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8512A1 -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8512A1
WO2018128512A1 PCT/KR2018/000382 KR2018000382W WO2018128512A1 WO 2018128512 A1 WO2018128512 A1 WO 2018128512A1 KR 2018000382 W KR2018000382 W KR 2018000382W WO 2018128512 A1 WO2018128512 A1 WO 20181285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nonionic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3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민지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76,73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42724B2/en
Priority to EP18736455.9A priority patent/EP3567093B1/en
Publication of WO20181285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8512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25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non-ionic
    • C11D1/8255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non-ionic containing a combination of compounds differently alcoxylised or with differently alkylated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15Polyesters or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8(Co)polymerised monomers containing sulfur, e.g. sulf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for removing partial stains.
  • the commonly used partial laundry detergent is applied to the stain portion of the clothing or sprayed in a spray form, and then remove the stain of the clothing using a washing machine.
  • These conventional partial laundry detergents use a product having an alkali or a weak alkaline liquid, which is effective for removing stains or stains on cotton or shirts.
  • the conventional partial washing detergent is usually used 15 to 30% of the ratio of the surfactant, and more than 30%, using a washing machine or the like, there is a hassle to rinse with water. Since it requires a rinsing process with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for clothes using dry cleaning.
  • Patent No. KR10-1647204 discloses a portable stain remover using potassium hydroxide, but since it uses potassium hydroxid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for protein cloth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hrinkage of clothing occurs when baking soda is used.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al detergent composition that can also be used in protein clothing such as wool / silk.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al detergent composition to maintain a high washing rate while lowering the proportion of the surfactant.
  •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tial 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which does not change the effect even in long-term storage, and maintains the washing rate.
  • Part of th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a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b)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c)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d) nonionic contaminants (SRN); e) water soluble solvents; And f) water,
  • n is an integer of 2 to 50.
  • R1 is a straight alkyl, alkenyl or alkynyl group having 9 to 18 carbon atoms
  • R2 is hydrogen or straight alkyl
  • EO is ethylene oxide
  • p is The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the ethylene oxide is 4 to 15
  • PO is the propylene oxide
  • q is the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the propylene oxide, and is 2 to 6.
  • R 3 is a straight alkyl, alkenyl, or alkynyl group having 12 to 18 carbon atoms, CH 2 CH 2 O (EO) is ethylene oxide, and x represents an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ethylene oxide. to be.)
  • the polymer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of a) includes 1 to 10% by weight, and has a viscosity of 20000 cps or more, so that local contamination of clothes may be removed through the cross link structure of Chemical Formula 1.
  • the sum of the nonionic surfactant of b) and the nonionic surfactant of c) can be used not more than 10% by weight.
  •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0.1 to 10% by weight of the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b) 0.5 to 3%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formula (2); c) 1 to 6%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formula (3); d) 1 to 6% by weight of nonionic contaminants (SRN); e) 1 to 20% by weight of a water-soluble solvent; g) 10 to 20% by weight alkylene glycol; And f) water is formed in the remaining weight%.
  • Part of th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polymer having a structure of formula (1) at a viscosity of more than 20000cps, it is effective to remove the contamination of protein clothing by increasing the viscosity without using alkali, high viscosity to minimize the dye transfer of clothing And most of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an be used to decontamination.
  • the partial deter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polymer of the structure of formula (1) lowering the ratio of the surfactant, simply rinsed in the stained portion without the rinsing process can be washed only by wiping, simply removes partial stain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tial 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 a partial 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a 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1), b)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formula (2), c)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formula (3), and d) nonionic pollutant discharge. (SRN), e) a water soluble solvent and f) water.
  •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of this embodiment contains 1 to 10% by weight of the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of a), and maintains a viscosity of 20000 cps or more.
  • the sum of the nonionic surfactant of b) and the nonionic surfactant of c) does not exceed 10% by weight.
  •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0.1 to 10% by weight of a polymer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b) 0.5 to 3% by weight of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c)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to 6% by weight of the nonionic surfactant, d) 1 to 6% by weight of the nonionic pollutant (SRN), e) 1 to 20% by weight of the water-soluble solvent, and f) the balance of water.
