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783A1 - 코받침이 없는 안경 - Google Patents

코받침이 없는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783A1
WO2018101783A1 PCT/KR2017/013982 KR2017013982W WO2018101783A1 WO 2018101783 A1 WO2018101783 A1 WO 2018101783A1 KR 2017013982 W KR2017013982 W KR 2017013982W WO 2018101783 A1 WO2018101783 A1 WO 20181017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g
nose
len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9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재필
Original Assignee
박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필 filed Critical 박재필
Publication of WO20181017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7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yeglasses without a n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seless eyeglasses that can be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stably without the noserest on the spectacle frame.
  • the frame uses a nose pad to support the glasses along with their ears.
  • the glasses are supported by the nose pad and both ears so that the weight of the frames and the spectacle lenses are dispersed so that the glasses can be stably worn.
  • the nose is pressed by literally applying a portion of the weight of the glasses to the nose.
  • the nose frame is a frame that is applied to the nose by applying a load of the nose to the nose bearing, which causes a very uncomfortable situation for those who molded the nose.
  • the nose frame is currently uncomfortable for a long time to be worn by men and women molded nose.
  • the conventional nasal abutment frame has a problem in that it interferes with the growth of the nasal skeleton of children in the growing phase. If you've worn glasses since childhood, the optician's nose will affect the facial skeleton, making it easier to adjust the nose rest due to a dent in the nose.
  • eyeglass frames such as hageum frames, which are in vogue, have a severe pressure, such as weights of 40g, and wearers often complain that their noses are likely to fall off.
  • the existing eyeglass frame may come in contact with the nose portion of the wound so that the wound does not heal well.
  • the nose frame without a nose support is necessary in that the wound on the nose area can be more easily treated.
  • Conventional cheekbone frames and nose frames without nose frames are essentially free of nose rests.
  • the wearer can obtain the optimal distance between the spectacle lens and the eyes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lasses on the nose.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glasses without nose pads'.
  • Glasses without nose restraint forms a lens frame without nose rests to couple the eyeglass legs to both eyeglass leg connectors of the lens frame, wherein the eyeglass legs are provided with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the front frame
  • the rear fram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front frame is formed to extend to extend to the side rear of the head seated on the top of the ear, Both ends of the rear fram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ide of the head to form a close fixing to prevent the flow of glasses.
  •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upport structure of eyeglasses without nose pads'.
  •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nose restraint-free glasses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s a pair of glasses that can be worn without a nose rest on the front frame, and the leg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rough a connecting rod, and the legs are And a main support extending to the head rear side and an auxiliary support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portion.
  •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nose restraint-free glass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has a main support and an auxiliary support formed on the glasses leg, but the main support and the auxiliary support that is seated on the ear has a problem that the glasses can not be stably worn.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n infant nose restraint-free glasses in the growth phase that can solve the discomfort caused by the obstruction of nose growth due to infants or growing, wearing glasses after nose plastic surgery It i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less eyeglasses that can solve the pain caused by the pressure and the visual disturbance of the visually impaired.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less eyeglass that can stably wear glasses without a nose rest as well a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glasses legs according to the wearer's face.
  • the nose restraint-free glasses includes a lens unit having a rim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lens is mounted; A pair of pairs of glass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worn by the wearer's ear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ns unit; And a cheekbone support part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pectacles so that the lens part is supported by the wearer's cheekbone part.
  • the first leg is formed from the lens portion toward the e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along the first pair of glasses, as well as the second pair of glasses formed to be seated on the ear of the wear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a connecting part formed to connect the first glasses leg to the lens part; A first leg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A fixing groov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maintain the second glasses legs in a fixed state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glasses legs is adjusted; And a cheekbone support part formed on the first leg so as to be stably worn on the cheekbone part.
  • the cheekbone support part is a vertical support part vertically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And a horizontal suppor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 arc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more stably.
  • the nose growth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rowth of the nose, so that it does not become a pressed nose, and the discomfort that occurs when wearing ordinary glasses (nose support glasses) after nose molding is fundamental.
  • the effect that it can eliminate, the pain by a pressurization can be eliminated, and the lens part of glasse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is acquired.
