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75912A1 -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75912A1
WO2017175912A1 PCT/KR2016/005356 KR2016005356W WO2017175912A1 WO 2017175912 A1 WO2017175912 A1 WO 2017175912A1 KR 2016005356 W KR2016005356 W KR 2016005356W WO 2017175912 A1 WO2017175912 A1 WO 20171759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chnical
population
technical documents
documents
id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53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정중
정미경
한선아
차지현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ublication of WO20171759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759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to derive an idea for a new technology based on a result of analyzing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nd constructs each of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by a plurality of items, and then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items constituting the technical documents, and selects relevant technical documents, or a method of separating and building the technical documents. Users can create new ideas by selecting only those documents that are highly related to one property, and selecting and providing technical documents with similarity between the second property of technical documents in the popu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deriving an idea based on the prior art document, and the following will describe the solution in more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technical background and in order to meet the salping technical needs from above, as well as to provide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not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ist a user in deriving new technical ideas with reference to a large number of technical documents.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compare the technical literature only for the item desired by the user by separately building the technical literature, and thus an object of effectively separating only the technical documents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are the separated technical documents for each item, and compares the first properties (eg, technical field) extracted from a specific item, and compares the second property ( (E.g. effects) are categorized into similar ones so that they can be referred to to derive ideas that cross technology boundaries.
  • first properties eg, technical field
  • second property e.g. effects
  • the idea creation support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ely building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ttribute; It includes.
  •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Comparing a specific item between the technical literature, and calc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population by selecting technical documents whose association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ny technical literature as a reference literature from the population; Compu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document and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 the plurality of preset items in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includes a technical field, a background art, an effect of the invention, a solution, or a problem to be solved.
  • the calculating of the degree of association in the idea generation supporting method may be performed based on a synonym or a synonym of keywords included in a specific item of the technical documents.
  •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rranging and displaying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based on the reference document after calculating the similarity; It may further include.
  •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may be arranged by vary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with the reference document, or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may have the same similarity as the reference document.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nnecting the things by lines.
  • the idea generation suppor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as a list or a representative drawing.
  • the idea creation support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eparately building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ttribute; Extracting a first attribute for each of the technical documents and calculating an association degree of the first property between the technical documents; Generating a population by selecting technical documents whose association degre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t may include.
  • the selected population may be characterized by a name that covers the first attribute of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may further include obtaining a second attribute of the technical documents in the population; Compu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second attribute of the technical documents; may further include.
  • the idea generation suppor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nd grouping that similarity between the second attribute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 the user can have an idea in more various directions.
  • Figure 1 shows in ord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llustrate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each item of the separately constructed technical documents and generating a population.
  • Figure 4 shows the arrangement arranged according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literature and the technical literature within the population.
  • Figure 5 shows in ord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irst attribute (technical field) is extracted from the separated technical documents and a population of technical documents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ttributes (effects) of the technical documents are classified among similar ones in the population in FIG. 6.
  • FIG. 8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similar ones are reclassified by comparing third properties of arbitrary technical documents among the technical documents classified in FIG. 8.
  • FIG 9 illustrates a third embodiment of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n expression such as 'first' and 'second' is used only for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oes not limit the order or other features between the components.
  • Figure 1 shows in orde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dea generation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may include: separating and constructing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into a plurality of items (S101), comparing an arbitrary item of the separated and constructed technical documents, and calculating a degree of association of the corresponding items.
  • step (S101) of separating the technical document into a plurality of items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tep (S101) of separating the technical document into a plurality of items.
  • patent publications and papers are prepared according to a relatively standardized framework, and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builds them using such characteristics of the technical literature.
  • a patent publication includes a technical field, a background technology, an effect of an invention, a solution, a problem to be solved, and the like.
  •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dea classifies the above items and stores them separately.
  • the paper includes items such as summary, introductory and problem, background theory, solution, and result, and the idea generating support device can separate and build them in the same way.
  • the idea generation supporting apparatus may classify items having similar properties as one item.
  • problems to be solved in a patent publication and problems in a paper are classified into one item such as "a problem to be solved”, and the background technology in the patent publication and the background theory in the paper are also "background technology”. It can be separated and constructed as one item such as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may store a specific phrase or symbol that distinguishes items in the technical literature as a database and store the corresponding phrase after reading the technical literature. If a symbol is detected, it can be separated by storing the contents from the point until another phrase or symbol is detected as one item.
