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43B1 -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43B1
KR101850043B1 KR1020160178446A KR20160178446A KR101850043B1 KR 101850043 B1 KR101850043 B1 KR 101850043B1 KR 1020160178446 A KR1020160178446 A KR 1020160178446A KR 20160178446 A KR20160178446 A KR 20160178446A KR 101850043 B1 KR101850043 B1 KR 10185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image
diagnosis
cloud platform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황광명
김동균
임호섭
하성욱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덜 센싱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공받은 검안 영상을 분석하는 검안 영상 분석부;검안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영상 분석 기반 진단부;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기 위한 결과를 제공하는 기간별 질환 경과 분석부;주기별로 동공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주기별 동공 이미지 분석부;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클라우드내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복합 분석을 질환 진단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질환 진단 프로세스 연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Optometry Analyzer based on multi modal sensing data}
본 발명은 검안영상 분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멀티모덜 센싱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기능은 눈과 뇌사이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비전(vision) 기능이라고도 하며, 이는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우리의 눈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신속하게 뇌에 전달하여 뇌에서 통합하여 흡수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능에 의해 거리감, 입체감 및 스피드감 등등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등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시기능은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발생되며,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이 곤란하고, 독서를 하기가 힘들며, 주의집중력이 저하되고, 쓰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독서장애, 난독증, 주의력결핍장애, 학습장애, 쓰기장애, 사회생활장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안구 발육의 시기이나, 과도한 숙제, 독서,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등으로 인하여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안과 방문만을 통한 안질환 치료, 시력 교정을 통한 대응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각종 유해환경 속에서 개인의 건강한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시기능 저하 및 각종 안질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 의료 보조기구 사용 인구의 비율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근시나 약시와 같은 안질환은 시기능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일부 회복하거나 시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기능 훈련을 돕는 다양한 보조 의료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으나 기존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자체의 단순함에 의해 훈련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료 효과 분석 부재, 전문의 진단과의 통합 부재, 오프라인 병원 방문을 통한 일시적 훈련/치료로 인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훈련 및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청 등으로 인해 시기능 저하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으나, 사용자 맞춤형 치료 기기 및 솔루션 부재, 사후 대처 중심의 안질환 치료, 사전 진단 부재 및 단편적이며 기간 제한적 시력/안질환 관리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동화된 안질환 치료를 위해 필수 요소인 의료영상분석 연구의 경우, 전문의들이 기존 안과 전문 검사/치료 장비(ARK 등)를 사용하여 수동적/경험적 판단을 했기 때문에, 안과 질환 관련 의료영상 분석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안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별 맞춤형 안질환 예방과 진단,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의료기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의료 분야에서의 영상 정보를 사용한 경우는 주로 CT나 디지털 X-Ray 등이었고 이 경우 대부분 전문가 경험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화된 분석을 하는 경우에도 전통적 패턴 매칭 기술이나 특징 추출, Anomaly 추출, SVM과 같은 머신러닝을 통해 의료 영상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육안 확인보다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특히, 안질환일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서는 100% 전문가에 의해서만 검안 영상이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는 환자는 안질환 관리에 있어서 장소적 제약을 받게 되어,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067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39455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안질환 대응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모덜 센싱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정확한 검안영상 분석이 가능하도록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 PHR(Personal Health Record) 정보, 안구 검안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질환일 경우, 자동화된 영상 분석을 통한 효율성 및 정확도를 높이고, 자동화된 멀티모덜 검안영상 분석을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기존 상황에 대한 상관도 분석, 클러스터링(Clustering), 분류(Classification)를 통해 검안영상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서클링 양안 초점 분석/패턴 반사 방향 판별을 통한 검안에 있어서의 장소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홍채 중심점 추출 기반 어안 이미지/파노라마 워핑 변환 및 특징 추출 기술, 이기종 촬영 이미지 데이터 이질성 변환 레이어 기술, VR표출 이미지 대응 동적 동공 변화 탐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안질환 진단/예방/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공받은 검안 영상을 분석하는 검안 영상 분석부;검안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영상 분석 기반 진단부;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기 위한 결과를 제공하는 기간별 질환 경과 분석부;주기별로 동공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주기별 동공 이미지 분석부;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클라우드내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복합 분석을 질환 진단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질환 진단 프로세스 연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검안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 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 영상 분석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 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멀티모덜 센싱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다.
