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251B1 -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251B1
KR102366251B1 KR1020190046652A KR20190046652A KR102366251B1 KR 102366251 B1 KR102366251 B1 KR 102366251B1 KR 1020190046652 A KR1020190046652 A KR 1020190046652A KR 20190046652 A KR20190046652 A KR 20190046652A KR 102366251 B1 KR102366251 B1 KR 10236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amination
module
server
questionnai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593A (ko
Inventor
정희원
이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04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251B1/ko
Priority to PCT/KR2020/004580 priority patent/WO2020218754A1/ko
Publication of KR20200123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챗봇모듈을 통해 1차문진 및 가변적인 2차문진이 진행되고, 1차 및 2차 문진결과와 검진단말기에 의해 쵤영된 검진대상데이터를 토대로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진단하게 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증상을 판단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결과정보가 전문 의료인의 진료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HUMAN BODY MEDICAL EXAMINATION USING CHATBOT INPUIRY}
본 발명은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기능은 눈과 뇌 사이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비전(vision) 기능이라고도 하며, 이는 촉각, 후각, 청각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와 함께 우리의 눈으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신속하게 뇌에 전달하여 뇌에서 통합하여 흡수된 정보를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시기능에 의해 거리감, 입체감 및 속도감 등등 사회생활이나 스포츠 등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게 된다.
시기능은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무관하게 발생되며,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포츠 활동이 곤란하고, 독서를 하기가 힘들며, 주의집중력이 저하되고, 쓰기에 문제가 발생하여 독서장애, 난독증, 주의력결핍장애, 학습장애, 쓰기장애, 사회생활장애 등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안구 발육의 시기이나, 과도한 숙제, 독서, 컴퓨터 및 텔레비전 등등으로 인하여 시기능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안과 방문만을 통한 안질환 치료, 시력 교정을 통한 대응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급격한 진입과 각종 유해환경 속에서 개인의 건강한 삶 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시기능 저하 및 각종 안질환 유병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 의료 보조 기구 사용 인구의 비율은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기능 저하의 주요 원인인 근시나 약시와 같은 안질환은 시기능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일부 회복하거나 시기능 저하를 지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시기능 훈련을 돕는 다양한 보조 의료기기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있으나 기존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자체의 단순함에 의해 훈련 치료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치료 효과 분석 부재, 전문의 진단과의 통합 부재, 오프라인 병원 방문을 통한 일시적 훈련/치료로 인하여 환자 개인의 상황에 따른 효율적인 훈련 및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 텔레비전 시청 등으로 인해 시기능 저하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있으나, 사용자 맞춤형 치료 기기 및 솔루션 부재, 사후 대처 중심의 안질환 치료, 사전 진단 부재 및 단편적이며 기간 제한적 시력/안질환 관리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동화된 안질환 치료를 위해 필수 요소인 의료영상분석 연구의 경우, 전문의들이 기존 안과 전문 검사/치료 장비(ARK 등)를 사용하여 수동적/경험적 판단을 했기 때문에, 안과 질환 관련 의료영상 분석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안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인별 맞춤형 안질환 예방과 진단, 맞춤형 치료, 효과 분석/관리를 위한 자동화된 의료기기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의료 분야에서의 영상 정보를 사용한 경우는 주로 CT나 디지털 X-Ray 등이었고 이 경우 대부분 전문가 경험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화된 분석을 하는 경우에도 전통적 패턴 매칭 기술이나 특징 추출, Anomaly 추출, SVM과 같은 머신러닝을 통해 의료 영상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육안 확인보다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특히, 안질환일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서는 100% 전문가에 의해서만 검안 영상이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 환자는 안질환 관리에 있어서 장소적 제약을 받게 되어, 양질의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7314호 (2016.07.0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챗봇모듈을 통해 1차문진 및 가변적인 2차문진이 진행되고, 1차 및 2차 문진결과와 검진단말기에 의해 쵤영된 검진대상데이터를 토대로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진단하게 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증상을 판단받을 수 있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단결과정보가 전문 의료인의 진료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a)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는 단계; (b)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c)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d)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는 단계; (e)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는 단계; (f)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g)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챗봇모듈(103)과, 데이터저장모듈(107)과, 통신모듈(113)과, 진단모듈(115)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7)을 포함하는 서버(101); 및 촬영부(109)와, 통신부(111)와,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하는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를 포함하되,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고,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며,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고,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챗봇모듈을 통해 1차문진 