  • the idea generation supporting apparatus may calculate a degree of association by comparing specific items selected by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previously described technical documents.
  • the degree of association is an index indicating how relevant each item is in a particular article.
  •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eywords included in the item is included.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relevance. That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dentical keywords in the literature, the technical documents to be compared are judged to have high relevance,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imilar keywords, the corresponding relevance values are also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no common keywords exist. Can be given.
  • the similarity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may be stored in a separate database, and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may compare and compare specific items in the technical literatures with reference thereto.
  • the comparison between the items and the calculation of the degree of relevance are ultimately made to form a population by selecting the technical documents that are highly related to each item. For example, the user selects the technical documents that have similar 'effect' items in the technical documents. In this case, the 'technical field' item is performed in the case of selecting similar technical documents.
  •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group of technical documents having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is compared to a 'effect' item of each technical document by a population.
  • the reference literature refers to any one of the technical literatures that are the reference in the previously constructed population, and the reference literature is use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with the technical literatures in the future population.
  • the reference document may be selected by the user, or the idea generation support device may select any one of the technical documents.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device outputs and shows the technical literature in the population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means, and then receives a specific technical literature from the user and selects it as the reference literature. It can be implemented as.
  • the idea generation support device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document and the technical documents in the population.
  • the similarity calculation may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relevance calculation, for example, based on how similar keywords are commonly included through keyword analysis of a specific item of the reference document and a specific item of the technical documents. Can be given.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may arrange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around the reference document, and at this time, the reference document and each technical document These distances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similarity value. That is, technical documents with high similarity are arranged closer to the reference literature, and technical documents with low similarity are arranged farther with the reference literature. It is easy to judge whether the utilization is high. 4 exemplarily shows reference documents and technical documents arranged in this manner.
  • the technical documents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items (S501), and the degree of association of the first attribute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documents may be calculated (S502). (S503) and generating a population by selecting technical documents having an association degree equal to or more than a preset value (S503), calculating similarity of the second attribute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S504) And selecting and group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documents (S505), and finally outputting an idea generation support screen to the user (S506).
  • the attribute of a technical document referred to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means a technical idea derived from each item constituting the technical document, and for example, it is intended to reduce process time required for an effect item of a technical document. If the content is described, the attribute corresponding to the effect item of the technical document can be reduced the process time.
  • the meaning of extracting the first attribute from the technical literatures means deriving the technical idea from a specific item of each technical literature.
  •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ttribute i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and accordingly,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includes a technical idea, ie, a technology described by each technical document, from the 'technology field' item of the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You can derive the field.
  • a technical idea ie, a technology described by each technical document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may calculate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first attributes.
  • the degree of associ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how closely the extracted first attributes are beforehand.
  • the relationship of the dictionary meaning necessary for the degree of association operation may be stored in a separate database.
  • FIG. 6 shows, as an example, that technical documents having the same 'technical field' as the first property, more specifically, similar technical documents having the 'technical field' as the 'semiconductor process' are composed of one population.
  • the second attribute refers to a technical idea that can be derived from other items which are not referred to in extracting the first attribute.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uses “effect” of the technical documents as the second attribute extraction item. More specifically,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idea generation collects the technical literatures having similar technical fields as the first attribute and forms a population, and then selects the technical literatures having similar effect as the second attribute according to the similarity calculation, Group the documents.
  •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idea generation gathers the technical literatures of the 'semiconductor process' technical field into a population, and then the technical literatures having similar' effect ', that is, the effect is' process time reduction', ' It divides the technical literature into 'process cost reduction', 'process yield improvement' and 'process monitoring improvement'.
  • Figure 7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in the (a) method or (b) method, (a) includes the technical literature that describes some kind of second property (effect) in the first property (technical field). (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technical documents distinguishing the second property (effect) are arranged around the center with the first property (technical field) as the center.
  • the second attributes may be arranged with different distances based on the first attribu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FIG. 8 (a) shows the third attribute extracted and grouped again for any one of the groups of the second attributes derived from FIG. 7.
  • the effect of 'process cost reduction' derived from FIG. is to group similar things divided into small groups. That is, to achie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cess cos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a number of solutions, for example, a change in the process order, a change in the material input in the process, addition of additives, improvement of the process equipment and the like.
  • each group, subgroup is a collection of technical documents with a particular item, ie, attributes.
