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9739A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9739A1
WO2018139739A1 PCT/KR2017/012305 KR2017012305W WO2018139739A1 WO 2018139739 A1 WO2018139739 A1 WO 2018139739A1 KR 2017012305 W KR2017012305 W KR 2017012305W WO 2018139739 A1 WO2018139739 A1 WO 20181397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groove
protrusion
polarity display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30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준섭
강일오
문대연
우민욱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84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49444B/zh
Priority to US16/480,130 priority patent/US11133553B2/en
Priority to EP17894347.8A priority patent/EP3576178A4/en
Publication of WO20181397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97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01M50/26Assemblies sealed to each other in a non-detach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밀봉력 향상을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갖고,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를 갖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단면의 형상이 상부면,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잇는 측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면에는 상기 상부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위치하는, 실링 부재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본 발명은 밀봉력이 향상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밀봉력이 향상된 배터리 팩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갖고,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를 갖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단면의 형상이 상부면,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잇는 측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면에는 상기 상부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위치하는, 실링 부재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실링 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인입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하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는 극성 표시탭 및 상기 극성 표시탭과 상기 실링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극성 표시탭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에만 극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 측으로 오픈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극성 표시탭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끼움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홈은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표시탭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극성 표시탭 및 제2 극성 표시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홈에는 상기 제1 극성 표시탭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끼움홈에는 상기 제2 극성 표시탭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극성 표시탭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는 폐루프(closed-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1 격벽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최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2 격벽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력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실링 부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팩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를 결합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150)를 갖는 하부 케이스(100), 하부 케이스(100) 상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200),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부(300) 및 홈부(150)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400)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스(100)는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배터리부(30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는 하부 케이스(100)와 대향하도록 하부 케이스(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배터리부(300)는 하부 케이스(100)에 의해 완전히 수용될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부(300)의 일부가 하부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부(300)의 일부가 하부 케이스(100)의 상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부 케이스(200) 역시 하부 케이스(100)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부(300)가 하부 케이스(100)에 완전히 수용되는 경우 상부 케이스(200)는 사각의 플랫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100)에는 외부 단자(1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단자(110)는 배터리 팩에 내장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경우에 따라 외부 단자(110)에는 버스 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단자(110)는 버스 바를 통해 리드 플레이트(320)에 접속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단자(11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제2 외부 단자(110a, 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부 단자(110a)는 양극성을 갖고, 제2 외부 단자(110b)는 음극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부 단자(110a)는 제1 리드 플레이트(32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외부 단자(110b)는 제2 리드 플레이트(3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제2 외부 단자(110a, 110b)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 일단 및 타단의 전극과 연결된 제1, 제2 리드 플레이트(320a, 32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200) 사이에는 실링 부재(400)가 개재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는 하부 케이스(100)의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150)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3 내지 도 6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부(30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을 수용하는 셀 홀더(310), 셀 홀더(310)로부터 노출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전극을 덮도록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셀 홀더(31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셀 공간(S)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셀 홀더(310)는 원형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을 수용하기 위한 원기둥 형상의 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셀 홀더(310)는 각각의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에 대응하여 다수의 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셀 홀더(31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을 개재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1, 제2 셀 홀더(310a, 