  •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10-20 wt% of g) alkylene glycol.
  •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the stains on clothes such as wool / silk, which is impossible to wash the water, and afterwa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artial washing excellent in the decontamination effect even without performing separate water washing.
  • the polymer used in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n is an integer of 2 to 50.
  • the polymer used in the formula (1) has an excellent loosening ability to water, it is excellent in partial stain removal ability. However, when the polymer is more than 10%,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do not loosen, it is preferable to use within the range of 10% by weight.
  • the polymer used in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serves as a thickener for increasing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and in the following, in comparison with the thickeners generally used in laundry detergents, the difference is compared.
  • the viscosity is increased by hydrogen bonding with water, and the carboxylic acid (Carboxylic acid group) is present in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viscosity through the neutralization process.
  • carboxylic acid Carboxylic acid group
  • alkali is added to increase the viscosity.
  • the clothing is damaged and cannot be used when used in clothing of protein material such as wool, silk or cashmere, which is weak to alkali.
  • the polymer according to Chemical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utral material, the viscosity increases immediately after dissolving in water, thereby shortening the production time.
  • the polymer according to Chemical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ckened, it has a weak acidity of pH 4.5 to 5.5, so that the polymer can be used for clothing.
  • the polymer according to the general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ross-linked (cross-linked) as a copolymer is excellent in the ability to remove fat-soluble and water-soluble miso, thus, the ability to replace the surfactant is improved. In addition, no white thickener appearance remains on the garment after drying.
  • the clothing when the viscosity is maintained at 20000 cps or more, the clothing may be minimized from smearing onto the back of the target or being transferred to the back of the clothing.
  • the polymer of the general formula (1) is more preferable when it maintains a viscosity of 30000 cps or more since it is hardly transferred to the back of the garment.
  • Polymer sulfonic acid that can be used as the polymer of Formula 1 and Carbomer or 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which are used as general thickener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he data according to Table 1 were prepared by comparing a viscosity of 30,000 cps by preparing a thickener of 1% solution, and the thickener according to Formula 1 was also compared with a composition maintaining a viscosity of 20000 cps.
  • Example 2 was prepared by raising the viscosity using Triethanol amine (Triethanol amine). Since the viscosity of the product was superior to the pH in terms of use, the pH was not separately controlled.
  • Table 2 below shows the criteria for the conditions comparing the polymer sulfonic acid, carbomer and CMC of Table 1 above. Looking at Table 1 with reference to Table 2 below, when using a polymer sulfonic acid as a spot cleaner thickener, it can be seen that the loosening property against the water faster than the general thickener, and has excellent ability to remove false balls. In addition, stains do not occur after treatment and drying, there is little clothing shrinka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wool / silk. In addition, there is stability even when mixed with solvent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back of the clothing dye.
  •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in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 R1 is a linear alkyl, alkenyl, or alkynyl group having 9 to 18 carbon atoms
  • p represents an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ethylene oxide
  • q represents the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propylene oxide (Propylene Oxide) is 2 to 6.
  •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in Chemical Formula 2 does not generate bubbles at room temperature (25 ° C to 30 ° C) because of a low cloud point (CP). Therefore, the rinsing process using water required due to the foaming is omitted. However, even if no bubbles are generated, the washing ability is maintained, and particularly, the ability to remove hydrophobic contamination to remove oil is excellent.
  •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in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 R 3 is a straight alkyl, alkenyl or alkynyl group having 12 to 18 carbon atoms, CH 2 CH 2 O (EO) is ethylene oxide, and x represents an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ethylene oxide.
  • the nonionic surfactant used in Chemical Formula 3 is a raw material capable of emulsifying wells in water in a surfactant having a low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 Part of th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roduct to be used without rinsing in water, if more than 6% stains occur in silk clothes, etc., it is to be within 6% of the concentration does not occur when left in clothing desirable. However, if only a small amount of less than 1% is affected because the washing 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more than 1%.
  • the nonionic surfactant of Chemical Formula 3 includes nonionic surfactant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3-1 and 3-2.
