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663B1 -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663B1
KR101292663B1 KR1020120011701A KR20120011701A KR101292663B1 KR 101292663 B1 KR101292663 B1 KR 101292663B1 KR 1020120011701 A KR1020120011701 A KR 1020120011701A KR 20120011701 A KR20120011701 A KR 20120011701A KR 101292663 B1 KR101292663 B1 KR 10129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mising
company
keyword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고병열
권오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11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663B1/ko
Priority to PCT/KR2012/010379 priority patent/WO20131189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방법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자원 기반 관점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의 도출 모형을 제시하고자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제품, 등의 보유역량정보를 기반으로 향후 기업이 접근해야하는 기술영역, 제품개발영역 등을 검출하여 기술개발 포트폴리오를 생성 제공하기 위한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용도, 제품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참조특허집합(reference patent set)을 구성하고, 이로 부터 전방인용특허로 대상을 확장하여 분석대상특허집합을 구성하여 분석대상특허집합을 분석하여 기업의 보유기술과의 연관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접근가능한 유망영역을 도출하도록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SYSTEM AND METHOD ON EMERGING TECHNOLOGY PRODUCT PORTFOLIO GENERATION BASED ON FIRM'S TECHNOLOGY CAPABILITY}
본 방법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 자원 기반 관점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의 도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제품 등의 보유역량정보를 기반으로 향후 기업이 접근해야하는 기술영역, 제품개발영역 등을 검출하여 기술개발 포트폴리오를 생성 제공하기 위한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연구개발 환경의 다변화, 가속화, 거대화에 따라 미래기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연구개발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 모니터링과 동시에 유망기술/신규사업영역을 탐색, 활용하여야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한 기존 미래 기술 분석 연구는 공공영역, 정부차원의 응용 및 활용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업/비즈니스 측면에서의 미래기술 분석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인적자원, 재무자원, 기술자원의 제약비용 등의 다양한 자원의 제약에 의해 비즈니스 영역에서의 미래기술 분석은 주로 대기업 사례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하면 중소기업의 성장성 확보를 위한 미래 기술 분석 연구 수요가 오히려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유망기술 또는 유망사업영역을 탐구하는 분야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전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14267호," 특허정보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에 의한 기술 공백의 발견 방법과 그 시스템"에서는 기존 출원 특허들의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특허지도(Patent Map)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백 기술을 파악하여 유망한 신기술 개발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기업 경영, 기술 개발 상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허공백기술 조사 시스템은 신기술 개발에 특허 지도를 작성하여 활용함에 있어 방대한 양의 특허 문서 자료에 대한 사람의 직접적인 분석 없이 텍스트 마이닝과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을 이용하여 특허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기술 공백을 찾아내어 신기술 개발 영역을 도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장치;
네트워크를 통해 특허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기억장치에 이를 다운로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프로그램화된 자료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서를 호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호출된 특허문서들로부터 주제어를 도출하고 이를 벡터화하여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프로그램화된 자료 변환 모듈;
주제어벡터의 차원을 요구되는 수준에 따라 감소시키는 프로그램화된 차원 감소 모듈;
벡터화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지도 작성알고리즘을 이용해 지도를 제작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프로그램화된 지도 생성 모듈;
작성된 지도를 바탕으로 특허 기술의 공백부분의 정보를 찾아내는 특허 공백 발견 모듈;
찾아낸 특허 공백의 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유효성을 제시하는 공백 유효성 조사 모듈;
상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와 상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특허공백기술 조사 시스템은 ,
(a)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와, (b) 검색 수단이 네트워크를 통해 특허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검색어를 포함하는 문서를 검색하고 이를 기억장치에 다운로드 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c)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b) 단계의 문서를 호출하고 호출된 특허 문서들로부터 주제어를 도출하고 이를 벡터화하여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d) 벡터화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주요인을 도출하고 소정의 개수를 조합하며 조합된 주요인을 축으로 하는 특허 지도를 작성하고 디스플레이 하고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e)상기 작성된 지도를 호출하여 공백부분을 지정하면 공백부분을 정리하여 공백별로 포함된 특허들의 정보를 제시하고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및 (f) 상기 공백부분의 특허를 소정의 분석 기준에 의해 공백별 중요도를 계산하고 제시하며 이를 기억장치에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공백기술 조사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에 따라서 특허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특허 텍스트 마이닝을 수행하여 자료변환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특허지도를 작성한 후, 공백부분을 정하고 그 공백부분의 특허를 분석하고 그 분석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특허공백기술 조사시스템에 따르면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얻어진 주제어를 활용함으로써 상세한 기술 내용을 고려할 수 있으며, 특허 지도 작성 자체에 의미를 두는 기존의 특허 지도와는 달리, 실제로 공백을 찾아내고 분석에 의해서 유망한 신기술 개발의 공백을 시스템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공백기술 조사시스템에 따르면 기술 분야별로 특정 기술분야의 유망성을 측정하는 것에 유효한 장점을 가지는 것은 분명하나, 특허공백의 기술영역이 직관적으로 명시되기 어렵고, 기업의 보유기술이나 제품역량을 기반으로 탐색하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그 활용이 국가, 산업차원의 유망기술영역 탐색에 제한되는 특성을 보인다.
다시 말해 기업 차원에서 해당기업의 기술-제품 역량에 기반한 유망 제품 또는 유망기술의 탐색에 있어서 시사점을 주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영역에 대한 신기술 개발정보 및 제품개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업 내에서의 기술 자원 기반 관점에서 기업이 새로운 유망기술 또는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은 1차적으로 취할 수 있는 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실증적으로 기업의 보유기술은 회사의 사업 다각화와 관련성이 있음은 이미 선행된 문헌에 의해 밝혀진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특허로 표현하기 위해 기술, 용도, 제품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기업이 진입해 있는 사업영역을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reference patent set)을 특허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고, 참조특허집합을 인용하는 전방인용특허(forward citing patent)로 대상을 확장하여 분석대상특허집합을 구성하는 것, 그리고 이 분석대상특허집합을 군집으로 분리하여 군집의 성장성 및 참조특허집합으로 표현되는 기업 보유 기술역량과의 연관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 접근가능한 유망영역을 도출하도록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유망기술이란 새로운 사업 또는 기존 사업을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는 과학적 기반의 혁신을 일으킬 기술을 뜻한다. 유망기술은 기존 기술의 융합에서 오는 점진적 개량기술(incremental technology)과 새로운 혁신적 기술(radical technology)로 구분할 수 있다.