및 가변적인 2차문진이 진행되고, 1차 및 2차 문진결과와 검진단말기에 의해 쵤영된 검진대상데이터를 토대로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진단하게 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증상을 판단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결과정보가 전문 의료인의 진료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a)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단계에서 1차문진정보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b)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단계에서 1차문진답변정보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d)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e)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e) 단계에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f)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 단계에서 2차문진답변정보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g)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g) 단계에서 진단결과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a)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단계에서 1차문진정보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b)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단계에서 1차문진답변정보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c)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d)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e)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e) 단계에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f)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f) 단계에서 2차문진답변정보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중 (g) 단계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g) 단계에서 진단결과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은, (a)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는 단계; (b)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c)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d)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는 단계; (e)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는 단계; (f)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g)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대상으로 하여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특히 사람의 '눈'을 대상으로 하여 검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챗봇모듈(103)은, 기설정된 규칙 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에 의해 음성정보 또는 텍스트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챗봇모듈(103)은, 서버(101)에 탑재되거나, 서버(101) 및 검진단말기(105)와 상호 통신하는 독자적인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는, 일예로, 카메라 및 GPS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챗봇모듈(103)은, 1차문진정보(i1)를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한다.
여기서, 1차문진정보(i1)는, 피검진인의 나이, 성별, 안경 착용 여부, 증상 등 기본적인 문진사항을 포함하는데, 1차문진정보(i1)는,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될 수도 있고, 챗봇모듈(103)의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문진정보(i1)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3에는 1차문진정보(i1)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다.
물론, 1차문진정보(i1)는, 검진단말기(105)의 터치식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b) 단계는,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피검진인은, 검진단말기(105)의 디스플레이(121)에 표시된 1차문진정보(i1)에 포함된 질문들을 보고, 해당 사항에 체크(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차문진답변정보(i2)가 생성된다.
검진단말기(105)는,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서버(101)로 전송하며, 전송된 1차문진답변정보(i2)는,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다.
도 5에는 1차문진답변정보(i2)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어서, (c) 단계는,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신체 부위)을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는 범위(촬영영역, 반지름이 r2인 영역, A1, A2)는, 일예로, 홍채의 반지름(r1) 대비 5~10배 영역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의 눈 뿐만 아니라, 눈 주위 영역(상안검, 하안검 등, 속눈썹 등)까지를 포함하는 검진대상데이터(D1)가 생성된다.
또한, 촬영부(109)는 피검진인의 좌측 눈 및 그 주변과 우측 눈 및 그 주변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의 양쪽 눈 및 그 주변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검진대상데이터(D1)가 생성된다.
한편, 촬영부(109)는,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6)가 만족될 때, 피검진인의 눈 및 그 주변을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6)란, 일예로, 특정된 또는 일정 범위의 조도, 검진단말기(105)의 기울어진 각도, 피검진인의 눈에 의해 반사되는 빛으로 만들어지는 음영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09)는, 서버(101)에 탑재된 챗봇모듈(103)로부터 인가된 촬영신호정보(i7)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챗봇모듈(103)로부터 '5초 후에 촬영됩니다'라는 촬영신호정보(i7)가 검진단말기(105)로 인가된 경우, 촬영부(109)는 해당 시간이 경과된 후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5초 후에 촬영됩니다'라는 촬영신호정보(i7)는, 검진단말기(105)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다.
이어서, (d) 단계는,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검진단말기(105)와 서버(101)는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의 방식으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이어서, (e) 단계는,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검진대상데이터(D1)에서, 공막의 실핏줄이 터진 상태(안저출혈)가 나타난 경우, 챗봇모듈(103)은, 그 상태가 유발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한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한다.
도 9에는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에 포함된 질문들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다.