  • R 3 is a straight alkyl, alkenyl or alkynyl group having 12 to 18 carbon atoms, CH 2 CH 2 O (EO) is ethylene oxide, and x represents an average added mole number of ethylene oxide. .
  • Surfactants of Formulas 3-1 and 3-2 may be used in the range of use of the surfactants whose sum is represented by Formula 3.
  • 0.5 to 5% by weight of the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1 and 0.5 to 5% by weight of the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3-2 may be used.
  • nonionic pollutant is abbreviated as "SRN".
  • SRN the nonionic pollutant
  • the most preferred nonionic SRN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oxyethylene terephthalate copolymer (so called PET-POET) sold by Clariant under the trade name TexCare® SRN.
  • Preferred polyester SRNs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exCare® SRN 100 and TexCare® SRN300, each of which is available from Clariant.
  • preferably 1% to 6% of nonionic contaminan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re included in the partial deter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exCare® SRN 100 can be labeled as 100 moles of nonionic pollutant and TexCare® SRN300 can be labeled as 300 moles of nonionic pollutant.
  • 3% to 0.5% of 100 mole of nonionic contaminants and 3% to 300 moles of nonionic contaminant exhibit excellent effects in terms of cleaning. (See Table 3)
  • Alkylene glycol is ineffective in cleaning performance, but can be used for long-term storage stability. Alkylene glycol can be applied to prevent clothing damage and to prevent freezing due to the high viscosity of the product. Alkylene glycol prevents the freezing of the com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crosslink structure of the polymer represented by Formula 1 from being broken or modified.
  • Alkylene glycol used in the partial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 R 4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when y is 1, and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oxide having 1 to 6 carbon atoms as y is 2 to 50.
  • the alkylene glycol is less than 10%, there is almost no freezing protection effect, and if the viscosity is 20% or more, the viscosity of the product is lowered, so it is preferable to use 10 to 20% by weight.
  • the water-soluble solvent is the part added for quick drying.
  • a water-soluble solvent By using a water-soluble solvent, the viscosity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usability is not deteriorated, and the deodorizing and deodorizing effect is further maintained.
  • Soluble solv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medicinal solvent that can be mixed with water, ethanol (Ethanol, EtOH), n-propanol (n-Propanol, NPA), isopropanol (Iso-Propanol, IPA), N-butanol (N- Buthanol, NBA), N-pentanol (N-Penthanol, NPA) and N-hexanol (N-Hexanol, NHA)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thickeners described in Table 3 or Table 4 were tested by adjusting the polymer sulfonic acid used in Table 1 in the thickener represented by Formula 1 to a viscosity of around 30000 cps.
  • nonionic surfactant having the structure of Chemical Formula 2 ethylene oxide / propylene oxide copolymer 1101 (EO / PO copolymer1101) was used, and the nonionic surfactant having the structure of Chemical Formula 3-1 was lauryl alcohol (Lauryl). Alcohol EO7) was used, and the nonionic surfactant having the structure of Chemical Formula 3-2 was ethylethanol secondary alcohol (Secondary alcohol EO-9).
  • nonionic fouling agent 100 moles of nonionic fouling (TexCare® SRN 100) and 300 moles of nonionic fouling (TexCare® SRN 300) were used as the nonionic fouling agent (SRN).
  • Water-soluble solvents we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ethanol (Ethanol, EtOH) and isopropanol (Iso-Propanol, IPA), the propylene glycol (alkyl glycol) having a structure of the formula (4) to prevent freezing. The above configuration was adjusted at each ratio, and then the total composition ratio was adjusted to 100% using water.
  • Table 3 and Table 4 respectively show the clea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s shown in Table 5 below, the washing performance was determined by using a color difference meter in relation to washing by a washing machine.
  • the surfactant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rmula 3-1 and a nonionic surfactant represented by the formula 3-2 It was confirmed that the sum of these values was 95% or more even at 3% or less. Even if 2% of the nonionic contaminant was added thereto, even when the surfactant and the nonionic contaminant were used at 5% or less, the cleaning rate was 95% or more.