유망기술의 탐색은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업에서의 유망기술 탐색은 활용주체가 한정된다는 측면에서 국가차원, 산업 차원에서 거시적으로 유망기술을 탐색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에는 다양한 제약조건이 존재한다. 인적자원, 재무자원, 기술자원의 제약, 낮은 생산성, 기업 유형에 따라 다르나 생산 역량에 비해 낮은 연구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이 우선적으로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사업영역은 기존 자원을 기반으로 한 것이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유 기술이 고려되지 않는 국가/산업 차원의 미래기술분석이나 보유 자원보다 발전가능성이 높은 유망영역을 우선시하는 대기업의 유망기술 도출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분석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 탐색으로서, 보유기술을 기반으로 혁신 가능한 기술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새로운 자원 투입이 많은 신규 유망영역보다 기존 영역에서의 발전/개선 방향에 대한 탐색에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자원기반 관점에서 중소기업에게 유망한 기술 탐색이란 기존의 보유기술, 제품을 바탕으로 기업의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을 탐색하는 것으로, 기업의 기술접근성이 높고, 해당영역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하여 부족한 기술역량에 대해 손쉽게 보완이 가능한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기업 보유기술, 보유제품을 기반으로 하여 기업이 새롭게 발전 가능한 방향을 예측하는 것은 도 1에서와 같이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도 1은 기업을 위한 유망기술 대비 유망제품이 대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개념적으로 기업의 보유 기술-보유 제품을 기반으로 하여 도출 가능한 유망기술, 유망제품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보유기술(T), 보유기술(T)과 연관된 제품(P)라 할 때 기본적으로 보유 기술, 보유 제품의 개선 기술(T'), 개선 제품(P')를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개선 제품이란 기존 제품대비 성능개선, 기능부가 또는 공정개선을 통하여 원가를 절감한 제품을 의미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기술을 개선 기술(T')로 본다.
동일 용도의 기존 제품을 만드는 타 분야의 기술(eT1)도 중소기업 관점에서는 유망한 기술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기술치환을 통해 가격이나 품질 측면에서 경쟁력이 확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보유기술과 관계없이 해당 기술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기술은 기존의 국가/산업 차원에서 수행하는 하향식(top-down) 기술전망에서 등장하는 유망기술과 개념이 같다.
유망제품영역도 같은 방식으로 추론이 가능하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로 제조할 수 있는 신제품영역(ePa)은 중소기업이 대표적으로 찾고자 하는 유망영역이다. 기술 역량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 없이 새로운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보유제품과 관계없이 해당 제품영역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영역(ePb)은 기업과 관계없이 하향식 기술전망에서 도출되는 신제품 군과 그 의미가 같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부분은 상기에서 제시한 영역 중 기존 보유기술로 진입 가능한 신규 제품 영역(ePa)을 찾는 것이다.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은,
기업 보유역량 기반 유망영역 포트폴리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업 보유기술과 제품 및 용도 키워드 추출 및 특허집합생성수단으로 부터 요청을 받아 검색된 특허정보로 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키워드 추출수단,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 및 각 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특허검색을 제어하는 특허검색제어수단,
특허검색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수집하는 정보수집수단,
정보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특허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참조특허집합으로부터 특허검색제어수단을 통하여 특허검색을 수행하여 전방인용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정보를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는 특허집합생성수단,
특허집합생성수단으로 부터 생성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정보로 부터 새로운 잠재적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으로 부터 기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에 대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는 활동성분석수단,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대비를 통하여 잠재 유망 특허 군집과 참조특허집합간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관성정보생성수단,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연관성정보와 상기 활동성분석수단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수단과,
상기 수단들을 통해 생성된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기록저장수단과,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 및 생성된 포트폴리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방법은,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특허집합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업보유문서를 바탕으로 보유기술, 보유제품, 제품용도를 키워드화하여 참조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키워드추출과정,
상기 키워드추출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특허를 검색하여 기업의 보유역량을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참조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 내 각 특허를 전방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를 검색하여 전방인용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전방인용특허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전방인용특허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전방인용특허집합을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분석특허집합의 특허를 대상으로 특허정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
상기 유망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특허군집에 대하여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여 유망영역을 검증하는 특허군집활동성분석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비교를 통하여 참조특허집합으로 표현되는 기업보유역량과 유망영역특허군집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기업연관성분석과정,
상기 기업연관성분석과정을 통해 분석된 기업과의 연관성정보와 상기 군집활동성분석과정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업 보유역량에 기반하여 실제 기업이 접근가능한 수준의 유망영역을 계량정보를 이용하여 도출, 제시함으로써, 기업에서는 보유기술, 제품을 바탕으로 기업의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낼 수 있는 기술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탐색된 기술영역은 기업의 기술분야와 동떨어진 기술영역이 아닌 기업의 기술접근성이 확보된 영역이 제시되며, 역량이 부족한 기업에게는 해당영역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발한 분야가 제시되어 부족한 기술역량에 대해 손쉽게 보완이 가능한 기술로 탐색된다.