  • the eyeglasses without the nose support it is possible to design a new type of glasse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nose rest, and the nose is not required so that the nose can be obtained with a visual effect that looks straighter, wider and higher.
  • FIG.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glasses without a nose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eye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the glasses legs of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pectacles of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unit having a rim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lens is mounted; A pair of pairs of glasse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worn by the wearer's ear and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ns unit; It is to provide a nose-free eyeglasses comprising; a cheekbone support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pectacles so that the lens portion is supported on the cheekbone portion of the wearer.
  • Glasses without a nose support has a lens portion 10 having a rim 11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lens is mounted, made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atch the wearer's ear (lens) ( 10) a pair of pairs of glasses 30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ns, the lens 10 includes a cheekbone support portion 35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lasses leg 30 so that the wearer's cheekbones are supported. .
  • Glasses without a nose support is to be securely caught in the ear to the eyeglasses 30, as well as close to the cheekbone area of the wearer's face to be able to wear the glasses more stably.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part, which is a part protruding from the face, to maintain a stable state in which the lens part 10 of the glasses is worn as the wearer intended.
  •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glasses without a nose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glasses without a nose stan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glasses without a nose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lens unit 10 and a lens unit 10 in which a lens (not shown) is mounted according to a wearer's eyesight.
  • Eyeglass legs 30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ens unit 10 so that the face is worn stably.
  • the lens unit 10 includes a pair of rims 11 formed to mount a lens and a bridge 12 integrally connecting the pair of rims 11.
  • the rim 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glasses, and allows the lens (not shown) to be stably mounted.
  • the pair of rims 11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bridge 12.
  • the bridge 12 is connected between the rim 11 and the rim 11, and connects a pair of rims 11.
  • Figure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leg of the eye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leg of eye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 the pair of glasses 30 is made of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worn on the wearer's ear is composed of a pair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ens portion.
  • the glasses legs 30 are adjustable to length along the first glasses legs 31 and the first glasses legs 31 which are formed toward the ears from the lens unit 10, and are formed to be seated on the ear region of the wearer. It consists of a second pair of glasses 41.
  • the glasses legs 3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im 11, and the glasses legs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glasses legs 31 and the first glasses legs 31 connected to the lens unit 10.
  • the length is adjusted, as well as the second pair of glasses 41 is seated on the ear.
  • the first glasses leg 31 is a connecting portion 32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ens unit 10, the first leg 33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 the second glasses leg ( 33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34 and the first leg 33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3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glasses leg 41 when adjusting the length of the 33). And a cheekbone support 35.
  • a connecting portion 32 is formed on the first glasses leg 3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rim 11, and a first leg 33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 a fixing groove 34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glasses leg 4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eg 33.
  •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4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eg 33 at regular intervals, and these fixing grooves 34 are formed in grooves of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formed in the first leg 33.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32. This is to allow the heavy weight lens unit 10 to be seated more stably.
  • the lens part 10 of the glasses to flow down the nose as there is no nose rest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formed so as not to fall or sag.
  • the lens uni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s despite the load by the lens, etc. to maintain the wearing state of the glasses stably.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ncludes a vertical support part 36 formed vertic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s adjacent to the connecting part 32 and a horizontal support part 37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36. .
  • the vertical support part 36 is formed on the first leg 33, and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32. This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which is a relatively protruding part of the face, so as to more firmly support the lens unit 10 of the glasses.
  • the vertical support part 36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 32 of the first leg 33 having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xing groove part 34, and more preferably, is close to the connecting part 32.
  • the connecting portion 32 is to connect the rim (11) and the eyeglasses 30, can be connected with a bolt (not shown) in a separate state, as well as a spring to wear more stable when wearing glasses (Not shown) may be installed, of course.
  •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37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36 to secure a wider contact area with the cheekbones.
  • the horizontal support portion 37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caught in the cheekbones.
  • the second glasses leg 41 is coupled to the first glasses leg 31 so as to be movable on the second leg 42 and the first glasses leg 31 form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glasses leg.
  • a coupling part 43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eg 42 to be coupled, a first seating portion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leg 42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o be caught behind the wearer's ear ( 44)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45 formed to be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seating portion 44 so as to stably rest on the front of the wearer's ear.
