 교정을 위한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961A (ko) * 2010-02-24 2011-08-31 박영석 치열교정 치료를 위한 교정장치 제작 제어 방법 및 기록매체와, 치열교정 치료 시스템
KR20130048202A (ko) * 2010-02-25 2013-05-09 쓰리세이프 에이/에스 동적 가상 교합기
KR20130075744A (ko) * 2010-05-17 2013-07-05 에이치 32 치열 교정용 아치 또는 고정용 아치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이에 따라 제조되는 치열 교정용 아치 또는 고정용 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열 교정용 기기
KR101658113B1 (ko) * 2014-12-29 2016-09-21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컴퓨터를 이용한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굽힘점 및 굽힘각도 산출 방법 및 그 프로그램
KR101606668B1 (ko) * 2015-01-13 2016-03-25 조건제 치아 교정 장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0264A1 (en) * 2021-03-05 2022-09-08 YOAT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orthodontic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275A (ko) 2018-10-16
KR102019164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4971B2 (en) Generating a virtual patient depiction of an orthodontic treatment
US20230414322A1 (en) Photo realistic rendering of smile image after treatment
CN107106258B (zh) 具有用于未长出或者长出中的牙齿的腔体的牙科矫正器
KR101547112B1 (ko)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KR101252278B1 (ko) 치과 치료용 웨이퍼 제작 서비스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
WO2018186590A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벤딩 경로 생성 방법
WO2018164391A1 (ko) 3차원 하이브리드 영상 구축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교정 시스템
WO2017111184A1 (ko) 치아 모델링 방법
US11957533B2 (en) Aligner stage analysis to obtain mechanical interactions of aligners and teeth for treatment planning
CN104323865A (zh) 正畸微螺钉植入用导板及其制作方法
KR101218388B1 (ko) 투명 교정기 제조용 교정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TWI438732B (zh) 使用立體定位導引系統之植牙生體贋復物成形的整合性方法
JP6029220B1 (ja) 歯列矯正用セットの提供方法
WO2010013986A2 (ko) 연조직배열 변환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치과용기구
CN112545680B (zh) 一种隐形矫治器的制作方法及系统
CN107280783B (zh) 用于模拟牙齿矫正效果的牙科器械及其制作方法
JPH09206319A (ja) 有床義歯設計支援装置
WO2023191577A1 (ko) 다이렉트 3d 프린팅용 투명교정 장치를 위한 쉘 디자인 처리 방법
US20220280264A1 (en) Method for generating bending path of orthodontic wire
EP3679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igning an abutment
KR20240052264A (ko) 라미네이트 박편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7338453A (zh) 一种基于生物力学计算的无托槽隐形矫治器的设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16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3/01/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16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