310b)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홀더(310)는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매트릭스 배열을 수용하도록 4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셀 홀더(310)를 수용하도록 4 측면의 사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배열은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리드 플레이트(320)는 셀 홀더(310)로부터 노출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전극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리드 플레이트(320)로부터 연장된 리드 탭(미도시)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양단에는 서로 다른 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전극은 제1, 제2 셀 홀더(310a, 310b)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의 전극은 리드 플레이트(320)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리드 플레이트(320)를 통하여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은,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용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요구되는 전기적인 출력에 부합되는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플레이트(320)는, 셀 홀더(31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리드 플레이트(320a)와, 셀 홀더(310)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리드 플레이트(320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리드 플레이트(320a)는 제1 셀 홀더(310a)의 외측, 즉, 제1 셀 홀더(310a)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리드 플레이트(320b)는 제2 셀 홀더(310b)의 외측, 즉, 제2 셀 홀더(310b)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드 플레이트(320a)는 제1 셀 홀더(310a)로부터 노출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 일단의 전극을 덮도록 배치되고, 제2 리드 플레이트(320b)는 제2 셀 홀더(310b)로부터 노출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350)들 타단의 전극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 플레이트(320a)는 제1 셀 홀더(310a)로부터 노출된 배터리 셀 일단의 전극을 서로 연결해주고, 제2 리드 플레이트(320b)는 제2 셀 홀더(310b)로부터 노출된 배터리 셀 타단의 전극을 서로 연결해줄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리드 플레이트(320a, 320b)는, 제1, 제2 셀 홀더(310a, 310b)로부터 노출된 일단과 타단의 전극을 교번되게 연결해줌으로써, 서로 이웃한 열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 팩에 내장된 다수의 배터리 셀은 요구되는 전기적인 출력에 맞추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 혼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팩의 하부 케이스(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실링 부재(400)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홈부(150)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홈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홈부(150)는 하부 케이스(100)의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폐루프(closed-loop)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는 이러한 홈부(150)에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100)를 패킹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 하부 케이스(100, 200)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0)를 외부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링 부재(40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링(o-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는 극성 표시탭(410) 및 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극성 표시탭(410)은 실링 부재(40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412)에 의해 실링 부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에서는, 극성 표시탭(410)이 연결부(412)에 의해 실링 부재(400)에 연결된 것과 같이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극성 표시탭(410)은 실링 부재(400)로부터 연장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극성 표시탭(410)은 실링 부재(4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이러한 극성 표시탭(410)은 일면(410') 및 일면(410')과 반대되는 측의 타면(410'')을 갖는 플랫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극성 표시탭(410)의 일면(410')에는 + 또는 -의 극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극성 표시는 극성 표시탭(410)의 일면(410')에만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극성 표시탭(410)의 타면(410'')에는 극성 표시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케이스(100)의 홈부(150)에 실링 부재(400)를 삽입하는 방향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실링 부재(400)를 삽입하는 방향을 가이드하여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극성 표시가 있는 극성 표시탭(410)의 일면(410')이 상측면이 되고, 극성 표시가 없는 극성 표시탭(410)의 타면(410'')이 하측면이 되도록, 실링 부재(400)를 홈부(150)에 삽입할 수 있다.
극성 표시탭(410)은 제1 극성 표시탭(410a) 및 제2 극성 표시탭(4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극성 표시탭(410a)에는 양극성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극성 표시탭(410b)에는 음극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링 부재(400)가 각각 2개씩의 제1 극성 표시탭(410a) 및 제2 극성 표시탭(410b)을 구비하고 있으나, 제1, 2 극성 표시탭(410a, 410b)의 위치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극성 표시탭(4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연결부(412)에 의해 실링 부재(400)에 연결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가 삽입되는 하부 케이스(100)의 홈부(150)는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측으로 오픈된 끼움홈(112)을 가질 수 있다. 극성 표시탭(410)은 연결부(412)가 끼움홈(112)에 삽입됨으로써 끼움홈(112)에 고정될 수 있다.
*끼움홈(112)은 제1 끼움홈(112a) 및 제2 끼움홈(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홈(112a)에는 제1 극성 표시탭(410a)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끼움홈(112b)에는 제2 극성 표시탭(410b)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극성 표시탭(410a)은 제1 연결부(412)가 제1 끼움홈(112a)에 삽입됨으로써 제1 끼움홈(112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극성 표시탭(410b)은 제2 연결부(412)가 제2 끼움홈(112b)에 삽입됨으로써 제2 끼움홈(112b)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131)에는 배터리부(300)가 삽입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극성 표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극성 표시부(130)는 양극 표시부(130a)와 음극 표시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양극 표시부(130a)는 제1 외부 단자(110a)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음극 표시부(130b)는 제2 외부 단자(110b)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극성 표시부(130)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면(131)의 네 모서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극성 표시탭(410)은 극성 표시부(1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끼움홈(112)이 극성 표시부(13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홈(112)은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하부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극성 표시탭(410)이 이러한 끼움홈(1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실링 부재(400)는 돌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420)는 폐루프로 형성되는 실링 부재(400)의 일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의 홈부(150)에는 상술한 돌기부(420)를 수용할 수 있는 돌기 수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수용부(120)는 홈부(150)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3에서는, 돌기 수용부(120)가 홈부(15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돌기 수용부(120)는 홈부(15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부(420) 및 돌기 수용부(120)에 의해 실링 부재(400)의 삽입 방향을 결정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배터리 팩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00)를 결합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400)는 단면의 형상이 상부면(401), 하부면(403) 및 상부면(401)과 하부면(403)을 잇는 측부면을 가질 수 있다.