  • Part of th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by significantly lowering the ratio of the surfactant, after using the com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move the partial stains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clothing rinsing process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b)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c) 하기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e) 수용성 용제; 및 f) 물을 포함하고, 상기 a)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는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0cps 이상이다.

Description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본 발명은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 얼룩을 제거하는 부분세탁제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세탁세제는 의류의 얼룩부분에 부분세탁세제를 바르거나 스프레이 형식으로 뿌린 후, 세탁기를 이용하여 의류의 얼룩을 제거한다. 이러한 기존의 부분세탁세제는 면이나 셔츠의 때나 얼룩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액성이 알칼리 또는 약 알칼리성을 띄는 제품을 사용한다.
다만, 부분세탁세제의 제품이 알칼리성을 띄는 경우에는 알칼리에 약해 수축이나 변형을 일으키는 단백질 소재인 울이나 실크의 의류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부분세탁세제는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보통 15~30% 정도를 사용하며, 많게는 30% 이상을 사용하여, 반드시 세탁기 등을 이용하여, 물로 헹굼과정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는 물로 헹굼과정을 요하기 때문에, 드라이 클리닝을 사용하는 의류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 특허 KR10-1647204호는 수산화 칼륨을 이용한 휴대용 얼룩제거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수산화칼륨을 이용하므로, 단백질의류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와, 베이킹 소다 사용시, 의류의 수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울/ 실크와 같은 단백질 의류에도 사용할 수 있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낮추면서도 높은 세척률을 유지하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장기간 보관에도 효과가 변형되지 않고, 세척률을 유지하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b)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c) 하기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e) 수용성 용제; 및 f) 물을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0382-appb-C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은 1~50의 정수이고, n은 2~5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0382-appb-C000002
(단,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9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내지 10의 직쇄알킬, 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p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4 내지 15 이고, PO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이며, q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2 내지 6이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0382-appb-C000003
(단,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CH2CH2O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내지 50이다.)
상기 a)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는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0cps 이상으로 하여, 화학식 1의 크로스 링크 구조를 통해 의류의 국부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화학식 1구조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상기 b)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상기 c)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은 10 중량%를 넘지않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a)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0.1 내지 10 중량%; b)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3 중량%; c)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6 중량%; d)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1 내지 6 중량%; e)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g)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 및 f)물은 나머지 중량%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화학식 1 구조의 폴리머를 20000cps 이상의 점도로 사용함으로써, 알칼리를 사용하지 않고 점도를 높여 단백질 의류에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점도가 높아 의류의 이염을 최소화하는 효과와 부분세탁세제의 대부분을 오염제거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화학식 1의 구조의 폴리머를 사용하고, 계면활성제 비율을 낮추어 헹굼과정 없이 단순히 얼룩부분에 묻힌 후 닦아내는 과정만으로 부분세척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부분얼룩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알킬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조성물의 동결을 방지하여, 화학식 1 구조의 폴리머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b)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c)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e) 수용성 용제 및 f) 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a)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는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0cps 이상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b)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c)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은 10 중량%를 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0.1 내지 10 중량%, b)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3 중량%, c) 하기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6 중량%,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1 내지 6 중량%, e) 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및 f)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은 g) 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은 물세탁이 불가능한 울/실크 등의 의류에 묻은 오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이후, 별도의 물세탁을 진행하지 않아도 오염제거 효과가 우수한 부분 세탁을 할 수 있다.
a)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폴리머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머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은 1~50의 정수이고, n은 2~50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물에 대한 풀림성이 좋으면서, 부분얼룩 제거능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폴리머가 10%를 넘을 경우 제조가 어렵고 잘 풀리지 않아, 10 중량% 이내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화학식 1로 사용되는 폴리머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증점제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하에서는 세탁세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점제와 관계에서, 차이점을 비교한다.