둘째,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는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어 효율적인 안질환자 치료 및 시기능 회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 PHR(Personal Health Record) 정보, 안구 검안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분석을 수행하여 정확한 검안영상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넷째, 자동화된 멀티모덜 검안영상 분석을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기존 상황에 대한 상관도 분석, 클러스터링(Clustering), 분류(Classification)를 통해 검안영상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서클링 양안 초점 분석/패턴 반사 방향 판별을 통한 검안에 있어서의 장소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홍채 중심점 추출 기반 어안 이미지/파노라마 워핑 변환 및 특징 추출 기술, 이기종 촬영 이미지 데이터 이질성 변환 레이어 기술, VR표출 이미지 대응 동적 동공 변화 탐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안질환 진단/예방/치료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일곱째, 안질환에 대한 예방/치료 효과 뿐만 아니라, 안질환으로 나타나는 타질병(담관염, 간질환 등)의 조기 진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갖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갖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검안 모델별 분석 및 서클링, 패턴 분석 기반 근접 촬영 모듈 및 훈련 VR 표출 데이터 흐름 기반 측정 검안 동적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검안/훈련 임베디드 분석 엔진 결과물 클라우드 서버 및 앱 서비스 프로토콜을 제공하고, 안질환별 영상 선학습 DB 구성 및 디바이스 촬영 질환별 이미지 학습용 변환 레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질환별 오버피팅 가능성 초기 발견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진료 프로세스 전주기 결과별 활용 프로세스 및 시기능 운동 데이터/진활 판별 데이터 분석 엔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검안 디바이스 연계 구조의 설계를 위하여, 시기능 훈련 디바이스 내부 촬영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검안 측정 기준에 부합된 촬영 SW 구조 설계, 동공 반사 패턴, 서클링 분해능, 추적 모델 설계, 검안 데이터 기반 훈련 시나리오 조정 프로세스의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양안 훈련 이미지 분석 모듈의 설계를 위하여, VR 표출 이미지 대비 내부 카메라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훈련 시나리오 기반 동공 모델 변화 모델 설계 및 구축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임베디드 영상 분석 핵심 모듈을 구현하기 위하여, 근접 이미지 영상 분석 모듈, 검안/훈련 분석 모듈과 훈련 프로그램 연동, 홍체 영역별 분리 기반 특징 추출 엔진 구현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를 갖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가상 현실 기반 또는 렌즈 기반의 시근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20)로 제공하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검안영상 분석장치(20)와, 시기능 강화용 전문가 진단 서비스 및 사용자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를 하는 시기능 진단/훈련 관리 시스템(40)과, 사용자 서비스를 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시기능 강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는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기능 상태를 센싱하는 상태 센싱 수단,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영상 분석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 수단,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 연동 처리부를 통하여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은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시기능 강화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시기능 강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를 통하여 제공받은 검안 영상을 분석하는 검안 영상 분석부(21)와, 검안 영상 분석부(21)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영상 분석 기반 진단부(22)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 등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기 위한 결과를 제공하는 기간별 질환 경과 분석부(23)와, 주기별로 동공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주기별 동공 이미지 분석부(24)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과 연동하여 클라우드내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복합 분석을 질환 진단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질환 진단 프로세스 연동 처리부(2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자동화된 멀티모덜 검안영상 분석을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기존 상황에 대한 상관도 분석, 클러스터링(Clustering), 분류(Classification)를 통해 검안영상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클링 양안 초점 분석/패턴 반사 방향 판별을 통한 검안에 있어서의 장소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고, 홍채 중심점 추출 기반 어안 이미지/파노라마 워핑 변환 및 특징 추출 기술, 이기종 촬영 이미지 데이터 이질성 변환 레이어 기술, VR표출 이미지 대응 동적 동공 변화 탐지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10) 내부에서의 양안 촬영 수단(21a)을 갖고, 양안 촬영 수단(21a)은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 융합력, 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 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21b)을 갖고,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21b)은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21c)을 갖고,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21c)은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21d)을 갖고,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21d)은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30)에 저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 등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안질환 예방 및 실시간 진단, 개인별 맞춤형 치료, 효과분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20. 검안영상 분석장치
30.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 40. 시기능 관리 시스템
50. 사용자 단말

Claims (7)

  1.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공받은 검안 영상을 분석하는 검안 영상 분석부;
    검안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결과를 기준으로 진단을 수행하는 영상 분석 기반 진단부;
    예방, 검안/진단, 시기능 훈련/치료, 효과분석, 관리의 치료 전주기를 지원하기 위한 결과를 제공하는 기간별 질환 경과 분석부;