  • the technical documents sele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be displayed based on each group or small group when finally displayed to the user.
  • the representative keywords covering the group and the small group are displayed togeth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lassification of the technical literatures.
  • Figure 8 (b) shows how the user is displayed in a different way from (a).
  • the apparatus for supporting idea generation is a small group of documents describing process order change, material change, additive addition, and equipment improvement as a solution for achieving the effect of 'process cost reduction'.
  • the 'process cost reduction' effect can be displayed by placing small groups of solution means around the effect centered on the center.
  • the small groups may be displayed by vary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circle.
  • one of the documents sharing the effect of 'process cost reduction' may be selected as a reference document, and the short and long distances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echnical documents in the small group and the reference document.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re are 10 technical documents in a small group,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ircle and the small group is determined by averag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echnical documents and the reference document, and the similarity is similarly applied to other small groups. You can determine the distance by averaging the calculated values.
  •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ircle and the small gro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small group. In other words, the more technical literature in a small group is included, the shorter the distance is. The smaller the technical literature is, the longer the distance is. Can be inferred.
  • FIG. 8B may also be applied to FIG. 7B.
  • the third embodiment is a combin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ccording to this step, the technical documents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items (S901), and the first attributes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documents are Compu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S902) and generating a population by selecting the technical literatures having a degree of association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S903), calculating the similarity of the second attribute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documents included in the population (S904) And selecting and grouping technical documents having a similarity or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S905), and then selecting any document from the population or a group of technical documents as a reference document (S906), the reference document and the Computing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technical documents in the population or group (S907) and arranges according to the value (S908).
  • S901 the technical documents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items
  • the first attributes extracted from the technical documents are Compu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S902) and generating a population by selecting the technical literatures having a degree of association more
  •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performing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opulation or group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population or group configured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may select any technical document as a reference document in a small group having a solution of 'adding an additive', and the reference document and the description in the small group.
  • the technical documents may be arranged by varying the distance from the reference document according to the similarity between the documents. Reference to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and technical documents arranged.
  • the idea generating support apparatus includes a separation construction unit 110, a calculation unit 120,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a DB 140, and a controller 150.
  • Separation construction unit 110 analyzes the cont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literatur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separately building them by each item. At this time, the separation construction unit 110 refers to the rules and conditions stored in the DB 140, and when a specific phrase or symbol is detected,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technical document portion as a specific item.
  • the calculation unit 120 calculates an association degree of a specific item between the separated technical documents or calculates the similarity.
  •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or similarity by the operation unit 120 is preferably performed by grasping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he keywords included in the item as described above, and in order to give a value for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keywords,
  • the operation unit may refer to a condition stored in the DB, that is, a relationship condition defining an inclusion relationship or a synonym relationship between words. Since th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association or similarity between docu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paragraph.
  •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30 functions to generate and provide information to be finally provided to the user by utilizing the calculation result in the calculation unit. Forming a screen for output by classifying a plurality of technical documents by a population or a group, arranging technical documents in a population or a group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similarity values, and selecting a representative name that can represent a population or a group All of these activities are carried out by the Ministry of Information Services.