  • the second glasses leg 41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glasses leg 31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is made and the seating portion 44 which is caught on the rear and the front of the ear so that the glasses can be worn more stably. 45).
  • the second leg 4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upling portion 4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leg 42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leg 33.
  • the coupling portion 43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43a so that the first leg 33 is movably coupled thereto.
  •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 34 is formed in the groove 43a.
  • the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in one or two or more to keep the first leg 33 and the second leg 42 firmly coupled.
  • first seating portion 44 is formed to be caught behind the ear
  • second seating portion 45 is formed to be caught in front of the ear.
  • first seating portions 44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 the second seating portion 45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or in an arc shape.
  • FIG.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glasses without a nose stan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glasses without a nose stand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pectacles of the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air of spectacles of glasses without nose rests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 glasses without a nose suppo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lens unit 10 and a pair of glasses 30, which are the same lens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part 10 and the second eyeglasses 41 are the same,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name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 the first glasses leg 31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2 connected to the lens portion 10 and a first leg 33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 and the first leg.
  • One leg 33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4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urface.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formed on the first leg 33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part of the face, and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is formed of a vertical support part 36 and the vertical support part 36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upport portion 37 at the tip.
  •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36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to more closely adhere to the upper part of the cheekbon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wearer.
  • the vertical support portion 36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b' shape, inverted 'Y' shape, etc., which can support the cheekbone as well as the arc shape.
  • the noseless eyeglass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 a pair of rims 11 to mount a lens (not shown) suitable for a wearer's vision.
  • the pair of rims 11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bridge 12.
  • the rim 11 may be made of a semi-rimless, frameless shape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glasses.
  • Both sides of the rim 11 are connected to a pair of pairs of glasses 30 to be worn on the wearer's ear.
  • the glasses leg 30 is composed of a first glasses leg 31 connected to the lens unit 10 and a second glasses leg 41 to be worn on the ear.
  • the first glasses leg 31 forms a connecting portion 32 to be connected to the rim 11, and forms a first leg 33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2 to a predetermined length.
  •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4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eg 33 so as to be stably coupl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econd glasses leg 41.
  • the fixing groove 34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not shown) formed in the hemisphere shape in the coupling portion 43 of the second glasses leg 41.
  • the optical bone support 35 forms a vertical support 36 vertically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32 of the first leg 33.
  • a horizontal support part 37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forms a vertical support part 36 in an ar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36.
  • a horizontal support 37 is formed.
  • the second grooved leg 41 is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4 of the first pair of glasses 31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pair of glasses 41 can be adjusted.
  • the second glasses leg 41 forms a second leg 42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t one end of the second leg 42 forms a coupling part 43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4.
  •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43 is formed with one or two or more hemispherical fixing protrusions (not shown)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34.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eg 42 is seated at the rear of the ear to form a first seating portion 44 for stably wearing glasses, and a second seating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seating portion 44.
  • the part 45 is formed.
  • first seating portion 44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46 are located at the rear and front of the ear, respectively, so that the glasses do not flow down or peel off.
  • the nosepiece-free 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djusts the length of the glasses legs 30 to suit the face size of the wearer.
  • the overall length of the eyeglasses 30 is shortened.
  • the overall length of the glasses leg 30 is adjusted to a length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face of the wearer.
  • the first seating portion 44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45 of the second glasses leg 41 are worn on the ear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glasses leg 30 is adjusted.
  • the first seat 44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ear
  • the second seat 45 is located in front of the ear.
  • the cheekbone support part 35 of the first glasses leg 31 is located at the cheekbone part of the wearer.
  • the cheekbone support 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ekbone area.
  • the lens part 10 is stably supported as well as the sagging of the lens part 10 or the movement of the lens part 10 due to no nose rest. This prevents the glasses to be more stably wor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eyeglasses without nose pads that can be adhered to the face without a nose pad on the spectacle frame so as to stably wear the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렌즈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림이 구비된 렌즈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상기 렌즈부가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지지되도록 상기 안경다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마련하여 성장기의 코 성장을 방해하지 않아서 눌린 코가 되지 않게 되고, 코 성형 후 일반 안경(코 받침 안경) 착용 시 발생하는 불편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코 눌림에 의한 고통을 해소할 수 있고, 안경의 렌즈부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코받침이 없는 안경
본 발명은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테에 코받침이 없이 얼굴에 밀착되어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코받침을 사용하여 귀 부분과 함께 안경을 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에 코받침과 양 귀 부분으로 안경을 지지하여 안경테 및 안경렌즈의 무게가 분산되어 안경이 떨어지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안정되게 착용하게 된다.
