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17443A1 -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17443A1
WO2018117443A1 PCT/KR2017/013395 KR2017013395W WO2018117443A1 WO 2018117443 A1 WO2018117443 A1 WO 2018117443A1 KR 2017013395 W KR2017013395 W KR 2017013395W WO 2018117443 A1 WO2018117443 A1 WO 20181174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sual function
wearable device
cloud platform
enhancing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3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종수
김동균
임호섭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1174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17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system for eye disease prevention and real-time diagnosis, personalized treatment, effect analysis and management.
  • the visual function is a function of processing information between the eye and the brain, which is also called a vision function, which quickly transmits information from our eyes to the brain along with information input through tactile, olfactory, and auditory senses. It means to interpret and give meaning to information absorbed by the brain.
  • This visual function provides a variety of functions that can be used in social life or sports, such as a sense of distance, three-dimensional feeling and speed.
  • Visual function occurs regardless of good or bad visual acuity, and if a visual problem occurs, sports activities are difficult, reading is difficult, attention concentration is reduced, writing problems occur, reading disorders, dyslexia , Attention deficit disorder, learning disability, writing disorder, and social life disorder.
  • Eye diseases such as myopia and amblyopia, which are the main causes of visual function deterioration, are known to be able to recover some visual function or delay visual function deterioration through visual function train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eye response technology, and provides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for eye disease prevention and real-time diagnosis, personalized treatment, effect analysis and management. There is a purpose.
  •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eye disease health care platform that supports the whole cycle of treatment, such as prevention, optometry / diagnosis, visual function training / treatment, effect analysis, management, etc. Cloud-linked time to enable efficient eye disease treatment and visual function recove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ud-linked visual enhancement system wearable device system having a visual enhancement module using a diopter lens and a visual enhancement module using a VR image.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early detection and visual function improvement of eye diseases based on the wearable device and the eye disease healthcare platform, and the cloud-linked time to provide personalized treatment and effect tracking / analysis / feedback through the whole-cycle suppo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erforms a program for enhancing the visual function, and is provided with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in conjunction wit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that provides real-time optometry information to an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through a healthcare cloud platform; has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usage data and device sensing data, and performs training control and state sensing of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s
  • Health care cloud platform providing device usage data and service cloud platform;
  • Visual function diagnosis / training management system for visual function diagnosis and training management by providing expert diagnostic service and user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 User ser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with the application for receiving user terminal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in time.
  • PHR Personal Health Record
  •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extracts the monocular angle of the iris outline, separates the iris foreground and the outer region, and the iris inner and outer separation processing means for extracting the iris inner pupil region, iris baseline-based dwarping treatment, And iris dwarping and featur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disease-focused region features of the outer region.
  •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the pupil position and size time series data processing means for analyz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trengthening exercise,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ercise ability, the extraction of the response feature, the extraction of the pupil reflection fea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flow and the circle ring ch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left / right eye images from inside, perform circle ring enlargement and reduction, illumination Hz change, and adjust the inclination, fusion, monocular maximum control, ease of adjustment, relative control, and control lag measurement. And binocular photographing means to perform.
  •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is a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user's visual function state in a state wearing the visual function-enhanced wearable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health care cloud platform Receive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cloud platform interworking processing unit to provide real-time optometry information to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throug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the visual function provided from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through the cloud platform interworking processing unit
  • the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strengthe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has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usage data and device sensing data, performs training control and state sensing of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s, and provides device usage data and a service cloud platform. do.
  •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processing the eye close-up based on the unfocused iris center point warping image, analyzing the eye movement situation, PHR (Personal Health Record), eye sensing image, disease information of each period A multimodal sensing data-based analysis is performed.
  • PHR Personal Health Record
  • the visual enhancement module is configured by a lens adjustment method,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based on lens adjustment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provided from a healthcare cloud platform.
  • the lens and the lens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lens of the lens combination module for enhancing the visual function with a display unit and a perspective adjustment lens, a diopter adjustment lens, a screen lens lens to the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the visual fun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tor drive for driving the adjustment of the lens by.
  • a virtual reality processing unit perform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 an HMD processing unit support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process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and a training progra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glasses component constituting the smart glasses.
  • the state sensing unit includes a half mirror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a user's eyeball that display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provided from a healthcare cloud platform.
  • Mirror is installed, and the camera is located in the screen direction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eyeball of the user.
  • Such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eye disease health care platform that supports the whole cycle of treatment such as prevention, optometry / diagnosis, visual function training / treatment, effect analysis, management, etc., to support efficient eye disease treatment and recovery of visual function.