물론, (e) 단계에서, 챗봇모듈(103)은, 상술한 검진대상데이터(D1) 이외에,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더 포함한 정보들을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e) 단계에서, 챗봇모듈(103)은, 상술한 검진대상데이터(D1), 1차문진답변정보(i2) 이외에, 후술할 (f) 단계에서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되는 2차문진답변정보(i4)를 더 포함한 정보들을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f) 단계는,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피검진인은, 검진단말기(105)의 디스플레이(121)에 표시된 2차문진정보(i3)에 포함된 질문들을 보고, 해당 사항에 체크(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2차문진답변정보(i4)가 생성된다.
검진단말기(105)는,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서버(101)로 전송하며, 전송된 2차문진답변정보(i4)는,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다.
도 11에는 2차문진답변정보(i4)에 포함된 답변들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e) 단계와 (f) 단계는, 필요에 따라 복수회 반복되어 발생될 수 있다.
일예로,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2차문진답변정보(i4)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후술할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판단할 수 있음), 챗봇모듈(103)은, 추가적으로 새로운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g) 단계는,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진단모듈(115)은, 인공지능(AI)이 탑재된 모듈로,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이 수행되는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진단모듈(115)은,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한다.
물론,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는, 외부서버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데이터이다.
도 12에는 진단결과정보(i5)로 표시되는 텍스트의 일예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진단결과정보(i5)는,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g) 단계에서, 진단모듈(115)은,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전송한, 검진단말기(105)의 위치정보(GPS)를 더 추가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h)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이, 진단결과정보(i5)를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피검진인은, 진단결과정보(i5)를 기초로 한 전문 의료인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은, 챗봇모듈(103)과, 데이터저장모듈(107)과, 통신모듈(113)과, 진단모듈(115)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7)을 포함하는 서버(101); 및 촬영부(109)와, 통신부(111)와,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하는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를 포함하되,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고,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며,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고,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검진단말기(105)로부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검진대상데이터(D1)를,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촬영부(109)는, 기설정된 촬영조건정보(i6)가 만족될 때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쳇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촬영부(109)는, 서버(101)에 탑재된 챗봇모듈(103)로부터 인가된 촬영신호정보(i7)를 토대로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진단결과정보(i5)를 인가받는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앞에서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을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챗봇모듈을 통해 1차문진 및 가변적인 2차문진이 진행되고, 1차 및 2차 문진결과와 검진단말기에 의해 쵤영된 검진대상데이터를 토대로 진단모듈이 피검진인의 증상을 진단하게 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자신의 증상을 판단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단결과정보가 전문 의료인의 진료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피검진인이 쉽고 간편하게 원격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서버
103 : 챗봇모듈
105 : 검진단말기
107 : 데이터저장모듈
109 : 촬영부
111 : 통신부
113 : 통신모듈
115 : 진단모듈
117 : 데이터베이스모듈
119 : 진료단말기
121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a)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상기 검진단말기(105)로부터 상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상기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상기 서버(101)의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는 단계;
    (e) 상기 서버(101)의 상기 챗봇모듈(103)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상기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버(101)의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이, 상기 검진단말기(105)로부터 상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g) 상기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상기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상기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상기 촬영부(109)는,
    기설정된 조도, 검진단말기(105)의 각도, 또는 반사광에 의한 음영의 유무의 조건을 포함하는 촬영조건정보(i6)가 만족되고, 상기 챗봇모듈(103)로부터 인가된 촬영개시타이밍을 포함하는 촬영신호정보(i7)를 토대로 상기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h) 상기 서버(101)의 상기 통신모듈(113)이, 상기 진단결과정보(i5)를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5. 챗봇모듈(103)과, 데이터저장모듈(107)과, 통신모듈(113)과, 진단모듈(115)과, 데이터베이스모듈(117)을 포함하는 서버(101); 및
    촬영부(109)와, 통신부(111)와,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하는 피검진인의 검진단말기(105)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상기 검진단말기(105)로 1차문진정보(i1)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상기 검진단말기(105)로부터 상기 1차문진정보(i1)에 기초하여 생성된 1차문진답변정보(i2)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상기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가, 상기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고,
    상기 검진단말기(105)의 통신부(111)가,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상기 서버(101)의 통신모듈(113)을 통해 상기 서버(101)의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하며,
    상기 서버(101)의 챗봇모듈(103)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로 인가된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기초로 가변적인 2차문진정보(i3)를 생성하여 상기 검진단말기(105)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101)의 데이터저장모듈(107)이, 상기 검진단말기(105)로부터 상기 2차문진정보(i3)에 기초하여 생성된 2차문진답변정보(i4)를 인가받아 저장하며,
    상기 서버(101)의 진단모듈(115)이, 상기 데이터저장모듈(107)에 저장된 상기 1차문진답변정보(i2), 2차문진답변정보(i4) 그리고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상기 서버(101)의 데이터베이스모듈(117)에 기저장된 판독기초데이터(D2)와 비교하여, 진단결과정보(i5)를 생성하며,
    상기 검진단말기(105)의 촬영부(109)는, 기설정된 조도, 검진단말기(105)의 각도, 또는 반사광에 의한 음영의 유무의 조건을 포함하는 촬영조건정보(i6)가 만족되고, 상기 챗봇모듈(103)로부터 인가된 촬영개시타이밍을 포함하는 촬영신호정보(i7)를 토대로 상기 피검진인의 신체 부위를 촬영하여 상기 검진대상데이터(D1)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01)의 상기 통신모듈(113)을 통해, 상기 진단결과정보(i5)를 인가받는 의료인의 진료단말기(1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시스템.
