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62773A1 -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62773A1
WO2018062773A1 PCT/KR2017/010439 KR2017010439W WO2018062773A1 WO 2018062773 A1 WO2018062773 A1 WO 2018062773A1 KR 2017010439 W KR2017010439 W KR 2017010439W WO 2018062773 A1 WO2018062773 A1 WO 20180627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 composition
coloring
dihydroxyacet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4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WO20180627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627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ski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topical skin coloring.
  • Cosmetic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site of use, the purpose of use, or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the product.They are commonly used basic cosmetics (skin care cosmetics), makeup cosmetics (hue cosmetics), and body care cosmetics. (Body wash cosmetics), hair care cosmetics, oral cosmetics, aromatic cosmetics and the like.
  • Makeup cosmetics after using the basic product, is applied to the body, such as face or nails to give a sense of color beautifully expressing the skin color, it is a step to show the skin defects that can not be covered by the basic product.
  • the cosmetics emphasize the color of the base makeup and lips, eyes, eyebrows, cheeks and nails to evenly adjust the skin color of the entire face or cover skin problems such as blemishes and freckles, and to treat the skin healthily and beautifully. It can be classified as a point makeup that gives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giving a shade. Point makeup includes lipstick, ball touch, eye shadow, eye liner, eye brow pencil, and nail polish.
  • eyebrows are particularly spectacular. In general, you can change your image to some degree with your eyes, nose and mouth makeup, but you can't physically change the shape at all. But only the eyebrows can change shape.
  • eyebrows are a part of biological tissues composed of hair,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ocation, abundance, and thickness of eyebrow hair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in particular, as the age increases, the number of eyebrow hairs gradually decreases or the eyebrow hair becomes thinner. As it happens, it is very difficult to keep the shape of the eyebrows beautiful.
  •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eyebrow-shaped sponge capable of completing the eyebrow makeup by taking a stamp like an eyebrow without drawing the eyebrows, but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duration of the eyebrow shape is very short and the procedure is somewhat inconvenient.
  •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n eyebrow cosmetic pencil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urability by adding an oil-soluble film forming agent to a conventional eyebrow cosmetic pencil composition and emulsifying and containing a moisturizer and a water-soluble pigment using an emulsifier.
  • an oil-soluble film forming agent to a conventional eyebrow cosmetic pencil composition and emulsifying and containing a moisturizer and a water-soluble pigment using an emulsifier.
  • semi-permanent eyebrow tattoos have severe skin irritation, causing skin problems, and have the disadvantage of not changing the shape and color of eyebrow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It is also known that over time, a problem of blue discoloration occur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oloring that includes dihydroxyacetone and erythrrose as active ingredients, and has increased skin pigmentation and skin pigmentation.
  • 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2011-0005915 (2011.06.15)
  • Patent Document 2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96-0000193 (1996.01.25)
  •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diligent acetone and a result of diligently trying to develop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oloring to form a melanoidine, which is a brown compound, and increase the skin pigmentation sustaining effect through reaction with amino groups of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stratum corneum.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erythrose as an active ingredient exhibits excellent skin pigmentation and skin pigmentation,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skin comprising a mixture consisting of dihydroxy acetone and erythros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skin comprising a mixture consisting of dihydroxy acetone and erythrros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prepared from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ski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a mixture composed of dihydroxyacetone and erythrulose as a skin color improving agent in the manufacture of a cosmetic composition or cosmetic for skin coloring.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col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not only the skin surface but also the stratum corneum to exert excellent skin pigmentation, and not only exerts excellent skin pigmentation persistence that does not change the initial pigmentation over tim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long lasting effect and the shape of the eyebrows are very natural.
  • 1 is a skin coloring cosmetic composition
  • a skin color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consisting of dihydroxy acetone and erythr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skin, and then photographed at 1 and 9 days elapsed to see if the skin pigmentation state is maintained It is a comparison of skin pigmentation sustainability.
  • Figure 2 shows the result of performing a skin color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consisting of dihydroxy acetone and erythrrose as an active ingredient to the skin, and then performing a sensory evaluation on the skin pigmen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skin comprising dihydroxy acetone and erythrulose, and more particularly, to dihydroxy to form a melanoidine which is a brown compound through reaction with amino groups of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skin stratum corneu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skin,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erythrulose for increasing the skin pigmentation lasting effect of acetone and dihydroxyacetone.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to, for example, a nourishing cream, a massage cream, an eye cream, a body cream type and a skin lotion, a milk lotion, a body lotion type, a peel-off type, and the like, and preferably a peel-off type.
  • the coloring may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with a unique shielding force.
