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04067A1 -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 Google Patents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04067A1
WO2018004067A1 PCT/KR2016/010584 KR2016010584W WO2018004067A1 WO 2018004067 A1 WO2018004067 A1 WO 2018004067A1 KR 2016010584 W KR2016010584 W KR 2016010584W WO 2018004067 A1 WO2018004067 A1 WO 20180040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iponectin
cell line
expression vector
present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05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성진
임명
손경철
정유라
김창덕
이증훈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80040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040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diponectin overexpressing cell lines.
  • Adipose tissue was known only as a reservoir of energy in the past, but recently it is known to produce and secrete a variety of adipocaine.
  • Adipocaine is involved in various phenomena in the body such as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 Adiponectin one of adipocaine, is a 244 amino acid long protein with a size of 28 kDa.
  • Adiponec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yperglycemia, hyperinsulinemia, obesity, and atherosclerosis by inducing insulin resistance, and has a function of inhibiting cancer cell metastasis and inflammatory response.
  • adiponectin promotes the expression of filaggrin, hyaluronic acid and extracellular matrix in the skin as well as the proliferation of keratinocytes to perform wound healing, fibrosis inhibition, skin wrinkle improvement, and moisturizing. .
  • Adiponectin is excreted outside of the cell to the systemic circulation through the blood flow and bind to the target receptors.
  • Adiponectin exists in three forms: polymer, medium and low molecular complexes.
  • polymer polymer
  • medium and low molecular complexes To form adiponectin in the form of polymer complex,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are required in the cell.
  • Polymer complexes are more active than medium and low molecular complexes, and most of the adiponectin in human plasma is in the form of polymer complexes.
  • adiponectin Mos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adiponectin is known to exist in monomeric or dimeric form without forming adiponectin in the form of a polymer complex due to E. coli, which does not occur in post-translational transformation processes in eukaryotic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ell line capable of overexpressing adiponectin in the form of a polymer complex.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ell line capable of supplying adiponectin at a low price.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ell line expressing adiponectin that has undergon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ell line capable of subculture.
  • Adiponectin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adiponectin is an oligomer
  • eukaryotic cells are HEK293 (human embryonic kidney 293) cells, adiponectin production method.
  • adiponectin cDNA has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adiponectin production method.
  •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has a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adiponectin production method.
  • HEK293 cell line transfected with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of SEQ ID NO: 2.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verexpress adiponectin in the form of a polymer complex.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ress adiponectin undergoing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adiponectin expressed in a cell line can be supplied at a low price.
  • Polymer complex adiponectin produced in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effectively alleviate the symptoms of obesity, hyperglycemia, hyperinsulin, cardiovascular diseases and the like.
  • the polymer complex adiponectin produced in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expression of filaggrin, hyaluronic acid and extracellular matrix to effectively alleviate skin diseases such as wounds, fibrosis, skin wrinkles, and moisturizing. Can be used.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polymer complex adiponectin at a low price.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adiponectin exists in various forms in the human body.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 Figure 3 is a schematic of the pcDNA3.1 vector used to make adiponectin overexpressing cell line.
  • Figure 4 shows the detection of adiponectin expressed in a cell line made by cloning adiponectin cDNA to pcDNA3.1 vector and transfection into HEK293 cells by Western blot.
  • Mock vector in HEK293 cells (2) Adiponectin cloned vector in pcDNA3.1 and (3) Adiponectin expression when adenovirus with adiponectin gene is infected Western blot confirmed.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each cell lysate and culture medium of a plurality of cell lines designed to express adiponectin by Western blot, confirming that the protein expression of adiponectin is best in cell line 3, secretion of adiponectin protein It is also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it works best.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adiponectin secreted from the selected adiponectin-expressing cell line through the enzyme immunoassay.
  • FIG. 7 shows the results of adiponectin secreted from the selected adiponectin-expressing cell line by Western blot after concentrating with a centrifugal filter device.