종래의 코받침 안경테는 말 그대로 코에 안경 무게의 일정 부분이 가해짐으로써 코가 눌리게 된다. 이러한 코받침 안경테는 코받침에 의해 안경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코에 압박을 가하는 것으로, 코를 성형한 사람들에게는 무척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코 성형은 코에 필러나 실리콘을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필러나 실리콘이 자리를 잡는데 있어서 안경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론 렌즈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 안에서 착용감이 불편한 렌즈를 빼고 일반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현 상황을 볼 때, 최소한 집 안에서라도 코 받침이 없는 안경테의 착용이 필요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현재 코 받침 안경테는 코를 성형한 남성과 여성들이 착용하기에 상당 기간 동안 불편하다.
아울러 종래의 코 받침 안경테는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의 코 골격 성장에 방해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안경을 어린 시절부터 착용해 온 경우에 안경사들은 코가 눌린 곳에 패인 자국이 있어서 코 받침을 조정하기 쉽다고 할 정도로, 코 받침은 얼굴 골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렇게 눌린 코가 될 경우, 안경을 벗으면 코가 눌린 얼굴이 되어 렌즈를 착용하는 등의 다양한 패션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최근 외모가 지속적으로 중시되는 상황에서 어린이들의 코 골격의 성장을 위해서도 코 받침이 없는 안경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최근 유행하는 하금테 안경 등 일부 패션 안경테의 경우 무게가 40g에 달하는 등 코 눌림 현상이 심해 착용자들이 코가 떨어져 나갈 것처럼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
그런 경우에 코 받침 부위에 스펀지 등을 붙여서 코에 느껴지는 무게감을 일부 해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방법으로는 코 받침으로 인한 코 눌림의 고통을 경감시킬 뿐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가벼운 안경테를 착용하더라도 적응을 한 이후에는 무게로 인한 코의 불편감이 다시 지속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따라서 코 받침이 없는 안경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코 받침 안경테의 경우, 한쪽 눈을 실명하거나 기타 질병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시야각이 좁은 사람이 안경을 착용했을 때 실명한 눈 쪽의 시야가 일부 방해된다는 점에서도 안경 착용이 불편해지게 된다.
이는 코 받침이 안경테에 두껍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시야가 일부 방해된다는 점에서 코 받침 없는 안경테가 필요하다.
또한 코 부위에 상처가 났을 경우에 기존의 안경테는 상처 부위에 코 받침이 닿아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코 받침이 없는 안경테가 있다면 코 부위 상처가 보다 쉽게 치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코 받침 없는 안경테가 필요하다.
한편 기존의 코 받침 안경테가 상용화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광대뼈 받침 안경테만으로는 걷는 등의 행동 시 안경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광대뼈받침 안경테 중에서도 신체의 머리에 상대적으로 잘 고정되면서 착용감이 뛰어나 코 눌림 현상을 완화가 아닌 완전히 제거한 코 받침 없는 안경테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기존의 광대뼈 받침 안경테와 코 받침 없는 안경테는 근본적으로 코 받침이 없다. 기존의 코 받침 안경의 경우, 착용자는 안경렌즈와 눈 사이의 최적의 거리를 코에 안경을 얹는 위치를 스스로 조절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기존의 광대뼈 받침 안경테와 코 받침 없는 안경테는 안경테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어 안경의 길이를 조절하려고 하면 아예 안경 자체가 흘러내리는 등의 이유로 렌즈와 눈 사이의 최적의 거리를 조절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코 받침 안경테가 가지는 렌즈와 눈 사이의 최적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안경을 필요로 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코받침이 없는 렌즈테를 형성하여 렌즈테의 양측 안경다리 연결구에 안경다리를 결합하되, 상기 안경다리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전방프레임의 선단과 결합된 안경다리 연결구의 각도를 조절하여 두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의 끝단에 결합된 후방프레임은 귀의 상부에 안착되어 두부의 측 후면으로 이어지도록 연장하여 형성하고, 상기 양측 후방프레임의 끝단에는 두부의 측 후면에서 밀착되어 안경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착고정부를 형성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는 전방의 프레임에 코받침이 없어도 착용이 가능한 안경으로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으로 다리가 연결대를 개재하여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리는 두부 후방 측으로 연장되는 주받침과 귀 부분에 밀착되는 보조받침을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안경을 착용하기 위한 전방프레임의 후단에 후방프레임과 고정부에 의해 안경이 착용됨에 따라 렌즈에 의해 하중이 무거운 렌즈테 부위가 흘러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안경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는 안경 다리에 주받침과 보조받침이 형성되어 있으나, 귀에 안착되는 주받침과 보조받침이 이격되어 있어 안경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 또는 성장기에 따른 코 성장의 방해, 코 성형 수술 후의 