  • eye disease early detection and visual function can be improved, and personalized treatment and effect tracking / analysis / feedback can be provided through whole-cycle support.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sual enhanc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amera installation structure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for signal processing in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system is linked to an eye disease health care platform that supports the whole cycle of treatment such as prevention, optometry / diagnosis, visual function training / treatment, effect analysis, management, etc.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visual function.
  • a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using a diopter lens and a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using a VR image, it is possible to early detection and improvement of eye diseases based on wearable devices and eye disease healthcare platform, and to support the whole cycle of treatment Personalized treatment and effect tracking / analysis / feedback can be provided.
  •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system by performing a program for enhancing the virtual reality-based or lens-based visual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Receiving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the visual function, and provides a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10, using the data and devices to provide real-time optometry information to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20 throug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Health care cloud platform (30) and a health care cloud platform (30) for training control and state sensing of the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10) with a sensing data-based analysis framework and providing device usage data and service cloud platform ( In conjunction with 30), eye close-up photography iris center based iris warping imag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20 for processing, analyzing eye movement, and performing multimodal sensing data based analysis such as PHR (Personal Health Record), eye sensing image, and disease information by period, and expert diagnostic service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And a visual function diagnosis / training management system 40 for providing visual function diagnosis /
  • PHR Personal Health Record
  • the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10 photographs the left / right eye pupils from the inside, and performs a circle enlargement and reduction, illumination Hz change, son-in-law, fusion power, monocular maximum adjustment power, ease of adjustment, relative adjustment power, and adjustment lag.
  • Binocular imaging means for performing the measurement are provided.
  •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device 20 extracts the monocular angle of the iris outline, separates the iris foreground and the outer region, and separates the inner and outer iris means for extracting the iris inner pupil region, and performs the iris baseline-based dwarping treatment. Iris dwarping and feature extraction means for extracting the inner and outer region disease focused region features.
  • the optometry image analysis apparatus 20 performs pupil position and size time series data processing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the power-training exercise, th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exercise ability, the extraction of the response features, and the extraction of the pupil reflex features according to the pattern flow and the change of the circle. Means;
  • the visual function enhancing wearable device 10 is to provide a treatment / response service for the entire cycle of treatment for eye diseases such as prevention, sensing / diagnosis, training / treatment, effect analysis, suggestion of improvement, and management. .
  • the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10 enables treatment and training for various ocular diseases, and may present treatment and training effect analysis, expert diagnosis, and treatment improvement direction. .
  • the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10 enhances the visual func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state sensing unit 11 and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that sense the visual function state of the user.
  • Cloud platform interworking processing unit 12 and cloud platform interworking processing unit 12 for receiving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providing a real-time optometry information to the optometry image analyzing apparatus 20 through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 the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the visual function provided by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through the virtual reality-based or lens-based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13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visual function enhancement .
  • 3 and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lens adjustment is performed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provided from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 the display unit 13a displays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reinforcing visual function, and the lenses of the lens combination module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having a perspective lens, a diopter lens, and a masking lens It includes a lens control unit 13b for adjusting in accordance with the training program for, and a motor drive unit 13c for driving the adjustment of the lens by the control of the lens control unit (13b).
  • the virtual reality When configuring the visual function enhancemen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irtual reality method, as shown in FIG. 4, the virtual reality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received from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is provided.
  • a display unit 14a for displaying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based on the visual function
  • a virtual reality processor 14b for perform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through the display unit 14a
  • An HMD processor 14c for support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process for executing a program
  • a smart glasses component 14d for configuring smart glasses to support a training program.
  •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mera installation structure.
  • FIG. 5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for sensing a visual function state of a user while wearing a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is located on an LCD screen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an eyeball of a user.
  • the camera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eyeball of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 the structure of collecting video information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eyeball of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 FIG. 6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a camera installation position for sensing a user's visual function state is spaced apart from the LCD screen in the state of wearing the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eyeball of the user.
  • a half mirror is installed between the user's eye and the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provided by a healthcare cloud platform.
  • the camera is positioned toward the screen to collect image information of the eyeball of the user.
  • the structure of FIG. 6 has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eyeball to facilitate focusing, and easy installation of the camera does not affect the image.
  •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ructure for signal processing in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d wearable de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display panel and an LCD driving drive constitut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or performing a training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and a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 An IR camera and eye tracking camera drive for sensing a user's visual function state
  • a microprocessor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and controls execution of a training program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It includes a power supply management unit and an operating PC for operation control via an HDMI drive and a USB 3.0 drive.
  • FIGS. 8 to 10 Such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wears the visually enhanced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user wears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 enhancement wearable device as shown in FIGS. 8 to 10, and proceeds with a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a personalized service program for visual function enhancement received from the healthcare cloud platform 30, thereby preventing and Support services are available throughout the life cycle, including optometry / diagnosis, visual function training / therapy, effect analysis, and management.