도 1은 기업의 보유기술, 보유제품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을 위한 유망기술, 유망제품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분석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유망영역 특허군집생성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에 있어서, 제품연관관계를 고려한 20개군집의 적용분야 포트폴리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에 있어서, X사 잠재 포트폴리오 결과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방인용특허는 특정 특허를 인용하는 특허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A특허의 전방인용특허는 A특허를 인용하는 특허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키워드 및 키워드 추출을 위한 기술문서, 논문, 실무기술진자문 등의 정보 입력, 분석정보 검색 및 특허군집 전문가 선택을 포함하는 포트폴리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10),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기업 보유기술과 제품의 키워드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수단(20),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20)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참조특허집합 및 참조특허집합으로 부터 전방인용특허에 대한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의 특허검색을 제어하는 특허검색제어수단(30),
특허검색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로 부터 수집하는 정보수집수단(40),
정보수집수단(40)을 통해 수집된 특허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참조특허집합으로부터 특허검색제어수단(30)을 통하여 특허검색을 수행하여 전방인용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집합정정보를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고 기록저장수단(100)에 참조특허집합, 전방인용특허집합,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저장하는 특허집합생성수단(50),
특허집합생성수단(50)으로 부터 생성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군집분석 요소로 이용하여 새로운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
유망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으로 부터 생성된 특허군집에 대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는 활동성분석수단(70),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50)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특허군집과의 대비를 통하여 잠재 유망 특허 군집과 참조특허집합간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에서 생성된 연관성정보와 상기 활동성분석수단(70)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수단(90)과,
상기 수단들을 통해 생성된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기록저장수단(100)과,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 및 생성된 포트폴리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수단(11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10)은 상기 수단들을 통해 분석된 정보의 검색 및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입력해야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특허검색에 필요한 키워드 정보의 입력, 사용자가 임의로 정하는 키워드의 입력, 키워드 추출수단(20)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는 키워드 추출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20)을 통해 키워드추출에 필요한 정보들은 기술문서, 논문, 실무기술진자문을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20)은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하여 기업 보유기술과 제품을 키워드화하는 수단으로, 용도, 구성기술, 제품 키워드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는 기업 보유기술을 단순히 기술문서를 근거로 키워드화 하는 경우 기술 속성만을 지니는 키워드로 한정될 위험이 있음에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키워드를 상기 세 가지 항목(용도, 구성기술, 제품 키워드)으로 구분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 특허검색제어수단(30)은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통한 특허검색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특허검색제어수단(30)은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20)을 통해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참조특허집합에 대한 검색, 참조특허집합에 속한 특허를 인용하는 전방인용특허에 대한 검색을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특허검색 제어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는 한국 특허청(KIPO) 또는 미국 특허청(USPTO) 등과 같이 공공서비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해당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포맷(HTTP, TXT)을 따르는 문서정보를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특허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특허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사(Derwent 사)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Derwent 사의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전 세계 44개국을 대상으로 4,350만건 이상의 등록특허를 정제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전 세계 특허를 영어 기반으로 변환하고 심사원들이 기존 특허 항목에 새로운 특성을 가진 고유 항목을 정제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구항과 초록을 병합하여 발명의 신규성, 장점, 상세설명, 발명에 체화된 기술내역, 사용용도 등을 따로 기술하는 필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정보수집수단(40)은 상기 특허검색제어수단(30)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된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접속하여 특허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허정보를 외부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로 부터 수집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50)은 상기 특허검색제어수단(30)에 의해 특허검색된 특허정보를 정보수집수단(40)으로 부터 제공받아 필요한 특허집합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50)은 용도, 구성기술, 제품분류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검색된 특허집합을 참조특허집합(P0)으로 구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특허집합(P0)을 2단계까지 전방인용한 전방인용특허집합(P1)(P2)을 구성하며, 상기 참조특허집합(P0)과 전방인용특허집합(P1)(P2)을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방인용특허집합은 용도, 구성기술, 제품키워드의 분류 중 어느 하나이상의 분류에 포함된 키워드를 참조하여 파생되는 특허집합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참조특허집합(P0)에 속한 특허를 전방 인용한 특허를 검색하여 1단계 전방인용특허집합(P1)을 생성하고, 1단계 전방인용특허집합(P1)을 전방인용한 특허를 검색하여 2단계 전방인용특허(P2)집합을 생성한다.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은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으로 부터 생성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유망영역의 도출을 위한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망영역 키워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즉,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유망영역 키워드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것으로, 분석대상 특허집합 내에서 동일한 키워드를 많이 가진 특허끼리 그룹화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키워드가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 경우 이 키워드들에 대한 특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그룹화함으로써,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를 통합한 분석대상특허집합이 복수의 그룹(특허군집)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은 특허정보에 포함된 특허번호, 출원일, 등록일, 출원인과 같은 정형화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형화정보처리수단(61)과, 발명의 구성, 경쟁기술, 용도 등의 문장형태로 특허정보에 포함된 비정형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비정형정보 처리수단(62)과, 상기 정형화정보처리수단(61)과 비정형처리수단으로 부터 분석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분석정보로 부터 유망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과,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을 통하여 추출된 유망영역 키워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특허군집생성수단(64)을 포함한다.
상기 비정형정보처리수단(62)은 텍스트마이닝 프로세스를 통하여 구성할 수있으며, 실시 예로 "KISTI 정보분석본부"에서 제작된'Knowledgematrix'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를 이용한 특허 검색 및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공지된 기술로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은 새로운 유망영역에 대한 특허군집을 생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용도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도록 프로그램이 설계된다.
새로운 유망영역의 발굴은 새로운'용도'를 나타내는 키워드 도출에서 부터 출발하는 것으로,'용도'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여 특허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은 용도를 대표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하는 키워드 요청정보를 키워드추출수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정형화정보처리수단(61), 비정형화정보처리수단(62)의 분석결과로 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활동성분석수단(70)은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으로 부터 생성된 특허군집에 대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활동성분석(70)은 유망영역 특허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활동성분석지표는 유망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정된 성장속도와 성장 모멘텀 지표를 이용한다.
상기 성장 속도는 군집 내의 연도별 특허 출현율로 계산되며, 특허군집 내 특허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빨리 증가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상기 성장 모멘텀은 특허군집 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이다.
