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164A -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164A
KR20200136164A KR1020190061861A KR20190061861A KR20200136164A KR 20200136164 A KR20200136164 A KR 20200136164A KR 1020190061861 A KR1020190061861 A KR 1020190061861A KR 20190061861 A KR20190061861 A KR 20190061861A KR 20200136164 A KR20200136164 A KR 2020013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ation
server
module
target data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원
이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6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164A/ko
Priority to PCT/KR2020/004580 priority patent/WO2020218754A1/ko
Publication of KR2020013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검진단말기에 의해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생성된 검진대상데이터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판독기초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서버의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판별할 수 있어서, 원격 진료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설정된 촬영조건이 만족될 때, 또는 챗봇모듈에 의한 촬영신호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검진대상데이터가 생성됨으로써, 유효한 검진대상데이터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UMAN BODY MEDICAL EXAMINATION}
본 발명은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기능은 눈과 뇌 사이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비전(vision) 기능이라고도 하며, 이는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우리의 눈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신속하게 뇌에 전달하여 뇌에서 통합하여 흡수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능에 의해 거리감, 입체감 및 속도감 등등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등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게 된다.
시기능은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발생되며,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이 곤란하고, 독서를 하기가 힘들며, 주의집중력이 저하되고, 쓰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독서장애, 난독증, 주의력결핍장애, 학습장애, 쓰기장애, 사회생활장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안구 발육의 시기이나, 과도한 숙제, 독서,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등으로 인하여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안과 방문만을 통한 안질환 치료, 시력 교정을 통한 대응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각종 유해환경 속에서 개인의 건강한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시기능 저하 및 각종 안질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 의료 보조 기구 사용 인구의 비율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근시나 약시와 같은 안질환은 시기능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일부 회복하거나 시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기능 훈련을 돕는 다양한 보조 의료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으나 기존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자체의 단순함에 의해 훈련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료 효과 분석 부재, 전문의 진단과의 통합 부재, 오프라인 병원 방문을 통한 일시적 훈련/치료로 인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훈련 및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청 등으로 인해 시기능 저하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으나, 사용자 맞춤형 치료 기기 및 솔루션 부재, 사후 대처 중심의 안질환 치료, 사전 진단 부재 및 단편적이며 기간 제한적 시력/안질환 관리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동화된 안질환 치료를 위해 필수 요소인 의료영상분석 연구의 경우, 전문의들이 기존 안과 전문 검사/치료 장비(ARK 등)를 사용하여 수동적/경험적 판단을 했기 때문에, 안과 질환 관련 의료영상 분석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안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별 맞춤형 안질환 예방과 진단, 맞춤형 치료, 효과 분석/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의료기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의료 분야에서의 영상 정보를 사용한 경우는 주로 CT나 디지털 X-Ray 등이었고 이 경우 대부분 전문가 경험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화된 분석을 하는 경우에도 전통적 패턴 매칭 기술이나 특징 추출, Anomaly 추출, SVM과 같은 머신러닝을 통해 의료 영상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육안 확인보다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특히, 안질환일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서는 100% 전문가에 의해서만 검안 영상이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 환자는 안질환 관리에 있어서 장소적 제약을 받게 되어,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7314호 (2016.07.0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검진단말기에 의해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생성된 검진대상데이터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판독기초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서버의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판별할 수 있어서, 원격 진료가 가능해지는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설정된 촬영조건이 만족될 때, 또는 챗봇모듈에 의한 촬영신호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검진대상데이터가 생성됨으로써, 유효한 검진대상데이터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b)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는 단계; 및 (c)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와,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촬영부(103)와, 통신부(105)를 포함하는 검진단말기(101); 및 통신모듈(109)과, 데이터저장모듈(111)과, 진단모듈(113)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5)을 포함하는 서버(107)를 포함하되,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며,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와,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검진단말기에 의해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생성된 검진대상데이터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판독기초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서버의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판별할 수 있어서, 원격 진료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설정된 촬영조건이 만족될 때, 또는 챗봇모듈에 의한 촬영신호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검진대상데이터가 생성됨으로써, 유효한 검진대상데이터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a)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b)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의 진단결과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a)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b)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의 진단결과정보에 포함된 텍스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방법은, (a)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b)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는 단계; 및 (c)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와,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대상으로 하여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특히 사람의 '눈'을 대상으로 하여 검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검진단말기(101)는, 일예로, 카메라 및 GPS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는 범위(촬영영역, 반지름이 r2인 영역, A1, A2)는, 일예로, 홍채의 반지름(r1) 대비 5~10배 영역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의 눈 뿐만 아니라, 눈 주위 영역(상안검, 하안검, 속눈썹 등)까지를 포함하는 검진대상데이터(D1)가 생성된다.
또한, 촬영부(103)는, 피검진인의 좌측 눈 및 그 주변과 우측 눈 및 그 주변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의 양쪽 눈 및 그 주변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검진대상데이터(D1)가 생성된다.
한편, 촬영부(103)는,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2)가 만족될 때,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2)란, 일예로, 특정된 또는 일정 범위의 조도, 검진단말기(101)의 기울어진 각도, 피검진인의 눈에 의해 반사되는 빛으로 만들어지는 음영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3)는, 서버(107)에 탑재된 챗봇모듈(117)로부터 인가된 촬영신호정보(i3)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눈 및 그 주변)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챗봇모듈(117)로부터 '5초 후에 촬영됩니다'라는 촬영신호정보(i3)가 검진단말기(101)로 인가된 경우, 촬영부(103)는 해당 시간이 경과된 후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5초 후에 촬영됩니다'라는 촬영신호정보(i3)는, 검진단말기(101)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다.