안경 착용에 따른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는 성장기의 유아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 눌림에 의한 고통, 시각장애인의 시야 방해를 해소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얼굴에 따라 안경다리의 길이를 조절함은 물론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렌즈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림이 구비된 렌즈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상기 렌즈부가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지지되도록 상기 안경다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안경다리; 상기 제1 안경다리를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함은 물론 착용자의 귀 부위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 다리; 상기 제2 안경다리의 길이 조절 시 상기 제2 안경다리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 상기 광대뼈 부위에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상기 제1 다리에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대뼈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여 광대뼈에 밀착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경다리는 상기 제1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다리; 상기 제1 안경다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다리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제2 다리의 선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후방에 걸리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부; 착용자의 귀 전방에 안정되게 걸리도록 상기 제1 안착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부는 광대뼈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의하면, 성장기의 코 성장을 방해하지 않아서 눌린 코가 되지 않게 되고, 코 성형 후 일반 안경(코 받침 안경) 착용 시 발생하는 불편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코 눌림에 의한 고통을 해소할 수 있고, 안경의 렌즈부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에 의하면, 코받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형태의 안경을 디자인 할 수 있고, 코받침을 필요하지 않게 되어 코가 더 곧고 넓고, 높아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한쪽 눈을 실명한 사람들에게 시야를 가리지 않아서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활동에 따라 안경의 앞뒤로 움직임을 줄이게 되며, 안경다리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
본 발명은 렌즈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림이 구비된 렌즈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상기 렌즈부가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지지되도록 상기 안경다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포함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렌즈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림(11)이 구비된 렌즈부(10),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30), 상기 렌즈부(10)가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지지되도록 상기 안경다리(3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3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안경다리(30)에 귀에 안정되게 걸리도록 함은 물론 착용자 얼굴의 광대뼈 부위에 밀착되어 안경을 보다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안경다리(30)에는 렌즈부(10)의 무게에도 불구하고 안경의 렌즈부(10)가 흘러내리거나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얼굴의 광대뼈에 안경다리(30)를 안착시키는 광대뼈 지지부(35)가 마련된다.
이러한 광대뼈 지지부(35)는 얼굴에서 돌출된 부위인 광대뼈 부위에 밀착됨으로써, 안경의 렌즈부(10)가 착용자의 의도대로 착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착용자의 시력에 맞추어 렌즈(미도시)가 장착되는 렌즈부(10)와 상기 렌즈부(10)가 얼굴에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렌즈부(10)의 양측에 각각 안경다리(30)를 구비한다.
상기 렌즈부(10)는 렌즈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림(11)과 상기 한 쌍의 림(11)을 일체로 연결하는 브릿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림(11)은 안경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렌즈(미도시)가 안정되게 장착되게 한다.
아울러 한 쌍의 림(11)은 브릿지(12)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릿지(12)는 림(11)과 림(11) 사이에 연결되며, 한 쌍의 림(11)을 연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경다리(30)는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경다리(30)는 상기 렌즈부(10)로부터 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안경다리(31)와 상기 제1 안경다리(31)를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함은 물론 착용자의 귀 부위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안경다리(41)로 이루어진다.