  • the peel-off formulations can relatively increase the skin contact area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to more effectively color the skin.
  • the mixing ratio of dihydroxy acetone and erythrulose was determined to compare the coloring power and the persistence, and the skin application (exposure) time of the mixture is controlled After having a suitable degree of skin pigmentation, an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pigmentation was confirmed whether the pigmentation state is maintained.
  • comparing the skin pigmentation (darkening of the skin color) by the peel-off type for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wn color of the skin becomes darker as the concentration of dihydroxyacetone increases.
  • skin pigmentation sustainability (the degree of pigmentation effect on the skin for a long time) is best when Formulation Example 1, dihydroxyacetone and erythrulose, is formulated in a ratio of 7: 3 by weight. Confirm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skin, comprising a mixture consisting of dihydroxyacetone and erythrulos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mixtur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1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1.0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mix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hydroxy acetone and erythrose is mixed in a ratio of 10 to 4: 1 to 5, preferably 7 to 5: 3 to 5, most preferably 7: 3 by weight You can do
  • the composition contains less than 0.1% by weight of dihydroxy acetone, the desired skin pigmentation effect (skin coloration power) can not be obtained, if contained in less than 10% by weight there is no problem in cytotoxic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 composition contains less than 0.1% by weight of the erythrulose group, the desired skin pigmentation maintaining effect (skin pigmentation persistence) cannot be obtained, and when included in 5% by weight or less, there is no problem in cytotoxicity and formulation stability.
  •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film former and an alcohol
  • the film former is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acetate (polyvinyl acetate, PVAc) and acrylate copolymer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ates copoly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lm former when the film former is polyvinyl alcohol, it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10 to 15% by weight, and when the alcohol is ethyl alcohol, it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8 to 12% by weight. You can do
  • th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kin and dried, and when the formed film is removed, the color may be deposited on the stratum corneum to color the skin.
  • the peel-off formulation is limited to at least one sk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calp, the jaw, the armpits, the underside, the cheeks, the eyebrows and the epidermis with the hair roots and hair follicles throughout the body.
  • Skin conditions with any hair or hairy skin in the body of a mammal, including humans, such as hair, eyebrows, eyelashes, mustaches, beards, breast hair, back hair, arm hair, leg hair, genital hair, nose hair or hair Works advantageously in coloring
  • the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reasing skin pigmentation and skin pigment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kin coloring power indicates the intensity of the color (darkening of the skin color) colored on the skin
  • the skin coloring sustaining power means the extent to which the colored color on the skin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 the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 tattoo boosting eye make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be for eye brow make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desired.
  • flexible lotion skin lotion and milk lotion
  • nourishing lotion essence, nourishing cream
  • massage cream pack, gel,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powder
  • gel essence, eye cream, eye essence,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powder
  • body lotions body creams, body oils and body essenc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prepared from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the skin in another aspect.
  •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dihydroxy acetone and erythrr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Formulation Examples 3 to 4, can be commercialized in a variety of formulations (cosmetics), the functionality, cost and other conditions of the product to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skin pigmentation and skin pigmentation by mixing dihydroxyacetone and erythrulose in an appropriate content ratio.
  • Peel-off type Formulation Examples 1-2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s 1-2 were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of Table 1 below.
  • dihydroxy acetone (Merck, Germany) is not cytotoxic at the content of less than 10% by weight
  • erythrose (Pentapharm, Switzerland) has been reported to be cytotoxic at a content of less than 5% by weight
  • dihydroxyacetone and erythrulose were mixed in an appropriate amount to prepare a peel-off type formul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kin coloring effect (coloring ability, coloring persistence, coloring uniformity).
  • Formulation Examples 1 and 2 or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s 1 and 2 further included polyvinyl alcohol (PVA) as a film forming agent, and ethyl alcohol a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drying rate of the formulation.
