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14B1 -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14B1
KR101637314B1 KR1020150023453A KR20150023453A KR101637314B1 KR 101637314 B1 KR101637314 B1 KR 101637314B1 KR 1020150023453 A KR1020150023453 A KR 1020150023453A KR 20150023453 A KR20150023453 A KR 20150023453A KR 101637314 B1 KR101637314 B1 KR 10163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terminal
unit
ey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석우
Original Assignee
양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석우 filed Critical 양석우
Priority to KR102015002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G06F19/32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는 환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영상정보를 환자의 안구 상태에 따라 병의 진행상황 확인이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베이스와 영상정보를 매칭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추출, 추적, 관리 하는 상태정보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Apparatus to image and analyses the eyes and fundus oculi and its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안저검사용 렌즈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부를 연동하여 안구, 홍채 또는 안저에 대한 검사 및 분석이 가능한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는 검사자의 직접적인 안구, 홍채 및 안저 검사를 통해, 안구, 홍채 및 안저의 특정부위 상태에 따라 신체의 특정 부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체의 건강상태나 질병의 유무 또는 그 예방 등을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꾸준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눈의 홍채와 신체의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홍채 진단학 이론 등을 응용하여, 컴퓨터에 의한 홍채 영상 분석을 통해 각종 질병 및 유전적 질환 등을 진단하고 있다.
한편, 심정지 환자의 발생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및 순환회복 비율은 낮으며, 뇌기능을 회복하여 퇴원하는 비율은 전체의 1%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므로, 심정지 환자에게 의사, 119구급대 및 일반인의 효과적인 CPR이 가능하도록, (CPR)심폐소생술을 적용한 후 뇌혈류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에 맞추어, 눈 속 혈관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신경유두, 황반, 안질환, 망막의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손상정도, 녹내장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가(의사, 학생, 수의사, 원격의료 종사자 및 일반인 등)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 하고 필요시,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안구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 또는 비디오 등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안구질환 관련 데이타베이스(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전문가의견 등)와 비교·분석 가능하며, 또한 촬영된 정보의 전송을 통해 원격에서도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는 원격 의료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단말에 검안용 렌즈부를 결합하여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를 파악하고 안저 동맥 펄스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홍채 및 안저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단말과 검안용 렌즈부를 결합하여 생체신호를 획득, 전송하는 원격 진료 기술에 기여하는 것으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진단 기기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며 고혈압 및 당뇨 등 만성 환자의 병의 진행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 추적, 비교 및 관리하여 적극적인 예방 및 조치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홍채 및 안저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눈 속의 혈관 움직임 뿐만 아니라, 시신경 유두, 황반, 안질환, 망막의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 손상 정도, 녹내장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가(의사, 학생, 수의사, 원격의료 종사자 및 일반인 등)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을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이미지 정보를 저장, 전송이 가능하게 하여 원격에서도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어 의료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홍채 및 안저 촬영 장치는 환부 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획득하는 렌즈 및 카메라부, 렌즈와 단말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영상정보를 환자의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에 따라 병의 진행상황 확인이 가능한 추적, 비교 및 관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처리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영상정보 및 이미지정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교 분석 및 매칭하여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변화 유무 추출 및 이와 연관된 일반인 및 환자의 건강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환부의 영상정보를 검안용 렌즈부와 초점이 일치된 카메라부에서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정보를 환부인 안구 상태에 따라 병의 진행상황 확인이 가능한 추적, 비교, 관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연산되고 처리된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를 관리 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촬영된 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비교 분석 및 매칭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홍채 및 안저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단말에 검안용 렌즈부를 결합하여 안저동맥 펄스 및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은 단말과 검안용 렌즈부를 결합하여 생체신호를 획득, 전송하는 원격 진료 기술에 기여하는 것으로,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진단 기기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하며 고혈압 및 당뇨 등 만성 환자의 병의 진행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적극적인 예방 및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은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 및 이상유무, 혈관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신경 유두, 황반, 안질환, 망막의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 손상 정도, 녹내장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가(의사, 학생, 수의사, 원격의료 종사자 및 일반인 등) 스마트폰 및 다양한 웨어러블 단말을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저장, 추적, 관리 및 전송이 가능하게 하여 원격 의료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병원에 가지 않고도 고혈압 및 당뇨 등으로 고생하는 만성질환자의 합병증으로 인한 안구, 홍채 및 안저의 변화 정도를 미리 용이하게 확인하여 적극적인 예방 및 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를 통한 안구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안구, 홍체 및 안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검안용 렌즈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연동하여 안구, 홍채 및 안저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안저 동맥의 펄스, 안저의 혈관변화 유무 확인 및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미지, 동영상 및 수치 등)을 통해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 변화를 추적, 비교, 관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눈의 건강을 유지하고 실명을 예방하며, 눈 질환과 연관된 신체의 건강상태를 파악하여 예방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심정지환자 및 일반 환자의 뇌혈류 순환 여부의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한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촬영 장치는 검안용 렌즈부(50), 사용자 단말(100)을 포함한다.