즉, 안경다리(30)는 림(1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안경다리(30)는 렌즈부(10)에 연결되는 제1 안경다리(31)와 상기 제1 안경다리(31)에 길이 조절되게 함은 물론 귀에 안착되는 제2 안경다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안경다리(31)는 상기 렌즈부(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32), 상기 연결부(32)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 다리(33), 상기 제2 안경다리(33)의 길이 조절 시 상기 제2 안경다리(41)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34), 상기 연결부(32)와 인접한 상기 제1 다리(33)에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안경다리(31)에는 림(11)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연결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 다리(3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다리(33)의 일면에는 제2 안경다리(4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홈부(3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부(34)는 제1 다리(33)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이들 고정홈부(34)는 대략 반구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제1 다리(33)에는 광대뼈 지지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광대뼈 지지부(35)는 상기 연결부(3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무게가 무거운 렌즈부(10)를 보다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안경다리(30)에 비하여 렌즈의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나, 안경의 무게 중 가장 무거운 중량을 갖게 되는데, 코받침이 없음에 따라 안경의 렌즈부(10)가 콧등으로 흘러내리거나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광대뼈 지지부(35)가 형성된다.
이는 렌즈 등에 의한 하중에도 불구하고 렌즈부(10)가 광대뼈에 밀착되어 안경의 착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광대뼈 지지부(35)는 상기 연결부(32)에 인접하여 광대뼈에 밀착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36)와 상기 수직지지부(36)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부(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부(36)는 제1 다리(33)에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부(32)와 비교적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얼굴에서 비교적 튀어나온 부분인 광대뼈에 밀착되어 안경의 렌즈부(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수직지지부(36)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다리(33)의 연결부(32)에서부터 고정홈부(3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32)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32)는 림(11)과 안경다리(3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안경의 착용 시 보다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지지부(36)의 하단에는 광대뼈와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하기 위한 수평지지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37)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광대뼈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안경다리(41)는 상기 제1 안경다리(31)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다리(42), 상기 제1 안경다리(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다리(42)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43), 상기 제2 다리(42)의 선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후방에 걸리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부(44), 착용자의 귀 전방에 안정되게 걸리도록 상기 제1 안착부(4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안경다리(41)는 제1 안경다리(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안경을 보다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귀의 후방과 전방에 걸리는 안착부(44, 45)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다리(42)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제2 다리(42)의 일단에는 제1 다리(33)의 끝단에 결합되도록 결합부(4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43)에는 제1 다리(33)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도록 홈부(43a)가 형성된다.
아울러 홈부(43a)에는 고정홈부(34)에 대응되는 고정돌기(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제1 다리(33)와 제2 다리(42)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또 상기 제2 다리(42)의 타단에는 귀의 후방에 걸리도록 제1 안착부(44)가 형성되고, 귀의 전방에 걸리도록 제2 안착부(45)가 형성된다. 이들 제1 안착부(44)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부(45)는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안경다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렌즈부(10)와 안경다리(30)로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렌즈부(10) 및 제2 안경다리(41)는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안경다리(31)는 렌즈부(10)에 연결되는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로부터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다리(33) 및 상기 제1 다리(33)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고정홈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다리(33)에는 얼굴의 광대뼈 부위에 밀착되도록 광대뼈 지지부(35)가 형성되며, 상기 광대뼈 지지부(35)는 일정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36)와 상기 수직지지부(36)의 선단에 수평지지부(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부(36)는 착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광대뼈의 상부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부(36)는 원호 형상뿐만 아니라 광대뼈를 받칠 수 있는 'ㄴ'자 형상, 역 'Y'자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착용자의 시력에 적합한 렌즈(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림(11)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림(11)은 브릿지(12)에 의해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림(11)은 안경의 디자인에 따라 반무테, 무테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림(11)의 양측에는 착용자의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안경다리(30)를 연결한다. 상기 안경다리(30)는 렌즈부(10)에 연결되는 제1 안경다리(31)와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2 안경다리(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안경다리(31)는 림(11)에 연결되도록 연결부(32)를 형성하며, 연결부(32)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제1 다리(33)를 형성한다.