  • Figure 8 shows the concentration of adiponectin secreted from the selected adiponectin expressing cell line using a centrifugal filter device, and shows the amount of adiponectin expression through the enzyme immunoassa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diponectin,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erting an adiponectin cDNA into a pcDNA 3.1 vector to prepare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b) transfecting the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into eukaryotic cells to obtain a cell line; And (c) expressing adiponectin in the cell line, thereby overexpressing post-translationally modified adiponectin, and producing adiponectin in the form of a polymer complex at a low price, obesity, hyperglycemia, hyperinsulin, cardiovascular diseases, etc.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diponectin, which can produce polymer composite adiponectin at a low price.
  • the method for producing an adiponectin expressing cell line comprises the steps of: (a) inserting an adiponectin cDNA into a pcDNA3.1 vector to prepare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b) transfecting the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into eukaryotic cells to obtain a cell line; And (c) expressing adiponectin in the cell lin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serting an adiponectin cDNA into a pcDNA3.1 vector to prepare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 Adiponectin is a type of adipocaine, a protein hormone secreted specifically in adipocytes (subcutaneous fat) and is a 244 amino acid long protein with a size of 28 kDa.
  • Adiponectin also called GBP-28, apMl, AdipoQ and Acrp30, is a novel adipose tissue-specific protein that has structural homology to collagen VIII and X and complement factor Clq and circulates to high levels in human plasma. This protein is one of the physiologically active polypeptides separated by adipose tissue and has recently become known for its multiple functions.
  • adiponectin regulates lipid and energy metabolism by stimulating fatty acid catabolism and regulating gluconeogenesis.
  • Adiponectin acts on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by elevating NO secretion and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adhesin factor, thus having a protective effect against aatherogenesis.
  • Adiponectin in the heart inhibits myocardial cell hypertrophy and myocardial fibrosis through mechanisms that are not yet fully understood.
  • administration of adiponectin may be a treatment for obesity and type 2 diabetes due to decreased expression of adiponectin in obese and type 2 diabetic patients.
  • adiponectin may function as a tumor suppressor, and administration of adiponectin may be a therapy for inhibiting cancer or providing treatment.
  • Adiponectin is also important for inflammatory diseases or disorders, including autoimmune diseases or disorders.
  • Adiponectin acts by binding to the adiponectin receptor, a protein that is selectively present on the cell membrane according to morphological specificity, and two major receptors are AdipoRl and AdipoR2.
  • Adipoectin receptors AdipoR1 and AdipoR2 are located in sebaceous gland cells, which induce sedimentation of sebum cells by adiponectin signaling and increase sebum secretion.
  • Adiponectin in plasma is a polymer complex adiponectin.
  • the monomer or dimer adiponectin produced in Escherichia coli may not be well bound with the receptor, and its effect may not be satisfactory in the treatment of the above diseases.
  • the method for obtaining adiponectin in mammalian plasma is inadequate in terms of economics for use as a therapeutic agent because the amount of adiponectin that can be obtained is very small.
  • the present inventors invented a method for producing adiponectin and adiponectin overexpressing cell line, the effect of which is superior to adiponectin produced in Escherichia coli, and is suitable for use as a therapeutic agent when used as a therapeutic agent.
  • cDNA is DNA that does not have intron.
  • Complementary DNA can be prepared by using mRNA generated through transcription from genomic DNA. This is called cDNA. .
  • Adiponectin cD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DNA complementary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adiponectin. (Means DNA coding for amino acid sequence)
  • a vector suitable for introducing an adiponectin cDNA gene into a host cell can be used, and preferably, a vector designed to facilitate adiponectin expression can be used.
  •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was prepared by inserting an adiponectin cDNA into an expression vector pcDNA3.1 (Invitrogen, Carlsbad, CA, USA) comprising a CMV promoter and a neomycin resistance gen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fecting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into eukaryotic cells to obtain an adiponectin expressing cell line.