  • PVA polyvinyl alcohol
  • Example 2 Dihydroxyacetone And With erythrose Skin of the composed mixture Wear Sensory evaluation of chroma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각질층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의 반응을 통해 갈색 화합물인 멜라노이딘(melanoidin)을 형성시키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DHA)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피부 착색 지속 효과를 증가시키는 에리트룰로스(erythrulos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뿐만 아니라 피부 각질까지 침투하여 우수한 피부 착색력을 발휘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초의 착색이 변화되지 않는 우수한 피부 착색 지속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도포 부위에서 선명하게 오랫동안 유지되는 효과 및 눈썹의 모양이 매우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소 부위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사용 부위, 사용 목적, 또는 제품의 구성 성분 및 형상 등에 의해 여러 가지로 분류되며,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기초 화장품(스킨 케어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색조 화장품), 바디 케어(body care) 화장품(신체 세정 화장품), 헤어케어 화장품, 구강용 화장품, 방향성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기초 제품 사용 후, 얼굴이나 손톱 등 신체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기초제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 결점을 보이지 않게 가꾸는 단계이다. 이 화장품은 얼굴 전체의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 피부의 문제점을 커버하여 피부를 건강하고 아름답게 손질하기 위한 베이스 메이크업과 입술, 눈, 눈썹, 볼이나 손톱 등에 국부적으로 색채를 강조하거나, 음영을 주어 입체감을 연출하는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포인트 메이크업에는 립스틱, 볼터치(볼연지), 아이 섀도(eye shadow), 아이 라이너, 아이 브로우 펜슬, 매니큐어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강한 인상을 주는 것은 눈썹이다. 일반적으로, 눈, 코, 입은 메이크업으로 어느 정도 이미지를 바꿀 수는 있어도, 물리적으로 아예 형태를 바꿀 수는 없다. 그러나 눈썹만은 유일하게 형태를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눈썹의 모양, 크기, 위치 및 색상에 따라 사람의 인상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눈썹의 모양 및 색상 등을 아름답게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최근에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도 인상을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해 눈썹 메이크업에 큰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눈썹은 모발로 이루어진 생체조직의 일부로서 개개인의 생체 특성에 따른 눈썹 모발의 위치, 풍성한 정도, 굵기 등의 차이가 있고 특히 나이가 들어가면서 눈썹 모발의 수가 점차 감소 되거나 눈썹 모발이 얇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바, 아름다운 눈썹의 모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아이 브로우 펜슬, 아이 브로우 쉐도우, 아이 브로우 마스카라 등은 지속력이 짧고, 세안을 하면 쉽게 지워지기 때문에 매번 다시 메이크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눈썹을 그리지 않고 스탬프처럼 찍는 방식으로 눈썹 화장을 완성할 수 있는 눈썹 모양의 스펀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눈썹 모양의 지속시간이 매우 짧고 시술이 다소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서는 종래의 눈썹 화장용 연필 조성물에 유용성 필름 형성제를 첨가하고 보습제 및 수용성 색소를 유화제를 사용하여 유화시켜 함유함으로써 지속성을 향상시킨 눈썹 화장용 연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피부 표면에만 일시적인 착색이 이루어져 착색력 및 착색 유지력이 약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눈썹 컬러를 충분히 연출하지 못하며, 탄력적인 코팅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눈썹의 모양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여성들은 반영구 눈썹 문신을 선택한다. 그러나 반영구 눈썹 문신은 피부자극이 심해 피부트러블을 일으키며, 시대적 트렌드에 따라 눈썹의 형태와 색을 바꾸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월이 지남에 따라, 파랗게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광욕으로 건강한 피부 색상을 가지게 하기 위해 햇볕에 피부를 장시간 노출하게 되면 자외선 조사에 따른 선번(sunburn)으로 피부의 노화가 촉진되고, 피부암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피부 태닝을 유발시키는 피부 착색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착색력을 발휘하며, 피부에는 자극이 없고, 우수한 착색 유지력을 통하여 균일하면서도 선명한 컬러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피부 색상을 연출할 수 있는 피부 착색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착색력 및 피부 착색 지속력이 증가된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915호(2011.06.15)
특허문헌 2: 한국 공개특허 제10-1996-0000193호(1996.01.25)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각질층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의 반응을 통해 갈색 화합물인 멜라노이딘을 형성시키고, 피부 착색 지속 효과를 증가시키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착색력 및 피부 착색 지속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의 제조에 있어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피부 착색 개선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표면뿐만 아니라 피부 각질층까지 침투하여 우수한 피부 착색력을 발휘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최초의 착색이 변화되지 않는 우수한 피부 착색 지속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도포 부위에서 선명하게 오랫동안 유지되는 효과 및 눈썹의 모양이 매우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 1일 및 9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촬영하여 피부 착색 상태가 유지되는지 피부 착색 지속력을 비교한 것이다.