아울러 제1 다리(33)의 일면에는 제2 안경다리(41)와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고정홈부(34)를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홈부(34)는 제2 안경다리(41)의 결합부(43)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미도시)와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때뼈 지지부(35)는 제1 다리(33)의 연결부(32)와 인접한 위치에 수직으로 수직지지부(36)를 형성하며, 수직지지부(36)의 하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지지부(37)를 형성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대뼈 지지부(35)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수직지지부(36)를 형성하고, 수직지지부(36)의 하단에 수평지지부(37)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안경다리(31)의 고정홈부(34)에는 제2 안경다리(41)를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제2 안경다리(41)를 결합한다.
상기 제2 안경다리(41)는 일정 길이로 제2 다리(4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다리(42)의 일단에는 고정홈부(34)에 결합되는 결합부(43)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43)의 내면에는 고정홈부(34)에 결합되도록 반구 형상의 고정돌기(미도시)를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2 다리(42)의 타단에는 귀의 후방에 안착되어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하기 위한 제1 안착부(44)를 형성하며, 제1 안착부(44)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제2 안착부(45)를 형성한다.
이들 제1 안착부(44)와 제2 안착부(46)는 귀의 후방과 전방에 각각 위치하게 되어 안경이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코받침이 없는 안경은 착용자의 얼굴 크기에 적합하도록 안경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안경다리(30)는 제2 안경다리(41)의 결합부(43)를 연결부(32) 쪽으로 이동시키면, 안경다리(30)의 전체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제2 안경다리(41)의 결합부(43)를 제1 안착부(44)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면 안경다리(30)의 전체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이렇게 제2 안경다리(41)를 이동시킴에 따라 안경다리(30)의 전체 길이를 착용자의 얼굴 형상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안경다리(30)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제2 안경다리(41)의 제1 안착부(44)와 제2 안착부(45)를 귀에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안착부(44)는 귀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제2 안착부(45)는 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안경다리(31)의 광대뼈 지지부(35)는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광대뼈 지지부(35)는 광대뼈 부위에 밀착된다.
이러한 광대뼈 지지부(35)는 광대뼈 부위에 밀착됨에 따라 하중이 비교적 무거운 렌즈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은 물론 코받침이 없음에 따른 렌즈부(10)의 처짐 또는 렌즈부(1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어 안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안경테에 코받침이 없이 얼굴에 밀착되어 안경을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렌즈가 장착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림이 구비된 렌즈부;
    착용자의 귀에 걸리도록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안경다리;
    상기 렌즈부가 착용자의 광대뼈 부위에 지지되도록 상기 안경다리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부로부터 귀를 향해 형성되는 제1 안경다리;
    상기 제1 안경다리를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함은 물론 착용자의 귀 부위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제1 다리;
    상기 제2 안경다리의 길이 조절 시 상기 제2 안경다리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
    상기 광대뼈 부위에 안정되게 착용되도록 상기 제1 다리에 형성되는 광대뼈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뼈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에 인접하여 광대뼈에 밀착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지지부;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경다리는 상기 제1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다리;
    상기 제1 안경다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2 다리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제2 다리의 선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귀 후방에 걸리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안착부;
    착용자의 귀 전방에 안정되게 걸리도록 상기 제1 안착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부는 광대뼈에 보다 안정되게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받침이 없는 안경.