상기 성장 모멘텀은 기업이 해당 영역에 진입이 가능한 단계가 되었는가, 즉 기업이 진입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수준의 연구개발이 일어나고 있는지, 기업이 채택 가능한 단계에 도달하였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된다.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은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50)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P0)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에서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대비를 통하여 기업진입영역의 대리지표로 표현되는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기술적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은 참조특허집합(P0)과 상기 분석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연관성을 비교하는 바, 이는 중소기업 보유기술이 대체로 특허군집으로 표현될 만큼 그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기업 보유기술 역량을 대상 참조 특허집합(P0)으로 설정한 것이다.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은 참조특허집합과 특허군집과의 키워드의 동시발생횟수를 기준으로 유사도를 측정하여 기술적 연관성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포트폴리오생성수단(90)은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에서 생성된 연관성정보와 상기 활동성분석수단(70)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포트폴리오생성수단(7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에서 생성되는 연관성정보를 기업의 기술 접근성 대리 지표로 보고 기업과의 기술연관성(Technology relevance)을 X축, 성장모멘텀(Growth moment)을 Y축으로 하여 성장 모멘텀 대비 기업과의 연관성정보로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포트폴리오정보 생성수단(90)에서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위한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기록저장수단(100)은 상기 각 수단들을 통해 생성된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출력수단(110)은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 및 생성된 포트폴리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모니터, 프린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특허집합으로 표현하기 위해 기업보유문서를 바탕으로 보유기술, 보유제품, 제품용도를 키워드화하여 참조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키워드추출과정,
상기 키워드추출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특허를 검색하여 기업의 보유역량을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참조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 내 각 특허를 전방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를 검색하여 전방인용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전방인용특허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전방인용특허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전방인용특허집합을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분석특허집합의 특허를 대상으로 특허정보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
상기 유망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특허군집에 대하여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여 유망영역을 검증하는 특허군집활동성분석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비교를 통하여 참조특허집합으로 표현되는 기업보유역량과 유망영역특허군집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기업연관성분석과정,
상기 기업연관성분석과정을 통해 분석된 기업과의 연관성정보와 상기 군집활동성분석과정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포트폴리오 생성방법의 수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도 6은 유망영역 특허군집생성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업의 보유기술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허정보를 이용한다. 특허 정보는 모든 기술정보가 표준화된 형태로 작성되며 공공 또는 상업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그 내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보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망제품영역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분석대상 특허 집합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기업 보유기술을 키워드화하는 작업과 보유기술을 기반으로 잠재적 유망 영역의 단초가 되는 유용한 특허들로 분석 대상특허 집합을 생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사용자는 키워드추출을 위하여 기업 보유특허를 포함하는 기술문서, 논문, 실무 기술진 자문 등의 정보를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하여 선택하거나 입력한다.
키워드 추출수단(20)에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지정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와 같이, 기업 보유기술을 단순히 기술문서를 근거로 키워드화 하는 경우 기술 속성만을 지니는 키워드로 한정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키워드를 세 가지 항목(용도, 구성기술, 제품) 키워드로 구분, 파악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키워드 추출수단(20)에 의한 키워드 추출이 완료되면, 특허검색제어수단(30)에서는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특허검색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정보수집수단(40)에서는 상기 특허검색제어수단(30)의 제어프로세스에 따라서 지정된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120)에 접속하여 특허를 검색하고, 검색된 특허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특허집합생성수단(50)에서는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특허집합생성수단(50)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도,기술,제품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기준으로, 검색된 특허 결과를 기업의 참조 특허 집합(P0)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참조특허집합(P0)을 전방 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를 2단계까지 검색하여 1단계 전방인용 특허집합(P1), 2단계 전방인용 특허집합(P2)를 생성한다.
그리고 참조특허집합(P0)과 1단계 전방인용집합(P1), 2단계 전방인용 특허집합(P2)를 통합하여 이를 분석대상 특허 집합으로 생성한다.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도, 기술, 제품의 키워드를 조합하여 구성한 참조특허집합(P0)은 기업의 보유기술, 제품을 대리하는 특허집합이다.
이러한 참조특허집합(P0)을 전방 인용하는 특허들은 3개 분류에 포함된 키워드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참조하여 파생되는 일련의 특허라 할 수 있다.
즉 전방인용된특허(P1)(P2)들은 기업과 관련된 용도,기술,제품 중 하나 이상의 요소를 참조하여 나온 발명에 해당하므로 새롭게 파생되는 분야의 정보가 이들 특허에 담겨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3은 참조특허집합(P0)으로 부터 전방인용특허집합(P1)(P2)를 구성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특허집합(P0)으로 부터 각각의 참조특허를 전방인용한 특허검색을 요청하여 1단계전방인용특허집합(P1)을 생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에서와 같이 1단계전방인용특허집합(P1)에 대하여 같은 방식으로 1단계 특허 각각을 전방인용한 특허 검색을 요청하여 2단계전방인용특허집합(P2)를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참조특허집합(P0), 전방인용특허집합(P1)(P2)가 모두 생성되면, 이들 특허집합을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석대상 특허집합이 완성되면,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에서는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분석하여 유망영역 특허군집을 생성하게 된다.
먼저, 분석대상 특허집합에 대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정형화정보처리수단(61)에서 특허에 포함된 특허번호, 출원일, 등록일, 출원인정보와 같은 정형화된 정보를 분석하고, 발명의 구성, 경쟁기술, 용도 등의 비정형정보를 비정형정보처리수단(62)에서 분석한다.
상기 비정형정보처리수단(62)에서는 기존의 공지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검색, 문서요약, 기술동향분석, 문서 자동분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은 특정한 분류의 키워드를 기준으로 상기의 분석결과로 부터 새로운 유망영역을 발굴하게 되는 바,
새로운 유망영역의 발굴은 새로운 용도'를 나타내는 키워드 도출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다.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63)은 용도(특정한 분류)를 대표하는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망영역 키워드를 기반으로 하는 유망영역 특허군집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서 '용도'와 관련 없는 키워드가 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여 DWPI 데이터베이스의 Abstract-DWPI USE 필드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SE 필드는 특허 초록, 발명의 구성, 청구항 등에서 심사원이 발명의 용도만을 따로 기술하여 새롭게 구성한 필드로 발명의 용도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되어 있어 연구 목적에 적합한 키워드가 도출될 확률이 높다.
한편,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추출되는 키워드를 정보를 기준으로하여 사용자(전문가)의 판단 하에 사용자 입력수단(10)을 통하여 입력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지정 유망영역 특허군집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활동성분석수단(70)에서는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60)을 통하여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에 대한 활동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활동성 지표는 유망영역을 구분하기 위하여 설정된 지표로서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성장 속도와 성장 모멘텀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성장 모멘텀은 유망영역 특허군집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유망영역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이다.
특허 출현율로 표시되는 유망영역 특허군집 성장속도는 특허군집 내 특허가 과거에 비해 얼마나 빨리 증가하고 있는가를 의미한다.
한편 성장 모멘텀은 기업이 해당 영역에 진입이 가능한 단계가 되었는가, 즉 기업이 진입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수준의 연구개발이 일어나고 있는지, 기업이 채택 가능한 단계에 도달하였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로 해석된다.