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은 상부 케이스(200)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실링 부재(400)가 가압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은 상부 케이스(20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가압된 실링 부재(400)에 의해 밀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의 측부면에는 상부면(401)과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40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02)는 실링 부재(400)의 단면의 양측에 형성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돌출부(402)는 실링 부재(400)의 단면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후술하는 것과 같이, 돌출부(402)가 홈부(150)의 인입홈(154)에 끼워짐에 따라 실링 부재(400)가 홈부(150)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돌출부(402)는 실링 부재(400)의 단면의 양 측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 부재(400)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은 상부 케이스(200)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이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실링 부재(400)의 밀봉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링 부재(400)의 하부면(403)은 단부가 원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실링 부재(400)를 홈부(150)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실링 부재(400)의 하부면(403)은 단부가 반드시 원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실링 부재(400)의 단면의 형상은 돌출부(402)로부터 하부면(403)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402)가 형성된 부분의 폭이 가장 넓고, 돌출부(402)로부터 하부면(403)의 단부로 갈수록 대략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도록 폭이 점점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실링 부재(400)를 홈부(150)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홈부(150)는 하부 케이스(100)의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15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1 격벽(151) 및 하부 케이스(100)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격벽(152)을 포함할 수 있다. 홈부(150)의 폭은 홈부(150)의 최하단부(153)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홈부(150)의 최하단부(153)를 기준으로 제1 격벽(151)의 높이(h1)는 제2 격벽(152)의 높이(h2)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에 위치한 제1 격벽(151)의 높이(h1)를 제2 격벽(152)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함에 따라, 만약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 제2 격벽(152) 보다 높게 형성된 제1 격벽(151)을 통해 실링 부재(400) 이외에도 보조적으로 배터리부(300) 측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한번 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홈부(150)의 내측면(154)에는 인입홈(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홈(154)는 실링 부재(400)의 돌출부(402)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하지 않았을 경우, 실링 부재(400)의 돌출부(402)는 홈부(150)의 인입홈(15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돌출부(402)와 인입홈(154)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공간(S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에 결합하였을 경우,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실링 부재(400)의 상부면(401)이 가압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실링 부재(400)의 형상에 변형이 일어난다. 즉, 상부 케이스(200)에 의해 상부면(401)이 가압된 실링 부재(400)는 압력에 의해 양 옆으로 퍼지게 되고, 따라서 돌출부(402)는 인입홈(154)에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홈부(150)의 최하면과 실링 부재(400)의 하측부 사이에도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공간 역시 상술한 것과 동일한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실링 부재(400)의 돌출부(402)가 홈부(150)의 인입홈(154)에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402)와 인입홈(154)이 후크(hook)의 기능을 하여 실링 부재(400)가 홈부(15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 부재(400)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Claims (14)

  1. 내부에 공간을 갖고, 외곽 상면의 소정의 폭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 홈부를 갖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고, 단면의 형상이 상부면,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잇는 측부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면에는 상기 상부면과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위치하는, 실링 부재;
    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한 인입홈이 형성된,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상부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접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가 상기 실링 부재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의 상기 인입홈에 결합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하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극성 표시탭 및 상기 극성 표시탭과 상기 실링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표시탭은 일면 및 상기 일면의 반대측에 타면을 가지며, 상기 일면에만 극성이 표시된, 배터리 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 측으로 오픈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극성 표시탭은 상기 연결부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끼움홈에 고정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제1 끼움홈 및 제2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표시탭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극성 표시탭 및 제2 극성 표시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움홈에는 상기 제1 극성 표시탭이 고정되며, 상기 제2 끼움홈에는 상기 제2 극성 표시탭이 고정되는, 배터리 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2 극성 표시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배터리 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폐루프(closed-loop) 형상을 갖는, 배터리 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1 격벽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홈부의 최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2 격벽의 높이보다 높은, 배터리 팩.