  • Eukaryotic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vely refers to cells having various organelles represented by the nucleus in the cell, and eukaryotic cells can express adiponectin and weight adiponectin which have undergon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when adiponectin is expres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more effective adiponectin when used in the body than the monomer adiponectin expressed in.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ulturing an adiponectin expressing cell line to express adiponectin.
  • Cell culture refers to in vitro maintenance of a cell / cell line in a vessel containing a medium that supports cell proliferation and gene expression. Cell culture thus results in the accumulation of secretory proteins expressed in the cells in the culture medium.
  • the medium may generally contain auxiliaries that stabilize the pH, in addition to amino acids, lipids, trace elements, vitamins and other growth promoting components.
  • Suitable supplements may be cultured in culture media that do not contain fetal bovine serum, and the supplement may be selected from amino acids, lipids, trace elements and other growth promoting components.
  • Adiponectin pro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ligomeric form.
  • Oligomeric adiponectin refers to a protein complex formed from two or more adiponectin monomers and may be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adiponectin monomers and not covalent bonds.
  • the oligomer may be a combination of 2 to 12 monomers.
  • adiponectin is derived from E. coli and exists only as monomer or dimer.
  • adiponectin present in the body is mostly present in a weighted body by combining several monomers, and the binding between these monomers require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 Escherichia coli does not undergo post-translational transformation in eukaryotic cells, and adiponectin produced using E. coli cannot form a weight.
  • By producing an adiponectin-expressing cell line using a mammalian-derived cell line the problem with E. coli was overcome.
  • HEK293 is a human-derived cell, and it is easy to make a stable transformant that can be passaged continuously without specific genes inserted into the genome so that the genes are not lost even if the cells divide or proliferate. .
  • Adiponectin derived from HEK293 cells has the same properties as adiponectin produced in the human bod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diponectin that can exhibit excellent effects on insulin regulation,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obesity treatment, and the like.
  • the adiponectin cDNA has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 the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has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K293 cell line transfected with an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of SEQ ID NO: 2.
  • the adiponectin expression vector of SEQ ID NO: 2 was prepared by inserting adiponectin cDNA into the expression vector pcDNA 3.1 (Invitrogen, Carlsbad, CA, USA) comprising a CMV promoter and a neomycin resistance gene.
  • the cell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ll line overexpressing adiponectin, and the expressed adiponectin may form oligomeric adiponectin.
  • Adiponectin weight refers to a protein complex formed from two or more adiponectin monomers, and is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adiponectin monomers and not covalent bonds.
  • Adiponectin present in the human body is an oligomer, not a monomer, and when the oligomeric adiponectin is used, the sebaceous gland differentiation effect is better, thereby promoting lipid synthesis more effectively.
  • the adiponectin cDNA of SEQ ID NO: 1 was inserted into pcDNA 3.1 to prepare pcDNA 3.1-ADIPOQ / HEK293.
  • HEK293 cells and adiponectin overexpressing cell lines in DMEM medium without fetal bovine serum were cultured for 24 hours and 48 hours, respectively,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cultures were collected using enzyme-immunoassay to measure secreted adiponectin concentration.