  • the controller 150 collectively controls the separation construction unit, the calculation uni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arithmetic unit, wherein the arithmetic unit is a general-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CPLD, FPGA) implemented for a specific purpose, ASICs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CPLD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 각각을 분리구축 한 뒤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특정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함으로써 관련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선별하는 방식, 또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 간 연관도가 높은 문헌들만 선별해 내고 이에 따른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중소그룹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기술문헌들 각각을 복수의 항목별로 분리구축 한 뒤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함으로써 관련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선별하는 방식, 또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 간 연관도가 높은 문헌들만 선별해 내고 이에 따른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성이 있는 기술문헌들을 중소그룹으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방식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 있게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이를 기록하고 있는 기술문헌들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특허권 및 실용신안 등을 기록하고 있는 공보, 새로이 발견된 자연법칙 또는 새로이 고안된 응용기술을 기술하고 있는 논문, 또는 종래 기술들부터 현재의 기술까지 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는 다양한 서적들까지 매우 많은 종류, 양의 기술문헌들이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새로운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그 기반이 되는 기술의 분야에 대해 상세히 알고 있어야 함은 당연하나, 최근에는 서로 다른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동기를 얻어 아이디어를 얻는 사례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수 많은 기술문헌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또 관련성이 있는 기술들을 일일이 분류하여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경우에 있어서는 소수의 관련 문헌들을 참고로 할 수 밖에 없어 실상 대다수의 기술문헌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문헌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도출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해결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대량의 기술문헌들을 참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데에 지원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술문헌들을 분리구축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에 대하여만 기술문헌 비교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만을 효과적으로 분별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류된 기술문헌 모집단 내에서 각 문헌들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사용자가 기준문헌과의 유사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도출해 내는 데에 쉽게 참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을 각 항목 별로 비교할 수 있어, 어느 특정 항목으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예. 기술분야)끼리 비교하고, 제1속성이 유사한 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예. 효과)을 서로 유사한 것들끼리 분류함으로써 기술 간 경계를 넘어선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에 참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기술문헌들 간의 특정 항목을 각각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항목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수의 항목들은,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효과, 해결수단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있어서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어 또는 유의어를 기준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에 따라 거리를 달리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가 동일한 것끼리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목록 또는 대표도면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각각에 대한 제1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기술문헌들 간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제1속성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별된 모집단은 해당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명명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제2속성 간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것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술문헌을 분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기술사상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대량의 기술문헌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술문헌 내에서 원하는 항목만을 선택하여 참조할 만한 기술문헌을 선별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술 간 목적, 용도 등이 다르더라도, 즉 기술간 경계를 넘어 상호 참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아이디어 착안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기술문헌을 분리구축 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각 항목 간 연관도를 연산하고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모집단 내에서 기준문헌과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에 따라 배열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기술분야)을 추출하고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모집단으로 구성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모집단 내에서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효과)를 유사한 것끼리 분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8에서 분류된 기술문헌들 중 임의 기술문헌들의 제3속성을 비교하여 유사한 것끼리 재분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3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서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서는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9를 참조하여서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조합된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는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101),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임의 항목을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102) 및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며, 나아가 상기 모집단 내에서 기준문헌을 선정하는 단계(S104), 기준문헌과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S105), 유사도 값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106)를 포함한다.
먼저 기술문헌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101)에 대해 살펴본다.
특허공보, 논문 등과 같은 기술문헌들은 비교적 정형화 된 틀에 따라 작성되는데 본 발명은 기술문헌의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이를 분리구축 한다. 예를 들어 특허공보는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효과, 해결수단,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등을 포함하는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위와 같은 항목들을 분류해 내어 각각 별도로 저장한다. 한편, 논문의 경우에는 요약, 서론 및 문제점, 배경이론, 해결수단, 결과 등의 항목을 포함하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같은 방식으로 이를 분리구축 시킬 수 있는데, 이 때 각 기술문헌들의 항목 명칭이 서로 다른 경우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속성이 유사한 항목들은 하나의 항목으로 보아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보에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과 논문에서의 문제점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같은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하고, 특허공보에서의 배경기술과 논문에서의 배경이론 역시 “배경기술”과 같은 하나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리구축 할 수 있다.
한편, 기술문헌을 분리구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기술문헌 내 항목을 구분하는 특정 구, 또는 기호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기술문헌을 읽어 들인 후 해당되는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된 경우 해당 지점부터 또 다른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될 때까지의 내용을 하나의 항목으로 저장함으로써 분리구축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의 임의 항목을 비교하여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102) 및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103)에 대해 살펴본다.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앞서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항목들을 비교하여 연관도를 연산할 수 있다. 연관도란 각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간 관련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가리키는 지표로, 항목 간 관련성을 평가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유의어 포함) 간의 유사도를 관련성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문헌 내에 동일한 키워드 복수개가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비교되는 기술문헌들은 연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유사한 키워드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공통된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각각 그에 상응하는 연관도 값이 부여될 수 있다. 키워드 간 유사성 관계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아이디어 창출 지원장치는 이를 참조하여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들을 비교 및 연관도 연산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 간 비교 및 연관도 연산은 궁극적으로는 각 항목이 관련성이 높은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하나의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술문헌 내 ‘효과’ 항목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 ‘기술분야’항목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선별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있어 수행되는 단계이다. 도 3은 각 기술문헌들의 ‘효과’ 항목을 비교하여 연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모집단으로 구성한 예를 도식화 한 것이다.
다음으로 기준문헌 선정 단계(S104)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기준문헌이란 앞서 구성된 모집단 내에서 기준이 되는 어느 하나의 기술문헌을 일컫는 것으로, 이 때 기준문헌은 향후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과의 유사성 연산을 하는 데에 활용된다.