이후 기업 보유기술과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연관성정보생성수단(80)에서는 기업의 보유기술정보를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P0)와 상기 유망영역 특허군집을 대비하여 연관성정보를 생성한다.
중소기업 보유기술은 대체로 특허 군집으로 표현될 만큼 그 규모가 크지 않다. 따라서 기업 보유기술 역량을 대상 데이터 구성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참조 특허집합(P0)을 설정하여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연관성을 비교한다.
연관성 비교는 키워드를 기준으로하여 참조특허집합(P0)와 유망영역 특허집합의 키워드 동시발생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기업보유기술과의 유사도를 측정한다.
포트폴리오정보 생성수단(90)에서는 연관성정보를 기업의 기술 접근성 대리 지표로 보고 기업과의 기술연관성을 X축, 성장모멘텀을 Y축으로 하여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한다.
본 발명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보다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2차전지 부품의 일종인 분리막을 제조하는 중소기업 X사의 실제사례를 제시하여 설명한다.
[ 실시예 ]
(1) 대상기업 X사 개요
분석대상으로 하는 X사는 자본금 1,500백만원의 중소기업으로 2차전지 부품의 일종인 분리막을 제조하는 업체이다.
2차전지는 전지 내부에 들어있는 활물질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써 1차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장치로서 휴대폰, 노트북,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사용되고 있다.
2차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은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전해액과 함께 2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로 이상(異常) 발열시 전류차단,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 방지, 전해액 이동투과 통로 제공 기능 등을 담당하는 부품이다.
최근 전지산업이 고성능화, 경량화, 소형화 등의 기술적인 진보를 이루고 있고, 개인용 휴대기기 관련시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IT기기들의 전원(電源)으로 사용되는 2차전지 관련 부품소재들의 수요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수요 증가와 함께 신규 진입 기업도 늘어나 경쟁이 격화되는 추세에 있다.
X사는 현재 2차전지 분리막 단일 제품으로 매출이 일어나고 있으며 보유기술에 대한 특허를 1건 보유하고 있다.
(2) 키워드 검색을 통한 참조 특허집합 설정
X사의 참조 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해 X사 등록특허, 기술문서 및 사이트 정보를 수집, 분석한 결과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은 용도,구성,기술제품 분야의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상기 표 1은 참조특허집합(P0) 생성을 위하여 추출된 기업보유기술 키워드정보를 나타낸다.
용도 키워드 구성기술 키워드 제품 키워드
2차전지 secondary battery 연신 stretching 미세다공성 복합막 microporous composite membrane
분리막 separator
검색키워드: (battery or batteries)
검색키워드: (stretching* or
uniaxialstretching* or
biaxialstretching*)
검색키워드: (film* or separator* or membrane*)
다음의 표 2는 X사의 참조특허집합(P0)을 나타낸다.
PN TI
4066822 Self sealing microporous membrane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4153760 Microporous plastic member such as a battery separato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4210709 Microporous film battery separator
4298666 Coated open-celled microporous membranes
4331622 Method for manufacturing a microporous film having low electrical resistance and high durability
4335193 Microporous film, particularly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of making
4359510 Hydrophilic polymer coated microporous membranes capable of use as a battery separator
4438185 Hydrophilic polymer coated microporous membranes capable of use as a battery separator
4439296 Method for repairing perfluorinated polymeric microporous electrolytic cell separators by heat sealing
4681750 Preparation of amorphous, precipitated silica and siliceous filler-reinforced microporous polymeric separator
4910106 Formation of halogenated polymeric microporous membranes having improved strength properties
(3) 용도영역 발굴을 위한 특허군 확장
기업의 보유기술,용도,제품 영역으로 표현되는 40건의 참조 특허집합을 전방 인용(forward citation)한 인용 특허를 탐색한다.
검색 결과, 전체 1,412건이 도출되었으며 40건의 참조 특허를 포함하여 중복 데이터(ex. 패밀리 특허 등)를 제거한 결과, 총 1,203건의 특허가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도출되었다.
4)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키워드 도출
분석대상 특허집합인 미국특허 1,203건을 DWPI 특허 데이터베이스에 매칭하여 DWPI-USE 필드를 속성으로 추가한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KISTI 정보분석소프트웨어인 KnowledgeMatrix를 이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1,203건의 특허 USE 필드를 이용한 결과, 총 5,017건의 키워드가 추출되었으며 그 중 136개의 유의한 키워드가 도출되었다. 그 일부를 내림차순에 따라 정리한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keyword Counts keyword Counts
diapers 44 fuel cells 14
training pants 38 capacitors 14
battery 34 membrane 14
batteries 33 feminine hygiene products 13
separator 28 patient 13
battery separator 21 training pant 13
sanitary napkins 20 gas 13
bandages 20 electrochemical cells 13
film 19 fibers 13
fuel cell 18 swim 12
defibrillator 17 cardioverter 12
electrochemical cell 17 disposable diaper 12
capacitor 17 surgical gowns 12
diaper 16 gowns 12
incontinence garments 16 paper 12
wipes 16 dressings 11
films 15 surgical drapes 11
skin 15 sheet 11
implantable medical device 14 medical care 11
cleaning 14 sheets 11
상기 표 3은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특허분석을 통하여 추출되는 키워드 리스트를 나타낸다.