  • Adiponectin expression levels are shown in Table 1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 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 세포에 형질감염 (transfection)시켜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번역 후 변형된 아디포넥틴을 과발현할 수 있고,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비만, 고혈당, 고인슐린, 심혈관 질환 등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필라그린 (filaggrin), 하이루론산 (hyaluronicacid) 및 세포외기질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섬유화, 피부주름, 보습 등의 피부 질환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으며,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아디포넥틴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지방조직은 과거 단순히 에너지의 저장고로만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아디포카인을 생산, 분비하는 기관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아디포카인은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등 체내의 다양한 현상에 관여하고 있다. 아디포카인 중 하나인 아디포넥틴 (adiponectin)은 28kDa의 크기를 가지는 244 아미노산 길이의 단백질이다.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함으로써 고혈당, 고인슐린증, 비만,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 등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암세포의 전이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필라그린(filaggrin), 하이루론산(hyaluronic acid)과 세포외기질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료, 섬유화 억제, 피부주름개선, 보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아디포넥틴은 세포 밖으로 배출되어 혈류를 통하여 전신 순환을 하다가 표적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을 한다. 아디포넥틴은 고분자, 중분자 및 저분자 복합체의 세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이 형성되려면 세포 내에서 번역 후 변형과정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이 필요하다. 고분자 복합체는 중분자 및 저분자 복합체보다 더 활성이 높으며, 사람 혈장에 있는 아디포넥틴의 대부분은 고분자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아디포넥틴 대부분은 진핵세포에서 이루어지는 번역 후 변형과정이 발생하지 않는 대장균을 기원으로 하여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형성하지 못하고 단량체 또는 이합체 형태만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유류 혈액에 실제 존재하는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얻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형태의 아디포넥틴은 수율이 낮고 가격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과발현할 수 있는 세포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렴한 가격으로 아디포넥틴을 공급할 수 있는 세포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번역 후 변형을 거친 아디포넥틴을 발현하는 세포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계대배양이 가능한 세포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a)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세포에 형질주입 (transfection)시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키는 단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은 올리고머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아디포넥틴 단량체 2 내지 12가 중합된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진핵세포는 HEK293 (human embryonic kidney 293)세포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cDNA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7. 서열번호 2의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로 형질감염된 HEK293 세포주.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과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번역 후 변형을 거친 아디포넥틴을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주에서 발현된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에서 생산된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은 비만, 고혈당, 고인슐린, 심혈관 질환 등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에서 생산된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은 필라그린 (filaggrin), 하이루론산 (hyaluronic acid) 및 세포외기질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섬유화, 피부주름, 보습 등의 피부 질환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인체에서 아디포넥틴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함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pGEM.T 벡터에 클로닝된 아디포넥틴 유전자가 잘 삽입되었음을 보여주는 겔전기영동 사진이다. M13 forward와 reverse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 pcDNA3.1 벡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pcDNA3.1 벡터에 아디포넥틴 cDNA를 클로닝한 후 HEK293 세포에 transfection 시켜 만든 세포주에서 발현된 아디포넥틴을 Western blot으로 검출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1) HEK293 세포에 Mock 벡터를 넣었을 경우 (2) pcDNA3.1 벡터에 아디포넥틴이 클론닝된 벡터를 넣었을 경우 및 (3) 아디포넥틴 유전자를 가진 아데노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경우에 아디포넥인의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도 5는 아디포넥틴을 발현하도록 제작된 여러 개의 세포주들의 세포 용해물과 배양배지 각각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3번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의 단백질 발현이 가장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아디포넥틴 단백질의 분비 또한 가장 잘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선별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로부터 분비되는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효소 면역 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선별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로부터 분비되는 아디포넥틴을 원심성의 필터 장치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선별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로부터 분비되는 아디포넥틴을 원심성의 필터 장치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효소 면역 분석법을 통해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 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 세포에 형질감염 (transfection)시켜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번역 후 변형된 아디포넥틴을 과발현할 수 있고, 고분자 복합체 형태의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비만, 고혈당, 고인슐린, 심혈관 질환 등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필라그린 (filaggrin), 하이루론산 (hyaluronicacid) 및 세포외기질 등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섬유화, 피부주름, 보습 등의 피부 질환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데도 사용될 수 있으며,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아디포넥틴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의 제조방법은 (a)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세포에 형질주입 (transfection)시켜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이 발현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 (피하지방)에서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인 아디포카인의 일종이며 28kDa의 크기를 가지는 244 아미노산 길이의 단백질이다.