도 2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다음, 피부 착색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각질층에 포함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의 반응을 통해 갈색 화합물인 멜라노이딘을 형성시키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과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피부 착색 지속 효과를 증가시키는 에리트룰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 크림, 바디 크림 타입과 스킨 로션, 밀크 로션, 바디 로션 타입 및 필오프 타입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필오프 타입일 수 있다. 필오프 타입의 경우 특유의 차폐력으로 착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털이 많은 눈썹의 경우 필오프 제형은 화장료 조성물과 피부 접촉 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를 착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필오프 타입 제형을 피부에 도포하되 착색력과 지속력을 비교할 수 있도록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의 혼합비율을 정하였고, 상기 혼합물의 피부 도포(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피부 착색도를 가지도록 한 다음, 착색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착색 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오프 타입 제형에 의한 피부 착색력(피부색의 진하기)을 비교해보면,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피부의 갈색 색상이 짙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피부 착색 지속력(피부에 착색 효과가 오랫동안 남아있는 정도)은 제형예 2보다는 제형예 1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중량을 기준으로 7:3의 비율로 배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착색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또는 에리트룰로스이 단독으로 포함된 비교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2에 비해 제형예 1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7:3의 중량 비율로 배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관능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가 중량을 기준으로 10∼4:1∼5, 바람직하게는 7∼5:3∼5, 가장 바람직하게는 7:3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에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이 0.1중량% 미만 포함되면 원하는 피부 착색 효과(피부 착색력)를 얻을 수 없고, 10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세포독성 및 제형 안정도에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에리트룰로스기 0.1중량% 미만 포함되면 원하는 피부 착색 유지 효과(피부 착색 지속력)를 얻을 수 없고, 5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세포독성 및 제형 안정도에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 형성제 및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및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가 폴리비닐알코올인 경우 10∼15중량%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고, 상기 알코올이 에틸알코올인 경우 8∼12중량%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한 후 건조되며, 형성된 막을 제거하면 피부 각질층에 색상이 침착되어 피부가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제형과 비교할 때 상기 필오프 제형은 두피, 턱, 겨드랑이, 귀밑, 볼, 눈썹 및 신체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표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부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신체에 있는 어떤 모발이나 털이 위치한 피부, 예컨대,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콧수염, 턱수염, 가슴털, 등털, 팔털, 다리털, 생식기털, 콧털 또는 귓털이 있는 피부 조건에서 착색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착색력 및 피부 착색 지속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착색력은 피부에 착색된 색상의 강도(피부색의 진하기)를 나타낸 것이며, 피부 착색 지속력은 피부에 착색된 색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남아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타투 부스팅 아이 메이크업 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이 브로우 메이크업 용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파우더,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및 바디 에센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예 3∼4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제형으로 제품화(화장품)될 수 있으며,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기능성, 비용 및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적정 함량 비율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혼합하여 피부 착색력 및 피부 착색 지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조예 : 필오프 타입 제형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필오프 타입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2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비교제형예 1(함량:중량%) 비교제형예 2(함량:중량%) 제형예 1(함량:중량%) 제형예 2(함량:중량%)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DHA) - 10 7 5
에리트룰로스(erythrulose) 10 - 3 5
폴리비닐알코올(PVA-217) 12 12 12 12
에틸알코올 10 10 10 1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생략 가능) 적량(생략 가능) 적량(생략 가능) 적량(생략 가능)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여기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Merck, 독일)은 10중량% 이하의 함량에서는 세포독성이 없고, 에리트룰로스(Pentapharm, 스위스)는 5중량% 이하의 함량에서는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이를 고려하여 피부 착색 효과(착색력, 착색 지속력, 착색 균일성)의 증진을 위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적절 함량으로 혼합하여 필오프 타입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형예 1∼2 또는 비교제형예 1∼2에는 필름 형성제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및 제형의 건조 속도 조절용 성분으로서 에틸알코올을 추가로 포함시켰다.
실시예 1: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착색 효능 검증
제형예 1∼2 또는 비교제형예 1∼2의 필오프 타입 제형을 피부에 3시간(또는 7시간) 동안 도포하고, 필오프해서 도포되었던 피부 부위를 물로 세정한 다음, 상기 제형으로 도포된 피부 부위를 1일 및 9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촬영하여 피부 착색 상태가 유지(피부 착색 지속력)되는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오프 타입 제형에 의한 피부 착색력(피부색의 진하기)을 비교해보면, 디하이드록시아세톤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피부의 갈색 색상이 짙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피부 착색 지속력(피부에 착색 효과가 오랫동안 남아있는 정도)은 제형예 2보다는 제형예 1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7:3 중량% 비율로 배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디하이드록시아세톤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된 혼합물의 피부 색도에 대한 관능평가
본 발명의 메이크업 효과를 비교하고자 참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및 제형예 1을 팔목 피부(바람직하게는 눈썹)에 도포한 다음, 하기와 같은 지표를 기준으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즉, 피부의 색상 강도(color intensity), 자연스러운 피부 톤(natural-looking skin tone), 약한 스트리킹(less streaking), 약한 냄새(less odor), 균일한 피부 톤(homogenous skin tone), 신속한 착색 결과(fast 'coloring' result) 및 피부 건조도(skin drying)를 기준 지표로 사용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5점: 매우 우수; 4점: 비교적 우수;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 나쁨).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또는 에리트룰로스이 단독으로 포함된 비교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2에 비해 제형예 1인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를 7:3의 중량 비율로 배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관능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디하이드록시아세톤(dihydroxyacetone, DHA) 및 에리트룰로스(erythrulose)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5중량%의 양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는 중량을 기준으로 10∼4:1∼5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 형성제 및 알코올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및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착색은 두피, 턱, 겨드랑이, 귀밑, 볼, 눈썹 및 신체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표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부의 국소 부위에 착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 오프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이 브로우 메이크업 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품의 제조에 있어서, 디하이드록시아세톤 및 에리트룰로스로 구성되는 혼합물의 피부 착색 개선제로서의 용도.