(5) 사용‘용도’를 기준으로 한 특허군집 생성
용도 기준의 특허집합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의 표 3에서와 같은 136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20개의 유망영역 키워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20개의 대표 키워드에 속하는 하위 키워드를 결정하여 분류하고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는 같은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은 특허관점에서 매우 느슨한 집합으로 키워드는 군집간 상호 배타적이나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허는 서로 다른 군집에 중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군집 대표키워드 특허수 Main Keyword
C1 기저귀 82 adult incontinence products; diapers; absorbent underpants; nappies; disposable diaper; diaper
C2 전지 141 battery;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lectrochemical cell; batteries; lithium batteries; electrochemical cells; cells; lithium secondary battery; leadacid battery; lithium battery; lithiumion battery; cell
C3 트레이닝복 51 training pants
C4 여성용품 49 personal care products; feminine hygiene products; feminine care products; incontinence garments; pads; feminine care articles; adult incontinence garments;
C5 분리막 66 separators; battery separators; separator; battery separator
C6 개인의료기기 64 hearing aids; pacemaker; cardioverter; pacemakers; cardioverters; implantable medical devices; defibrillator; medical device; defibrillators; implantable medical device; medical devices;
C7 연료전지 32 fuel cell
C8 외과용품 51 garments; surgical drapes; surgical gowns; dressings; clothing; gowns; lab coats;
C9 흡수용품 83 cleaning; medical care; sanitary napkins; make-up removal; hard surface; wipes; automotive care; bandages; skin; absorbent article; mat; wet wipes
C10 개인전자기기 51 portable computers;laptop computer;cellular phones; camcorder; automotive components; photographic flash equipment; electronic devices; computers
C11 전기차 33 automobile;vehicle;vehicles;electric vehicles;electric vehicle
C12 캐퍼시터 30 capacitor
C13 필름 34 films
C14 가스필터 41 natural gas;membrane;filter;filters;gas
C15 포장용품 25 containers; packaging material; bottles; packaging
C16 센서 7 sensor
C17 섬유 19 fiber
C18 환자용품 13 patient
C19 완구 10 toys
C20 전극 24 cathode; anode; electrode; electrodes; electronic devices
도출된 20개의 군집에 대하여 제품간 연관관계를 고려하면 도 6과 같이 개념적인 구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름이 직접 활용될 수 있는 섬유, 필터, 의류사용분야와 같이 C0 기술이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1차 적용분야, C0기술이 1차 적용된 부품 및 자재를 중간재로 활용하여 생산되는 2차 적용분야, 2차 적용제품이 중간재로 투입되어 제품화된 3차 적용분야 제품으로 볼 수 있다.
크게는 생활용 분야(B2C)분야와 산업용(B2B, B2C)분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제품연관관계에 따른 구분으로 실제 2차 적용분야, 3차 적용분야에 C0기술이 직접 적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실제 사례분석시에는 그 내용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용분야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6) 특허군집 활동성 분석 및 기업 보유기술과 비교한 특허군집 연관성 분석
활동성 지표를 산출하기 위해 군집별 특허 출현율을 측정하고 특허군집 크기(특허 수)를 고려한 성장 모멘텀을 도출하였다.
군집별 특허 출현율은 기준년도 대비 2010년 특허 출연의 비율값을 이용하였다. 성장 모멘텀은 특허출현비율과 군집별 특허수를 곱한 수치를 이용하였다.
다음의 표 5는 특허군집별 성장모멘텀을 나타낸다.
군집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크기 82 141 51 49 66 64 32 51 83 51
속도(*100%) 20.24 20.53 20.02 20.86 19.36 23.17 23.08 20.76 20.50 21.88
모멘텀 16.6 28.95 10.21 10.22 12.78 14.83 7.38 10.59 17.02 11.16
군집 C11 C12 C13 C14 C15 C16 C17 C18 C19 C20
크기 33 30 34 41 25 7 19 13 10 24
속도(*100%) 21.51 21.19 21.19 20.88 21.81 21.57 24.08 25.44 24.61 21.96
모멘텀 7.1 6.36 7.2 8.56 5.45 1.51 4.58 3.31 2.46 5.27
다음으로 특허군집별 연관성 지표를 측정하였다.
특허군집별 연관성은 참조특허집합을 기준으로 키워드의 중복성을 계산한다. 측정은 참조특허집합을 포함한 군집간 유사성(similarity) 행렬을 계산하여 그 지표 값을 사용하였다.
다음의 표 6은 그 추정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특허군집간 유사성 행렬을 나타낸것이다.
Similarity- Cosine(n-2) C0 C1 C10 C11 C12 C13 C14 C15
C0 1 0.617 0.793 0.617 0.775 0.762 0.604 0.646
C1 0.617 1 0.929 0.934 0.929 0.928 0.927 0.934
C10 0.793 0.929 1 0.939 0.982 0.978 0.935 0.928
C11 0.617 0.934 0.939 1 0.939 0.939 0.94 0.944
C12 0.775 0.929 0.982 0.939 1 0.977 0.935 0.927
C13 0.762 0.928 0.978 0.939 0.977 1 0.932 0.926
C14 0.604 0.927 0.935 0.94 0.935 0.932 1 0.939
C15 0.646 0.934 0.928 0.944 0.927 0.926 0.939 1
C16 0.609 0.935 0.917 0.945 0.916 0.916 0.941 0.921
(7) 기술의 유망 용도 영역 선정
20개 유망영역 특허군집에 대해서 앞서 도출한 특허 성장모멘텀(Y축)과 기업보유기술의 대리지표인 참조특허집합간 유사성(X축)을 기초로 특허군집을 도시하면 도 8과 같이 나타난다.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1사분면은 상대적으로 회사가 주력으로 하는 제품, 용도, 구성기술 영역과 상대적으로 관련이 높고 성장 모멘텀이 확보된 영역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X사와 관련성이 가장 높은 특허군집은 C2(battery)와 C5(separator)이다.
이는 X사의 참조 특허 집합이 포함된 결과로서 현재 X사가 수행하고 있는 사업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수행하는 사업영역의 성장 모멘텀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동 기업의 사업방향에 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X사가 단기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영역으로 나타난 군집은 C6, C10, C8 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C6 군집은 ‘피하에 삽입하는 개인의료기기’ 영역으로 심장박동조율기(pacemaker), 전기제세동기(cardioverter), 세동제거기(defibrillator)가 포함되며, 20개 군집의 제품연관관계를 고려하면 C0기술이 간접적으로 적용되는(3차적으로 적용되는) 영역으로 볼 수 있다. C10 (개인전자기기) 역시 C0기술이 간접적으로 (2차 적용) 적용되는 영역인 반면, C8(외과용품) 군집은 C0 기술이 1차적으로 적용되는 영역이다. 마지막으로 C8 영역에는 실험실 가운, 수술용 의복 및 천, 붕대 재료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사분면은 장기적으로 사업영역으로의 진입을 타진할 수 있는 영역으로 C1(기저귀), C9(흡수용품) 등이 포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12(캐퍼시터), C13(필름), C19(완구) 등의 군집이 속한 4사분면은 기술적 관련성이 높아, 향후 시장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3사분면에 있는 C16, C18, C11, C7, C14 등은 현 상태에서는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는 영역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2차전지 분리막을 개발하는 X사에게 우선적으로 고려할 3개의 유망 영역이 있음을 보여주고, 중장기로 2개 분야에 유망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기업의 보유자원(역량) 기반 관점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유망기술 도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절차를 간략히 정리하면 기업이 진입해 있는 기술, 용도, 제품분야 키워드를 기준으로 기업의 진입영역을 대리하는 참조특허집합(reference patent set)을 구성하였다.