GBP-28, apMl, AdipoQ 및 Acrp30으로도 불리는 아디포넥틴은 콜라겐 VIII 및 X 그리고 보체 인자 Clq에 구조적 상동성을 가지고, 인간의 혈장에 높은 수치로 순환하는 신규한 지방 조직-특이적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지방 조직에 의해 분리되는 생리학적으로 활성인 폴리펩티드중 하나로써 이의 다중 기능에 대해서 최근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간에서 아디포넥틴은 지방산 이화작용을 자극하고, 당신생 (gluconeogenesis)을 조절함으로써, 지질 및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
골근육에서 아디포넥틴의 대사 작용은 인슐린 민감성을 강화시키고, 순환 지질 수치를 감소시킨다. 아디포넥틴은 NO 분비를 상승시키고, 어드헤신 인자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내피 및 평활근 세포에 작용하여 죽종생성 (atherogenesis)에 대항하는 보호 효과를 갖는다.
심장에서 아디포넥틴은 아직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기전을 통하여 심근세포 비대 및 심근 섬유증을 억제한다. 또한 비만 및 유형2 당뇨병 환자에서 아디포넥틴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부터 아디포넥틴의 투여가 비만 및 유형2 당뇨병의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암의 경우 아디포넥틴은 종양 억제물질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아디포넥틴의 투여는 암의 발달을 억제하거나 또는 치료를 제공하는 치료법이 될 수 있다.
아디포넥틴은 자가면역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장애에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체내에서 기능하는 아디포넥틴과 유사한 아디포넥틴을 생산하는 것이 앞서 언급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절실히 필요하다.
아디포넥틴은 형태적 특이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포막 상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아디포넥틴 수용체와 결합하여 작용하며, 2가지 주요 수용체로 AdipoRl 및 AdipoR2가 있다.
피지선세포에는 아디포넥틴 수용체인 AdipoR1 및 AdipoR2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수용체들은 아디포넥틴을 신호로 하여 피지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혈장에 있는 아디포넥틴은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으로 대장균에서 생산된 단량체 또는 이량체의 아디포넥틴은 수용체와 결합이 잘 이루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위 질환들에 대한 치료에 있어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수 있다. 포유류 혈장에서 아디포넥틴을 수득하는 방법은 수득할 수 있는 아디포넥틴의 양이 매우 적어 치료제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성 측면에서 부적합한 면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치료제로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대장균에서 생산된 아디포넥틴보다 우수하며, 경제성 측면에서 치료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분자 복합체 아디포넥틴의 생산 방법 및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를 발명하였다.
cDNA는 게놈 DNA (genomic DNA)와는 달리 인트론(intron)이 존재하지 않는 DNA로서, 게놈 DNA에서 전사과정(transcription)을 거쳐 생성된 mRNA를 이용하여 이에 상보적인 DNA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것을 cDNA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디포넥틴 cDNA는 아디포넥틴의 아미노산 서열에 상보적인 DNA를 의미한다. (아미노산 서열을 coding 하는 DNA를 의미한다)
아디포넥틴 cDNA 유전자를 숙주세포에 도입시키는데 적합한 벡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디포넥틴 발현 유도가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CMV 프로모터와 neomyc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cDNA3.1(Invitrogen, Carlsbad, CA, 미국)에 아디포넥틴 cDNA를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세포에 형질주입 (transfection)시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핵세포는 세포 내에 핵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세포소기관을 가진 세포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진핵세포에서는 아디포넥틴 발현 시 번역 후 변형 과정을 거친 아디포넥틴 및 중량체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킬 수 있어 원핵생물인 대장균에서 발현되는 단량체 아디포넥틴보다 체내에 사용 시 더 효과적인 아디포넥틴의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를 배양하여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포 배양(cell culture)은 세포의 증식 및 유전자 발현을 지지하는 배지를 포함하는 용기에서의 세포/세포주의 인 비트로 유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세포 배양은 배양 배지에 세포에서 발현된 분비성 단백질의 축적을 유발한다. 배지는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지질, 미량 원소, 비타민 및 기타 성장 촉진 성분들 외에, pH를 안정화시키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 태아 혈청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 배지에 적합한 보충제를 넣어 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며, 보충제는 아미노산, 지질, 미량 원소 및 기타 성장 촉진 성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산된 아디포넥틴은 올리고머 형태를 가진다.