    주기별로 동공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주기별 동공 이미지 분석부;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클라우드내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복합 분석을 질환 진단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질환 진단 프로세스 연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용데이터 및 디바이스 센싱데이터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를 갖고,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훈련 제어 및 상태 센싱을 하고, 디바이스 사용데이터 및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안 영상 분석부를 통하여,
    안구 근접촬영 미지초점 기반 홍채 중심점 워핑 이미지 처리, 안구 운동상황 분석을 하고, PHR(Personal Health Record), 안구 센싱 이미지, 기간별 질환정보의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하여 시기능 강화를 위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실시간 검안 정보를 헬스케어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하여 검안 영상 분석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부에서 좌안/우안 동공 이미지를 촬영하고,
    서클링 확대 및 축소, 조명 Hz 변화를 수행하고, 사위,융합력, 단안 최대 조절력,조절 용이성,상대 조절력,조절 래그 측정을 수행하는 양안 촬영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단안 각 홍채 외곽선 추출을 하고, 홍채 전경과 외부 영역의 분리를 하고, 홍채 내부 동공 영역을 추출하는 홍채 내외부 분리 처리 수단과,
    홍채 기준선 기반 드워핑 처리를 하고, 내부와 외부 영역 질환 집중 영역 특징을 추출하는 홍채 드워핑 및 특징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시근력 강화운동 집중도 분석,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조절력, 반응 특징 추출을 하고, 패턴 흐름과 서클링 변화에 따른 동공 반사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동공 위치 및 크기 시계열 데이터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KR1020160178446A 2016-12-23 2016-12-23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KR10185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46A KR101850043B1 (ko) 2016-12-23 2016-12-23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446A KR101850043B1 (ko) 2016-12-23 2016-12-23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43B1 true KR101850043B1 (ko) 2018-04-18

Family

ID=6208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446A KR101850043B1 (ko) 2016-12-23 2016-12-23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8850A (zh) * 2019-03-21 2019-07-05 华南理工大学 一种多模态医学影像半监督深度学习分割系统
WO2022108431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조절용이성 측정 및 시력 향상 가능성 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WO2022145607A1 (ko) * 2020-12-29 2022-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공반사 관련 시각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6695A (zh) 2015-12-18 2016-03-23 北京铭光正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虹膜的健康状态检测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6695A (zh) 2015-12-18 2016-03-23 北京铭光正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虹膜的健康状态检测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8850A (zh) * 2019-03-21 2019-07-05 华南理工大学 一种多模态医学影像半监督深度学习分割系统
WO2022108431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조절용이성 측정 및 시력 향상 가능성 제시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
WO2022145607A1 (ko) * 2020-12-29 2022-07-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공반사 관련 시각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gnolato et al. Head-mounted eye gaze tracking devices: An overview of modern devices and recent advances
Garbin et al. Openeds: Open eye dataset
US201901507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sion assessment
US201902356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visual rendering
Orlosky et al. Emulation of physician tasks in eye-tracked virtual reality for remote diagnosi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JP2023022142A (ja) ス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方法
US11504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serving eye and head information to measure ocular parameters and determine human health status
KR101948778B1 (ko)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850043B1 (ko) 멀티모덜 센싱 데이터 기반의 검안영상 분석 장치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24125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장치
US20230210442A1 (en)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ocular parameters and determine neurologic health status
JP2022546092A (ja) 瞳孔反応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seng et al. AlertnessScanner: what do your pupils tell about your alertness
Mazzeo et al. Deep learning based eye gaze estimation and prediction
KR20200123593A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Hammoud et al. Introduction to eye monitoring
RaviChandr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enabled smart digital eye wearables
Fujikake Measurements for visual function, including gaze, and electrooculography (EOG)
Cotrina Toward Brain-Computer Interaction in Paralysis: A New Approach Based on Visual Evoked Potentials and Depth-of-Field
JP2016087093A (ja) 眼球運動検査装置
US20230418372A1 (en) Gaze behavior detection
Mariakakis et al. Ocular symptom detection using smartphones
US20230089522A1 (en) Intelligent extended reality eyewear
US202304043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visual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