검안용 렌즈부(50)은 안저검사(Fundoscopy)를 위한 렌즈이며,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 전단에 배치된다. 렌즈로 동작하는 검안용 렌즈부(50)과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눈 속의 망막, 혈관 움직임, 시신경유두, 황반, 안질환, 망막의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 손상 정도, 녹내장의 진행 정도 등을 관찰·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검안용 렌즈부(50)과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로부터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를 받아 이를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 추적, 비교, 관리 및 저장 할 수 있는 영상 및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안구, 홍체 및 안저의 상태 정보를 분석,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방송(Digital Broadcasting) 단말기,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머리, 손목, 및 신체 다양한 곳에 부착 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PC 소프트웨어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안용 렌즈부(50)와 사용자 단말(10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의료진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일측 단말에서 정보를 수신하여 필요한 경우 이를 분석, 추적, 비교 및 저장하고 타측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의료진 단말(3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환부(안구)의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추적, 비교, 분석 및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의료 지원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 및 의료진 단말(300)은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네트워크 및 광대역 무선접속으로 상호 연결되어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HSDPA, HSUPA 등의 3.5세대, LTE와 같은 3.9세대, LTE Advanced와 같은 4세대, 블루투스(Bluetooth),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및 그 이상의 무선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안구, 홍채 및 안저 인식부(103), 카메라부(105), 고정부(110), 광원 조절부(120), 영상 정보 저장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상태정보 추출부(160), 데이터 베이스(170), 표시부(180) 및 입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안구 인식부(103)는 촬상대상인 피사체의 안구, 홍채 및 안저를 감지한다. 피사체의 안구, 홍채 및 안저를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얼굴에서 뚜렷한 빛을 방출하는 안구의 빛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안구의 홍채를 감지하여 안구를 인식하는 방법, 얼굴색과 대비되는 눈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인식부(103)는 피사체의 안구, 홍채 및 안저상태를 감지한 후, 자동으로 초점을 조정한다.
카메라부(105)는 검안용 렌즈부(50)과 연결되며, 렌즈로 동작하는 검안용 렌즈부(50)의 후단에서 안저(Fundus) 동맥의 펄스, 안구(Eyeball), 홍채(Iris), 각막(Cornea), 망막(Retina)의 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집한다. 카메라부(105)는 검안용 렌즈부(50)과 초점을 일치시키기 위한 초점 일치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검안용 렌즈부(50)을 사용자 단말(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아답터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에 의해 검안용 렌즈부(50)이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105) 전단에 고정될 수 있다. 검안용 렌즈부(50)은 사용자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105)는 배치된 광원을 이용하여 안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검안용 렌즈부(5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변경되어도, 이에 관계없이 검안용 렌즈부(50)와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 및 이미지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광원 조절부(120)는 단말의 후면에 배치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집중시키도록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검안용 렌즈부(50)의 안구 인식부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안구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안구의 위치로 광을 집중시킴으로써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다.