PCT/KR2017/012305 2017-01-26 2017-11-02 배터리 팩 WO20181397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84775.3A CN110249444B (zh) 2017-01-26 2017-11-02 电池组
US16/480,130 US11133553B2 (en) 2017-01-26 2017-11-02 Battery pack
EP17894347.8A EP3576178A4 (en) 2017-01-26 2017-11-02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973 2017-01-26
KR1020170012973A KR102356940B1 (ko) 2017-01-26 2017-01-26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739A1 true WO2018139739A1 (ko) 2018-08-02

Family

ID=6297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305 WO2018139739A1 (ko) 2017-01-26 2017-11-02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33553B2 (ko)
EP (1) EP3576178A4 (ko)
KR (1) KR102356940B1 (ko)
CN (1) CN110249444B (ko)
WO (1) WO2018139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127A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EP4176484A2 (en) * 2020-07-02 2023-05-10 Arrival Limited A battery module and a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220A (ja) * 1996-08-23 1998-03-03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ーフレームのシール構造
JP2011194982A (ja) * 2010-03-18 2011-10-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
JP2012124131A (ja) * 2010-12-10 2012-06-28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CN205248331U (zh) * 2015-12-02 2016-05-18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壳体和包括该电池箱壳体的汽车
KR20160116566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921B2 (ja) * 1988-09-28 1994-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法
JP2005122917A (ja) * 2003-10-14 2005-05-12 Mitsutoyo Corp 収納体、電池収納部、測定器および電子機器
JP5141090B2 (ja) 2007-05-16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US20090162732A1 (en) * 2007-12-21 2009-06-25 Marc Noblet Fuel cell employing perimeter gasket with perceivable orientation indicator
US9130224B2 (en) 2009-07-06 2015-09-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JP5182277B2 (ja) 2009-12-03 2013-04-1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JP5452252B2 (ja) 2010-01-27 2014-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1154877A (ja) * 2010-01-27 2011-08-11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収納部のシール装置
CN102110797A (zh) 2011-01-26 2011-06-29 崔荣龙 电动汽车用阀控式密封铅酸蓄电池
JP5474864B2 (ja) * 2011-04-15 2014-04-16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防水性カバー部材およびそれに用いるカバー本体、ならびに防水性カバー部材の製造方法
US9466819B2 (en) 2012-03-07 2016-10-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5857819B2 (ja) 2012-03-16 2016-02-1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3644899U (zh) * 2013-12-25 2014-06-11 惠州市德赛电池有限公司 一种带电量管理的锂电池封装结构
JP6201797B2 (ja) 2014-02-12 2017-09-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
CN105794017B (zh) * 2014-03-25 2019-06-28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系统
KR102263200B1 (ko) * 2015-01-19 2021-06-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205028931U (zh) * 2015-09-30 2016-02-10 天能集团江苏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密封圈压入的电池盖及套筒配合结构
CN204966567U (zh) * 2015-10-12 2016-01-13 东风汽车公司 一种电动汽车动力电池的密封结构
CN205881954U (zh) * 2016-01-12 2017-01-11 北京华特时代电动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包密封结构
CN205542939U (zh) * 2016-01-26 2016-08-31 深圳市倍特力电池有限公司 一种防水锂离子电池
CN106410075A (zh) * 2016-05-30 2017-02-15 成都联腾动力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电动汽车的高密封等级电池包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220A (ja) * 1996-08-23 1998-03-03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ーフレームのシール構造
JP2011194982A (ja) * 2010-03-18 2011-10-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バッテリーケース
JP2012124131A (ja) * 2010-12-10 2012-06-28 Mitsubishi Motors Corp バッテリケース
KR20160116566A (ko) *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팩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205248331U (zh) * 2015-12-02 2016-05-18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壳体和包括该电池箱壳体的汽车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76178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9444B (zh) 2022-10-18
CN110249444A (zh) 2019-09-17
US20190341590A1 (en) 2019-11-07
KR102356940B1 (ko) 2022-01-28
EP3576178A1 (en) 2019-12-04
EP3576178A4 (en) 2021-04-21
KR20180088196A (ko) 2018-08-03
US11133553B2 (en)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6010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08252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7052050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2128484A2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5152637A1 (ko) 텐션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0067665A1 (ko) 배터리 셀 조립체, 이러한 배터리 셀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7217641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7078306A1 (ko) 전지 모듈
WO2019124795A1 (ko)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WO2018128249A1 (ko) 배터리 팩
WO2019235724A1 (ko) 개선된 냉각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WO2018199521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4027786A1 (ko)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WO2019172545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4126339A1 (ko)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8048160A1 (ko) 이차전지
WO2020138819A1 (ko) 정확한 온도 센싱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9078553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5064902A1 (ko) 개선된 체결구조를 갖는 센싱 모듈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WO2018208020A1 (ko)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18052189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5046798A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19022407A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17217643A2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20138848A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4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94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