상기 기준문헌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임의의 기술문헌 하나를 선정할 수도 있다. 기준문헌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을 출력하여 보여준 후,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술문헌을 입력 받아 이를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집단 내에서의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S105) 및 유사도 값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배열하는 단계(S106)에 대해 살펴본다.
앞선 단계에서 기준문헌이 선정된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모집단 내에서 상기 기준문헌과 기술문헌들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다. 이 때 유사도 연산은 앞서 설명한 연관도 연산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준문헌의 특정 항목과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의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얼마나 유사한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모집단 내에서 각 기술문헌들에 대한 유사도 연산이 마쳐진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주변에 배열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기준문헌과 각 기술문헌들의 거리는 유사도 값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유사도가 높은 기술문헌일수록 기준문헌에 가깝게 배열하고, 유사도가 낮은 기술문헌일수록 기준문헌에 멀게 배열함으로써 이를 본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기술문헌이 유사도가 높고 낮은지, 혹은 어느 기술문헌이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에 활용도가 높은지를 판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기준문헌 및 기술문헌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1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래에서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2실시예는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501),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S502)하고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503),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504)하고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505)를 포함하며,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아이디어 창출 지원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506)
기술문헌들을 분리구축 하는 단계(S501)는 앞서 살펴본 제1실시예에서의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내어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S502)와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503)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기술문헌의 속성이란, 기술문헌을 구성하는 각 항목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어느 기술문헌의 효과 항목에 공정상 소요시간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라는 취지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해당 기술문헌의 효과 항목에 대응되는 속성은 공정 소요시간 절감이 될 수 있다.
또한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낸다는 것의 의미는 각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으로부터 기술적 사상을 도출해 냄을 의미한다.
도 6은 복수의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을 추출해 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복수 기술문헌들의 ‘기술분야’ 항목으로부터 기술적 사상, 즉 각 기술문헌들이 서술하고 있는 기술의 분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한편, 기술문헌들로부터 제1속성이 추출된 이후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제1속성 간의 연관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 때 연관도 연산은 상기 추출된 제1속성들이 사전적으로 얼마나 근접해 있는 개념인지를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연관도 연산에 필요한 사전적 의미의 관계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일 예시로 제1속성으로서 ‘기술분야’가 동일한 기술문헌들, 더 구체적으로는 ‘기술분야’ 가 ‘반도체 공정’으로 유사한 기술문헌들이 하나의 모집단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504)하고 유사도에 따라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505)에 대해 살펴본다.
제2속성이란 제1속성을 추출하는 데에 참조되지 않은 다른 항목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가리킨다. 도 7을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기술문헌들의 ‘효과’를 제2속성 추출용 항목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제1속성으로서 ‘기술분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모아 모집단을 구성한 후, 제2속성으로서 ‘효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을 유사도 연산에 따라 선별해 내고, 이들 기술문헌들을 그룹화 한다.
도 7을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반도체 공정’ 기술분야의 기술문헌들을 한데 모아 모집단으로 구성한 후, ‘효과’가 유사한 기술문헌들, 즉 효과가 ‘공정시간 절감’인 것, ‘공정비용 절감’인 것, ‘공정수율 개선’인 것, ‘공정 모니터링 개선’인 기술문헌들을 나누어 그룹화 한다.