일반증점제의 경우 물과의 수소결합에 의해 점도가 증가되며, 구조상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group)이 존재하여 중화과정을 거쳐 점도를 증가시킨다. 일반증점제의 경우, 그 자체로는 산성을 띄게 되므로, 알칼리를 투입하여 점도를 상승시킨다. 이경우, 알칼리에 약한 울, 실크 또는 캐시미어와 같은 단백질 소재의 의류에 사용시 의류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일반증점제는 층상 구조로 인하여 지용성 및 수용성 오염에 대한 제거능력 없으며, 건조 후 흰색 잔여물이 의류에 남는다.
반면,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폴리머는 중성 물질이기 때문에 물에 녹는 즉시 점도가 상승되어 생산시간 단축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폴리머는 증점되더라도, PH 4.5 내지 5.5의 약 산성을 띄게 되어 단백질 소재의 의류에도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 따른 폴리머는 공중합체로 크로스 링크(Cross-link)되어 있어 지용성 및 수용성 오구에 대한 제거능력 우수하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건조 후 흰색 증점제 성상이 의류에 남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1의 폴리머는 점도 20000cps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의류에 묻혔을 때, 타겟 이외로 번지거나 의류 뒷면으로 이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학식 1의 폴리머는 점도 30000cps 이상의 점도를 유지하는 경우, 의류 뒷면으로 거의 이염되지 않아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폴리머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 술폰산(Polymeric sulfonic acid)과 일반 증점제로 사용되는 카보머(Carbomer) 또는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를 성능은 아래의 표 1와 같이 나타난다.
표 1에 따른 데이터는 1% 솔류션(solution)의 증점제를 제조하여 점도 30,000cps 부근으로 맞추어 비교하였으며, 화학식 1에 따른 증점제는 20000cps 점도를 유지하는 조성물도 함께 비교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각각의 증점제를 넣고 투명한 액상에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다만, 실시예 2번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 amine)을 이용하여 점도를 올려 제조하였다. pH보다 제품의 점도가 사용 측면에서 우위인 바, pH는 별도로 조절하지 않았다.
표 1
Figure PCTKR2018000382-appb-T000001
하기의 표 2는 상기의 표 1의 폴리머 술폰산, 카보머 및 CMC를 비교한 조건에 대한 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의 표 2를 참조하여 상기의 표 1을 살펴보면, 스팟클리너 증점제인 폴리머 술폰산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 증점제에 비해 물에 대한 풀림성이 빠르게 진행되며, 오구제거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처리하여 건조한 후에 얼룩이 발생하지 않으며, 의류 수축도 거의 없어, 울/실크에도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 밖에, 솔벤트와 혼용되더라도 안정성이 있으며, 의류뒷면이 이염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20000cps 점도의 폴리머 술폰산을 사용할 때에는 30000cps 점도의 폴리머 술폰산을 사용할 때에 비해 유화력, 솔벤트 혼용안전성 및 의류뒷면의 이염최소화의 효능면에서 부분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면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30000cps 점도의 폴리머 술폰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며, 일반 증점제에 비해서는 월등한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표 2
Figure PCTKR2018000382-appb-T000002
b)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의 화학식 2로 표시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9 내지 18의 직쇄 알킬(Linear alkyl), 알케닐(Alkenyl) 또는 알키닐(Alkynyl)기이고, p는 에틸렌옥사이드(Ethylene Oxide)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4 내지 15 이고, q는 프로필렌옥사이드(Propylene Oxide)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2 내지 6이다.
상기 화학식 2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낮은 흐림점(cloud point, CP) 때문에, 상온(25°C~30°C)에서 거품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거품 발생으로 인해 요구되는 물을 이용한 헹굼과정이 생략된다. 다만, 거품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세척능력은 유지되며, 특히 기름을 제거하는 소수성오염을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c) 화학식 3의 구조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의 화학식 3로 표시된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CH2CH2O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내지 50이다.
상기 화학식 3으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가 낮은 계면활성제 중 물에 잘 오구를 유화시킬 수 있는 원료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물에 헹구지 않고 사용하는 제품의 특성상, 6%가 넘을 경우 실크의류 등에서, 얼룩발생이 발생하므로, 의류에 남았을 때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6% 이내의 농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1% 미만의 소량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척능력에 영향이 있으므로, 1%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3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의 화학식 3-1과 화학식 3-2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화학식 3-1]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4
[화학식 3-2]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5
상기 화학식 3-1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CH2CH2O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내지 50이다.