영상 정보 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105)에서 획득한 영상및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관련 저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SSD포함),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00), 서버와 서버 사이, 단말과 단말의 직접적 연결 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로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각 구성요소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상태정보 추출부(160)는 검안용 렌즈부(50)렌즈를 통해 카메라부(105)에서 획득한 영상과 이미지등 각종 데이터를 영상 및 이미지 데이터 베이스(170)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매칭하여 촬영된 안구, 홍채 데이터 및 안저동맥의 정보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환자의 안저 및 안구 상태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평가 및 뇌기능 손상여부 진단등 병의 진행상황 확인이 가능한 기준 데이터(reference data)가 저장된다. 즉,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상태정보 추출부(160)가 영상 및 이미지를 분석 및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에는 안과 질환과 연계된 각종 질병, 음식, 운동, 칼로리, 혈당, 맥박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상태에 대응하는 진단이 가능하다.
표시부(1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80)는 사용자가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슬로우모션 비디오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구, 홍채 및 안저의 상태 변화가 느린 화면으로 변화된다.
입력부(19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9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를 통한 안구 촬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00단계에서, 환부의 영상 및 이미지 정보를 검안용 렌즈부(50)과 초점이 맞춰진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부(105)가 수집할 수 있으며, 상기 환부는 사용자의 안구, 홍체 및 안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20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정보 추출부(160)는 카메라부(105)에서 수집한 영상 및 이미지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170)에 존재하는 데이터와 매칭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정보는 안구, 홍채의 상태 및 안저동맥의 펄스를 측정한 고해상도의 이미지처리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와 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존재하는 정보와의 매칭을 통한 정보해석 및 추적 등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을 통해 뇌혈류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다음으로 수집한 상태 정보 및 영상을 다른 단말 및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말 및 서버는 사용자의 가족, 의료진 등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및 조치하기 위한 상기 가족 또는 의료진 등의 단말 및 상기 가족 또는 의료진 등이 접속 가능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된 상태 정보 및 영상은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심정지 환자의 순환회복에 대한 측정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므로 뇌기능 회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의 적용을 위한 객관적 지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급대의 심정지 환자 이송시 활용됨으로써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 성공여부 및 뇌기능 회복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구급대가 파악한 환자의 안저동맥정보를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함으로서 도착할 환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의료지도 및 준비가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눈 속 혈관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신경유두, 황반, 안질환, 망막의 변성, 외상성 질환, 당뇨 및 고혈압으로 인한 망막손상정도, 녹내장의 진행 정도를 사용자가(의사, 학생, 수의사, 원격의료 종사자 및 일반인 등)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가능하며,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안구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 또는 비디오 등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안구질환 관련 데이타베이스(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전문가의견 등)와 비교·분석 가능하며, 또한 촬영된 정보의 전송을 통해 원격에서도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음으로써, 원격 의료 활성화에도 기여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심정지 환자에게 의사, 119구급대 및 일반인의 효과적인 심폐소생술(CPR)이 가능하도록, 심폐소생술을 적용한 후 뇌혈류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고혈압 및 당뇨 등으로 고생하는 만성질환자의 병 정도를 매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적극적인 예방 및 조치를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의 상용화된 건강 관련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등과의 연동을 통해 다양한 건강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0 : 검안용 렌즈부 100 : 사용자 단말
110 : 고정부 120 : 광원 조절부
130 : 영상 정보 저장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160 : 상태정보 추출부
170 : 데이터 베이스 180 : 표시부
190 : 입력부 200 : 서버
300 : 의료진 단말

Claims (11)

  1. 사용자의 안구, 홍채 및 안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안구를 포커싱하는 검안용 렌즈부; 및
    상기 검안용 렌즈부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카메라부의 초점을 조정하는 안구 인식부; 및 상기 안구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안구의 위치로 광이 집중되도록 광의 방향을 조절하는 광원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의 획득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 카메라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검안용 렌즈부와 초점을 일치시키고, 상기 포커싱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한 정보를 다른 단말 또는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검안용 렌즈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미지 또는 상기 이미지를 분석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PC, 노트북 및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과 판단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장치.
  10. 사용자의 안구를 포커싱하는 검안용 렌즈부와 연동하여, 상기 검안용 렌즈부와 초점이 일치된 카메라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구, 홍채 및 안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와, 병의 진행상황 확인이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부 및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 내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안구를 인식하여 카메라부의 초점을 조정하고, 상기 인식된 안구의 위치로 광이 집중되도록 광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촬영 방법.