이와 같이 제1속성의 연관도 연산 및 모집단 형성에 이어 제2속성의 유사도 연산 및 그룹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제1속성의 기술문헌들 내에서 어떤 종류의 제2속성이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기술 간의 경계를 넘어 아이디어를 참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기술분야’가 ‘반도체 공정’인 기술문헌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공정시간, 공정비용, 공정수율, 공정 모니터링 등 다양한 효과를 위한 기술들이 존재함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는 사용자에게 (a)방식 또는 (b)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a)는 제1속성(기술분야) 내에 어떤 종류의 제2속성(효과)이 기술된 기술문헌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블록으로 나타낸 것이며, (b)는 제1속성(기술분야)를 중심에 둔 채 제2속성(효과)이 구별된 기술문헌들이 중심 주변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7의 (b)는 제1속성을 중심으로 제2속성들이 거리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8 관련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기술문헌들로부터 속성을 추출해 내고 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여 개개의 그룹으로 선별하는 과정은 반복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a)는 앞서 도 7에서 도출된 제2속성 별 그룹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재차 제3속성을 추출해 내고 그룹화 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7에서 도출된 ‘공정비용 절감’의 효과를 위한 기술문헌들 중 ‘해결수단’이 유사한 것끼리를 묶어 소그룹으로 나눈 것이다. 즉,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해결수단, 예를 들어 공정순서 변경, 공정상 투입되는 물질 변경, 첨가물 추가, 공정 장비 개선 등의 해결수단이 존재함을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각각의 그룹, 소그룹들은 특정 항목, 즉 속성이 유사한 기술문헌들의 집합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선별된 기술문헌들은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때 각 그룹 내지 소그룹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각 그룹, 소그룹을 구별할 때에는 해당 그룹, 소그룹을 포괄하는 대표 키워드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기술문헌들의 분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8의 (b)는 (a)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에서도 볼 수 있듯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꾀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 공정순서 변경, 물질 변경, 첨가물 추가, 장비 개선을 기술하고 있는 문헌들을 소그룹화 하여 표시하는데, 이 때 상기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중심(중심원)에 두고 해결수단 소그룹들을 상기 효과 주변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이 때, 상기 소그룹들은 상기 중심원으로부터 거리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공유하는 문헌들 중 어느 하나를 기준문헌으로 선택하고, 상기 소그룹 내 기술문헌들과 기준문헌간의 유사도가 반영되어 거리의 장단이 정해질 수 있다. 가령, 소그룹 내 10개의 기술문헌들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기술문헌들과 기준문헌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 값의 평균을 내어 중심원과 소그룹 사이의 거리를 정하고, 다른 소그룹들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유사도를 연산한 값의 평균을 내어 거리를 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심원과 소그룹 간의 거리는 소그룹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개수를 중심으로 정할 수도 있다. 즉, 소그룹 내 기술문헌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거리를 짧게 정하며 기술문헌이 적을수록 거리를 길게 정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중심원에 가까운 소그룹일수록 관련 기술문헌이 다수 존재함, 즉 관련 기술이 활발히 연구개발 중임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와 같은 표시 방식은 도 7의 (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의 제3실시예를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제3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조합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기술문헌들을 복수의 항목들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S901),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S902)하고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S903),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로부터 추출된 제2속성의 유사도를 연산(S904)하고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S905)를 포함하고, 이후 상기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 중 임의의 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S906),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S907)하고 그 값에 따라 배열하여 출력하는 단계(S908)를 포함한다.
즉,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를 거쳐 구성된 모집단 또는 그룹이 있음을 전제로 해당 모집단 또는 그룹 내에서 제1실시예를 수행하는 것과 같다. 도 8에서의 실시예를 참조할 때,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상기 ‘첨가물 추가’의 해결수단을 가지는 소그룹 내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서 선정할 수 있으며, 해당 기준문헌과 상기 소그룹 내 기술문헌들 간의 유사도 크기에 따라 기준문헌과의 거리를 달리하여 기술문헌들을 배열할 수 있다. 기준문헌 및 기술문헌들이 배열되는 모습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의 세부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는 분리구축부(110), 연산부(120), 정보제공부(130), DB(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분리구축부(110)란 기술문헌들이 포함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이를 각 항목별로 분리구축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분리구축부(110)는 DB(140)에 저장된 규칙 및 조건을 참조하여 특정 구 또는 기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기술문헌 부분을 특정 항목으로 저장한다.