분석데이터는 참조특허집합을 두 단계까지 전방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로 대상을 확장하여 구성하였다.
분석특허 풀에서 유망영역에 대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기반으로 유망영역에 대한 특허군집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특허군집과의 관련성지표를 기준으로 유망영역 특허군집별 유망성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이 접근 가능한 영역에 대한 잠재 포트폴리오를 표현하고 기업이 단계적으로 접근가능한 유망영역, 모니터링 대상, 모니터링 제외대상 영역을 도출하였다.

Claims (27)

  1. 기업 보유역량 기반 유망영역 포트폴리오 생성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수단,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하여 기업 보유기술과 제품의 키워드 추출하기 위한 키워드 추출수단,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 및 각 수단으로 부터 제공되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특허검색을 제어하는 특허검색제어수단,
    특허검색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외부 특허정보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수집하는 정보수집수단,
    정보수집수단을 통해 수집된 특허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고 생성된 참조특허집합으로 부터 특허검색제어수단을 통하여 특허검색을 수행하여 전방인용특허정보를 생성하고,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집합정정보를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는 특허집합생성수단,
    특허집합생성수단으로 부터 생성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으로 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망영역 키워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으로 부터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에 대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는 활동성분석수단,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대비를 통하여 잠재 유망 특허 군집과 참조특허집합간 기술적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관성정보생성수단,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연관성정보와 상기 활동성분석수단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수단과,
    상기 수단들을 통해 생성된 정보가 저장관리되는 기록저장수단과,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 및 생성된 포트폴리오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기업보유 기술을 키워드화기 위하여 상기 키워드추출수단을 통해 키워드추출에 필요한 정보들은 기업이 보유한 기술문서, 논문, 실무기술진자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수단은 용도, 구성기술, 제품 키워드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은 생성된 전방인용특허집합으로 부터 키워드검출을 요청하고 이로 부터 검색된 특허정보로 부터 2단계의 전방인용특허집합을 생성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은 특허정보에 포함된 정형화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형화정보처리수단과, 특허정보에 포함된 비정형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비정형정보 처리수단과, 상기 정형화정보처리수단, 비정형처리수단으로 부터 분석된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분석정보로 부터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기 위한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과, 유망영역키워드추출수단을 통하여 추출된 특정키워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특허군집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화정보처리수단에서 처리되는 정형화된 정보는 특허번호, 출원일, 등록일, 출원인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형화정보 처리수단에서 처리되는 비정형화된 정보는 발명의 구성, 경쟁기술, 용도의 문장형태로 포함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의 유망영역 키워드 검출은 용도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분석수단의 활동성분석지표는 성장 속도와 성장 모멘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속도는 특허 출현율로 구성되며,
    상기 성장 모멘텀은 특허군집 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은 상기 특허집합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키워드 동시발생횟수를 기준으로 유사도를 측정하여 기술적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생성수단은 상기 연관성정보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연관성정보를 기업의 기술 접근성 대리 지표로 보고 기업과의 기술연관성대비 상기 활동성분석지표로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분석지표는 성장모멘텀이며, 상기 성장모멘텀은 특허군집 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13.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형화 정보처리수단에서 비정형화된 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으로 비정형화된 정보를 분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
  14.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키워드화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추출과정,
    상기 키워드추출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기준으로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구성하기 위한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참조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 내 각 특허를 전방인용(forward citation)한 특허를 검색하여 전방인용특허집합을 생성하는 전방인용특허생성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전방인용특허집합을 통합하여 분석대상 특허집합을 생성하는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
    상기 분석대상 특허집합 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분석특허집합의 특허를 대상으로 특허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망영역을 기반으로하는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의 특허군집을 생성하는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
    상기 유망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유망특허 특허군집에 대하여 설정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활동성분석을 수행하여 유망영역을 검증하는 특허군집활동성분석과정,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을 통해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비교를 통하여 기업보유기술과 유망영역특허군집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기업연관성분석과정,
    상기 기업연관성분석과정을 통해 분석된 기업과의 연관성정보와 상기 군집활동성분석과정에서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포트폴리오생성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추출과정은 참조특허집합을 생성하기 위한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용도, 구성기술, 제품 키워드의 세 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인용특허집합생성과정은 생성된 전방인용특허집합으로 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로 부터 새로운 전방인용특허집합을 더 생성하도록 하도록 하는 전방인용특허집합생성과정을 한번 이상 반복하여 진행하도록 하여 전방인용특허집합을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은 분석대상 특허정보를 분석함에 있어서, 분석대상 특허정보에 포함된 정형화된 정보와 비정형화된 정보를 분리하여 분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은 분석대상특허집합을 분석함에 있어서 정형화된 정보처리되는 특허에 포함된 정보는 특허번호, 출원일, 등록일, 출원인정보를 포함하고, 비정형화된 정보처리되는 특허에 포함되는 정보는 발명의 구성, 경쟁기술, 용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은 비정형화된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은 분석대상 특허정보의 분석결과로 부터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유망영역 키워드 검출은 용도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추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특허군집활동성분석과정은 활동성분석을 위해 이용된 활동성분석지표는 성장 속도와 성장 모멘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속도는 특허 출현율로 구성되며,
    상기 성장 모멘텀은 특허군집 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연관성분석과정은 상기 참조특허집합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참조특허집합과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에서 생성된 유망영역 특허군집과의 키워드 동시발생횟수를 기준으로 유사도를 측정하여 기술적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생성과정은 상기 기업연관성분석과정에서 생성되는 연관성정보를 기업의 기술 접근성 대리 지표로 보고 기업과의 기술연관성대비 상기 활동성분석지표로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폴리오생성과정에서 이용되는 활동성분석지표는 성장모멘텀이며, 상기 성장모멘텀은 특허군집 내 연도별 특허 출현율과 특허군집 내 특허 수를 곱한 지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6. 제 14항에 있어서, 유망영역특허군집생성과정은 분석대상 특허집합의 분석결과로 부터 유망영역 키워드를 추출함에 있어서, 추출되는 유망영역 키워드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태적으로 유망영역 키워드를 지정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