올리고머 아디포넥틴은 2개 이상의 아디포넥틴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단백질 복합체를 의미하며, 공유결합이 아닌 아디포넥틴 단량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올리고머는 단량체가 2 내지 12개가 결합한 것일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된 아디포넥틴은 대장균에서 유래된 것으로 단량체 또는 이합체로만 존재한다.
그러나 체내에 존재하는 아디포넥틴은 여러 개의 단량체가 결합하여 중량체로 존재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단량체끼리의 결합은 번역 후 변형과정이 필수적이다. 대장균은 진핵세포에서 발생하는 번역 후 변형 과정이 일어나지 않으며, 대장균을 이용하여 생산된 아디포넥틴은 중량체를 형성할 수가 없다. 포유동물 유래의 세포주를 이용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를 제작함으로써 대장균을 이용했을 때의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HEK293는 사람에서 유래한 세포이며, 특정 유전자가 게놈에 삽입되어 세포가 분열 또는 증식하여도 그 유전자가 소실되지 않고 끊임없이 계대 배양이 가능한 스테이블 트랜스포먼트 (stable transformant)를 만들기가 용이한 세포이다.
HEK293 세포에서 유래한 아디포넥틴은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아디포넥틴과 동일한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슐린 조절, 에너지 대사 조절, 비만 치료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아디포넥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디포넥틴 cDNA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가진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2의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로 형질주입된 HEK293 세포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열번호 2의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는 CMV 프로모터와 neomyc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cDNA 3.1 (Invitrogen, Carlsbad, CA, 미국)에 아디포넥틴 cDNA를 삽입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주는 아디포넥틴을 과발현하는 세포주로, 발현된 아디포넥틴은 올리고머 아디포넥틴을 형성할 수 있다. 아디포넥틴 중량체는 2개 이상의 아디포넥틴 단량체로부터 형성되는 단백질 복합체를 의미하며, 공유결합이 아닌 아디포넥틴 단량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인체 내 존재하는 아디포넥틴은 단량체가 아닌 올리고머이며, 올리고머 아디포넥틴을 사용할 경우 피지선 분화 효과가 더 우수하여 지질 합성을 더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09.12.2016] 
서열번호 1의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 3.1에 삽입하여 pcDNA 3.1-ADIPOQ/HEK293를 제조하였다.
도 6에서는 소태아혈청이 들어가 있지 않은 DMEM 배지로 HEK293 세포와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를 각각 24시간,48시간 배양 후 배양액를 모아 분비된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효소면역분석법를 사용하여 농도를 확인하였다.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를 배양한 배양액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당량의 아디포넥틴이 분비됨을 확인하였고, 분비된 아디포넥틴은 24시간째 보다 48시간째 더 많이 분비되었다.
도 7에서는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 용해물과 원심분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배양액 원액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배양액을 원심성 필터 장치에 넣은 후 2분 또는 5분간 원심분리하고 각각의 투석유물과 여과액체를 비교하였을 때 같은 양의 배양액을 원심분리를 오래 할수록 투석유물에서 더 많은 아디포넥틴이 농축되어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여과액체에 아디포넥틴이 존재하지 않음을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8에서는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배양액을 얻은 후 원심성의 필터 장치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효소면역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아디포넥틴 발현량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KR2016010584-appb-T000001
위 실험을 통해 아디포넥틴을 과발현시키는 세포주가 수득된 것을 확인하였다.