상기 화학식 3-2에서 m+n=12~14, x는 3~9 이다.
화학식 3-1과 화학식 3-2의 계면활성제는 각각의 합이 상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된 계면활성제의 사용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과 상기 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본 명세서 에서는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를 "SRN" 으로 약칭한다. 본 발명에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성 SRN 은 Clariant 에 의해 상품명 TexCare® SRN 으로 판매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소위 PET-POET) 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 SRN 은 TexCare® SRN 100와 TexCare® SRN300을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Clariant 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 6% 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가 본 발명의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에 포함된다.
TexCare® SRN 100은 1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로, TexCare® SRN300는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배출제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몰(mole)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0.5%에서 3%와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0.5%에서 3%을 사용하는 것이 세척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나타낸다. (표 3 참조)
d) 알킬렌글리콜
알킬렌 클리콜은 세척성능에는 효과가 미미하나, 장기보관의 안정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알킬렌 글리콜은 의류손상을 방지하고 제품에 고점도의 제품의 특성상 동결 방지를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알킬렌 글리콜은 조성물의 동결을 방지하여, 상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폴리머의 크로스링크 구조가 깨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알킬렌 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4으로 표현된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0382-appb-C000004
(단, 상기 화학식 3에서 R4는 y가 1일 경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고, y가 2 내지 50일경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옥사이드이다.)
알킬렌 글리콜은 10%미만일 경우 동결방지효과가 거의 없고, 20%이상일 경우 제품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10 내지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수용성 용제
수용성 용제는 빠른 건조를 위하여 첨가되는 부분이다. 수용성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점도가 유지되어 사용성이 악화되지 않고, 또한 방취·소취 효과도 한층 더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성 용제는 물과 혼합이 가능한 약용제로써, 에탄올(Ethanol, EtOH), n-프로판올(n-Propanol, NPA),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IPA), N-부탄올(N-Buthanol, NBA), N-펜탄올(N-Penthanol, NPA) 및 N-헥산올(N-Hexanol, NH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하여 혼용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른 부분 세탁세제 조성물을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표3 또는 표 4에 기재된 증점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증점제 중에서 표 1에서 사용된 폴리머 술폰산(Polymeric sulfonic acid)을 점도 30000cps 부근으로 맞추어 실험하였다.
상기 화확식 2의 구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1101(EO/PO copolymer1101)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화학식3-1의 구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알코올(Lauryl Alcohol EO7)을 사용하고, 상기 화학식3-2의 구조를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에틸레옥사이드-2차알코올(Secondary alcohol EO-9)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온성 오염배출제(SRN)는 Clariant사의 100몰의 비이온성 오염배출제(TexCare® SRN 100)와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배출제(TexCare® SRN 300)를 사용하였다. 수용성 용제는 에탄올(Ethanol, EtOH)과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IPA)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였으며, 동결방지를 위한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알킬렌 글리콜은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구성을 각각의 비율로 조정하고, 이후, 물을 이용하여 100%로 전체조성비율을 맞추었다.
상기의 구성의 비율을 조정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의류 등에 부분오염을 시킨 이후, 잔여 얼룩이 남는지를 평가하였다.
표 3
Figure PCTKR2018000382-appb-T000003
표 4
Figure PCTKR2018000382-appb-T000004
상기 표 3과 표 4 각각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에 따른 세척성능을 나타내었다. 세척성능은 하기의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기에 의한 세탁과의 관계에서, 색차계를 이용하여 세척률을 파악하였다.