  11. 삭제
KR1020150023453A 2015-02-16 2015-02-16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3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53A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5-02-16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453A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5-02-16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314B1 true KR101637314B1 (ko) 2016-07-11

Family

ID=5649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453A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5-02-16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1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5718U1 (ru) * 2017-03-29 2017-12-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регистрации глазного дна с помощью смартфона
WO2018117443A1 (ko) * 2016-12-23 2018-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KR20190049031A (ko) 2017-11-01 2019-05-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8883B1 (ko) * 2019-04-11 2019-12-24 주식회사 홍복 당뇨병 및 전조 증상을 진단하기 위해 홍채 영상 및 망막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방법
KR20200123593A (ko)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6164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0318A (ko) * 2019-08-14 2021-02-24 한국과학기술원 안구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구 건강 모니터링용 디바이스
WO2021107433A1 (ko) * 2019-11-27 2021-06-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질환 구조적 진행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2394A (ja) * 2006-09-06 2010-01-28 アイ・マーカ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理学的データを測定および分析する非侵襲性の眼モニタ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2394A (ja) * 2006-09-06 2010-01-28 アイ・マーカ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理学的データを測定および分析する非侵襲性の眼モニタおよび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443A1 (ko) * 2016-12-23 2018-06-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스템
KR101948778B1 (ko) * 2016-12-23 2019-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연동형 시기능 강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RU175718U1 (ru) * 2017-03-29 2017-12-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учреждение "Межотраслево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Микрохирургия глаза"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С.Н. Федор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регистрации глазного дна с помощью смартфона
KR20190049031A (ko) 2017-11-01 2019-05-0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망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8883B1 (ko) * 2019-04-11 2019-12-24 주식회사 홍복 당뇨병 및 전조 증상을 진단하기 위해 홍채 영상 및 망막 영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방법
KR20200123593A (ko) 2019-04-22 2020-10-30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6164A (ko)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20318A (ko) * 2019-08-14 2021-02-24 한국과학기술원 안구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구 건강 모니터링용 디바이스
KR102297946B1 (ko) * 2019-08-14 2021-09-03 한국과학기술원 안구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구 건강 모니터링용 디바이스
WO2021107433A1 (ko) * 2019-11-27 2021-06-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질환 구조적 진행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65783A (ko) * 2019-11-27 2021-06-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질환 구조적 진행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4786B1 (ko) * 2019-11-27 2021-08-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질환 구조적 진행 판단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314B1 (ko)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US115831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alyzing, and sending still and video images of the fundus during examination using an ophthalmoscope
US11786117B2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for ocular misalignment measurement
US10506165B2 (en) Concussion screening system
US10722116B2 (en) Ophthalmic examination and disease management with multiple illumination modalities
Zvornicanin et al. The use of smart phones in ophthalmology
US202102900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notating and sharing ophthalmic images obtained using a hand held computer
CN113646805A (zh) 眼科和全身性疾病的基于图像的检测
Lim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detection of diabetic retinopathy: subgroup comparison of the EyeArt system with ophthalmologists’ dilated examinations
US201802799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pillometric assessment of toxin exposure
TW201242571A (en) Portable funduscopic image detecting apparatus
Lakshminarayanan et al. " Smartphone Science" in Eye Care and Medicine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41818A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Pujari et al. Clinical role of smartphone fundus imaging in diabetic retinopathy and other neuro-retinal diseases
US10835120B2 (en) Extended medical test system
WO2020005053A1 (es) Sistema portátil para la identificación de casos potenciales de edema macular diabético mediante procesamiento de imagen e inteligencia artificial
CN106725295A (zh) 一种微型体检设备、装置及其使用方法
CN106175661A (zh) 眼底相机及其光学系统
CN114846788A (zh) 使用用于移动设备的附加结构的增强型动眼神经测试设备和方法
US105885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of disorders in the field of vision
Kazancigil Innovations and convergence in mobile medical applications and cloud-bas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for the real-time monitoring of patients and early warning of diseases
EP4119036A1 (en) Retinal vital sign assessment
US202302849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ssessing, and quantifying brain trauma
Das et al. Retinal based automated healthcare framework via deep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