  27. 제 14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신기술개발 포트폴리오 생성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11701A 2012-02-06 2012-02-06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KR101292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01A KR101292663B1 (ko) 2012-02-06 2012-02-06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PCT/KR2012/010379 WO2013118963A1 (ko) 2012-02-06 2012-12-03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01A KR101292663B1 (ko) 2012-02-06 2012-02-06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663B1 true KR101292663B1 (ko) 2013-08-13

Family

ID=4894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01A KR101292663B1 (ko) 2012-02-06 2012-02-06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2663B1 (ko)
WO (1) WO2013118963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64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제품그물망구축장치, 그 방법 및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제품그물망구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1762252B1 (ko) * 2016-04-08 2017-07-31 (주)윕스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KR2019005537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식재산 운용 시스템
KR20190097915A (ko) * 2018-02-13 2019-08-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유망 융합기술 발굴 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070673A (ko) * 2018-12-10 2020-06-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 개발 방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319811B1 (ko) * 2021-06-22 2021-11-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온라인 기반 잡 프로세스의 처리자 선정 방법 및 장치
KR102439206B1 (ko) * 2021-09-14 2022-09-01 주식회사 다인바인 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4912A (zh) * 2017-11-22 2018-03-27 前海梧桐(深圳)数据有限公司 企业特性对企业发展影响的计算方法及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014A (ko) * 2008-06-17 2009-12-28 한국과학기술원 특허 정보를 이용한 기술과 서비스의 평가 및 서비스중심의 기술 로드맵 작성 방법
KR20100060734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키워드 시맨틱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115A (ko) * 2009-11-09 2011-05-17 (주)광개토연구소 특허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30784A (ko) * 2010-05-28 2011-12-06 (주)광개토연구소 특허 정보를 활용한 공백 융합 후보 정보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014A (ko) * 2008-06-17 2009-12-28 한국과학기술원 특허 정보를 이용한 기술과 서비스의 평가 및 서비스중심의 기술 로드맵 작성 방법
KR20100060734A (ko) * 2008-11-28 2010-06-07 한국과학기술원 키워드 시맨틱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특허정보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51115A (ko) * 2009-11-09 2011-05-17 (주)광개토연구소 특허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130784A (ko) * 2010-05-28 2011-12-06 (주)광개토연구소 특허 정보를 활용한 공백 융합 후보 정보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264A (ko) * 2014-11-03 2016-05-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제품그물망구축장치, 그 방법 및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제품그물망구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1693014B1 (ko) * 2014-11-03 2017-01-05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제품그물망구축장치, 그 방법 및 기업의 제품개발 전략을 벤치마킹하는 제품그물망구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KR101762252B1 (ko) * 2016-04-08 2017-07-31 (주)윕스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WO2017175912A1 (ko) * 2016-04-08 2017-10-12 (주)윕스 아이디어 창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원 장치
KR20190055371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식재산 운용 시스템
KR102576696B1 (ko) * 2017-11-15 2023-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식재산 운용 시스템
KR20190097915A (ko) * 2018-02-13 2019-08-2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유망 융합기술 발굴 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85599B1 (ko) * 2018-02-13 2020-04-2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 기반의 유망 융합기술 발굴 장치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00070673A (ko) * 2018-12-10 2020-06-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 개발 방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202433B1 (ko) 2018-12-10 2021-01-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 개발 방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319811B1 (ko) * 2021-06-22 2021-11-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온라인 기반 잡 프로세스의 처리자 선정 방법 및 장치
KR102439206B1 (ko) * 2021-09-14 2022-09-01 주식회사 다인바인 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8963A1 (ko) 201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663B1 (ko) 기업보유역량 기반의 잠재 유망기술-제품 포트폴리오 생성시스템과 생성방법
Joung et al. Monitoring emerging technologies for technology planning using technical keyword based analysis from patent data
Aaldering et al. Analysis of technological knowledge stock and prediction of its future development potential: The case of lithium-ion batteries
Wang et al. A critical review of improved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multi-timescale state prediction of lithium-ion batteries
Zhao et al. Comprehensive performance assessment on variou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s
Pathan et al. Identifying stroke indicators using rough sets
Li et al. Monitoring and forecasting the development trends of nanogenerator technology using cit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Miao et al. Integrating technology-relationship-technology semantic analysis and technology roadmapping method: A case of elderly smart wear technology
Li et al. Toward group applications: a critical review of the classification strategies of lithium-ion batteries
Navarro et al.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supercapacitor frequency domain model for industrial energy applications considering dynamic behaviour at high frequencies
CN114328975A (zh) 一种药学知识图谱构建方法和装置
Chen et al. Design of a modular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motorcycle
Li et al. Identifying technology opportunity using SAO semantic mining and outlier detection method: A case of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chnology
Wang et al. A multi-source data feature fusion and expert knowledge integration approach on lithium-ion battery anomaly detection
Romero et al. An approach to web-based personal health records filtering using fuzzy prototypes and data quality criteria
Ostrowski Semantic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rend identification
Adebayo Predictive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of hypertension risk using decision trees algorithm
Li et al. Capacity Optimal Allocation Method and Frequency Division Energy Management fo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Considering Grid-Connected Requirements in Photovoltaic System
Tan et al. Selecting an ontology for biomedical text mining
Drissi et al. On the use of sensors in mental healthcare
KR20170030016A (ko) 특허정보를 이용한 지질자원 분야 유망기술군 분석방법 및 시스템
Kim et al. A method for detecting the existence of an over-discharged cell in a lithium-ion battery pack via measuring total harmonic distortion
Zhou Evaluation research on data processing of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decision tree algorithm
Wang et al. Analysis on application level based o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d best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AMT) selection based on fuzzy-TOPSIS integration approach
CN108888276B (zh) 一种能自动进行针头终末消毒的一次性采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