연산부(120)는 분리구축 된 기술문헌들 간 특정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거나 또는 유사도를 연산한다. 연산부(120)가 연관도 또는 유사도를 연산하는 방식은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 때 키워드간 유사의 정도에 대한 값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연산부는 DB에 저장된 조건, 즉 단어들 간의 포함관계 또는 유의어 관계 등을 정의하고 있는 관계조건을 참조할 수 있다. 연산부가 문헌들 간 연관도 또는 유사도를 연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본 단락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정보제공부(130)는 연산부에서의 연산 결과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모집단 또는 그룹별로 분별하여 출력용 화면을 구성하는 것, 모집단 또는 그룹 내 기술문헌들을 유사도 값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하는 것, 모집단 또는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명칭을 선정하는 것 등은 모두 정보제공부가 관여하여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분리구축부, 연산부, 정보제공부를 총괄하여 제어한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아이디어 창출 지원 장치가 기술문헌을 기초로 아이디어 창출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기술문헌들을 기 설정된 속성에 따라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구축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들 간의 특정 항목을 각각 비교하여 해당 항목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항목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에서 임의의 기술문헌을 기준문헌으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문헌과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복수의 항목들은,
    기술분야, 배경기술, 발명의 효과, 해결수단 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기술문헌들의 특정 항목 내 포함된 키워드들의 유사어 또는 유의어를 기준으로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기준문헌을 중심으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에 따라 거리를 달리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은 상기 기준문헌과의 유사도가 동일한 것끼리 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을 목록 또는 대표도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문헌들로부터 각각에 대한 제1속성을 추출하고, 상기 기술문헌들 간 제1속성의 연관도를 연산하는 단계;
    제1속성의 연관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기술문헌들을 선별하여 모집단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모집단은 해당 모집단 내 포함된 기술문헌들의 제1속성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명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단 내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기술문헌들의 제2속성 간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속성 간 유사도가 기 설정값 이상인 것을 선별하여 그룹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PCT/KR2016/005356 2016-04-08 2016-05-20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WO20171759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560 2016-04-08
KR1020160043560A KR101762252B1 (ko) 2016-04-08 2016-04-08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5912A1 true WO2017175912A1 (ko) 2017-10-12

Family

ID=5941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5356 WO2017175912A1 (ko) 2016-04-08 2016-05-20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2252B1 (ko)
WO (1) WO2017175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742B1 (ko) * 2018-07-18 2019-10-10 홍진용 아이디어 선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54B1 (ko) * 2007-06-27 2009-05-27 재단법인 한국특허정보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등록특허의 기술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WO2009150758A1 (ja) * 2008-06-13 2009-12-17 株式会社パテント・リザルト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KR20120027285A (ko) * 2009-05-07 2012-03-21 씨피에이 소프트웨어 리미티드 전자 문서 콜렉션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292663B1 (ko) * 2012-02-06 2013-08-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KR101521862B1 (ko) * 2014-12-15 2015-05-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54B1 (ko) * 2007-06-27 2009-05-27 재단법인 한국특허정보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등록특허의 기술평가 시스템및 그 방법
WO2009150758A1 (ja) * 2008-06-13 2009-12-17 株式会社パテント・リザルト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KR20120027285A (ko) * 2009-05-07 2012-03-21 씨피에이 소프트웨어 리미티드 전자 문서 콜렉션을 검색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KR101292663B1 (ko) * 2012-02-06 2013-08-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KR101521862B1 (ko) * 2014-12-15 2015-05-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252B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rth et al. A graph theory model for systematic biology, with an example for the Oncidiinae (Orchidaceae)
WO20162089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based tab management
WO2011162446A1 (ko) 온톨로지 스키마와 결합된 개체명 사전 및 마이닝 규칙을 이용한 용어의 개체명 결정모듈 및 방법
WO2018155817A1 (ko) 이상탐지시스템 내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을 탐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8763486A (zh) 基于终端的论文查重方法、终端及存储介质
WO2019093675A1 (ko)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병합 장치 및 방법
US6298350B1 (en) Method for automatic processing of information materials for customised use
WO2012005414A1 (ko) 참고 문헌 적합성 판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7175912A1 (ko)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WO2012144685A1 (ko) 기술 추이 시각화 장치 및 방법
WO2022107994A1 (ko) 빅데이터 증강분석 프로파일링 시스템
WO2012144683A1 (ko) 유망 기술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한 유망 단계 판단 장치 및 방법
CN106919593A (zh) 一种搜索的方法和装置
JP6638739B2 (ja) 表形式データの解析方法、表形式データの解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WO2014069754A1 (ko) 관심분야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030049A2 (ko) 동적 임계값이 적용된 유사문서 분류화 장치 및 방법
WO2016068514A1 (ko)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제품별 산업구조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JP2013130965A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5133774A1 (ko) 특허 분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9103220A1 (ko) 시각화 내비게이션 방식의 법률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286298B2 (ja) 評判分析装置、評判分析方法及び評判分析プログラム
EP25736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relation service
WO2011136426A1 (ko) 문맥으로부터의 개체명 추출을 이용한 개체명 사전 구축과 규칙 등록 방법 및 시스템
WO2009126012A2 (ko)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2046905A1 (ko) 다중 자원의 통합에 의한 자원 검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980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980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