<110> Chonnam National Academic Foundation
<120> CELL LINES OF EXPRESSING ADIPONECTIN
<130> 16P05052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7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DIPONECTIN cDNA
<400> 1
atgctgttgc tgggagctgt tctactgcta ttagctctgc ccggtcatga ccaggaaacc 60
acgactcaag ggcccggagt cctgcttccc ctgcccaagg gggcctgcac aggttggatg 120
gcgggcatcc cagggcatcc gggccataat ggggccccag gccgtgatgg cagagatggc 180
acccctggtg agaagggtga gaaaggagat ccaggtctta ttggtcctaa gggagacatc 240
ggtgaaaccg gagtacccgg ggctgaaggt ccccgaggct ttccgggaat ccaaggcagg 300
aaaggagaac ctggagaagg tgcctatgta taccgctcag cattcagtgt gggattggag 360
acttacgtta ctatccccaa catgcccatt cgctttacca agatcttcta caatcagcaa 420
aaccactatg atggctccac tggtaaattc cactgcaaca ttcctgggct gtactacttt 480
gcctaccaca tcacagtcta tatgaaggat gtgaaggtca gcctcttcaa gaaggacaag 540
gctatgctct tcacctatga tcagtaccag gaaaataatg tggaccaggc ctccggctct 600
gtgctcctgc atctggaggt gggcgaccaa gtctggctcc aggtgtatgg ggaaggagag 660
cgtaatggac tctatgctga taatgacaat gactccacct tcacaggctt tcttctctac 720
catgacacca actga 735
<210> 2
<211> 119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cDNA3.1(+) ADIPOQ
<400> 2
ccaggtgtga ggctattagc agagctctct ggctactaga gaacccactg cttactggct 60
tatcgaaatt aatacgactc actataggga gacccaagct tggtaccgag ctcggatcca 120
tgctgttgct gggagctgtt ctactgctat tagctctgcc cggtcatgac caggaaacca 180
cgactcaagg gcccggagtc ctgcttcccc tgcccaaggg ggcctgcaca ggttggatgg 240
cgggcatccc agggcatccg ggccataatg gggccccagg ccgtgatggc agagatggca 300
cccctggtga gaagggtgag aaaggagatc caggtcttat tggtcctaag ggagacatcg 360
gtgaaaccgg agtacccggg gctgaaggtc cccgaggctt tccgggaatc caaggcagga 420
aaggagaacc tggagaaggt gcctatgtat accgctcagc attcagtgtg ggattggaga 480
cttacgttac tatccccaac atgcccattc gctttaccaa gatcttctac aatcagcaaa 540
accactatga tggctccact ggtaaattcc actgcaacat tcctgggctg tactactttg 600
cctaccacat cacagtctat atgaaggatg tgaaggtcag cctcttcaag aaggacaagg 660
ctatgctctt cacctatgat cagtaccagg aaaataatgt ggaccaggcc tccggctctg 720
tgctcctgca tctggaggtg ggcgaccaag tctggctcca ggtgtatggg gaaggagagc 780
gtaatggact ctatgctgat aatgacaatg actccacctt cacaggcttt cttctctacc 840
atgacaccaa ctgactcgag catgcatcta gagggcccta ttctatagtg tcacctaaat 900
gctagagctc gctgatcagc ctcgactgtg ccttctagtt gccagccatc tgttgtttgc 960
ccctcccccg tgccttcctt gaccctggaa ggtgccactc ccactgtcct ttcctaataa 1020
aatgaggaaa ttgcatcgca ttgtctgagt aggtgtcatt ctatctgggg ggggggggtg 1080
ggggcaggaa cccaaggggg agggaattgg ggaaaaaaaa attcgggggg ggggggggga 1140
aggggggggg gttttcgttt tttccccctt ttcccccccc acccaccaac 1190

Claims (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a) 아디포넥틴 cDNA를 pcDNA3.1 벡터에 삽입하여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를 진핵세포에 형질주입 (transfection)시켜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를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세포주에서 아디포넥틴을 발현시키는 단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은 올리고머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아디포넥틴 단량체 2 내지 12가 중합된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핵세포는 HEK293 (human embryonic kidney 293)세포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cDNA는 서열번호 1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는 서열번호 2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것인, 아디포넥틴 생산 방법.
  7. 서열번호 2의 아디포넥틴 발현 벡터로 형질감염된 HEK293 세포주.