  •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8 to 10 and may be manufactured in other forms.
  • the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ed wearable device is linked to an eye disease healthcare platform that supports the whole cycle of treatment such as prevention, optometry / diagnosis, visual function training / treatment, effect analysis, management, etc. Treatment and recovery of visual function is to be possible.
  •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early detection and visual function improvement of eye diseases based on the wearable device and eye disease healthcare platform, and to provide personalized treatment and effect tracking / analysis / feedback through full-cycle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enhancing visual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ud-linked visual function-enhancing wearable device for eye disease prevention and real-time diagnosis, personalized treatment, effect analysis and manag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와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와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본 발명은 시기능 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기능은 눈과 뇌사이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비전(vision) 기능이라고도 하며, 이는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우리의 눈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신속하게 뇌에 전달하여 뇌에서 통합하여 흡수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능에 의해 거리감, 입체감 및 스피드감 등등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등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시기능은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발생되며,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이 곤란하고, 독서를 하기가 힘들며, 주의집중력이 저하되고, 쓰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독서장애, 난독증, 주의력결핍장애, 학습장애, 쓰기장애, 사회생활장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안구 발육의 시기이나, 과도한 숙제, 독서,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등으로 인하여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안과 방문만을 통한 안질환 치료, 시력 교정을 통한 대응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각종 유해환경 속에서 개인의 건강한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시기능 저하 및 각종 안질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 의료 보조기구 사용 인구의 비율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근시나 약시와 같은 안질환은 시기능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일부 회복하거나 시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기능 훈련을 돕는 다양한 보조 의료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으나 기존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자체의 단순함에 의해 훈련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료 효과 분석 부재, 전문의 진단과의 통합 부재, 오프라인 병원 방문을 통한 일시적 훈련/치료로 인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훈련 및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청 등으로 인해 시기능 저하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으나, 사용자 맞춤형 치료 기기 및 솔루션 부재, 사후 대처 중심의 안질환 치료, 사전 진단 부재 및 단편적이며 기간 제한적 시력/안질환 관리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급증하는 안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별 맞춤형 안질환 예방과 진단,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의료기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안질환 대응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시력 진단/훈련 기반의 시기능 강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과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자료로부터 해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시기능 강화용 전문가 진단 서비스 및 사용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기능 진단 및 훈련 관리를 하는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 시스템;사용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검안영상 분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은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와상기 렌즈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와,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와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센싱부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안구 사이에 하프 미러(Half Mirror)가 설치되고, 스크린 방향으로 카메라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셋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다.
넷째,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 및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통한 개인 맞춤형 시력 진단/훈련 기반의 시기능 강화 서비스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안질환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5와 도 6은 카메라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옵터 렌즈를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과 VR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갖고,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가상 현실 기반 또는 렌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20)로 제공하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검안영상 분석장치(20)와, 시기능 강화용 전문가 진단 서비스 및 사용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를 하는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 시스템(40)과, 사용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 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검안영상 분석장치(20)는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검안영상 분석장치(20)는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예방, 센싱/진단, 훈련/치료, 효과분석, 개선방향 제시, 관리 등의 안질환에 대한 치료 전주기에 대한 치료/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통하여 다양한 안과질환에 대한 치료 및 훈련이 가능하며, 치료 및 훈련 효과 분석, 전문가 진단, 치료 개선 방향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11)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20)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12)와,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12)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 또는 렌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a)와, 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13b)와, 렌즈 조절부(13b)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13c)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a)와, 디스플레이부(14a)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14b)와,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14c)와,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14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카메라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은 카메라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카메라 설치 위치가 LCD 스크린쪽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쪽에서 사용자의 안구 방향으로 카메라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도 5의 구조는 카메라와 안구 간의 거리가 가깝고, 기구적 제한으로 초점을 잡기가 어렵다.
특히, 카메라 설치가 어려워 영상에 방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카메라 설치 위치가 LCD 스크린과 이격되어 LCD 스크린 방향으로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안구 사이에 하프 미러(Half Mirror)가 설치되고, 스크린 방향으로 카메라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도 6의 구조는 카메라와 안구 간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 초점을 잡기가 용이하고, 카메라 설치가 용이하여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를 위한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LCD 구동 드라이브와,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IR 카메라 및 아이 트래킹 카메라 드라이브(Eye Tracking Camera Drive)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의 실행 제어를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전원 공급 관리부 및 HDMI 드라이브, USB 3.0 드라이브를 통한 동작 제어를 하는 오퍼레이팅 P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구성은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구성도이다.