표 5
Figure PCTKR2018000382-appb-T000005
상기 표 3의 실시예에 따르면, a)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0.1 내지 10 중량%, b)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3 중량%; c)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6 중량%; d)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1 내지 6 중량%; e)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f) 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의 실시예에서, 세척률이 9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a)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0.1 내지 10 중량%, b)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3 중량%; c1)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 c2)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d1) 100몰(mole)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0.5 내지 3 중량%; d2)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0.5 내지 3 중량%; e)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및 f) 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의 실시예에서, 세척률이 90%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a)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1 내지 10 중량%, b)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3 중량%; c1)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 c2)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d1) 100몰(mole)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1 내지 3 중량%; d2)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1 내지 3 중량%; e)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및 f) 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 내의 실시예에서, 세척률이 95%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3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조성물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이며, 이들을 합한 수치가 3% 이하에서도 95% 이상의 세척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비이온성 오염배출제를 2% 추가하더라도,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오염배출제를 5% 이하로 사용하여도 95% 이상의 세척률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세탁세제 조성물은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현저히 낮춤으로, 조성물을 사용후, 별도의 의류 헹굼과정을 거치지 않고, 부분얼룩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표 4에서는,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5%미만, 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5%미만 또는 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0.5%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세척률이 90% 이상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00몰(mole)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TexCare® SRN 100) 또는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TexCare® SRN 300)를 0.5%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세척률이 90% 이상을 만족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b)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c) 하기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d)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e) 수용성 용제; 및
    f) 물을 포함하고,
    상기 a)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는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점도가 20000cp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세척세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m 은 1~50의 정수이고, n은 2~5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7
    (단,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탄소수 9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R2는 수소 또는 탄소수 1내지 10의 직쇄알킬, 알케닐 또는 알킬이며,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p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4 내지 15 이고, PO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이며, q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2 내지 6이다.)
    <화학식 3>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8
    (단,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CH2CH2O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내지 50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상기 c)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은 10 중량%를 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세척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폴리머 0.1 내지 10 중량%;
    상기 b)의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3 중량%;
    상기 c)의 화학식 3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6 중량%;
    상기 d)의 비이온성 오염배출제(SRN) 1 내지 6 중량%;
    상기 e)의 수용성 용제 1내지 20 중량%; 및
    상기 f)의 물은 나머지 중량%로 형성되는 부분세척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g) 알킬렌글리콜 10 내지 20 중량%을 더 포함하는 부분세탁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렌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4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09
    (단, 상기 화학식 3에서 R4는 y가 1일 경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고, y가 2 내지 50일경우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옥사이드이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는,
    c1) 하기 화학식 3-1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 및
    c2) 하기 화학식 3-2로 표현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0.5 내지 5 중량 %을 포함하는 부분세탁제 조성물.
    <화학식 3-1>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10
    (단, 상기 화학식 3-1에서 R3는 탄소수 12 내지 18의 직쇄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이고 CH2CH2O (EO)는 에틸렌옥사이드이며 x는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3 내지 50이다.)