PCT/KR2017/010439 2016-09-30 2017-09-22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627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281A KR20180036113A (ko) 2016-09-30 2016-09-30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26281 2016-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2773A1 true WO2018062773A1 (ko) 2018-04-05

Family

ID=6175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439 WO2018062773A1 (ko) 2016-09-30 2017-09-22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036113A (ko)
TW (1) TWI761374B (ko)
WO (1) WO2018062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55430A1 (en) * 2018-11-21 2020-05-21 Elc Management Llc Self-Tanning Compositions
KR102084261B1 (ko) 2019-02-25 2020-03-03 김능수 문신용 염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690A (ko) * 1997-03-05 2000-12-26 카스파르 스튀름, 아를레테 슐레퍼 에리트룰로스 및 셀프-태닝 특성을 가지는 환원당의 복합물
KR20030015836A (ko) * 2001-07-19 2003-02-25 로레알 N-아실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셀프-탠닝제를 함유하는셀프-탠닝 조성물
KR20060023173A (ko) * 2003-07-03 2006-03-1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수용성 비타민 b3 화합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카르보닐셀프 태닝제 화장 조성물을 함유하는 셀프 태닝 조성물
KR100964022B1 (ko) * 2003-01-17 2010-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EP2217199B1 (en) * 2007-12-12 2016-05-04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of Unilever House Self-tanning effec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8595A1 (en) * 2004-04-21 2005-10-27 Qing Stella Personal care compositions that deposit sunless tanning benefit agents
WO2006079632A1 (de) * 2005-01-28 2006-08-03 Basf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wasser-in-wasser-emulsionspolymerisaten als verdicker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690A (ko) * 1997-03-05 2000-12-26 카스파르 스튀름, 아를레테 슐레퍼 에리트룰로스 및 셀프-태닝 특성을 가지는 환원당의 복합물
KR20030015836A (ko) * 2001-07-19 2003-02-25 로레알 N-아실 아미노산 에스테르 및 셀프-탠닝제를 함유하는셀프-탠닝 조성물
KR100964022B1 (ko) * 2003-01-17 2010-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60023173A (ko) * 2003-07-03 2006-03-13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수용성 비타민 b3 화합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카르보닐셀프 태닝제 화장 조성물을 함유하는 셀프 태닝 조성물
EP2217199B1 (en) * 2007-12-12 2016-05-04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of Unilever House Self-tanning eff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3625A (zh) 2018-04-16
KR20180036113A (ko) 2018-04-09
TWI761374B (zh)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12732A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WO2013187574A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WO1988006034A1 (en) Dermal cosmetic composition and applications therefor
KR101367817B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692746B1 (ko)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80348A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128919A1 (en) Non-invasive and long lasting skin darkening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body contouring
WO2018074642A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062773A1 (ko)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CN109745250A (zh) 一种美由己防水睫毛膏及其制备方法
KR102436827B1 (ko) 다량의 펄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8789B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478498A (zh) 一种改善皮肤肤色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70118719A (ko)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섬유아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KR102394034B1 (ko) 캡슐화된 쿨링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231469B2 (ja) 擬似眉形成化粧料
KR101983701B1 (ko) 피부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한 얼굴 윤곽개선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GB1566759A (en) Process for the appearance of greasy hair and or greasy skins and cimpositions therefor
KR20080074309A (ko) 인체 피부에 결점을 없애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되돌리고물에 지워지지 않는 뿌리는 파운데이션 조성물
KR20180092663A (ko) 우레탄 작용기를 갖는 점증제 및 판상형 펄을 함유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0919A (ko) 두피 착색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4738B1 (ko) 눈썹 문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850A (ko)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JP2007238585A (ja) 睫毛および/または眉毛用のトリートメント
CN114931538A (zh) 彩虹糖眼影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66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5665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