KR1020190046652A 2019-04-22 2019-04-22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KR102366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52A KR102366251B1 (ko) 2019-04-22 2019-04-22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0/004580 WO2020218754A1 (ko) 2019-04-22 2020-04-03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52A KR102366251B1 (ko) 2019-04-22 2019-04-22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93A KR20200123593A (ko) 2020-10-30
KR102366251B1 true KR102366251B1 (ko) 2022-02-22

Family

ID=7304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652A KR102366251B1 (ko) 2019-04-22 2019-04-22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2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72B1 (ko) 2021-01-22 2023-04-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전 문진용 음성 분석을 통한 주관적 통증의 임상 연계성 분석 시스템
KR20230031690A (ko) 2021-08-27 2023-03-07 (주)엠닥 챗봇과 예약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는 비대면 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1447A (ja) * 2011-04-14 2012-11-12 Sharp Corp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14B1 (ko) 2015-02-16 2016-07-11 양석우 안구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999657B1 (ko) * 2017-09-22 2019-07-16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챗봇을 이용한 사용자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1447A (ja) * 2011-04-14 2012-11-12 Sharp Corp 遠隔診断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通信端末装置、データ解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593A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1327B2 (ja) 視覚の様相を検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Surendran et al. Teleophthalmology in diabetic retinopathy
CA2432326C (en) System and method for eye screening
KR20180113511A (ko) 신경학적 모니터링 및 보조된 진단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들
US20130150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ecording, and Treating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US11494897B2 (en) Application to determine reading/working distance
CN103857347A (zh) 语言理解的瞳孔度量评估
Pieczynski et al. The role of telemedicine, in-home tes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alleviate an increasingly burdened healthcare system: Diabetic retinopathy
US11311188B2 (en)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CN110772218A (zh) 视力筛查设备及方法
KR102366251B1 (ko) 챗봇 문진을 이용한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CN107341335B (zh) 监测成员群组的行为的方法
US20220198831A1 (en) System for determining one or more characteristics of a user based on an image of their eye using an ar/vr headset
US20210390692A1 (en) Detecting and tracking macular degeneration
KR102208508B1 (ko) 복합적인 안과 진료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4038134A1 (en) Methods and devices in performing a vision testing procedure on a person
EP3425637B1 (de) Elektron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r klassifikation eines physiologischen zustandes
Brata et al. An idea of intuitive mobile diopter calculator for myopia patient
KR20200136164A (ko) 신체 검진 방법 및 시스템
Stark et al. Potential signal to accommodation from the Stiles–Crawford effect and ocular monochromatic aberrations
Elkadim et al. Corneal Topographic versus Manifest Refractive Astigmatism in Patients with Keratoconu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Abbas Farishta et al. Montreal Brain Injury Vision Screening Test for General Practitioners
Mariakakis et al. Ocular symptom detection using smartphones
Gupta et al. Apparatus to Measure Interpupillary Distance and Near Point of Converg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