    <화학식 3-2>
    Figure PCTKR2018000382-appb-I000011
    (단, 상기 화학식 3-2에서 m+n=12~14, x는 3~9 이다.)
  7.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의 수용성 용제는 Ethanol(EtOH), n-Propanol(NPA) Iso-Propanol(IPA), N-Buthanol(NBA), N-Penthanol(NPA) 및 N-Hexanol(NHA)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단독 및 1 종 이상 선택하여 혼용 사용되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비이온성 오염배출제는,
    d1) 100몰(mole)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0.5 내지 3 중량%; 및
    d2) 300몰의 비이온성 오염 배출제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점도가 30,000cps이상인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PCT/KR2018/000382 2017-01-09 2018-01-09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WO201812851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6,735 US11142724B2 (en) 2017-01-09 2018-01-09 Detergent composition for partial cleaning
EP18736455.9A EP3567093B1 (en) 2017-01-09 2018-01-09 Detergent composition for partial clea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999A KR20180081994A (ko) 2017-01-09 2017-01-09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KR10-2017-0002999 2017-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8512A1 true WO2018128512A1 (ko) 2018-07-12

Family

ID=6279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382 WO2018128512A1 (ko) 2017-01-09 2018-01-09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2724B2 (ko)
EP (1) EP3567093B1 (ko)
KR (1) KR20180081994A (ko)
WO (1) WO2018128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476A (ko) * 2022-04-14 2023-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3984A1 (en) * 2003-05-16 2005-01-06 Clariant Gmbh Liquid detergents and cleaning products with consistency-imparting polymers
WO2009040596A1 (en) * 2007-09-28 2009-04-02 Laboratorio Chimico Farmaceutico Sammarinese S.A.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ufaces and for providing hydrophobic coating film thereon
KR20140091565A (ko) * 2011-10-27 2014-07-21 더다이얼코포레이션 직물의 세탁 성능에 대한 오염 배출 중합체의 상승작용 효과
JP2014152280A (ja) * 2013-02-12 2014-08-25 Dainippon Jochugiku Co Ltd 硬質表面洗浄剤
KR101633461B1 (ko) * 2014-06-12 2016-06-24 애경산업(주)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된 액체세제 조성물
KR101647204B1 (ko) 2014-11-18 2016-08-09 윤정호 휴대용 얼룩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9151A1 (de) * 2011-08-04 2014-06-11 Clariant International Ltd.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isosorbidmonoester und halogenierte antimikrobielle wirkstoff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3984A1 (en) * 2003-05-16 2005-01-06 Clariant Gmbh Liquid detergents and cleaning products with consistency-imparting polymers
WO2009040596A1 (en) * 2007-09-28 2009-04-02 Laboratorio Chimico Farmaceutico Sammarinese S.A. Liquid composition for cleaning sufaces and for providing hydrophobic coating film thereon
KR20140091565A (ko) * 2011-10-27 2014-07-21 더다이얼코포레이션 직물의 세탁 성능에 대한 오염 배출 중합체의 상승작용 효과
JP2014152280A (ja) * 2013-02-12 2014-08-25 Dainippon Jochugiku Co Ltd 硬質表面洗浄剤
KR101633461B1 (ko) * 2014-06-12 2016-06-24 애경산업(주) 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된 액체세제 조성물
KR101647204B1 (ko) 2014-11-18 2016-08-09 윤정호 휴대용 얼룩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67093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7093A4 (en) 2020-10-21
US20200263112A1 (en) 2020-08-20
KR20180081994A (ko) 2018-07-18
EP3567093A1 (en) 2019-11-13
US11142724B2 (en) 2021-10-12
EP3567093B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57851A2 (ko) 세탁용 시트
US5534182A (en) Process and laundry formulations for preventing the transfer of dye in laundry processes
WO2012121475A1 (ko) 물세탁 및 드라이클리닝용 친환경 용제 및 이를 포함한 세탁용 조성물
US6468954B2 (en) Blood, coffee or fruit juice stain remover in an alkaline composition
BR112015001754B1 (pt) composição detergente líquida alcalina para lavar roupa
BRPI0820306B1 (pt) Composições de limpeza com polialquileno iminas anfifílicas solúveis em água que têm um bloco de óxido de polietileno interno e um bloco de óxido de polipropileno externo.
KR102501797B1 (ko) 세탁용 시트
JP2021528542A (ja) 液体洗濯洗剤組成物
WO2018128512A1 (ko) 부분세탁세제 조성물
EP0753566B1 (en) Fabric wash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hibiting deposition of dye
JP2012533638A (ja) 灰色化抑制ポリマーを含有する液状の洗浄または清浄剤
US20230193159A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dye fixative and amine-based surfactant
US20120015859A1 (en) Fluid bleaching agent composition
US20050148489A1 (en) Amine copolymers for textile and fabric protection
WO2018128514A1 (ko) 드라이세정제 조성물
WO2022145937A1 (en) Detergent composition for liquid carbon dioxide base cleaning
US20220204887A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 for liquid carbon dioxide-based cleaning
WO2023200296A1 (ko)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EP0826767B1 (en)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CN107922886B (zh) 衣物用液体洗涤剂组合物
CN109610206A (zh) 一种新型分散染色高效清洗剂的制备方法
WO2023200295A1 (ko) 웨트 클리닝을 위한 세제 조성물
JP2006008951A (ja) 洗浄剤組成物
EP2085461A1 (en) Laundry composition
WO2019212266A1 (ko) 세탁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36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36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