PCT/KR2016/010584 2016-07-01 2016-09-22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WO201800406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3513 2016-07-01
KR10-2016-0083513 2016-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067A1 true WO2018004067A1 (ko) 2018-01-04

Family

ID=6078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0584 WO2018004067A1 (ko) 2016-07-01 2016-09-22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040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5916A2 (en) * 2001-12-21 2003-07-10 Maxygen Aps Adiponectin fragments and conjugates
WO2005092040A2 (en) * 2004-03-22 2005-10-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formulation for increasing endogenous adiponectin and leptin production
US7365170B2 (en) * 2002-01-18 2008-04-29 Protemix Corporation Adiponectin and uses thereof
WO2015105938A1 (en) * 2014-01-08 2015-07-16 World Biotechnology LLC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to produce organic compou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5916A2 (en) * 2001-12-21 2003-07-10 Maxygen Aps Adiponectin fragments and conjugates
US7365170B2 (en) * 2002-01-18 2008-04-29 Protemix Corporation Adiponectin and uses thereof
WO2005092040A2 (en) * 2004-03-22 2005-10-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formulation for increasing endogenous adiponectin and leptin production
WO2015105938A1 (en) * 2014-01-08 2015-07-16 World Biotechnology LLC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to produce organic compoun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UNG, YU-RA ET AL.: "Regulation of Lipid Production by Adiponectin in Human Sebocytes", KSID RESEARCH CAMP, 31 October 2015 (2015-10-31), pages 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rn et al. CTGF/CCN2 is an autocrine regulator of cardiac fibrosis
Emoto et al.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dentification of specific loci of basic FGF expression in the rat brain
Yang et al. Sustained growth in primary culture of normal mammary epithelial cells embedded in collagen gels
Swisshelm et al. SEMP1, a senescence-associated cDNA isolated from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s, is a member of an epithelial membrane protein superfamily
Verma et al. Mucin genes: structure, expression and regulation
Moreno-Aliaga et al.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leptin promoter by insulin-stimulated glucose metabolism in 3t3-l1 adipocytes
CN108430480A (zh) 一种包含过表达sod3的干细胞作为活性成分的炎症性疾病的预防或治疗用组合物
EP2224940A1 (en) Methods of inducing pluripotency involving oct4 protein
WO2009067756A1 (en) Methods of inducing pluripotency involving sox2 protein
Slavkin et al. Concepts of epithelial‐mesenchymal interactions during development: tooth and lung organogenesis
WO2017135795A1 (ko) 간세포성장인자를 발현하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이의 용도
WO2018088693A1 (ko) 2dg를 이용한 줄기세포 역량 향상 방법
Cui et al. An oleanolic acid derivative reduces denervation-induced muscle atrophy via activation of CNTF-mediated JAK2/STAT3 signaling pathway
Yamasaki et al. FGF-10 is a growth factor for preadipocytes in white adipose tissue
WO2018004067A1 (ko) 아디포넥틴 과발현 세포주
Liu et al. Inhibition of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y erythropoietin via activating ERK and P38 MAPK
Yang et al. Pigment epithelium-derived factor improves TNFα-induced hepatic steatosis in grass carp (Ctenopharyngodon idella)
WO2023075557A1 (ko) 연골 항상성 인자를 포함하는 엑소좀 및 이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hen et al. Transdifferentiation of muscle satellite cells to adipose cells using CRISPR/Cas9-mediated targeting of MyoD
WO2008149356A1 (en) Methods of generating dopaminergic cells and uses thereof
Liu et al.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dipogenin and its overexpression enhances fat accumulation of bovine myosatellite cells
CN114517177A (zh) 用于增强间充质干细胞效能的组合物及其应用
Che et al. The effects of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ombined with sodium selenite on Hashimoto’s thyroiditis
CA2694222C (en) Insulin secretion inducer, and accelerator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pancreatic .beta.-cells
Pisani et al. Myodulin is a novel potential angiogenic factor in skeletal mus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74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74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