PCT/KR2017/013982 2016-12-02 2017-12-01 코받침이 없는 안경 WO201810178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845A KR20180063726A (ko) 2016-12-02 2016-12-02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2016-0163845 2016-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783A1 true WO2018101783A1 (ko) 2018-06-07

Family

ID=6224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982 WO2018101783A1 (ko) 2016-12-02 2017-12-01 코받침이 없는 안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3726A (ko)
WO (1) WO201810178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1462A (zh) * 2020-04-09 2021-09-14 方圣媄 为了重量的均衡而赋予重量调节及位置调节功能的眼镜
CN113848645A (zh) * 2021-09-18 2021-12-28 融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ar眼镜及ar眼镜系统
CN113867003A (zh) * 2021-08-30 2021-12-31 深圳市瑞美臣光学有限公司 一种近视用舒适防脱落眼镜
CN113885204A (zh) * 2021-10-07 2022-01-04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及其制造方法
EP4020061A4 (en) * 2019-08-19 2022-10-12 Lau, Chun Ho GLASSES TO INHIBIT PROGRESSION OF MYOPIA
TWI829557B (zh) * 2023-03-16 2024-01-11 亦達光學股份有限公司 眼鏡的鏡腳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1601B1 (ja) * 2018-11-05 2019-05-15 英太郎 寺川 眼鏡
JP2020086184A (ja)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Fit 頬骨弓支持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眼鏡
JP6794084B1 (ja) * 2020-03-05 2020-12-02 英太郎 寺川 眼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10Y1 (ko) * 1987-04-09 199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판기의 동전 투출 확인 장치
JPH0254213A (ja) * 1988-08-18 1990-02-23 Fukami Yukiteru 眼鏡
KR200425132Y1 (ko) * 2006-06-16 2006-08-30 박대윤 밀착형 다리구조를 가지는 안경
KR20080070211A (ko) * 2007-01-25 2008-07-30 김경원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648408B1 (ko) * 2016-04-20 2016-08-22 최현규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537A (ko) 2007-11-21 2009-05-26 (주)일공공일 안경 콘택트 코받침 없는 안경의 지지구조
KR20100035415A (ko) 2008-09-26 2010-04-05 심종석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20120004268A (ko) 2010-07-06 2012-01-12 이충헌 코받침 없는 안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210Y1 (ko) * 1987-04-09 199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판기의 동전 투출 확인 장치
JPH0254213A (ja) * 1988-08-18 1990-02-23 Fukami Yukiteru 眼鏡
KR200425132Y1 (ko) * 2006-06-16 2006-08-30 박대윤 밀착형 다리구조를 가지는 안경
KR20080070211A (ko) * 2007-01-25 2008-07-30 김경원 코받침이 없는 안경
KR101648408B1 (ko) * 2016-04-20 2016-08-22 최현규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0061A4 (en) * 2019-08-19 2022-10-12 Lau, Chun Ho GLASSES TO INHIBIT PROGRESSION OF MYOPIA
CN113391462A (zh) * 2020-04-09 2021-09-14 方圣媄 为了重量的均衡而赋予重量调节及位置调节功能的眼镜
CN113391462B (zh) * 2020-04-09 2023-11-28 方圣媄 为了重量的均衡而赋予重量调节及位置调节功能的眼镜
CN113867003A (zh) * 2021-08-30 2021-12-31 深圳市瑞美臣光学有限公司 一种近视用舒适防脱落眼镜
CN113867003B (zh) * 2021-08-30 2023-03-07 深圳市盛铭眼镜有限公司 一种近视用舒适防脱落眼镜
CN113848645A (zh) * 2021-09-18 2021-12-28 融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ar眼镜及ar眼镜系统
CN113885204A (zh) * 2021-10-07 2022-01-04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及其制造方法
CN113885204B (zh) * 2021-10-07 2022-07-12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及其制造方法
TWI829557B (zh) * 2023-03-16 2024-01-11 亦達光學股份有限公司 眼鏡的鏡腳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26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783A1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US6062222A (en) Face mask fo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US5920371A (en) Versatile headband optical mounting assembly
US8820921B1 (en) Assembly for retaining eyeglasses on the head of a user in multiple positions
US5583586A (en) Mounting supports for eyeglass frames
KR100969571B1 (ko) 입체영상 시청용 안경
KR20080086953A (ko) 안경
WO2024063229A1 (ko) 안경다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안경다리의 탈부착이 가능한 아이웨어
WO2017179802A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KR200481614Y1 (ko) 광대에 의해 지지되는 안경테
WO2016182185A1 (ko) 안경테
CN217902199U (zh) 一种可拆卸的无线耳机眼镜
KR20090005955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탈부착식 코 받침대
KR20020011746A (ko) 입체영상용 액정 셔터 안경
KR200289986Y1 (ko) 안경의 코받침부재 높이조절 구조
CN215867391U (zh) 一种高舒适度的无鼻托眼镜
CN216351597U (zh) 一种带有防护结构的眼镜
KR200348930Y1 (ko)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GB2288883A (en) Forehead spectacle support
KR200350075Y1 (ko) 각도조절 장치가 있는 안경테
KR102629394B1 (ko) 수차저감구조를 포함하는 도수클립 안경렌즈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CN210348109U (zh) 一种医用辅助眼镜
CN216411763U (zh) 一种近视太阳镜
CN215729135U (zh) 运动眼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5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5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