또한, 일예로 챗봇모듈(117)로부터 '우측을 보세요'라는 촬영신호정보(i3)가 검진단말기(101)로 인가된 경우, 홍채의 우측 이동 움직임이 감지되면(검진단말기(101)가 감지), 촬영부(103)는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챗봇모듈(117)은, 기설정된 규칙 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해 음성정보 또는 텍스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챗봇모듈(117)은, 서버(107)에 탑재되거나, 서버(107) 및 검진단말기(101)와 상호 통신하는 독자적인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b) 단계는,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검진단말기(101)와 서버(107)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의 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어서, (c) 단계는,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와,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진단모듈(113)은, 인공지능(AI)이 탑재된 모듈로,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이 수행되는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진단모듈(113)은, 검진대상데이터(D1)와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는, 외부서버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이다.
한편, (c) 단계에서, 진단모듈(113)은,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전송한, 검진단말기(101)의 위치정보(GPS정보)를 더 추가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진단결과정보(i1)로 표시되는 텍스트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단결과정보(i1)는,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1)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d)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이, 진단결과정보(i1)를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은, 진단결과정보(i1)를 기초로 한 전문 의료인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시스템은, 촬영부(103)와, 통신부(105)를 포함하는 검진단말기(101); 및 통신모듈(109)과, 데이터저장모듈(111)과, 진단모듈(113)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5)을 포함하는 서버(107)를 포함하되,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며,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와,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촬영부(103)는,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2)가 만족될 때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촬영부(103)는, 서버(107)에 탑재된 챗봇모듈(117)로부터 인가된 촬영신호정보(i3)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진단결과정보(i1)를 인가받는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검진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앞에서 신체 검진 방법을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검진단말기에 의해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생성된 검진대상데이터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판독기초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서버의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판별할 수 있어서, 원격 진료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설정된 촬영조건이 만족될 때, 또는 챗봇모듈에 의한 촬영신호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가 촬영되어 검진대상데이터가 생성됨으로써, 유효한 검진대상데이터를 빠르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검진단말기
103 : 촬영부
105 : 통신부
107 : 서버
109 : 통신모듈
111 : 데이터저장모듈
113 : 진단모듈
115 : 데이터베이스모듈
117 : 챗봇모듈
119 : 진료단말기
121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a)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상기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와, 상기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싱기 (a) 단계의 상기 촬영부(103)는,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2)가 만족될 때 상기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촬영부(103)는,
    상기 서버(107)에 탑재된 챗봇모듈(117)로부터 인가된 촬영신호정보(i3)를 토대로 상기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서버(107)의 상기 통신모듈(109)이, 상기 진단결과정보(i1)를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방법.
  5. 촬영부(103)와, 통신부(105)를 포함하는 검진단말기(101); 및
    통신모듈(109)과, 데이터저장모듈(111)과, 진단모듈(113)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5)을 포함하는 서버(107)를 포함하되,
    상기 검진단말기(101)의 촬영부(103)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상기 검진단말기(101)의 통신부(105)가,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상기 서버(107)의 통신모듈(109)을 통해 상기 서버(107)의 데이터저장모듈(111)로 인가하며,
    상기 서버(107)의 진단모듈(113)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11)에 인가된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와, 상기 서버(107)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5)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를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검진 시스템.
KR1020190061861A 2019-04-22 2019-05-27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6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1A KR20200136164A (ko) 2019-05-27 2019-05-27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0/004580 WO2020218754A1 (ko) 2019-04-22 2020-04-03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61A KR20200136164A (ko) 2019-05-27 2019-05-27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164A true KR20200136164A (ko) 2020-12-07

Family

ID=7379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61A KR20200136164A (ko) 2019-04-22 2019-05-27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1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18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analyzing, and sending still and video images of the fundus during examination using an ophthalmoscope
JP6550460B2 (ja) 眼信号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連続バイオメトリック認証
JP6951327B2 (ja) 視覚の様相を検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4306102B (zh) 针对视觉障碍患者的头戴式视觉辅助系统
US10945637B2 (en)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image based jaundice diagnosis assisting apparatus
US1105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aundic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Pieczynski et al. The role of telemedicine, in-home tes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alleviate an increasingly burdened healthcare system: Diabetic retinopathy
US11494897B2 (en)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US11311188B2 (en)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KR101789166B1 (ko)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방법 및 장치, 이미지 기반 황달 진단 보조 장치
US20220238220A1 (en) Headset integrated into healthcare platform
CN107222636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验光系统及验光方法
EP4264627A1 (en) System for determining one or more characteristics of a user based on an image of their eye using an ar/vr headset
KR102366251B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101924125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안질환 헬스케어 플랫폼 장치
CN104483754A (zh) 针对视觉障碍患者的头戴式多媒体终端辅助观看系统
CN206865559U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验光系统
KR20200136164A (ko)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EP3425637B1 (de) Elektron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r klassifikation eines physiologischen zustandes
WO2020218754A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4381A (ko) 온라인 안구 검사 시스템 및 방법
Stark et al. Potential signal to accommodation from the Stiles–Crawford effect and ocular monochromatic aberrations
Rafiq et al. Reconstruction of scene using corneal reflection
Vos Depth in colour, a history of a chapter in physiologie optique amusante
JP7182832B1 (ja) 円錐角膜及び乱視等の簡易診断補助装置及び診断補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