사용자는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으로 안질환 조기발견 및 시기능 개선이 가능하고, 치료 전주기 지원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치료 및 효과 추적/분석/피드백 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기능 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Claims (11)

  1. 시기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
    시기능 강화용 전문가 진단 서비스 및 사용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기능 진단 및 훈련 관리를 하는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 시스템;
    사용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검안영상 분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6.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영상 분석장치는,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렌즈 조절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렌즈 조절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원근감 조절 렌즈, 디옵터 조절 렌즈, 가림막 렌즈를 갖는 시기능 강화를 위한 렌즈 조합 모듈의 렌즈들을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와,
    상기 렌즈 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렌즈들의 조절을 위한 구동을 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모듈을 가상 현실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가상 현실 기반의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현실 처리부와,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HMD(Head Mounted Display) 처리를 지원하는 HMD 처리부와,
    훈련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하여 스마트 안경을 구성하는 스마트 안경 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센싱부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안구 사이에 하프 미러(Half Mirror)가 설치되고, 스크린 방향으로 카메라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구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PCT/KR2017/013395 2016-12-23 2017-11-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WO20181174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41 2016-12-23
KR1020160178441A KR101948778B1 (ko) 2016-12-23 2016-12-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43A1 true WO2018117443A1 (ko) 2018-06-28

Family

ID=6262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395 WO2018117443A1 (ko) 2016-12-23 2017-11-23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8778B1 (ko)
WO (1) WO201811744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0135A (zh) * 2018-10-18 2019-04-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视力监控及眼镜订购系统
CN110123594A (zh) * 2019-05-04 2019-08-16 吴登智 一种用于弱视训练的vr与智能终端同步显示系统
CN110600103A (zh) * 2019-09-25 2019-12-20 李牧什 一种提升视力的可穿戴智能服务系统
CN114028181A (zh) * 2021-12-07 2022-02-11 天津医科大学眼科医院 一种调节训练和辐辏训练相结合的视觉训练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241B1 (ko) * 2018-12-04 2020-11-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157A (ja) * 2005-03-30 2008-08-28 ノバ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力訓練時に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用いて視覚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50110299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4507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37314B1 (ko) *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60125543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4157A (ja) * 2005-03-30 2008-08-28 ノバビジ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力訓練時に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を用いて視覚刺激を与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50110299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14507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37314B1 (ko) *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160125543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빅데이터 서비스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0135A (zh) * 2018-10-18 2019-04-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视力监控及眼镜订购系统
CN110123594A (zh) * 2019-05-04 2019-08-16 吴登智 一种用于弱视训练的vr与智能终端同步显示系统
CN110600103A (zh) * 2019-09-25 2019-12-20 李牧什 一种提升视力的可穿戴智能服务系统
CN110600103B (zh) * 2019-09-25 2021-10-08 李牧什 一种提升视力的可穿戴智能服务系统
CN114028181A (zh) * 2021-12-07 2022-02-11 天津医科大学眼科医院 一种调节训练和辐辏训练相结合的视觉训练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78B1 (ko) 2019-02-15
KR20180074401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7443A1 (ko)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WO2016054860A1 (zh) 针对视觉障碍患者的头戴式视觉辅助系统
CN109645955B (zh) 基于vr和眼动追踪的多功能视觉功能检测装置及方法
US8902303B2 (en) Apparatus connectable to glasses
WO2017119788A1 (ko) 머리 장착형 전자장치
WO2016114496A1 (ko) 시선 인식 및 생체 신호를 이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5194808A1 (ko)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장치
WO2016086437A1 (zh) 针对色盲患者的头戴式辅助驾驶系统
CN104483753A (zh) 自配准透射式头戴显示设备
WO2019132106A1 (ko) 모듈화된 안경 다리 및 스마트 아이웨어
KR20190141684A (ko)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assessing a health condition of a user)
WO2021071335A1 (ko) 스마트 안경의 시선 트래킹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086441A1 (zh) 针对全盲人群的室内定位系统
WO2023033461A1 (ko)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및 시지각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0116669A1 (ko)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CN114190879A (zh) 基于虚拟现实技术的弱视儿童视功能检测系统
US11611705B1 (en) Smart glasses with augmented reality capability for dentistry
WO2020230908A1 (ko) 사시진단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갖는 사시진단장치
KR20140077694A (ko) 뇌파를 이용한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WO2019027184A1 (ko)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206865633U (zh) 视觉增强穿戴设备
WO2023022263A1 (ko) 노인의 인지 기능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89522A1 (en) Intelligent extended reality eyewear
WO2024014623A1 (ko) 사용자 맞춤용 누진렌즈 설계 장치 및 그의 누진렌즈 설계 방법
WO2017204478A1 (ko) 공용 hmd장치 및 이를 구비한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34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834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